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311A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311A
KR20110134311A KR1020110054604A KR20110054604A KR20110134311A KR 20110134311 A KR20110134311 A KR 20110134311A KR 1020110054604 A KR1020110054604 A KR 1020110054604A KR 20110054604 A KR20110054604 A KR 20110054604A KR 20110134311 A KR20110134311 A KR 20110134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arms
arm
rib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2935B1 (ko
Inventor
가쿠 가와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10134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과제) 버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흔들거림을 저감시킬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피 걸림부를 가진 1쌍의 가요성의 암(22)을 갖는 수부재(2)와, 서로 대향한 1쌍의 측벽을 가지고 편평한 통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 내에 삽입된 상기 1쌍의 암(22)이 갖는 상기 피 걸림부와 걸어맞추어지는 걸림부가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는 암부재(3)를 구비하는 버클로서, 상기 피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가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측벽 각각에 있어서의 내표면과 상기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외표면과의 거리가, 상기 1쌍의 암(22) 각각에 있어서의 선단 및 기단에 있어서 다른 영역보다 작아진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수부재에 암부재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부재와 암부재로 구성되는 버클이 알려져 있다.
수부재에는 선단에 피 걸림부를 가진 서로 면대칭 형상인 1쌍의 암이 기부(基部)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또한 이들 1쌍의 암의 중간에는 단면 H자형의 가이드 로드(rod)가 기부로부터 암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로드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기부는 암의 연장 방향으로 튀어나오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자리의 전체에 걸쳐 단차부를 가지고 있다.
한편, 암부재에는 1쌍의 암 및 가이드 로드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가진 편평한 통형상의 수용부가 상기 1쌍의 암 및 가이드 로드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며, 또한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는 가이드 로드를 안내하는 칸막이편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에 있어서의 삽입구에는 상기 삽입구에 있어서의 개구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상기 단차부와 끼워맞춰지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부재와 암부재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암부재의 삽입구에 있어서의 접촉부에 수부재의 기부에 있어서의 단차부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수부재와 암부재가 삽입구에 있어서 밀착 상태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공개 제2002-101915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버클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 로드가 수용부의 내부에서 칸막이편에 의해 안내되고, 그리고, 피 걸림부가 수용부 내의 걸림부와 걸어맞추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확실하게, 칸막이편의 안내에 의해 소정의 방향을 따라 수부재가 삽입되고, 또한 피 걸림부와 걸림부 사이의 걸어맞춤에 의해 수부재가 암부재에 대해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버클에 있어서는, 수부재와 암부재가 삽입구에서만 밀착 상태를 형성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버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는, 암부재에 대한 수부재의 변위(흔들거림)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버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흔들거림을 저감시킬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피 걸림부를 가진 1쌍의 가요성의 암을 갖는 수부재와, 서로 대향한 1쌍의 측벽을 가지고 편평한 통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 내에 삽입된 상기 1쌍의 암이 갖는 상기 피 걸림부와 걸어맞추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암부재를 구비하는 버클로서, 상기 피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가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측벽 각각에 있어서의 내표면과 상기 1쌍의 암에 있어서의 외표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1쌍의 암 각각에 있어서의 선단 및 기단에 있어서 다른 영역보다 작아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1쌍의 측벽 각각에 있어서의 내표면과 1쌍의 암에 있어서의 외표면 사이의 거리가, 1쌍의 암에 있어서의 선단 및 기단에서 다른 영역보다 작아진다. 그 결과, 1쌍의 암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1쌍의 암이 그 네 귀퉁이에 있어서 암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므로, 버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암부재에 대한 수부재의 변위, 즉 수부재의 흔들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버클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암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에는, 상기 1쌍의 측벽의 내표면 각각을 향해 돌출하는 1쌍의 제 1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1쌍의 암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기단에는, 상기 1쌍의 측벽의 내표면 각각을 향해 돌출하는 1쌍의 제 2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1쌍의 측벽 각각에 있어서의 내표면과 상기 1쌍의 암에 있어서의 외표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에 있어서 다른 영역보다 작아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측벽의 내표면과 암의 외표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암의 선단 및 기단에 있어서 다른 영역보다 작아지는 구성으로는, 예컨대 암의 선단 및 기단에 대향하는 내표면의 부위에 볼록 리브를 형성하는 구성이 있다. 그러나, 측벽의 내표면에 볼록 리브가 형성되게 되면, 암이 내부에 삽입될 때에, 상기 암의 선단이 볼록 리브에 충돌하여, 암부재와 수부재를 연결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실행하기 어렵게 할 우려가 있다.
