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095A -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095A
KR20110134095A KR1020100053882A KR20100053882A KR20110134095A KR 20110134095 A KR20110134095 A KR 20110134095A KR 1020100053882 A KR1020100053882 A KR 1020100053882A KR 20100053882 A KR20100053882 A KR 20100053882A KR 20110134095 A KR20110134095 A KR 20110134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shopping
broadcast
server
information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훈
Original Assignee
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훈 filed Critical 정훈
Priority to KR102010005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4095A/ko
Publication of KR20110134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은, 하기 연동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홈쇼핑 방송을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방송을 케이블망으로 송출하는 방송 제작 서버; 홈쇼핑 제품에 대한 고객들의 문의 사항 및 상기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도록 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상기 방송 제작 서버에 전송하는 연동 서버; 및 상기 송출되는 홈쇼핑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셋톱박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INFORMATION EXCHANGE SYSTEM OF HOME SHOPPING BROADCASTING}
본 발명은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고객들로부터 현재 방송중인 홈쇼핑 제품과 관련된 문의 사항을 입력받고 홈쇼핑 제품의 공급업자들로부터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아 이를 방송 화면의 별도 영역에 표시되도록 변환함으로써 화면 속에 삽입된 문자 및 그림 등을 통해 홈쇼핑 방송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T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기존의 오프라인 상거래를 무색하게 하는 무점포 통신판매 상거래가 급성장하였음은 물론 케이블 TV의 보급 확대로 TV 홈쇼핑 방송에 의한 상품 구매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현재 무점포 통신판매 상거래의 일례로 홈쇼핑은 각각 인터넷, 케이블, 위성방송 등으로 구분되어 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데 이를 크게 TV 홈쇼핑 방송과 인터넷 홈쇼핑 방송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한, 향후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 서비스, 동영상 콘텐츠 및 방송 등을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의 보급에 따른 데이터 통신망을 통한 홈쇼핑 데이터 방송이 기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무점포 통신판매 상거래 형태 중에서 TV 홈쇼핑 방송은 가장 대중적인 매체라 할 수 있고, TV를 통해 상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가정에서 손쉽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유통 방식이므로 이는 TV 매체의 특징인 광역성과 동시성을 매개로 하여, 상품 정보를 동시에 다수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전파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다. 이는 일회성이라는 시간적인 제약과 TV를 켜놓지 않으면 상품 정보를 전달받을 수 없다는 공간적인 제약에도 불구하고 가장 유력한 유통 채널로서 자리매김하였다.
또한, 생방송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고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유사한 제품과의 차별성을 강조한 시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매우 큰 장점이다. 하지만, TV 홈쇼핑 방송은 텔레비전 방송인 관계로 인해 시청자들의 문의 사항 및 이에 대한 답변들을 시청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인터넷 홈쇼핑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웹상에 형성된 쇼핑몰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유통 방식으로 I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이 또한 급성장했다. 이러한 인터넷 홈쇼핑은 TV 홈쇼핑과는 달리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거의 없고 무한대에 가까운 상품의 진열도 가능해 잠재적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인터넷 홈쇼핑은 TV 홈쇼핑에 비해 심층적인 상품 정보 전달의 한계 때문에 상품 선택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상기 간단히 기술한 바와 같이, TV 홈쇼핑 방송과 인터넷 홈쇼핑이 각각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재 거의 모든 홈쇼핑 업체는 이 둘을 보완적으로 병행해 운용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인터넷에서 TV 홈쇼핑 방송 보기 서비스를 제공하여 현재 방송 중인 TV 홈쇼핑 방송을 인터넷에서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는 생방송 중인 TV 홈쇼핑 방송 화면을 링크시킨 웹페이지를 통해 구현된다.
이러한 TV 홈쇼핑 방송 보기 서비스는 종래의 상품의 외관만을 제시한 동영상과 달리 쇼 호스트 및 상품 관계자의 친절하고 상세한 설명이 음성으로 추가되고 사용법이 모델을 통하여 시연되기 때문에 상품의 구매 심리를 효율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하지만, TV 홈쇼핑 방송과 연동해서 제공되는 인터넷 홈쇼핑 방송 역시 TV 홈쇼핑 방송을 단순히 편집하여 제공하는 수준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한계를 극복할 수 없다.
