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195B1 -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195B1
KR101394195B1 KR1020120093138A KR20120093138A KR101394195B1 KR 101394195 B1 KR101394195 B1 KR 101394195B1 KR 1020120093138 A KR1020120093138 A KR 1020120093138A KR 20120093138 A KR20120093138 A KR 20120093138A KR 101394195 B1 KR101394195 B1 KR 101394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lesion
coil
permanent magnet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6959A (ko
Inventor
박석호
박종오
최현철
정세미
이청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3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195B1/ko
Publication of KR20140026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0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 A61B17/2201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in direct contact with, or very close to, the obstruction or con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3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 A61B2017/0053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hydraul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3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 A61B2017/0055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76Material propertie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38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guide wi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선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홀을 갖는 중공 형상의 카테터(110)와; 상기 홀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 가능한 절삭팁(111)이 마련되어 카테터 내에서 전후 운동이 가능한 병변 제거용 툴(120)과; 유도 자기장을 매개로 하여 병변 제거용 툴(120)의 왕복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종래의 가이드와이어를 이용한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와 비교하여 시술자의 고도의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혈관 내의 협착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Tunneling catheter system for ablating vascular chronic total occlusion}
본 발명은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성완전협착은 혈관 내벽에 지질이 풍부한 콜레스테롤 등이 적층되어 혈관 내강이 폐색되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협착 병변을 구성하는 다층의 지질과 혈전 복합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콜라겐(collagen) 등으로 교체가 되며, 이들 콜라겐은 단분자로부터 다분자의 덩어리를 형성하게 되며, 가교반응과 칼슘화(calcification)를 거쳐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인산화된 층을 형성하여 혈액의 순환을 막게 된다.
이러한 만성완전협착의 치료 방법으로는 협착 부분의 피브린-콜라겐 복합체를 화학적으로 분해함으로써 재관류하는 방법과 물리적으로 천공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칼슘화가 진행된 단단한 협착 병변에는 특히 회전절삭방법이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물리적 천공방법들은 단단한 칼슘화 병변을 관통하는 과정에서 혈관의 중심을 따라 병변의 중심부위를 관통하기가 어렵고, 또한 혈관 조영제가 혈관의 폐색부위를 지나 혈류의 진행방향으로 투입되기 어려우므로 만성완전협착 부위를 넘어선 이후의 혈관 전개 형태의 확보가 어려워 상기의 물리적 시술도중 혈관 내벽의 손상 및 천공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만성완전협착이 아닌 경우에는 혈관 중재술의 성공률이 95%에 이르는 반면에 만성완전협착인 경우에는 성공률이 70%정도 밖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만성완전협착 치료의 대표적인 기구는 고강성(high stiffness)으로 앞부분이 크고 날카로운 와이어를 사용하여 뚫게 되는 치료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구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밀어줄 때 정확히 협착물의 중심을 맞추기가 어렵고 방향 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시술은 매우 고도의 숙련도를 요구하며,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시술의 성공률이 결정되는 측면이 컸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5782호(공개일자: 2010.09.01)에는 혈관 내의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 기구를 제안하고 있으며, 혈관 내강으로 진입하는 카테터의 전단부에 병변 제거툴을 구비하고 다수의 풍선으로 구성된 전위조절부와, 후위조절부를 마련하여 병변 제거툴의 위치를 조절하여 혈관 내의 만성완전협착 병변을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병변 제거툴이 카테터 바깥에 노출된 상태에서 목표 부위까지 이동하여야 하므로 병변 제거툴에 의해 혈관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시술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병변 제거툴에 의해 혈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비숙련 시술자도 쉽게 시술이 가능한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은, 선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홀을 갖는 중공 형상의 카테터와;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카테터에 권취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교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부와; 상기 홀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 가능한 절삭팁이 마련되어 