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394A -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 - Google Patents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394A
KR20120000394A KR1020100060740A KR20100060740A KR20120000394A KR 20120000394 A KR20120000394 A KR 20120000394A KR 1020100060740 A KR1020100060740 A KR 1020100060740A KR 20100060740 A KR20100060740 A KR 20100060740A KR 20120000394 A KR20120000394 A KR 20120000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plugs
unit
vehicl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3914B1 (ko
Inventor
조붕구
Original Assignee
코막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막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막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9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5Hose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04G23/082Wrecking of buildings using shears, breakers, jaws and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퀵커플러의 플러그고정판 하부에 위치되고 차량의 프레임 전방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블록; 양측이 힌지축으로 한쌍의 지지블록에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회동시 소켓고정판을 플러그고정판 측으로 밀어서 소켓들을 플러그들 측으로 가압하는 회동링크; 차량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회동링크에 연결되어서 회동링크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전동부로 이루어지며; 암유니트 또는 로더유니트가 차량의 전방에 결합될 시 잔압에 의해 미결합된 다수의 소켓들 및 다수의 플러그들을 밀어서 결합시킨다.
따라서, 다수의 소켓들과 다수의 플러그들에 잔압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로더유니트나 암유니트가 차량의 전방 측에 결합된다 하더라도 회동링크의 가압력에 의해 소켓들이 플러그들에 완전히 결합되며 이에 따라 차량의 유압이 로더유니트나 암유니트에 확실하게 전달된다.

Description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Quick coupler a pressure device of environment removal 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에 로더유니트나 암유니트가 장착되면 다수의 소켓들이 다수의 플러그들에 한번에 결합되는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니 로더나 스키드 로더는 좁은 공간에서 힘든 일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서, 건물 내부에서의 철거작업, 도로정지작업, 제설작업, 견인작업, 또는 과수, 원예, 조경작업 등을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비이다. 이와 같은 미니 로더나 스키드 로더는 제자리에서 360° 회전이 가능하므로 좁은 공간에서 작업하는데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미니 로더나 스키드 로더는 차량의 전방에 붐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붐(boom)이 설치되고, 붐의 단부에 버켓어태치먼트나 브레이커어태치먼트가 설치되며, 버켓어태치먼트 또는 브레이커어태치먼트에는 버켓이나 브레이커가 설치되어 있다. 붐과 버켓어태치먼트, 브레이커어태치먼트에는 유압실린더가 설치되어서 이들을 일정한 각도로 회동되도록 한다.
상술한 종래의 미니 로더나 스키드 로더는 건물 내부에서 철거작업을 수행하면서 내부 구조물을 브레이커로 파쇄하거나 파쇄된 구조물을 버켓에 담아 이동 및 상차시키는 작업을 한다.
현재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도심권 빌딩의 개보수 작업에는 협소한 공간 안에서 원활히 작업할 수 있도록 사람이 드나드는 문을 통과할 수 있는 좁은 폭의 미니굴삭기와 소형 스키드로더가 한 조를 이루어 철거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미니굴삭기에는 콘크리트 파쇄용 브레이커 또는 크라샤를 부착하여서 건축물의 파쇄작업이 수행되도록 하고, 파쇄작업을 마친 후에 스키드로더의 버켓을 이용하여서 폐기물을 덤프트럭에 상차하는 일련의 작업이 진행 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작업 진행의 문제점은 미니굴삭기의 파쇄작업 시간에는 스키드로더가 대기 상태로 있으며, 반대로 스키드로더의 버켓 작업시에는 미니굴삭기가 대기 상태로 있어야 하므로 고가의 수입 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두대 중 한대는 대기상태에 있어야 하므로 운용 효율성이 50% 이하로 낮은 상황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건물 철거 공사용 중장비(건설장비)를 구비할 경우, 상이한 두 기종, 즉 고가의 굴삭기와 스키드로더를 항상 보유해야 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발생되고, 업체마다 두 대를 한 조씩 구비해야 하므로 장비의 과잉 공급에 따른 외화의 낭비가 초래되며, 중장비의 폐기시 환경을 파괴하는 폐유압부품이 다량으로 발생하므로 환경오염의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미니굴삭기나 스키드로더에는 브레이커 설치용 어태치먼트나 버켓 설치용 어태치먼트가 각각 설치되어서 이에 브레이커나 버켓이 각각 설치되는데, 두 장비의 어태치먼트는 상호 호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건물해체 작업을 위해 브레이커 작업과 버켓 작업이 필요한 경우, 반드시 미니굴삭기와 스키드로더가 각각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하나의 중장비만으로 브레이커와 버켓을 교체하여서 사용하므로 중장비의 보유대수를 크게 줄이면서 작업의 효율성은 저하되지 않도록 한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출원번호 제10-2009-33050호)를 개발한 바 있다.
