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316A -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316A
KR20110133316A KR1020100052975A KR20100052975A KR20110133316A KR 20110133316 A KR20110133316 A KR 20110133316A KR 1020100052975 A KR1020100052975 A KR 1020100052975A KR 20100052975 A KR20100052975 A KR 20100052975A KR 20110133316 A KR20110133316 A KR 20110133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dry ice
removal
coating layer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5693B1 (ko
Inventor
김정래
Original Assignee
이노크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크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크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2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69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6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 B05D1/38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with intermediat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1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chemical means
    • B05D3/107Post-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속하고 안전하게 기존 도장층을 제거할 수 있고, 이물질의 제거나 표면 처리작업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이 발생 되지않으면서 재도장 작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단축되고 시공비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이 유발되지 않는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은, 재도장 시공방법에 있어서, 기존 도장층의 내부 조직으로 침투하는 도료제거용 용제를 기존 도장층의 표면에 도포하여 용제층을 형성하는 용제 도포단계; 상기 용제 도포단계의 시행 후에 내부 피도장부의 도장면과 도장층과의 부착력이 저하되는 시점에 도달되면 도장층을 벗겨내 박리하는 도장층 박리단계; 상기 도장층 박리단계의 시행 후에 드라이아이스 펠릿과 함께 모오스 경도가 2.0 이상이고 대기 및 수질에 악영향을 초래하지 않은 고경도 물질을 동시에 분사하여, 도장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고경도 물질의 타격력에 의해 상기 도장면을 표면처리 하는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 및 상기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의 시행 후에 상기 도장면에 도료를 도포하는 도료 도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이물질의 제거효율이 뛰어나고 별도의 오염물질을 방출하지 않는 드라이아이스와 경도가 크고 친환경적인 고경도 물질을 함께 분사하여 이물질의 세척, 표면처리, 및 이물질의 분리제거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유해물질의 발생을 최소화 하면서 재도장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기가 단축되고 시공비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으로 재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GREEN REPAINTING METHOD}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속하고 안전하게 기존 도장층을 제거할 수 있고, 이물질의 제거나 표면 처리작업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이 발생 되지않으면서 재도장 작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단축되고 시공비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이 유발되지 않는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장치, 저장탱크, 파이프 랙, 컨베이어 등과 같은 각종 산업설비나, 건축설비는 부식을 방지하고 외관의 미려함을 유지하기 위해 도장작업을 시행하게 된다.
도장작업은 대개 하도, 중도, 상도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장단계에 따라 도료가 도포되어 소정 두께의 도장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도장층은 소정 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도장층에 균열이 발생되고 상도층이 벗겨지고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면서 내부부재의 부식을 초래하게 되므로 여러 해 동안 수차례 덧칠하여 도막이 점차 두꺼워지며 정해진 내구연한에 도달되면 기존의 도장층을 벗겨내고 전면적으로 재도장 작업을 시행하게 된다.
재도장 작업은 도장층을 벗겨내는 도장층 박리단계, 이 도장층 박리단계를 통해 도장층이 박리된 표면에 부착,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작업을 시행하는 이물질 제거단계, 이물질 제거단계의 시행후에 도료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장면에 일정한 표면 거칠기를 부여하는 표면처리단계, 및 표면처리된 도장면에 도료를 도포하는 도료 도포단계, 및 건조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한다.
그리고, 도장층 박리 및 표면처리단계는 물을 강한 압력으로 분사하거나 숏트볼을 섞어서 강한 압력으로 분사하는 방법, 또는 날카로운 칼이나 끌, 브러쉬을 이용하여 도장층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벗겨내는 방식으로 시행하거나, 샌드블라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샌드(통상 숏트볼이라 칭함)를 분사함으로써 도장면에 미세한 흠집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시행한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재도장 방법은 도장층을 인력에 의해 의존하여 일일이 긁어내 제거하는 것이므로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시공비의 상승을 초래하고, 물을 분사하는 방식은 이물질 제거단계에서 분사된 물, 숏트볼, 및 이물질(기존 도막)을 함유한 상태로 다량의 폐수로 흘러내리게 되므로 별도의 폐수처리과정을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샌드 또는 숏트 블라스트를 이용하는 표면처리단계에서 기존 도막과 이를 제거하기 위한 막대한 양의 샌드 또는 숏트볼의 비산으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오염된 샌드를 일일이 수거하여 처리하여야 하므로 재도장 작업이 매우 복잡한 공정을 통해 수행되고 있다.
