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096A -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096A
KR20110136096A KR1020100055884A KR20100055884A KR20110136096A KR 20110136096 A KR20110136096 A KR 20110136096A KR 1020100055884 A KR1020100055884 A KR 1020100055884A KR 20100055884 A KR20100055884 A KR 20100055884A KR 20110136096 A KR20110136096 A KR 20110136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que image
image
data
unique
loc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2487B1 (ko
Inventor
김진영
정용욱
전영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5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48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6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부와;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고유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상기 고유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탐색된 디바이스 중 상기 추출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갖는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연결 시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신속하게 연결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연결 대상이 아닌 디바이스의 악의적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DEVICE FOR LOCAL WIRELSS COMMUNIC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연결하고자 하는 상대방 디바이스의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로 입력받아, 무선신호를 이용한 네트워크 연결 과정에서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참조하도록 함으로써,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신속하게 연결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연결 대상이 아닌 디바이스의 악의적 접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간의 인터페이스도 다양해졌다.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는 디바이스 간의 유선 통신을 대체하여, 전자 기기의 휴대성 및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상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 간에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경우,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는 주변에서 무선 네트워크 신호를 발신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탐색하고, 탐색을 통해 얻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표시된 정보를 통해 탐색 된 디바이스의 이름 혹은 모델번호 등을 확인하여 연결 대상을 선택한다.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선택한 디바이스 측과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런데, 주변에 다수개의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을 모두 탐색해야하므로 탐색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탐색 된 디바이스의 정보는 해당 디바이스의 모델번호, 혹은 해당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이름 등의 형태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연결 대상 디바이스를 인식하기가 용이하지 아니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악의를 가진 상대방이 사용자의 연결을 유도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이름을 조작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치 않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선택하게 되어 보안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연결 시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신속하게 연결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연결 대상이 아닌 디바이스의 악의적 접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부와;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고유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상기 고유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탐색된 디바이스 중 상기 추출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갖는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연결이 선택된 경우, 카메라부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고유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상기 고유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서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들을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된 디바이스의 정보 중 상기 고유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일치하는 데이터를 갖는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고유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상기 고유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탐색된 디바이스 중 상기 추출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갖는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연결 시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신속하게 연결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연결 대상이 아닌 디바이스의 악의적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적용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 흐름도,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적용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1의 실시예는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A, B, C, D를 포함하는 5개의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A(200) 간에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는 동일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복수의 기기 간에 연결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연결 시, 무선 네트워크의 연결을 요청하는 측을 마스터 디바이스(100)로 설정할 수 있으며,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요청에 응답하는 측을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 간에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고유 이미지를 획득한다.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부(220)에 고유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고유 이미지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모델명이나 모델번호, 고유번호, IP 어드레스, 등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고유 이미지는 이차원 바코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문자, 숫자, 도형, 사진, 삼차원 이미지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고유 이미지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120)를 포함한다.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고유 이미지를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 후,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상대방 디바이스를 탐색(inquiry)하는 과정을 시작하여 영역 내에 존재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A, B, C, D)들을 탐색한다.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탐색 결과 인식된 슬레이브 디바이스(A, B, C, D)들의 정보와 고유 이미지로 입력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디바이스를 검색한다.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정보가 일치하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바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디바이스(100)에 연결 대상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식별 정보를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고, 이 후,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탐색 과정에서 일치하는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바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연결 대상 디바이스를 직접 선택하지 아니하고도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부(130)와,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120)와, 메모리부(140)와, 카메라부(120)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고유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부(130)를 통해 탐색된 디바이스 중 추출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갖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부(230)는 디바이스 간 연결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는 블루투스, 지그비, RF 통신부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고유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카메라부(120)가 이미지 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카메라부(120)는 촬영된 고유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어부(110)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메모리부(140)에는 촬영된 고유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와,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루틴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루틴은 후술하는 CPU(112)에 의해서 내장 메모리(114)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고유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부(130)를 통해 탐색된 디바이스 중 추출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갖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다.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중앙처리장치(CPU)(112), 내장 메모리(114), 서포트 회로(SUPPORT CIRCUIT)(116)를 포함한다.
