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866U -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 - Google Patents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866U
KR20120000866U KR2020100007879U KR20100007879U KR20120000866U KR 20120000866 U KR20120000866 U KR 20120000866U KR 2020100007879 U KR2020100007879 U KR 2020100007879U KR 20100007879 U KR20100007879 U KR 20100007879U KR 20120000866 U KR20120000866 U KR 201200008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fish beam
inclined surface
holding arm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미안전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미안전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미안전망
Priority to KR2020100007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866U/ko
Publication of KR201200008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86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본 고안은 피시빔을 이용하여 구조물 구축시 작업의 용이성을 위한 작업로의 구축과 부품의 낙하방지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설치구dp 고나한 것으로 특히, 상기 설치구는 하단부에 비계파이프를 클램핑으로 단속할 수 있는 클램프를 용접고정한 바타입으로 구비하는 제1설치구바디와; 상기 제1설치구바디의 상단부에 피시빔 하단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하는 제1유지암과; 상기 제1유지암에 형성된 천공홀에 나사결합되어지며 일단이 상기 피시빔 하단의 경사면을 가압하는 제1가압볼트와; 상기 비계파이프를 가이드로 하여 슬라이딩 동작하는 바타입으로 구비하는 제2설치구바디와; 상기 제2설치구바디의 상단부에 피시빔 하단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하는 제2유지암과; 상기 제2유지암에 형성된 천공홀에 나사결합되어지며 일단이 상기 피시빔 하단의 경사면을 가압하는 제2가압볼트; 및 상기 제2설치구바디를 상기 피시빔측에 가압 밀착하여 클램핑으로 단속할 수 있는 클램프용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 {Install equipment for operation to pisibim work}
본 고안은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시빔을 이용하여 다리와 같은 구조물 구축시 상판 설치 또는 거푸집 해체를 위한 작업로를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에 관한 것이다.
첨부한 도 1은 종래의 크로스빔 콘크리트 타설용 강재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일반적으로, 교량은 상부구조(미도시)와 하부구조(10)로 나누어진다. 이들 중 상부구조는 통로를 형성하는 바닥구조, 그것을 직접 받치는 바닥판 및 교량의 본체인 주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하부구조(10)는 교각(1)과 교대(2)로 이루어지는데, 교각(1)은 두 경간 이상의 교량인 경우에 중간 지점을 형성하여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용도이고, 교대(2)는 교량의 양 끝부분에서 상부구조를 지지하며 뒷면의 토압에도 대항하는 것이다.
이때, 상부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교각(1) 및 교대(2)의 상단에 상기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피씨빔(PRE CONCRETE BEAM)(3)이 다수 설치되며, 이들의 사이는 크로스빔(CROSS BEAM)(4)이 설치되어 상기 피씨빔(3)을 구조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피시빔을 이용하여 교량과 같은 구조물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피시빔에 상판을 설치하고, 상판 설치 후 거푸집 해체를 위한 작업로의 구축과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부품의 낙하방지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이 설치구이다.
