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245A -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245A
KR20110136245A KR1020100056113A KR20100056113A KR20110136245A KR 20110136245 A KR20110136245 A KR 20110136245A KR 1020100056113 A KR1020100056113 A KR 1020100056113A KR 20100056113 A KR20100056113 A KR 20100056113A KR 20110136245 A KR20110136245 A KR 20110136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air
dust
foreign matte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5545B1 (ko
Inventor
박성순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호남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호남산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호남산업
Priority to KR1020100056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54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6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7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internal rotors, e.g. impeller, ventilator, fan, blower, pum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집진부의 보조공기배출구와 연결관을 지나 보조집진부로 유입되는 일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원추형통에 의해 상기 보조집진부로 유입된 일부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되어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상기 보조집진부의 내부에 재차 집진될 수 있기 때문에 집진부는 물론 상기 보조집진부의 외부로 분진,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배출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집진효율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DUST GATHERING APPARATUS FOR GRAIN DRIER}
본 발명은 집진부의 보조공기배출구와 연결관을 지나 보조집진부로 유입되는 일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원추형통에 의해 상기 보조집진부로 유입된 일부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되어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상기 보조집진부의 내부에 재차 집진될 수 있기 때문에 집진부는 물론 상기 보조집진부의 외부로 분진,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배출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집진효율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건조기는 곡물을 투입한 후 투입된 곡물을 호퍼자치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분산장치를 통해 곡물을 하측으로 떨어뜨리게 되면 건조장치로 곡물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하측으로 떨어지는 곡물에 송풍장치를 통해 바람을 불어 넣어 곡물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나 분진 및 검불과 같은 이물질을 곡물건조기 밖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곡물을 정미하는 정미소의 정미기에서도 정미할 때, 발생하는 분진과 먼지 등을 밖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송풍장치로 바람을 불어 넣었다.
상기와 같이 작업중에 먼지나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에는 불순물이 생산물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풍장치로 불순물을 분리하였으나, 이는 불순물만 분리할 뿐, 모아주는 장치가 없어 작업환경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곡물건조기에 장착하여 곡물건조기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 중 분진이나 먼지를 집진할 수 있도록 사이클론부와 집진부를 구비한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는 상기 사이클론부를 지나 집진탱크내에 집진되는 먼지 중 일부가 상기 사이클론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집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집진부의 보조공기배출구와 연결관을 지나 보조집진부로 유입되는 일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원추형통에 의해 상기 보조집진부로 유입된 일부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되어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상기 보조집진부의 내부에 재차 집진될 수 있기 때문에 집진부는 물론 상기 보조집진부의 외부로 분진,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배출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집진효율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부에 곡물집진기에서 발생되는 분진,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함유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이물질이 원심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일단부 내부에 상기 유입구로 이물질이 함유된 공기를 유입시키는 임펠러가 구비되고, 타단부 하측에 상기 임펠러에 의해 선회하는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이물질을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집진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유입구방향으로 연장되어 원심분리된 이물질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방지턱이 형성되는 사이클론관과, 상기 사이클론관의 집진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사이클론관의 하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이물질이 저장되며 상부에 상기 집진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일부 공기를 배출하는 보조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집진탱크로 구성되는 집진부와; 상기 집진부의 보조공기배출구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보조공기유입구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보조공기유입구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일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일부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공기유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일부공기를 선회시켜 일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원심분리하는 하부가 개방된 원추형통으로 구성되는 보조집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집진부의 집진탱크의 보조공기배출구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진탱크의 내부 상측에 수평판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공기배출구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판의 상부면과 상기 집진탱크의 내부 상측면 사이에 연결축이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집진부의 사이클론관의 임펠러의 축의 일단부에 원추형형상의 공기유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연결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집진부의 집진탱크의 일측 내주면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탱크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저장되는 이물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집진부의 보조공기배출구와 연결관을 지나 보조집진부로 유입되는 일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원추형통에 의해 상기 보조집진부로 유입된 일부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되어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상기 보조집진부의 내부에 재차 집진될 수 있기 때문에 집진부는 물론 상기 보조집진부의 외부로 분진,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배출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집진효율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부의 집진탱크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수평판으로 인해 상기 수평판의 하측에 위치하는 이물질이 보조공기배출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일부공기와 함께 상기 보조공기배출구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유입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집진부의 사이클론관의 임펠러의 축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원추형형상의 공기유도부로 인해 상기 사이클론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함유된 공기가 상기 사이클론관의 내주연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한 후 선회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선회하는 공기에서 원심분리된 이물질이 상기 사이클론관의 내주연을 따라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집진구를 통해 상기 집진탱크의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집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개폐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관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집진부 하나를 사용하여 공기에서 원심분리된 이물질을 집진하거나 상기 개폐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관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집진부와 보조집진부 모두를 사용하여 공기에서 원심분리된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집진탱크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저장되는 이물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개폐밸브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집진부 하나 또는 상기 집진부와 보조집진부 모두를 사용하여 공기에서 원심분리된 이물질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자동으로 집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집진부(10)와 보조집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집진부(10)는 사이클론관(110)과 집진탱크(130)로 구성된다.
