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326B1 -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 - Google Patents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9326B1 KR101989326B1 KR1020180046284A KR20180046284A KR101989326B1 KR 101989326 B1 KR101989326 B1 KR 101989326B1 KR 1020180046284 A KR1020180046284 A KR 1020180046284A KR 20180046284 A KR20180046284 A KR 20180046284A KR 101989326 B1 KR101989326 B1 KR 1019893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dust
- partition wall
- partition
- tubular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solely by gravity, i.e. the material moving through a substantially vertical drying enclosure, e.g. shaft
- F26B17/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solely by gravity, i.e. the material moving through a substantially vertical drying enclosure, e.g. shaft the materials moving through a counter-current of ga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6—Grains, e.g. cereals, wheat, rice, cor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용 집진톤백에 관한 것으로서, 집진부를 통해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먼지나 분진 및 검불 등의 이물질이 내부에 저장된 상태로 상기 이물질과 함께 폐기처리되거나 이물질 제거후 재활용가능하기 때문에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이물질의 청소용이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으로 필터처럼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집진부를 통해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먼지나 분진 및 검불 등의 이물질이 내부에 저장된 상태로 상기 이물질과 함께 폐기처리되거나 이물질 제거후 재활용가능하기 때문에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이물질의 청소용이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으로 필터처럼 사용가능한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건조기는 곡물을 투입한 후 투입된 곡물을 호퍼장치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분산장치를 통해 곡물을 하측으로 떨어뜨리게 되면 건조장치로 곡물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하측으로 떨어지는 곡물에 송풍장치를 통해 바람을 불어 넣어 곡물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나 분진 및 검불과 같은 이물질을 곡물건조기 밖으로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를 모아주는 장치가 없어 작업환경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외부로 분진,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배출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어 집진효율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75545호로 제시된 바 있다.
그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75545호의 경우, 집진부의 사이클론관의 하부에 구비된 집진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많은 양의 이물질을 청소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집진부를 통해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먼지나 분진 및 검불 등의 이물질이 내부에 저장된 상태로 상기 이물질과 함께 폐기처리되거나 이물질 제거후 재활용가능하기 때문에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이물질의 청소용이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으로 필터처럼 사용가능한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출구가 형성된 상부시트와; 상기 상부시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시트와; 상단부가 상기 상부시트의 테두리부를 감싼 상태로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시트의 테두리부를 감싼 상태로 고정되며, 분진유입구가 형성된 측면시트와; 상기 측면시트의 분진유입구의 상측에 수평상태로 배치고정되도록 테두리부가 상기 측면시트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시트, 하부시트 및 측면시트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고, 중앙에 연통구가 형성되는 격벽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시트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측면시트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격벽시트에 중앙에 상기 연통구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격벽시트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관체는 직물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관체의 하단부에 중량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집진부를 통해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먼지나 분진 및 검불 등의 이물질이 내부에 저장된 상태로 상기 이물질과 함께 폐기처리되거나 이물질 제거후 재활용가능하기 때문에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이물질의 청소용이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으로 필터처럼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격벽시트의 중앙에 관체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관체의 하부에 중량물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측면시트의 내측에 이물질이 집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이 집진부와 사이클론집진부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격벽시트의 중앙에 관체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관체의 하부에 중량물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측면시트의 내측에 이물질이 집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이 집진부와 사이클론집진부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1)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시트(10), 하부시트(20), 측면시트(30) 및 격벽시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상부시트(10)의 중앙에는 배출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11) 주변의 상기 상부시트(10)부위에는 상기 배출구(111)와 연통되도록 상기 배출구(111)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형상 또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배출관체(110)의 하측이 접착고정 또는 봉제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시트(20)는 상기 상부시트(10)의 하측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측면시트(30)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시트(10)의 