특히, 철교나 교각의 트러스와 같이 강, 하천, 및 바다에 설치된 철구조물의 재도장 작업은 고소에서 장시간 동안 도장층을 박리시켜야 하므로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고, 재도장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수나 샌드가 수면상으로 낙하되면 수질오염을 유발하므로 이를 모두 수거하여야 하지만, 이러한 수거작업이 매우 어렵고 불편한 뿐만 아니라 완벽하게 폐수나 샌드 알갱이를 수거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어느 정도의 수질오염을 수반하면서 재도장 작업을 시행하는 실정에 있다.
더구나, 종래 도료는 납, 석면 등과 같은 중금속 및 유해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폐수, 샌드 알갱이, 및 도료 입자가 수면으로 낙하하게 될 경우 납 및 석면과 같은 중금속 및 유해물질이 용해되면서 수질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초래하여 수상 생태계의 교란은 물론이고 2차, 3차적으로 인체에까지 중금속 중독과 같은 심각한 피해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철도 교량이나 차량이 소통되는 교량의 경우, 차량이 통행하는 상태에서 시행하여야 하지만 샌드 또는 숏트 블라스트 작업을 시행하면 다량의 폐페인트와 분진이 비산되므로 차량의 통행이 어렵고 민원의 발생으로 실질적인 재도장 작업은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분사되는 물과 숏트볼은 강구조물과 충돌된 후 튕겨져 통행하는 차량측으로 비산되므로 차량 표면을 손상시키고 안전운행에 악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재도장 작업을 위해 차량의 통행을 차단할 경우, 교통체증에 따른 물류비용의 상승과, 관리인원의 배치 등이 필요하여 막대한 간접비용이 발생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통행에 지장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기존 도장층을 제거할 수 있고, 이물질의 제거나 표면 처리작업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이 발생 되지않으면서 재도장 작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단축되고 시공비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이 유발되지 않는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의 제거효율이 뛰어나고 별도의 오염물질을 방출하지 않는 드라이아이스와 경도가 크고 친환경적인 고경도 물질을 함께 분사함으로써,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도장작업에 필요한 표면 처리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은 재도장 시공방법에 있어서, 기존 도장층의 내부 조직으로 침투하는 도료제거용 용제를 기존 도장층의 표면에 도포하여 용제층을 형성하는 용제 도포단계; 상기 용제 도포단계의 시행 후에 내부 피도장부의 도장면과 도장층과의 부착력이 저하되는 시점에 도달되면 도장층을 벗겨내 박리하는 도장층 박리단계; 상기 도장층 박리단계의 시행 후에 드라이아이스 펠릿과 함께 모오스 경도가 2.0 이상이고 대기 및 수질에 악영향을 초래하지 않은 고경도 물질을 동시에 분사하여, 도장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고경도 물질의 타격력에 의해 상기 도장면을 표면처리 하는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 및 상기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의 시행 후에 상기 도장면에 도료를 도포하는 도료 도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드라이아이스 펠릿은, 이물질 제거가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1.0 ~ 3mm 정도의 입경(φ)을 갖는 드라이아이스 입자를 이용하고, 상기 고경도 물질은 인체에 무해하고 모오스 경도가 2.0 이상인 칼슘, 월넛(walnut,호도껍질), 중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가성소다(수산화나트륨), 가네트 등 친환경 입자 중에서 선택하여 이용하고, 상기 드라이아이스 펠릿과 상기 고경도 물질은 5bar 이상의 압축공기에 의해 분사되어 상기 도장면에 충돌되도록 하여 시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료제거용 용제는 수산화칼슘 10 ~ 25부피%, 수산화마그네슘 10 ~ 20부피%, 수산화나트륨 5 ~ 20부피%, 및 잔량 부피%의 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존 도장층의 부착력이 저하되는 시점은 상기 도장층의 색상이 상기 용제층의 스며드는 시점으로 하여 제거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상기 