상기 사이클론관(110)의 일단부에는 유입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11)를 통해 곡물집진기(미도시)에서 발생되는 분진, 먼지 등을 포함한 이물질(3)이 함유된 공기가 상기 사이클론관(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사이클론관(110)의 타단부에는 배출구(113)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이물질(3)이 원심분리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관(110)의 일단부 내부에는 임펠러(115)가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15)는 후술할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유입구(111)로 이물질(3)이 함유된 공기를 유입 및 선회시키게 된다.
상기 임펠러(115)에 의해 공기가 선회함에 따라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3)은 원심분리되어 상기 사이클론관(110)의 내주면을 따라 자중에 의해 낙하하게 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사이클론관(110)의 타단부 하측에는 집진구(117)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구(117)를 통해 상기 임펠러(115)에 의해 상기 사이클론관(110) 내부에서 선회하는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이물질(3)이 하부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113)에는 환형의 배출방지턱(119)이 형성된다.
환형의 상기 배출방지턱(119)은 상기 유입구(111)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된다.
상기 배출방지턱(119)은 상기 임펠러(115)에 의해 선회하는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되어 상기 사이클론관(110)의 내주면을 따라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이물질(3)이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집진탱크(130)는 상기 사이클론관(110)의 집진구(117)와 연통되도록 상기 사이클론관(110)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진탱크(130)의 내부에는 상기 집진구(117)가 배출하는 공기로부터 원신분리된 이물질(3)이 저장된다.
도 3은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사이클론관(110)의 집진구(117)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집진탱크(130)의 상부면 전측에는 상기 집진구(117)를 통해 상기 집진탱크(13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일부 공기를 배출하는 보조공기배출구(131)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집진부(30)는 몸체(310)와 원추형통(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3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집진부(10)의 집진탱크(13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집진탱크(130)의 타측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310)의 일단부 상측에는 보조공기유입구(311)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부(10)의 보조공기배출구(131)와 상기 보조공기유입구(311) 사이에는 연결관(20)이 연결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20)을 통해 상기 집진부(10)의 보조공기배출구(131)와 상기 보조공기유입구(311)가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20)은 타측연결관(210)과 일측 연결관(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연결관(210)의 타단부는 상기 보조공기유입구(311)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연결관(230)은 상기 타측 연결관(210)의 일단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타측 연결관(210)의 일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연결관(230)의 하단부는 상기 집진부(10)의 보조공기배출구(131)와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310)의 상부 중심부에는 상기 보조공기유입구(311)를 통해 상기 원추형통(33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일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313)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310)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구(3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일부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이물질(3)이 저장된다.
상기 원추형통(330)은 상기 몸체(310)의 내부 중심부 상측에 하측이 개방된 상태로 수직형성된다.
상기 원추형통(330)의 일단부 상측과 상기 보조공기유입구(311)사이에는 별도의 연결관(40)이 수평구비될 수 있다.
별도의 상기 연결관(40)의 타단부는 상기 원추형통(330)의 일단부 상측에 기밀하게 연통연결될 수 있다.
