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471A - 다수의 호가 제공 기관을 통한 외환거래 중개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호가 제공 기관을 통한 외환거래 중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471A
KR20110139471A KR1020100059587A KR20100059587A KR20110139471A KR 20110139471 A KR20110139471 A KR 20110139471A KR 1020100059587 A KR1020100059587 A KR 1020100059587A KR 20100059587 A KR20100059587 A KR 20100059587A KR 20110139471 A KR20110139471 A KR 20110139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itution
transaction
foreign
rate
foreign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8692B1 (ko
Inventor
조성윤
Original Assignee
서울외국환중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외국환중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외국환중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69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9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Abstract

해외기관으로부터 호가를 수신받아 국내 외국환거래 기관에 제공하고, 해외기관으로부터 수신된 호가와 국내기관들로부터 접수된 호가를 비교 및 매칭하여 체결시키는 방식으로, 수요자 상호 간의 호가 방식을 통해 외국환의 거래를 중개해 주는 외환거래 중개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외환거래를 중개해 주는 방법은, 전용선 또는 인터넷을 통해 외국환을 거래하는 해외기관의 호가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국내 외국환 거래기관에 제공하고, 상기 국내 외국환 거래기관으로부터 호가를 접수하는 호가 접수 단계와; 주문 발생시 상기 해외기관으로부터 수신된 호가와 외국환 거래기관으로부터 접수된 호가를 기반으로 외환거래를 중개해 주는 거래중개단계를 통해, 외환거래를 중개해 주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수의 호가 제공 기관을 통한 외환거래 중개방법{Method for intermediation of foreign exchange dealings through multi price providers}
본 발명은 외환거래 중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외기관으로부터 호가를 수신받아 국내 외국환거래 기관에 제공하고, 해외기관으로부터 수신된 호가와 국내기관들로부터 접수된 호가를 비교 및 매칭하여 체결시키는 방식으로, 수요자 상호 간의 호가 방식을 통해 외국환을 중개해 주는 외환거래 중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은행들이 외국환을 매수하거나 매도하기 위해서는 해외기관이 제공하는 인터넷 기반의 거래 플랫폼을 설치하여 외환거래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외환거래 방법은, 특정 해외기관과의 1:1거래이기 때문에, 호가의 호부, 통화의 종류, UI 등에 대해서 상대기관에 종속적인 거래를 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거래이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다는 단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요자 상호 간의 호가 방식을 통해 외국환의 거래를 온라인 상에서 중개해 주되, 경쟁력 있는 복수의 해외기관으로부터 호가를 받아 가장 좋은 호가를 국내 외국환거래 기관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외환거래 중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해외기관으로부터 호가를 수신받아 국내 외국환거래 기관에 제공하고, 해외기관으로부터 수신된 호가와 국내기관들로부터 접수된 호가를 비교 및 매칭하여 체결시키는 외환거래 중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외환거래시 수요자 쌍방의 상호 이익을 도모하기 위한 외환거래 중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해외기관과 전용선을 통해 외환거래를 함으로써, 빠른 거래 속도를 도모해 주고 보안 유지가 가능토록 한 외환거래 중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다양한 해외 호가 기관별 제공방식(호가, UI)을 통일화하여 국내 외국환거래 기관의 거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한 외환거래 중개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환거래 중개방법"은,
전용선을 통해 외국환을 거래하는 해외기관의 호가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국내 외국환 거래기관에 제공하고, 상기 국내 외국환거래기관으로부터 호가를 접수하는 호가 접수 단계와;
주문 발생시 상기 해외기관으로부터 수신된 호가와 국내 외국환 거래기관으로부터 접수된 호가를 기반으로 외환거래를 중개해 주는 거래중개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호가 접수 단계는,
연계기관통신 애플리케이션에서 웹 서버에 위치한 기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과의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해외기관의 호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해외기관의 이전 접수되었던 호가를 삭제하고 새로운 호가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호가 접수 단계는,
상기 새로운 호가의 등록시 주문을 구분하여, 통화별로 매수주문일 경우 높은 매매율, 매도주문일 경우 낮은 매매율, 접수 시간 순으로 나열하여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래중개단계는,
