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2974A -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2974A
KR20110132974A KR1020110046865A KR20110046865A KR20110132974A KR 20110132974 A KR20110132974 A KR 20110132974A KR 1020110046865 A KR1020110046865 A KR 1020110046865A KR 20110046865 A KR20110046865 A KR 20110046865A KR 20110132974 A KR20110132974 A KR 20110132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voltage
power supply
battery
pmos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1719B1 (ko
Inventor
쇼헤이 츠카모토
아츠시 사쿠라이
가즈아키 사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2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전류에 의해 2차 전지의 전압이 급격하게 저하된 것을 검출하여, 과전류에 의한 2차 전지의 전압의 급격한 저하로부터 배터리 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압 비교 회로와, 전원 전압의 급격한 저하를 검출하는 전원 전압 검출 회로를 구비하여, 통상의 과전류는 전압 비교 회로로 검출하고, 부하 단락 등에 의한 전원 전압의 급격한 저하를 전원 전압 검출 회로로 검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Description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BATTERY STATE MONITORING CIRCUIT AND BATTERY DEVICE}
본 발명은, 2차 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는, 부하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에 흐르는 이상(異常) 전류로부터 배터리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서, 과전류 검출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과전류 검출 회로는, 배터리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서, 다양한 발명이 개시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도 3에, 종래의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를 나타낸다. 종래의 배터리 장치(20)는, 2차 전지(1)와, 스위치 회로(3)와, 센스 저항(4)과,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21)를 구비하고 있다.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21)는, 제1 기준 전압 회로(5)와, 제2 기준 전압 회로(6)와, 제1 전압 비교 회로(7)와, 제2 전압 비교 회로(8)와, 제1 PMOS 트랜지스터(9)와, 제2 PMOS 트랜지스터(10)와, 제1 전류원(14)과, 제2 전류원(15)과, 콘덴서(13)와, 제어 회로(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전압 비교 회로(7)는, 제1 기준 전압 회로(5)의 전압과 저항(4)의 전압을 비교하여 과전류를 검출한다. 제2 전압 비교 회로(8)는, 제2 기준 전압 회로(6)의 전압과 저항(4)의 전압을 비교하여 과전류를 검출한다. 여기서, 제1 기준 전압 회로(5)의 전압은, 제2 기준 전압 회로(6)의 전압보다 낮다. 제1 PMOS 트랜지스터(9)와, 제2 PMOS 트랜지스터(10)와, 제1 전류원(14)과, 제2 전류원(15)과, 콘덴서(13)는 지연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제어 회로(2)는, 지연 회로로부터 검출 신호를 입력하여, 스위치 회로(3)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21)는, 이하와 같이 동작하여 과전류로부터 배터리 장치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배터리 장치(20)의 외부 단자 +VO, -VO의 사이에 접속된 부하에 문제가 발생하여, 이상 전류가 흐르면, 저항(4)의 양단의 전압이 높아진다. 그리고, 저항(4)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회로(5)의 전압을 초과하면, 제1 전압 비교 회로(7)는 과전류를 검출하여, L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1 PMOS 트랜지스터(9)가 온하므로, 콘덴서(13)는 제1 전류원(14)의 전류에 의해 충전된다. 제어 회로(2)는, 소정의 지연 시간 후에, 지연 회로로부터 검출 신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제어 회로(2)는 스위치 회로(3)를 오프하여, 전류 경로를 차단한다.
부하가 단락 상태가 되어, 전류가 더 많아지면, 2차 전지(1)의 전압이 급격하게 저하된다. 이 때, 저항(4)의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회로(6)의 전압을 초과하면, 제2 전압 비교 회로(8)는 부하 단락 상태의 과전류를 검출하여, L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콘덴서(13)는 제1 전류원(14)의 전류와 제2 전류원(15)의 전류에 의해 충전되게 된다. 즉, 지연 시간은 짧아져, 보다 빨리 제어 회로(2)는 스위치 회로(3)를 오프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평10-224997호 공보
그러나, 2차 전지(1)의 충전이 충분하지 않을 때나 수명에 의해 열화되어 왔을 때 등은, 부하가 단락 상태가 되지 않아도, 과전류에 의해 2차 전지(1)의 전압이 급격하게 저하된다. 이 때, 종래의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21)에서는, 제2 전압 비교 회로(8)는 부하 단락 상태의 과전류를 검출하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 지연 시간을 얻을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했다.
전압 비교 회로와, 전원 전압의 급격한 저하를 검출하는 전원 전압 검출 회로를 구비하여, 통상의 과전류는 전압 비교 회로로 검출하고, 부하 단락 등에 의한 전원 전압의 급격한 저하를 전원 전압 검출 회로로 검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그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
본 발명의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에 의하면, 2차 전지의 충전이 충분하지 않을 때나 수명에 의해 열화되어 왔을 때 등은, 부하가 단락 상태가 되지 않아도, 과전류에 의한 2차 전지의 전압의 급격한 저하로부터 배터리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배터리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22)는, 2차 전지(1)와, 2차 전지(1)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스위치 회로(3)와, 센스 저항(4)과,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23)를 구비하고 있다.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23)는, 제1 기준 전압 회로(5)와, 제1 전압 비교 회로(7)와, 전원 전압 검출 회로(30)와, 버퍼 회로(37)와, 제1 PMOS 트랜지스터(9)와, 제2 PMOS 트랜지스터(10)와, 제1 전류원(14)과, 제2 전류원(15)과, 콘덴서(13)로 구성된 과전류 검출 회로와, 제어 회로(2)를 구비하고 있다.
