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496A -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496A
KR20110139496A KR1020100059617A KR20100059617A KR20110139496A KR 20110139496 A KR20110139496 A KR 20110139496A KR 1020100059617 A KR1020100059617 A KR 1020100059617A KR 20100059617 A KR20100059617 A KR 20100059617A KR 20110139496 A KR20110139496 A KR 20110139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capsule
impact tip
chronic
le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갑양
배원규
최재훈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59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9496A/ko
Publication of KR2011013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4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0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 A61B17/2201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in direct contact with, or very close to, the obstruction or con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76Material propertie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01Angioplasty, e.g. PC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0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 A61B17/2201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in direct contact with, or very close to, the obstruction or concrement
    • A61B2017/2202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in direct contact with, or very close to, the obstruction or concrement with a part reflecting mechanical vibrations, e.g. for focu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0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 A61B17/2201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in direct contact with, or very close to, the obstruction or concrement
    • A61B2017/22025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in direct contact with, or very close to, the obstruction or concrement applying a shock wa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혈관 내벽에 적층되어 혈관 내강을 폐쇄시키는 병변의 제거를 위하여, 단단한 병변의 표면에 균열을 생성하기 위한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무선 또는 유선으로 혈관 내에 삽입되는 캡슐형 케이스 전단 내부에 충격 팁을 구비하고, 케이스가 병변의 표면에 접하게 되는 경우, 케이스 내부의 충격 팁에 연결된 탄성수단을 동작시켜 충격 팁을 케이스 전방으로 가속, 토출하여 병변의 표면에 충돌시킴으로써, 병변의 단단한 표면을 파괴시켜 병변의 절삭을 용이하게 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혈관의 내강을 폐색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을 제거하기 위한 충격전달장치에 있어서, 캡슐 형상으로 전단부에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토출구 후방의 전단부 내부에는 충격 팁을 장전하기 위한 팁 장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팁 장전부에 장전되며, 상기 토출구를 통해 가속, 토출되어 병변의 표면을 타격하도록 구성된 충격 팁, 상기 충격 팁에 연결되어, 자체 탄성을 이용하여 충격 팁을 가속, 토출시키는 탄성수단, 상기 충격 팁의 토출을 제어하는 격발수단 및 상기 격발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A capsule-type striking apparatus for ablating vascular chronic total occlusion}
본 발명은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혈관 내벽에 적층되어 혈관 내강을 폐쇄시키는 병변의 제거를 위하여, 단단한 병변의 표면에 균열을 생성하기 위한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무선 또는 유선으로 혈관 내에 삽입되는 캡슐형 케이스 전단 내부에 충격 팁을 구비하고, 케이스가 병변의 표면에 접하게 되는 경우, 케이스 내부의 충격 팁에 연결된 탄성수단을 동작시켜 충격 팁을 케이스 전방으로 가속, 토출하여 병변의 표면에 충돌시킴으로써, 병변의 단단한 표면을 파괴시켜 병변의 절삭을 용이하게 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성완전협착은 혈관 내벽에 지질이 풍부한 콜레스테롤 등이 적층되어 혈관 내강이 폐쇄되는 질환이다.
만성완전협착 병변은 초기에는 다층의 지질과 혈전 복합체로 구성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콜라겐(Collagen) 및 프로테오글라이칸(Proteoglycans) 등으로 구성되는 섬유화된 조직(Fibrous tissue)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후, 병변은 내부에서 칼슘화(Calcification)가 진전되어 단단하게 응집되어 지고, 이로 인해 혈관 내강은 병변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어 혈류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만성완전협착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협착 부분을 화학적으로 분해함으로써 재관류(Revascularization)하는 비기계적 재관류와 병변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기계적 재관류로 분류된다.
특히, 기계적 재관류에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며, 이들 중 주목받고 있는 기계적 재관류 방법으로는 초당 약 2만 번의 진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기계적 충격과 캐비테이션(Cavitation)효과로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병변을 제거하는 초음파 케이스 방법, 가이드 전자 걸쇠의 끝단을 나사산 모양으로 형성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만성완전협착 병변을 천공하는 회전식 가이드 전자 걸쇠 방법, 레이저를 사용하여 협착부위의 물질을 순간적으로 기화시켜 제거하는 레이저 혈관성형술(Laser angioplasty) 및 고속 회전하는 다이아몬드가 코팅된 버(Burr)를 사용하여 병변을 연삭 제거하는 회전절삭방법(Rotational atherectomy) 등이 있다.
