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226U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226U
KR20120000226U KR2020100006973U KR20100006973U KR20120000226U KR 20120000226 U KR20120000226 U KR 20120000226U KR 2020100006973 U KR2020100006973 U KR 2020100006973U KR 20100006973 U KR20100006973 U KR 20100006973U KR 20120000226 U KR20120000226 U KR 201200002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ver member
air
pretreatmen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홍현진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6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226U/ko
Publication of KR201200002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2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와 같이 전처리 필터의 장탈착을 용이하게 하며, 전처리 필터가 제거될 때, 전처리 필터에 집진된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필터 고정 구조를 제공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에 설치되고, 복수의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필터를 고정하는 고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고정 구조는 고정되는 필터가 장탈착 시 집진된 먼지가 비산하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Description

공기 청정기{AIR CLEANER}
본 고안은 공기 청정기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전방에 설치되며 필터 프레임을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 입자 등을 필터로 걸러내어, 흡입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킨다. 이와 같이 정화된 공기가 공기 청정기의 외부, 즉 실내로 다시 토출된다.
다시 말해,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주위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면서 공기 청정기가 설치된 주위 공기를 정화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주위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 장치와,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 입자 등을 걸러내는 필터들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 에는 종래의 필터 구조 및 이들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1)가 도시되어 있다.
공기 청정기(1)는 내부에 공기가 유입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송풍장치(2)를 내부에 구비하며, 송풍장치(2) 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 상에 필터(10, 20, 30)가 배치될 수 있도록 공기 청정기(1)는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필터(10, 20, 30)는 공기 청정기(1) 내부의 장착홈(4)에 장착되어 공기 청정기(1) 내부에 고정된다.
필터(10, 20, 30)는 프리 필터(prefilter, 10), 전처리 필터(20) 및 건강 맞춤형 필터(30)를 구비한다. 건강 맞춤형 필터(30) 후방에 탈취 필터 및 헤파 필터 등이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에는 전처리 필터(20)의 부착 상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서 보이듯이, 통상 부직포 계열의 재질로 제작되는 전처리 필터(20)는 건강 맞춤 필터(30)에 양면 테이프(21)로 부착되어 있다. 전처리 필터(20)는 필터에 먼지가 많이 쌓인 경우, 필터를 교환해 주어야 하는데, 도 2 와 같이 전처리 필터(20)가 양면 테이프(21)로 부착되는 경우 교체 혹은 탈착시 필터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테이프 강도로 인하여 필터가 파손,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전처리 필터(20)는 주로 부직포로 형성되며, 본격적인 공기의 필터링에 앞서서 중간크기의 먼지, 머리카락 및 애완동물의 털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며, 건강 맞춤형 필터(30) 및 헤파 필터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전처리 필터(20)가 건강 맞춤형 필터(30)에 양면 테이프(21)로 부착된 경우, 탈착 때 파손박리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해도, 탈착과정에서 집진된 먼지가 비산하게 되어 건강 맞춤형 필터(30)에 다량의 먼지가 유입될 우려가 있다.
또한, 양면 테이프(21)로 건강 맞춤형 필터(30)에 접착된 전처리 필터(20)는 탈착 그 자체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이 전처리 필터의 장탈착을 용이하게 하며, 전처리 필터가 제거될 때, 전처리 필터에 집진된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필터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크게는 전처리 필터뿐만 아니라 다른 필터에서도 동일하게 장탈착시에 집진된 먼지의 날림을 방지하여, 후방 필터를 보호하며, 사용자가 먼지가 많은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에 설치되고, 복수의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필터를 고정하는 고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고정 구조는 고정되는 필터가 장탈착 시 집진된 먼지가 비산하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는 커버 부재를 통하여 필터의 흔들림을 막아 집진 먼지의 비산을 막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후방 필터의 보호 및 사용자의 건강 및 환경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구조를 가지는 필터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필터 프레임;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도록 장착되는 제 1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구조에 고정되는 필터는 상기 필터 프레임과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 구조는 상기 필터 프레임의 외곽부 안쪽에 형성된 홈과 상기 커버 부재의 외곽 바깥쪽에 형성된 돌기부의 후크 결합으로 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고정 구조는 상기 필터 프레임과 상기 커버 부재의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홈과, 다른 한쪽에 형성된 돌기부의 슬라이딩 결합으로 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결합은 장탈착 시 제 2 필터가 흔들림 혹은 꺽임등을 받지 않게 해준다.
또한, 상기 고정 구조는 상기 필터 프레임의 외곽부 안쪽에 형성된 홈과, 상기 커버 부재의 외곽 바깥쪽에 형성된 돌기부의 슬라이딩 결합으로 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고안은 필터들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의 장탈착, 특히 탈착에 있어서, 필터에 포집된 미세 먼지 등이 공기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후방 필터의 보호 뿐만이 아니라 필터를 교체하는 사용자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필터에 사용되는 필터 프레임을 활용함으로써, 구성의 간단성 뿐만 아니라, 구성 부품의 수를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에는 종래의 필터(10, 20, 30)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1)의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는 종래의 필터(20, 30)의 고정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조립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혹은 대응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종래의 기술과 중복되는 부분은 종래의 기술의 도면인 도 1 을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도면은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3 에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의 고안의 프리 필터 및 전처리 필터(110, 120)는 도 1 에서와 같이 송풍장치(2)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1) 내부의 홈(4) 혹은 대응 수단에 장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 프리 필터(110)는 외곽이 돌출되며, 필터(119)를 고정할 수 있는 필터 프레임(115)을 포함한다. 