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050A - 정제 코팅기 - Google Patents

정제 코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050A
KR20110139050A KR1020100059295A KR20100059295A KR20110139050A KR 20110139050 A KR20110139050 A KR 20110139050A KR 1020100059295 A KR1020100059295 A KR 1020100059295A KR 20100059295 A KR20100059295 A KR 20100059295A KR 20110139050 A KR20110139050 A KR 20110139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fixed plate
plate
hot ai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9828B1 (ko
Inventor
이원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Priority to KR1020100059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828B1/ko
Publication of KR2011013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5Coating of tabl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2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powders or particles to foodstuffs, e.g. for breading; Such apparatus combined with means for pre-moistening or battering
    • A23P20/13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powders or particles to foodstuffs, e.g. for breading; Such apparatus combined with means for pre-moistening or battering involving agitation of the foodstuff inside a rotating apparatus, e.g. a dr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약품이나 식품 정제(錠劑)등의 표면에 소정의 의약 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로된 코팅액을 도포하기 위한 정제 코팅기에 관한 것으로서, 드럼과; 상기 드럼에 축연결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드럼에 전달하는 샤프트와; 상기 드럼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과; 상기 회전판과 이격되어 설치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급기공과; 상기 급기공에 연결된 열풍유입관과;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배기공과; 상기 배기공에 연결된 열풍배출관을 포함하여, 정제 코팅기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단가를 낮추며, 구동축의 크기를 줄이면서 급기량 및 배기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제 코팅기{Do pill form product coating chapter}
본 발명은 의약품이나 식품 정제(錠劑)등의 표면에 소정의 의약 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로된 코팅액을 도포하기 위한 정제 코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드럼 내부에 각종 정제(錠劑)를 충진하고 열풍을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열풍유입관과 열풍배출관이 구비되어 열풍을 순환하면서 드럼 내부의 각종 정제(錠劑)에 코팅액을 분사하면서 정제(錠劑)를 코팅한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제 코팅기는 공개특허공보 제1984-0006291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2-17700호, 공개특허공보 제2003-0006690호, 공개특허공보 제2003-0091474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087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열풍유입관과 열풍배출관이 서로 독립되어 설치되어 열풍을 순환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열풍유입관과 열풍배출관을 별개로 형성해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정제 코팅기의 생산단가를 낮추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2003-0006690호, 공개특허공보 제2003-0091474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0877호는 드럼구동축내에 외부의 열풍유입관과 연통되며 선단이 드럼내부로 삽입설치되는 열풍급기통로가 형성되며,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한 환기공을 통해 열풍배기통로로 배기되어 열풍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열풍이 배출되는 구조이다. 이로 인해, 열풍유입관이 드럼구동축 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구동축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고, 급기량이 일정하게 조절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984-0006291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2-17700호, 공개특허공보 제2003-0006690호, 공개특허공보 제2003-0091474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087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제 코팅기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단가를 낮추며, 구동축의 크기를 줄이면서 급기량 및 배기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정제 코팅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드럼과; 상기 드럼에 축연결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드럼에 전달하는 샤프트와; 상기 드럼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과; 상기 회전판과 이격되어 설치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급기공과; 상기 급기공에 연결된 열풍유입관과;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배기공과; 상기 배기공에 연결된 열풍배출관을 포함한다.
또한, 지지 프레임과; 상기 고정판과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서 설치되어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의 간격을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고정판에 연결된 제1로드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된 제2로드와; 상기 제1로드 및 상기 제2로드를 연결하면서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고정판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3로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3로드를 회전하여 상기 고정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의 간격을 조절한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에 축연결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드럼에 전달하는 샤프트와; 상기 드럼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통공과; 열풍유입관과 열풍배출관이 일체로 구비된 급배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급배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방에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열풍유입관 및 상기 열풍배출관에 각각 연결되는 급기공 및 배기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급기공 및 상기 배기공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축대칭되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은 상기 회전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급기공은 상기 고정판의 중심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기공은 상기 고정판의 중심 하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첫째로, 급배기 지지 플레이트는 열풍유입관과 열풍배출관이 일체로 구비하므로 장치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둘째로, 열풍유입덕트를 구동축과는 별개로 제조하게 되므로 구동축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셋째로, 열풍 급기량과 열풍 배기량이 항상 동일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정제의 코팅 및 건조가 고르게 달성된다.