첨부한 도 2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의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설치구(100)는 하단부에 비계파이프(101)를 클램핑으로 단속할 수 있는 클램프(102)를 용접고정한 바타입의 설치구 바디(103)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구바디(103)의 상단부에는 피시빔(104)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유지암(105)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유지암(105)은 피시빔(104)의 경사면(106)과 연접시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안정된 상태로 밀착되어 설치구바디(103)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유지암(105)의 끝단면(107)에는 경사면(106)과의 밀착력을 높여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착수단(108)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밀착수단(108)은 유지암(105)의 끝단면(107)에 마찰패드를 부착하거나 마찰돌기를 일체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설치구바디(103)의 길이는 피시빔(104)의 하단면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하여 피시빔(104)의 중간위치에 가로빔이 설치되더라도 가로빔의 하방으로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첨부한 도 2의 종래 기술을 개량한 기술로써,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은 형식의 브라켓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첨부한 도 3의 기술에 대해서는 상기 도 2에 나타나 있는 구성과 동일한 기능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진 종래 기술에 비해서는 분명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진 기술이 보다 개량되어진 기술이나,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진 기술을 살펴보면, 비계파이프(101)에 참조번호 103과 106으로 지칭되는 암을 고정시켜 놓은 후 참조번호 107로 지칭되는 볼트를 가압하여 피시빔(104)에 고정시키는 방식이므로 실제 피시빔(104)의 경사면과 정확한 대응관계가 어렵고 또한 참조번호 103과 106으로 지칭되는 암의 간극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피시빔(104)의 폭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시빔을 이용하여 다리와 같은 구조물 구축시 상판 설치 또는 거푸집 해체를 위한 작업로를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의 특징은, 피시빔을 이용하여 구조물 구축시 작업의 용이성을 위한 작업로의 구축과 부품의 낙하방지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설치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설치구는 하단부에 비계파이프를 클램핑으로 단속할 수 있는 클램프를 용접고정한 바타입으로 구비하는 제1설치구바디와; 상기 제1설치구바디의 상단부에 피시빔 하단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하는 제1유지암과; 상기 제1유지암에 형성된 천공홀에 나사결합되어지며 일단이 상기 피시빔 하단의 경사면을 가압하는 제1가압볼트와; 상기 비계파이프를 가이드로 하여 슬라이딩 동작하는 바타입으로 구비하는 제2설치구바디와; 상기 제2설치구바디의 상단부에 피시빔 하단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하는 제2유지암과; 상기 제2유지암에 형성된 천공홀에 나사결합되어지며 일단이 상기 피시빔 하단의 경사면을 가압하는 제2가압볼트; 및 상기 제2설치구바디를 상기 피시빔측에 가압 밀착하여 클램핑으로 단속할 수 있는 클램프용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피시빔을 이용하여 다리와 같은 구조물 구축시 상판 설치 또는 거푸집 해체를 위한 작업로를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크로스빔 콘크리트 타설용 강재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개량된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및 요부 확대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및 요부 확대 예시도
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첨부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및 요부 확대 예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는 피시빔(104)을 이용하여 구조물 구축시 작업의 용이성을 위한 작업로의 구축과 부품의 낙하방지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설치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다른 설치구는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하단부에 비계파이프(101)를 클램핑으로 단속할 수 있는 클램프를 용접고정한 바타입으로 구비하는 제1설치구바디(103)와, 상기 제1설치구바디(103)의 상단부에 피시빔(104) 하단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하는 제1유지암(105A)과; 상기 제1유지암(105A)에 형성된 천공홀에 나사결합되어지며 일단이 상기 피시빔(104) 하단의 경사면을 가압하는 제1가압볼트(B1)와, 상기 비계파이프(101)를 가이드로 하여 슬라이딩 동작하는 바타입으로 구비하는 제2설치구바디(S103)와, 상기 제2설치구바디(S103)의 상단부에 피시빔(104) 하단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하는 제2유지암(S105A)과, 상기 제2유지암(S105A)에 형성된 천공홀에 나사결합되어지며 일단이 상기 피시빔 하단의 경사면을 가압하는 제2가압볼트(B2), 및 상기 제2설치구바디(S103)를 상기 피시빔(104)측에 가압 밀착하여 클램핑으로 단속할 수 있는 클램프용 가압수단(106, 107)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2설치구바디(S103)는 참조번호 S102로 지칭되는 슬라이딩부가 비계파이프(101)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함으로서 고정되어진 제1설치구바디(103)와의 이격거리 조절이 용이하며, 참조번호 B1, B2로 지칭되는 가압볼트의 조임과 풀림 동작에 의해 피시빔(104) 하단의 경사면에 작용하면 가압력의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클램프용 가압수단(106, 107)을 통해 상기 제2설치구바디(S103)가 상기 피시빔(104)측에 가압 밀착되어짐으로써 그 전체적인 고정력이 증대되어진다.