도료 도포단계는, 상기 도장면의 습도가 0 ~ 80% 범위이고, 상기 도장면의 온도가 이슬점 보다 3℃ 이상 높은 상태에서 시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단계는 상기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의 완료 후 상기 도장면에 산화작용이 발현되는 시점에 시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는, 도장면을 감쌀 수 있는 커버체와 드라이아이스 펠릿 및 고경도물질이 배출되는 분사구 및 손잡이를 갖는 분사부, 연결호스를 통해 상기 분사구로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공급하는 드라이아이스 공급부,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압송을 위한 압축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아이스 공급부에 접속되는 압축공기 공급부, 및 고경도물질공급관을 통해 고경도물질을 공급하는 고경도물질 공급부를 구비한 제거처리장치에 의해 시행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는 그 시행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과 고경도물질을 흡입하도록 상기 커버체에 접속되는 이물질 제거부에 의해 이물질이 흡입, 제거되면서 이물질 제거과정이 동시에 시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은, 이물질의 제거효율이 뛰어나고 별도의 오염물질을 방출하지 않는 드라이아이스와 경도가 크고 친환경적인 고경도 물질을 함께 분사하여 이물질의 세척, 표면처리, 및 이물질의 분리제거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유해물질의 발생을 최소화 하면서 재도장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기가 단축되고 시공비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으로 재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기존 도장층을 물리적 외력에만 의존하여 박리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료제거용 용제를 이용함으로써 덩어리 형태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박리시킬 수 있는 동시에 폐도장층의 비산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의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은, 용제 도포단계(11), 도장층 박리단계(12),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13), 및 도료 도포단계(14), 및 도포된 도료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15)를 포함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수행한다.
용제 도포단계(11)는 도료제거용 용제를 도장층의 표면에 도포하여 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도료제거용 용제를 붓이나 분무기와 같은 도포기구를 이용하여 기존 도장층의 표면에 도포한다. 이때, 용제층의 두께는 도장층의 두께에 따라 가변할 수 있는 것으로, 도장층의 두께에 대해 1/2 내지 2배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도포한다.
그리고, 도료제거용 용제는 도장층 조직 내부로 스며들어 피도장부의 도장면과 도장층과의 부착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용제라면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나트륨를 주성분으로 하는 용제를 적용하여 시행한다. 이때, 주요 성분의 구성비는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10 ~ 25부피%, 수산화마그네슘(Magnesium Hydroxide) 10 ~ 20부피%,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5 ~ 20부피%, 잔량 부피%의 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술한 조성비로 도료제거용 용제를 제조하게 되면, 겔(gel) 상태로 형성되므로 기존 도장층의 표면에 도포할 경우 점착성을 띄게 되므로 수직 도장층, 천정 도장층에 도포하더라도 쉽게 흘러내리지 않아서 작업효율이 현저히 향상되고, 낙하에 따른 용제의 낭비나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장층 박리단계(12)는 용제 도포단계(11)의 시행 후에 내부 피도장부의 도장면과 도장층과의 부착력을 저하되는 시점에 도달되면 기존 도장층을 벗겨내는 단계이다. 도장층 박리단계(12)의 시행 시점은 용제 도포단계(11)에서 도포된 용제층이 도장층으로 충분히 스며드는 시점으로서 도장층의 색상이 용제층으로 스며들어 비치는 것이 육안으로 확인될 때 까지 기다린 다음 시행한다.
