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7451A - 기능성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능성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7451A
KR20110137451A KR1020100057392A KR20100057392A KR20110137451A KR 20110137451 A KR20110137451 A KR 20110137451A KR 1020100057392 A KR1020100057392 A KR 1020100057392A KR 20100057392 A KR20100057392 A KR 20100057392A KR 20110137451 A KR20110137451 A KR 20110137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s
abrasive
toothpaste
sodium bicarbonat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박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호 filed Critical 박종호
Priority to KR1020100057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7451A/ko
Publication of KR20110137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45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치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마제 중 중조(탄산수소나트륨) 또는 천연 흡착 연마제로 천연 섬유질을 활용한 연마제로서 옷수수속대 분말 15g과, 죽염 30g과, 살균용 오디 식초 12g과, 카올린클레이 3g과, 글리세린 30g과, 송진가루 3g과, 오디 추축액 5g과, 알란토인 또는 프로폴리스 2g을 자몽씨 추출물 5방울과, 레몬e.o 2방울 및 페파민트e.o 4방울의 혼합물을 통해 항균 작용, 노화 억제작용, 출혈성 질병 등의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치약 조성물{toothpaste}
본 발명은 기능성 치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마제 중 중조(탄산수소나트륨) 또는 천연 흡착 연마제로 천연 섬유질을 활용한 연마제로서 옷수수속대 분말 15g과, 죽염 30g과, 살균용 오디 식초 12g과, 카올린클레이 3g과, 글리세린 30g과, 송진가루 3g과, 오디 추축액 5g과, 알란토인 또는 프로폴리스 2g을 자몽씨 추출물 5방울과, 레몬e.o 2방울 및 페파민트e.o 4방울의 혼합물을 통해 항균 작용, 노화 억제작용, 출혈성 질병 등의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족스런 치약 조성물은 치아에 대한 화장 효과, 즉 치아를 밝은 색으로 유지시키는 효과를 가져야만 한다. 또한, 치약 조성물은 치태를 만족스럽게 세척 및 제거해야만 하며, 이에 의해 치아 부식의 예방을 돕고 잇몸 건강을 촉진해야 한다. 연마제는 단단히 고착된 지방막의 제거를 돕는다.
이 막은 통상적으로 치아를 세정한후 몇분내에 에나멜질에 고착되는 얇은 비세포성 당단백질-뮤코단백질 도포막으로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경우에, 막내에 수용된 각종 식품 색소의 존재는 치아의 변색의 원인이 된다. 이상적으로, 연마제는 경구 조직, 즉 상아질 및 에나멜질에 대해 최소의 손상(연마)을 가하면서 지방막의 만족스런 제거(세정)을 제공해야만 한다.
지방막 세정의 측면이외에도, 치석방지제(들)의 혼입은 추가의 장점을 제공한다. 치아의 치석 형성은 충치, 잇몸 및 치주 질환, 및 치아 손실의 주요 원인이 된다. 치석은 세균, 상피세포, 백혈구, 대식구 및 기타 경구 삼출물의 혼합 마트릭스이다. 치석과 관련된 세균은 효소 및 내 독소를 분비할 수 있고, 이는 잇몸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염증성 치은염이 원인이 된다.
잇몸이 이 과정에 의해 크게 자극됨에 따라, 잇몸은 출혈되기 쉽고 그의 강도 및 회복력을 상실하며 치아로부터 분리된다. 이 분리는 결국 치주의 구멍을 생기게 하고, 이는 다시 치태의 축적, 분비 및 상당한 세균/독소를 일으킨다. 결국 이 과정은 구강의 경질 및 연질 조직의 파괴를 일으킨다.
일부 경우에 구강을 세정하고 치석 및 입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약제의 사용이 인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 3,696,191 호 (1972 년 10 월 3 일, Weeks); 미합중국 특허 제 3,991,177 호 (1976 년11 월 9일, Vidra 등); 미합중국 특허 제 4,058,595 호 (1977 년 11 월 15 일, Colodney); 미합중국 특허 제 4,115,546 호(Vidra 등); 미합중국 특허 제 4,138,476 호 (1979 년 2 월 6 일, Simonson 등); 미합중국 특허 제 4,140,758호 (1979년 2 월 20 일, Vidra 등); 미합중국 특허 제 4,154,815 호 (1979 년 5 월 15 일, Pader 등); 미합중국 특허제4,737,359 호 (1988 년 4 월 12 일, Eigen 등); 미합중국 특허 제 4,986,981 호 (1991 년 1 월 22 일, Glace 등);미합중국 특허 제 4,992,420 호 (1991 년 2 월 12 일, Nesser 등); 미합중국 특허 제 5,000,939 호 (1991 년 3 월 19일, Dring 등); 일본국 특개평 02/105,898 호 (1990 년 4 월 18 일 공개, 가오 가부시끼가이샤); 일본국 특개평 03/128,313 호 (1991 년 5 월 31 일 공개, 닛뽕 고따이 겡뀨) 및 일본국 특개평 03/223,209 호 (1991 년 10 월 2 일 공개, 리온 가부시끼가이샤); 미합중국 특허 제 4,652,444 호 (1987 년 3 월 24 일, Maurer); 미합중국 특허 제 4,725,428호(1988 년 2 월 16 일, Miyahara 등); 미합중국 특허 제 4,355,022 호 (1982 년 10 월 19 일, Rabussay) 및 PCT 출원 WO 86/02831 호 (1986 년 5 월 22 일, Zetachron, Inc.)를 포함한다.
