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388A - 필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필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388A
KR20100052388A KR1020090053484A KR20090053484A KR20100052388A KR 20100052388 A KR20100052388 A KR 20100052388A KR 1020090053484 A KR1020090053484 A KR 1020090053484A KR 20090053484 A KR20090053484 A KR 20090053484A KR 20100052388 A KR20100052388 A KR 20100052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filter case
case
parti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윤병수
송규완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52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이동하는 공기와 필터들이 장착되는 프레임과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 청정기가 개시된다.
상기한 공기 청정기는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이 설치되는 본체 하우징과,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필터와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필터부, 및 상기 송풍팬과 상기 필터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를 관통한 공기가 간섭없이 상기 송풍팬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칸막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와 상기 개구부 및 상기 송풍팬은 연이어서 배치될 수 있다.
다수개의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케이스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와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어 풍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필터 케이스가 본체 하우징에 결합구조에 의해 장착됨으로써 팬 그릴을 제거할 수 있어 팬 그릴에 의한 풍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필터 케이스가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 제1,2 필터 케이스로 이루어져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제1,2 필터 케이스를 운반함에 따라 필터 케이스의 운반이 보다 편리해질 수 있다.
공기 청정기, 필터 케이스, 팬 그릴

Description

필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AIR CLEANER HAVING FILTER CASE}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필터로 걸러내어, 흡입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킨다. 이와 같이 정화된 공기가 공기 청정기의 외부, 즉 실내로 다시 토출된다.
다시 말해,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주위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면서 공기 청정기가 설치된 주위 공기를 정화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주위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 장치와,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 입자 등을 걸러내는 필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필터들은 각각의 프레임에 장착되어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사용자들이 수명이 다한, 즉 교환주기가 지난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필터들이 장착된 각각의 프레임을 공기 청정기 내부에 형성된 홈에 단순히 삽입시켜 설치하는 구조를 채용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레임에 필터들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프레임이 이동하는 공기에 간섭을 일으킨다. 이로 인하여 풍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 필터들이 장착된 프레임을 단순히 홈에 삽입시켜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의 송풍 장치가 구동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가 필터를 교환하면 송풍 장치 측으로 손 등이 삽입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필터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필터를 가압하여 형상을 변형시킨 후, 공기 청정기에 형성된 홈에 삽입시켜 설치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필터를 교환하면, 송풍 장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필터를 교환하는 경우 필터를 가압 변형시켜 필터를 홈에 삽입하는 중 사용자의 손 등이 송풍 장치 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송풍 장치가 구동되고 있다면, 송풍 장치 측으로 삽입된 사용자의 손 등에 상처를 입을 수 있다. 즉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송풍 장치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 상에 팬 그릴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팬 그릴 때문에 풍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하는 공기와 필터들이 장착되는 프레임과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필터의 교환시 송풍팬 측으로 손 등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팬 그릴에 의한 풍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이 설치되는 본체 하우징과,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필터와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필터부, 및 상기 송풍팬과 상기 필터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를 관통한 공기가 간섭없이 상기 송풍팬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칸막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와, 상기 개구부, 및 상기 송풍팬은 연이어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는 내부면에 상기 다수개의 필터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장착되는 필터 장착부, 및 외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 부재와의 착탈을 위한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칸막이 부재에 장착되는 제1 필터케이스와, 상기 제1 필터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칸막이 부재에 장착되는 제2 필터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2 필터케이스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칸막이 부재에 장착시 상하 대칭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에는 헤파(HEPA) 필터와 탈취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나사체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 장착부는 상기 필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장착부와, 이동하는 공기의 풍량을 증대토록 상기 필터 케이스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장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케이스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와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어, 풍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 케이스가 본체 하우징에 결합구조에 의해 장착됨으로써 송풍팬 측으로 손 등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팬 그릴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팬 그릴에 의한 풍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필터 케이스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필터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장착되는 필터들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을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필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필터 케이스가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 제1,2 필터 케이스로 이루어져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제1,2 필터 케이스를 운반함에 따라 필터 케이스의 운반이 보다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대하여 설명하기 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다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케이스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필터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 청정기(100)는 일예로서, 본체 하우징(120), 필터부(140), 칸막이 부재(160)를 포함한다.
본체 하우징(120)은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 청정기(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 하우징(120)은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12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송풍팬(122)이 구동되어 본체 하우징(120)의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케이스에 필터들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케이스에 필터들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필터부(140)는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케이스(14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필터 케이스(142)에는 예를 들어 헤파(HEPA) 필터(152)와 탈취필터(154)가 장착될 수 있 다.