더욱이 참조번호 108로 지칭되는 안전망 혹은 작업로 설치를 위한 행거를 구비함으로써 후속조치로 구비되는 구조물의 연결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1 : 비계파이프
103, S103 : 설치구바디
104 : 피시빔
105A, S105A : 유지암
B1, B2 : 가압볼트
106, 107 : 클램프용 가압수단

Claims (1)

  1. 피시빔을 이용하여 구조물 구축시 작업의 용이성을 위한 작업로의 구축과 부품의 낙하방지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설치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설치구는 하단부에 비계파이프를 클램핑으로 단속할 수 있는 클램프를 용접고정한 바타입으로 구비하는 제1설치구바디와;
    상기 제1설치구바디의 상단부에 피시빔 하단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하는 제1유지암과;
    상기 제1유지암에 형성된 천공홀에 나사결합되어지며 일단이 상기 피시빔 하단의 경사면을 가압하는 제1가압볼트와;
    상기 비계파이프를 가이드로 하여 슬라이딩 동작하는 바타입으로 구비하는 제2설치구바디와;
    상기 제2설치구바디의 상단부에 피시빔 하단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하는 제2유지암과;
    상기 제2유지암에 형성된 천공홀에 나사결합되어지며 일단이 상기 피시빔 하단의 경사면을 가압하는 제2가압볼트; 및
    상기 제2설치구바디를 상기 피시빔측에 가압 밀착하여 클램핑으로 단속할 수 있는 클램프용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
KR2020100007879U 2010-07-27 2010-07-27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 KR201200008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879U KR20120000866U (ko) 2010-07-27 2010-07-27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879U KR20120000866U (ko) 2010-07-27 2010-07-27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66U true KR20120000866U (ko) 2012-02-06

Family

ID=45843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879U KR20120000866U (ko) 2010-07-27 2010-07-27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86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352B1 (ko) * 2015-06-26 2016-06-21 김태희 교량용 안전망 고정 장치
CN111719426A (zh) * 2020-07-16 2020-09-29 夏喜明 一种导轨式桥梁检测机器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352B1 (ko) * 2015-06-26 2016-06-21 김태희 교량용 안전망 고정 장치
CN111719426A (zh) * 2020-07-16 2020-09-29 夏喜明 一种导轨式桥梁检测机器人
CN111719426B (zh) * 2020-07-16 2022-05-13 嘉兴新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导轨式桥梁检测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536B1 (ko) 교량유지점검용 안전점검대
EA014724B1 (ru) Опорный кронштейн анкер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грунтовой стенки
KR101566918B1 (ko) 교량의 교좌장치 교체 또는 안전점검을 위한 구조물 인상용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교좌장치 교체방법
CN106499201A (zh) 一种可拆卸的安全绳工具式固定卡具及其使用方法
KR101547824B1 (ko) 플랫폼 지지방식의 노내비계와 인양시스템
KR200429997Y1 (ko)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
KR20120000866U (ko)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
KR20110010248A (ko) 교량공사용 멀티유헤드 브래킷장치
KR100936234B1 (ko) 경사 거푸집 설치용 경사부재 측정장치
CN206091265U (zh) 一种可拆卸的锚环装置
KR101116345B1 (ko)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KR200392341Y1 (ko) 공중비계용 고정장치
KR101309119B1 (ko) 교량용 관로 설치장치 및 그 관로의 시공방법
KR100719956B1 (ko) 교량점검대 지지장치
CN201756176U (zh) 夹头
KR101350921B1 (ko) 거더교 가설작업용 브래킷
KR100812128B1 (ko) 철골빔용 파이프 유니트 및 그 인양방법
KR200459161Y1 (ko) 작업발판 설치대
CN201406632Y (zh) 螺栓锚固式桥梁伸缩缝装置
CN204626936U (zh) 一种可伸缩的建筑架板
KR20020028984A (ko) 안전작업대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EP3450645B1 (en) Assembly of a carrier and a filling element, such a filling element, and a method for the application thereof
CN213653894U (zh) 用于钢板墙的防变形装置
CN217232740U (zh) 一种楼梯混凝土浇筑固定装置
CN106703296A (zh) 一种钢筋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