또한, 연마제는 미합중국 특허 제 4,340,583 호 (1982 년 7 월 20 일, Wason), 미합중국 특허 제 3,574,823 호 (1971 년 4월 13 일, Roberts 등), EP 특허 제 535,943 A1호 (1993 년 4 월 7 일, McKeown 등) 및 PCT 특허 WO 92/02454 호(1992년 2 월 20 일, McKeown 등)에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방막의 세정 및 치석방지 활성을 위한 조성물에 대해 많은 개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욱 개선된 제품에 대한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기능성 치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마제 중 중조(탄산수소나트륨) 또는 천연 흡착 연마제로 천연 섬유질을 활용한 연마제로서 옷수수속대 분말 15g과, 죽염 30g과, 살균용 오디 식초 12g과, 카올린클레이 3g과, 글리세린 30g과, 송진가루 3g과, 오디 추축액 5g과, 알란토인 또는 프로폴리스 2g을 자몽씨 추출물 5방울과, 레몬e.o 2방울 및 페파민트e.o 4방울의 혼합물을 통해 항균 작용, 노화 억제작용, 출혈성 질병 등의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치약 조성물의 특징은, 치약 용량 100ml을 전체중량으로 할 때, 연마제 중 중조(탄산수소나트륨) 또는 천연 흡착 연마제로 천연 섬유질을 활용한 연마제로서 옷수수속대 분말 15g과, 죽염 30g과, 살균용 오디 식초 12g과, 카올린클레이 3g과, 글리세린 30g과, 송진가루 3g과, 오디 추축액 5g과, 알란토인 또는 프로폴리스 2g을 자몽씨 추출물 5방울과, 레몬e.o 2방울 및 페파민트e.o 4방울에 혼합하여 혼합공정중 수분의 발생을 통해 전체 중량을 맞추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출혈성 질환 예방과 잇몸 노화억제에 탁월한 효능을 가진다.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치약 조성물은 치약 용량 100ml을 전체중량으로 할 때, 연마제 중 중조(탄산수소나트륨) 또는 천연 흡착 연마제로 천연 섬유질을 활용한 연마제로서 옷수수속대 분말 15g과, 죽염 30g과, 살균용 오디 식초 12g과, 카올린클레이 3g과, 글리세린 30g과, 송진가루 3g과, 오디 추축액 5g과, 알란토인 또는 프로폴리스 2g을 자몽씨 추출물 5방울과, 레몬e.o 2방울 및 페파민트e.o 4방울에 혼합하여 혼합공정중 수분의 발생을 통해 전체 중량을 맞추게 된다.
이때 상기 오디는 항암 및 피부탄력 증진 물질로 알려져 있는 데, 농촌진흥청 잠사양봉소재과 김현복 박사팀에 의해 오디 100g당 평균 78mg의 '라스베라트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노화억제물질인 항노화색소 C3G은 오디의 전체 함량에 대하여 1.5%로, 포도의 23배 정도이며, 검정콩의 8배, 유색미(有色米)의 50배 이상 높다.
C3G 색소의 밝혀진 기능성은 아래와 같다.
ㅇ 노화억제 : 기억손실 방지 및 동작 조정
ㅇ 망막장애 치료 및 시력개선(로돕신 재합성 촉진)
ㅇ 망막 모세 혈관강화
ㅇ 요도염 예방 및 치료 : 대장균의 요도 부착 억제
ㅇ 항방사능 활성
ㅇ 항산화 작용 : 토코페롤(Vit. E) 대비 최고 7배 강함
ㅇ 콜레스테롤 저하
ㅇ 항균 작용
GAVA(γ-aminobutynic acid)과 루틴(Rutin) 성분은 뽕잎에 특히 다량 함유된 성분이다. 특히 루틴은 플라보놀배당체로 플라보노이드와 당이 결합된 것이며 모세혈관을 강화시키는 작용이 있고, 과 방사선 장애 및 출혈성 질병 등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
플라보노이드는 식물에 널리 분포하는 황색 계통의 색소로항균, 항암, 항바이러스,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활성이 있고, 생체 내 산화작용을 억제한다.