테두리부를 감싼 상태로 접착고정, 봉제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측면시트(30)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시트(20)의 테두리부를 감싼 상태로 접착고정, 봉제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측면시트(30)의 일측부위, 타측부위, 전측부위 및 후측부위 중 어느 한부위에는 분진유입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진유입구(311) 주변의 상기 측면시트(30)의 부위에는 상기 분진유입구(311)와 연통된 상태로 수평배치되는 환형형상 또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분진유입관(310)의 전측이 접착고정 또는 봉제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격벽시트(40)가 상기 측면시트(30)의 분진유입구(311)의 상측에 수평상태로 배치고정되도록 상기 격벽시트(40)의 테두리부는 상기 측면시트(30)의 내측면에 접착고정, 봉제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상부시트(10), 상기 하부시트(20) 및 상기 측면시트(30)에 의해 상기 측면시트(30)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공간(300)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격벽시트(4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수용공간(300)은 상기 격벽시트(40)를 기준으로 상기 측면시트(3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공간(301)과; 상기 측면시트(3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공간(30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격벽시트(40)의 중앙에는 연통구(41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시트(10), 상기 배출관체(110), 상기 하부시트(20), 상기 측면시트(30), 상기 분진유입관(310) 및 상기 격벽시트(4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1)의 제조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상기 상부시트(10), 상기 배출관체(110), 상기 하부시트(20), 상기 측면시트(30), 상기 분진유입관(310) 및 상기 격벽시트(40)는 직물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격벽시트(40)의 연통구(410)내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물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망부재(411)의 테두리가 상기 연통구(410)의 주변의 상기 격벽시트(40) 부위에 접착고정, 봉제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통구(410)에 고정된 상기 망부재(411)를 통해 상기 연통구(410)를 통해 상기 하부공간(302)에서 상기 상부공간(301)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분진 및 검불 등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필터링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측면시트(3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후술할 집진부에서 상기 측면시트(3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측면시트(30)이 내측에서 보다 용이하게 선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측면시트(3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격벽시트의 중앙에 관체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격벽시트(40)의 중앙에는 상기 연통구(410)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격벽시트(40)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면시트(3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하부공간(302)에서 상기 상부공간(301)으로 보다 용이하게 안내하기 위한 원통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관체(412)의 상단부가 상기 연통구(410) 주변의 상기 격벽시트(40)의 부위에 접착고정, 봉제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관체(412)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용 집진톤백(1)의 제조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상기 관체(412) 또한 직물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면시트(30)의 분진유입구(311)를 통해 상기 측면시트(3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선회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분진 및 검불 등의 이물질이 상기 관체(412)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면시트(30)의 분진유입구(311)는 상기 격벽시트(40)와 상기 관체(412)의 하단부 사이의 상기 측면시트(30)의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관체의 하부에 중량물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관체(412)의 형상을 유지시켜 상기 관체(412)가 상기 측면시트(3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하부공간(302)에서 상기 상부공간(301)으로 보다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412)의 하단부에는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중량물(4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량물(413)은 환형 형상 또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측면시트의 내측에 이물질이 집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중량물(413)의 무게로 인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격벽시트(40)의 중앙이 상기 격벽시트(40)의 하부방향으로 처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관체(412) 주변의 상기 격벽시트(40)의 하부면에 상기 격벽시트(40)의 테두리부에서 상기 관체(412)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격벽시트(40)의 중앙 하측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414)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부공간(302)으로 유입되어 선회하면서 상기 격벽시트(40)로 상승된 공기는 상기 중량물(413)로 인해 상기 격벽시트(40)의 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414)을 따라 상기 관체(412)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고, 이 과정 중에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분진 및 검불 등의 이물질(7)은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되어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시트(20)로 낙하하여 상기 하부시트(20)의 상부에 누적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기로부터의 이물질제거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체(412)의 내경크기가 상기 하부공간(302)의 내경크기 및 상기 상부공간(301)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베르누이 정리에 의해 상기 관체(412)의 압력은 상기 상부공간(301)의 압력 및 상기 하부공간(302)의 압력보다 크며, 상기 관체(412)를 통과하는 공기의 속력은 상기 하부공간(302)으로 유입되어 선회하는 공기의 속력 및 상기 관체(412)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공간(301)으로 유입되어 선회하는 공기의 속력보다 빠를 수 있다.
