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8585A -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8585A
KR20110138585A KR1020100058554A KR20100058554A KR20110138585A KR 20110138585 A KR20110138585 A KR 20110138585A KR 1020100058554 A KR1020100058554 A KR 1020100058554A KR 20100058554 A KR20100058554 A KR 20100058554A KR 20110138585 A KR20110138585 A KR 20110138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light
crystal capsule
backlight unit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하
강승곤
Original Assignee
이미지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지랩(주) filed Critical 이미지랩(주)
Priority to KR1020100058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8585A/ko
Priority to PCT/KR2011/003610 priority patent/WO2011162483A2/ko
Publication of KR20110138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5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based o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e.g. microencapsulated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7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 G02F1/13476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in which at least one liquid crystal cell or layer assumes a scattering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71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a change of the texture state of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일부 투과, 일부 산란 및 일부 반사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종래 백라이트 유닛으로는 불가능했던 로컬 디밍(Local Dimming) 기술 및 스캐닝(Scanning)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발생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진행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과, 조사되는 광이 상기 액정패널의 일정 영역 내로 입사되도록 광의 진행 경로를 안내하는 프리즘 시트, 및 상기 반사판과 상기 프리즘 시트 사이에 개재되어, 입사되는 광의 선택적 투과를 제어하는 능동 확산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능동 확산판은 투명전극이 패턴닝 형성되어 있는 제1 투명기판과, 액정캡슐과 바인더가 혼합되어 상기 제1 투명기판의 일면 상에 인쇄 적층된 액정캡슐층, 및 상기 액정캡슐층의 일면 상에 적층되며 투명전극이 패턴닝 형성되어 있는 제2 투명기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투명전극 패턴에 인가되는 전원의 제어를 통해 상기 다수의 액정캡슐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액정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입사광의 선택적 투과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LCD BACK LIGHT UNIT HAVING SWITCHING FUNCTION}
본 발명은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광판의 일면에 적층 구비된 능동 확산판을 통해, 입사광을 그대로 통과시키는 투과 모드와 입사광의 투과를 저해하는 반사(내지 산란) 모드를 구현되는 영상 화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활발한 개발 및 발전으로 인해, 종래 CRT형 표시장치를 대체하는 다양한 표시장치 장치가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중에서도 액정표시장치(LCD)는 가볍고 박형이 가능하면서 소비 전력이 적으며 화면 떨림이 없어 눈의 피로를 덜 초래하고 선명도가 우수한 장점들로 인해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표시장치에 해당한다.
통상의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극이 형성된 한 쌍의 투명 기판과, 상기 한 쌍의 투명 기판 사이에 주입되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액정셀과, 상기 액정셀 각각에 공급될 비디오 신호를 전환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용 스위치로 이루어진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패널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므로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을 추가로 구비한다. 액정패널의 액정셀을 제어하여 백라이트 유닛에서 공급되는 광의 투과량이 조절함으로써 화면에 목적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서 크게 에지(edge)형과 직하형으로 구분된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이 액정패널 배면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고 광원 전면에 확산판이 구비되고 배면에 반사판을 배치하여 광을 액정패널에 조사하는 방식이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이 액정패널의 측면 하부에 위치하여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도광판에 의해 면광원으로 변환되어 액정패널에 조사되는 방식으로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형태이다.
도 1은 종래 LCD용 에지(edge)형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LCD용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발생하는 광원(1)과, 광원(1)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하는 도광판(3)과, 도광판(3)의 하면 및 측면으로 진행하는 광을 액정패널(8)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2)과, 도광판(3)을 경유한 광을 확산시키는 제1 확산판(4)과, 광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제1 및 제2 프리즘 시트(5,6)와, 제2 프리즘 시트(6)를 경유한 광을 확신시키는 제2 확산판(7)으로 구성되어 광원(1)에서 발생된 광을 액정패널(8)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입사시킨다.