이는, 후방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장비를 구동시키도록 컨트롤부가 설치되어 있고, 전방에 건물 해체용 장비가 착탈되도록 착탈부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 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철거작업용 장비가 안착되는 안착부로 이루어지며, 차량이 대응방향으로 전진되면 차량의 전방 내측으로 삽입되고 차량이 후진되면 차량의 전방측과 분리되는 대차; 대차의 안착부에 안착되고 대차가 차량의 전방측으로 삽입되면 차량의 착탈부에 안착되는 고정대와, 고정대에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붐과, 붐과 고정대에 설치되어서 붐을 구동시키는 붐실린더와, 붐의 일단에 구비되는 버켓어태치먼트와, 버켓어태치먼트에 결합되는 버켓과, 붐과 버켓어태치먼트에 설치되어서 버켓을 회동시키는 버켓실린더로 이루어진 로더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는, 한 대의 차량과 대차를 이용하여서 버켓이 설치된 로더유니트와 브레이커가 설치된 암유니트를 차량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착탈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고가의 중장비 구입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는, 차량에 로더유니트나 암유니트를 결합시킨 후 차량의 유압장치에서 발생된 유압이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에 전달되어서 이들이 작동되도록 도 1과 같은 퀵커플러를 접속시켜야 한다. 즉, 퀵커플러의 플러그(1)를 소켓(2)에 끼워서 서로 연결해야만 차량의 유압장치로부터 발생된 유압이 로더유니트의 유압실린더들 또는 암유니트의 유압실린더들에 전달된다.
그런데 로더유니트나 암유니트에는 복수의 유압실린더들이 구비되어 있고, 이 유압실린더들에는 다수의 유압라인들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는 차량에 로더유니트나 암유니트가 장착될 때마다 플러그(1)들 및 소켓(2)들로 이루어진 다수의 퀵커플러들을 일일이 분리시키고 접속시켜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잡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특허출원 제10-2009-0042414호)를 개발하여 출원한 바 있다.
이와 같은 퀵커플러는, 차량의 전방에 한쌍이 고정되며 대응되는 내측면들에 가이드홈들이 형성된 고정블록들; 양단부가 고정블록들의 가이드홈들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플러그고정판; 플러그고정판들에 다수 설치되고 다수의 호스들에 의해 차량의 유압공급장치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이 분배되어서 전달되는 플러그들; 플러그고정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핀들; 플러그고정판에 대향되도록, 버켓이 설치된 로더유니트 또는 브레이커가 설치된 암유니트의 전방에 고정되는 소켓고정판; 플러그들의 삽입부들이 각각 삽입되도록 소켓고정판들에 다수 설치되고 유압공급장치로부터 전달된 유압을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에 전달하도록 다수의 유압호스들이 각각 연결되는 소켓들; 플러그고정판의 가이드핀이 삽입되도록 소켓고정판의 양측에 설치되고, 차량에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가 결합될 시 소켓들의 중심과 플러그들의 중심을 일치시켜서 다수의 플러그들의 삽입부들이 대응 소켓들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링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버켓이 설치된 로더유니트나 브레이커가 설치된 암유니트가 차량의 전방측에 결합되면 다수의 소켓들이 다수의 플러그들에 동시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로더유니트에 설치된 다수의 유압실린더들이나 암유니트에 설치된 다수의 유압실린더들이 차량의 유압공급장치에 한번에 연결된다.