상기 상부공간(301)으로 유입된는 공기에 일부 포함된 먼지나 분진 및 검불 등의 이물질(7)은 자중에 의해 상기 격벽시트(40)의 상부방향으로 낙하하여 상기 격벽시트(40)의 상부에 누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시트(20)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시트(20)의 상부에 누적된 이물질(7)을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시트(20)의 배출구는 상기 하부시트(20)의 배출구 주변의 상기 하부시트(20)를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조임끈 등의 고정부재(201)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인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용 집진톤백이 집진부와 사이클론집진부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인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1)의 측면시트(30)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집진부(2)와 사이클론집진부(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진부(2)는 사이클론관(21)과 지지다리(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관(21)의 일측 내부에는 곡물집진기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분진 및 검불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상기 사이클론관(21)의 내부로 유입 및 선회시키는 임펠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관(21)의 타측 하부에는 먼지나 분진 및 검불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관(21)의 배출구(211)를 통해 배출되는 먼지나 분진 및 검불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상기 측면시트(30)의 분진유입관(310)으로 공급하는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급라인(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4)의 일측은 상기 사이클론관(21)의 배출구(211)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4)의 타측은 상기 분진유입관(31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분진유입관(310)에는 상기 분진유입관(310)을 감싼 상태로 상기 분진유입관(310)을 상기 공급라인(4)의 타측 외면에 밀착고정시키는 조임끈 등의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22)는 상기 사이클론관(21)의 하부 각 모서리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사이클론관(21)을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1)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거치시키는 거치프레임(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프레임(4)은 수평거치프레임(41)과 수직거치프레임(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거치프레임(41)은 사각틀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거치프레임(42)은 상기 수평거치프레임(41)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거치프레임(42)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수평거치프레임(41)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는 상기 측면시트(30)의 상부 각 모서리부위에 봉제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직물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걸림끈부재(32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3)는 상기 수직거치프레임(42)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수평거치프레임(41)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 구비되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431)와; 상기 탄성부재(431)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걸림끈부재(320)가 분리가능하게 수용된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후크부재(4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집진부(3)는 사이클론본체(31)와 지지부재(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본체(31)의 내부로는 상기 상부시트(10)의 배출구(11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어 선회할 수 있으며, 상기 사이클론본체(31)의 내부에서 선회하는 공기에 포함된 일부 먼지나 분진 및 검불 등의 이물질(7)은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되어 상기 사이클론본체(31)의 하부 외측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2)는 수평지지프레임(321)과 수직지지프레임(3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프레임(321)은 사각틀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프레임(321)의 내측에 상기 사이클론본체(31)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22)은 상기 수평지지프레임(321)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시트(10)의 배출구(11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사이클론본체(31)로 배출시키는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배출라인(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라인(5)의 일측은 상기 상부시트(10)의 배출관체(11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배출관체(110)에는 상기 배출관체(110)를 감싼 상태로 상기 배출관체(110)를 상기 배출라인(5)의 일측 외면에 밀착고정시키는 조임끈 등의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인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1)은 상기 집진부(2)를 통해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먼지나 분진 및 검불 등의 이물질(7)이 내부에 저장된 상태로 상기 이물질(7)과 함께 폐기처리되거나 이물질 제거후 재활용가능하기 때문에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이물질(7)의 청소용이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으로 필터처럼 사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10; 상부시트, 20; 하부시트,
30; 측면시트, 40; 격벽시트.
30; 측면시트, 40; 격벽시트.