넷째로, 회전판과 고정판의 이격 공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이격 공간으로 열풍이 새어나가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 코팅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 코팅기의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 코팅기의 드럼을 샤프트와 분리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 코팅기 구동부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 코팅기의 급배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길이조절수단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길이조절수단을 확대한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 코팅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 코팅기의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 코팅기의 드럼을 샤프트와 분리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 코팅기 구동부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 코팅기의 급배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길이조절수단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길이조절수단을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 코팅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의 전면에 도어(20)가 형성된다. 정제 코팅기(1)의 후방으로는 공압실(30), 전기실(40) 및 기계실(50)이 형성된다.
캐비닛(10)의 상면으로는 열풍유입관(400) 및 열풍배출관(500)이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 코팅기(1)는 드럼(1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드럼(100)에는 샤프트(200)가 체결되어, 모터(51)의 구동력을 드럼(100)에 전달하여 드럼(100)을 회전시킨다.
드럼(100)의 후방에는 드럼(10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150)이 일체로 형성된다. 회전판(150)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통공(151)이 형성된다. 회전판(150)의 중앙에는 보스(153)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샤프트(200)와 체결되어 샤프트(200)의 회전력을 드럼(100)에 전달한다.
드럼(100)의 외주면에는 덕트(110)가 복수개 형성되며, 각각의 덕트(110)는 통공(151)과 연결된다.
회전판(150)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급배기 지지 플레이트가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급배기 지지 플레이트는 열풍유입관(400), 열풍배출관(500) 및 고정판(300)을 포함한다.
고정판(300)은 급배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방에 위치하며, 전체적으로 원형판 모양으로 형성된다. 고정판(300)의 중앙에는 샤프트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우측 상단에는 급기공(310)이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좌측 하단에는 배기공(330)이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고정판(300)의 중심 상부에 형성된 급기공(310)은 드럼(100) 내부로 뜨거운 열풍을 유입시키게 되며, 드럼(100) 내부에서 차가워진 열풍은 고정판(300)의 중심 하부에 형성된 배기공(330)을 통해 유출된다. 급기공(310)과 배기공(330)이 각각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 드럼(100) 내부에서 자연스러운 열순환을 유도한다.
급배기 지지 플레이트의 우측에는 열풍유입관(400)이 형성되고, 좌측에 열풍배출관(500)이 형성된다. 열풍유입관(400)은 열풍유입덕트(410)를 통해 급기공(310)에 연결되며, 열풍배출관(500)은 열풍배출덕트(510)를 통해 배기공(330)에 연결된다.
고정판(300)의 3군데에는 돌출편(350)이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편(350)에는 길이조절수단(700)이 결합되어, 돌출편(350)을 지지프레임(600)에 고정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드럼(100)의 회전판(150)과 급배기 지지 플레이트의 고정판(300)은 소정 간격 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로써, 회전판(150)은 구동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반면에, 고정판(300)은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드럼(10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판(150)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판(150)에 형성된 통공(151)은 고정판(300)의 급기공(310) 및 배기공(330)과 연통 및 차단을 반복한다.
회전판(150)에 형성된 통공(151)은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고정판(300)에 형성된 급기공(310) 및 배기공(330)도 축대칭되어 형성되므로, 급기공(310)을 통해 드럼(100)에 유입되는 열풍량 및 배기공(330)을 통해 드럼(100)으로부터 유출되는 열풍량이 항상 일정하게 조절된다. 또한, 급기공(310)의 크기와 배기공(330)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급기공(310)을 통해 드럼(100)에 유입되는 열풍량 및 배기공(330)을 통해 드럼(100)으로부터 유출되는 열풍량이 항상 동일하게 조절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모터(51)의 회전은 벨트(55)를 통해 샤프트(200)를 회전시키며, 드럼(100)의 보스(153)는 샤프트(200)에 체결되어 결국 모터(51)의 회전으로 드럼(100)을 회전시킨다. 드럼(100)이 회전함에 따라, 드럼(100)에 형성된 회전판(150)도 함께 회전한다.