상기 해외기관에서 호가가 수신될 경우,
국내 호가 접수리스트를 검색하여 대응되는 매매율이 존재하는지를 검색하여, 대응되는 매매율이 존재할 경우 바로 거래 체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거래 체결 요청 후 응답이 성공이면 체결로 확인하고, 상기 응답이 실패면 기존 호가들과 매매율을 비교하여 상기 기존 호가들의 매매율에 따라 접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거래중개단계에서의 대응되는 매매율은 매수와 매도 호가 매매율이 같으면 대응하고, 매매율이 다른 경우 국내기관 주문에 유리하게 대응하며, 국내 두 기관의 매매율이 정확히 일치할 경우 대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거래중개단계는,
상기 대응되는 매매율이 없으면 기존 호가 접수 내역과 매매율을 비교하여, 상기 매매율보다 더 좋은 호가보다는 뒤에, 상기 매매율보다 안 좋은 호가보다는 앞의 위치로 호가 위치를 결정하여 접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래중개단계는,
상기 국내 외국환거래기관의 주문이 수신될 경우,
국내 및 해외 접수 리스트를 검색하여 대응되는 접수 건이 존재하고, 해당 기관이 국내 외국환거래기관일 경우 바로 거래를 체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대응되는 접수 건이 해외기관일 경우 해당 접수 건에 대응하는 해외기관에 체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거래 체결 요청 후 응답이 성공이면 체결로 확인하고, 상기 응답이 실패면 기존 호가들과 매매율을 비교하여 상기 기존 호가들의 매매율에 따라 접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거래중개단계는,
상기 대응되는 매매율이 없으면 기존 호가 접수 내역과 매매율을 비교하여, 상기 매매율보다 더 좋은 호가보다는 뒤에, 상기 매매율보다 안 좋은 호가보다는 앞의 위치로 호가 위치를 결정하여 접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환거래를 위한 수요자 상호 간의 호가 방식을 통해 외환거래를 온라인 상에서 중개해 줌으로써, 편리하게 외환거래를 중개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해외기관으로부터 호가를 수신받아 국내 외국환거래 기관에 제공하고, 해외기관으로부터 수신된 호가와 국내기관들로부터 접수된 호가를 비교 및 매칭하여 거래를 체결시킴으로써, 외환거래시 수요자 쌍방의 상호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해외기관과 전용선을 통해 외환거래를 함으로써, 빠르게 거래가 가능하며, 전용선에 의해 보안 유지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해외 호가 기관별 제공방식(호가, UI)을 통일화할 수 있어, 국내 외국환거래 기관의 거래 편의를 도모해 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환거래 중개방법"의 전체 애플리케이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연계기관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이종통화 접수/체결 엔진의 상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환거래 중개방법"의 전체 애플리케이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연계기관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상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이종통화 접수/체결 엔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참조부호 420은 중개 원이나 은행 딜러와 같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접속 단말로서,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PC)를 의미한다.
참조부호 410은 단말 서버 데몬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400은 접속되는 단말들로부터 주문/조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문/조회 정보 요청에 따른 업무 처리 결과를 상기 사용자 접속 단말(420)에 제공해 주는 단말 서버를 나타낸다.
기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APP)(110)은 웹(WEB)서버 단에 위치하고, 국내 외국환 거래기관 및 외국환을 거래하는 해외 기관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한다. 즉, 해외기관과 직접 연결을 하여 호가를 수신하고 체결 요청 및 응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연계기관통신 애플리케이션(210)은 상기 기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110)과 실제 외환거래중개를 수행해 주는 이종통화 접수/체결 엔진(300)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계기관통신 애플리케이션(210)은 호가를 수신하여 접수전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접수전문을 이종통화 접수/체결 엔진(300)에 전달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종통화 접수/체결 엔진(300)은 외국환 매수 및 매도에 대한 주문 발생시 상기 해외기관으로부터 수신된 호가와 국내 외국환 거래기관으로부터 접수된 호가를 기반으로 외환거래를 중개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연계기관통신 애플리케이션(210)과 이종통화 접수/체결 엔진(300)이 외환거래를 온라인 상에서 중개해 주는 중개 서버라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기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210)에서 전용선 또는 인터넷을 통해 외국환을 거래하는 해외기관의 호가를 실시간으로 수신받게 되고, 이종통화 접수/체결 엔진(300)에서 상기 수신받은 해외기관의 호가를 국내 외국환 거래기관에 제공하고, 상기 국내 외국환거래기관으로부터 호가를 접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본 발명에서는 호가 접수 단계라고 부른다.