그런데, 다수의 소켓들과 다수의 플러그들에 잔압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는 로더유니트나 암유니트가 차량의 전방 측에 결합된다 하더라도 소켓들과 플러그들이 완전히 결합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차량의 유압이 로더유니트나 암유니트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대차의 하부프레임 양측에는 바퀴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가이드판이 설치되어 있어서, 바퀴가 전진방향으로 회전될 시 대차에 안착된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가 차량의 전방 내측으로 진입되고 바퀴가 후진방향으로 회전될시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가 차량의 전방측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와 차량의 결합은 가이드판과 바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마찰력에 의한 결합력으로는 잔압이 남아 있는 다수의 소켓들 및 다수의 플러그들이 완전히 결합되도록 가압시키지 못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가 차량의 전방에 결합될 시 소켓들과 플러그들을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동링크와 소켓고정판 사이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동링크의 회동이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한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는, 차량의 전방에 한쌍이 고정되며 대응되는 내측면들에 가이드홈들이 형성된 고정블록들과, 양단부가 고정블록들의 가이드홈들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플러그고정판과, 플러그고정판들에 다수 설치되고 다수의 호스들에 의해 차량의 유압공급장치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이 분배되어서 전달되는 플러그들과, 플러그고정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핀들과, 플러그고정판에 대향되도록, 버켓이 설치된 로더유니트 또는 브레이커가 설치된 암유니트의 전방에 고정되는 소켓고정판과, 플러그들의 삽입부들이 각각 삽입되도록 소켓고정판들에 다수 설치되고 유압공급장치로부터 전달된 유압을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에 전달하도록 다수의 호스들이 각각 연결되는 소켓들과, 플러그고정판의 가이드핀이 삽입되도록 소켓고정판의 양측에 설치되고 차량에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가 결합될 시 소켓들의 중심과 플러그들의 중심을 일치시켜서 다수의 플러그들의 삽입부들이 대응 소켓들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링들로 이루어진 퀵커플러를 가압하여서, 소켓들과 플러그들을 접속시키는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에 있어서, 퀵커플러의 플러그고정판 하부에 위치되고 차량의 프레임 전방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블록; 양측이 힌지축으로 한쌍의 지지블록에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회동시 소켓고정판을 플러그고정판 측으로 밀어서 소켓들을 플러그들 측으로 가압하는 회동링크; 차량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회동링크에 연결되어서 회동링크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전동부로 이루어지며; 암유니트 또는 로더유니트가 차량의 전방에 결합될 시 잔압에 의해 미결합된 다수의 소켓들 및 다수의 플러그들을 밀어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의 다른 특징은, 회동링크는, 중앙 상부에 돌출되어 있고 양측면이 한쌍의 지지블록의 대응 내측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회동부와,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전동부에 결합핀으로 연결되어서 회동링크가 회동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결합부와,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회동링크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시 소켓고정판에 접촉되면서 소켓고정판을 플러그고정판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로 이루어지며, 회동링크의 양측에 무게경감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회동링크의 가압부에는, 소켓고정판에 접촉되도록 누름베어링이 베어링축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누름베어링의 외경이 가압부의 외경보다 더 크다.
본 발명의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전동부는, 가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가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 단부가 회동링크의 결합부에 결합핀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소켓고정판의 하부에는, 소켓고정판을 지지하도록 하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판에는 회동링크의 가압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될시 가압부의 양측면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이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 측으로 전진하여서 플러그고정판의 플러그들 및 소켓고정판의 소켓들이 결합되면 전동부인 가압실린더가 작동되어서 실린더로드가 전진되고 이에 따라 회동링크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서 가압부에 설치된 누름베어링이 소켓고정판을 플러그고정판 측으로 가압시킨다. 따라서 다수의 소켓들과 다수의 플러그들에 잔압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로더유니트나 암유니트가 차량의 전방 측에 결합된다 하더라도 회동링크의 가압력에 의해 소켓들이 플러그들에 완전히 결합되며 이에 따라 차량의 유압이 로더유니트나 암유니트에 확실하게 전달된다.
