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310A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34310A KR20110134310A KR1020110054603A KR20110054603A KR20110134310A KR 20110134310 A KR20110134310 A KR 20110134310A KR 1020110054603 A KR1020110054603 A KR 1020110054603A KR 20110054603 A KR20110054603 A KR 20110054603A KR 20110134310 A KR20110134310 A KR 201101343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arm
- arms
- edge
- mal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과제) 수부재와 암부재 사이의 일체감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한 버클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편평한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암부재(3)와, 1쌍의 암(22)이 형성되는 수부재(2)를 구비하는 버클로서, 서로 접속되는 삽입 단부와 접속단부는, 상기 암(2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정합된 외표면을 가지며, 상기 삽입 단부의 외표면과 상기 접속단부의 외표면은, 상기 암(2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1쌍의 면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끼워맞추지며, 상기 1쌍의 면 가장자리는, 상기 암(2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단차를 갖는다.
(해결수단) 편평한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암부재(3)와, 1쌍의 암(22)이 형성되는 수부재(2)를 구비하는 버클로서, 서로 접속되는 삽입 단부와 접속단부는, 상기 암(2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정합된 외표면을 가지며, 상기 삽입 단부의 외표면과 상기 접속단부의 외표면은, 상기 암(2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1쌍의 면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끼워맞추지며, 상기 1쌍의 면 가장자리는, 상기 암(2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단차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부재에 암부재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부재와 암부재로 구성되는 버클이 알려져 있다.
수부재에는, 1쌍의 암이 베이스 본체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에는, 1쌍의 암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가진 편평한 통형상의 수용부가, 상기 1쌍의 암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를 구성하는 1쌍의 측벽 각각과 대향하는 암의 외측면에는 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베이스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보강 리브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암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보강 리브가 갖는 폭은 암이 연장되는 방향 전체에 걸쳐 일정하다. 한편, 수용부를 구성하는 1쌍의 측벽에 있어서의 암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면에는 수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삽입구로부터 연장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다. 암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안내홈이 갖는 홈 폭은, 암이 연장되는 방향 전체에 걸쳐 일정하다. 그리고, 수부재와 암부재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안내홈에 보강 리브가 삽입되고 이들 안내홈 및 보강 리브가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버클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1쌍의 암의 외측면에 보강 리브가 형성되고, 암부재의 측벽 내측에 형성된 안내홈과 보강 리브가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보강 리브에 의해 암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보강 리브와 안내홈이 끼워맞춰짐으로써, 암부재에 대한 수부재의 위치 어긋남(흔들거림)을 버클의 두께 방향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암부재 및 수부재에 있어서의 외형이란, 통상적으로, 그 치수에 소정의 허용 범위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으로서, 암이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암의 길이 및 수용부의 길이에도 이러한 치수 오차가 포함되는 것이다. 그 결과, 수부재와 암부재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1쌍의 암 각각에 있어서의 기단부에, 암부재의 삽입구와 수부재의 베이스 본체 사이에 존재하는 치수 오차에 해당하는 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틈은, 암부재의 삽입구와 수부재의 베이스 본체 사이에 상기한 보강 리브가 형성되는 만큼, 그 일부가 보강 리브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보강 리브가 안내홈에 삽입되는 이상, 암부재의 안내홈에 있어서의 개구와 수부재의 베이스 본체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기 때문에, 결국 상기한 틈에 의해 수부재와 암부재 사이의 일체감을 잃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부재와 암부재 사이의 일체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에 대향하는 하부벽과, 이들 상부벽 및 하부벽을 연결하는 1쌍의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편평한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편평한 단부인 삽입구에는 상기 일방향의 양측에 1쌍의 삽입 단부가 형성되는 암부재와; 상기 1쌍의 삽입 단부에 접속되는 1쌍의 접속단부를 가진 베이스 본체에, 상기 1쌍의 접속단부로부터 상기 1쌍의 삽입 단부를 통하여 상기 암부재 내로 연장되는 1쌍의 암이 형성되는 수부재를 구비하는 버클로서, 서로 접속되는 상기 삽입 단부와 상기 접속단부는, 상기 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정합된 외표면을 가지며, 상기 삽입 단부의 외표면과 상기 접속단부의 외표면은 상기 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1쌍의 면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끼워맞춰지고, 상기 1쌍의 면 가장자리는 상기 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암부재의 삽입 단부와 상기 삽입 단부에 접속되는 수부재의 접속단부가 서로 정합된 외표면을 갖기 때문에, 수부재와 암부재 사이의 일체감이 이러한 외표면에 있어서 발현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암부재 및 수부재에 있어서의 외형이란, 통상적으로, 그 치수에 소정의 허용 범위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암부재의 삽입 단부와 수부재의 접속단부가 서로 정합된 외표면을 갖는 구성이라 하더라도, 암부재의 삽입 단부와 수부재의 접속단부 사이에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치수 오차에 해당하는 틈이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는, 삽입 단부의 외표면과 접속단부측의 외표면이, 서로 대향하는 1쌍의 면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끼워맞춰지고, 또한 이 1쌍의 면 가장자리에는, 암이 연장되는 방향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삽입 단부와 접속단부 사이의 접합 부위를 각 면 가장자리가 포함되는 평면의 면방향에서 보았을 때, 암부재의 삽입 단부와 수부재의 접속단부 사이의 틈이, 서로 끼워맞춰지는 면 가장자리의 단차에 의해 메워지게 된다. 즉, 각 면 가장자리가 포함되는 평면의 면방향에서 상기 접속 부위를 보면, 암부재의 삽입 단부와 수부재의 접속단부 사이의 틈이 서로 끼워맞춰지는 면 가장자리에 의해 그 시야가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수부재와 암부재 사이의 일체감을 증대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버클에 있어서, 서로 접속되는 상기 삽입 단부와 상기 접속단부 사이의 틈보다 상기 단차가 큰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각 면 가장자리가 포함되는 평면의 면 방향에서 상기 접속 부위를 보았을 때, 각 면 가장자리의 중첩되는 영역이 삽입 단부와 접속단부 사이의 틈보다 커진다. 