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410B1 - 필터 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410B1
KR101191410B1 KR1020080137151A KR20080137151A KR101191410B1 KR 101191410 B1 KR101191410 B1 KR 101191410B1 KR 1020080137151 A KR1020080137151 A KR 1020080137151A KR 20080137151 A KR20080137151 A KR 20080137151A KR 101191410 B1 KR101191410 B1 KR 101191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ounting member
mounting
locking
installa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8791A (ko
Inventor
김태훈
문광오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7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410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91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능을 갖는 제품의 본체 내에 설치되어 먼지 등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필터장치의 교환시 필터장치가 다른 부품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품의 본체 내에 설치되는 설치케이스; 상기 설치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부재; 상기 설치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되어 공기 중의 먼지나 불순물을 필터링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 및 상기 장착부재에 상기 필터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착탈부재를 포함하는 필터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80137151
필터, 장착, 프레임, 착탈

Description

필터 장치{FILTER APPARATUS}
본 발명은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청정기능을 갖는 제품에 설치되어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나 이물질 등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들은 주택, 사무실, 지하 공간 등의 실내 공간에서 하루 시간의 80%정도를 생활하고 있는데, 이처럼 실내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에게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은 일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 건강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인간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본인 스스로도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밀폐된 공간의 공기는 내실자의 호흡이나 흡연 등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악취 및 유해가스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어 내실자의 호흡에 지장을 주게 되며, 사람의 신체나 옷에서 발생하는 각종 먼지가 섞이게 되어 내실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키게 된다.
또한, 공기를 통하여 전파되는 감염성 미생물, 유기오염물질, 대기오염무질, 유해 악취 가스 등이 실내 공기에 포함되어 있으며, 인체에 축적되거나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면역성을 약화시키고, 만성 기관지염, 폐기능 손상 등을 발생시키는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되며, 생명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위협요인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공기에 함유된 먼지, 악취, 유해가스 등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능을 갖는 제품이 개발되거나, 실내에 사용하는 제품에 공기청정 기능을 추가하는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공기청정 기능이 추가된 제품에는 공기 중에 있는 먼지 등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집진, 살균 및 탈취하기 위한 필터장치가 기본으로 설치되고 있다.
상기 필터장치는 일정기간 사용 후 필터장치에 먼지 등 이물질이 쌓여서 막히게 되면 필터가 막혀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므로 교환해야만 한다.
상기 필터장치는 제품의 본체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필터장치는 입자가 큰 먼지 등을 걸러주는 필터부재와,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재와, 필터부재와 집진부재가 설치되는 설치케이스와, 본체 내에 구비되며 설치케이스가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터장치에서 필터부재와 집진부재가 설치케이스에 형성 된 공간부로 상부에서 슬라이딩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필터부재와 집진부재의 교환시 필터부재와 집진부재를 설치케이스의 상부에서 위로 빼내게 되면 본체 내의 다른 부품을 건드려 손상을 입히거나 필터부재와 집진부재에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필터부재의 착탈하는 구조를 변경하여 필터부재의 교환시 다른 부품을 건드리지 않도록 한 필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품의 본체 내에 설치되는 설치케이스와, 상기 설치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부재; 상기 설치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되어 공기 중의 먼지나 불순물을 필터링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 및 상기 장착부재에 상기 필터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착탈부재를 포함하는 필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장착부재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의 일단부가 걸리는 걸림부; 상기 필터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걸림부의 반대편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장착부재의 테두리 내측면에서 이격되어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내측면 사이에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재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턱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부재에는 상기 필터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구획하는 하나이상의 구획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부재에는 상기 필터를 상기 설치공간에 장착할 때 상기 필터를 가이드하여 안착하는 가이드 안착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청정기능을 갖는 제품의 본체 내에 설치되는 필터의 교환시 필터를 사용자의 전면으로 당겨서 착탈할 수 있어서, 착탈시 필터가 다른 부품에 부딪혀 필터에서 먼지 등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필터 교환으로 인하여 제품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 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에서 결합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에서 결합부를 분해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는 제품의 본체 내에 설치되는 설치케이스(100)와, 설치케이스(100)에 설치되는 집진부재(200)와, 설치케이스(10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장착부재(300)와, 장착부재(30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400) 및 필터(400)를 장착부재(3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착탈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케이스(100)는 제품의 본체 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설치케이스(100)는 그 단면이 "ㄷ"형상으로, 전후방으로 개구된 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설치케이스(100)의 가장자리에는 후술하는 집진부재(200)가 안착되는 안착부재(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케이스(100)의 양단부에는 본체 내측에 별도의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고정돌출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케이스(100)에는 집진부재(200)가 상측에서 가이드되어 설치되는 공간부가 마련된다.
상기 집진부재(200)는 외부전원에 연결되어,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먼지 등 과 같은 불순물을 집진하여 탈취, 살균하는 것으로, 설치케이스(100)의 상부에서 슬라이드로 끼워져 안착부재(110)에 설치된다.