회동링크의 가압부에는, 소켓고정판에 접촉되도록 누름베어링이 베어링축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누름베어링의 외경이 가압부 둘레의 외경보다 더 크다. 따라서 회동링크의 가압부가 소켓고정판 측으로 회동되면 누름베어링이 소켓고정판에 접촉되며, 누름베어링이 소켓고정판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동링크가 더 회전되면 회동링크의 회전각도만큼 누름베어링이 소켓고정판 상에서 구르면서 소켓고정판을 가압한다. 그러므로 회동링크의 누름베어링과 소켓고정판 사이에 미끄럼접촉이 아니라 구름접촉이 이루어지므로 회동링크와 소켓고정판 사이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품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소켓고정판의 하부에는, 소켓고정판을 지지하도록 하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판에는 회동링크의 가압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될시 가압부의 양측면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링크가 회전될 시 가압부가 가이드홈의 내측으로 진입되어서 그 양측이 가이드홈에 의해 안내되며 이에 따라 회동링크의 가압부가 안정적으로 안내되면서 회동된다.
도 1은 종래의 퀵커플러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부분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2의 하부를 보인 저면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부분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하부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quick coupler)는 연결구를 말하는 것으로, 보통 호스를 이용하여 유체를 이동시킬 때 호스와 호스 사이의 연결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커플링 수단이다. 이러한 퀵커플러는 별도의 조립공구 없이도 간단히 호스들 사이를 연결시킬 수 있어 주로 유압설비에서 유압을 공급하는 배관들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는, 고정블록(10)들, 플러그고정판(14), 플러그(15)들, 가이드핀(17)들, 소켓고정판(18), 소켓(21)들, 가이드링(22)들로 이루어진다.
고정블록(10)은, 차량(3)의 전방에 한쌍이 고정되며 대응되는 내측면들에 가이드홈(11)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블록(10)들은 블록고정볼트(12)들에 의해 차량(3)의 전방에 각각 고정된다.
플러그고정판(14)은, 양단부가 고정블록(10)들의 가이드홈(11)들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고정블록(10)의 하단에는 고정판지지볼트(13)가 체결된다. 이 고정판지지볼트(13)는 플러그고정판(14)의 하단을 지지한다. 따라서 플러그고정판(14)은 고정블록(10)들의 가이드홈(11)들을 따라 삽입되면서 그 양측 하단이 고정판지지볼트(13)에 지지되면서 삽입이 정지된다.
플러그(15)들은, 플러그고정판(14)들에 수평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다. 이 플러그(15)들은 플러그고정판(14) 일측으로 삽입부(16)들이 돌출되어 있고, 플러그(15)들의 타측들에는 다수의 호스(7)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호스(7)들은 차량(3)의 유압공급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3)의 유압공급장치에서 발생되는 유압은 호스(7)들을 통해 분배된 후 플러그(15)들에 전달되며 후술할 소켓(21)들을 통해 로더유니트(미도시)의 유압실린더(미도시)들 또는 암유니트(5)의 유압실린더들에 공급된다.
가이드핀(17)은, 플러그고정판(14)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핀(17)들은, 그 단부들이 가이드링(22)의 내부로 삽입될 때에 가이드핀(17)들의 중심과 가이드링(22)들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단부측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태의 테이퍼면(17a)이 형성되어 있다.
소켓고정판(18)은, 플러그고정판(14)에 대향되도록, 버켓이 설치된 로더유니트 또는 브레이커가 설치된 암유니트(5)의 전방에 고정된다.
