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363A - 사이드 조립체, 루프 조립체 및 이들을 구비한 경량화된 버스 차체 - Google Patents

사이드 조립체, 루프 조립체 및 이들을 구비한 경량화된 버스 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363A
KR20120000363A KR1020100060689A KR20100060689A KR20120000363A KR 20120000363 A KR20120000363 A KR 20120000363A KR 1020100060689 A KR1020100060689 A KR 1020100060689A KR 20100060689 A KR20100060689 A KR 20100060689A KR 20120000363 A KR20120000363 A KR 20120000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beam
bus body
assembly
bus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Priority to KR102010006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363A/ko
Publication of KR20120000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62D25/07Fixed roofs having water drainage or guide means integral with roof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8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light alloys, e.g.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0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사이드 조립체, 루프 조립체 및 이들을 구비한 경량화된 버스 차체가 개시된다. 버스 차체에 있어서, 버스의 측면을 이루는 사이드 조립체; 버스의 루프를 이루는 루프 조립체; 버스의 전면을 이루는 프런트 조립체; 및 버스의 후면을 이루는 리어 조립체를 포함하며, 사이드 조립체, 루프 조립체는 버스 차체의 외관을 이루는 알루미늄 압출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버스 차체는, 알루미늄 압출재의 재질적 특성과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보다 경량화된 버스 차체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이드 조립체, 루프 조립체 및 이들을 구비한 경량화된 버스 차체 {Side Assembly, Roof Assembly and Lightweight Bus Bod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이드 조립체, 루프 조립체 및 이들을 구비한 경량화된 버스 차체에 관한 것이다.
버스는 다수의 승객을 운송할 수 있는 차량으로, 그 차체는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의 외부를 둘러싸는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프레임은 차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통상 스틸(steel)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통상의 버스 차체는 스틸의 재질적 특징으로 인해, 큰 자중을 가져, 버스의 연료 절감을 저해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의 버스 차체는 프레임의 조립 후, 외부 패널을 설치하고, 그 내장재를 설치해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보다 경량화된 버스 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버스 차체의 측면을 이루는 사이드 조립체에 있어서, 버스 차체의 측면의 상단 모서리를 형성하는 상부크로스빔; 버스 차체의 측면의 중앙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중앙크로스빔; 버스 차체의 측면의 하단 모서리를 형성하는 하부크로스빔; 버스 차체의 창문의 위치에 상응하여 상부크로스빔, 중앙크로스빔 및 하부크로스빔에 대하여 수직하여 배치되는 윈도우필러; 및 버스 차체의 도어의 위치에 상응하여 상부크로스빔, 중앙크로스빔 및 하부크로스빔에 대하여 수직하여 배치되는 도어필러를 포함하며, 상부크로스빔, 중앙크로스빔, 하부크로스빔, 윈도우필러 및 도어필러는 버스 차체의 측면의 외관을 이루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버스 차체의 사이드 조립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부크로스빔, 중앙크로스빔 및 하부크로스빔은 내부에 중공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부에는 상부크로스빔, 중앙크로스빔 및 하부크로스빔의 강성이 증가되도록 복수의 리브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윈도우필러는 상부크로스빔, 중앙크로스빔 및 하부크로스빔과 윈도우필러의 양측에 결합되는 코너앵글과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버스 차체의 루프를 이루는 루프 조립체에 있어서, 루프프레임; 및 루프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루프 패널을 포함하며, 루프프레임과 루프 패널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버스 차체의 루프 조립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알루미늄 압출재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부에는 루프프레임의 강성이 증가되도록 복수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경량화된 버스 차체에 있어서, 버스의 측면을 이루는 사이드 조립체; 버스의 루프를 이루는 루프 조립체; 버스의 전면을 이루는 프런트 조립체; 및 버스의 후면을 이루는 리어 조립체를 포함하며, 사이드 조립체, 루프 조립체는 버스 차체의 외관을 이루는 알루미늄 압출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량화된 버스 차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사이드 조립체는 버스 차체의 측면의 상단 모서리를 형성하는 상부크로스빔; 버스 차체의 측면의 중앙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중앙크로스빔; 버스 차체의 측면의 하단 모서리를 형성하는 하부크로스빔; 버스 차체의 창문의 위치에 상응하여 상부크로스빔, 중앙크로스빔 및 하부크로스빔에 대하여 수직하여 배치되는 윈도우필러; 및 버스 차체의 도어의 위치에 상응하여 상부크로스빔, 중앙크로스빔 및 하부크로스빔에 대하여 수직하여 배치되는 도어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루프 조립체는 루프프레임; 및 루프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루프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루프 패널에는 강성이 증가되도록 복수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알루미늄 압출재의 재질적 특성과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보다 경량화된 버스 차체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를 포함한 버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의 루프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의 루프 조립체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의 루프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의 사이드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의 사이드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의 사이드 조립체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의 사이드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의 프런트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의 리어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를 포함한 버스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의 내장재를 포함한 루프 조립체는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의 내장재를 포함한 사이드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를 포함한 버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도 17의 B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20은 도 17의 C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도 17의 D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22는 도 17의 E부분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를 포함한 버스(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10)는 버스 차체(1000)와 하부 차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차체(20)는 버스(10)의 하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버스(10)를 구동시키는 엔진과 그 동력을 전달하는 변속기 및 버스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퀴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버스 차체(1000)는 버스(10)의 상부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외적으로는 버스의 외관을 이루며, 내적으로는 승객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는 루프 조립체(300), 사이드 조립체(400), 프런트 조립체(100) 및 리어 조립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를 이루는 각각의 조립체는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를 지지하는 별도의 프레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그 자체가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면서 동시에 버스(1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의 루프 조립체(3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조립체(300)는 루프 프레임(320)과 루프 패널(310)을 포함할 수 있다.