상기 카테터 내에 삽입되며, 영구자석이 마련되어 상기 코일에서 유도된 자기장에 의해 전후 운동이 가능한 병변 제거용 툴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의 자화 방향은 상기 병변 제거용 툴의 운동방향과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은, 선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홀을 갖는 중공 형상의 카테터와; 상기 홀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 가능한 절삭팁이 마련되어 상기 카테터 내에 삽입되어 전후 운동이 가능한 병변 제거용 툴과;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카테터에 권취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교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부와; 상기 코일에서 유도된 자기장에 의해 전후 이동이 가능한 영구자석과; 상기 병변 제거용 툴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영구자석의 구동력을 상기 병변 제거용 툴로 전달되는 것을 매개하는 유체를 갖는 유체구동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체구동부는, 상기 병변 제거용 툴의 후단에 고정되는 제1피스톤과, 상기 영구자석의 전단에 고정되는 제2피스톤을 더 포함하여 상기 유체는 상기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 사이의 카테터 내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카테터의 도입부인 근위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상기 병변 제거용 툴이 위치하게 되는 원위 단부의 직경보다 카테터의 도입부인 근위 단부의 직경이 더 크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터는 제1카테터와, 이 제1카테터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면서 제1카테터와 조립되는 제2카테터로 구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카테터에는 영구자석이 탄성체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 내부에는 상기 병변 제거용 툴의 운동방향을 안내하게 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은, 선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홀을 갖는 중공 형상의 카테터와; 상기 홀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 가능한 절삭팁이 마련되어 카테터 내에서 전후 운동이 가능한 병변 제거용 툴과; 유도 자기장 또는 유체를 매개로 하여 병변 제거용 툴의 왕복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종래의 가이드와이어를 이용한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와 비교하여 시술자의 고도의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혈관 내의 협착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은 병변 제거용 툴이 카테터 내부에서 노출되지 않으면서 시술 목표 부위까지 진입이 가능하여 카테터의 진입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혈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의 작동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은, 카테터(110), 코일(120), 전원부(130) 및 병변 제거용 툴(140)을 포함한다.
카테터(110)는 전체적으로 중공 형상의 튜브이며, 선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홀(111)을 갖는다.
카테터(110)는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한편 카테터 시술 시에 유연성이 요구되는 원위부(distal end)와는 달리 적당한 강성이 요우되는 근위부(proximal end)(도 1의 대략 C2구간)에는 코일스프링 또는 금속와이어가 편조된 블레이드(braid)가 보강부재로써 합성수지재로 코팅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카테터의 근위부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카테터(110)의 원위부는 길이 방향으로 코일(120)이 권취되는 것을 주요 기술상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도 1에서 예시한 것과 같이, 코일(120)은 카테터(110)의 몸체 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카테터(11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별도로 권취되어 제공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코일(120)의 구간 길이(C1)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카테터의 원위부에서 요구되는 유연성을 크게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는 병변 제거용 툴(140)의 길이와 병변 제거용 툴(140)의 진동 폭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코일(120)은 와이어(131)에 의해 교류 전원을 인가하게 되는 전원부(130)와 연결되며, 체외에 위치하게 되는 전원부(130)는 교류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는 주지의 전원 공급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병변 제거용 툴(140)은 절삭팁(141)과, 이 절삭팁(141)과 일체로 이루어진 영구자석(142)으로 구성된다.
절삭팁(141)은 종축방향의 전후 운동에 의해 혈관 내의 협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날 또는 원추 형상으로 끝이 뾰족한 팁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영구자석(142)은 절삭팁(141)과 함께 일체로 구성되며, 코일(120)에서 유도된 교류자기장에 의하여 절삭팁(141)의 종축방향의 전후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영구자석(142)의 자화 방향은 병변 제거용 툴의 운동 방향과 나란하게 마련된다.
또한 카테터(110)의 선단 내측에는 병변 제거용 툴(140)의 운동방향을 안내하게 되는 가이드부재(150)가 추가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50)는 병변 제거용 툴(140)이 안정되게 왕복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카테터(110) 내부에서 센터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을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카테터(110)를 시술하고자 하는 혈관(10)의 목표 부위까지 가이드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진입시킨 후에, 카테터(110) 내에 병변 제거용 툴(140)을 삽입하고 카테터(110)의 원위부까지 병변 제거용 툴(140)을 밀어 넣어서 X레이 등을 이용하여 협착물과 병변 제거용 툴의 위치를 확인한다.