소켓(21)들은, 플러그(15)들의 삽입부(16)들이 각각 삽입되도록 소켓고정판(18)들에 다수 설치되고 유압공급장치로부터 전달된 유압을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5)에 전달하도록 다수의 호스(7)들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5)에는 다수의 유압실린더들이 설치되어 있고, 이 유압실린더들에는 호스(7)들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호스(7)들의 타단은 소켓(21)들에 연결된다. 따라서 플러그(15)들 및 소켓(21)들을 통해 호스(7)들로 전달된 유압은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5)를 구동시키도록 각각의 유압실린더들에 전달된다.
가이드링(22)은, 플러그고정판(14)의 가이드핀(17)이 삽입되도록 소켓고정판(18)의 양측에 설치되고, 차량(3)에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5)가 결합될 시 소켓(21)들의 중심과 플러그(15)들의 중심을 일치시켜서 다수의 플러그(15)들의 삽입부(16)들이 대응 소켓(21)들에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중, 플러그어셈블리는 차량(3)의 전방에 설치되고, 소켓어셈블리는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5)의 전방에 설치된다.
한편, 상술한 퀵커플러에는 본 발명의 특징인 가압장치가 설치되어서 암유니트(5) 또는 로더유니트가 차량(3)의 전방에 결합될 시 잔압에 의해 미결합된 다수의 소켓(21)들 및 다수의 플러그(15)들을 밀어서 결합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는, 지지블록(30), 회동링크(32), 전동부(40)로 이루어진다.
지지블록(30)은, 퀵커플러의 플러그고정판(14) 하부에 위치되고 차량(3)의 프레임(4) 전방에 한쌍이 설치된다. 이 지지블록(30)들은 블록고정볼트(31)들에 의해 프레임(4)에 고정된다.
회동링크(32)는, 양측이 힌지축(34)으로 한쌍의 지지블록(30)에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회동시 소켓고정판(18)을 플러그고정판(14) 측으로 밀어서 소켓(21)들을 플러그(15)들 측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회동링크(32)는, 회동부(33), 결합부(35), 가압부(37)로 이루어진다.
회동부(33)는, 회동링크(32)의 중앙 상부에 돌출되어 있고 양측면이 한쌍의 지지블록(30)의 대응 내측에 힌지축(34)으로 결합된다. 결합부(35)는, 회동링크(32)의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전동부(40)에 결합핀(36)으로 연결되어서 회동링크(32)가 회동부(33)의 힌지축(34)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가압부(37)는, 회동링크(32)의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회동링크(32)가 힌지축(34)을 중심으로 회동될 시 소켓고정판(18)에 접촉되면서 소켓고정판(18)을 플러그고정판(14) 측으로 가압한다. 회동링크(32)의 양측에는 무게경감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링크(32)의 가압부(37)에는, 소켓고정판(18)에 접촉되도록 누름베어링(39)이 베어링축(38)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 누름베어링(39)의 외경은 가압부(37)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링크(32)가 회전되어서 가압부(37)가 소켓고정판(18) 측으로 회전되면 누름베어링(39)의 외주면이 소켓고정판(18)에 접촉된다.
전동부(40)는, 차량(3)의 프레임(4)에 설치되고 회동링크(32)에 연결되어서 회동링크(32)가 힌지축(34)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전동부(40)는, 가압실린더(41)로 이루어진다. 이 가압실린더(41)의 실린더로드(42) 단부는 회동링크(32)의 결합부(35)에 결합핀(36)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가압실린더(41)의 구동시 회동링크(32)가 회동부(33)의 힌지축(34)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소켓고정판(18)을 플러그고정판(14) 측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퀵커플러 가압장치는, 암유니트(5) 또는 로더유니트가 차량(3)의 전방에 결합되면 소켓고정판(18)을 플러그고정판(14) 측으로 가압하므로 잔압에 의해 미결합된 다수의 소켓(21)들 및 다수의 플러그(15)들을 완전히 결합시킨다.
소켓고정판(18)의 하부에는, 소켓고정판(18)을 지지하도록 하판(19)이 구비되어 있다. 이 하판(19)에는 회동링크(32)의 가압부(37)가 힌지축(34)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될시 가압부(37)의 양측면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퀵커플러가 설치된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5)를 대차(6)에 안착시키고 본 발명의 퀵커플러가 설치된 차량(3)의 전방과 대차(6)의 전방을 대향시킨 후 차량(3)을 대차(6) 측으로 전진시키면 대차(6)가 차량(3)의 전방 측으로 진입되면서 대차(6)에 안착된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5)가 차량(3)에 결합된다.