아울러 이종통화 접수/체결 엔진(300)에서는 주문 발생시 상기 해외기관으로부터 수신된 호가와 외국환 거래기관으로부터 접수된 호가를 기반으로 외환거래를 중개해 주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본 발명에서는 거래중개단계라고 부른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계기관통신 애플리케이션(210)은 웹 서버에 위치한 기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110)과 통신을 통해 해외기관과 접속을 하여, 실시간으로 해외기관의 호가(시세)를 수신한다(211).
다음으로, 연계기관통신 애플리케이션(210)은 상기 수신한 해외기관의 호가를 접수하고, 접수 전문을 생성하여 시세 및 접수번호 저장 단계(213)를 통해 시세접수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 접수 정보를 등록함과 동시에 이종통화 접수/체결 엔진(300)에 이를 전송한다. 이러한 호가 수신 및 접수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접수 전문은 접수번호, 참가기관코드, 딜러ID, 거래통화(USD/JYP 등), 거래일, 결제일, 주문구분(매수(buy), 매도(sell)), 매매율, 주문금액, 주문시간, 호가ID 등을 포함한다.
이종통화 접수/체결 엔진(300)은, 상기 연계기관통신 애플리케이션(210)을 통해 접수 전문을 받게 되면, 특정 해외기관의 최초 호가인지를 확인하여 최초 호가인 경우에는 새로운 호가로 접수하고(304), 이와는 달리 상기 특정 해외기관에서 이전에 접수된 호가가 존재할 경우에는 이전에 접수되었던 호가를 삭제하고, 상기 수신된 호가를 새로운 호가로 접수하게 되며(302)(303)(304), 시세를 처리하게 된다(301). 이렇게 처리된 시세는 단말 서버(400)에 제공되어, 국내 외국환 거래기관에 제공된다.
이때, 상기 새로운 호가의 접수시 주문을 구분하여, 통화별로 매수주문일 경우 높은 매매율, 매도주문일 경우 낮은 매매율, 접수 시간 순으로 나열하여 접수를 하게 된다.
새로운 호가가 입력되면 이종통화 접수/체결 엔진(300)은, 거래중개단계를 수행한다. 즉, 새로운 호가가 상기 해외기관에서 수신된 경우, 메모리에서 시세접수 리스트를 검색하여 대응되는 매매율이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
여기서 대응되는 매매율은, 매수/매도(buy/sell) 호가 매매율이 같으면 대응되는 매매율로 간주하고, 매매율이 다른 경우 국내기관 주문에 유리하게 대응(해외기관 호가의 매매율로 체결)하는 매매율로 간주하며, 국내기관끼리는 두 기관의 매매율이 일치하거나 선주문에 유리하게(후주문 매매율로) 대응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예컨데 ,"USDJPY' 89.81 buy"라는 해외기관 접수 건이 발생했으며, 국내 기관 1이 89.81의 매매율로 신규주문(sell)한 경우, "89.81"으로 해외기관에 거래 체결을 요청하고, 국내 기관 2가 "89.82"의 매매율로 신규 주문(sell)한 경우 "89.82"으로 접수를 하고, 국내기관3이 "89.80"의 매매율로 신규 주문(sell)한 경우, 주문은 "89.80" 으로 했지만 해외기관의 매매율인 "89.81"으로 해외기관에 거래 체결을 요청한다. 이경우 체결 응답이 "성공"이면 국내기관 3은 "89.81"으로 매도를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USDJPY' 89.81 buy"라는 국내기관 선 접수 건이 발생했으며, 국내 기관 1이 89.81의 매매율로 신규주문(sell)한 경우, "89.81"으로 체결이 되고, 국내 기관 2가 "89.82"의 매매율로 신규 주문(sell)한 경우 "89.82"으로 접수를 하고, 국내기관3이 "89.80"의 매매율로 신규 주문(sell)한 경우, '89.80'으로 선주문에 유리하게 (후주문 매매율로) 체결이 된다.