그러므로, 각 면 가장자리가 포함되는 평면의 면방향에서 상기 접속 부위를 보면, 삽입 단부와 접속단부 사이의 틈이 서로 끼워맞춰지는 면 가장자리에 의해 그 시야가 확실하게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수부재와 암부재 사이의 일체감을 보다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3,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삽입 단부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오목형의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부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볼록형의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3,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오목형의 단차가 암부재의 외표면에 형성되고, 또한 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볼록형의 단차가 수부재의 외표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암부재와 수부재가 연결될 때, 상기한 단차가 서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만큼, 삽입 단부의 면 가장자리와 접속단부의 면 가장자리가 용이하게 끼워맞춰진다. 그러므로, 삽입 단부의 외표면 및 접속단부의 외표면 각각이 단차를 갖는 구성이라 하더라도, 암부재와 수부재를 원활하게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암이 연장되는 방향의 단차를 상기 암의 기단에서부터 상기 암이 접속되는 상기 접속단부의 외표면까지 갖는 끼워맞춤 볼록부가 상기 접속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부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면 가장자리가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오목부가 상기 삽입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 단부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면 가장자리가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암부재의 삽입 단부와 수부재의 접속단부 사이의 틈이 서로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볼록부와 끼워맞춤 오목부의 단차에 의해 메워지게 된다. 그리고, 암의 기단에서부터 상기 암이 접속되는 접속단부의 외표면까지 상기 단차가 형성되기 때문에, 암의 기단과 접속단부의 외표면 사이의 전체에 걸쳐 삽입 단부와 접속단부 사이의 틈에 있어서의 조망이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수부재와 암부재 사이의 일체감을 보다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6,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쌍의 면 가장자리가 상기 암이 배열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곡선 형상인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6,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각 면 가장자리가 포함되는 평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수부재와 암부재 사이의 일체감을 보다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그 표면측에서 본 버클의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버클의 이면측에서 본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수부재의 표면측에서 본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수부재의 이면측에서 본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암부재의 표면측에서 본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암부재의 이면측에서 본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버클의 표면측에서 본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b)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버클의 이면측에서 본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a)는 버클의 표면측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방향에 있어서의 수부재와 암부재 사이의 최대의 틈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표면측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방향에 있어서의 수부재에 형성된 끼워맞춤 볼록부의 삽입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버클의 이면측에서 본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수부재의 표면측에서 본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수부재의 이면측에서 본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암부재의 표면측에서 본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암부재의 이면측에서 본 사시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버클의 표면측에서 본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b)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버클의 이면측에서 본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a)는 버클의 표면측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방향에 있어서의 수부재와 암부재 사이의 최대의 틈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표면측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방향에 있어서의 수부재에 형성된 끼워맞춤 볼록부의 삽입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버클(1)의 전체 구조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버클(1)의 수부재(2)에 있어서의 베이스 본체(21)에는, 가요성을 가진 1쌍의 암(22)이 상기 베이스 본체(21)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버클(1)의 암부재(3)는, 편평한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편평한 방향으로 벌어지는 서로 대향한 표면측 측벽(31)과 이면측 측벽(32)을 가지고 있다. 이 암부재(3)에 있어서의 일측의 단부(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우측의 단부)에는, 1쌍의 암(22)이 삽입되는 삽입구(3P)가 형성되고, 또한 타측의 단부에는, 삽입구(3P)에 대향한 개방구(3D)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삽입구(3P)로부터 개방구(3D)를 향한 방향을 삽입 방향이라 하고, 1쌍의 암(22)이 배열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한다. 또한 버클(1)에 있어서의 표면측 측벽(31) 측을 표면측이라 하고, 버클(1)에 있어서의 이면측 측벽(32) 측을 이면측이라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부재(2)가 갖는 좌우 1쌍의 암(22) 각각은, 베이스 본체(2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양 단부인 각 접속단부(2R,2L)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1쌍의 암(22) 각각은, 상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선단 근처가 팽대(膨大)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암(22)에 있어서의 우측 외표면 및 좌측의 암(22)에 있어서의 좌측 외표면은, 마찬가지로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그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인 암 걸림부(22S)가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튀어나오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외형을 갖는 좌우 1쌍의 암(22)의 선단 근처에는, 각각 피 걸림부(23)가 형성되어 있다. 