이들 중 칼슘화가 진행된 단단한 협착 병변에는 회전절삭방법이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통상 가이드 전자 걸쇠를 병변에 1차적으로 삽입시킨 후, 병변을 관통한 가이드 전자 걸쇠를 따라 버를 진입시켜 회전시킴으로써 병변을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병변에 절삭 버를 회전 진입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가이드 전자 걸쇠를 삽입하여 병변을 1차적으로 관통한 뒤, 병변을 관통한 가이드 전자 걸쇠를 따라 버를 진입시켜 회전시킴으로써 병변을 제거하여야 하는 바, 이때, 병변이 장시간의 방치로 인해 칼슘화가 진전되어 상당히 단단하게 응집되어 있는 경우, 가이드 전자 걸쇠를 이용하여 병변을 관통하기가 실질적으로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병변이 장시간 방치되어 병변의 표면이 상당히 단단하게 응집된 경우, 병변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 병변의 표면에 충격을 가하여 병변의 표면을 1차적으로 파괴시킴으로써, 병변 내에 전자 걸쇠 및 절삭 버를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혈관에 삽입되는 캡슐형 케이스의 전단부 내부에 탄성 수단에 의해 전방으로 가속, 토출되도록 구성되는 충격 팁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병변의 표면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단단하게 굳어진 병변의 표면에 균열을 야기시켜 병변의 절삭을 용이하게 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혈관의 내강을 폐색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을 제거하기 위한 충격전달장치에 있어서, 캡슐 형상으로 전단부에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토출구 후방의 전단부 내부에는 충격 팁을 장전하기 위한 팁 장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팁 장전부에 장전되며, 상기 토출구를 통해 가속, 토출되어 병변의 표면을 타격하도록 구성된 충격 팁, 상기 충격 팁에 연결되어, 자체 탄성을 이용하여 충격 팁을 가속, 토출시키는 탄성수단, 상기 충격 팁의 토출을 제어하는 격발수단 및 상기 격발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는 탄성수단을 통해 충격 팁을 케이스 외부로 가속, 토출시켜 병변의 표면에 충격을 가해줌으로써, 병변의 단단한 표면을 1차적으로 파괴시켜 병변 제거를 위한 가이드 전자 걸쇠 및 절삭 버의 진입을 용이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병변의 단단한 표면을 파괴하여 가이드 전자 걸쇠의 진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병변을 관통하는 가이드 전자 걸쇠의 센터링을 더욱 정확하게 확보하여 보다 안전한 수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수술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는 혈관 내에 삽입되는 케이스(100), 케이스(100) 내부 전단부에 구비되어 탄성수단(300)에 의해 케이스(100) 전단에 구비된 토출구(112)를 통해 케이스(100) 전방으로 가속, 토출되어 병변의 표면을 타격하는 충격 팁(200), 충격 팁(200)에 연결되어 자체탄성을 이용하여 충격 팁(200)을 가속, 토출하는 탄성수단(300), 상기 충격 팁(200)의 토출 동작을 제어하는 격발수단 및 상기 격발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캡슐 형상으로, 내부 전단부에는 충격 팁(200)을 삽입 장전하기 위한 팁 장전부(110)가 형성되고, 팁 장전부(110)의 소정 위치에는 충격 팁(200)의 토출을 제어하는 격발수단이 설치되는 고정홈(120)이 형성된다.
충격 팁(200)은 몸체 중앙부의 외주면에 이탈방지턱(220)이 형성되고, 몸체 전단부에는 충격전달부(210)가 형성되며, 몸체 내부 후방에는 절개홈(230)이 형성되어 한 쌍의 절개부(240)가 형성된다.
이때, 충격 팁(200)의 전단에 형성되는 충격전달부(210)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뾰족한 팁(tip)형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전면에 다수개의 날카로운 요철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병변의 표면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변경 가능하다.