그리고, 도장층 박리단계(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장층의 색상이 용제층으로 스며들면 끌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벗겨내게 되는데, 이때, 도장층은 용제와 엉켜 박판의 덩어리 형태로 박리 되므로 그 하부에 수집용 시트나 패드를 설치하게 되면 박리되는 도장 이물질을 이탈 없이 안전하게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도장층 박리단계(12)를 도료제거용 용제에 의한 전처리 과정을 시행한 후에 시행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도장층의 박리과정에서 폐도장층이 불규칙하게 사방으로 비산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주변환경이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강, 하천, 및 바다에 설치되는 철교나 교각의 트러스와 같은 철구조물의 재도장 작업시, 수면으로 납 성분 등의 중금속과 석면 등의 유해물질이 포함된 도장 이물질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어서 수질오염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의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13)는 도장층 박리단계(12)를 시행하더라도 견고하게 고착되어 박리 되지않고 잔류하는 이물질과, 부식으로 인해 형성된 틈새 등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후술되는 도료 도포단계(14)에서 도료가 안정적으로 부착되도록 도장면에 적절한 표면 거칠기를 부여하는 과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13)는 드라이아이스 펠릿과 함께 모오스 경도가 2.0 이상인 고경도 물질을 동시에 분사하여, 도장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고경도 물질의 충격력에 의해 도장면에 미세한 흠집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13)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처리 등급은 미국 철강구조물도장협회에서 규정하는 "SSPC-SP10(준나금속 세정)" 규격 정도의 등급이 되도록 시행하는 바람직하다. 이 SSPC-SP10(준나금속 세정) 등급은 높은 습도, 화학적인 환경 등의 부식환경에 노출되는 피도물에 95% 이상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연마제를 노즐로 분사하거나 원심 휠을 이용하여 백색 브라스트(White Blast)에 가깝게 시행하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를 만족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13)에서는 드라이아이스 펠릿 및 고경도물질을 적용하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입경, 고경도물질의 종류, 분사압력 등을 특정 조건으로 설정하여 시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은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13)를 시행함에 있어서 대기 및 수질에 악영향을 초래하지 않은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물질을 이용한다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해,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13)에서는 분사시 세척작용을 수행하고 승화되어 대기중으로 확산되는 드라이아이스 펠릿과, 대기 및 수질에 악영향을 초래하지 않은 고경도 물질을 이용하여 시행한다.
고경도 물질은 도장면에 고착된 이물질에 크랙을 발생시킬 수 있고, 도장면에 미세한 흠집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모오스 경도가 2.0 이상이면서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칼슘, 월넛(walnut,호도껍질), 중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가성소다(수산화나트륨), 가네트(garnet, 석류석) 등 친환경 입자 중에서 선택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고경도 물질은 모오스 경도가 2.8 정도이고 무해한 식용소다를 적용하여 시행한다.
그리고, 드라이아이스 펠릿(Dry Ice Pellet)은 이물질 제거과정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적절한 입경으로 가공된 드라이아이스를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입경을 갖는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기존 도장층에 분사하여 이물질의 세척 실험을 시행한 결과,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입경이 1.0mm 이하인 경우에는 도장면의 이물질에 인가하는 타격력이 약하고 승화 시점이 너무 빨라 이물질 제거효율이 낮았으며, 입경이 3.0mm 이상인 경우에는 입경이 지나치게 커서 도장면의 이물질 조직으로 쉽게 침투할 수 없었고 그 소모량이 지나치게 많아서 시공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입경(φ)이 1.0 ~ 3mm 정도인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이용하여 시행한다.
한편,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13)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아이스 펠릿과 고경도 물질을 분사하고, 분사 후 발생되는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제거처리장치(20)를 이용하여 시행한다. 이러한 제거처리장치(20)에 의해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13)를 시행하게 되면, 이물질의 제거과정, 표면처리과정 및, 이물질 제거과정이 동시에 시행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제거처리장치(20)는 소정 면적의 도장면을 감쌀 수 있는 커버체(21a)와 드라이아이스 펠릿 및 고경도물질이 배출되는 분사구(미도시) 및 손잡이(21b)를 갖는 분사부(21), 연결호스(23a)를 통해 분사구로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공급하는 드라이아이스 공급부(23),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압송을 위한 압축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드라이아이스 공급부(23)에 접속되는 압축공기 공급부(24), 분사구에 접속되는 고경도물질공급관(미도시)을 통해 고경도물질을 공급하는 고경도물질 공급부(25), 및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13)의 시행과정에서 생성된 이물질과 고경도물질을 흡입, 제거하기 위해 커버체(21a)에 접속되는 이물질 제거부(26)를 구비한다.
압축공기 공급부(24)는 5bar 이상의 압축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콤퓨레셔로 구성되어 드라이아이스 펠릿과 고경도 물질이 5bar 이상의 압력으로 분사되어 도장면에 충돌되도록 한다.