즉, 해외기관으로부터 새로운 호가가 입력되고, 국내 호가 접수리스트를 검색하여 대응되는 매매율이 존재할 경우, 바로 거래 체결을 요청하게 되고(214), 상기 거래 체결 요청 후 응답이 "성공"이면 거래 체결이 이루어지며, 이와는 달리 상기 응답이 "실패"면 기존 호가들과 매매율을 비교하여 상기 기존 호가들의 매매율에 따라 접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즉, 새로운 호가와 기존 호가들의 매매율을 비교하여, 더 좋은 호가보다는 뒤에, 더 안 좋은 호가보다는 앞의 위치로 호가 위치를 결정하여 접수를 하게 된다(304). 이러한 이종통화 거래 체결 정보는 이종통화 체결정보 데이터베이스(330)에 등록된다. 여기서 더 좋은 호가는 매수 주문일 경우 높은 매매율, 매도 주문일 경우 낮은 매매율을 의미하며, 더 안 좋은 호가는 상기 경우를 적용하여 분석한다. 호가 체결 정보를 연계기관 체결정보 데이터베이스(260)에 등록된다.
또한, 새로운 호가 입력되고, 국내 호가 접수리스트를 검색하여 대응되는 매매율이 없으면, 기존 접수 내역과 매매율을 비교하여, 더 좋은 호가보다는 뒤에, 더 안 좋은 호가보다는 앞의 위치로 호가 위치를 결정하여 접수를 하게 된다(304).
여기서 외환거래 중개가 이루어지면 단말 서버(400)에 업무처리 결과를 전송하여, 국내 외국환 거래기관이나 중개원, 은행 딜러가 그 결과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국내 외국환거래기관의 주문이 발생한 경우, 메모리의 국내 및 해외 접수 리스트를 검색하여 대응되는 접수 건이 존재하면, 해당 기관이 국내 외국환거래기관인지를 확인하여 국내 외국환 거래기관이면 바로 거래를 체결시키게 되고(304), 그 결과를 이종통화 체결 정보 데이터베이스(330)에 등록함과 동시에 단말 서버(400)에 전송해준다.
아울러 대응되는 접수 건이 존재하고, 해당 기관이 해외기관일 경우, 해당 접수 건에 대응하는 해외기관에 체결을 요청한다(214). 상기 거래 체결 요청 후 응답이 "성공"이면 체결로 확인하고(214), 그 체결 확인 정보를 이종통화 체결 정보 데이터베이스(330)에 등록함과 동시에 단말 서버(400)에 전송하고, 아울러 기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110)을 통해 해당 해외기관에도 결과를 알려주게 된다.
또한, 상기 응답이 "실패"면 기존 호가들과 매매율을 비교하여 상기 기존 호가들의 매매율에 따라 접수 위치를 결정하여 등록하게 된다. 즉, 상기 대응되는 매매율이 없으면 기존 호가 접수 내역과 매매율을 비교하여, 상기 매매율보다 더 좋은 호가보다는 뒤에, 상기 매매율보다 안 좋은 호가보다는 앞의 위치로 호가 위치를 결정하여 접수하게 된다.
여기서 국내 기관의 주문이 발생한 상태에서, 국내/해외 접수 리스트를 검색하여 대응되는 접수 건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도, 기존 호가 접수 내역과 매매율을 비교하여, 상기 매매율보다 더 좋은 호가보다는 뒤에, 상기 매매율보다 안 좋은 호가보다는 앞의 위치로 호가 위치를 결정하여 접수하게 된다.