CPU(1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내장 메모리(114)는 CPU(112)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내장 메모리(114)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16)는 CPU(112)와 기능적으로 결합되어 CPU(112)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16)는 캐쉬,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프로세스, 카메라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스, 근거리 무선통신을 설정하는 프로세스,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해석하는 프로세스 등이 내장 메모리(114)에 저장될 수 있다.
CPU(112)는 내장 메모리(114)에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로딩하고 실행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 이미지를 해석하는 동작, 및 근거리 무선통신을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은 카메라부(1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미지를 캡쳐링하는 동작일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를 해석하는 동작은 캡쳐링한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한 텍스트를 해석하는 동작일 수 있다. 한편,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할 필요가 없이 바로 해석할 수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와 소정의 정보가 1:1로 매칭된 매칭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다면, 그 매칭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해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부(230)와, 고유 이미지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240)와, 디스플레이부(220)와,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고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부(230)는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근거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무선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를 표시한다.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메모리부(240)에는 고유 이미지가 저장된다. 고유 이미지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식별을 위한 정보, 예컨대, 모델명이나 모델번호, 고유번호, IP 어드레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유 이미지 이외에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들도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저장되는 이미지는, 이차원 바코드, 문자, 숫자, 도형, 사진, 삼차원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식별정보, 주소정보, 서비스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고유 이미지는 모델명이나 모델번호, 고유번호, IP 어드레스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메모리부(240)에 고유 이미지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 및 이미지 생성을 위한 소프트웨어 루틴을 저장하고, 고유 이미지가 필요한 경우에 한해 해당 소프트웨어 루틴을 실행하여 고유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메모리부(240)에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루틴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루틴은 후술하는 CPU(212)에 의해서 내장 메모리(214)에 로딩되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10)는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 시,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한다. 이러한 제어부(210)는 CPU(212), 내장 메모리(214), 서포트 회로(216)를 포함한다. 여기서, CPU(212), 내장 메모리(214), 서포트 회로(216)에 대한 동작은 상술한 마스터 디바이스(100)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차이가 나는 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내장 메모리(2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스, 근거리 무선통신을 설정하는 프로세스, 고유 이미지를 마스터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는 프로세스 등이 저장될 수 있다. CPU(212)는 내장 메모리(214)에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로딩하고 실행하여 고유 이미지를 메모리부(240)에서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카메라부(120)를 포함하는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디스플레이부(220)를 포함하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디바이스가 경우에 따라 마스터의 기능 혹은, 슬레이브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함으로,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구성 및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구성은 단일 기기 내에 함께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 흐름도이다.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이 시작되면(S110),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카메라부(120)의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S112).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에서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되면(S130),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10)는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고유 이미지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한다(S132).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직접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고유 이미지가 표시된 디스플레이부(220)를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카메라부(120)에 근접시킨다.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카메라부(120)에 근접한 고유 이미지를 촬영한다(S114). 카메라부(120)는 근접한 고유 이미지를 자동으로 포착하여 촬영할 수 있으며, 혹은, 사용자가 직접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촬영기능을 조작하여 고유 이미지가 촬영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고유 이미지에서 연결 대상 디바이스, 즉,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고유 데이터를 추출한다(S116). 고유 이미지에서 추출된 데이터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모델명이나 모델번호, 고유번호, IP 어드레스, 등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부(130)를 제어하여 근거리에 존재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탐색한다(S118). 디바이스 탐색을 위해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검색 요청 신호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검색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근거리 네트워크 신호를 송신한다(S134).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탐색된 디바이스 중 이미지 데이터로 촬영된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디바이스를 검색한다(S120).
