KR20120000871A - 공기 방출 피팅 - Google Patents

공기 방출 피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871A
KR20120000871A KR1020100061365A KR20100061365A KR20120000871A KR 20120000871 A KR20120000871 A KR 20120000871A KR 1020100061365 A KR1020100061365 A KR 1020100061365A KR 20100061365 A KR20100061365 A KR 20100061365A KR 20120000871 A KR20120000871 A KR 20120000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housing
space
air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응삼
노진환
박권일
박시준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1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871A/ko
Publication of KR20120000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1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gas, air purg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와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면서도 공기 방출에 오작동이 없는 공기 방출 피팅을 제공하기 위하여,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입관과 유출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고정부가 장착되어 있으며, 걸림턱을 구비하며, 걸림턱을 경계로 상방은 하방에 비하여 좁은 직경을 가지게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 부상하고, 부상시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견부, 고정부 위에 플로트가 놓였을 때 유체가 통과하게 하는 삭감부 및 상방이 막혀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플로트; 상기 플로트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 장착되며,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 및 상기 플로트의 견부에 배치되는 시일을 포함하는 공기 방출 피팅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 방출 피팅{AIR VENT FITTING}
본 발명은 정수 탱크와 같은 유체 저장 용기에서 공기를 방출하는데 사용되는 공기 방출 피팅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수 탱크에 연결되어 있는 정수 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부피만큼의 공기가 배출되면서도 정수 탱크가 만수일 때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 방출 피팅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정화된 음용수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 가정을 비롯한 다양한 공간에서 정수기의 사용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자연수(이하, 정수되기 전 상태의 물을 '원수'라 함)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여러개의 필터를 통해 원수를 여과하여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음용수를 제공한다.
이러한 정수기에는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가 있으며, 이 저장 탱크에는 정수가 유입되기 전에는 공기가 차있게 되는데, 정수가 유입됨에 따라서, 안에 차있던 공기는 배출되어야 한다.
이에, 저장 탱크 상면에는 저장 탱크와 일체로 형성된 공기 방출 피팅이 배치되어, 유입되는 정수의 부피만큼의 공기가 방출되는 구조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과 같이 저장 탱크와 일체로 공기 방출 피팅이 형성되는 경우, 저장 탱크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 방출 피팅의 구조가 복잡하며, 정수가 만수인 경우에, 플로트가 제대로 상승하지 않아서 정수가 유출되거나, 급격하게 정수가 유입되는 경우에 플로트가 같이 상승해서 공기의 유출을 막아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탱크와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면서도 공기 방출에 오작동이 없는 공기 방출 피팅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입관과 유출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고정부가 장착되어 있으며, 걸림턱을 구비하며, 걸림턱을 경계로 상방은 하방에 비하여 좁은 직경을 가지게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 부상하고, 부상시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견부, 고정부 위에 플로트가 놓였을 때 유체가 통과하게 하는 삭감부 및 상방이 막혀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플로트; 상기 플로트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 장착되며,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 및 상기 플로트의 견부에 배치되는 시일을 포함하는 공기 방출 피팅을 제공한다.
이 공기 방출 피팅의 플로트는 외면에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 고정부의 개구는 고정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저장 탱크의 공기 방출관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 기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간단한 구조로서, 신뢰성있게 작동하는 공기 방출 피팅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격한 공기의 방출로 인하여, 공기 방출 피팅의 플로트가 오작동하지 않는 공기 방출 피팅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플로트의 과도한 부상을 막으면서도, 플로트에 무리를 주지 않을 수 있으며, 플로트가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공기 방출 피팅이 장착된 저장 탱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공기 방출 피팅의 도면으로서, 플로트가 부상하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공기 방출 피팅의 도면으로서, 플로트가 부상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플로트의 부품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공기 방출 피팅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공기 방출 피팅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공기 방출 피팅(100)이 장착된 저장 탱크(1)의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저장 탱크(1)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내부로 물이 입수되는 입수관(30), 저장 탱크(1) 내부의 물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관(40) 및, 잔수를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드레인 관(80)을 포함한다.
또, 도 1 에 도시된 저장 탱크(1)는 정수기의 냉수 탱크여서, 유입된 정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증발기(20)가 저장 탱크(1)의 하우징(10) 외면을 감싸고 있으며, 저장 탱크(1) 중간에는 세퍼레이트 보드(70)을 두어서, 저장 탱크(1) 내부에서의 정수 혼합을 억제한다.