이점에 있어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1쌍의 암에 있어서의 선단 및 기단 각각에, 1쌍의 측벽 각각의 내표면을 향해 돌출하는 볼록 리브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수부재에 있어서의 흔들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은 연결 작업을 원활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버클에 있어서, 상기 피 걸림부는 상기 1쌍의 측벽 각각에 있어서의 내표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또한 돌출량이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보다 큰 볼록부이고, 상기 1쌍의 측벽의 내표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에 있어서의 홈 바닥부는 상기 피 걸림부와 대향하는 영역이고, 상기 오목홈에 있어서의 홈 측벽부는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와 대향하는 영역이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오목홈의 홈 측면인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가 갖는 돌출량보다 큰 돌출량을 가진 피 걸림부가 1쌍의 암 각각에 형성된다. 또한, 1쌍의 측벽의 내표면에는 피 걸림부와 대향하는 홈 바닥부와,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와 대향하는 홈 측벽부와, 걸림부인 홈 측면을 가진 오목홈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보다 큰 돌출량을 가진 피 걸림부가 형성되는 구성이라 하더라도, 1쌍의 측벽 각각에 있어서의 내표면과 1쌍의 암에 있어서의 외표면 사이의 거리가 1쌍의 암에 있어서의 선단 및 기단에서 다른 영역보다 작아진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가 갖는 돌출량과 피 걸림부가 갖는 돌출량과의 차이가 커질수록 오목홈에 필요한 홈 깊이가 커진다. 즉 피 걸림부의 돌출량이 커질수록 걸림부인 홈 측면의 높이가 커지기 때문에, 피 걸림부와 걸림부 사이의 걸어맞춤 부위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1쌍의 측벽 각각에 있어서의 내표면과 상기 1쌍의 암에 있어서의 외표면 사이의 거리를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작게 하면서, 피 걸림부와 걸림부 사이의 걸림력을 유지, 혹은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버클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암의 선단을 향해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암의 선단을 향해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제 1 리브가 형성되기 때문에, 암이 내부에 삽입될 때에 상기 암이 삽입되는 개구와 제 1 리브가 접촉해도 그 접촉에 기인한 저항감을 삽입 초기에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수부재와 암부재를 연결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5,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피 걸림부가 상기 제 1 리브보다 상기 기단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5,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피 걸림부가 걸림부에 걸어맞추어지는 위치가 암에 있어서의 선단과 기단 사이가 되기 때문에, 버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흔들거림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그 표면측에서 본 평면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버클의 이면측에서 본 평면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버클의 표면측에서 본 버클을 수부재와 암부재로 분해한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버클의 이면측에서 본 버클을 수부재와 암부재로 분해한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버클의 A-A 단면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버클의 B-B 단면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버클(1)의 전체 구조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버클(1)의 수부재(2)에 있어서의 기부(21)에는 가요성을 가진 1쌍의 암(22)이 상기 기부(21)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버클(1)의 암부재(3)는 편평한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편평한 방향으로 벌어지는 서로 대향한 측벽인 표면측 측벽(31)과 이면측 측벽(32)을 가지고 있다. 이 암부재(3)에 있어서의 일측의 단부(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우측의 단부)에는, 1쌍의 암(22)이 삽입되는 삽입구(3P)가 형성되고, 또한 타측의 단부에는, 삽입구(3P)에 대향한 개방구(3D)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삽입구(3P)로부터 개방구(3D)를 향한 방향을 삽입 방향이라 하고, 1쌍의 암(22)이 나란한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한다. 또한, 버클(1)에 있어서의 표면측 측벽(31) 측을 표면측이라 하고, 버클(1)에 있어서의 이면측 측벽(32) 측을 이면측이라 한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의 지면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부재(2)가 갖는 좌우 1쌍의 암(22) 각각은, 상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과 대략 평행한 표면 및 이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좌우 1쌍의 암(22) 각각은 상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선단 근처가 팽대(膨大)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암(22)에 있어서의 우측 외측면 및 좌측의 암(22)에 있어서의 좌측 외측면은, 마찬가지로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그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인 암 걸림부(22S)가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튀어나오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외형을 갖는 1쌍의 암(22)의 선단 근처에는, 각각 표리 1쌍의 피 걸림부(23)가 형성되어 있다. 피 걸림부(23)는 암(22)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 좌우 1쌍의 표면측 볼록부(23F)와, 암(22)의 이면에 돌출 형성된 좌우 1쌍의 이면측 볼록부(2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쌍의 암(22)의 기단에 있어서의 표면 및 이면에는 각각 제 1 리브로서의 좌우 1쌍의 기단위치결정리브(27)가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22)의 선단에 있어서의 표면 및 이면에는 암(22)의 선단을 향해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제 2 리브로서의 좌우 1쌍의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암의 두께 방향(표리 방향)에 있어서의 각 리브(27,28)의 폭을 상기 리브에 있어서의 돌출량이라 하면, 각 리브(27,28)는 기단위치결정리브(27)의 돌출량과 선단위치결정리브(28)의 돌출량이 서로 같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리브(27,28)는 기단위치결정리브(27)의 돌출량과 선단위치결정리브(28)의 돌출량이 상기한 피 걸림부(23)의 돌출량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1쌍의 암(22)의 선단 근처에는 단면이 마름모꼴을 이루어 암(22)이 연장되는 방향(상기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구멍(24)이 상기 암(22)의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까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부재(2)는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해 면 대칭이 되도록, 즉 표면측에서 본 1쌍의 암(22)의 구조와 이면측에서 본 1쌍의 암(22)의 구조가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암구멍(24)이 1쌍의 암(22) 각각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암(22)의 강도가 확보되면서 수부재(2)가 예컨대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될 때에는 싱크 마크(sink mark)가 발생해 버리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연하면, 암(22)의 기단 근처에 있어서의 표면 및 이면에는 각각 기단위치결정리브(27)가 배치되고, 또한 암(22)의 피 걸림부(23)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보다 선단 근처에 있어서의 표면 및 이면에는, 각각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 결정 리브가 형성된 구성에서는,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될 때에, 1쌍의 암(22)의 외표면과 암부재(3)의 내표면 사이의 거리가 기단위치결정리브(27) 및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형성된 부위, 즉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기단과 선단에 있어서 특히 짧아진다. 