피 걸림부(23)는, 암(22)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 표면측 볼록부(23F)와, 암(22)의 이면으로 돌출 형성된 이면측 볼록부(2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1쌍의 암(22)의 선단 근처에는, 단면이 마름모꼴을 이루어 암(22)이 연장되는 방향(상기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구멍(arm hole; 24)이 상기 암(22)의 표면측에서 이면측까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해 면 대칭이 되도록, 즉 표면측에서 본 1쌍의 암(22)의 구조와 이면측에서 본 1쌍의 암(22)의 구조가 동일해지도록, 수부재(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암구멍(24)이 1쌍의 암(22) 각각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암(22)의 강도가 확보되면서, 수부재(2)가 예컨대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될 때에는, 싱크 마크(Sink Mark)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연하면, 암(22)의 기단 근처에 있어서의 표면 및 이면에는, 각각 기단위치결정리브(27)가 배치되고, 또한 암(22)의 선단 근처에 있어서의 표면 및 이면에는, 각각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 결정 리브가 형성된 구성에서는,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될 때, 1쌍의 암(22)의 외표면과 암부재(3)의 내표면 사이의 거리가, 기단위치결정리브(27) 및 선단위치결정리브(28)가 형성된 부위, 즉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기단과 선단에서 특히 짧아진다. 따라서,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버클(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암부재(3)에 대한 수부재(2)의 위치 어긋남(흔들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1쌍의 암(22)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는, 1쌍의 암(22)을 서로 잇는 가요성을 가진 띠형상의 브리지(25)가, 암(22)의 선단 근처이면서 피 걸림부(23)보다 기단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브리지(25)에 있어서의 양 단부(25a) 각각은, 일측의 암(22)으로부터 타측의 암(22)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측의 암(22)에 접속되는 브리지(25)의 단부(25a)는, 상기 암(2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상태)에서, 상기 암(22)의 기단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암(22)과 브리지(25) 사이의 접속부가 그리는 원호(C)의 접선 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리지(25)에 있어서의 중간부(25b)는, 일측의 암(22)과 타측의 암(22)과의 중간에 있어서 베이스 본체(21) 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1쌍의 암(22)에 대한 과도한 외력이 상기 1쌍의 암(22)의 간격을 벌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1쌍의 암(22) 각각과 브리지(25) 사이의 접속부에는 전단력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우측의 암(22)에 있어서의 우측 외표면 및 좌측의 암(22)에 있어서의 좌측 외표면 각각에는,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가 형성되어 있다. 각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는, 베이스 본체(21)로부터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향해 쐐기형의 테이퍼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는, 삽입 방향으로 돌출된 단차를, 암(22)의 기단으로부터 상기 암(22)이 접속되는 접속단부(2R,2L)의 외표면(2RS,2LS)까지 가지고 있다. 즉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에 있어서,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폭은, 암(22)의 외측면에서부터 베이스 본체(21)의 외측면까지의 폭과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에 있어서의 외표면에는, 삽입 방향으로 볼록형의 곡선 형상을 이루는 면 가장자리(2RE,2L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우측의 암(22)에 형성된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의 우측에 있어서의 외표면은, 그 우측에 있어서의 베이스 본체(21)의 외표면과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좌측의 암(22)에 형성된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L)의 좌측에 있어서의 외표면(2LS)도, 그 좌측에 있어서의 베이스 본체(21)의 외표면과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본체(21)에 대해 암(22)과 반대측에는, 버클(1)에 의해 체결되는 벨트가 그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유지되는 벨트 유지부(26)가 가설(架設)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부재(3)에 있어서의 상부벽으로서의 표면측 측벽(31)은,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 X자형을 이룸과 함께, 내측으로 만곡된 4개의 가장자리에 의해 에워싸여져 있다. 또한 암부재(3)에 있어서의 하부벽으로서의 이면측 측벽(32)은, 이면측에서 보았을 때 X자형을 이룸과 아울러, 내측으로 만곡된 4개의 가장자리에 의해 에워싸여져 있다. 이들 암부재(3)를 구성하는 표면측 측벽(31)의 네 귀퉁이와 이면측 측벽(32)의 네 귀퉁이에 있어서, 측벽을 구성하는 삽입구(3P) 근처의 1쌍의 삽입측 연결벽(40P)과, 마찬가지로 측벽을 구성하는 개방구 근처의 1쌍의 개방측 연결벽(40D)에 의해 표면측 측벽(31)과 이면측 측벽(32)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나아가 1쌍의 삽입측 연결벽(40P)에 있어서의 내표면에는,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 1쌍의 암(22)의 기단에 있어서의 외표면과 정합하는 가이드 면(40P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단부에는,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삽입구(3P)가, 상기 표면측 측벽(31), 이면측 측벽(32) 및 삽입측 연결벽(40P)에 의해 그 네 변이 둘려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부재(3)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의 단부에는,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개방구(3D)가, 상기 표면측 측벽(31), 이면측 측벽(32) 및 개방측 연결벽(40D)에 의해 그 네 변이 둘려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암부재(3)가 갖는 삽입구(3P)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표면측 측벽(31)에 있어서 삽입구(3P) 근처의 가장자리인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31p)와,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 삽입구(3P) 근처의 가장자리인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32p)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31p) 및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32p)는, 각각 개방구(3D)를 향해 튀어나오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 및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 및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는,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31p) 및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31d)가 1쌍의 암(22)의 외형을 추종하도록, 표면측 측벽(31) 및 이면측 측벽(32)의 외형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해 면 대칭이 되도록, 삽입구(3P)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삽입구(3P)로부터 상기 1쌍의 암(22)이 노출되지 않도록, 표면측 측벽(31) 및 이면측 측벽(32)이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기능적인 일체감에 따른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삽입구(3P)에 의하면, 암부재(3)에 있어서의 삽입구(3P)와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선단부가 서로 면 대칭이기 때문에,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될 때, 1쌍의 암(22)이 삽입구(3P)에 용이하게 삽입되게 된다.