이러한 종래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은 단순히 광을 발생시키고 경로를 안내하여 액정패널로 조사해 주는 수동적인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바, 광원 내지 도광판으로부터 나오는 빛 중 일부는 투과시키고, 일부는 산란(또는 반사)시키는 스위칭 기능은 수행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통상적으로 냉음극형광 램프(CCFL)를 광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종래 LCD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패널 전체에 걸쳐 일괄적으로 동일한 밝기의 빛을 내보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백라이트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밝기를 영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명암비 효과를 극대화하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기술과 조사되는 광의 점멸을 제어하여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움직이는 영상의 잔상을 제거하는 스캐닝(Scanning) 기술을 구현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백라이트 유닛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광판의 일면에 적층 구비된 능동 확산판을 통해,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일부 투과, 일부 산란 및 일부 반사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종래 백라이트 유닛으로는 불가능했던 로컬 디밍(Local Dimming) 기술 및 스캐닝(Scanning)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액정패널 배면에 구비되어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광을 발생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과, 조사되는 광이 상기 액정패널과 수직으로 입사되도록 광의 진행 경로를 안내하는 프리즘 시트와, 상기 반사판과 상기 프리즘 시트 사이에 개재되어 입사되는 광의 선택적 투과를 제어하는 능동 확산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능동 확산판은 제1 투명전극이 구비된 제1 투명기판과, 상기 제1 투명전극 상부에 액정캡슐과 바인더가 혼합되어 적층 형성되는 액정캡슐층과, 상기 액정캡슐층 상부에 적층되며, 패터닝 형성된 투명전극을 갖는 제2 투명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능동 확산팍은 상기 제1 투명전극 및 상기 제2 투명 전극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액정캡슐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액정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액정패널 측으로 공급되는 광의 선택적 투과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에 의하면, 액정패널을 통해 구현되는 영상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밝기 및 점멸을 선택적으로 조절 및 제어할 수 있어 명암비 효과를 극대화하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기술과 움직이는 영상의 잔상을 제거하는 스캐닝(Scanning) 기술을 구현할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화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3D 멀티 뷰(Multi-View)의 구현이 가능해지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LCD용 에지(edge)형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능동 확산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능동 확산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5 (a),(b) 및 (c)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능동 확산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은 다수의 액정캡슐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광의 일부 투과, 일부 산란 및 일부 반사를 제어하는 능동 확산판(100)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구성을 통해 종래 백라이트 유닛으로는 불가능했던 로컬 디밍(Local Dimming) 기술과 스캐닝(Scanning) 기능을 가능토록 하는 기술적 특징을 제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액정패널(8)의 배면 상에 구비되며, 세부적으로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10)과, 상기 광원(1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하는 도광판(30)과, 도광판(30)의 하측으로 진행하는 광을 액정패널(8)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20)과, 도광판(30)을 경유하여 입사되는 광을 선택적 투과하도록 제어하는 능동 확산판(100)과, 능동 확산판(100)을 경유한 광이 액정패널(8)의 일정 영역 내로 입사되도록 광의 진행 경로를 유도하는 프리즘 시트(40,50)와, 프리즘 시트(40,50)를 경유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6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확산판(60) 대신 보호필름을 구비할 수도 있다.
광원(10)은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광원,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냉음극형광 램프(CCFL)를 채용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에지(edge)형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성할 경우 광원은 액정패널(8)의 측면 하부(도광판 측면)에 위치하게 되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성한다면 광원이 액정패널(8) 배면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광판(30)은 액정패널(8)에 수평한 출사면과, 경사진 배면과, 출사면에 직각을 이루는 입사면으로 구성되고 일측면에는 광원(10)이 배치되어 상기 광원(10)으로부터 입사되는 선광을 면광으로 전환시킨다. 또한, 도광판(30)의 배면에는 반사판(20)이 대향 구비되는데, 반사판(20)은 도광판(30)의 배면으로 진행하는 광을 액정패널(8) 측(출사면 측)으로 반사시킴으로써 광손실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프리즘 시트는 능동 확산판(100)을 투과하여 액정패널(8)로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유도하기 위한 수단에 해당한다. 액정패널(8)에 입사되는 광은 수직을 이룰 때 광효율이 커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능동 확산판(100)에서 출사된 광의 진행각도를 액정패널(8)과 수직을 이루도록 두 매의 프리즘 시트 즉, 제1 프리즘 시트(40)와 제2 프리즘 시트(50)를 적층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프리즘 시트(40)와 제2 프리즘 시트(50)는 산과 골을 가지는 다수의 삼각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1 프리즘 시트(40)는 수평 배열 방향을 이루고 제2 프리즘 시트(50)는 수직 배열 방향을 이루며 상호 직교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능동 확산판(10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제1 프리즘 시트(40)와 제2 프리즘 시트(50)를 차례로 거치면서 상부의 액정패널(8)의 일정 영역에 수직으로 입사되도록 진행 경로를 안내받고, 제2 프리즘 시트(50)로부터 출사되어 액정패널(8)로 수직하게 진행하는 광은 액정패널(8)과 제2 프리즘 시트(50) 사이에 개재된 확산판(60)에 의해 2차적으로 확산된 후 액정패널(8)로 최종 입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10)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도광판(30)의 측면에 구비된 입사면을 통해 도광판(30) 내로 입사되면 경사진 배면과 반사판(20)에 의해 반사된 후 출사면을 경유하여 능동 확산판(100)으로 입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 확산판(100)은 도 3을 참조하면 일면에 제1 투명전극(115)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투명기판(110)과, 상기 제1 투명기판(110)과 대향 구비되고 대향면에 제2 투명전극(125)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투명기판(120)과, 액정캡슐과 바인더가 혼합되어 제1 투명기판(110)과 제2 투명기판(120)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캡슐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능동 확산판(100)은 액정 드롭렛(Droplet)을 형성한 후 고분자 바인더(binder)와 혼합함으로써 액정을 캡슐형태로 제조하고 이를 투명전극(115,125)이 각각 형성된 제1 투명기판(110)과 제2 투명기판(120) 사이에 적층시킨 고분자 액정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매우 얇고 가벼운 특징을 갖고 있다.