별도의 상기 연결관(40)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관(20)의 타측 연결관(210)의 타단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보조공기유입구(311)를 지나 상기 연결관(20)의 타측 연결관(210)의 타단부 내부에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원추형통(330)은 상기 보조공기배출구(131), 연결관(20) 별도의 상기 연결관(40) 및 상기 보조공기유입구(3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일부공기를 선회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원추형통(330)의 내부로 유입된 일부공기에 함유된 이물질(3)은 원심분리되어 상기 원추형통(330)의 내주면을 따라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상기 몸체(310)의 내부에 저장된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원추형통(330)의 내부에는 상기 원추형통(330)의 내부로 유입된 일부공기가 보다 용이하게 선회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나선형 블레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원추형통(330)의 내부에서 선회하는 이물질(3)이 원심분리된 일부 공기는 상기 몸체(310)의 배출구(313)와 상기 원추형통(330)의 상단부 중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배출관(60)의 하단부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배출관(60)을 따라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60)의 하단부 일측 외주연과 상기 원추형통(330)의 일측 중심부 내주연 사이에는 상기 배출관(60)을 지지하는 지지판(61)이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집진부(10)의 집진탱크(130)의 보조공기배출구(131)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진탱크(130)의 내부 상측에는 수평판(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공기배출구(131)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판(50)의 상부면과 상기 집진탱크(130)의 내부 상측면 사이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축(70)이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관(110)의 집진구(117)를 통해 상기 집진탱크(130)의 내부로 유입된 일부공기는 상기 연결축(70)사이의 공간(71)을 통해 상기 보조공기배출구(131), 연결관(20), 보조공기유입구(311) 및 별도의 상기 연결관(40)을 지나 상기 원추형통(330)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원추형통(330) 내부로 유입되는 일부공기에는 상기 집진탱크(130)내부에 저장된 이물질(3)일부가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집진부(10)의 집진탱크(130)의 내부 상측에 상기 수평판(50)으로 인해 상기 수평판(50)의 하측에 위치하는 이물질(3)이 상기 보조공기배출구(13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일부공기와 함께 상기 보조공기배출구(131)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유입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집진부(10)의 사이클론관(110)의 임펠러(115)의 중심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는 축(115a)의 일단부에는 원추형형상의 공기유도부(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도부(80)는 일단부가 첨예해질 수 있도록 타단부에서 일단부방향으로 갈수록 상하폭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도부(80)의 일단부 상하폭(h1)은 상기 배출방지턱(119)의 상하폭(h2)과 동일하거나 상기 배출방지턱(119)의 상하폭(h2)보다 클 수 있다.(h1≥h2)
상기 집진부(10)의 사이클론관(110)의 임펠러(115)의 축(115a)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원추형형상의 상기 공기유도부(80)로 인해 상기 사이클론관(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3)이 함유된 공기가 상기 사이클론관(110)의 내주연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한 후 선회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선회하는 공기에서 원심분리된 이물질(3)이 상기 사이클론관(110)의 내주연을 따라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상기 집진구(117)를 통해 상기 집진탱크(130)의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집진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2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250)는 상기 연결관(20)의 타측 연결관(210)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20)의 타측 연결관(210)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250)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관(20)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집진부(10) 하나를 사용하여 공기에서 원심분리된 이물질(3)을 집진하거나 상기 개폐밸브(250)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관(20)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집진부(10)와 보조집진부(30) 모두를 사용하여 공기에서 원심분리된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밸브(25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집진부(10)의 집진탱크(130)의 외주면 또는 상기 보조집진부(30)의 몸체(31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는 등 보다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집진탱크(130)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저장되는 이물질(3)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2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00)는 상기 집진부(10)의 집진탱크(130)의 일측 내주면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00)가 일정높이의 이물질(3)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개폐밸브(250)가 상기 연결관(20)을 개방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100)가 이물질(3)을 감지하지 않게 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개폐밸브(250)가 상기 연결관(20)을 폐쇄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집진탱크(130)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저장되는 이물질(3)을 감지하는 상기 감지센서(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개폐밸브(250)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집진부(10) 하나 또는 상기 집진부(10)와 보조집진부(30) 모두를 사용하여 공기에서 원심분리된 이물질(3)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자동으로 집진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집진부(10)의 집진탱크(130) 하부면 각 모서리와 상기 보조집진부(30)의 몸체(310)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는 캐스터 등을 포함한 이동바퀴가 축결합되거나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이동가능하게 수평조절부재(90)가 각각 수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평조절부재(90)를 통해 상기 집진탱크(130)와 몸체(310)가 지면과 수평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집진부(10)의 보조공기배출구(131)와 연결관(20)을 지나 상기 보조집진부(30)로 유입되는 일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3)이 상기 원추형통(330)에 의해 상기 보조집진부(30)로 유입된 일부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되어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상기 보조집진부(30)의 내부에 재차 집진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집진부(10)는 물론 상기 보조집진부(30)의 외부로 분진,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3)이 배출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집진효율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3; 이물질, 10; 집진부,
110; 사이클론관, 111; 유입구,
113; 배출구, 115; 임펠러,
115a; 축, 117; 집진구,
119; 배출방지턱, 130; 집진탱크,
131; 보조공기배출구, 30; 보조집진부,
310; 몸체, 330; 원추형통,
20, 40; 연결관, 210; 타측 연결관,
230; 일측 연결관, 250; 개폐밸브,
50, 수평판, 60; 배출관,
61; 지지판, 70; 연결축,
71; 공간, 80; 공기유도부,
90; 수평조절부재, 100; 감지센서.