따라서,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버클(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암부재(3)에 대한 수부재(2)의 위치 어긋남(흔들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1쌍의 암(22)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는 1쌍의 암(22)을 서로 잇는 가요성을 가진 띠형의 브리지(25)가 암(22)의 선단 근처로서 피 걸림부(23)보다 기단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브리지(25)에 있어서의 양 단부(25a) 각각은 일측의 암(22)으로부터 타측의 암(22)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측의 암(22)에 접속되는 브리지(25)의 단부(25a)는 상기 암(2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상태)에서 상기 암(22)의 기단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암(22)과 브리지(25) 사이의 접속부가 그리는 원호(C)의 접선 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리지(25)에 있어서의 중간부(25b)는 일측의 암(22)과 타측의 암(22) 사이의 중간에 있어서 기부(21)를 향해 볼록형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1쌍의 암(22)에 대한 과도한 외력이 상기 1쌍의 암(22)의 간격을 벌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1쌍의 암(22) 각각과 브리지(25) 사이의 접속부에는 전단력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기부(21)에 대해 암(22)과 반대측에는, 버클(1)에 의해 체결되는 벨트가 그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유지되는 벨트 유지부(26)가 가설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부재(3)에 있어서의 표면측 측벽(31)은 표면측에서 볼 때 내측을 향해 튀어나오도록 만곡된 네 개의 가장자리에 의해 에워싸이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부재(3)에 있어서의 이면측 측벽(32)은 이면측에서 볼 때 내측을 향해 튀어나오도록 만곡된 네 개의 가장자리에 의해 에워싸이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암부재(3)를 구성하는 표면측 측벽(31)의 네 귀퉁이와 이면측 측벽(32)의 네 귀퉁이에 있어서는 삽입구(3P) 근처의 1쌍의 삽입측 연결벽(WP)과 개방구 근처의 1쌍의 개방측 연결벽(WD)에 의해 표면측 측벽(31)과 이면측 측벽(32)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1쌍의 삽입측 연결벽(WP)에 있어서의 내측면에는,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 1쌍의 암(22)의 기단에 있어서의 외측면과 정합하는 가이드 면(WP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단부에는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삽입구(3P)가 상기 표면측 측벽(31), 이면측 측벽(32) 및 삽입측 연결벽(WP)에 의해 그 네 변이 둘려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부재(3)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의 단부에는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개방구(3D)가 상기 표면측 측벽(31), 이면측 측벽(32), 및 개방측 연결벽(WD)에 의해 그 네 변이 둘려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암부재(3)가 갖는 삽입구(3P)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표면측 측벽(31)에 있어서 삽입구(3P) 근처의 가장자리인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31p)와,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 삽입구(3P) 근처의 가장자리인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32p)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31p) 및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32p)는 각각 개방구(3D)를 향해 튀어나오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 및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 및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는,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31p) 및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31d)가 1쌍의 암(22)의 외형을 추종하도록 표면측 측벽(31) 및 이면측 측벽(32)의 외형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해 면 대칭이 되도록 삽입구(3P)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표면측 측벽(31)에 의해 구성되는 삽입구(3P)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1쌍의 암(22)이 노출하지 않도록, 표면측 측벽(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이면측 측벽(32)에 의해 구성되는 삽입구(3P)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1쌍의 암(22)이 노출되지 않도록, 이면측 측벽(32)이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기능적인 일체감에 따른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삽입구(3P)에 따르면, 암부재(3)에 있어서의 삽입구(3P)와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선단부가 서로 면 대칭이기 때문에,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될 때에, 1쌍의 암(22)이 삽입구(3P)에 용이하게 삽입되게 된다.
한편, 암부재(3)가 갖는 개방구(3D)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표면측 측벽(31)에 있어서 개방구(3D) 근처의 가장자리인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31d)와,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 개방구(3D) 근처의 가장자리인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32d)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해 비 대칭이 되도록, 개방구(3D)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31d)는 삽입구(3P)를 향해 튀어나오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는,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31p) 및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31d)가 1쌍의 암(22)의 외형을 추종하도록, 표면측 측벽(31)의 외형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표면측 측벽(31)에 의해 구성되는 개방구(3D)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1쌍의 암(22)이 노출하지 않도록, 표면측 측벽(31)이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삽입구(3P)와 마찬가지로,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기능적인 일체감에 따른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32d)도, 상기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31d)과 동일하게, 삽입구(3P)를 향해 튀어나오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32d)는,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31d)보다 삽입구(3P)를 향해 더 움푹 들어간 걸림 가장자리(32S)를 가지고 있다. 이 걸림 가장자리(32S)는,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삽입구(3P)에 가장 가까운 가장자리로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 가장자리와 상기 바닥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측 가장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 걸림 가장자리(32S)가 형성되는 만큼, 이면측 측벽(32)에 의해 구성되는 개방구(3D)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1쌍의 암(22)이 노출하게 된다.