제1 투명기판(110) 및 제2 투명기판(120)은 글래스(Glass) 소재의 유리 기판은 물론, 탄성변형 가능한 유연성을 지닌 얇은 플라스틱 기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소재로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1 투명기판(110)과 제2 투명기판(120)의 각 일면에는 투명전극 박막이 기상 증착법 등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투명전극(115,125)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또는 투명한 도전성 폴리머류 등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액정캡슐층을 구성하는 액정캡슐은 상기 투명전극(115,125)에 인가되는 전원(80)에 따라 액정배열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입사광을 그대로 통과시키는 투과 모드와 입사광의 투과를 저해하는 반사(내지 산란) 모드를 상호 전환하는 스위칭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액정캡슐은 네마틱, 스멕틱, 콜레스터릭 및 카이랄스멕틱 액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네마틱 액정과 콜레스터릭 액정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대조비(Contrast)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코어물질인 액정에 일정량의 이색성 염료를 첨가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구현되는 영상 화면에 따라 액정패널 영역별로 광 밝기의 차등을 두고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능동 확산판(100)의 스위칭 기능을 통해, 도광판(30)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확산시키고 경로를 유도하여 액정패널 전체에 일괄적으로 조사해 주는 수동적인 기능만을 수행하는 종래 백라이트 유닛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 확산판(10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능동 확산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능동 확산판은 네마틱 액정캡슐(132)을 채용한 고분자 액정 필름 형태로 구성되되, 바람직하게는 능동 확산판의 액정캡슐층(130) 내부에 함유된 다수의 액정캡슐(132)은 제1 투명기판(110) 상에 모노레이어(Monolayer) 구조로 배열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최선이다. 이는, 모노레이어 형태로 액정캡슐층을 구성할 경우 입사광의 선택적 반사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입사광의 선택적 투과 시에는 높은 투과율을 보장할 수 있고 또한 능동 확산판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모노레이어 구조"에 대해 정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모노레이어 구조는 액정 분자 하나 하나가 일분자층으로 배열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액정이 모여 형성된 액정캡슐 하나 하나가 일분자층과 같은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의미한다. 즉, 액정캡슐층이 개재되어 있는 제1 투명기판과 제2 투명기판을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제1 투명기판과 제2 투명기판 사이에 액정캡슐이 단일층으로 배열되어 있다면 이는 모노레이어 구조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처럼 액정캡슐층이 모노레이어 구조를 갖도록 실제작하면 액정캡슐층 전체 영역에 걸쳐 모든 액정캡슐이 100% 단일층을 형성하도록 제작하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모노레이어 구조라함은 제1 투명기판 상부에 적층된 액정캡슐층의 전체 면적 대비 적어도 50% 이상의 면적에서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의 면적에서 액정캡슐이 단일층 구조로 배열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능동 확산판은 액정캡슐(132) 제조단계와, 액정캡슐층(130) 형성단계와, 액정캡슐 재배치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먼저, 액정캡슐(132) 제조 단계를 설명하면, 복합상분리법(Complex Coacervation), 멤브레인(Membrane) 유화법, 동시 중합법(In-situ Polymerization) 등을 이용하여 10 ~ 50㎛ 지름의 액정캡슐(132)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액정캡슐(132) 제조에 사용되는 액정으로는 네마틱 액정(131)을 사용하였다. 또한 제조되는 액정캡슐(132)은 상술한 네마틱 액정(131) 이외에 이색성 염료(Dichroic dye: 133) 및 카이랄 도펀트(Chiral dopa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본 발명의 제1 투명기판(110)에 인쇄되는 액정캡슐(132)은 코어물질인 액정의 드롭렛(Droplet)을 형성시키는 유화공정, 코아서베이션에 의한 캡슐화 공정, 캡슐외벽의 겔화공정, 캡슐외벽 경화공정 및 숙성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유화공정은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고속균질교반기(Homegenizer)나 멤브레인(Membrane) 유화장치를 이용하여 코어물질인 액정의 드롭렛(Droplet)을 형성시키는 공정으로서, 유화제로는 젤라틴, 아라비아검, 알부민, 알기네이트, 카제인과 같은 천연 유화제 내지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 아민과 같은 합성 유화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유화제는 젤라틴(Type-A, Sigma-Aldrich)과 아라비아 검(Arabia Gum, Fluka)을 사용하였고, 구체적으로 10% 아라비아검 수용액 360g에 이색성 염료를 녹인 액정(600g)을 한방울씩 떨어뜨리며 고속균질교반기 (Homogenizer)를 이용해 회전속도(rpm)를 6,500/7,500/8,500 순으로 높여가며 10여분 간 유화시켰다. 또한, 액정에 도핑된 이색성 염료로는 S-428, M-483, M-412(Mitsui Fine Chemical)를 사용하였다.
상술한 유화공정이 완료되면, 코아서베이션에 의한 캡슐화 공정으로 넘어간다. 코아서베이션에 의한 캡슐화 공정은 수용액의 pH 조절을 통해 수용성 고분자(젤라틴, 아라비아고무)의 코아서베이트를 형성하고, 젤라틴과 아라비아고무의 결합을 통한 캡슐 외벽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연산 또는 빙초산을 사용하여 pH를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10% 젤라틴 수용액 240g과 순수 600g을 투입하고 구연산을 이용하여 pH를 4.5로 조절하는 1차 젤라틴 수용액 첨가 단계를 거친 후, 일반 교반기로 이동하여 10% 젤라틴 수용액 120g과 순수 240g을 추가로 천천히 투입하고 구연산을 이용하여 pH를 4.4로 조절함으로써 코아서베이션이 완료된다.