필터 프레임(115)의 외곽의 안쪽면 중 일면 혹은 대응되는 2면에 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리 필터(110)에는 전처리 필터(1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1)도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 부재(140)에는 상기 홈(112)에 대응되는 형상 혹은 홈(112)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의 돌기부(142) 및, 공기가 소통할 수 있으며, 전처리 필터(12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40)와 프리 필터(110) 사이에 부직포로 된 전처리 필터(120)가 위치하게 된다. 커버 부재(140)와 프리 필터(110)가 결합될 때, 프리 필터(110)의 필터 프레임(115) 내부에 전처리 필터(120)가 위치하게 된다.
도 4 에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프리 필터(110), 전처리 필터(120) 및 커버 부재(140)가 결합되었을 때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에서 보이듯이, 전처리 필터(120)는 프리 필터(110)와 커버 부재(140)의 사이에서 고정된다. 커버 부재(140)의 돌기부(142)는 프리 필터(110)의 필터 프레임(115)의 홈(112)에 들어맞도록 후크 결합하게 되며, 그로 인하여, 커버 부재(140)는 프리 필터(110)로부터 이탈이 방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부(142) 및 홈(112)는 한면 전체를 따라서 형성된 것이나, 돌기부(142)와 홈(112)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정도로도 충분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140)는 공기가 소통할 수 있도록 지지부(14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리 필터(110)의 필터(119)를 통과한 공기는 전처리 필터(120)를 통과하여 지나가게 되며, 커버 부재(140)는 이러한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 고정 구조는 커버 부재(140)와 프리 필터(110)의 필터 프레임(115)가 되며, 구체적으로 프리 필터(110)의 필터 프레임(115)의 홈(112)과 커버 부재(140)가 돌기부(142)가 후크 결합하여, 프리 필터(110)과 커버 부재(140) 사이에 전처리 필터(120)가 고정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도 3 및 도 4 에서는 프리 필터(110)의 필터 프레임(115)과 커버 부재(240)의 구성을 명확하게 보이도록 과장되어 있으나, 실제로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1 의 프리 필터(10)의 프레임(18)과 필터(19)의 비율 정도로 조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는 커버 부재(140)는 공기가 소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가 소통하는 영역은 프리 필터(110)의 필터(119)가 형성된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40)의 돌기부(142)가 형성된 면을 살짝 눌러줌으로 인하여, 돌기부(142)는 필터 프레임(115)의 홈(11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때, 커버 부재(140)와 전처리 필터(120)와는 어떠한 결합관계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커버 부재(140)의 이탈은 전처리 필터(120)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전처리 필터(120)는 프리 필터(110)와도 직접 결합관계를 가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커버 부재(140)가 제거되면, 전처리 필터(120)는 프리 필터(110)로부터 별다른 장탈 작업 없이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140)를 둠으로써, 전처리 필터(120)를 교환할 때, 전처리 필터(120)에 집진된 먼지가 비산할 가능성이 없으며, 교환작업도 용이하게 행하여 질 수 있다.
도 5 에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서 보이듯이, 프리 필터(210)는 외곽이 돌출되며, 필터(219)를 고정할 수 있는 필터 프레임(215)을 포함한다. 필터 프레임(215)의 외곽의 안쪽면 중 일면(213)은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면의 양측면에는 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리 필터(210)에는 전처리 필터(2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11)도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 부재(240)에는 상기 홈(212)에 대응되는 형상 혹은 홈(212)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연장된 돌기부(242) 및, 공기가 소통할 수 있으며, 전처리 필터(22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241)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에는 전처리 필터(220)가 지지부(241)에 안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전처리 필터(220)의 안정적인 안착을 위해 커버 부재(240)의 지지부(241)에 프리 필터의 프레임(18, 도 1 참고)와 같이 네트 형상의 리브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도 적용 가능하다.
커버 부재(240)와 프리 필터(210) 사이에 부직포로 된 전처리 필터(220)가 위치하게 된다. 커버 부재(240)와 프리 필터(210)가 결합될 때, 프리 필터(210)의 필터 프레임(215) 내부에 전처리 필터(220)가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는 커버 부재(240)는 공기가 소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가 소통하는 영역은 프리 필터(210)의 필터(219)가 형성된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시에는 커버 부재(240)의 돌기부(242)가 필터 프레임(215)의 홈으로 개방된 일면(213)을 통하여 슬라이딩 삽입되며, 분리시에는 반대로 개방된 일면(213)을 통하여 슬라이딩 장탈된다.
이때, 커버 부재(240)와 전처리 필터(220)와는 어떠한 결합관계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커버 부재(240)의 이탈은 전처리 필터(220)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전처리 필터(220)는 프리 필터(210)와도 직접 결합관계를 가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커버 부재(240)가 제거되면, 전처리 필터(220)는 프리 필터(210)로부터 별다른 장탈 작업 없이 이탈될 수 있다.
한편, 개방된 일면(213)에서는 개방된 일면(213)을 막는 별도의 부재가 필터 프레임(215)에 추가될 수도 있으며, 홈(212) 및 돌기부(242)의 형상 변경을 통하여 개방된 일면(213)을 통하여 커버 부재(240)이 흘러 나오는 것을 막을 수도 있으나, 스탠드형 타입에서 필터가 공기 청정기에 세워서 장착되는 경우 하면은 장착부에 의하여 막히거나, 개방된 일면(213)을 상측을 향하게 장착시키면 되므로, 별도의 부재가 없더라도 문제는 없다.
제 2 실시예에서, 고정 구조는 커버 부재(240)와 프리 필터(210)의 필터 프레임(215)가 되며, 구체적으로 프리 필터(210)의 필터 프레임(215)의 홈(212)과 커버 부재(240)가 돌기부(242)가 후크 결합하여, 프리 필터(210)와 커버 부재(240) 사이에 전처리 필터(220)가 고정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본 고안에서는 제 1 및 제 2 실시예로, 커버 부재(140, 240)와 필터 프레임(115, 215)이 후크 결합 혹은 슬라이딩 결합하는 고정 구조를 제시하고 있으나, 필터 프레임(115, 215)과 커버 부재(140, 240)가 전처리 필터(120, 220)를 고정하면서, 전처리 필터(120, 220)와는 직접적 결합관계를 가지지 않아, 장탈착시 집진된 먼지의 비산을 예방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른 구조를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10, 210: 프리 필터 111, 211: 지지부
112, 212: 홈 115, 215: 필터 프레임
119, 219: 필터 120, 220: 전처리 필터
140, 240: 커버 부재 141, 241: 지지부
142, 242: 돌기부