한편, 암부재(3)가 갖는 개방구(3D)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표면측 측벽(31)에 있어서 개방구(3D) 근처의 가장자리인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31d)와,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 개방구(3D) 근처의 가장자리인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32d)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암(22)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해 비대칭이 되도록, 개방구(3D)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31d)는, 삽입구(3P)를 향해 튀어나오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는,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31p) 및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31d)가 1쌍의 암(22)의 외형을 추종하도록, 표면측 측벽(31)의 외형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개방구(3D)로부터 상기 1쌍의 암(22)이 노출되지 않도록, 표면측 측벽(31)이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삽입구(3P)와 마찬가지로,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기능적인 일체감에 따른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32d)도, 상기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31d)와 마찬가지로, 삽입구(3P)를 향해 튀어나오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32d)는,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31d)보다 삽입구(3P)를 향해 더 움푹 들어간 걸림 가장자리(32S)를 가지고 있다. 이 걸림 가장자리(32S)는,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삽입구(3P)에 가장 가까운 가장자리로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 가장자리와, 상기 바닥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측 가장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 걸림 가장자리(32S)가 형성되는 만큼, 개방구(3D)로부터 상기 1쌍의 암(22)이 노출되게 된다.
또한,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 가장자리(32S)를 구성하는 바닥 가장자리와 상기 1쌍의 이면측 볼록부(23B)가 맞닿고, 또한 상기 1쌍의 이면측 볼록부(23B)만이 걸림 가장자리(32S)로부터 노출되도록, 이면측 측벽(32)이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암(22)이 갖는 이면측 볼록부(23B)가 걸림 가장자리(32S)의 바닥 가장자리에 맞닿아, 상기 이면측 볼록부(23B)가 삽입구(3P) 측으로 잘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개방구(3D)의 일부가 이면측 볼록부(23B)에 대한 걸림부로서 기능하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걸림부가 별도로 형성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암부재(3)의 구성을 보다 간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걸림 가장자리(32S)에 있어서의 이면측 측벽(32)의 두께는, 이면측 볼록부(23B)의 두께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이면측 볼록부(23B)와 걸림 가장자리(32S)가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상기 이면측 볼록부(23B)가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1쌍의 암(22)에 형성된 이면측 볼록부(23B)와 이면측 볼록부(23B)에 형성된 걸림 가장자리(32S) 사이의 걸어맞춤이 외부로부터의 간섭을 잘 받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예기치 못한 원인으로 인해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면측 측벽(31)에 있어서의 내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면측 안내홈(36)이 형성되어 있다. 표면측 안내홈(36)은,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31p)로부터 개방구(3D)를 향해 홈 폭이 일정한 비율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표면측 삽입홈(36a)과, 상기 표면측 삽입홈(36a)의 개방구(3D) 측으로 확개된 걸림홈(36S)을 가지고 있다. 이 걸림홈(36S)을 구성하는 홈측벽은,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한 걸림 가장자리(32S)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부재(2)가 암부재(3)에 삽입될 때에는, 상기 1쌍의 암(22)이 갖는 표면측 볼록부(23F)가, 표면측 삽입홈(36a)의 홈측벽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걸림홈(36S)까지 안내된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1쌍의 암(22)의 표면측 볼록부(23F)가 걸림홈(36S)의 홈측벽에 맞닿아, 상기 표면측 볼록부(23F)가 삽입구(3P) 측으로 잘 이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면측 측벽(32)에 있어서의 내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면측 안내홈(37)이 형성되어 있다. 이면측 안내홈(37)은,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32p)에서부터 걸림 가장자리(32S)까지 홈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이면측 안내홈(37)을 구성하는 홈측벽은,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한 표면측 삽입홈(36a)과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부재(2)가 암부재(3)에 삽입될 때에는, 상기 1쌍의 암(22)이 갖는 이면측 볼록부(23B)가, 이면측 안내홈(37)의 홈측벽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걸림 가장자리(32S)까지 안내된다.
나아가 암부재(3)에는, 상기한 삽입구(3P) 및 개방구(3D) 이외에, 상기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암 관통구멍(SH)이 형성되어 있다. 1쌍의 암 관통구멍(SH)은, 좌우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표면측 측벽(31), 이면측 측벽(32), 삽입측 연결벽(40P) 및 개방측 연결벽(40D)에 의해 네 변이 둘려진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1쌍의 암 관통구멍(SH)의 개구 가장자리는, 상기한 1쌍의 암(22)이 갖는 암구멍(24)의 내주면(24a)을 추종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1쌍의 암 관통구멍(SH)은,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 상태에서, 1쌍의 암(22) 각각의 암구멍(24)이 암부재(3)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또한 1쌍의 암 관통구멍(SH) 각각이 암(22)에 의해 가려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암구멍(24)의 내주면(24a)의 형상이 암 관통구멍(SH)의 개구형상을 추종하게 된다(도 1 및 도 2 참조). 