마스터 디바이스(100) 일치하는 정보를 갖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 측에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신호를 송신하여(S122),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한다(S14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연결 대상 디바이스를 직접 지정하지 아니하여도,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고유 이미지를 통해 연결대상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정확히 검색하여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 흐름도이다.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이 시작되면(S210),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연결 대상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 측에 네트워크 연결신호를 송신하고(S212), 카메라부(120)의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S214).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마스터 디바이스(100)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신호가 수신되면(S230),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한다(S232).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10)는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고유 이미지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한다(S234). 여기서,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 간에 송수신된 네트워크 연결신호는,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소정 거리 미만으로 상호 근접할 경우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 측에서 자동으로 네트워크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고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각각 RF송수신 장치를 추가하거나, 혹은, 상호 근접했음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카메라부(120)에 근접한 고유 이미지를 촬영한다(S216). 카메라부(120)는 근접한 고유 이미지를 자동으로 포착하여 촬영할 수 있으며, 혹은, 사용자가 직접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촬영기능을 조작하여 고유 이미지가 촬영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고유 이미지에서 연결 대상 디바이스, 즉,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고유 데이터를 추출한다(S218). 고유 이미지에서 추출된 데이터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모델명이나 모델번호, 고유번호, IP 어드레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부(130)를 제어하여 근거리에 존재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탐색한다(S220). 디바이스 탐색을 위해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검색 요청 신호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검색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근거리 네트워크 신호를 송신한다(S236).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탐색된 디바이스 중 이미지 데이터로 촬영된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디바이스를 검색한다(S222).
마스터 디바이스(100) 일치하는 정보를 갖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 측에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신호를 송신하여(S224),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한다(S24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에서 고유 이미지 디스플레이 기능을 선택하지 아니하고, 마스터 디바이스(100)를 연결 대상인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에서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고유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 흐름도이다.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이 시작되면(S310),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카메라부(120)의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S312).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에서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되면(S330),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10)는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제1이미지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한다(S332).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카메라부(120)에 근접한 제1이미지를 촬영한다(S216).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10)는 제1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로 전환해야 하는 이미지 전환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34), 이미지 전환 시간이 경과된 경우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제2이미지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한다(S336). 이와 같이, 복수개의 이미지를 이용하는 경우 각각의 이미지가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여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식별정보와,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전환된 제2이미지를 촬영한다(S316). 여기서,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카메라부(120)는 이미지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1이미지에서 전환된 제2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고유 데이터와 부가서비스 데이터를 추출한다(S318). 고유 이미지에서 추출된 데이터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모델명이나 모델번호, 고유번호, IP 어드레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서비스 데이터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부(130)를 제어하여 근거리에 존재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탐색한다(S320). 디바이스 탐색을 위해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검색 요청 신호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검색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근거리 네트워크 신호를 송신한다(S338).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10)는 탐색된 디바이스 중 이미지 데이터로 촬영된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동일한 정보를 갖는 디바이스를 검색한다(S322).
마스터 디바이스(100) 일치하는 정보를 갖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 측에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신호를 송신하여(S324),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한다(S340).
근거리 네트워크가 연결되면,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를 통해 제공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한다(S34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식별정보와 원하는 서비스의 정보를 복수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마스터 디바이스(100)에 전달하고 있다. 이에,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연결 대상인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자동으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복수의 이미지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식별정보와 원하는 서비스의 정보를 마스터 디바이스(100)에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그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으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복수의 이미지를 이용하되, 이들 복수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식별정보와 원하는 서비스의 정보를 마스터 디바이스(100)에 전달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 다르게는,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식별정보와 원하는 서비스의 정보를 마스터 디바이스(100)에 전달함에 있어서, 일부 정보는 복수의 이미지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표현하고 나머지 정보는 복수의 이미지의 조합으로 표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스마트폰이나 휴대전화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 간에 근거리 네트워크를 연결하거나, 노트북, 포스 기기와 같은 호스트 장치와 모바일 디바이스 간에 근거리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기능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포스 기기 간에 근거리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경우의 구성을 예시해 보기로 한다.
결제기능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결제 프로그램과, 카드사 등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탑재 카드를 발급받는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제가 발생한 시점에서 결제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게 되며, 결제 프로그램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번호와 발급된 카드정보를 포함하는 이차원 바코드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한다.