즉, 상기 집진부재(200)는 양측에 가이드돌부(210)가 형성되어, 설치케이스(100)의 안착부재(110)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12)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장착부재(300)는 양측에 형성된 고정부재(302)로 설치케이스(100)의 양측에 고정되되, 집진부재(200)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장착부재(300)는 고정부재(302)로 설치케이스(1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고정되어 타측이 착탈되도록 된 구성이다.
상기 장착부재(300)는 테두리만 있는 일정한 모양의 틀로 형성되되, 필터(4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이상의 설치공간(3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장착부재(3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각 형상의 필터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장착부재(300)와 필터(400)의 형상은 원, 마름모,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상기 장착부재(300)에는 하나의 필터(400)가 장착되는 설치공간(310)을 구획하는 하나이상의 구획부재(320)가 형성된다. 상기 구획부재(320)는 장착부재(300)의 가운데부분을 가로질러 테두리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획부재(320)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구획부재(320)에 의해 구획된 설치공간(310)에 필터(400)가 장착되도록 필터(400)의 길이나 폭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300)에는 필터(400)가 장착될 때 필터(400)의 단부를 가이드하여 안착하는 가이드 안착부재(33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안착부재(330)는 테두리의 개구된 부분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필터(400)의 일단부를 가이드 안착부재(330)에 밀착시킨 상태로 밀어서 후술하는 착탈부재(500)로 장착부재(300)에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가이드 안착부재(330)는 도 2와 같이 필터(400)의 양단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테두리와 구획부재(320)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필터(400)는 제1프레임(410)과, 필터부재(420)와, 제2프레임(43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410)은 장착부재(300)에 형성된 설치공간(310)에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310)과 유사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되, 틀 형상으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412)가 사방으로 가로질러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제2프레임(430)은 제1프레임(410)의 틀에 필터부재(420)가 끼워진 후에, 제1프레임에 결합되어 필터부재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필터부재(420)는 공기 중의 함유된 불순물 중 비교적 입자가 큰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한 프리필터로 최근 공기청정기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는 것으로, 그 구조나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필터(400)에는 필터(400)를 장착부재(300)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때 필터(400)의 장착 및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440)가 형성된다.
상기 착탈부재(500)는 장착부재(300)의 일측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필 터(400)의 일단부가 걸리는 걸림부(510)와, 필터(40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홈(520)과, 걸림홈(520)에 선택적으로 걸림되고, 상기 장착부재(300)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걸림부재(530)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510)는 장착부재(300)의 테두리(310)중 일부가 "ㄴ"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필터(400)의 일단부가 걸리도록 된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걸림부재(530)는 걸림부(510)가 형성된 장착부재(300)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재(300)의 설치공간(310)에 안착되는 필터(400)의 타단부를 걸림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걸림부재(530)에는 필터(400)의 걸림홈(520)에 걸려서 장착부재(300)에 안착된 필터(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턱부(53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530)는 장착부재(300)의 테두리중 상기 걸림부(510)가 형성된 반대편의 테두리가 절개된 절개부(311)에 형성되되, 절개부(311)의 내측면(312)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즉, 걸림부재(500)는 테두리의 내측면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필터(400)를 장착부재(300)에 안착시키기 위해, 필터(400)를 장착부재(300)에 밀어 넣을 때, 걸림부재(530)의 턱부(531)가 필터(400)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뒤로 휘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311)의 내측면(312)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유동공간(540)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필터장치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설치케이스(100)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돌출부(120)를 별도의 체결부재로 본체 내에 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설치케이스(100)의 앞쪽 위까지 집진부재(200)의 하부를 올린 상태에서 안착부재(110)의 위쪽에서 집진부재(200)의 하부를 끼워서 집진부재(200)를 안착부재(110)에 조립한다.
즉, 집진부재(200)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돌부(210)를 설치케이스(100)의 안착부재(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2)에 끼워서 집진부재(200)를 설치케이스(100)에 조립하는 것이다.
상기 장착부재(3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512)를 설치케이스(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부재(514)에 힌지 고정하여 회동되도록 장착부재(300)를 설치케이스(100)에 설치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상기 장착부재(300)의 타측을 눌러 설치케이스(100)의 타측에 록킹시킨다.
이렇게 장착부재(300)가 설치케이스(100)에 록킹되면, 장착부재(300)의 설치공간(310)에 필터(400)를 설치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장착부재(300)를 설치케이스(100)에 설치하기 전에, 장착부재(300)에 필터(400)를 먼저 설치하고, 필터(400)가 설치된 장착부재(300)를 설치케이스(100)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에서 필터를 교환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착부재(300)에서 필터(4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는 필터(400)의 걸림홈(520)에 걸린 걸림부재(530)를 손가락으로 밀어 젖힌 상태에서 필터(400)의 손잡이부(440)를 잡고 사용자 앞으로 당기면서 필터(400)의 일측부를 먼저 분리한다.
그런 다음, 상기 장착부재(300)의 걸림부(510)에 끼워진 필터(400)의 타측부를 이탈시켜 필터(400)를 분리하는 것이다.
이렇게 필터(400)가 분리되면, 새로운 필터를 장착부재(300)의 설치공간(310)으로 안착시키기 위하여, 필터(400)의 타측부를 걸림부(510)에 끼워 걸리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필터(400)의 일단부를 걸림부재(510)가 형성된 장착부재(300)의 일측부로 밀어 넣으면, 필터(300)의 걸림홈(520)에 걸림부재(530)의 턱부(531)가 딸깍하고 걸리면서 필터(300)가 장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고정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고정부를 보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설치케이스 110 : 안착부재
112 : 가이드홈 120 : 고정돌출부
200 : 집진부재 210 : 가이드돌부
300 : 장착부재 310 : 설치공간
320 : 구획부재 330 ; 지지부재
400 : 필터 410 : 제1프레임
420 : 필터부재 430 : 제2프레임
500 : 착탈부재 510 : 걸림부
520 : 걸림홈 530 : 걸림부재