따라서, 버클(1)에 있어서의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기능적인 일체감에 따른 미관이 양성되면서, 1쌍의 암 관통구멍(SH)로부터 암부재(3)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암부재(3)의 내부에는, 상기 표면측 안내홈(36)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과 상기 이면측 안내홈(37)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을 연결하는 칸막이판(38)이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칸막이판(38)이 형성됨으로써, 암부재(3)에 있어서의 표면측 측벽(31)이 휘거나 이면측 측벽(32)이 휘는 것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1쌍의 삽입측 연결벽(40P)에 있어서는, 상기한 1쌍의 접속단부(2R,2L)와 대향하는 1쌍의 삽입 단부(3R,3L)에,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향해 오목형이 되는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R,40PL)가, 가이드 면(40Pa)에서부터 삽입측 연결벽(40P)의 외표면에까지 이르는 릴리프(relief) 형상과 같은 형태로 각각 각설(刻設)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릴리프 형상은, 좌우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대향하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의 형상을 추종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R,40PL)의 외표면에는, 삽입 방향으로 오목형의 곡선 형상을 이루는 면 가장자리(3RE,3L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접속단부(2R,2L)의 외표면(2RS,2LS) 및 삽입 단부(3R,3L)의 외표면(3RS,3LS), 즉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의 외표면 및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R,40PL)의 외표면은, 삽입 방향으로 서로 정합된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될 때에는,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R)에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가 삽입되고, 또한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L)에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L)가 삽입되어 헐겁게 끼워맞춰진다. 이에 따라, 좌우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대향하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삽입측 연결벽(40P)의 외표면 및 베이스 본체(21)의 외표면이,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암부재(3)에 있어서의 삽입 방향의 단부에는 버클(1)에 의해 체결되는 벨트가 그 길이를 변경할 수 없도록 부착되는 벨트 장착부(3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벨트 장착부(39)에는, 버클(1)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바닥이 있는 3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암(22)이 삽입구(3P)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면, 먼저 암(22)의 외표면이 가이드 면(40Pa)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1쌍의 암(22)의 선단이 암부재(3)의 내부로 진입한다. 이어서 암(22)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 1쌍의 표면측 볼록부(23F)가 표면측 삽입홈(36a)을 따라 걸림홈(36S)까지 안내된다. 또한 암(22)의 이면에 돌출 형성된 1쌍의 이면측 볼록부(23B)가 이면측 안내홈(37)을 따라 개방구(3D)까지 안내된다.
이때, 1쌍의 암(22) 각각에 있어서의 외표면은 암 걸림부(22S)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1쌍의 삽입측 연결벽(40P)에 있어서의 가이드 면(40Pa)은 1쌍의 암(22)의 기단에 있어서의 외표면과 정합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1쌍의 암(22)이 암부재(3)에 삽입되면, 1쌍의 암(22) 각각에 있어서의 외표면이 가이드 면(40Pa)보다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만큼, 암(22)의 외표면이 가이드 면(40Pa)에 의해 좌우 방향의 중앙쪽으로 가압되게 된다. 그 결과, 암 걸림부(22S)가 가이드 면(40Pa)에 위치할 때, 1쌍의 암(22)이 좌우 방향의 중앙쪽으로 가장 크게 휘게 된다. 그리고, 암 걸림부(22S)가 가이드 면(40Pa)을 통과하면, 암(22)의 외표면에 대한 가이드 면(40Pa)의 가압이 해제되어, 1쌍의 암(22)에 있어서의 휨이 표면측 삽입홈(36a) 및 이면측 안내홈(37)의 안내를 따르게 된다. 또한, 표면측 삽입홈(36a) 및 이면측 안내홈(37)의 홈 폭은, 삽입구(3P)로부터 개방구(3D)를 향해 일정한 비율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표면측 삽입홈(36a) 및 이면측 안내홈(37)의 안내를 따라 1쌍의 암(22)이 삽입되기 전에, 먼저 1쌍의 암(22)은 좌우 방향의 중앙쪽으로 일정한 비율로 휘면서 암부재(3)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암 걸림부(22S)가 가이드 면(40Pa)을 통과할 때에 암(22)에 대한 외력이 일단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암 걸림부(22S)와 가이드 면(40Pa) 사이의 걸어맞춤에 의해, 1쌍의 암(22)을 암부재(3)에 임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1쌍의 암(22)이 암부재(3)에 계속 삽입되면, 표면측 볼록부(23F)가 걸림홈(36S)에 도달하고, 이면측 볼록부(23B)가 개방구(3D)에 도달한다. 그러면, 걸림홈(36S)이 표면측 삽입홈(36a)으로부터 확개되어 있기 때문에, 그리고, 걸림 가장자리(32S)가 이면측 안내홈(37)으로부터 확개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방향의 중앙쪽으로 휘어져 있던 1쌍의 암(22)이, 이들 걸림홈(36S)의 형상 및 걸림 가장자리(32S)의 형상을 따라 서로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벌어진다. 이에 따라, 표면측 볼록부(23F)가 걸림홈(36S)의 홈측벽에 맞닿아, 상기 표면측 볼록부(23F)가 삽입구(3P) 측으로 잘 이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면측 볼록부(23B)가 걸림 가장자리(32S)의 바닥 가장자리에 맞닿아, 상기 이면측 볼록부(23B)가 삽입구(3P) 측으로 잘 이동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암부재(3)에 수부재(2)가 연결된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여,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 및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R,40PL)의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틈에 있어서의 시야가, 암(22)과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에 의해 가려지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틈의 최대값은, 간격(t1)으로 되어 있다. 부연하면, 간격(t1)은, 버클(1)에 있어서 표면측 볼록부(23F)와 걸림홈(36S)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흔들거림량, 혹은 이면측 볼록부(23B)와 걸림 가장자리(32S)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흔들거림량에 해당한다. 부연하면, 도 8(a)에서는, 표면측 볼록부(23F)와 걸림홈(36S)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흔들거림량이 간격(t1)인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R,40PL)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의 단차(삽입량(t2))는, 간격(t1)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삽입 단부(3L)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단면폭(40PLW))은 접속단부(2L)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단면폭(21LW))과 대략 동등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표면측 측벽(31)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삽입 단부(3R)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단면폭(40PRW))은, 접속단부(2R)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단면폭(21RW))과 대략 동등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도, 삽입 단부(3L)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은 접속단부(2L)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과 대략 동등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삽입 단부(3R)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도 접속단부(2R)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과 대략 동등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연하면, 상기 단면폭(21LW)은, 좌측의 암(22)의 기단의 폭 및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L)의 폭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면폭(21RW)은 우측의 암(22)의 기단의 폭 및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의 폭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또한 단면폭(21LW)은 단면폭(21RW)과 동일한 폭이며, 그러므로 단면폭(40PLW,40PRW)과 동일한 폭이다. 