호가 접수 이후에는 새로운 호가가 발생할 때마다, 외환거래 중개를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하게 되고, 거래가 체결되면 그 결과를 당사자 상호 간에 알려주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환거래를 위한 수요자 상호 간의 호가 방식을 통해 외국환의 거래를 온라인 상에서 중개해 주되, 경쟁력 있는 복수의 해외기관으로부터 호가를 받아 가장 좋은 호가를 국내 외국환거래 기관에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해외기관으로부터 호가를 수신받아 국내 외국환거래 기관에 제공하고, 해외기관으로부터 수신된 호가와 국내기관들로부터 접수된 호가를 비교 및 매칭하여 거래를 체결시킴으로써, 외환거래시 수요자 쌍방의 상호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해외기관과 전용선을 통해 외환거래를 할 수 있어, 빠르게 거래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으며, 전용선의 사용으로 인해 보안 유지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해외 호가 기관별 제공방식(호가, UI)을 통일화할 수 있어, 국내 외국환거래 기관의 거래 편의를 도모해 주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기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
210: 연계기관통신 애플리케이션
250: 시세 접수정보 데이터베이스
300: 이종통화 접수/체결 엔진

Claims (9)

  1. 외환거래를 중개해 주는 방법에 있어서,
    전용선 또는 인터넷을 통해 외국환을 거래하는 해외기관의 호가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국내 외국환 거래기관에 제공하고, 상기 국내 외국환 거래기관으로부터 호가를 접수하는 호가 접수 단계와;
    주문 발생시 상기 해외기관으로부터 수신된 호가와 외국환 거래기관으로부터 접수된 호가를 기반으로 외환거래를 중개해 주는 거래중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거래 중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가 접수 단계는,
    연계기관통신 애플리케이션에서 웹 서버에 위치한 기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과의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해외기관의 호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해외기관의 이전 접수되었던 호가를 삭제하고 새로운 호가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거래 중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가 접수 단계는,
    상기 새로운 호가의 등록시 주문을 구분하여, 통화별로 매수주문일 경우 높은 매매율, 매도주문일 경우 낮은 매매율, 접수 시간 순으로 나열하여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거래 중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중개단계는,
    상기 해외기관에서 호가가 수신될 경우,
    국내 호가 접수리스트를 검색하여 대응되는 매매율이 존재하는지를 검색하여, 대응되는 매매율이 존재할 경우 바로 거래 체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거래 체결 요청 후 응답이 성공이면 체결로 확인하고, 상기 응답이 실패면 기존 호가들과 매매율을 비교하여 상기 기존 호가들의 매매율에 따라 접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거래 중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중개단계에서의 대응되는 매매율은, 매수와 매도 호가 매매율이 같을 경우, 또는 매매율이 다른 경우 국내기관 주문에 유리하게 대응시키고, 국내기관끼리의 대응은 두 기관의 매매율이 일치하거나 선주문에 유리할 (후주문 매매율로) 경우 대응되는 매매율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거래 중개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중개단계는,
    상기 대응되는 매매율이 없으면 기존 호가 접수 내역과 매매율을 비교하여, 상기 매매율보다 더 좋은 호가보다는 뒤에, 상기 매매율보다 안 좋은 호가보다는 앞의 위치로 호가 위치를 결정하여 접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거래 중개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중개단계는,
    상기 국내 외국환거래기관의 주문이 수신될 경우,
    국내 및 해외 접수 리스트를 검색하여 대응되는 접수 건이 존재하고, 해당 기관이 국내 외국환 거래기관일 경우 바로 거래를 체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대응되는 접수 건이 해외기관일 경우 해당 접수 건에 대응하는 해외기관에 체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거래 체결 요청 후 응답이 성공이면 체결로 확인하고, 상기 응답이 실패면 기존 호가들과 매매율을 비교하여 상기 기존 호가들의 매매율에 따라 접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거래 중개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중개단계는,
    상기 대응되는 매매율이 없으면 기존 호가 접수 내역과 매매율을 비교하여, 상기 매매율보다 더 좋은 호가보다는 뒤에, 상기 매매율보다 안 좋은 호가보다는 앞의 위치로 호가 위치를 결정하여 접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거래 중개방법.