여기서, 대차(6)의 구성, 대차(6)에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5)의 안착 상태, 차량(3)에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5)가 결합되는 과정은 본 출원인이 출원번호 제10-2009-33050호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차량(3)에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5)가 결합되기 시작하면 가이드링(22)들이 가이드핀(17)들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소켓(21)들의 중심과 플러그(15)들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게 된다. 차량(3)에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5)가 완전히 결합되면 다수의 소켓(21)들이 다수의 플러그(15)들에 삽입된다.
한편, 차량(3)에 암유니트(5)가 결합된 상태이더라도 플러그(15)들 및 소켓(21)들에 잔압이 남아 있는 상태라면 이들의 결합이 불완전한 상태이다.
본 발명의 퀵커플러 가압장치는 암유니트(5) 또는 로더유니트가 차량(3)의 전방에 결합되면 전동부(40)의 가압실린더(41)가 작동되어서 실린더로드(42)를 전진시켜서 회동링크(32)를 힌지축(34)을 중심으로 회동시킨다.
회동링크(32)가 회전되면 가압부(37)가 하판(19)의 가이드홈(20) 내측으로 진입되며, 누름베어링(39)이 소켓고정판(18)에 접촉된다. 회동링크(32)가 계속 회전되면 누름베어링(39)이 소켓고정판(18)을 플러그고정판(14) 측으로 계속 가압하므로 잔압에 의해 미결합된 다수의 소켓(21)들 및 다수의 플러그(15)들을 완전히 결합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차량(3)이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5) 측으로 전진하여서 플러그고정판(14)의 플러그(15)들 및 소켓고정판(18)의 소켓(21)들이 결합되면 전동부(40)인 가압실린더(41)가 작동되어서 실린더로드(42)가 전진되고 이에 따라 회동링크(32)가 힌지축(34)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서 가압부(37)에 설치된 누름베어링(39)이 소켓고정판(18)을 플러그고정판(14) 측으로 가압시킨다.
따라서 다수의 소켓(21)들과 다수의 플러그(15)들에 잔압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로더유니트나 암유니트(5)가 차량(3)의 전방 측에 결합된다 하더라도 회동링크(32)의 가압력에 의해 소켓(21)들이 플러그(15)들에 완전히 결합되며 이에 따라 차량(3)의 유압이 로더유니트나 암유니트(5)에 확실하게 전달된다.
둘째, 회동링크(32)의 가압부(37)에는, 소켓고정판(18)에 접촉되도록 누름베어링(39)이 베어링축(38)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누름베어링(39)의 외경이 가압부(37) 둘레의 외경보다 더 크다.
따라서 회동링크(32)의 가압부(37)가 소켓고정판(18) 측으로 회동되면 누름베어링(39)이 소켓고정판(18)에 접촉되며, 누름베어링(39)이 소켓고정판(18)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동링크(32)가 더 회전되면 회동링크(32)의 회전각도만큼 누름베어링(39)이 소켓고정판(18) 상에서 구르면서 소켓고정판(18)을 가압한다.
그러므로 회동링크(32)의 누름베어링(39)과 소켓고정판(18) 사이에 미끄럼접촉이 아니라 구름접촉이 이루어지므로 회동링크(32)와 소켓고정판(18) 사이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품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소켓고정판(18)의 하부에는, 소켓고정판(18)을 지지하도록 하판(19)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판(19)에는 회동링크(32)의 가압부(37)가 힌지축(34)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될시 가압부(37)의 양측면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홈(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링크(32)가 회전될 시 가압부(37)가 가이드홈(20)의 내측으로 진입되어서 그 양측이 가이드홈(20)에 의해 안내되며 이에 따라 회동링크(32)의 가압부(37)가 안정적으로 안내되면서 회동된다.