이에, 트위터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시청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시청자 문의에 대한 내용도 실시간으로 답변하게 되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트위터를 홈페이지와 홈쇼핑 방송과 연계 운영함으로써 시청자와의 양방향 소통을 강화하고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시청자들의 작은 소리까지 귀 기울여 고객 만족을 극대화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고객들 및 홈쇼핑 제품의 공급업자들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제공받는 웹 페이지를 통해 질문과 답변을 등록시켜 놓으면 이를 현재 진행중인 홈쇼핑 방송과 연계되는 방송 컨텐츠로 재가공하여 방송 영상에 삽입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은, 하기 연동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홈쇼핑 방송을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방송을 케이블망으로 송출하는 방송 제작 서버; 홈쇼핑 제품에 대한 고객들의 문의 사항 및 상기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도록 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상기 방송 제작 서버에 전송하는 연동 서버; 및 상기 송출되는 홈쇼핑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셋톱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에서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고객들로부터 현재 방송중인 홈쇼핑 제품과 관련된 문의 사항을 입력받고 상기 홈쇼핑 제품의 공급업자들로부터 상기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에서 상기 웹 페이지는, 상기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고객들 및 상기 홈쇼핑 제품의 공급업자들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연동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연동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것이고 트위터를 연동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고객들의 의견이나 상기 공급업자들의 답변을 바로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에서 상기 방송 제작 서버는, 상기 연동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현재 진행중인 홈쇼핑 방송과 연계되는 방송 컨텐츠로 재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에서 상기 방송 제작 서버는, 상기 연동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자막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에서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각종 요소와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공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가공된 정보를 상기 방송 제작 서버로 송신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제작 서버는, 상기 연동 서버로부터 상기 가공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연동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연동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기 홈쇼핑 방송 도중에 삽입되는 방송 컨텐츠로 변환하는 컨텐츠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고객 선호도와 구매 유형을 분석하고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방송 화면의 종횡 비율을 조정해 자막을 삽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에 따르면, 기존의 일방향적이고 수동적인 방송 서비스에서 탈피하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해지면서 방송 시청과 함께 홈쇼핑 제품의 세부 정보를 문의해 확인하는 등 새로운 서비스 시장이 열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시청자들은 다른 시청자들이 궁금해 하는 사항들을 실시간으로 TV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제품에 대한 각종 정보들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신개념 서비스다.
이를 통하여 홈쇼핑 제품의 구매자인 시청자들은 상품을 믿고 선택할 수 있으며 제품의 공급업자들도 자신의 제품을 보다 신뢰성 있게 판매할 수 있어 고객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는 장점과 함께 시청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제품에 대한 평가 및 수정, 신제품 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제작 서버(100), 연동 서버(200), 및 디지털 셋톱박스(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제작 서버(100)는 연동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홈쇼핑 방송을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방송을 케이블망으로 송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제작 서버(100)는 연동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현재 진행중인 홈쇼핑 방송과 연계되는 방송 컨텐츠로 재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제작 서버(100)는 연동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자막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동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쇼 호스트들의 광고 맨트와 같은 방법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객과 공급업자 쌍방의 의견 등을 종합해 생방송 중인 방송 화면상에 표출되는 자막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서버(200)는 홈쇼핑 제품에 대한 고객들의 문의 사항 및 상기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도록 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서버(200)는 실시간으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인터넷의 