코아서베이션은 콜로이드 계에서의 상분리 현상으로서, 콜로이드 물질의 침전이나 응집으로 콜로이드 리치(rich)층과 콜로이드 푸어(poor)층의 2가지 계로 분리되는 현상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젤라틴과 아라비아검이 pH 4.4 정도에서 서로 반대의 전하를 띠고 응집하게 되는데 이것이 코아서베이션 현상이다. 이처럼 코아서베이션 현상이 일어나면, 젤라틴은 양전하(+)를 띄게되고 아라비아검은 음전하(-)를 띄게 되어 서로 반대전하를 띄는 친수성 콜로이드가 정전기력에 의해 서로 엉겨붙으면서 액정캡슐(132)의 외벽을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코아서베이션에 의한 액정 캡슐화 공정이 완료되면, 겔화공정으로 넘어간다. 겔화공정은 온도변화를 통해 캡슐 외벽의 겔화를 진행하는 공정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온도를 40℃에서 20℃ 까지는 약 0.2℃/분의 냉각속도로 서냉시킨 후, 20℃에 도달하게 되면 10℃ 까지는 약 0.5℃/분의 냉각속도로 급냉시켰다. 또한, 급냉에 따른 저온에서 액정캡슐(132)이 뭉치지 않도록 교반기의 회전수를 높여서 교반해 준다.
겔화공정이 완료되면, 캡슐 외벽 경화공정으로 진입한다. 외벽 경화공정은 경화제를 첨가하여 캡슐 외벽을 경화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경화제는 글루타르알데하이드 또는 포름알데하이드를 사용하여 젤라틴의 아미노기와 가교반응시켜 캡슐을 경화시키면 완전한 마이크로캡슐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4g의 글루타르알데하이드를 천천히 투여함으로써 캡슐 외벽 경화공정을 진행하였다.
캡슐 외벽 경화공정을 거쳐 완전한 액정캡슐(132)의 제조가 완료되면, 약 1시간 정도 교반 후 실온에 방치하여 서서히 실온까지 온도를 올려준 후에 볼밀로 이동하여 약 24시간 정도 숙성함으로써 안정된 액정캡슐(132)을 최종 수득하게 된다.
상술한 제조 정을 통해 수득된 액정캡슐(132)은 세정 및 여과가 필요한데, 세정의 경우는 순수,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등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액정캡슐 여과공정은 원하는 사이즈를 갖춘 액정캡슐만을 획득하고, 액정캡슐 제조 공정에서 개입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여과지 또는 멤브레인 (Membrane)을 통해 달성가능하다.
세정 및 여과를 완료한 액정캡슐(132)은 제1 투명기판(110)의 일면 상에 적층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는 바인더(133)를 통해 달성가능하다. 즉, 투명한 재질의 바인더(133)에 액정캡슐(132)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시킨 후 상기 제1 투명기판(110)의 일면에 인쇄하여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액정캡슐(132)과 바인더(133)의 혼합 비율은 1:1 비율로 혼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되는 바인더(133)로는 폴리비닐알코올, 젤라틴, 포르말린레졸시농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산 수지, 멜라민, 메타크릴산 수지, 포름알데히드 수지, 불소계 수지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투명한 고분자 물질을 사용한다.
또한, 액정캡슐(132)과 바인더(133)가 혼합된 페이스트를 제1 투명기판(110)에 인쇄하기 전에 상기 혼합과정에서 바인더(133)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탈포 과정이 행해진다.
상술한 공정이 모두 완료되면 바인더(133)가 혼합된 액정캡슐(132)을 기판상에 인쇄하여 액정캡슐층(130)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투명기판(110)과 제2 투명기판(120)의 일면에는 제1 투명전극(115)과 제2 투명전극(1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제1 투명기판(110)과 제2 투명기판(120) 사이에 개재된 다수의 액정캡슐(132)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광의 일부 투과 및 일부 산란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제1 투명전극(115)과 제2 투명전극(125)이 일정한 모양을 갖고 규칙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패터닝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능동 확산판(100)은 이처럼 투명전극(115,125) 패턴에 인가되는 전원(80)을 조절하여 다수의 액정캡슐(132)을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액정배열의 변화를 차별적으로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입사광의 선택적 투과를 구현하게 된다.
제1 투명전극(115)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투명기판(110) 위에 액정캡슐(132)과 바인더(133)가 혼합된 페이스트를 인쇄하는 방법은 스크린 인쇄, 스텐실 프린팅, 오프셋 인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달성가능하며, 코팅방법으로는 그라비아 코팅, 나이프 코팅, 롤코팅, 다이코팅, 리버스 코팅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달성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캡슐(132)과 바인더(133)가 혼합된 페이스트를 제1 투명기판(110)의 제1 투명전극(115) 상에 인쇄하는 공정이 완료되면 액정캡슐층(130)의 형성이 완료된다.
그러나, 전술한 공정까지 진행된 액정캡슐층(130)은 이에 함유된 다수의 액정캡슐(132)이 바인더(133) 내부에서 무작위 배열되어 캡슐 상호 간에 중첩되거나 적층되어 있는 액정캡슐층(130)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능동 확산판(100)은 상기와 같이 복층의 무작위 배열 구조를 갖는 액정캡슐층(130)을 모노레이어(Mono-layer) 구조로 만들어 주기 위해 액정캡슐 재배치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노레이어 구조의 액정캡슐층(130)이란 도 3과 같이 바인더(133)와 혼합되어 있는 다수의 액정캡슐(132) 각각이 상호 적층 중복되지 않고 제1 투명기판(110) 위에 단층 구조로 배열되며 밀착되어 있는 형태를 지칭한다.