또한,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 가장자리(32S)를 구성하는 바닥 가장자리 및 측 가장자리와 상기 1쌍의 이면측 볼록부(23B)가 맞닿고, 또한 상기 1쌍의 이면측 볼록부(23B)만이 걸림 가장자리(32S)로부터 노출되는 형상으로 이면측 측벽(32)은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암(22)이 갖는 이면측 볼록부(23B)가 걸림 가장자리(32S)의 바닥 가장자리 및 측 가장자리에 맞닿아, 상기 이면측 볼록부(23B)가 삽입구(3P) 측으로 잘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개방구(3D)의 일부가 이면측 볼록부(23B)에 대한 걸림부로서 기능하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걸림부가 별도로 형성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암부재(3)의 구성을 보다 간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걸림 가장자리(32S)에 있어서의 이면측 측벽(32)의 두께는 이면측 볼록부(23B)의 두께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이면측 볼록부(23B)와 걸림 가장자리(32S)가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상기 이면측 볼록부(23B)가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1쌍의 암(22)에 형성된 이면측 볼록부(23B)와 이면측 측벽(32)에 형성된 걸림 가장자리(32S) 사이의 걸어맞춤이 외부로부터의 간섭을 잘 받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예기치 못한 원인으로 인해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면측 측벽(31)에 있어서의 내표면에는, 도 4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면측 안내홈(36)이 형성되어 있다. 표면측 안내홈(36)은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31p)로부터 개방구(3D)를 향해 홈 폭이 일정한 비율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표면측 삽입홈(36a)과, 상기 표면측 삽입홈(36a)의 개방구(3D) 측으로 확개된 걸림홈(36S)을 가지고 있다. 이 걸림홈(36S)을 구성하는 홈 측벽은,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한 걸림 가장자리(32S)와 중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부재(2)가 암부재(3)에 삽입될 때에는, 상기 1쌍의 암(22)이 갖는 표면측 볼록부(23F)가 표면측 삽입홈(36a)의 홈 측벽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걸림홈(36S)까지 안내된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암(22)의 표면측 볼록부(23F)가 걸림홈(36S)의 홈측벽에 맞닿아 상기 표면측 볼록부(23F)가 삽입구(3P) 측으로 잘 이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표면측 안내홈(36)은 그 홈 바닥부가 표면측 볼록부(23F)와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한편, 그 홈 측벽부가 기단위치결정리브(27) 및 선단위치결정리브(28)와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측 안내홈(36)의 홈 측면이, 표면측 볼록부(23F)와 걸어맞추어지는 걸림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표면측 안내홈(36)에 있어서의 홈 깊이는 상기 표면측 안내홈(36)에 안내되는 표면측 볼록부(23F)의 돌출량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표면측 안내홈(36)에 있어서의 홈 측벽부와 각 리브(27,28) 사이의 거리가, 상기 표면측 안내홈(36)에 있어서의 홈 바닥부와 표면측 볼록부(23F) 사이의 거리보다 작아진다. 즉 이면측 볼록부(23B)와 걸림홈(36S)이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는, 표면측 측벽(31)에 있어서의 내표면과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외표면 사이의 거리가, 1쌍의 암(22) 각각에 있어서의 선단 및 기단에 있어서 다른 영역보다 작아진다.
또한,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의 내표면에는, 도 3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면측 안내홈(37)이 형성되어 있다. 이면측 안내홈(37)은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32p)로부터 걸림 가장자리(32S)까지 홈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이면측 안내홈(37)을 구성하는 홈 측벽은,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한 표면측 삽입홈(36a)과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부재(2)가 암부재(3)에 삽입될 때에는, 상기 1쌍의 암(22)이 갖는 이면측 볼록부(23B)가, 이면측 안내홈(37)의 홈측벽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걸림 가장자리(32S)까지 안내된다.
또한, 이면측 안내홈(37)은 상기 표면측 안내홈(36)과 동일하게 그 홈 바닥부가 이면측 볼록부(23B)와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한편, 그 홈 측벽부가 기단위치결정리브(27) 및 선단위치결정리브(28)와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면측 안내홈(37)의 홈 측면이, 이면측 볼록부(23B)와 걸어맞추어지는 걸림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면측 안내홈(37)에 있어서의 홈 깊이는, 역시 상기 이면측 안내홈(37)과 동일하게, 상기 이면측 안내홈(37)에 안내되는 이면측 볼록부(23B)의 돌출량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이면측 안내홈(37)에 있어서의 홈 측벽부와 각 리브(27,28) 사이의 거리가, 상기 이면측 안내홈(37)에 있어서의 홈 바닥부와 이면측 볼록부(23B) 사이의 거리보다 작아진다. 