특성을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현재 방송 중인 홈쇼핑 방송 및 그 상품에 대한 고객이나 공급업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네트워크망을 통해 접속한 방송 제작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서버(200)는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방송 제작 서버(10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서버(200)는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고객들로부터 현재 방송중인 홈쇼핑 제품과 관련된 문의 사항을 입력받고 상기 홈쇼핑 제품의 공급업자들로부터 상기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웹 페이지는, 상기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고객들 및 상기 홈쇼핑 제품의 공급업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연동 서버(200)에 접속하여 연동 서버(200)로부터 제공받는 것이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로 떠오르고 있는 트위터를 연동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고객들의 의견이나 상기 공급업자들의 답변을 바로 반영할 수 있다. 이에, 실시간 채팅이나 댓글을 통해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여 상품의 정보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고객 반응도 실시간으로 살펴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서버(200)는 제1 데이터베이스(210), 데이터 처리부(230), 및 제1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데이터베이스(210)는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각종 요소와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데이터베이스(210)는 현재 방영중인 TV 홈쇼핑 방송 및 그 상품에 대한 시청자들의 반응을 인터넷 쇼핑몰의 웹페이지를 통해 수집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관련 정보 및 제품 선호도, 구매의사 표현, 고객의 질문사항, 제품 사용후기, 판매 통계와 관련한 정보, 및 홈쇼핑 관계자의 답변 등 제품과 관련하여 수집한 각종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30)는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30)는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고객 선호도와 구매 유형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부(250)는 상기 가공된 정보를 방송 제작 서버(100)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제작 서버(100)는 제2 통신부(110), 제2 데이터베이스(130), 및 컨텐츠 생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통신부(110)는 연동 서버(200)로부터 상기 가공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데이터베이스(130)는 연동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데이터 베이스(130)는 데이터 방송과 관련한 각종 데이터를 보관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데이터베이스(130)는 연동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비롯하여 이를 기반으로 재구성된 방송 컨텐츠 및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보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생성부(150)는 연동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기 홈쇼핑 방송 도중에 삽입되는 방송 컨텐츠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생성부(150)는 방송 화면의 종횡 비율을 조정해 자막을 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생성부(150)는 연동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방송 화면에서 방송 영상과 연계하여 표출시키기에 적합한 컨텐츠로 재구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영상은 방송 스튜디오에서 촬영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제작 서버(100)는 상기 방송 컨텐츠를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에 반영하여 케이블 사업자 망을 통해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방송 영상과 상기 방송 컨텐츠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방송 화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제작 서버(100)는 상기 방송 컨텐츠를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표출의 영역에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개별 상품에 대한 선호도, 해당 제품을 먼저 구입한 사용자들의 사용후기, 제품에 대한 문의 사항, 접수된 질문에 대한 답변 등을 포함한 시청자들의 반응 및 공급업자들의 설명을 현재 진행 중인 홈쇼핑 방송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게재된 시청자들의 의견을 홈쇼핑 방송에 적용시키는 것은 시청자들의 방송 참여를 유도하므로 시청자들이 이제 일방적으로 방송을 수용하는 수동적인 대상에서 벗어나, 방송 제작에 참여하는 대상이 될 수 있도록 하므로 고객 만족도가 높은 질 좋은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셋톱박스(300)는 상기 송출되는 홈쇼핑 방송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셋톱박스(300)는 방송 제작 서버(100)가 송출하는 상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TV 화면에 표출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일방향적이고 수동적인 방송 서비스에서 탈피하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해지면서 방송 시청과 함께 홈쇼핑 제품의 세부 정보를 문의해 확인하는 등 새로운 서비스 시장이 열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시청자들은 다른 시청자들이 궁금해 하는 사항들을 실시간으로 TV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제품에 대한 각종 정보들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신개념 서비스다.