이러한 액정캡슐(132)의 모노레이어 구조는 다음과 같은 제조 방법을 통해 달성된다. 즉, 전술한 액정캡슐층(130) 형성단계를 통해 제1 투명기판(110)의 일면 상에 액정캡슐층(130)을 인쇄/코팅한 후, 상기 액정캡슐층(130)이 적층된 제1 투명기판(110)을 기계적으로 반복 진동시키는 것이다.
이처럼 제1 투명기판(110)의 기계적 진동을 실시하면, 바인더(133)와 섞여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액정캡슐(132) 입자들은 중력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러한 제1 투명기판(110)의 진동을 지속적으로 반복 실시하면 하강하는 액정캡슐(132) 입자는 제1 투명기판(110) 상에 이미 밀착 배치되어 있는 액정캡슐(132)들 사이의 간극에 압입되며 점차 모노레이어 형태를 이루고 있는 배치 구조로 정렬된다. 상술한 액정캡슐(132)의 하강 및 재배치는 바인더(133)에 비해 비중이 높은 액정캡슐(132)의 물성과 각 캡슐 입자 자체가 형성하는 부피 그리고 중력을 활용하여 이에 기계적 반복 진동을 가해줌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1 투명기판(110)의 반복 진동에 의한 액정캡슐(132)의 하강 및 간극 삽입 동작을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반복 진동은 제1 투명기판(110)의 면 방향으로 좌우 왕복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면 방향"이란 제1 투명전극(115)이 형성된 제1 투명기판(110)의 일면에 평행한 방향을 지칭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작된 네마틱 액정캡슐층(130)을 갖는 능동 확산판(100)은 투명전극(115,125) 패턴에 인가되는 전원(80)의 제어를 통해 스위칭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스위칭 기능에 의한 선택적 광 투과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80)이 인가되지 않아 오프(Off) 상태에 있는 투명전극 패턴 영역(도3의 좌측 영역)의 상부에 위치하는 액정캡슐(132)은 그 내부에 있는 네마틱 액정(131')들이 무작위 배열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도광판(30)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굴절률 차이로 인해 산란 현상이 야기되어 투과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액정패널에 조사되는 광의 밝기가 어두워지게 된다.
반대로, 전원(80)이 인가되어 온(On) 상태에 있는 투명전극 패턴 영역(도3의 우측 영역)의 상부에 위치하는 액정캡슐(132)은 그 내부에 있는 네마틱 액정(131)들이 전원(80) 인가에 의해 발생되는 외부 전기장에 의해 전기장에 평행한 방향으로 재배열되기 때문에 도광판(30)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산란되지 않고 바로 투과되어 액정패널로 입사하게 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네마틱 액정캡슐층(130)을 포함하는 능동 확산판(100)이 투명전극에 인가되는 전원(80)에 따라 액정배열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입사광을 그대로 통과시키는 투과 모드와 입사광의 투과를 방해하는 산란모드를 상호 전환하는 스위칭 동작을 영역별로 차등을 두고 수행할 수 있는 바, 백라이트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밝기를 영상 화면에 따라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명암비 효과를 극대화하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기술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능동 확산판(100)의 액정캡슐층(130)은 바람직하게는 모노레이어 배열 구조로 구성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즉, 다수의 액정캡슐(132) 각각이 단층 상에 상호 밀착 배치됨에 따라 캡슐 입자간 공극이 최소화되고, 이는 능동 확산판(10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능동 확산판(100)의 액정캡슐층(130)에 함유된 다수의 액정캡슐(132)이 바인더(133) 내부에서 무작위 배열되어 캡슐 상호 간에 중첩되거나 적층 상태로 존재하게 되면 투과를 의도한 광이 의도하지 않은 산란 현상을 겪게 되어 광투과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능동 확산판(100)의 액정캡슐층(130)을 네마틱 액정캡슐(132)로 구성할 경우, 네마틱 액정캡슐(132)에 적용되는 액정은 굴절률 이방성(△n)이 0.2 이상으로 큰 액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액정의 굴절률 이방성이 적어도 0.2 이상으로 크면 클수록 바인더(133)와 액정 간의 굴절률 차이가 커져서 빛의 산란효과가 증가하고 이는 밝은 광(즉, 투과 광)과 어두운 광(즉, 산란 광)에 의한 명암비 효과를 극대화하여 선명한 화질 영상을 구현함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광판(30)과 제1 및 제2 투명기판(110,120)은 굴절률을 매칭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는 ±0.01 이내의 굴절률 차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광의 전반사 효과를 최소화하여 광이용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예컨데, 도광판(30)은 통상적으로 PMMA(PolyMethly MethAcrylate) 소재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PMMA의 굴절률은 1.49에 해당하기 때문에 상기 경우 제1 및 제2 투명기판(120)은 1.48 내지 1.50 의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능동 확산판(100)은 투명 점착제(70)를 통해 도광판(30) 상에 부착되는데 이처럼 제1 투명기판과 도광판(30) 사이에 개재되는 투명 점착제(70)는 도광판의 굴절률과 제1 투명기판의 굴절률 사이의 굴절률을 갖거나 또는 동일한 굴절률을 갖도록 굴절률을 매칭시켜 주는 것이 광이용 효율 극대화에 유리하다.