또, 저장 탱크(1)의 하부에는 센서 삽입부(60)를 배치하여, 저장 탱크(1) 내부의 수온을 측정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될 수 있다.
저장 탱크(1)의 상면에는 공기 유출관(50)이 형성되어, 정수의 유입에 따라서, 저장 탱크(1) 내부에 차있는 공기가 공기 유출관(50)을 통하여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기 유출관(50)에는 공기 방출 피팅(100)이 장착되어 있다.
도 2 및 도 3 에는 본 발명의 공기 방출 피팅(100)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 보이듯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공기 방출 피팅(100)은 공기 유출관(50)의 후크부(51)에 연결되며, 통형상의 하우징(110)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10) 내부 공간에는 플로트(120)와 고정부(140)가 배치되게 되며, 하우징(1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시일(160, 170)이 배치된다.
공기 방출 피팅(100)의 하우징(110)의 하부, 즉, 공기 유출관(50)과 연결되는 하우징(110)에는 걸림부(116)가 형성되어, 공기 유출관(50)의 후크부(51)과 걸림부(116)의 상호 작용으로, 공기 방출 피팅(100)은 공기 유출관(50)에 장착 혹은 탈착될 수 있다.
공기 방출 피팅(100)의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은 내경이 작은 상부 공간(117)과 내경이 상부 공간보다 큰 하부 공간(118)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부 공간(117)과 하부 공간(118)이 층이 형성된 부분에 걸림턱(115)이 위치한다.
플로트(120)는 공기 방출 피팅(100)의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120)가 상승하였을 때, 일부는 상부 공간(117)에 위치하며, 나머지는 하부 공간(118)에 위치한다. 플로트(120)에는 견부(1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견부(128)는 플로트(120)가 상승되었을 때, 하우징(110)의 걸림턱(115)에 맞닿게 되어, 플로트(120)가 그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플로트(120)의 견부(128)에는 시일(130)이 배치되어, 플로트(120)가 상승되었을 때, 견부(128)와 걸림턱(115)사이를 밀봉하여, 플로트(120)를 상승시킨 유체가 하우징(110)의 상부 공간(117)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도 4 에 보이듯이, 플로트(120)의 상부 외면에 제 1 가이드부(127)가 형성되어 있다. 플로트(120)의 상부 직경은 제 1 가이드부(127)의 두께까지 포함했을 때, 하우징(110)의 상부 공간(117)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 플로트(120)의 상부 직경과 하우징(110)의 상부 공간(117)의 내경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소통할 수 있다.
또, 플로트(120)의 상부 외면에 제 2 가이드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플로트(120)의 하부 직경은 제 2 가이드부(128)의 두께까지 포함했을 때, 하우징(110)의 상부 공간(118)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 플로트(120)의 하부 직경과 하우징(110)의 하부 공간(117)의 내경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 혹은 액체가 소통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 으로 돌아와서, 플로트(120)의 내부에는 공간부(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간부(123)으로 인하여 플로트(120)는 전체적으로 상면이 막힌 원통형상을 가지게 된다. 공간부(123)는 플로트(120)의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공기 방출 피팅(100) 내부로 공기 유입관(50)을 통하여 유체가 유입되면, 유입된 유체에 의하여 플로트(120)가 상승하게 되는데, 플로트(120)는 상면이 막힌 공간부(123)를 포함하고 있어서, 플로트(120)의 공간부(123)는 액체의 유입에도 공기를 포함하게 되며, 이는 플로트(120)가 가지는 부상력을 크게 하는 역할을 하여, 플로트(120)가 유체의 유입에 따른 밀봉 역할을 보다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플로트(120)의 아래에는 고정부(140)가 하우징(110)의 홈부(119)에 끼워져 있다. 고정부(140)는 하우징(110)의 홈부(119)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플로트(120)와는 달리 액체가 유입되더라도 상승하지 않으며, 항상 동일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고정부(140)의 상면에는 개구(142)가 형성되어 있어서, 공기 유입관(50)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다.
한편, 플로트(120)의 하부에는 대칭적으로 4개의 삭감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삭감부(125)는 플로트(120)이 고정부(140)에 놓여있을 때, 고정부(140)의 상면과 함께, 유체가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삭감부(125)는 플로트(120) 둘래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서, 공기 방출 피팅(100)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고정부(140)의 개구(142), 플로트(120)의 삭감부(125), 하부 공간(118) 및 상부 공간(117)를 순차적으로 지나가게 된다.
다만, 액체의 경우, 고정부(140)의 개구부, 플로트(120)의 삭감부(125), 하부 공간(118)으로 유입되는 것은 동일하다. 플로트(120)는 공간부(123)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액체가 하부 공간(118)에 유입되는 경우 플로트(120)를 상승시키게 되며, 따라서, 액체가 상부 공간(117)으로 유입되기 전에 하부 공간(118)과 상부 공간(117)사이의 유로, 즉, 견부(128)와 걸림터(115) 사이가 시일(130)에 의해서 막히게 된다.
그로 인하여, 하부 공간(118)에 유입된 액체는 상부 공간(117)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는, 탱크(1)가 만수(滿水)가 되어, 공기 방출 피팅(100)에 물이 유입되더라도 공기 방출 피팅(100)을 통과하지는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공기 방출 피팅(200)의 제 2 실시예가 도 5 에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 2 실시예의 공기 방출 피팅(200)은 제 1 실시예의 공기 방출 피팅(100)과 하우징(110, 210), 플로트(120, 220), 시일(130, 230)의 구성이 동일하나, 고정부(140, 240)의 개구(142, 242)의 구성이 상이하다.
제 2 실시예의 고정부(240)의 개구(242)가 제 1 실시예의 고정부(140)의 개구(142)와는 달리 고정부(24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40)의 개구(242)가 측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되는 공기 혹은 액체는 고정부(240)를 통과하면서, 플로트(220)와 하우징(210) 사이이 공간을 통과하여 상승하게 되며, 플로트(220)에 직접으로 맞닿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서, 유체의 유입으로 인하여 플로트(220)가 들려질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게 된다.
100: 공기 방출 피팅 110: 하우징
115: 걸림턱 117: 상부 공간
118: 하부 공간 120: 플로트
123: 공간부 125: 삭감부
128: 견부 130: 시일
140: 고정부 142: 개구