루프 프레임(320)은 루프 조립체(300)의 뼈대를 이루는 부분으로, 루프 조립체(300)를 구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루프 패널(310)은 루프 조립체(30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으로 루프 프레임(320)의 상면을 커버하는 패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루프 프레임(320)과 루프 패널(310)은 모두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져 루프 조립체(30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루프 프레임(320)은 알루미늄 압출재가 서로 직교하여 결합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알루미늄 압출재는 내부식성이 뛰어나며, 길이 방향으로 형상 설계가 자유로워, 루프 프레임(320)과 루프 패널(310)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의 루프 조립체(300)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프레임(320)은 서로 직교하여 결합되는 알루미늄 압출빔(322, 3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서로 직교하는 알루미늄 압출빔(322, 324)은 그 접합부가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서로 직교하는 알루미늄 압출빔(322, 324) 사이에 개재되는 코너앵글(326)과 볼트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루프 조립체(300)의 구조적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의 루프 조립체(3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압출빔(322, 324)의 내부에는 중공부(328)가 형성되며, 이 중공부(328)에는 알루미늄 압출빔(322, 324)의 내측을 향해 복수의 리브(329)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루프 조립체(300)는 그 소재의 특성과 더불어, 그 내부의 중공구조를 통해 루프 조립체(30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중공부(328) 내부의 리브 (329)구조를 이용하여, 그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켜, 루프 조립체(30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의 사이드 조립체(4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의 사이드 조립체(4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조립체(400)는 버스 차체(1000)의 측면을 이루는 부분으로, 상부크로스빔(410), 중앙크로스빔(420), 하부크로스빔(430), 윈도우 필러(440) 및 도어필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크로스빔(410)은 버스 차체(1000)의 측면의 상단 모서리를 이루는 부분으로, 사이드 조립체(400)의 상측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중앙크로스빔(420)은 버스 차체(1000)의 측면의 중앙을 이루는 부분으로 버스 차체(1000)의 측면의 중앙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크로스빔(430)은 버스 차체(1000)의 측면의 하단 모서리를 이루는 부분으로, 버스 차체(1000)의 측면의 하단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필러(440)는 버스 차체(1000)의 창문(402)의 위치에 상응하여 상부크로스빔(410), 중앙크로스빔(420) 및 하부크로스빔(430)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윈도우 필러(440)는 상술한 상부크로스빔(410) 및 중앙크로스빔(420)과 함께 창틀을 형성할 수 있다.