또한, 네마틱 액정캡슐(132)을 적용한 능동 확산판(100)의 경우에는 산란 특성도 중요하지만 백라이트 유닛의 고유의 기능 즉, 투과 특성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액정캡슐층(130)에 사용되는 바인더(133)의 굴절률과 액정의 단축방향 굴절률이 거의 유사(바람직하게는 ±0.01 이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능동 확산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능독 확산판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액정 드롭렛(Droplet)을 형성한 후 고분자 바인더(binder; 143)와 혼합함으로써 액정(141)을 캡슐형태(142)로 제조하고 이를 투명전극(115,125)이 각각 패턴 형성된 제1 투명기판(110)과 제2 투명기판(120) 사이에 적층시킨 고분자 액정 필름 형태로 제작하고, 액정캡슐(142)은 모노레이어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다만, 네마틱 액정(131)대신 콜레스테릭 액정(141)으로 이루어진 액정캡슐층(140)으로 구성된 것을 차이점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대비되는 차이점만을 들어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정(+) 유전 이방성을 가지는 콜레스테릭 액정(141)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축이 셀(cell) 표면에 수직으로 되고, 입사광에 대하여 선택 반사 현상을 일으키는 플래너(planar) 상태와 도 5(b)에 나타나듯이 나선축이 거의 셀(cell) 표면과 평행하고, 입사광이 산란되며 흩어지는 형태로 투과시키는 포칼코닉(focal conic) 상태 및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 구조가 풀리고 액정 디렉터 (director)가 전계 방향을 향하고 입사광을 거의 완전히 투과시키는 호메오트로픽( homeotropic) 상태의 세 개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세 개의 상태 중 플래너 상태(a)와 포칼코닉 상태(b)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쌍 안정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콜레스테릭 액정(141)의 배향 상태는 액상 결정층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하여 일의적으로 정해지지 않고 플래너 상태가 초기 상태인 경우에는 인가 전압의 증가에 수반하여 플래너 상태, 포칼코닉 상태, 호메오트로픽 상태의 순서로 변화하고, 포칼코닉 상태가 초기 상태인 경우에는 인가 전압에 수반하여 포칼코닉 상태 호메오트로픽 상태의 순서로 변화한다. 한편, 액상 결정층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로(zero)로 떨어지면, 플래너 상태와 포칼코닉 상태는 그대로 상태를 유지하고, 호메오트로픽 상태는 플래너 상태로 변화한다. 즉, 인가하는 펄스(pulse) 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3개의 상태는 서로 천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능독 확산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플래너(planar) 상태, 포칼코닉(focal conic) 상태 및 호메오트로픽 (homeotropic) 간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콜레스테릭 액정(141)의 특성을 이용하여 입사광의 선택적 투과 및 반사를 구현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능동 확산판(100)의 선택적 광투과 동작을 살펴보면, 전원(80)이 인가되지 않아 오프(Off) 상태에 있는 투명전극 패턴 영역(도4의 좌측 영역)의 상부에 위치하는 액정캡슐(142')은 그 내부에 있는 콜레스테릭 액정(141')은 플래너(planar)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도광판(30)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반사되어 능동 확산판(100)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반대로, 전원(80)이 인가되어 온(On) 상태에 있는 투명전극 패턴 영역(도4의 우측 영역)의 상부에 위치하는 액정캡슐(142)은 그 내부에 있는 콜레스테릭 액정(141)들이 전원(80) 인가에 의해 발생되는 외부 전기장에 의해 호메오트로픽 (homeotropic) 상태로 재배열되기 때문에 도광판(30)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산란(내지 반사)되지 않고 바로 투과되어 액정패널로 입사하게 된다.
또한, 투명전극 패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또 다른 투명전극 영역 상에 위치한 콜레스테릭 액정캡슐은 포칼코닉(focal conic) 상태로 만들어 준다면 도광판(30)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흩어지는 형태로 투과하게 되는 바 액정패널에 조사되는 광은 그 밝기가 저하되어 액정패널에 입사하게 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콜레스테릭 액정캡슐층(140)을 포함하는 능동 확산판(100)이 투명전극에 인가되는 전원(80)에 따라 액정배열 상태를 변환시킴으로써 각 영역별로 입사광의 투과, 반사 및 산란을 임의 조절할 수 있는 바, 백라이트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밝기를 영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명암비 효과를 극대화하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기술과 조사되는 광의 점멸을 제어하여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움직이는 영상의 잔상을 제거하는 스캐닝(Scanning) 기술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콜레스테릭 액정은 선택반사 특성에 의해 액정의 고유한 피치(p)에 따라 반사하는 빛의 파장(λ)도 결정된다. 그런데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에서 나오는 빛은 가시광선 전파장 영역(400 ~ 700nm)에 해당되기 때문에 오프 (Off) 상태에서 우수한 반사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피치(△p)를 잘 조절하여 반사되는 빛의 파장영역(△λ)을 최대한 넓혀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능동 확산판(100) 역시 도광판(30), 제1 투명기판(110), 제2 투명기판(120) 및 투명 점착제(70)는 ±0.01 이내의 굴절률 차를 갖도록 굴절률이 매칭되는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광 이용 효율 상 유리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능동 확산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액정 분자가 나선 구조를 가지는 콜레스테릭 액정(151,156)은 입사한 빛을 우원 편광과 좌원 편광으로 나누고, 나선으로 비틀고 방향에 일치하는 원편광 성분을 브래그 반사하고, 나머지 빛을 투과시키는 선택 반사 현상을 일으킨다. 이러한 콜레스테릭 액정(151,156)의 물성으로 인해,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이어 구조의 콜레스테릭 액정캡슐층으로 이루어진 능동 확산판(100)은 액정캡슐층(140)이 좌선성 (Left-handed) 또는 우선성(Right-handed) 중 어느 하나의 빛만을 반사하게 되어 반사 기능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최선의 선명도를 구현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즉, 콜레스테릭 액정캡슐층을 적용한 능동 확산판의 경우에는 투과 특성도 중요하지만 반사 특성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반사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후술할 제3 실시예와 같이 콜레스테릭 액정캡슐층을 두 층으로 적층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능동 확산판은 좌선성 콜레스테릭 액정(151)의 액정캡슐(152)이 바인더(153)와 혼합되어 이루어진 제1 액정캡슐층(150)과, 우선성 콜레스테릭 액정(156)의 액정캡슐(157)이 바인더(158)와 혼합되어 이루어진 제2 액정캡슐층(155)이 상기 제1 액정캡슐층(150) 상에 적층 형성되어 다층 구조를 이루고 있는 액정캡슐층으로 구성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능동 확산판(100)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되, 제2 액정캡슐층(155)이 추가로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제1 액정캡슐층(150)은 제2 실시예의 액정캡슐층(도 4; 140)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제조 가능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액정캡슐층(150) 상에 적층 형성되는 제2 액정캡슐층(155)에 대하여 설명하기로한다.