드라이아이스 공급부(23)는 압축공기 공급부(24)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혼합, 분사할 수 있는 드라이아이스 펠릿 분사장치(Dry Ice Pellet Blaster)로 구성되고, 이물질 제거장치(26)는 흡입배관(26a)에 의해 커버체(21a)와 연결되어 진공흡입 방식으로 이물질을 흡입하는 백필터나 고압 진공청소기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경도 물질이 5bar 이상의 압력으로 도장면에 충돌되면, 도장면에 고착된 이물질에 크랙이 발생되고, 드라이아이스 펠릿은 균열된 틈새로 침투하여 부피를 급속하게 팽창시키면서 이물질을 박리, 세척한 후 대기 중으로 승화된다. 아울러, 고경도 물질은 도장면에 미세한 흠집을 발생시켜 도료가 용이하게 부착되는 표면 거칠기를 형성하게 된다.
도료 도포단계(14)는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13)의 시행 후에 도장면에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로서, 피도장부의 조건, 특징, 목적 등에 따라 도료와 도장방법(하도, 중도, 및 상도) 등을 선택하여 도장작업을 시행한다.
그리고, 도료 도포단계(14)는 도료의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도장면의 습도가 0 ~ 80% 범위이고, 도장면의 온도가 이슬점 보다 3℃ 이상 높은 상태에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상조건이 이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히터나 환풍기 등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적절한 도장환경이 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료 도포단계(14)의 시행을 위한 최적의 조건은 15℃ ~ 32℃의 온도 범위에 있고,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를 완료한 시점으로부터 도장면의 산화작용이 발현되는 시점인 12시간이 도달되기 전에 시행하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4시간 이내에 시행한다.
건조단계(15)는 도료 도포단계(14)의 시행이 완료되면 자연 건조방식 또는 강제 건조방식으로 도장면에 도포된 도료를 건조시켜 도장층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한편, 도2의 미설명부호 22는 드라이아이스 공급부(23), 압축공기 공급부(24), 고경도물질 공급부(25), 및 이물질 제거부(26)가 탑재되는 이동대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용제 도포단계 12:도장층 박리단계
13: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 14:도료 도포단계
15:건조단계 20:제거처리장치
21:분사부 22:이동대차
23:드라이아이스 공급부 24:압축공기 공급부
25:고경도물질 공급부 26:이물질 제거부

Claims (6)

  1. 재도장 시공방법에 있어서,
    기존 도장층의 내부 조직으로 침투하는 도료제거용 용제를 기존 도장층의 표면에 도포하여 용제층을 형성하는 용제 도포단계;
    상기 용제 도포단계의 시행 후에 내부 피도장부의 도장면과 도장층과의 부착력이 저하되는 시점에 도달되면 도장층을 벗겨내 박리하는 도장층 박리단계;
    상기 도장층 박리단계의 시행 후에 드라이아이스 펠릿과 함께 모오스 경도가 2.0 이상이고 대기 및 수질에 악영향을 초래하지 않은 고경도 물질을 동시에 분사하여, 도장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고경도 물질의 타격력에 의해 상기 도장면을 표면처리 하는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 및
    상기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의 시행 후에 상기 도장면에 도료를 도포하는 도료 도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아이스 펠릿은, 이물질 제거가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1.0 ~ 3mm 정도의 입경(φ)을 갖는 드라이아이스 입자를 이용하고,
    상기 고경도 물질은 인체에 무해하고 모오스 경도가 2.0 이상인 칼슘, 월넛(walnut,호도껍질), 중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가성소다(수산화나트륨), 가네트 입자 중에서 선택하여 이용하고,
    상기 드라이아이스 펠릿과 상기 고경도 물질은 5bar 이상의 압축공기에 의해 분사되어 상기 도장면에 충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제거용 용제는 수산화칼슘 10 ~ 25부피%, 수산화마그네슘 10 ~ 20부피%, 수산화나트륨 5 ~ 20부피%, 및 잔량 부피%의 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존 도장층의 부착력이 저하되는 시점은 상기 도장층의 색상이 상기 용제층의 스며드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도포단계는, 상기 도장면의 습도가 0 ~ 80% 범위이고, 상기 도장면의 온도가 이슬점 보다 3℃ 이상 높은 상태에서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도포단계는 상기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의 완료 후 상기 도장면에 산화작용이 발현되는 시점에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는, 도장면을 감쌀 수 있는 커버체와 드라이아이스 펠릿 및 고경도물질이 배출되는 분사구 및 손잡이를 갖는 분사부, 연결호스를 통해 상기 분사구로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공급하는 드라이아이스 공급부,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압송을 위한 압축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아이스 공급부에 접속되는 압축공기 공급부, 및 고경도물질공급관을 통해 고경도물질을 공급하는 고경도물질 공급부를 구비한 제거처리장치에 의해 시행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 및 표면처리단계는 그 시행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과 고경도물질을 흡입하도록 상기 커버체에 접속되는 이물질 제거부에 의해 이물질이 흡입, 제거되면서 이물질 제거과정이 동시에 시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