한편, 충격 팁(200)의 이탈방지턱(220)은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수단(300)에 의해 상기 충격 팁(200)이 토출구(112)를 통해 케이스(100) 외부로 가속, 토출될 때, 토출구(112) 둘레의 케이스(100) 내벽(111)에 걸림으로써 충격 팁(200)이 케이스(100) 외부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충격 팁(200)의 후단에는 탄성수단(300)이 연결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수단(300)을 스프링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러한 탄성수단(300)은 충격 팁(200)의 후단부에 형성된 각 절개부(24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각각 연결되어, 수축 및 팽창 운동을 통해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탄성을 충격 팁(200)에 전달하여, 충격 팁(200)이 병변의 표면에 타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스프링이 연결되는 충격 팁(200)의 이탈방지 턱(220) 후방의 몸체는 하나의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충격 팁(200)의 후단에 연결되는 스프링은 이탈방지 턱(220) 후방의 몸체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수단(300)에 의해 가속 발사되는 충격 팁(200)은 격발수단을 통해 그 동작이 제어되는바, 본 실시예에서의 격발수단은 팁 장전부(110)에 형성되는 각각의 고정홈(120) 내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영구자석(410)과, 상기 고정홈(120)과 팁 장전부(110) 사이를 이동하는 한 쌍의 전자석(400)으로 구성된다.
고정홈(120) 내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영구자석(410)과 고정홈(120) 및 팁 장전부(110) 사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전자석(400)은 전자석(40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서로 대향하는 면이 동일한 극성을 띠게 되는 경우, 서로 밀어내는 척력이 발생하여 한 쌍의 전자석(400)이 팁 장전부(110)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전자석(400)은 팁 장전부(110)에 장전되는 충격 팁(200)의 이탈방지턱(220)과 걸림 연결되어, 충격 팁(20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충격 팁(200)의 토출을 제어한다.
이때, 충격 팁(200)에 걸림 연결되는 한 쌍의 전자석(40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변환하여 인가하는 경우, 고정홈(120) 내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영구자석(410)과 충격 팁(200)에 걸림 연결되는 한 쌍의 전자석(400) 사이에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이 발생하여, 상기 한 쌍의 전자석(400)이 고정홈(120)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충격 팁(200)은 전자석(400)과의 고정에서 해방되고, 동시에 탄성수단(300)이 원상복귀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토출구(112)를 통해 가속, 토출되어 병변의 표면을 타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격발수단에는 전자석(400)에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전력공급수단이 연결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력공급수단을 케이스(100) 내부에 배터리(500)를 장착하여 전선(510)을 통해 격발수단에 전류를 흐르게 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이외에도 케이스(100) 내부 끝단을 통해 인체 외부로 연장되는 전선을 구비하여 외부전원에 연결함으로써, 외부전력을 통해 격발수단을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외부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격발수단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외부에서 직접 변환함으로써 격발수단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와 같이 배터리(500)를 내장하여 전력공급수단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케이스(100) 내부에 별도의 무선수신부(미도시)를 구비하고, 무선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전자석(400)에 전류를 인가하는 배터리(500)의 전극 연결을 변환하는 제어부(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력공급수단을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하는 경우, 팁 장전부(110) 후방으로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전력공급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격납부(130)가 형성되며, 격납부(130)의 형성위치는 전력공급수단을 격납할 수 있는 동시에, 충격 팁(200)의 가속, 토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의 케이스(100) 내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을 제어하는 격발수단을 영구자석(410) 및/또는 전자석(400) 등의 자성물질로 구성함으로써, 혈관을 통한 체내 삽입 시 자기력을 이용한 유도를 통해 캡슐의 이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하여서는 후술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의 동작 과정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관(10) 내강이 병변(20)에 의해 폐색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20)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를 혈관(10) 내에 삽입시켜 병변(20) 부위까지 진입시킨다.
이때, 혈관(10) 내부로 삽입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는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400) 등의 자성물질을 이용하여 자기공명영상장치(MRI : Magnetic Resonance Imaging) 등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의료 장치를 통해 혈관 내에서 유도되어 병변(20) 부위에 도달하게 된다.