제3 실시예의 제2 액정캡슐층(155)은 제1 액정캡슐층(150)의 일면 상에 적층 방식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액정캡슐(152)을 제조하여 바인더(153)와 혼합하고 이를 제1 투명기판(110) 상에 도포 인쇄한 후 충분한 건조 공정을 거침으로써 제1 액정캡슐층(150)을 수득한 후 그 위에 다시 동일한 방식으로 또 하나의 액정캡슐층(155)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제1 액정캡슐층(150)은 좌선성 콜레스테릭 액정(151)을 적용하여 형성하였다면, 그 위에는 우선성 콜레스테릭 액정(156)을 적용한 또 하나의 액정캡슐층(155)을 적층 형성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80)이 인가되지 않아 오프(Off) 상태에 있는 투명전극 패턴 영역(도6의 좌측 영역)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액정캡슐(152')과 제2 액정캡슐(157')은 그 내부에 있는 콜레스테릭 액정(151',156')이 플래너(planar)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도광판(30)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반사되어 능동 확산판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며, 구체적으로는 제3 실시예의 능동 확산판(100)으로 입사되는 광은 제1 액정캡슐(152')에 의한 제1 반사와 제2 액정캡슐층(157')에 의한 제2 반사를 통해 총 두 번의 반사를 일으키게 된다.
즉, 제3 실시예에 따른 능동 확산판(100)은 좌선성의 제1 액정캡슐층(150)과 우선성의 제2 액정캡슐층(155)으로 구성된 다층 구조를 갖는 바, 선택 반사 조건을 충족시키는 파장영역의 입사광에 대해 좌선편광 빛(제1 반사광)과 우선편광 빛(제2 반사광)을 모두 반사시켜줌에 따라 콜레스테릭 액정캡슐을 적용한 능동 확산판(100)의 반사 특성을 대폭 향상시켜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컨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에지(edge)형 백라이트 유닛을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주요 구성 및 사상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도 그대로 적용하여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는 네마틱 액정 및 콜레스테릭 액정을 사용하여 능동 확산판을 구성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최선의 액정을 선택하여 설명 및 도시한 것에 불과하며 예컨데 스멕틱 액정, 카이랄스멕틱 액정과 같은 다른 종류의 액정을 사용하여 능동 확산판을 구성하여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광원 20: 반사판
30: 도광판 40: 제1 프리즘 시트
50: 제2 프리즘 시트 60: 확산판
70: 투명 점착제 80: 전원
100: 능동 확산판 110: 제1 투명기판
115: 제1 투명전극 120: 제2 투명기판
125: 제2 투명전극 130: 네마틱 액정캡슐층
131: 네마틱 액정 132: 네마틱 액정캡슐
133,143,153,158: 바인더 140: 콜레스테릭 액정캡슐층
141: 콜레스테릭 액정 142: 콜레스테릭 액정캡슐
150: 제1 액정캡슐층 151: 좌선성 콜레스테릭 액정
152: 좌선성 콜레스테릭 액정캡슐
155: 제2 액정캡슐층 156: 우선성 콜레스테릭 액정
157: 우선성 콜레스테릭 액정캡슐

Claims (9)

  1.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액정패널 배면에 구비되어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광을 발생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조사되는 광이 상기 액정패널과 수직으로 입사되도록 광의 진행 경로를 안내하는 프리즘 시트; 및
    상기 반사판과 상기 프리즘 시트 사이에 개재되어, 입사되는 광의 선택적 투과를 제어하는 능동 확산판을 포함하고,
    상기 능동 확산판은
    제1 투명전극이 구비된 제1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전극 상부에 액정캡슐과 바인더가 혼합되어 적층 형성되는 액정캡슐층; 및
    상기 액정캡슐층 상부에 적층되며, 패터닝 형성된 투명전극을 갖는 제2 투명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투명전극 및 상기 제2 투명 전극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액정캡슐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액정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액정패널 측으로 공급되는 광의 선택적 투과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과 상기 능동 확산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 상면에 도포되어 상기 능동 확산판을 결합하고, 상기 도광판의 굴절률과 상기 제1 투명기판의 굴절률 사이의 굴절률을 갖는 투명 점착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캡슐에 사용된 액정은 네마틱 또는 콜레스테릭 액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캡슐층의 전체 면적 대비 적어도 50% 이상은 상기 액정캡슐이 상기 투명전극 상에 모노레이어 구조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캡슐층은
    좌선성 콜레스테릭 액정캡슐로 이루어진 제1 액정캡슐층; 및
    상기 제1 액정캡슐층 상에 적층 형성되는 우선성 콜레스테릭 액정캡슐로 이루어진 제2 액정캡슐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네마틱 액정은 굴절률 이방성(△n)이 0.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캡슐층에 사용되는 바인더의 굴절률과 네마틱 액정의 단축방향 굴절률 차는 ±0.01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캡슐은 이색성 염료(Dichroic dye)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KR1020100058554A 2010-06-21 2010-06-21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 KR201101385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554A KR20110138585A (ko) 2010-06-21 2010-06-21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
PCT/KR2011/003610 WO2011162483A2 (ko) 2010-06-21 2011-05-17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554A KR20110138585A (ko) 2010-06-21 2010-06-21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585A true KR20110138585A (ko) 2011-12-28

Family

ID=4537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554A KR20110138585A (ko) 2010-06-21 2010-06-21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138585A (ko)