오디를 가공함에 있어 영하 30도시에서 급속 냉동 분쇄 과정후 이를 초 미립자 크기로 분쇄하여 이를 첨가하며 점도 조절에 사용되는 오디즙액을 거름 망에 걸러 순수 액을 축출하고 이를 점도 조절용으로 사용토록 한다.
상술한 조성물의 성분 중 중조는 치아표면의 오염을 제거하는 연마제의 역할을 하는 재료로 치아미백 작용에도 효과가 있으며, 죽염은 풍치를 예방하고 잇몸을 튼튼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카올린클레이는 흡착작용으로 치석제거 효과가 있고, 송진분말은 살균작용과 구취예방의 기능을 수행하고, 알란토인은 치은염 혹은 치주염을 예방해주는 역할을 기대하며, 페파민트는 입속을 시원하게 하는 청량감을 주며, 레몬은 치아미백에 효과적이다.
상술한 조성물에 따른 치약은 pH7~8 정도가 되도록 한다.
상술한 조성물에 따른 치약 조성물의 제조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탄산수소나트륨, 죽염, 카올린클레이, 송진분말, 오디분말등과 글리세린를 첨가하여 혼합후 알로에베라겔을 조금씩 넣고 섞으면서 점도를 맞춘다.
이후 알란토인, 자몽씨추출물, 에센셜오일 등을 넣고 잘 섞어준다.
글리세린은 점도조절제와 단미제역할을 하는데 너무 많이 넣으면 좋지 않으며 치약이 뻑뻑해질 정도로만 글리세린을 소량 넣은 후 오디 추출액으로 적당한 점도를 맞춰준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치약 용량 100ml을 전체중량으로 할 때, 연마제 중 중조(탄산수소나트륨) 또는 천연 흡착 연마제로 천연 섬유질을 활용한 연마제로서 옷수수속대 분말 15g과, 죽염 30g과, 살균용 오디 식초 12g과, 카올린클레이 3g과, 글리세린 30g과, 송진가루 3g과, 오디 추축액 5g과, 알란토인 또는 프로폴리스 2g을 자몽씨 추출물 5방울과, 레몬e.o 2방울 및 페파민트e.o 4방울에 혼합하여 혼합공정중 수분의 발생을 통해 전체 중량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약 조성물.
KR1020100057392A 2010-06-17 2010-06-17 기능성 치약 조성물 KR20110137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392A KR20110137451A (ko) 2010-06-17 2010-06-17 기능성 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392A KR20110137451A (ko) 2010-06-17 2010-06-17 기능성 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451A true KR20110137451A (ko) 2011-12-23

Family

ID=4550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392A KR20110137451A (ko) 2010-06-17 2010-06-17 기능성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74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S20110130A1 (it) * 2011-09-27 2013-03-28 Irene Iampieri Composizione naturale con proprieta' anti-infiammatorie
KR20190094009A (ko) * 2018-02-02 2019-08-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취 감소 및 치주질환 예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S20110130A1 (it) * 2011-09-27 2013-03-28 Irene Iampieri Composizione naturale con proprieta' anti-infiammatorie
KR20190094009A (ko) * 2018-02-02 2019-08-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취 감소 및 치주질환 예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75843B2 (en) Morinda citrifolia-based or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1992927B1 (ko) 잇몸질환 예방 및 개선용 치약 조성물
KR101955468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0776510A (ja) 竹塩を含有する口腔衛生増進用組成物
US20090269288A1 (en) Black pearl toothpaste
KR101449453B1 (ko) 구취제거, 플라그제거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치약 조성물
TWI445551B (zh) Dentifrice composition
KR101251161B1 (ko)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시린이 예방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A2912368C (en) Oral care composition containing pumice and calcium carbonate
KR102502829B1 (ko) 티트리 오일 및 알로에베라 겔을 포함하는 가글용 액상 조성물
KR20110137451A (ko) 기능성 치약 조성물
EP1864644B1 (en) Use of sericin for improvement in feeling of denture upon use
KR20190087701A (ko) 시린이 방지용 대마씨유와 참마를 함유하는 치약조성물
KR102196459B1 (ko)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KR100704585B1 (ko) 치약 조성물
KR20080101954A (ko) 은입자가 함유된 분말치약 조성물
KR100308247B1 (ko) 구강 청정용 조성물
US11857654B2 (en) NHAP containing oral composition
KR102638091B1 (ko) 미백기능을 갖는 치약조성물
JP2002322075A (ja) 組成物
KR20080101955A (ko) 금입자가 함유된 분말치약 조성물
KR101963215B1 (ko) 미강, 볏짚 및 기장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용조성물
US20230330445A1 (en) Dental whitening composition
WO2023059280A1 (en) Toothpaste composition with whitening feature
KR20020028765A (ko) 생약추출물과 키토산을 함유한 치주 질환 예방을 위한치약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