KR1020100052975A 2010-06-04 2010-06-04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 KR101225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975A KR101225693B1 (ko) 2010-06-04 2010-06-04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975A KR101225693B1 (ko) 2010-06-04 2010-06-04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316A true KR20110133316A (ko) 2011-12-12
KR101225693B1 KR101225693B1 (ko) 2013-01-31

Family

ID=4550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975A KR101225693B1 (ko) 2010-06-04 2010-06-04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382B1 (ko) * 2020-03-16 2020-07-09 주식회사 칠성건설 교량 구조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도장제거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8141A (ja) * 1996-11-05 1998-05-26 Maintech:Kk ドライアイスを噴射させて塗膜の剥離・洗浄を行う噴射装置におけるドライアイスの噴射加速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08020Y1 (ko) * 2000-06-28 2000-12-15 김승태 가구 및 목재의 재활용을 위한 혼합마모재 분사식표면처리 장치
JP4043382B2 (ja) * 2003-02-28 2008-02-0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塗布膜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834035B1 (ko) * 2007-04-03 2008-05-30 정대원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관로 갱생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382B1 (ko) * 2020-03-16 2020-07-09 주식회사 칠성건설 교량 구조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도장제거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693B1 (ko)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8509B (zh) Sandblasting and sandblasting methods
CN102218386A (zh) 一种金属表面除锈除漆及防腐的防护方法
CN108621036B (zh) 油管内外壁防腐涂层涂敷前的处理方法
JP6444232B2 (ja) 鋼構造物の保全塗装工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循環式ブラスト装置
CN105619256A (zh) 一种钢材表面喷砂处理工艺
WO2017141823A1 (ja) 鋼構造物の予防保全工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循環式ブラスト装置
KR101225693B1 (ko)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
US20060211339A1 (en) Aerosol sandblast
CN102476356A (zh) 铝制品喷砂表面处理工艺
CN106311577B (zh) 高压水除鳞蓄势罐内壁在线除锈防腐的方法
CN109692796A (zh) 一种刚拱肋的喷涂工艺
KR101599335B1 (ko) 메탈라이징 시공방법
JP6924480B2 (ja) 鋼橋の保全工法
KR102116578B1 (ko)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블라스트 공정을 이용하는 도장 공법
JPH09248766A (ja) ウエットブラスト施工方法
JP6474306B2 (ja) 鋼橋用ブラスト方法
JP2987757B2 (ja) 高圧温水剥離工法
US20120298138A1 (en) Process for cleaning surfaces using dry ice
WO2005102462A1 (en) Contaminated structure coating process
Нехаев et al.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THE USE OF MODERN METHODS AND TECHNOLOGY FOR EXTERNAL WASHING OF AGRICULTURAL MACHINES
Springer Fachmedien Wiesbaden http://gracoprotection. com/ A Significant Reduction in Dust Volumes: Enhanced Vapour Blasting System
Khanna Surface preparation for organic paint coatings
JP2005161286A (ja) 高圧水利用の色材含有膜剥離システム。
Guyer et al. n Introduction to Coatings and Paints for Professional Engineers
JP2019181414A (ja) 塗膜剥離用軟化剤を使用した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