윈도우 필러(440)는 상부 윈도우 필러(440)와 하부 윈도우 필러(4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윈도우 필러(440)는 중앙크로스빔(42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크로스빔(410) 및 중앙크로스빔(420)과 함께 창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부 윈도우 필러(440)는 상부 윈도우 필러(440)의 하측의 중앙크로스빔(420)과 하부크로스빔(430)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어필러(450)는 버스 차체(1000)의 도어(404)의 위치에 상응하여 상부크로스빔(410), 중앙크로스빔(420) 및 하부크로스빔(430)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도어필러(450)는 상술한 상부크로스빔(410) 및 하부크로스빔(430)과 함께 문틀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조립체(400)의 하측에는 외장 패널(462)이 결합될 수 있다. 외장 패널(462)은 창문(402)과 도어(404)가 형성되지 않는 사이드 조립체(400)의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크로스빔(410), 중앙크로스빔(420) 및 하부크로스빔(430)은 윈도우 필러(440) 및 도어필러(450)와 함께 서로 직교하여 배치되고, 이들이 각각 접하는 부분에는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코너앵글(470)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되어, 이들 간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의 사이드 조립체(400)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크로스빔(430)과 윈도우 필러(440)가 접하는 부분의 양측에는 코너앵글(470)이 결합되어, 이들 간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의 사이드 조립체(4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크로스빔(410), 중앙크로스빔(420) 및 하부크로스빔(430)의 내부에는 중공부(412, 422, 4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중공부(412, 422, 432)에는 복수의 리브(414, 424, 434)가 형성되어, 각각의 경량화와 함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패널(462)의 내측에도 복수의 리브(464)가 형성되어, 외장 패널(462)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의 루프 조립체(300)와 사이드 조립체(400)는 모두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져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버스 차체(100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리브(312, 464) 구조를 이용하여 그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사이드 조립체(400)와 루프 조립체(300)로 이루어지는 버스 차체(1000)는 각각의 조립체가 버스 차체(10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체이면서 동시에, 각각의 조립체를 이루고 있는 부재가 버스(10)의 외관을 이루고 있어,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를 지지하는 별도의 프레임 구조를 생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의 프런트 조립체(1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의 리어 조립체(2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조립체(100)는 프런트 프레임(110)과 프런트캡(15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프레임(110)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전면에는 프런트캡(150)이 결합될 수 있다. 프런트캡(150)은 프런트 조립체(100)의 외관을 이루며, 예를 들어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조립체(200)도 리어 프레임(210)과 리어캡(250)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프레임(210)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질 수 있으며, 그 전면에는 예를 들어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리어캡(25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를 포함한 버스(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10)는 내장재(22)가 결합된 하부 차체(20)와 버스 차체(1000)가 결합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이 때,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를 이루는 각각의 조립체는 모듈화되어 조립된 후, 최종적으로 조립됨으로써, 버스(10)의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의 내장재를 포함한 루프 조립체(300)는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조립체(300)는 루프 프레임(320)과 루프 패널(310)뿐만 아니라, 절연재(insulation, 352)와 내장판(354)을 포함하는 내장재(350)를 더 포함함으로써,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 조립을 위해 모듈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의 내장재를 포함한 사이드 조립체(4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조립체(400)는, 상부크로스빔(410), 중앙크로스빔(420), 하부크로스빔(430), 외장 패널(462)뿐만 아니라, 절연재(492), 내장판(494)을 포함하는 내장재(490)와 도어(484) 및 유리(482)를 포함하여 조립될 수 있다. 이렇게 조립된 사이드 조립체(400)는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의 측면을 이루는 완성된 조립체로서,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 조립을 위해 모듈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를 포함한 버스(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10)는 모듈화된 형태의 사이드 조립체(400), 루프 조립체(300), 프런트 조립체(100) 및 리어 조립체(200)를 포함하는 버스 차체(1000)와 하부 차체(20)가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조립체(400)의 하부크로스빔(430)과 도어필러(450)는 하부 차체(20)와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더불어 코너앵글(26)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9는 도 17의 B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도 17의 C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크로스빔(430)과 하부 차체(20)가 결합되는 부분도, 용접과 동시에 코너앵글(26)을 이용하여 결합됨으로써,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1은 도 17의 D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조립체(300)와 사이드 조립체(400)는 볼트(39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부가적으로 이들의 접합부에 용접을 수행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는 도 17의 E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조립체(100)와 사이드 조립체(400) 간의 결합도 볼트(190)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때, 부가적으로 이들의 접합부에 용접을 수행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루프 조립체(300), 사이드 조립체(400), 프런트 조립체(100) 및 리어 조립체(200)가 모두 내장재까지 조립된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 조립을 위해 모듈화된 형태로 조립된 후, 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를 조립함으로써, 경량화된 버스 차체(1000)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 예 외의 많은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0: 프런트 조립체 200: 리어 조립체
300: 루프 조립체 400: 사이드 조립체
1000: 경량화된 버스 차체

Claims (11)

  1. 버스 차체의 측면을 이루는 사이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버스 차체의 측면의 상단 모서리를 형성하는 상부크로스빔;
    상기 버스 차체의 측면의 중앙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중앙크로스빔;
    상기 버스 차체의 측면의 하단 모서리를 형성하는 하부크로스빔;
    상기 버스 차체의 창문의 위치에 상응하여 상기 상부크로스빔, 상기 중앙크로스빔 및 상기 하부크로스빔에 대하여 수직하여 배치되는 윈도우필러; 및
    상기 버스 차체의 도어의 위치에 상응하여 상기 상부크로스빔, 상기 중앙크로스빔 및 상기 하부크로스빔에 대하여 수직하여 배치되는 도어필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크로스빔, 상기 중앙크로스빔, 상기 하부크로스빔, 상기 윈도우필러 및 상기 도어필러는 상기 버스 차체의 측면의 외관을 이루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버스 차체의 사이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크로스빔, 상기 중앙크로스빔 및 상기 하부크로스빔은 내부에 중공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차체의 사이드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상부크로스빔, 상기 중앙크로스빔 및 상기 하부크로스빔의 강성이 증가되도록 복수의 리브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차체의 사이드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필러는
    상기 상부크로스빔, 상기 중앙크로스빔 및 상기 하부크로스빔과 상기 윈도우필러의 양측에 결합되는 코너앵글과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차체의 사이드 조립체.