Claims (6)

  1.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에 설치되고, 복수의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필터를 고정하는 고정 구조를 가지며,
    상기 고정 구조는 고정되는 필터가 장탈착 시 집진된 먼지가 비산하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를 가지는 필터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필터 프레임;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도록 장착되는 제 1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구조에 고정되는 제 2 필터는 상기 필터 프레임과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는 상기 필터 프레임의 외곽부 안쪽에 형성된 홈과
    상기 커버 부재의 외곽 바깥쪽에 형성된 돌기부의 후크 결합으로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는 상기 필터 프레임과 상기 커버 부재의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홈과, 다른 한쪽에 형성된 돌기부의 슬라이딩 결합으로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는 상기 필터 프레임의 외곽부 안쪽에 형성된 홈과, 상기 커버 부재의 외곽 바깥쪽에 형성된 돌기부의 슬라이딩 결합으로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필터는 프리 필터이며,
    상기 고정되는 필터는 전처리 필터이며,
    상기 고정 구조는 상기 프리 필터의 필터 프레임과 상기 커버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2020100006973U 2010-06-30 2010-06-30 공기 청정기 KR201200002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973U KR20120000226U (ko) 2010-06-30 2010-06-30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973U KR20120000226U (ko) 2010-06-30 2010-06-30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226U true KR20120000226U (ko) 2012-01-05

Family

ID=5804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973U KR20120000226U (ko) 2010-06-30 2010-06-30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22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659Y1 (ko) * 2013-07-30 2014-01-06 (주)현성에이원 바이러스 감염 방지용 헤파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659Y1 (ko) * 2013-07-30 2014-01-06 (주)현성에이원 바이러스 감염 방지용 헤파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9346B1 (ko) 공기청정기
KR102108523B1 (ko) 공기청정기
KR101158576B1 (ko) 공기청정기
AU2010214775B2 (en) Vacuum filtration system
KR20190000599A (ko)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52512B1 (ko) 공기청정기
KR20110136394A (ko) 유모차용 공기정화장치
JP4019120B2 (ja) 空気清浄用フィルターユニット
KR20190001577A (ko) 선풍기용 공기 정화커버
KR20120000226U (ko) 공기 청정기
KR100670677B1 (ko) 공기정화기의 활성탄 필터장치
KR20100052375A (ko) 공기 청정기
KR101191410B1 (ko) 필터 장치
KR100564496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KR101964691B1 (ko) 자동차용 공기필터 결합구조
KR100972912B1 (ko) 기류 균배를 위한 공기필터의 구조
KR101938811B1 (ko) 선풍기용 공기 정화커버
JP2006289169A (ja) 空気清浄機
US20230381702A1 (en) Air purifier
KR20100052388A (ko) 필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JP2007029283A (ja) 空気清浄機
KR101076933B1 (ko) 공기청정기
KR20060112757A (ko) 공기청정기
JP5724901B2 (ja) 空気清浄機ユニット
KR20060112489A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