한편, 혈관(10) 내부로 삽입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는 혈관(10) 내에 삽입되기 전에, 충격 팁(200)이 팁 장전부(110)에 장전되고, 충격 팁(200)의 후단에 연결된 탄성수단(300)이 수축된다.
또한, 전자석(400)은 전력공급수단으로부터의 전류 인가에 의한 영구자석(410)과의 척력 작용을 통해 충격 팁(200)의 이탈방지턱(220)에 걸림 연결되어 충격 팁(20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가 혈관(10) 내에 삽입되어 병변(20)과 맞닿아 더 이상 진입하지 않게 되면, 도 2(b)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충격전달장치로 격발신호를 송신하고, 충격전달장치는 무선수신부(미도시)를 통해 격발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전력공급수단의 전극연결 상태를 변환하고, 이로 인해 전자석(400)은 그 극성이 변환되어 영구자석(410)의 인력 작용에 의해 영구자석(41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자석(400)과의 걸림 고정으로부터 해방된 충격 팁(200)은 이에 연결된 탄성수단(300)이 원상복귀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토출구(112)를 통해 가속, 토출되어 병변(20)의 표면을 타격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병변(20)의 표면을 파괴하여 균열을 생성하고, 이후 가이드 전자 걸쇠 및 절삭 버를 단단한 병변(20)의 표면에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의 그 기본적인 구성을 동일하게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격발수단 및 탄성수단의 구조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차이를 보이고 있는 바, 이하에서는 이들의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격발수단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충격 팁(700) 후단에 전자 걸쇠(800)를 연결하되, 전자 걸쇠(800)가 전자석(900, 910)에 의해 고정홈(620)에 걸림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충격 팁(700)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는 팁 장전부(610) 후방으로 케이스(600) 내부에 전자 걸쇠(800)의 연결 통로로 사용되는 관통홀(640)이 형성되어, 전자 걸쇠(800)가 관통홀(640)에 삽입되어 충격 팁(700)의 후단에 연결된다.
이때, 충격 팁(700)의 내부 후방에는 삽입홈(710)이 형성되고, 삽입홈(710) 단부에 걸림턱(720)이 형성되며, 전자 걸쇠(800)의 끝단에는 걸림돌기(810)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810)가 걸림턱(720)과 걸림 연결됨으로써 충격 팁(700)이 전자 걸쇠(8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충격 팁(700)에는 탄성수단(310)이 연결되는데, 탄성수단(31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와 같은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고무줄 등과 같이 자체 탄성을 갖는 폴리머 탄성체를 이용하여 탄성수단(310)을 구성하였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수단(310)은 적어도 한 쌍 이상의 폴리머 탄성체로 구성되되, 각각의 폴리머 탄성체는 일측이 토출구(612) 주위의 케이스(600) 내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충격 팁(700)의 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자 걸쇠(800)가 삽입, 이동되는 케이스(600) 내부의 관통홀(640)에는 전자 걸쇠(800)의 고정 및 이탈을 제어하기 위해, 각각 90°씩 이격되어 배치되는 두 쌍의 전자석(900, 910)이 구비되는 고정홈(620)이 형성된다.
또한, 전자 걸쇠(8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홈(620)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고정돌기(820)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돌기(820) 양 끝단에도 역시 전자석(830)이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성된 각각 한 쌍씩의 전자석(900, 910)과 고정돌기(820) 양 끝단에 구비된 한 쌍의 전자석(83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서로 인접한 전자석(830, 900, 910)간의 인력과 척력 작용에 의해 고정돌기(820)를 90°씩 회전시킴으로써 고정홈(620)을 통한 전자걸쇠(800)의 고정 및 이탈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각 전자석(830, 900, 910)은 전력공급수단으로부터 전류를 제공받아 적용되는 극성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전자석(830, 900, 910)과의 사이에서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수단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에서와 같이, 외부전원을 이용하거나 또는 내부에 배터리를 설치하여 발생되는 전류를 전자석(900, 910)에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전력공급수단을 케이스(600) 내부의 격납부(630)에 구비되는 배터리(920)로 구성하였고, 각 전자석(830, 900, 910)들은 전선(930)을 통해 상기 배터리(920)와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무선수신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가 케이스(600) 내부에 구비되어,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920)로부터 각각의 전자석(830, 900, 910)에 제공되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의 구동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관(10) 내강이 병변(20)에 의해 폐색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를 혈관(10) 내에 삽입시켜 병변(20) 부위까지 진입시킨다.