카테터(110) 내에서 병변 제거용 툴이 적정 위치에 위치된 것을 확인한 후에 전원부(130)를 작동시켜 코일(120)에 교류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코일(120) 내부에는 교류자기장(B)이 발생되며, 이 교류자기장(B)에 의해 영구자석(142)은 종축방향으로 전후 왕복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서 절삭팁(141)은 협착물(20)을 천공하여 협착물(20)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병변 제거용 툴의 전후 왕복운동 주기는 코일에 인가되는 교류주파수의 주파수에 반비례하게 되며, 혈관(10) 내의 협착물(20) 상태를 고려하여 인가되는 전원의 주파수는 적절히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시술 목표 부위까지 카테터가 진입한 이후에 병변 제거용 툴이 삽입되어 협착물에 대한 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시술 과정에서 혈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은, 카테터(210), 병변 제거용 툴(220), 코일(230), 전원부(240), 및 유체구동부를 포함한다.
카테터(210)는 전체적으로 중공 형상의 튜브이며, 선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홀(2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카테터(21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특징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병변 제거용 툴(220)은 카테터(210)의 홀(211)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 가능한 절삭팁(221)이 마련되어 중축방향의 전후 운동에 의해 혈관 내의 협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날 또는 원추 형상으로 끝이 뾰족한 팁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협착물의 효과적인 천공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특정한 형상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실시예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병변 제거용 툴의 작동 시에 카테터(210) 내에서 센터링을 유지하면서 원활한 전후 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부재가 카테터(210) 내에 추가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카테터(210)의 근위 단부에는 코일(230)이 길이 방향으로 권취되며, 이때 코일(230)의 위치는 카테터(210)의 도입부인 근위 단부(proximal end)일 수 있으며, 따라서 코일(230)은 시술 시에 환자의 체외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코일(230)은 환자의 체외에 배치가 가능하므로, 카테터(210) 내에 유효한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카테터(210)에 삽입되거나 또는 카테터의 중공 내부 또는 카테터를 감싸도록 카테터의 바깥에 위치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코일(230)은 와이어(241)에 의해 교류 전원을 인가하게 되는 전원부(240)와 연결되며, 체외에 위치하게 되는 전원부(240)는 교류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는 주지의 전원 공급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영구자석(250)은 카테터(210)의 코일(230) 권취 구간에 위치하여 코일(230) 내에서 발생된 교류자기장에 의해 전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한편 영구자석과 카테터 내벽면 사이에는 영구자석이 센터링을 유지하면서 전후 왕복 운동을 안내할 수 있는 별도의 가이드 부재(251)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유체구동부는 병변 제거용 툴(220)과 영구자석(250) 사이에 충진된 비압축성 유체(261)를 포함하며, 영구자석(250)의 구동력을 병변 제거용 툴(2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예시된 것과 같이, 유체구동부는 병변 제거용 툴(220)의 후단에 고정되는 제1피스톤(262)과, 영구자석(250)의 전단에 고정되는 제2피스톤(26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유체(261)는 제1피스톤(262)과 제2피스톤(263) 사이의 카테터(210) 내에 충진된다.
제1피스톤(262) 또는 제2피스톤(263)과 카테터(210) 사이에는 유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주지의 실링(sealing)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터널링용 시스템은 체외에 위치하게 되는 코일(230)에 교류전원이 인가되면, 코일(230) 내에 교류자기장이 발생된다. 교류자기장에 위치하게 되는 영구자석(250)은 교류전원에 인가된 주파수에 반비례하여 전후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며, 영구자석(250)과 함께 제2피스톤(263)이 전후 진동하여 유체(261)에는 압력 변화가 발생된다. 유체(261)의 압력 변화는 제1피스톤(262)을 통해 병변 제거용 툴(220)을 전후 진동시켜 협착물에 대한 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은, 카테터(310), 병변 제거용 툴(320), 코일(330), 전원부(340) 및 유체구동부를 포함한다.
카테터(310)는 전체적으로 중공 형상의 튜브이면서, 실질적으로 혈관 내에 삽입이 이루어지는 제1카테터(310a)와, 유체구동부가 마련되는 제2카테터(3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카테터(310a)와 제2카테터(310b)는 서로 끼워 조립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분리가 가능하다.