이에 따라, 표면측 측벽(31) 및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틈에 있어서의 시야를 항상 암(22)의 기단과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에 의해 가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버클에 따르면, 이하에 열거하는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1〉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의 외표면과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R)의 외표면이 서로 대향하는 1쌍의 면 가장자리(2RE, 3RE)를 사이에 두고 끼워맞춰지고, 또한 이 1쌍의 면 가장자리(2RE, 3RE)에는, 삽입 방향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L)의 외표면과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L)의 외표면이 서로 대향하는 1쌍의 면 가장자리(2LE, 3LE)를 사이에 두고 끼워맞춰지고, 또한 이 1쌍의 면 가장자리(2LE, 3LE)에는, 삽입 방향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삽입 단부(3R,3L)와 접속단부(2R,2L) 사이의 접합 부위를 각 면 가장자리(2RE,2LE,3RE,3LE)가 포함되는 평면의 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삽입 단부(3R,3L)와 접속단부(2R,2L) 사이의 틈이, 접속단부(2R,2L)의 면 가장자리(2RE,2LE)의 단차에 의해 메워지게 된다. 즉, 각 면 가장자리(2RE,2LE,3RE,3LE)가 포함되는 평면의 면 방향에서 상기 접속 부위를 보면, 삽입 단부(3R,3L)와 접속단부(2R,2L) 사이의 틈이, 각 면 가장자리(2RE,2LE)에 의해 그 시야가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일체감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서로 접속되는 삽입 단부(3R,3L)와 접속단부(2R,2L) 사이의 틈보다,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가 갖는 삽입 방향의 단차가 크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각 면 가장자리(2RE,2LE,3RE,3LE)가 포함되는 평면의 면 방향에서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접속 부위를 보았을 때, 면 가장자리(2RE)와 면 가장자리(3RE)가 중첩되는 영역 및 면 가장자리(2LE)와 면 가장자리(3LE)가 중첩되는 영역이, 삽입 단부(3R,3L)와 접속단부(2R,2L) 사이의 틈보다 커진다. 그러므로, 각 면 가장자리(2RE,2LE,3RE,3LE)가 포함되는 평면의 면 방향에서 상기 접속부위를 보면, 삽입 단부(3R,3L)와 접속단부(2R,2L) 사이의 틈이, 서로 끼워맞춰지는 면 가장자리에 의해 그 시야가 확실하게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일체감을 보다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3〉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R,40PL)가 갖는 상기 면 가장자리(3RE,3LE)에는, 삽입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오목형의 단차가 형성되고,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가 갖는 상기 면 가장자리(2RE,2LE)에는, 삽입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볼록형의 단차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암부재(3)와 수부재(2)가 연결될 때, 상기한 단차가 서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만큼, 삽입 단부(3R,3L)의 면 가장자리(3RE,3LE)와 접속단부(2R,2L)의 면 가장자리(2RE,2LE)가 용이하게 끼워맞춰지게 된다. 그러므로, 삽입 단부(3R,3L)의 외표면(3RS,3LS) 및 접속단부(2R,2L)의 외표면(2RS,2LS) 각각이 단차를 갖는 구성이라 하더라도, 암부재(3)와 수부재(2)를 원활하게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4〉 삽입 단부(3R,3L)와 접속단부(2R,2L) 사이의 틈이 서로 끼워맞춰지는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R,40PL)와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의 단차에 의해 메워지게 된다. 그리고, 암(22)의 기단에서부터 상기 암(22)이 접속되는 접속단부(2R,2L)의 외표면(2RS,2LS)까지 상기 단차가 형성되기 때문에, 암(22)의 기단과 접속단부(2R,2L)의 외표면(2RS,2LS) 사이의 전체에 걸쳐, 삽입 단부(3R,3L)와 접속단부(2R,2L) 사이의 틈에 있어서의 시야가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일체감을 보다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5〉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R,40PL)가 갖는 상기 면 가장자리(3RE,3LE) 및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가 갖는 상기 면 가장자리(2RE,2LE)가 각각 곡선 형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1쌍의 암(22)이 배열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일체감을 보다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은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다.
◎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가 갖는 면 가장자리(2RE,2LE)의 형상 및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R,40PL)가 갖는 면 가장자리(3RE,3LE)의 형상은, 1쌍의 암(22)이 배열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반원 형상이나 물결 형상일 수도 있고, 또한 삽입 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일 수도 있다. 요컨대,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탈부착 기능이 유지되도록, 볼록형을 이루는 면 가장자리와 오목형을 이루는 면 가장자리가 서로 정합된 형상이면 된다. 이러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상기 〈1〉, 〈2〉, 〈4〉에 준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가 갖는 면 가장자리(2RE,2LE)의 형상은, 서로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R,40PL)가 갖는 면 가장자리(3RE,3LE)의 형상도, 서로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예컨대, 면 가장자리(2RE,2LE)에 있어서의 일측이 쐐기 형상이고 타측이 반원형일 수도 있고, 요컨대,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와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R,40PL)가 헐겁게 끼워맞추어질 수 있는 형상으로 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이면, 상기 〈1〉,〈2〉,〈4〉에 준한 효과를 얻으면서, 수부재(2)와 암부재(3)의 표리가 바뀌어 잘못 조립되는 것이 회피되게 된다.