즉 이면측 볼록부(23B)와 걸림 가장자리(32S)가 걸어맞추어지는 상태에서는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의 내표면과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외표면 사이의 거리가 1쌍의 암(22) 각각에 있어서의 선단 및 기단에 있어서 다른 영역보다 작아진다. 그 결과,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1쌍의 암(22)이 그 네 귀퉁이에 있어서 암부재(3)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버클(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암부재(3)에 대한 수부재(2)의 변위, 즉 수부재의 흔들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각 리브(27,28)가 갖는 돌출량과 피 걸림부(23)가 갖는 돌출량 사이의 차이가 커질수록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에 필요한 홈 깊이가 커진다. 즉 피 걸림부(23)의 돌출량이 커질수록 걸림부로서 기능하는 홈 측면의 높이가 커진다. 따라서, 피 걸림부(23)와 걸림부 사이의 걸어맞춤 부위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1쌍의 측벽 각각에 있어서의 내표면과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외표면 사이의 거리를 각 리브(27,28)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작게 하면서, 피 걸림부(23)와 걸림부 사이의 걸림력을 유지, 혹은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부연하면, 암부재(3)에는, 상기한 삽입구(3P) 및 개방구(3D) 이외에 상기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암 관통구멍(SH)이 형성되어 있다. 1쌍의 암 관통구멍(SH)은, 좌우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표면측 측벽(31), 이면측 측벽(32), 삽입측 연결벽(WP) 및 개방측 연결벽(WD)에 의해 네 변이 둘려진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1쌍의 암 관통구멍(SH)의 개구 가장자리는, 상기한 1쌍의 암(22)이 갖는 암구멍(24)의 내주면(24a)을 추종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1쌍의 암 관통구멍(SH)은,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 1쌍의 암(22) 각각의 암구멍(24)이 암부재(3)의 외측에 노출되고, 또한 1쌍의 암 관통구멍(SH) 각각이 암(22)에 의해 가려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암구멍(24)의 내주면(24a)의 형상이 암 관통구멍(SH)의 개구 형상을 추종하게 된다(도 1 및 도 2 참조). 따라서, 버클(1)에 있어서의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기능적인 일체감에 따른 미관이 양성되면서, 1쌍의 암 관통구멍(SH)으로부터 암부재(3)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암부재(3)의 내부에는, 상기 표면측 안내홈(36)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과 상기 이면측 안내홈(37)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을 연결하는 칸막이판(38)이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칸막이판(38)이 형성됨으로써, 암부재(3)에 있어서의 표면측 측벽(31)이 휘거나 이면측 측벽(32)이 휘는 것이 억제되게 되어 있다. 또한, 암부재(3)에 있어서의 삽입 방향의 단부에는, 버클(1)에 의해 체결되는 벨트가 그 길이를 변경할 수 없도록 장착되는 벨트 부착부(3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벨트 부착부(39)에는, 버클(1)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3개의 바닥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암(22)이 삽입구(3P)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면, 먼저 암(22)의 외측면이 가이드 면(WPa)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1쌍의 암(22)의 선단이 암부재(3)의 내부에 진입한다. 즉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삽입구(3P)를 통하여 암부재(3)의 내부에 진입한다. 이때,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암(22)의 선단을 향해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내부에 삽입될 때에 삽입구(3P)와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접촉해도, 그 접촉에 기인한 저항감을 삽입 초기에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부재(2)와 암부재(3)를 연결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암(22)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 1쌍의 표면측 볼록부(23F)가 표면측 삽입홈(36a)을 따라 걸림홈(36S)까지 안내된다. 또한, 암(22)의 이면에 돌출 형성된 1쌍의 이면측 볼록부(23B)가 이면측 안내홈(37)을 따라 개방구(3D)까지 안내된다.
이때, 1쌍의 암(22) 각각에 있어서의 외측면은, 암 걸림부(22S)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1쌍의 삽입측 연결벽(WP)에 있어서의 가이드 면(WPa)은, 1쌍의 암(22)의 기단에 있어서의 외표면과 정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1쌍의 암(22)이 암부재(3)에 삽입되면, 1쌍의 암(22) 각각에 있어서의 외측면이 가이드 면(WPa)보다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만큼, 암(22)의 외측면이 가이드 면(WPa)에 의해 좌우 방향의 중앙쪽으로 가압되게 된다. 그 결과, 암 걸림부(22S)가 가이드 면(WPa)에 위치할 때에, 1쌍의 암(22)이 좌우 방향의 중앙쪽으로 가장 크게 휘게 된다. 그리고, 암 걸림부(22S)가 가이드 면(WPa)을 통과하면, 암(22)의 외측면에 대한 가이드 면(WPa)의 가압이 해제되어,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휨이 표면측 삽입홈(36a) 및 이면측 안내홈(37)의 안내를 따르게 된다.