  5. 버스 차체의 루프를 이루는 루프 조립체에 있어서,
    루프프레임; 및
    상기 루프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루프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루프프레임과 상기 루프 패널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버스 차체의 루프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프레임은 상기 알루미늄 압출재가 서로 직교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차체의 루프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압출재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루프프레임의 강성이 증가되도록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는 버스 차체의 루프 조립체.
  8. 버스 차체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측면을 이루는 사이드 조립체;
    상기 버스의 루프를 이루는 루프 조립체;
    상기 버스의 전면을 이루는 프런트 조립체; 및
    상기 버스의 후면을 이루는 리어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조립체, 상기 루프 조립체는 상기 버스 차체의 외관을 이루는 알루미늄 압출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량화된 버스 차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조립체는
    상기 버스 차체의 측면의 상단 모서리를 형성하는 상부크로스빔;
    상기 버스 차체의 측면의 중앙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중앙크로스빔;
    상기 버스 차체의 측면의 하단 모서리를 형성하는 하부크로스빔;
    상기 버스 차체의 창문의 위치에 상응하여 상기 상부크로스빔, 상기 중앙크로스빔 및 상기 하부크로스빔에 대하여 수직하여 배치되는 윈도우필러; 및
    상기 버스 차체의 도어의 위치에 상응하여 상기 상부크로스빔, 상기 중앙크로스빔 및 상기 하부크로스빔에 대하여 수직하여 배치되는 도어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된 버스 차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조립체는
    루프프레임; 및
    상기 루프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루프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된 버스 차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패널에는 강성을 증가되도록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화된 버스 차체



KR1020100060689A 2010-06-25 2010-06-25 사이드 조립체, 루프 조립체 및 이들을 구비한 경량화된 버스 차체 KR20120000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689A KR20120000363A (ko) 2010-06-25 2010-06-25 사이드 조립체, 루프 조립체 및 이들을 구비한 경량화된 버스 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689A KR20120000363A (ko) 2010-06-25 2010-06-25 사이드 조립체, 루프 조립체 및 이들을 구비한 경량화된 버스 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363A true KR20120000363A (ko) 2012-01-02

Family

ID=45608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689A KR20120000363A (ko) 2010-06-25 2010-06-25 사이드 조립체, 루프 조립체 및 이들을 구비한 경량화된 버스 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3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8693A (zh) * 2017-11-14 2018-02-27 辽宁忠旺特种车辆制造有限公司 一种车身结构的前围总成
US10279850B2 (en) 2016-11-22 2019-05-07 Hyundai Motor Company Side structure of b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9850B2 (en) 2016-11-22 2019-05-07 Hyundai Motor Company Side structure of bus
CN107738693A (zh) * 2017-11-14 2018-02-27 辽宁忠旺特种车辆制造有限公司 一种车身结构的前围总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4208B2 (ja) 車体の前部構造
CN102991584B (zh) 车辆的前部本体结构
US6773057B2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CN203888884U (zh) 车辆框架
CN105745138A (zh) 车身上部构造
CN215851491U (zh) 双环后部车身结构
JP2014091462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2008155699A (ja) 車体骨格構造
WO2017202229A1 (zh) 高刚性车身框架
KR20150002792A (ko) 철도 차량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철도 차량
CN103935402A (zh) 一种汽车前围
JP2010111169A (ja) 車体前部構造
JP5686586B2 (ja) 自動車用車体骨格における補強構造
KR20120000363A (ko) 사이드 조립체, 루프 조립체 및 이들을 구비한 경량화된 버스 차체
KR20200011750A (ko) 차량의 리어 쿼터부 보강구조
JP2013203111A (ja) 車体構造
KR101046171B1 (ko) 사이드 실 유닛용 벌크 헤드
JP2008230421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KR20140030445A (ko) 자동차의 리어 필러 장치
JP5974418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CN105923054B (zh) 一种天窗总成与车身的连接结构
CN213228866U (zh) 底盘横梁总成、底盘支架及车辆
JP5344124B2 (ja) 自動車車体の製造方法
JP6362009B2 (ja) 車体後部構造
JP2004338419A (ja) 車両骨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