WO (1) WO2011162483A2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573B1 (ko) * 2013-05-02 2014-08-05 서상영 개인 휴대 단말기용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5130104A1 (ko) * 2014-02-26 2015-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캡슐의 제조 방법
US9477086B2 (en) 2012-05-25 2016-10-25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lens and display device
US9512982B2 (en) 2012-07-18 2016-12-06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assembly
WO2018088750A1 (en) 2016-11-14 2018-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80057251A (ko) * 2016-11-22 2018-05-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90076194A (ko) * 2017-12-22 201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423023B2 (en) 2014-02-26 2019-09-24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liquid crystal capsule
WO2020045811A1 (en) * 2018-08-27 2020-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5368B2 (en) * 2016-06-03 2019-02-26 Applied Materials, Inc. Energy efficient communication and display device
TWI720569B (zh) * 2019-08-02 2021-03-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CN112363349A (zh) * 2020-11-03 2021-02-12 广州长嘉电子有限公司 一种反面背光超薄无边框电视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533A (ko) * 2000-04-27 2001-11-09 김순택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KR100735195B1 (ko) * 2005-09-14 2007-07-03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컬러 액정 표시 장치
JP4321612B2 (ja) * 2007-03-19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シート組合せ体、面発光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00029633A (ko) * 2008-09-08 2010-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능동형 반투과 소자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7086B2 (en) 2012-05-25 2016-10-25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lens and display device
US9512982B2 (en) 2012-07-18 2016-12-06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assembly
KR101425573B1 (ko) * 2013-05-02 2014-08-05 서상영 개인 휴대 단말기용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5130104A1 (ko) * 2014-02-26 2015-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캡슐의 제조 방법
US10423023B2 (en) 2014-02-26 2019-09-24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liquid crystal capsule
WO2018088750A1 (en) 2016-11-14 2018-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3523695A4 (en) * 2016-11-14 2019-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678093B2 (en) 2016-11-14 2020-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unit comprising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layer and a polarizing portion having a waveplate and a polarizing film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80057251A (ko) * 2016-11-22 2018-05-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90076194A (ko) * 2017-12-22 201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0045811A1 (en) * 2018-08-27 2020-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0877305B2 (en) 2018-08-27 2020-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62483A3 (ko) 2012-02-23
WO2011162483A2 (ko)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8585A (ko)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엘시디 백라이트 유닛
KR101712677B1 (ko) 조명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7037632B (zh) 显示装置
CN101713503B (zh) 照明设备、显示设备以及光调制元件的制造方法
JP4752911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およびエッジライト方式のバックライトに用いる光変調素子の製造方法
JP5679308B2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CN102155674B (zh) 照明装置和显示装置
US9581749B2 (en) Lighting unit, display,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US7898639B2 (e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light emitted layer on the substr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3728749A (zh) 显示器
US8246188B2 (en) Illuminating device and display unit
KR20150016220A (ko)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
JP2011215618A (ja) ディスプレイ装置用カラーシフト低減光学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3141051A1 (ja)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CN101424825B (zh) 光学片及其制造方法以及显示设备
US20240077764A1 (en) Dimming layer for display module and display module
JP2020129055A (ja) 視野角制御フィルム、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91464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ncapsulated liquid crystals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encapsulated liquid crystals
JP2006195112A (ja) 液晶素子とそれを用いた調光素子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15298608A (zh) 反射屏幕、投影图像显示系统
CN102089572A (zh) 直下型背光源装置
JP2014056201A (ja) 画像表示装置
KR20110080006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202217403A (zh) 視角控制膜、背光單元及液晶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