이때,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는 혈관(10) 내에 삽입되기 전에, 전자걸쇠(310)가 후방으로 당겨짐으로써 충격 팁(700)이 케이스(600)의 팁 장전부(610)에 장전되는 동시에, 탄성수단이(310)이 팽창된 상태에서 혈관(10) 내에 삽입되어 진다.
또한, 도 4(a)에서와 같이, 고정홈(620)에 설치된 두 쌍의 전자석(900, 910)과 고정돌기(820)에 설치된 전자석(83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어, 전자걸쇠(800)의 고정돌기(820)가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고정홈(620)에 걸리게 됨으로써, 전자걸쇠(800)에 연결되는 충격 팁(700)이 팁 장전부(710) 내부에 장전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후, 도 4(b)에서와 같이,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가 혈관(10) 내의 병변(20)에 맞닿게 되면, 외부에서 격발신호가 무선수신부에 전송되어, 제어부가 전력공급수단의 전극연결 상태를 변환한다.
이에 따라, 고정홈(620)에 설치된 두 쌍의 전자석(900, 910)과 고정돌기(820)에 설치된 전자석(83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전환되어 전자걸쇠(800)의 고정돌기(820)가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전자걸쇠(800)가 90°회전되고, 이로 인해 고정돌기(820)는 고정홈(620)에서 이탈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600)와의 고정에서 해방된 충격 팁(700)은 이에 연결된 탄성수단(310)이 원상복귀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토출구(612)를 통해 가속, 토출되어 병변(20)의 표면을 타격하게 된다.
따라서, 병변(20)의 표면에는 충격 팁(200)의 타격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이후 병변(20) 제거를 위해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 및 절삭 버의 진입이 용이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는 탄성수단(300, 310)을 통해 충격 팁(200, 700)을 케이스(100, 600) 외부로 가속, 토출시켜 병변(20)의 표면에 충격을 가해줌으로써, 병변(20)의 단단한 표면을 1차적으로 파괴시켜 병변(20) 제거를 위한 가이드 전자 걸쇠 및 절삭 버의 진입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병변(20)의 단단한 표면을 파괴하여 가이드 전자 걸쇠의 진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병변(20)을 관통하는 가이드 전자 걸쇠의 센터링을 더욱 정확하게 확보하여 보다 안전한 수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수술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 : 혈관 20 : 병변
100, 600 : 케이스 110, 610 : 팁 장전부
111 : 내벽 120, 620 : 고정홈
130, 630 : 격납부 200, 700 : 충격 팁
220, 730 : 이탈방지턱 230 : 절개홈
240 : 절개부 300, 310 : 탄성수단
400, 900, 910 : 전자석 410 : 자석
500, 920 : 배터리 510, 930 : 전선
710 : 삽입홈 720 : 걸림턱
800 : 전자 걸쇠 810 : 걸림돌기
820 : 고정돌기

Claims (12)

  1. 혈관의 내강을 폐색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을 제거하기 위한 충격전달장치에 있어서,
    캡슐 형상으로 전단부에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토출구 후방의 전단부 내부에는 충격 팁을 장전하기 위한 팁 장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팁 장전부에 장전되며, 상기 토출구를 통해 가속, 토출되어 병변의 표면을 타격하도록 구성된 충격 팁;
    상기 충격 팁에 연결되어, 자체 탄성을 이용하여 충격 팁을 가속, 토출시키는 탄성수단;
    상기 충격 팁의 토출을 제어하는 격발수단; 및
    상기 격발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팁의 몸체 외주면에는 상기 충격 팁이 탄성수단에 의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경우, 충격 팁이 팁 장전부 외부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팁의 전단부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뾰족한 팁(tip)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팁의 전단부에는 다수개의 날카로운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충격 팁의 후방에 구비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적어도 한 쌍 이상의 폴리머 탄성체로 구성되되, 각각의 폴리머 탄성체의 일측은 토출구 주위의 케이스 내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충격 팁의 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수단은 자성체(磁性體)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팁 장전부에는 격발수단이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홈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격발수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홈 내벽에 부착되는 한 쌍의 영구자석과,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에 부착 또는 배척되어 상기 고정홈과 팁 장전부 사이를 이동하는 한 쌍의 전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팁 장전부 후방으로 전자 걸쇠의 연결통로로 사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는 격발수단을 구성하는 전자석이 부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격발수단은,