이를 통하여 홈쇼핑 제품의 구매자인 시청자들은 상품을 믿고 선택할 수 있으며 제품의 공급업자들도 자신의 제품을 보다 신뢰성 있게 판매할 수 있어 고객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는 장점과 함께 시청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제품에 대한 평가 및 수정, 신제품 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방송 제작 서버
110: 제2 통신부
130: 제2 데이터베이스
150: 컨텐츠 생성부
200: 연동 서버
210: 제1 데이터베이스
230: 데이터 처리부
250: 제1 통신부
300: 디지털 셋톱박스

Claims (7)

  1. 하기 연동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홈쇼핑 방송을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방송을 케이블망으로 송출하는 방송 제작 서버;
    홈쇼핑 제품에 대한 고객들의 문의 사항 및 상기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도록 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상기 방송 제작 서버에 전송하는 연동 서버; 및
    상기 송출되는 홈쇼핑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셋톱박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고객들로부터 현재 방송중인 홈쇼핑 제품과 관련된 문의 사항을 입력받고 상기 홈쇼핑 제품의 공급업자들로부터 상기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는,
    상기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고객들 및 상기 홈쇼핑 제품의 공급업자들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연동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연동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것이고 트위터를 연동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고객들의 의견이나 상기 공급업자들의 답변을 바로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제작 서버는,
    상기 연동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현재 진행중인 홈쇼핑 방송과 연계되는 방송 컨텐츠로 재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제작 서버는,
    상기 연동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자막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각종 요소와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공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가공된 정보를 상기 방송 제작 서버로 송신하는 제1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제작 서버는,
    상기 연동 서버로부터 상기 가공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연동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연동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기 홈쇼핑 방송 도중에 삽입되는 방송 컨텐츠로 변환하는 컨텐츠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고객 선호도와 구매 유형을 분석하고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방송 화면의 종횡 비율을 조정해 자막을 삽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
KR1020100053882A 2010-06-08 2010-06-08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 KR20110134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882A KR20110134095A (ko) 2010-06-08 2010-06-08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882A KR20110134095A (ko) 2010-06-08 2010-06-08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095A true KR20110134095A (ko) 2011-12-14

Family

ID=4550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882A KR20110134095A (ko) 2010-06-08 2010-06-08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40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104B1 (ko) * 2013-08-07 2014-03-14 주식회사 에스티피플 스마트 홈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142612A (ko) * 2016-06-20 2017-12-28 임송국 N-스크린 멀티미디어북 기반의 개인인터넷방송 및 전자상거래 운용시스템과 이의 운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104B1 (ko) * 2013-08-07 2014-03-14 주식회사 에스티피플 스마트 홈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142612A (ko) * 2016-06-20 2017-12-28 임송국 N-스크린 멀티미디어북 기반의 개인인터넷방송 및 전자상거래 운용시스템과 이의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001B1 (ko) 스마트폰기반 쌍방향 라이브방송 커머스 서비스 플랫폼
US7313802B1 (en)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deals and promotions via an interactive video casting system
Portilla Television audience measurement: Proposals of the industry in the era of digitalization
KR20120048522A (ko) 융합 소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001623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n object in a video data stream
KR101921621B1 (ko)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비디오 가상화를 이용한 커머스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가상화 서버
US201103211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Use of Cable Television Devices and Other Devices
KR20220169083A (ko) 콘텐츠 중심의 글로벌 라이브커머스 방송 통합 플랫폼
JP2013062787A (ja) ザッピング広告サービス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20100277A (ko) 통신망을 통한 위치 기반의 통합 상거래 플랫폼 시스템
KR20190130182A (ko)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
US201301115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KR20100071559A (ko) 대화형광고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연동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16193A (ko) 모바일 통합 실시간 쇼핑 방송 및 전자상거래 방법
KR20130116618A (ko) 스마트커넥팅을 이용한 상품광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전자상거래방법
CN110430314A (zh) 一种不同屏幕之间的智能跨屏连接平台
KR101664248B1 (ko) 스마트 단말 기반의 동영상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동영상 전자 상거래 방법
KR100537563B1 (ko) 티비 홈쇼핑방송과 인터넷 홈쇼핑방송간의 실시간데이터연동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34095A (ko) 홈쇼핑 방송시 고객과 공급업자간의 정보 교환 시스템
KR20160007915A (ko) Bj중간광고시스템 및 bj중간광고방법
KR20120079039A (ko) 인터넷 방송을 통한 인터넷 홈쇼핑 통합 시스템
KR20150028381A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다채널 야외 생중계용 온라인 쇼핑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제공 방법
KR102435506B1 (ko)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리뷰 컨텐츠 제공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방송 시스템
US8613036B2 (en) Device for connection to a television set and method of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television signal
KR20070030374A (ko) 개인 방송을 이용한 홈쇼핑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