Claims (4)

  1.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입관과 유출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고정부가 장착되어 있으며, 걸림턱을 구비하며, 걸림턱을 경계로 상방은 하방에 비하여 좁은 직경을 가지게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부상하고, 부상시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견부, 고정부 위에 플로트가 놓였을 때 유체가 통과하게 하는 삭감부 및 상방이 막혀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플로트;
    상기 플로트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 장착되며,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 및
    상기 플로트의 견부에 배치되는 시일을 포함하는 공기 방출 피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는 외면에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방출 피팅.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개구는 고정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방출 피팅.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저장 탱크의 공기 방출관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방출 피팅.
KR1020100061365A 2010-06-28 2010-06-28 공기 방출 피팅 KR20120000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365A KR20120000871A (ko) 2010-06-28 2010-06-28 공기 방출 피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365A KR20120000871A (ko) 2010-06-28 2010-06-28 공기 방출 피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71A true KR20120000871A (ko) 2012-01-04

Family

ID=4560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365A KR20120000871A (ko) 2010-06-28 2010-06-28 공기 방출 피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8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3416A (zh) * 2018-10-26 2019-01-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滤芯及具有其的净水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3416A (zh) * 2018-10-26 2019-01-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滤芯及具有其的净水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7220A1 (en) Flowing-down rainwater filtration device and rainwater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JP2007319852A (ja) 泡沫排出レベル自動昇降制御装置
EP2481963B1 (en) Automatic gas intake and exhaust valve device
JP6305795B2 (ja) 油入電気機器
JP2010203654A (ja) ドレン処理装置
JP2016037743A (ja) 洗濯機防水パンのトラップ配管構造
KR20120000871A (ko) 공기 방출 피팅
WO2013142804A1 (en) Sulfur seal device
US20170241309A1 (en) Drainage device
KR101849080B1 (ko)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저장탱크
JP2009040470A (ja) 飲料水ディスペンサ
US20180050284A1 (en) Capsule intended for a liquid flow comprising an inner casing and an outer unit
JP5718666B2 (ja) 吸排気弁装置
JP2018123843A (ja) 蒸気トラップ
KR102665478B1 (ko) 오염액체용 안전저장탱크
JP6353297B2 (ja) 貯油設備用水抜き装置
KR101185782B1 (ko) 관로용 자동 에어벤트장치
JP5788073B1 (ja) 空気弁装置
JP7271311B2 (ja) 気液分離装置とこれを用いた水処置装置
KR100902279B1 (ko) 밸브 개폐 장치
KR102363761B1 (ko)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
JP2006316809A (ja) ストレーナ付き吸排気弁
JP2018021619A (ja) 排水ファンネル
JP6733057B2 (ja) 商用車用のスクリュコンプレッサ
KR200296842Y1 (ko) 공조기의 워터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