Claims (5)

  1. 일단부에 곡물집진기에서 발생되는 분진,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3)이 함유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이물질(3)이 원심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3)가 형성되며, 일단부 내부에 상기 유입구(111)로 이물질(3)이 함유된 공기를 유입시키는 임펠러(115)가 구비되고, 타단부 하측에 상기 임펠러(115)에 의해 선회하는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이물질(3)을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집진구(117)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13)에는 상기 유입구(111)방향으로 연장되어 원심분리된 이물질(3)이 상기 배출구(113)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방지턱(119)이 형성되는 사이클론관(110)과, 상기 사이클론관(110)의 집진구(117)와 연통되도록 상기 사이클론관(110)의 하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이물질(3)이 저장되며 상부에 상기 집진구(117)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일부 공기를 배출하는 보조공기배출구(131)가 형성되는 집진탱크(130)로 구성되는 집진부(10)와;
    상기 집진부(10)의 보조공기배출구(131)와 연결관(20)에 의해 연결되는 보조공기유입구(311)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보조공기유입구(311)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일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313)가 형성되며 내부에 일부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이물질(3)이 저장되는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공기유입구(3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일부공기를 선회시켜 일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3)을 원심분리하는 하부가 개방된 원추형통(330)으로 구성되는 보조집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10)의 집진탱크(130)의 보조공기배출구(131)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집진탱크(130)의 내부 상측에 수평판(5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공기배출구(131)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판(50)의 상부면과 상기 집진탱크(130)의 내부 상측면 사이에 연결축(70)이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10)의 사이클론관(110)의 임펠러(115)의 축(115a)의 일단부에 원추형형상의 공기유도부(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2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25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집진부(10)의 집진탱크(130)의 일측 내주면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탱크(130)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저장되는 이물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25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KR1020100056113A 2010-06-14 2010-06-14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KR101175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113A KR101175545B1 (ko) 2010-06-14 2010-06-14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113A KR101175545B1 (ko) 2010-06-14 2010-06-14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245A true KR20110136245A (ko) 2011-12-21
KR101175545B1 KR101175545B1 (ko) 2012-08-22

Family

ID=45502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113A KR101175545B1 (ko) 2010-06-14 2010-06-14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5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1292A (zh) * 2017-12-05 2018-05-01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谷物除尘设备及其除尘方法
CN108834583A (zh) * 2018-07-20 2018-11-20 湖州维欧瑞自动化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通风式原粮仓储设备
KR20200000937A (ko) * 2018-06-26 2020-01-06 동한테크(주)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0669A (zh) * 2016-06-03 2016-10-12 合肥原印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粮食尘杂分离机
KR101989326B1 (ko) 2018-04-20 2019-06-14 유한회사 호남산업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
KR101989327B1 (ko) 2018-04-20 2019-06-14 유한회사 호남산업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
KR102541012B1 (ko) * 2022-07-22 2023-06-05 정상완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211A (ja) 1998-12-22 2000-07-04 Yamamoto Co Ltd 穀物乾燥機用の集塵機
KR200441620Y1 (ko) 2007-03-23 2008-08-29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순환식 곡물 건조기의 집진장치
KR100761559B1 (ko) * 2007-07-12 2007-10-04 흥성공업 주식회사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1292A (zh) * 2017-12-05 2018-05-01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谷物除尘设备及其除尘方法
KR20200000937A (ko) * 2018-06-26 2020-01-06 동한테크(주) 층상 분리를 통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CN108834583A (zh) * 2018-07-20 2018-11-20 湖州维欧瑞自动化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通风式原粮仓储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545B1 (ko)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545B1 (ko)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US4572726A (en) Cyclone separator
US7971808B2 (en) Method for a continuous dry milling operation of a vertical grinding mill and vertical grinding mill
CN111050921B (zh) 旋流分离器
BRPI0717607B1 (pt)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partículas finíssimas por meio de um moinho a jato
US23128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liquids from solids
CN107787250A (zh) 辊磨机、抽吸组件和用于改造辊磨机的方法
KR101672637B1 (ko) 송풍력을 이용한 무동력 집진장치
EP0245224A1 (en) Suction apparatus
CN108940854A (zh) 一种多功能粮食筛选机
CN107790383A (zh) 一种风选除尘的水稻干燥设备
KR100761559B1 (ko)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KR101620054B1 (ko) 균일한 입자건조를 위한 고효율 건조장치
KR101268565B1 (ko) 싸이클론 집진기
DK173654B1 (da) Apparat til tørring af fugtigt materiale i partikelform i overhedet damp
KR101267522B1 (ko) 집진기용 배플장치
CN105214833B (zh) 一种旋流器溢流矿浆分级系统及矿浆分级工艺
CA10698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a mixture of mineral grains in water
US1908181A (en) Dust collector and separator system
US11247239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les of different sizes by means of cyclonic separation
US2635750A (en) Berry-picking machine
JP6296218B2 (ja) 汚染土壌処理方法及び汚染土壌処理システム
US7854406B2 (en) Air separator for comminuted materials
US20070117706A1 (en) Centrifugal separator
CN106938206A (zh) 负压脱胚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