특히, 제1카테터(310a)의 직경(R1) 보다 제2카테터(310b)의 직경(R2)이 더 크게 마련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근위단에서의 영구자석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은 큰 증압비를 가지며 유체(361)를 매개로 하여 병변 제거용 툴(320)이 위치하는 원위단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병변 제거용 툴(320)은 제1,2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카테터(310)의 전방 홀(311)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 가능한 절삭팁(321)이 마련되며, 병변 제거용 툴의 작동 시에 카테터(310) 내에서 센터링을 유지할 수 있는 가이드부재가 카테터 내에 추가될 수 있다.
제2카테터(310)b)의 근위 단부에는 코일(330)이 길이 방향으로 권취되며, 이때 코일(330)의 위치는 카테터(310)의 도입부인 근위 단부(proximal end)이며, 따라서 코일(330)은 시술 시에 환자의 체외에 위치하게 된다.
제2실시예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코일(330)은 환자의 체외에 배치가 가능하므로, 제2카테터(310b) 내에 유효한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2카테터(310b)의 중공 내부 또는 제2카테터를 감싸면서 제2카테터의 바깥에 위치할 수도 있다.
코일(330)은 와이어(341)에 의해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부(340)와 연결되며, 체외에 위치하게 되는 전원부(340)는 교류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는 주지의 전원 공급수단일 수 있다.
영구자석(350)은 제2카테터(310b)의 코일(350) 권취 구간에 위치하게 되며, 코일(330) 내에 발생된 교류자기장에 의해 전후 이동 가능하다. 영구자석(350)의 전후 이동 시에 영구자석의 센터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전후 왕복 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부재(351)가 마련될 수 있다.
유체구동부는 병변 제거용 툴(320)과 영구자석(350) 사이에 충진된 비압축성 유체(361)를 포함하는 것은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유체구동부는 병변 제거용 툴(320)의 후단에 고정되는 제1피스톤(362)과, 영구자석(350)의 전단에 고정되는 제2피스톤(36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유체(361)는 제1피스톤(362)과 제2피스톤(363) 사이의 카테터(310) 내에 충진되며, 유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 피스톤에는 주지의 실링(sealing)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영구자석(350)은 직접 제2피스톤(363)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로드(364)에 의해 연결되며, 이 영구자석(350)에는 제2카테터(310b)에 지지되는 아치형상의 판스프링(370)이 추가될 수 있으며, 판스프링(370)은 영구자석(250)의 전후 왕복 운동에 의해 압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유체(361)에 순간적인 힘이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터널링용 시스템은 제2실시예와 실질적인 동작은 동일하며, 이때 제1카테터(310a) 보다 제2카테터(310b)가 더 큰 직경을 가짐으로써 영구자석(350) 전후 왕복 운동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은 큰 증압비를 가지며 유체(361)를 매개로 하여 병변 제거용 툴(320)이 위치하는 원위단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또한 영구자석(350)의 왕복 운동 과정에서 판스프링(370)의 압축 및 팽창에 의해 순간적으로 큰 충격량이 유체(361)를 매개로 하여 병변 제거용 툴(320)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협착물 제거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210, 310 : 카테터 120, 230, 330 : 코일
130, 240, 340 : 전원부 140, 220, 320 : 병변 제거용 툴
141, 221, 321 : 절삭팁 111, 211, 311 : 홀
261, 361 : 유체 370 : 판스프링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선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홀을 갖는 중공 형상의 카테터와;
    상기 홀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 가능한 절삭팁이 마련되어 상기 카테터 내에 삽입되어 전후 운동이 가능한 병변 제거용 툴과;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카테터에 권취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교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부와;
    상기 코일에서 유도된 자기장에 의해 전후 이동이 가능한 영구자석과;
    상기 병변 제거용 툴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영구자석의 구동력을 상기 병변 제거용 툴로 전달되는 것을 매개하는 유체를 갖는 유체구동부를 포함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구동부는,
    상기 병변 제거용 툴의 후단에 고정되는 제1피스톤과, 상기 영구자석의 전단에 고정되는 제2피스톤을 더 포함하여 상기 유체는 상기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 사이의 카테터 내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카테터의 도입부인 근위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상기 병변 제거용 툴이 위치하게 되는 원위 단부의 직경보다 카테터의 도입부인 근위 단부의 직경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 내부에는 상기 병변 제거용 툴의 운동방향을 안내하게 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의 근위부에 영구자석이 탄성체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