또한, 표면측 삽입홈(36a) 및 이면측 안내홈(37)의 홈 폭은, 삽입구(3P)로부터 개방구(3D)를 향해 일정한 비율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표면측 삽입홈(36a) 및 이면측 안내홈(37)의 안내를 따라 1쌍의 암(22)이 삽입되면, 1쌍의 암(22)은 좌우 방향의 중앙쪽으로 일정한 비율로 휘면서 암부재(3)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암 걸림부(22S)가 가이드 면(WPa)을 통과할 때에 암(22)에 대한 외력이 일단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암 걸림부(22S)와 가이드 면(WPa) 사이의 걸어맞추어짐에 의해, 1쌍의 암(22)을 암부재(3)에 임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1쌍의 암(22)이 암부재(3)에 계속 삽입되면, 표면측 볼록부(23F)가 걸림홈(36S)에 도달하고, 이면측 볼록부(23B)가 개방구(3D)에 도달한다. 또한, 기단위치결정리브(27)가 삽입구(3P)를 통하여 암부재(3)의 내부에 진입한다. 이때,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삽입 방향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내부에 삽입될 때에 삽입구(3P)와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접촉하여도, 그 접촉에 기인한 저항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표면측 볼록부(23F)가 걸림홈(36S)에 도달하고, 이면측 볼록부(23B)가 개방구(3D)에 도달하고, 기단위치결정리브(27)가 모두 암부재(3)의 내부에 진입한다. 그러면, 걸림홈(36S)이 표면측 삽입홈(36a)으로부터 확개되어 있기 때문에, 그리고, 걸림 가장자리(32S)가 이면측 안내홈(37)으로부터 확개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방향의 중앙 근처로 휘어 있던 1쌍의 암(22)이 이들 걸림홈(36S)의 형상 및 걸림 가장자리(32S)의 형상을 따라 서로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벌어진다. 이에 따라, 표면측 볼록부(23F)가 걸림홈(36S)의 홈 측벽에 맞닿아, 상기 표면측 볼록부(23F)가 삽입구(3P) 측으로 잘 이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면측 볼록부(23B)가 걸림 가장자리(32S)의 바닥 가장자리에 맞닿아 상기 이면측 볼록부(23B)가 삽입구(3P) 측으로 잘 이동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3P)에 에워싸이는 영역에 있어서, 1쌍의 암(22)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외표면에 기단위치결정리브(27)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표면측의 외표면에 마련된 기단위치결정리브(27)의 돌출단을 표면측 측벽(31)의 내측면과 접촉시키고, 또한 이면측의 외표면에 마련된 기단위치결정리브(27)의 돌출단을 이면측 측벽(32)의 내측면과 접촉시키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있어서의 지면의 상하 방향으로 암부재(3)에 대해 수부재(2)가 요동하는 요동량, 즉 버클(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암부재(3)에 대한 수부재(2)의 위치 어긋남(흔들거림)을 삽입구(3P)에 에워싸이는 영역에 있어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구(3D)에 에워싸이는 영역에 있어서, 1쌍의 암(22)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외표면에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표면측의 외표면에 마련된 선단위치결정리브(28)의 돌출단을 표면측 측벽(31)의 내측면과 접촉시키고, 또한 이면측의 외표면에 마련된 선단위치결정리브(28)의 돌출단을 이면측 측벽(32)의 내측면과 접촉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6에 있어서의 지면의 상하 방향으로 암부재(3)에 대해 수부재(2)가 요동하는 요동량, 즉 버클(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암부재(3)에 대한 수부재(2)의 위치 어긋남(흔들거림)을 개방구(3D)에 에워싸이는 영역에 있어서 규제할 수 있다.
즉,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 X자형을 이루는 표면측 측벽(31)의 네 귀퉁이에 있어서, 암(22)의 표면측의 외표면을 표면측 측벽(31)의 내측면과 접촉시키고, 또한 이면측에서 보았을 때 X자형을 이루는 이면측 측벽(32)의 네 귀퉁이에 있어서, 암(22)의 이면측의 외표면을 이면측 측벽(32)의 내측면과 접촉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될 때에, 버클(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암부재(3)에 대한 수부재(2)의 위치 어긋남(흔들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클에 따르면, 이하에 열거하는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1〉 표면측 측벽(31) 및 이면측 측벽(32) 각각에 있어서의 내표면과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외표면 사이의 거리가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선단 및 기단에서 다른 영역보다 작아진다. 그 결과,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1쌍의 암(22)이 그 네 귀퉁이에 있어서 암부재(3)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그러므로, 버클(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암부재(3)에 대한 수부재(2)의 변위, 즉 수부재(2)의 흔들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2〉 표면측 측벽(31) 및 이면측 측벽(32)의 내표면과 암(22)의 외표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암(22)의 선단 및 기단에 있어서 다른 영역보다 작아지는 구성으로는, 예컨대 암(22)의 선단 및 기단에 대향하는 상기 내표면의 부위에 볼록 리브를 형성하는 구성이 있다. 그러나, 표면측 측벽(31) 및 이면측 측벽(32)의 내표면에 볼록 리브가 형성되게 되면 암(22)이 암부재(3)에 삽입될 때에, 상기 암(22)의 선단이 볼록 리브에 충돌하여 암부재(3)와 수부재(2)를 연결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실행하기 어렵게 할 우려가 있다.
이에 관해,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선단 및 기단 각각에 표면측 측벽(31) 및 이면측 측벽(32) 각각의 내표면을 향해 돌출하는 기단위치결정리브(27) 및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수부재(2)에 있어서의 흔들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은 연결 작업을 원활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3〉 각 리브(27,28)가 갖는 돌출량보다 큰 돌출량을 가진 피 걸림부(23)가 1쌍의 암(22) 각각의 외표면에 형성된다. 또한, 표면측 측벽(31) 및 이면측 측벽(32) 각각의 내표면에는, 피 걸림부(23)와 대향하는 홈 바닥부, 각 리브(27,28)에 대향하는 홈 측벽부, 피 걸림부(23)에 걸어맞추어지는 홈 측면, 이들을 가진 오목홈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 리브(27,28)보다 큰 돌출량을 가진 피 걸림부(23)가 형성되는 구성이라 하더라도, 표면측 측벽(31) 및 이면측 측벽(32) 각각에 있어서의 내표면과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외표면 사이의 거리가,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선단 및 기단에서 다른 영역보다 작아진다.