한편, 헤파 필터(152)와 탈취 필터(154)는 교환주기가 비슷하여 사용자가 헤파 필터(152)와 탈취필터(154)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필터 케이스(140)를 분리시켜 동시에 헤파 필터(152)와 탈취필터(154)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헤파 필터(152)와 탈취 필터(154)의 교환주기가 일치하므로 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헤파 필터(152)와 탈취 필터(154)가 장착된 필터 케이스(142) 전체를 교환하여 필터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필터 케이스(142)에 장착되는 필터가 헤파 필터와 탈취 필터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필터의 장착 갯수와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필터 케이스(142)에는 3개 이상의 필터가 장착될 수 있으며, 필터의 종류도 후처리 필터, 전처리 필터 등 다양한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케이스(142)는 일예로서, 필터 장착부(143)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필터 케이스(142)는 칸막이 부재(16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공의 액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케이스(142)는 칸막이 부재(16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부(142a)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142a)에는 칸막이 부재(160)와의 나사결합을 위해 나사홀(142b)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필터 케이스(142)는 칸막이 부재(160)에 나사결합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나사체결에 의해 필터 케이스(142)를 칸막이 부재(160)에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송풍팬(122)의 구동 시 필터의 교체를 위 해 손 등을 송풍팬(122) 측으로 삽입하는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필터의 교체를 위해 필터를 가압 변형시켜 홈 등에 삽입 장착할 필요가 없고, 송풍팬(122)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결합부(142a)에 나사를 체결, 분리하여 필터 케이스(142)를 칸막이 부재(160)로부터 착탈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 등이 송풍팬(122) 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 케이스(142)와 칸막이 부재(160)가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부(142a)는 후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 장착부(143)는 다수개의 필터, 예를 들어 헤파 필터(152)와 탈취 필터(154)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필터 케이스(142)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터 장착부(143)는 제1 장착부(144)와, 제2 장착부(14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장착부(144)는 다수개의 필터 중 어느 하나의 필터가 장착되도록 프레임(142)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착부(144)는 프레임(142)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장착부(144)에 장착되는 필터는 헤파 필터(152)일 수 있다.
한편, 제1 장착부(144)는 필터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144a)과 걸림돌기(144b)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헤파 필터(152)는 장착홈(144a)에 삽입 장착되며, 장착 후 걸림돌기(144b)에 의해 헤파 필터(152)는 장착홈(144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필터 케이스(142)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장착부(146)는 제1 장착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필터가 장착되도록 프레임(142)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장착부(146)는 프레임(142)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장착부(146)에 장착되는 필터는 탈취 필터(154)일 수 있다.
한편, 제2 장착부(146)는 제1 장착부(144)와 같이 필터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홈(146a)과 걸림돌기(146b)를 구비할 수 있으며, 탈취 필터(154)는 장착홈(146a)에 삽입 장착된 후 걸림돌기(146b)에 의해 장착홈(146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필터 케이스(142)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제1 장착부(144)에 장착되는 헤파 필터(152)는 전면이 걸림돌기(144b)에 접촉되나, 제2 장착부(146)에 장착되는 탈취 필터(154)는 후면이 걸림돌기(146b)에 접촉될 수 있다.
즉, 헤파 필터(152)와 탈취 필터(154)가 필터 케이스(142)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경우보다 이동하는 공기와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헤파 필터(152)와 탈취 필터(154)는 필터 케이스(142)에 구비되는 제1,2 장착부(144,146)에 장착되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므로 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헤파 필터(152)와 탈취 필터(154)는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므로, 헤파 필터(152)와 탈취 필터(154)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을 형성시킬 수 있어 필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헤파 필터(152)와 탈취 필터(154)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 므로, 헤파 필터(152)를 통과한 공기는 헤파 필터(152)와 탈취 필터(154) 사이 공간에서 분산된 후 탈취 필터(154)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청정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장착부(144)와 제2 장착부(146)가 장착홈과 걸림돌기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2 장착부는 필터를 필터 케이스(142)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도 채용 가능할 것이다.
칸막이 부재(160)는 송풍팬(122)과 필터부(140)의 사이에 배치되며, 필터부(140)를 관통한 공기가 간섭없이 송풍팬(122)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개구부(16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필터부(140)에 장착되는 필터(152,154)와, 개구부(162), 본체 하우징(120)에 구비되는 송풍팬(122)은 연이어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칸막이 부재(160)는 필터 케이스(142)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홀(164)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필터 케이스(142)를 칸막이 부재(160)에 착탈시키기 위하여 나사를 나사홀(142b,164)에 결합 또는 분리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필터의 교환시 사용자의 손 등이 개구부(162)를 관통하여 송풍팬(122) 측으로 삽입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 등이 송풍팬(122) 측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예를 들어 팬 그릴이 개구부(162)에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162)를 통과하는 공기는 간섭없이 송풍팬(122)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필터(152,154)와, 개구부(162), 및 송풍팬(122)이 연이어서 배치되므로, 필터부(140)의 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팬 그릴 등과 같은 다른 부재에 의한 간섭없이 송풍팬(122)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팬 그릴 등에 의한 풍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결국, 간섭없이 공기가 송풍팬(122) 측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풍량이 증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 청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케이스(142)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와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어 풍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필터 케이스(140)가 본체 하우징(120)에 결합구조에 의해 장착됨으로써 팬 그릴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팬 그릴에 의한 풍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케이스(142)에 장착되는 필터(152,154)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므로, 필터(152,154)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을 형성시켜 공기 청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실시예에서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200)의 본체 하우징(120), 필터 케이스(242)를 제외한 필터부(140), 및 칸막이 부재(160)은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필터 케이스(242)는 대용량, 즉 부피가 큰 공기 청정기(200)에 장착되는 대용량형 필터 케이스일 수 있다.
한편, 필터 케이스(242)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필터 케이스(246), 제2 필터케이스(248)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2 필터 케이스(246,248)는 상하 대칭되도록 칸막이 부재(16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 케이스(242)의 교체를 위해 필터 케이스(242)를 운반하여야 하는 경우 보다 용이하게 필터 케이스(242)를 운반할 수 있다. 즉, 대용량형 필터 케이스가 하나의 필터 케이스로 이루어진 경우 부피와 크기가 큰 필터 케이스를 운반하여야 하므로 운반시 불편이 따르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필터 케이스(242)가 분리된 형태(즉,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필터 케이스)로 이루어져, 필터 케이스(242)의 운반이 보다 편리해진다.
또한, 제1,2 필터 케이스(246,248)이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져 칸막이 부재(160)에 장착시 제1,2 필터 케이스(246,248)의 구분없이 장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제1,2 필터 케이스(246,248)를 칸막이 부재(160)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크기가 큰 하나의 필터 케이스를 제작하지 않고, 크기가 작은 제1,2 필터 케이스(246,248)을 제작할 수 있어 제작이 편리한 잇점이 있다.
더불어, 제1,2 필터 케이스(246,248)로 이루어져 있어 대형의 하나의 필터 케이스로 이루어진 경우보다 제1,2 필터 케이스(246,248)에 장착된 필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용량형 필터케이스 뿐만 아니라 이보다 크기가 작은 공기 청정기에 제1,2 필터 케이스(246,248) 하나만을 장착시킬 수 있어 부품의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 공기 청정기
120 : 본체 하우징
140 : 필터부
142,242 : 필터 케이스
160 : 칸막이 부재