◎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는, 삽입 방향으로 돌출한 단차를 외표면(2RS,2LS)에 있어서 갖는 구성이면 되며, 암(22)의 기단과 외표면(2RS,2LS) 사이에 있어서, 삽입량(t2)이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구성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상기 〈1〉 ~ 〈3〉에 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R,40PL)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의 단차는, 간격(t1)과 동일하거나, 간격(t1)보다 작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면 가장자리(2RE,2LE)가 단차를 갖는 이상, 상기 〈1〉에 준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 접속단부(2R,2L)와 삽입 단부(3R,3L)가 끼워맞춰지는 태양은,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도 있다. 즉 좌우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대향하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1쌍의 삽입 단부(3R,3L) 각각에 1쌍의 접속단부(2R,2L)를 향해 연장되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또한 접속단부(2R,2L) 각각에 상기 볼록부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표면측 측벽(31) 및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는,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틈에 있어서의 시야를 볼록부가 갖는 단차에 의해 가리는 것이 가능하다.
◎ 상기한 바와 같은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가 형성되는 위치는 접속단부(2R)의 우측 및 접속단부(2L)의 좌측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접속단부(2R,2L)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일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서는,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R,40PL)가 삽입 단부(3R,3L)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에 형성되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1쌍의 암(22)이 배열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틈의 시야를 가리는 것이 가능하다.
◎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방향에 있어서의 암(22)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본체(21)의 단면에 있어서, 표면측이 이면측보다 혹은 이면측이 표면측보다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양이 간격(t1)보다 큰 양이 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방향에 있어서의 1쌍의 삽입측 연결벽(40P)의 삽입구(3P)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구조와 끼워맞춰지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하면, 상기한 효과를 얻으면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방향에 있어서의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틈 형상을 예컨대 조각형의 선이나 사선과 같은 단순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방향에 있어서의 수부재(2)와 암부재(3) 사이의 기능적인 일체감에 따른 미관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 수부재(2)의 단면에 있어서의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의 배치 위치를 통형상체인 암부재(3)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에 대해 점 대칭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와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R,40PL)를 각각 헐겁게 끼워맞추기 위해, 암부재(3)의 단면에 있어서의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40PR,40PL)의 배치 위치도 상기 중심축에 대해 점 대칭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효과를 얻으면서,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21R,21L)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방향에 있어서의 형상이 모두 동일한 경우라 하더라도, 수부재(2)와 암부재(3)의 표리가 바뀌어 잘못 조립되는 것이 회피된다.
◎ 버클(1)의 표면측에 있어서의 단면폭(40PLW)과 단면폭(40PRW)을 동일한 폭으로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요컨대, 버클(1)의 표면측에 있어서 단면폭(40PLW)과 단면폭(21LW)이 동일한 폭이고, 단면폭(40PRW)과 단면폭(21RW)이 동일한 폭이면 된다. 마찬가지로, 버클(1)의 이면측에 있어서의 이면측 측벽(32)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베이스 본체(21)의 좌측 및 우측의 단면과 대향하는 이면측 측벽(32)의 단면폭을 모두 동일한 폭으로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버클(1)의 디자인의 변화의 폭(variation)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버클(1)에 요구되는 강성을 적당히 변경하면서, 상기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C - 원호 t1 - 간격
t2 - 삽입량 1 - 버클
2 - 수부재 2R,2L - 접속단부
2RE,2LE,3RE,3LE - 면 가장자리 2RS,2LS,3RS,3LS - 외표면
3 - 암부재 3R,3L - 삽입 단부
21 - 베이스 본체 21R,21L -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
21RW,21LW - 단면폭 22 - 암
22S - 암 걸림부 23 - 피 걸림부
23F - 표면측 볼록부 23B - 이면측 볼록부
24 - 암구멍 24a - 내주면
25 - 브리지 25a - 단부
25b - 중간부 26 - 벨트 유지부
27 - 기단위치결정리브 28 - 선단위치결정리브
31 - 표면측 측벽 31p -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
31d -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 32 - 이면측 측벽
32p -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 32d -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
32S - 걸림 가장자리 3P - 삽입구
3D - 개방구 40P - 삽입측 연결벽
40D - 개방측 연결벽 40Pa - 가이드 면
SH - 암 관통구멍 36 - 표면측 안내홈
36a - 표면측 삽입홈 36S - 걸림홈
37 - 이면측 안내홈 38 - 칸막이판
39 - 벨트 장착부 40PR,40PL -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
40PRW,40PLW - 단면폭
t2 - 삽입량 1 - 버클
2 - 수부재 2R,2L - 접속단부
2RE,2LE,3RE,3LE - 면 가장자리 2RS,2LS,3RS,3LS - 외표면
3 - 암부재 3R,3L - 삽입 단부
21 - 베이스 본체 21R,21L - 표면 끼워맞춤 볼록부
21RW,21LW - 단면폭 22 - 암
22S - 암 걸림부 23 - 피 걸림부