급배기 지지 플레이트는 고정판(300)에 체결된 길이조절수단(700)을 통해 지지 프레임(600)에 고정된다.
길이조절수단(700)은 드럼(100)과 급배기 지지 플레이트와의 동심(同心)을 유지하도록 한다. 길이조절수단(700)은 고정판(300)과 지지 프레임(600) 사이에서 설치되어 고정판(300)과 회전판(150)의 간격을 조절한다.
회전판(150)과 고정판(300)의 이격 간격으로 급기공(310)의 유입 열풍과 배기공(330)의 유출 열풍이 새어 나가기 때문에, 간격은 좁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풍이 특정한 방향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회전판(150)과 고정판(300)의 이격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길이조절수단(700)은 회전판(150)에 대한 고정판(300)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여, 장기간 사용에 따라 회전판(150)과 고정판(300)의 이격 간격이 변경될 경우 이를 재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판(150) 및 고정판(300)의 초기 일정하게 유지된 이격 간격이 변경되더라도 이를 재조정하여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회전판(150)과 고정판(300)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드럼(100)의 하부에는 싱크대(800)가 설치되며, 열풍 유입 덕트 (410), 열풍 배출덕트(510) 후면에 설치되는 노즐에 의해 고압 세척시 발생하는 폐수를 응집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길이조절수단(700)은 제1로드(710), 제2로드(720) 및 제3로드(730)를 포함한다.
제1로드(710)는 고정판(300)의 돌출편(350)에 연결되며, 제2로드(720)는 지지프레임(600)에 연결된다. 제2로드(720)는 단부에 지지편(721)이 형성되어 지지편(721)을 지지프레임(600)에 고정함으로써 제2로드(720)는 지지프레임(600)에 연결된다. 제2로드(720)와 지지편(721)의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2로드(720)의 외주면과 지지편(721)를 동시에 결합하는 보강편(723)이 형성된다.
제1로드(710)과 제2로드(720) 사이에는 이 둘을 연결하면서 고정판(300)과 지지프레임(600)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3로드(730)가 형성된다.
제3로드(730)의 외주면에는 육각조임부(731)가 형성되며, 육각조임부(731)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1로드(710) 및 제2로드(720)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됨으로써, 지지 프레임(600)과 고정판(300)의 거리를 조절한다.
지지프레임(600)은 고정 상태를 유지하므로 육각조임부(731)를 전, 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면, 고정판(300)이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판(300)과 회전판(150)의 간격이 조절된다.
제1너트(740) 및 제2너트(750)는 제1로드(710), 제2로드(720) 및 제3로드(730)간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로서, 제3로드(730)를 회전시켜서 고정판(300)의 위치를 조절한 후에는 제1너트(740) 및 제2너트(750)로 제1로드(710), 제2로드(720) 및 제3로드(730)간의 위치를 고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열풍유입관, 열풍배출관 및 고정판이 일체로 구비된 급배기 지지 플레이트가 형성됨으로써, 이를 제조하는 생산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고,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판에 급기공 및 배기공을 형성하고, 급기공은 열풍유입관에 연결되고, 배기공은 열풍배출관에 연결되며, 고정판과 이격된 위치에 통공이 형성된 회전판을 형성함으로써 열풍의 급기량과 배기량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판과 회전판의 이격된 간격은 고정판의 일측에 형성된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사용 전,후에 결쳐 재조정이 가능하므로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드럼 110 : 덕트
150 : 회전판 151 : 통공
153 : 보스 200 : 샤프트
300 : 고정판 310 : 급기공
330 : 배기공 350 : 돌출편
400 : 열풍유입관 410 : 열풍유입덕트
500 : 열풍배출관 510 : 열풍배출덕트
600 : 지지프레임 700 : 길이조절수단
710 : 제1로드 720 : 제2로드
730 : 제3로드 740 : 제1너트
750 : 제2너트 800 : 싱크대

Claims (6)

  1. 드럼과;
    상기 드럼에 축연결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드럼에 전달하는 샤프트와;
    상기 드럼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과;
    상기 회전판과 이격되어 설치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급기공과;
    상기 급기공에 연결된 열풍유입관과;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배기공과;
    상기 배기공에 연결된 열풍배출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코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과;
    상기 고정판과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서 설치되어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의 간격을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코팅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고정판에 연결된 제1로드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된 제2로드와;
    상기 제1로드 및 상기 제2로드를 연결하면서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고정판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3로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3로드를 회전하여 상기 고정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코팅기.