〈4〉 또한,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각 리브(27,28)가 갖는 돌출량과 피 걸림부(23)가 갖는 돌출량과의 차이가 커질수록, 오목홈에 필요한 홈 깊이가 커진다. 즉 피 걸림부(23)의 돌출량이 커질수록, 걸림홈(36S) 및 걸림 가장자리(32S)의 높이가 커진다. 따라서, 표면측 측벽(31) 및 이면측 측벽(32) 각각에 있어서의 내표면과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외표면 사이의 거리를 각 리브(27,28)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작게 하면서, 피 걸림부(23)와 걸림홈(36S) 및 걸림 가장자리(32S) 사이의 걸림력을 유지, 혹은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5〉 암(22)의 선단을 향해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형성된다. 따라서, 암(22)이 암부재(3)에 삽입될 때에 삽입구(3P) 혹은 개방구(3D)와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접촉해도, 그 접촉에 기인한 저항감을 삽입 초기 단계에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서는, 수부재(2)와 암부재(3)를 연결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6〉 피 걸림부(23)와 걸림홈(36S)이 걸어맞추어지는 위치 및 걸림 가장자리(32S)와 걸림 가장자리(32S)가 걸어맞추어지는 위치가, 각각 암(22)에 있어서의 선단과 기단 사이가 되기 때문에, 버클(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흔들거림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은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 암(22)의 표면에서는, 표면측 볼록부(23F)의 배치 위치와 관계 없이, 암(22)의 선단 근처에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마찬가지로 암(22)의 이면에서도, 이면측 볼록부(23B)의 배치 위치와 관계없이, 암(22)의 선단 근처에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요컨대, 표면측 측벽(31)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네 귀퉁이 및 이면측 측벽(32)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네 귀퉁이에서, 암(22)의 표면측의 외표면과 표면측 측벽(31)의 내표면 사이의 거리 및 암(22)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외표면과 이면측 측벽(32)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네 귀퉁이 이외의 다른 영역보다 작아지는 구성이면 된다. 이러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상기 〈1〉 ~ 〈5〉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피 걸림부(23)에 있어서의 돌출량은 각 리브(27,28)에 있어서의 돌출량과 동일 또는 작은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표면측 안내홈(36) 및 이면측 안내홈(37)의 홈 깊이나 형상이 변경되어 상기 내표면과 피 걸림부(23) 사이의 거리와 상기 내표면과 각 리브(27,28) 사이의 거리와의 관계가 상기한 구성과 동일한 관계가 되는 구성이라면, 상기 〈1〉,〈2〉에 준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표면측의 선단 근처에는 표면측 볼록부(23F)가 형성되고, 또한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선단 근처에는 이면측 볼록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변경하여, 수부재(2)와 암부재(3)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부위가 이면측 볼록부(23B)와 걸림 가장자리(32S)로 한정되는 구성, 즉 표면측 볼록부(23F)가 생략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표면측 볼록부(23F) 이외에, 표면측 안내홈(36)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수부재(2) 및 암부재(3)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 또한, 수부재(2)와 암부재(3)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부위가 표면측 볼록부(23F)와 걸림홈(36S)으로 한정되는 구성, 즉 이면측 볼록부(23B)가 생략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이면측 볼록부(23B) 이외에, 이면측 안내홈(37)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수부재(2) 및 암부재(3)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 암(22)의 표면측 혹은 이면측의 외표면의 어느 일측에만 이들 기단위치결정리브(27) 및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형성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기단위치결정리브(27) 및 선단위치결정리브(28)를 생략하고, 표면측 측벽(31)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네 귀퉁이 및 이면측 측벽(32)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네 귀퉁이의 적어도 일측에, 볼록 리브가 형성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기단위치결정리브(27)를 생략하고, 표면측 측벽(31)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네 귀퉁이 중 삽입구(3P) 근처의 두 귀퉁이 및 이면측 측벽(32)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네 귀퉁이 중 삽입구(3P) 근처의 두 귀퉁이의 적어도 일측에, 볼록 리브가 형성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선단위치결정리브(28)를 생략하고, 표면측 측벽(31)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네 귀퉁이 중 개방구(3D) 근처의 두 귀퉁이 및 이면측 측벽(32)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네 귀퉁이 중 개방구(3D) 근처의 두 귀퉁이의 적어도 일측에 볼록 리브가 형성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요컨대, 표면측 측벽(31)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네 귀퉁이 및 이면측 측벽(32)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네 귀퉁이에서, 암(22)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외표면과 표면측 측벽(31) 및 이면측 측벽(32)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가 다른 영역보다 작아지는 구성이면 된다.
◎ 암 관통구멍(SH)의 삽입구(3P) 근처의 바깥 가장자리에 있어서, 암(22)의 좌측 및 우측에 있어서의 외측면이 걸리도록 할 수도 있다. 요컨대, 암부재에 수부재가 삽입되고 또한, 연결되는 버클로서, 수부재에 설치된 1쌍의 암의 기단 부분 및 선단 부분이 암부재에 포함되는 버클이면 된다.