  9. 외환거래를 중개하여 주는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외국환을 거래하는 해외기관의 호가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국내 외국환 거래기관에 제공하고, 상기 국내 외국환 거래기관으로부터 호가를 접수하는 호가 접수 단계와;
    주문 발생시 상기 해외기관으로부터 수신된 호가와 외국환 거래기관으로부터 접수된 호가를 기반으로 외환거래를 중개하여 주는 거래중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호가 접수 단계는,
    연계기관 통신 애플리케이션에서 웹 서버에 위치한 기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과의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해외기관의 호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해외기관의 이전 접수되었던 호가를 삭제하고 새로운 호가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중개단계는,
    상기 해외기관에서 호가가 수신될 경우, 국내 호가 접수리스트를 검색하여 대응되는 매매율이 존재하는지를 검색하여, 대응되는 매매율이 존재할 경우 바로 거래 체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거래 체결 요청 후 응답이 성공이면 체결로 확인하고, 상기 응답이 실패면 기존 호가들과 매매율을 비교하여 상기 기존 호가들의 매매율에 따라 접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국내 외국환 거래기관의 주문이 수신될 경우, 국내 및 해외 접수 리스트를 검색하여 대응되는 접수 건이 존재하고, 해당 기관이 국내 외국환 거래기관일 경우 바로 거래를 체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대응되는 접수 건이 해외기관일 경우 해당 접수 건에 대응하는 해외기관에 체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거래 체결 요청 후 응답이 성공이면 체결로 확인하고, 상기 응답이 실패면 기존 호가들과 매매율을 비교하여 상기 기존 호가들의 매매율에 따라 접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환거래 중개방법.
KR1020100059587A 2010-06-23 2010-06-23 다수의 호가 제공 기관을 통한 외환거래 중개방법 KR101188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587A KR101188692B1 (ko) 2010-06-23 2010-06-23 다수의 호가 제공 기관을 통한 외환거래 중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587A KR101188692B1 (ko) 2010-06-23 2010-06-23 다수의 호가 제공 기관을 통한 외환거래 중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471A true KR20110139471A (ko) 2011-12-29
KR101188692B1 KR101188692B1 (ko) 2012-10-08

Family

ID=45504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587A KR101188692B1 (ko) 2010-06-23 2010-06-23 다수의 호가 제공 기관을 통한 외환거래 중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6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692B1 (ko) 201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8000B2 (en) Method and cryptographically secure peer-to-peer trading platform
US85777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ng auction item payments through a network portal
US8165952B2 (en) Electronic trading system
US20100017321A1 (en) Adaptive Implied Spread Matching
KR101659290B1 (ko)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중개방법
RU2730408C2 (ru) Способ проведения электронных онлайн торгов на электронной торговой площадке и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онлайн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832266B1 (ko) 중개센터를 이용한 인터넷 경매 방법
US201203108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mmercial paper funding via a communication network
JP6175307B2 (ja) 中古車流通システム
JP4891575B2 (ja) 外国為替取引システム
KR20080081212A (ko) 게임 캐릭터의 중개를 이용하는 게임 아이템 매매 시스템및 그 게임 아이템 매매 방법
KR100682633B1 (ko) 온라인 부동산중개 프랜차이즈 및 온라인 부동산·금융상품거래시장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60116430A (ko) 에스크로 시스템(Escrow System)을 통한 인터넷상의 회원권매매 방법
KR20110111621A (ko) 검증센터를 이용한 인터넷상의 중고품 판매 방법
US20180082363A1 (en) Online auction platform for invoice purchasing
KR102263953B1 (ko)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KR101188692B1 (ko) 다수의 호가 제공 기관을 통한 외환거래 중개방법
JP2015531123A (ja) 注文の事前マッチングリスク検証
KR101681889B1 (ko) 기업 간 거래 정보 공유 및 중개 시스템 운용 방법
US101340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ller-initiated financing in private sales
KR20130037762A (ko) 대출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11603A (ko) 외국환 거래 중개 시스템
JP2005501345A (ja) 金融マーケットを具現化する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20010110071A (ko) 인터넷을 통한 외환환전 중개 서비스 방법
KR20010025313A (ko) 채권 경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