  4.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에 축연결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드럼에 전달하는 샤프트와;
    상기 드럼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통공과;
    열풍유입관과 열풍배출관이 일체로 구비된 급배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급배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방에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열풍유입관 및 상기 열풍배출관에 각각 연결되는 급기공 및 배기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코팅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공 및 상기 배기공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축대칭되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은 상기 회전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코팅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공은 상기 고정판의 중심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기공은 상기 고정판의 중심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코팅기.
KR1020100059295A 2010-06-22 2010-06-22 정제 코팅기 KR101189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295A KR101189828B1 (ko) 2010-06-22 2010-06-22 정제 코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295A KR101189828B1 (ko) 2010-06-22 2010-06-22 정제 코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050A true KR20110139050A (ko) 2011-12-28
KR101189828B1 KR101189828B1 (ko) 2012-10-10

Family

ID=45504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295A KR101189828B1 (ko) 2010-06-22 2010-06-22 정제 코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8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87B1 (ko) * 2014-08-28 2014-12-10 주식회사 디에이치테크론 코팅시스템
CN107595633A (zh) * 2017-10-24 2018-01-19 福州法莫优科机械科技有限公司 药品生产装置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4407C2 (de) 2000-05-19 2003-12-04 Driam Anlagenbau Gmbh Vorrichtung zur Beschichtung von Granulaten und Kernen
KR200250877Y1 (ko) 2001-07-19 2001-11-17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정제 코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87B1 (ko) * 2014-08-28 2014-12-10 주식회사 디에이치테크론 코팅시스템
CN107595633A (zh) * 2017-10-24 2018-01-19 福州法莫优科机械科技有限公司 药品生产装置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9828B1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828B1 (ko) 정제 코팅기
CN105748296A (zh) 一种永磁取样检测制药装置
JP2008253910A (ja) コーティング装置
CN207790049U (zh) 一种用于玻璃纤维的打印装置
CN205659154U (zh) 一种永磁蒸汽制药生产线
CN110671910A (zh) 一种中药饮片烘干机
KR20170131126A (ko) 유리성형용 몰드 회전이송장치
CN106176224A (zh) 一种新型永磁取样制药机械流水线
KR101135162B1 (ko) 정제 코팅기
CN206392369U (zh) 一种蜂窝板涂层双面烘干装置
CN207629820U (zh) 一种用于循环式分子筛颗粒整形设备
CN210922052U (zh) 一种用于粉丝加工的烘干装置
CN201184737Y (zh) 微波真空动态水平旋转干燥设备
CN206568401U (zh) 一种用于鞋类生产制作的真空加硫定型机
KR101561561B1 (ko) 정제 코팅기용 코팅팬
CN211514234U (zh) 一种新型物料罐
CN109900085B (zh) 一种用于水产浓缩饲料加工的烘料装置
CN208730520U (zh) 一种层压装置
CN203785372U (zh) 干燥装置及具有该干燥装置的清洗机
CN209944928U (zh) 一种可快速烘干化工产品的烘干装置
CN105360195A (zh) 一种面条烘干机
CN207247770U (zh) 一种可进行物料均匀烘干的烘干机
CN217454625U (zh) 一种塑料膜加工干燥装置
JP2009189408A (ja) 浴室用物干し竿
CN105878028A (zh) 一种永磁蒸汽制药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