◎ 수부재(2)에 브리지(25)가 배치되도록 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브리지(25)를 마련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1쌍의 암(22) 사이에 기부(21)로부터 암(22)의 삽입 방향을 향해 돌출됨과 아울러, 암(22)을 암부재(3)에 삽입할 때에 수부재(2)를 안내하는 기능을 구비한 센터 바를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도, 암(22)의 간격을 벌리고자 하는 외력이 암(22)에 잘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암부재(3)의 내부에는 칸막이판(38) 대신에 상기 센터 바를 안내하는 센터 바 안내부를 칸막이판(38)이 설치되어 있던 위치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 1쌍의 암(22)에 암구멍(24)을 배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해도, 암(22)에 의해 편평한 통형상의 형태를 이루는 암부재(3)의 측면으로부터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칸막이판(38)을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칸막이판(38)을 설치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 벨트 부착부(39)에는 바닥이 있는 2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고 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바닥이 있는 구멍을 몇 개든지 형성할 수도 있고, 혹은 바닥이 있는 구멍을 형성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 버클(1)에 의해 체결되는 벨트가 그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유지되는 벨트 유지부(26)를 암부재(3)에 배치하고, 상기 벨트의 길이를 변경할 수 없도록 부착되는 벨트 부착부(39)를 수부재(2)에 배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해도, 버클(1)의 체결시에 있어서의 벨트의 길이를 변경할 수가 있다.
C - 원호 1 - 버클
2 - 수부재 3 - 암부재
21 - 기부 22 - 암
22S - 암 걸림부 23 - 피 걸림부
23F - 표면측 볼록부 23B - 이면측 볼록부
24 - 암구멍 24a - 내주면
25 - 브리지 25a - 단부
25b - 중간부 26 - 벨트 유지부
27 - 기단위치결정리브 28 - 선단위치결정리브
31 - 표면측 측벽 31p -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
31d -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 32 - 이면측 측벽
32p -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 32d -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
32S - 걸림 가장자리 3P - 삽입구
3D - 개방구 WP - 삽입측 연결벽
WD - 개방측 연결벽 WPa - 가이드 면
SH - 암 관통구멍 36 - 표면측 안내홈
36a - 표면측 삽입홈 36S - 걸림홈
37 - 이면측 안내홈 38 - 칸막이판
39 - 벨트 부착부

Claims (6)

  1. 피 걸림부를 가진 1쌍의 가요성의 암을 갖는 수부재와,
    서로 대향한 1쌍의 측벽을 가지고 편평한 통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 내에 삽입된 상기 1쌍의 암이 갖는 상기 피 걸림부와 걸림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암부재를 구비하는 버클로서,
    상기 피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가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측벽 각각에 있어서의 내표면과 상기 1쌍의 암에 있어서의 외표면과의 거리가 상기 1쌍의 암 각각에 있어서의 선단 및 기단에 있어서 다른 영역보다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암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에는, 상기 1쌍의 측벽의 내표면 각각을 향해 돌출하는 1쌍의 제 1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1쌍의 암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기단에는, 상기 1쌍의 측벽의 내표면 각각을 향해 돌출하는 1쌍의 제 2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1쌍의 측벽 각각에 있어서의 내표면과 상기 1쌍의 암에 있어서의 외표면과의 거리가 상기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에 있어서 다른 영역보다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 걸림부는 상기 1쌍의 측벽 각각에 있어서의 내표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또한, 돌출량이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보다 큰 볼록부이고,
    상기 1쌍의 측벽 각각에 있어서의 내표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에 있어서의 홈 바닥부는 상기 피 걸림부과 대향하는 영역이고,
    상기 오목홈에 있어서의 홈 측벽부는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와 대향하는 영역이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오목홈의 홈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암의 선단을 향해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 걸림부는, 상기 제 1 리브보다 상기 기단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버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 걸림부는, 상기 제 1 리브보다 상기 기단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버클.
KR1020110054604A 2010-06-07 2011-06-07 버클 KR101242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30518A JP5616690B2 (ja) 2010-06-07 2010-06-07 バックル
JPJP-P-2010-130518 2010-06-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311A true KR20110134311A (ko) 2011-12-14
KR101242935B1 KR101242935B1 (ko) 2013-03-12

Family

ID=4547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604A KR101242935B1 (ko) 2010-06-07 2011-06-07 버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616690B2 (ko)
KR (1) KR1012429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4412Y2 (ja) * 1993-10-16 1999-04-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バックル
JPH10117814A (ja) * 1996-10-08 1998-05-12 American Cord & Webbing Co Inc 保持強度を増大させた側部リリース型バックル
JP3790094B2 (ja) * 2000-06-09 2006-06-28 モリト株式会社 帯状体の長さ調節機能付き接続具
JP3992194B2 (ja) * 2003-05-07 2007-10-17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US7140082B2 (en) * 2005-01-12 2006-11-28 Button International Co., Ltd. Side release buckle allowing locking from an angular position
JP5020004B2 (ja) * 2007-09-05 2012-09-05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KR101069091B1 (ko) * 2008-07-15 2011-09-30 백지숙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254917A (ja) 2011-12-22
JP5616690B2 (ja) 2014-10-29
KR101242935B1 (ko) 2013-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8104B1 (en) Buckle
EP1400183B1 (en) Buckle
KR101140438B1 (ko) 버클
WO2013175634A1 (ja) バックル
US9936771B2 (en) Buckle
JP5469543B2 (ja) バックル
KR101242935B1 (ko) 버클
KR101253442B1 (ko) 버클
KR101241560B1 (ko) 버클
JP5538074B2 (ja) バックル
KR101233956B1 (ko) 버클
JP2013144259A (ja) サイドリリースバックル
JP2013236955A (ja) サイドリリース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