Claims (6)
- 배출구가 형성된 상부시트와;
상기 상부시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시트와;
상단부가 상기 상부시트의 테두리부를 감싼 상태로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시트의 테두리부를 감싼 상태로 고정되며, 분진유입구가 형성된 측면시트와;
상기 측면시트의 분진유입구의 상측에 수평상태로 배치고정되도록 테두리부가 상기 측면시트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시트, 하부시트 및 측면시트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고, 중앙에 연통구가 형성되는 격벽시트와;
상기 격벽시트의 연통구내에 고정되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망부재와;
상기 격벽시트의 중앙에 상기 연통구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격벽시트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관체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환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량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량물의 무게로 인해 상기 격벽시트의 중앙이 상기 격벽시트의 하부방향으로 처져 상기 관체 주변의 상기 격벽시트의 하부면에 상기 격벽시트의 테두리부에서 상기 관체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격벽시트의 중앙 하측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공간으로 유입되어 선회하면서 상기 격벽시트로 상승된 공기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관체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유입 및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이물질이 하부시트로 낙하하여 하부시트에 누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시트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시트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직물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284A KR101989326B1 (ko) | 2018-04-20 | 2018-04-20 |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6284A KR101989326B1 (ko) | 2018-04-20 | 2018-04-20 |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9326B1 true KR101989326B1 (ko) | 2019-06-14 |
Family
ID=6684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6284A KR101989326B1 (ko) | 2018-04-20 | 2018-04-20 |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9326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67437A (ja) * | 1998-01-24 | 1999-10-05 | Meiwa Kogyo Kk | 集塵装置 |
KR20020005557A (ko) * | 2001-12-12 | 2002-01-17 | 박광주 |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분진제거용 집진장치 |
KR101175545B1 (ko) | 2010-06-14 | 2012-08-22 | 유한회사 호남산업 |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
-
2018
- 2018-04-20 KR KR1020180046284A patent/KR1019893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67437A (ja) * | 1998-01-24 | 1999-10-05 | Meiwa Kogyo Kk | 集塵装置 |
KR20020005557A (ko) * | 2001-12-12 | 2002-01-17 | 박광주 |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분진제거용 집진장치 |
KR101175545B1 (ko) | 2010-06-14 | 2012-08-22 | 유한회사 호남산업 |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420895B (zh) | 单级旋风式真空清洁器 | |
US11458485B2 (en) | Dust collector with negative pressure bagging | |
AU2017202173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ter bed unloading and loading | |
CN113117401A (zh) | 分离装置和清洁设备 | |
US9687767B2 (en) | Filter apparatus for extracting fine dust from air | |
KR19990036437A (ko) | 표면 세척 또는 건조용 액체 픽업 기구 | |
US4521231A (en) | High capacity gas filter system | |
KR20090117976A (ko) | 분말제거장치 및 입체 분리 시스템 | |
EP0245224A1 (en) | Suction apparatus | |
CN211160682U (zh) | 一种用于风机的杂质过滤装置 | |
KR101719795B1 (ko) | 대용량의 효율성과 안정적 구조를 갖는 가변 원심력과 백 필터를 이용한 집진장치 | |
CN108940854A (zh) | 一种多功能粮食筛选机 | |
KR101989326B1 (ko) |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 | |
CN208390122U (zh) | 一种稻谷杂质分离装置 | |
CN108554108B (zh) | 一种多级过滤除尘器 | |
CN220635327U (zh) | 一种茶叶除杂装置 | |
KR101989327B1 (ko) |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용 집진톤백 | |
CN104841579B (zh) | 一种风机送料粉尘分离器 | |
CN205995178U (zh) | 一种防回流的工业除尘设备 | |
US20140352268A1 (en) | Cyclonic particulate collection device | |
CN207857337U (zh) | 振动筛选装置 | |
CN211050927U (zh) | 一种内置滤网式喷雾干燥塔出料系统 | |
CN213103173U (zh) | 一种选煤除尘装置 | |
CN105903306A (zh) | 一种高效除尘的气箱式袋式除尘器 | |
KR20110011495U (ko) |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