POS 기기는 연결된 카메라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이차원 바코드를 촬영하여 카드 정보와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해석한다. 해석된 정보에 기초하여 POS 기기는 대상 디바이스를 찾아 해당 모바일 디바이스와 근거리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해석된 카드정보는 원격지로 전송하여 결제 프로세스가 진행되도록 한다. 이 후, 결제 프로세스에 대한 임의의 경과가 원격지에서 POS 기기에 전송되면, POS는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 서명, 혹은, 비밀번호 입력 등의 정보를 송수신하여 결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키오스크에서 임의의 정보를 얻고 이를 이메일로 전송하기를 원하는 경우, 종래에는 사용자가 직접 키오스크가 제공하는 입력장치에서 이메일 정보를 직접 입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하면 이미지 데이터에 사용자의 이메일 정보도 부가하여 키오스크의 카메라로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를 증진시키고 보안효과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근거리 네트워크를 연결하고자 하는 상대방 디바이스의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로 입력받아, 무선신호를 이용한 네트워크 연결 과정에서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참조하도록 함으로써,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신속하게 연결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연결 대상이 아닌 디바이스의 악의적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100 : 마스터 디바이스 110 : 제어부
120 : 카메라부 130 :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부
140 : 메모리부 200 :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
210 : 제어부 220 : 디스플레이부
230 :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부 240 : 메모리부

Claims (18)

  1.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부와;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고유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상기 고유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탐색된 디바이스 중 상기 추출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갖는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부와, RF 통신부와, 지그비 통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이미지는,
    이차원 바코드, 문자, 숫자, 도형, 사진, 삼차원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이미지는,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모델명이나 모델번호, 고유번호, IP 어드레스, 부가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차원 바코드 인식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고유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이미지는 복수개의 이미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들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는,
    상기 고유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는,
    상기 고유 이미지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9.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연결이 선택된 경우, 카메라부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고유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상기 고유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영역 내에서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들을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된 디바이스의 정보 중 상기 고유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일치하는 데이터를 갖는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이미지는,
    이차원 바코드, 문자, 숫자, 도형, 사진, 삼차원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이미지는,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모델명이나 모델번호, 고유번호, IP 어드레스, 부가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상기 고유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이차원 바코드 인식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고유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고유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가 표시하는 복수개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상기 고유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 중 소정 기준 이미지와 다른 이미지 간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연결이 선택된 경우, 고유 이미지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이미지 요청 신호를 수신한 연결 대상 디바이스가 상기 고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 후, 상기 고유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8. 연결 대상 디바이스의 고유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상기 고유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탐색된 디바이스 중 상기 추출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갖는 상기 연결 대상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KR1020100055884A 2010-06-14 2010-06-14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182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884A KR101182487B1 (ko) 2010-06-14 2010-06-14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884A KR101182487B1 (ko) 2010-06-14 2010-06-14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096A true KR20110136096A (ko) 2011-12-21
KR101182487B1 KR101182487B1 (ko) 2012-09-12

Family

ID=4550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884A KR101182487B1 (ko) 2010-06-14 2010-06-14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4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9043A1 (ko) * 2018-04-10 2019-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90123661A (ko) * 2018-04-10 2019-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0091215A1 (en) * 2018-10-31 2020-05-07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target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6667B1 (fr) 2006-10-02 2009-01-16 Eastman Kodak Co Production de codes visuels pour l'appariement d'equipements electroniques.
EP2073515A1 (en) 2007-12-21 2009-06-24 Koninklijke KPN N.V. Identification of proximate mobile devic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9043A1 (ko) * 2018-04-10 2019-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90123661A (ko) * 2018-04-10 2019-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0091215A1 (en) * 2018-10-31 2020-05-07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target devices
US10952267B2 (en) 2018-10-31 2021-03-16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target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2487B1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80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user device
KR101536069B1 (ko) 포스 주변기기 컨트롤러, 모바일 호스트 디바이스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20120046605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9730007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20200160036A1 (en) Communication system,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4024076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1802240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123941A (ko) Qr코드를 이용한 무선통신 페어링 방법
US20180110083A1 (en) Communications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371705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기와 외부 전자 장치의 트랜잭션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18248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47055A (ko) 전원제어 시스템
JP201308520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463350B1 (en) Providing data of stored images to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s
JP2016015081A (ja) 通信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通信端末装置の制御方法
JP201321960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4068206A (ja)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機器制御システム
JP6702407B2 (ja) 通信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通信端末装置の制御方法
JP6023577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873958B (zh) 相机快门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102489729B1 (ko) 연결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들과 연결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5115658A (ja)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通信システム
KR101835610B1 (ko) 무선랜에 연결할 수 있는 알에프아이디 태그 리더기 및 그 무선랜 연결 방법
JP2010098409A (ja) 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表示機器およびベース機器
KR20230072205A (ko) 가전 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