    상기 충격 팁의 후단에 연결되는 전자걸쇠와, 상기 고정홈의 내벽에 서로 90°씩 이격되어 배치되는 두 쌍의 전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자걸쇠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돌기의 끝단에는 각각 전자석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팁의 몸체 후방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충격 팁에 연결되는 전자 걸쇠의 끝단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전자 걸쇠의 걸림돌기가 상기 충격 팁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는 배터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전달장치에는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이 케이스 외부로 연장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공급수단은 상기 전선을 통해 연결된 외부전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KR1020100059617A 2010-06-23 2010-06-23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KR201101394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617A KR20110139496A (ko) 2010-06-23 2010-06-23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617A KR20110139496A (ko) 2010-06-23 2010-06-23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496A true KR20110139496A (ko) 2011-12-29

Family

ID=45504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617A KR20110139496A (ko) 2010-06-23 2010-06-23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94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859B1 (ko) * 2012-08-24 2014-04-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혈관치료용 마이크로로봇 및 시스템
US10117991B2 (en) 2014-05-07 2018-11-06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Medical micro robot and micro robot system having the same
CN114052839A (zh) * 2021-11-16 2022-02-18 湖南娜蓝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术用剥离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859B1 (ko) * 2012-08-24 2014-04-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혈관치료용 마이크로로봇 및 시스템
US10117991B2 (en) 2014-05-07 2018-11-06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Medical micro robot and micro robot system having the same
CN114052839A (zh) * 2021-11-16 2022-02-18 湖南娜蓝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术用剥离器
CN114052839B (zh) * 2021-11-16 2023-07-21 湖南娜蓝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术用剥离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859B1 (ko) 혈관치료용 마이크로로봇 및 시스템
JP6290296B2 (ja) 物質を哺乳動物組織内に適用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プロセス
CN103068334B (zh) 植入式血液输送装置、操纵装置和联结装置
US20080140100A1 (en) Devices With Integral Magnets and Uses Thereof
CN105025823A (zh) 振荡碎石机末梢
US20100286791A1 (en) Integrated system for the ballistic and nonballistic infixion and retrieval of implants
KR20110139496A (ko)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충격전달장치
JP2010022566A (ja) 吸引カテーテル、及び吸引カテーテルシステム
JP2014500062A (ja) 医療用装置における電子構成要素の選択的起動
CN111526824A (zh) 用于引线抽取的系统和方法
JP6445130B2 (ja) 衝撃ドリル砕石器
KR20190069084A (ko) 다중 모듈 헬리컬 자기 밀리 로봇
CN114466673A (zh) 使用磁体在相邻解剖空间之间建立连接的方法和装置
KR20100095782A (ko) 혈관 내의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 기구
KR101394195B1 (ko)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
US11207088B2 (en) Endoscopic surgical device
CN111493973B (zh) 一种微型磁控机器人、内芯及薄膜的制备方法、组装方法
JP2006223341A (ja) 組織破砕装置
KR20110139491A (ko)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충격전달장치
EP3117779A1 (en)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system
Cauni et al. PERCUTANEOUS NEPHROLITHOTOMY LITHOTRIPSY: THE ROLE OF BALLISTIC AND ULTRASONIC ENERGY
US20160022346A1 (en) Medical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100095781A (ko) 다중 드릴을 이용한 혈관 내의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캡슐형 로봇
KR10117901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의료장치 및 상기 의료장치에 적용되는 핸드 피스
WO2010046426A1 (en) Trephine for extracting a bone graft and for placing said g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