3 : 차량 4 : 프레임
5 : 암유니트 6 : 대차
7 : 호스 10 : 고정블록
11 : 가이드홈 12,31 : 블록고정볼트
13 : 고정판지지볼트 14 : 플러그고정판
15 : 플러그 16 : 삽입부
17 : 가이드핀 17a : 테이퍼면
18 : 소켓고정판 19 : 하판
20 : 가이드홈 21 : 소켓
22 : 가이드링 30 : 지지블록
32 : 회동링크 33 : 회동부
33a : 무게경감홈 34 : 힌지축
35 : 결합부 36 : 결합핀
37 : 가압부 38 : 베어링축
39 : 누름베어링 40 : 전동부
41 : 가압실린더 42 : 실린더로드

Claims (5)

  1. 차량의 전방에 한쌍이 고정되며 대응되는 내측면들에 가이드홈들이 형성된 고정블록들과, 양단부가 고정블록들의 가이드홈들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플러그고정판과, 플러그고정판들에 다수 설치되고 다수의 호스들에 의해 차량의 유압공급장치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이 분배되어서 전달되는 플러그들과, 플러그고정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핀들과, 플러그고정판에 대향되도록, 버켓이 설치된 로더유니트 또는 브레이커가 설치된 암유니트의 전방에 고정되는 소켓고정판과, 플러그들의 삽입부들이 각각 삽입되도록 소켓고정판들에 다수 설치되고 유압공급장치로부터 전달된 유압을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에 전달하도록 다수의 호스들이 각각 연결되는 소켓들과, 플러그고정판의 가이드핀이 삽입되도록 소켓고정판의 양측에 설치되고 차량에 로더유니트 또는 암유니트가 결합될 시 소켓들의 중심과 플러그들의 중심을 일치시켜서 다수의 플러그들의 삽입부들이 대응 소켓들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링들로 이루어진 퀵커플러를 가압하여서, 소켓들과 플러그들을 접속시키는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에 있어서,
    퀵커플러의 플러그고정판(14) 하부에 위치되고 차량(3)의 프레임(4) 전방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블록(30);
    양측이 힌지축(34)으로 한쌍의 지지블록(30)에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회동시 소켓고정판(18)을 플러그고정판(14) 측으로 밀어서 소켓(21)들을 플러그(15)들 측으로 가압하는 회동링크(32);
    차량(3)의 프레임(4)에 설치되고 회동링크(32)에 연결되어서 회동링크(32)가 힌지축(34)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전동부(40)로 이루어지며;
    암유니트(5) 또는 로더유니트가 차량(3)의 전방에 결합될 시 잔압에 의해 미결합된 다수의 소켓(21)들 및 다수의 플러그(15)들을 밀어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회동링크(32)는,
    중앙 상부에 돌출되어 있고 양측면이 한쌍의 지지블록(30)의 대응 내측에 힌지축(34)으로 결합되는 회동부(33)와,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전동부(40)에 결합핀(36)으로 연결되어서 회동링크(32)가 회동부(33)의 힌지축(34)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결합부(35)와,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회동링크(32)가 힌지축(34)을 중심으로 회동될 시 소켓고정판(18)에 접촉되면서 소켓고정판(18)을 플러그고정판(14)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37)로 이루어지며,
    회동링크(32)의 양측에 무게경감홈(3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회동링크(32)의 가압부(37)에는,
    소켓고정판(18)에 접촉되도록 누름베어링(39)이 베어링축(38)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누름베어링(39)의 외경이 가압부(37)의 외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전동부(40)는,
    가압실린더(41)로 이루어지며, 가압실린더(41)의 실린더로드(42) 단부가 회동링크(32)의 결합부(35)에 결합핀(36)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소켓고정판(18)의 하부에는,
    소켓고정판(18)을 지지하도록 하판(19)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판(19)에는 회동링크(32)의 가압부(37)가 힌지축(34)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될시 가압부(37)의 양측면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홈(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
KR1020100060740A 2010-06-25 2010-06-25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 KR101193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740A KR101193914B1 (ko) 2010-06-25 2010-06-25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740A KR101193914B1 (ko) 2010-06-25 2010-06-25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394A true KR20120000394A (ko) 2012-01-02