Claims (6)

  1.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이 설치되는 본체 하우징;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필터와,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필터부; 및
    상기 송풍팬과 상기 필터 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를 관통한 공기가 간섭없이 상기 송풍팬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칸막이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와, 상기 개구부, 및 상기 송풍팬은 연이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내부면에 상기 다수개의 필터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장착되는 필터 장착부; 및
    외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 부재와의 착탈을 위한 결합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칸막이 부재에 장착되는 제1 필터케이스와, 상기 제1 필터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칸막이 부재에 장착되는 제2 필터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필터케이스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칸막이 부재에 장착시 상하 대칭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에는 헤파(HEPA) 필터와 탈취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나사체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 장착부는 상기 필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장착부와, 이동하는 공기의 풍량을 증대토록 상기 필터 케이스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장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090053484A 2008-11-10 2009-06-16 필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KR201000523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339 2008-11-10
KR20080111339 2008-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388A true KR20100052388A (ko) 2010-05-19

Family

ID=4227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484A KR20100052388A (ko) 2008-11-10 2009-06-16 필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23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067B1 (ko) * 2015-03-02 2016-07-05 백림화학주식회사 탈취장치
CN113483441A (zh) * 2021-06-21 2021-10-08 深圳市杰奇科技创新有限公司 一种自洁型空气净化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067B1 (ko) * 2015-03-02 2016-07-05 백림화학주식회사 탈취장치
CN113483441A (zh) * 2021-06-21 2021-10-08 深圳市杰奇科技创新有限公司 一种自洁型空气净化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454Y1 (ko) 휴대용 공기 청정기능을 갖는 송풍장치
KR20100052388A (ko) 필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CN214370764U (zh) 一种便携式空气净化器
JP2008029904A (ja) 空気清浄機
KR101856979B1 (ko) 공기 청정기
KR100733294B1 (ko) 공기 조화기의 필터 장착구조
KR20140073326A (ko) 공기 청정기
KR20100052375A (ko) 공기 청정기
CN214949531U (zh) 一种无尘净化车间的通风装置
KR200378995Y1 (ko) 멀티형 공기 청정기
CN212720014U (zh) 净化组件、室内机及空调器
KR101431750B1 (ko) 정화유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2007021397A (ja) 空気清浄機
CN214307472U (zh) 一种便于拆卸清洗的空气净化器
KR20040046451A (ko) 음이온 공기청정기
KR200305868Y1 (ko) 음이온 공기 청정 시스템
KR100580299B1 (ko) 공기청정기
CN216845100U (zh) 用于空气净化器的壳体组件及空气净化器
KR102154917B1 (ko)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 청정 장치
CN212108802U (zh) 管道式消毒杀菌净化模块
CN216448337U (zh) 一种医疗用消菌杀毒空气净化装置
CN219415193U (zh) 多风机隔断空气净化装置
KR20000016837U (ko) 슬림형 공기조화기
KR100610502B1 (ko) 공기청정필터
CN220750329U (zh) 滤网支架、滤网组件、新风模块和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