KR1020120093138A 2012-08-24 2012-08-24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 KR101394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138A KR101394195B1 (ko) 2012-08-24 2012-08-24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138A KR101394195B1 (ko) 2012-08-24 2012-08-24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959A KR20140026959A (ko) 2014-03-06
KR101394195B1 true KR101394195B1 (ko) 2014-05-15

Family

ID=50641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138A KR101394195B1 (ko) 2012-08-24 2012-08-24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1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8411B2 (en) 2015-02-16 2018-05-15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icro-robot coupled to catheter
KR20220071657A (ko) * 2020-11-24 2022-05-31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사이드 홀이 형성된 천자용 엔지오 니들 키트
KR20220071655A (ko) * 2020-11-24 2022-05-31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천자용 엔지오 니들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736B1 (ko) 2015-09-18 2016-11-1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계 및 기계적 발광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617398B2 (en) 2016-07-04 2020-04-14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djustable-bending stiffness steerable needle, buckling-preventing steerable needle, and steerable needle system includ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9900A1 (en) * 2005-05-11 2009-08-20 Eyoca Medical Ltd. 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vascular obstructions
KR20110139491A (ko) * 2010-06-23 2011-12-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충격전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9900A1 (en) * 2005-05-11 2009-08-20 Eyoca Medical Ltd. 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vascular obstructions
KR20110139491A (ko) * 2010-06-23 2011-12-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충격전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8411B2 (en) 2015-02-16 2018-05-15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icro-robot coupled to catheter
KR20220071657A (ko) * 2020-11-24 2022-05-31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사이드 홀이 형성된 천자용 엔지오 니들 키트
KR20220071655A (ko) * 2020-11-24 2022-05-31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천자용 엔지오 니들 키트
KR102467160B1 (ko) 2020-11-24 2022-11-15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천자용 엔지오 니들 키트
KR102641351B1 (ko) 2020-11-24 2024-02-2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사이드 홀이 형성된 천자용 엔지오 니들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959A (ko)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859B1 (ko) 혈관치료용 마이크로로봇 및 시스템
KR101394195B1 (ko)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
JP6940575B2 (ja) 瘻を形成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11344750B2 (en) Ultrasound catheter system
JP6333851B2 (ja) 機械式振動バルーンを介した薬剤移送
EP3546010B1 (en) Systems for endoluminal valve creation
CN109843203B (zh) 具有射频能输送功能的扩张球囊
US10258777B2 (en) Drug treatment method and delivery device
US20170252521A1 (en) System For Positioning A Distal End Of A Surgical Device Within A Patient For Surgery And To Administer A Fluid To The Surgery Site
KR101644551B1 (ko) 가이드와이어 및 가이드와이어 시스템
JP6362895B2 (ja) 治療デバイス
CN115666701A (zh) 用于ent导向器械的轴偏转控制组件
KR20230158546A (ko) 혈관 절제술
KR101394194B1 (ko)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를 위한 터널링용 카테터 시스템
JP2015181704A (ja) 治療デバイス
JP6895519B2 (ja) 液圧自動横貫バルーン/カテーテル
CN105188570A (zh) 再通装置
EP2804546B1 (en) Device for removing a vascular occulsion
KR101390875B1 (ko) 혈관 내의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수술장치
KR101746000B1 (ko) 굽힘 강성 제어가 가능한 조향 바늘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바늘 시스템
US11583393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maintain patency of dilated anatomical opening
JP2015181705A (ja) 治療デバイス
JP2015181706A (ja) 治療デバイス
CN117479971A (zh) 用于动脉和静脉闭塞的磁力驱动穿越工具
WO2019045705A1 (en) MEDICAL DEVICE FOR INTERVENTION HAVING REDUCED RISK OF FR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