KR101193914B1 KR101193914B1 (ko) 2012-10-29

Family

ID=4560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740A KR101193914B1 (ko) 2010-06-25 2010-06-25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91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583A (ko) 2015-03-20 2016-09-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옵션장치용 제어회로
KR20160133221A (ko) 2015-05-12 2016-11-2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18164906A1 (en) * 2017-03-06 2018-09-13 Manitou Americas, Inc. Multi-position hydraulic coupling attachment
KR20200134627A (ko) * 2019-05-22 2020-12-02 손성국 굴삭기의 유압호스 자동 연결장치
KR102360704B1 (ko) * 2021-08-25 2022-02-08 유제록 중장비용 회전링크 연결장치의 유압포트 구조
KR102368581B1 (ko) * 2021-08-25 2022-02-25 유제록 중장비용 회전링크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955B1 (ko) * 2020-09-18 2021-03-11 유제록 중장비 또는 산업용 기계와 작업장치 연결 장치용 유압라인 자동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5554A1 (de) 1982-09-25 1984-03-29 Gewerkschaft Eisenhütte Westfalia, 4670 Lünen Steckkupplung fuer mehradrige hydraulische oder pneumatische kabel
JP5047552B2 (ja) 2006-07-12 2012-10-10 櫻護謨株式会社 結合金具の着脱装置
JP4713516B2 (ja) 2007-02-16 2011-06-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583A (ko) 2015-03-20 2016-09-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옵션장치용 제어회로
KR20160133221A (ko) 2015-05-12 2016-11-2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18164906A1 (en) * 2017-03-06 2018-09-13 Manitou Americas, Inc. Multi-position hydraulic coupling attachment
US11280065B2 (en) 2017-03-06 2022-03-22 Manitou Equipment America, Llc Multi-position hydraulic coupling attachment
KR20200134627A (ko) * 2019-05-22 2020-12-02 손성국 굴삭기의 유압호스 자동 연결장치
KR102360704B1 (ko) * 2021-08-25 2022-02-08 유제록 중장비용 회전링크 연결장치의 유압포트 구조
KR102368581B1 (ko) * 2021-08-25 2022-02-25 유제록 중장비용 회전링크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914B1 (ko)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914B1 (ko)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가압장치
US7121489B2 (en) Multiple tool attachment system
US6301811B1 (en) Coupler for a heavy-duty machine
US7954742B2 (en) Dual purpose adapter for a multiple tool attachment system
US87706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a milling drum assembly
CA2776146C (en) Multiple tool attachment system with universal body with grapple
EP2363338A1 (en) Work and industrial vehicle
US20170113166A1 (en) Filter System for Heavy-Duty Machine
KR101177741B1 (ko) 파쇄용 유압잭이 설치된 선도추진관을 이용한 관로 교체 방법
JP2021502516A (ja) 乗物側及び付属品側pto接続デバイス並びに2つのpto接続デバイスを有するpto接続機器
CN101892682B (zh) 装载机属具快换装置
KR20210007658A (ko) 회전 변환 멀티 링크
KR20100123274A (ko) 친환경 건물해체 작업용 건설장비의 퀵커플러
CN213619967U (zh) 一种可快速变换装载宽度的支架搬运车后车架
CN112141219B (zh) 一种可快速变换装载宽度的支架搬运车后车架及使用方法
CN213653436U (zh) 既有电气化营运铁路路肩人工挖孔桩便携式钢筋安装机具
US10934670B1 (en) Quick change chamber for milling machine
JP4191375B2 (ja) 元押装置
GB2619089A (en) Work machine system with machine power unit and interchangeable modular units
CN203793325U (zh) 一种多用途的压路机制动解除装置
US20080302584A1 (en) Drive shaft coupling and method, and equipment using same
JPS58204221A (ja) 杭打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