23F - 표면측 볼록부 23B - 이면측 볼록부
24 - 암구멍 24a - 내주면
25 - 브리지 25a - 단부
25b - 중간부 26 - 벨트 유지부
27 - 기단위치결정리브 28 - 선단위치결정리브
31 - 표면측 측벽 31p - 표면측 삽입 가장자리
31d - 표면측 개구 가장자리 32 - 이면측 측벽
32p - 이면측 삽입 가장자리 32d - 이면측 개구 가장자리
32S - 걸림 가장자리 3P - 삽입구
3D - 개방구 40P - 삽입측 연결벽
40D - 개방측 연결벽 40Pa - 가이드 면
SH - 암 관통구멍 36 - 표면측 안내홈
36a - 표면측 삽입홈 36S - 걸림홈
37 - 이면측 안내홈 38 - 칸막이판
39 - 벨트 장착부 40PR,40PL - 표면 끼워맞춤 오목부
40PRW,40PLW - 단면폭
Claims (7)
-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에 대향하는 하부벽과, 이들 상부벽 및 하부벽을 연결하는 1쌍의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편평한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편평한 단부인의 삽입구에는 상기 일방향의 양측에 1쌍의 삽입 단부가 형성되는 암부재와;
상기 1쌍의 삽입 단부에 접속되는 1쌍의 접속단부를 가진 베이스 본체에 상기 1쌍의 접속단부로부터 상기 1쌍의 삽입 단부를 통하여 상기 암부재 내로 연장되는 1쌍의 암이 형성되는 수부재를 구비하는 버클로서,
서로 접속되는 상기 삽입 단부와 상기 접속단부는 상기 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정합된 외표면을 가지며,
상기 삽입 단부의 외표면과 상기 접속단부의 외표면은 상기 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1쌍의 면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끼워맞춰지고,
상기 1쌍의 면 가장자리는 상기 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로 접속되는 상기 삽입 단부와 상기 접속단부 사이의 틈보다 상기 단차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 단부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오목형의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부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볼록형의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 단부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오목형의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부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볼록형의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연장되는 방향의 단차를 상기 암의 기단으로부터 상기 암이 접속되는 상기 접속단부의 외표면까지 갖는 끼워맞춤 볼록부가 상기 접속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부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면 가장자리가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오목부가 상기 삽입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 단부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면 가장자리가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면 가장자리는 상기 암이 배열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곡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1쌍의 면 가장자리는 상기 암이 배열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곡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130517 | 2010-06-07 | ||
JP2010130517A JP5469542B2 (ja) | 2010-06-07 | 2010-06-07 | バックル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4310A true KR20110134310A (ko) | 2011-12-14 |
KR101233956B1 KR101233956B1 (ko) | 2013-02-15 |
Family
ID=45098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4603A KR101233956B1 (ko) | 2010-06-07 | 2011-06-07 | 버클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5469542B2 (ko) |
KR (1) | KR101233956B1 (ko) |
CN (1) | CN102933111B (ko) |
TW (1) | TWI461158B (ko) |
WO (1) | WO2011155453A1 (ko)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301145U (en) * | 1993-10-16 | 1997-03-21 | Yoshida Kogyo Kk | Buckle |
JP3453071B2 (ja) * | 1998-10-22 | 2003-10-06 | Ykk株式会社 | バックル |
JP3701187B2 (ja) * | 2000-09-27 | 2005-09-28 | Ykk株式会社 | バックル |
JP2003033209A (ja) | 2001-07-23 | 2003-02-04 | Ykk Corp | バックル |
JP4376113B2 (ja) * | 2004-04-27 | 2009-12-02 | Ykk株式会社 | バックル |
JP4203461B2 (ja) * | 2004-11-02 | 2009-01-07 | Ykk株式会社 | バックル |
JP5651282B2 (ja) * | 2007-07-03 | 2015-01-07 | Ykk株式会社 | バックル |
JP5020004B2 (ja) * | 2007-09-05 | 2012-09-05 | Ykk株式会社 | バックル |
CN101977528B (zh) * | 2008-01-23 | 2013-03-27 | Ykk株式会社 | 带扣 |
-
2010
- 2010-06-07 JP JP2010130517A patent/JP5469542B2/ja active Active
-
2011
- 2011-05-31 TW TW100118969A patent/TWI461158B/zh active
- 2011-06-06 CN CN201180028174.3A patent/CN102933111B/zh active Active
- 2011-06-06 WO PCT/JP2011/062952 patent/WO201115545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6-07 KR KR1020110054603A patent/KR10123395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155453A1 (ja) | 2011-12-15 |
TWI461158B (zh) | 2014-11-21 |
JP2011254916A (ja) | 2011-12-22 |
TW201200056A (en) | 2012-01-01 |
CN102933111B (zh) | 2015-07-29 |
KR101233956B1 (ko) | 2013-02-15 |
CN102933111A (zh) | 2013-02-13 |
JP5469542B2 (ja) | 2014-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3638B1 (ko) | 버클 | |
US9801432B2 (en) | Buckle | |
US9936771B2 (en) | Buckle | |
KR101233913B1 (ko) | 버클 | |
KR20200029588A (ko) | 커넥터 | |
KR101233956B1 (ko) | 버클 | |
JP2017136285A (ja) | バックル | |
CN102544869B (zh) | 连接器 | |
KR101242935B1 (ko) | 버클 | |
KR101253442B1 (ko) | 버클 | |
KR101241665B1 (ko) | 버클 | |
JP6605296B2 (ja) | バックル | |
KR101241560B1 (ko) | 버클 | |
JP5328895B2 (ja) | サイドリリースバック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