Claims (6)

  1. 제품의 본체 내에 설치되는 설치케이스;
    상기 설치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부재;
    상기 설치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되어 공기 중의 먼지나 불순물을 필터링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 및
    상기 장착부재에 상기 필터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착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설치케이스로부터 회동 가능하고, 탈착가능하게 일측에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타측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장착부재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의 일단부가 걸리는 걸림부;
    상기 필터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걸림부의 반대편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장착부재의 테두리 내측면에서 이격되어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내측면 사이에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턱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에는 상기 필터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구획하는 하나이상의 구획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에는 상기 필터를 상기 설치공간에 장착할 때 상기 필터를 가이드하여 안착하는 가이드 안착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KR1020080137151A 2008-12-30 2008-12-30 필터 장치 KR101191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151A KR101191410B1 (ko) 2008-12-30 2008-12-30 필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151A KR101191410B1 (ko) 2008-12-30 2008-12-30 필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791A KR20100078791A (ko) 2010-07-08
KR101191410B1 true KR101191410B1 (ko) 2012-10-16

Family

ID=42639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151A KR101191410B1 (ko) 2008-12-30 2008-12-30 필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4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611B1 (ko) * 2015-02-12 2019-12-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KR200492159Y1 (ko) * 2019-03-22 2020-08-28 주식회사 에어테크 창문틀 일체형 프레임을 구비한 탈부착식 초미세먼지 필터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295B1 (ko) * 2019-01-25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611B1 (ko) * 2015-02-12 2019-12-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KR200492159Y1 (ko) * 2019-03-22 2020-08-28 주식회사 에어테크 창문틀 일체형 프레임을 구비한 탈부착식 초미세먼지 필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791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20720A1 (en)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KR101158576B1 (ko) 공기청정기
KR101191410B1 (ko) 필터 장치
KR102046253B1 (ko)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WO2013051460A2 (ja) 空気清浄機
KR20110090266A (ko) 자동 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20070065136A (ko) 진공 청소기용 배기 필터
KR101191411B1 (ko) 필터장치
JP2007021397A (ja) 空気清浄機
KR102655745B1 (ko) 휴대 가능한 공기 청정 후드
US11198085B2 (en) Filter apparatus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WO2008065404A2 (en) Vacuum cleaner filter assembly
KR101988945B1 (ko) 제습형 공기 청정기
KR20050068045A (ko) 공기청정기
JP2007167777A (ja) 空気清浄機
JP2000325716A (ja) 空気清浄機
KR200436110Y1 (ko)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
KR200399420Y1 (ko) 침대 매트리스의 공기 청정장치
JPH11173611A (ja) 空気清浄機
JP2008093639A (ja) 空気清浄機
KR101926375B1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제습형 공기 청정기
KR100861231B1 (ko) 미세먼지 및 진드기 청소용 진공청소기 흡입노즐
KR200278932Y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 케이스 결합체
KR102154920B1 (ko)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 청정 장치
KR100219378B1 (ko) 공기 청정기를 갖는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