2차 전지(1)와 스위치 회로(3)와 센스 저항(4)은, 배터리 장치(22)의 외부 단자 +V0와 외부 단자 -VO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23)는, 전원 단자 VDD와 전원 단자 VSS에 2차 전지(1)의 양단을 접속하고, 과전류 검출 단자 VM에 저항(4)의 한쪽의 단자를 접속하며, 제어 단자 CNT에 스위치 회로(3)를 접속한다.
제1 전압 비교 회로(7)는, 반전 입력 단자에 과전류 검출 단자 VM을 접속하고,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제1 기준 전압 회로(5)를 접속하며, 출력 단자에 제1 PMOS 트랜지스터(9)의 게이트 단자를 접속한다. 전원 전압 검출 회로(30)는, 전원 단자 VDD와 전원 단자 VSS의 사이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는 버퍼 회로(37)를 통하여 제2 PMOS 트랜지스터(10)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된다. 제1 전류원(14)과 제2 전류원(15)은, 콘덴서(13)에 접속되어, 지연 회로를 구성한다. 지연 회로의 출력 단자는 제어 회로에 접속된다. 제1 PMOS 트랜지스터(9) 및 제2 PMOS 트랜지스터(10)는, 제1 전류원(14) 및 제2 전류원(15)과 전원 단자 VDD의 사이에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23)는, 이하와 같이 동작하여 과전류로부터 배터리 장치(22)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배터리 장치(22)의 외부 단자 +VO, -VO의 사이에 접속된 부하에 문제가 발생하여 이상 전류가 흐르면, 저항(4)의 양단의 전압이 높아진다. 그리고, 저항(4)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회로(5)의 전압을 초과하면, 제1 전압 비교 회로(7)는 과전류를 검출하여, L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1 PMOS 트랜지스터(9)가 온하므로, 콘덴서(13)는 제1 전류원(14)의 전류에 의해 충전된다. 제어 회로(2)는, 소정의 지연 시간 후에, 지연 회로로부터 검출 신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제어 회로(2)는 스위치 회로(3)를 오프하여, 전류 경로를 차단한다.
부하가 단락 상태가 되어, 전류가 더 많아지면, 2차 전지(1)의 전압이 급격하게 저하된다. 이 때, 2차 전지(1)의 전압인 전원 전압이 전원 전압 검출 회로(30)의 검출 전압보다 낮아지면, 전원 전압이 전원 전압 검출 회로(30)는 부하 단락 상태를 검출하여, L레벨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제2 PMOS 트랜지스터(10)는, 버퍼 회로(37)를 통하여 L레벨의 검출 신호를 입력하면 온한다. 따라서, 콘덴서(13)는 제1 전류원(14)의 전류와 제2 전류원(15)의 전류에 의해 충전되게 된다. 즉, 지연 시간은 짧아져, 보다 빨리 제어 회로(2)는 스위치 회로(3)를 오프할 수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상태일 때에도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23)는 과전류로부터 배터리 장치(22)를 보호한다. 예를 들면, 2차 전지(1)의 충전이 충분하지 않을 때나 수명에 의해 열화되어 왔을 때 등은, 부하가 단락 상태가 되지 않아도, 과전류에 의해 2차 전지(1)의 전압이 급격하게 저하된다. 저항(4)의 양단의 전압이 부하 단락 상태일 때만큼 높아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2차 전지(1)의 전압이 급격하게 저하된다. 이러한 전원 전압의 저하는, 종래의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21)의 제2 전압 비교 회로(8)는 검출할 수 없지만,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23)의 전원 전압 검출 회로(30)는 검출할 수 있다.
이하에, 전원 전압 검출 회로(30)의 구체적인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고, 동작을 설명한다. 전원 전압 검출 회로(30)는, 전원 단자 VDD에 접속된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31 및 32)와, 전원 단자 VSS에 접속된 전류원인 NMOS 트랜지스터(33 및 34)와, PMOS 트랜지스터(31 및 32)와 전원 단자 VSS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35)를 구비하고 있다.
NMOS 트랜지스터(33 및 34)는, 단자(36)로부터 게이트 단자에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되어, 일정한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 일정한 전류는,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31 및 32)에도 흐른다. 여기서, PMOS 트랜지스터(32)에 흐르는 전류는, NMOS 트랜지스터(34)에 흐르는 전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단자 VDD의 전압이 통상 상태에 있을 때에는, 각 트랜지스터는 소정의 전류를 흐르게 하고, 전원 전압 검출 회로(30)는 비검출 신호인 H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콘덴서(35)는, 전원 단자 VDD의 전압으로부터 PMOS 트랜지스터(31 및 32)의 임계치 전압 Vtp를 뺀 값으로 충전되어 있다.
전원 단자 VDD의 전압이 급격하게 저하되면, PMOS 트랜지스터(31 및 32)의 소스의 전압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콘덴서(35)의 전압, 즉 게이트의 전압보다 저하된다. PMOS 트랜지스터(31 및 32)는, 소스의 전압이 게이트의 전압보다 낮아지므로 오프한다. 이 때, NMOS 트랜지스터(34)는 소정의 전류를 흐르게 하도록 제어되어 있으므로, 전원 전압 검출 회로(30)는 검출 신호인 L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의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23)는, 스위치 회로(40)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회로(40)는, 전원 단자 VDD와 전원 전압 검출 회로(30)의 출력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며, 제1 전압 비교 회로(7)의 출력 신호로 제어된다.
제1 전압 비교 회로(7)가 과전류를 검출하고 있지 않을 때, 스위치 회로(40)는 전원 전압 검출 회로(30)의 출력 단자를 전원 단자 VDD에 접속한다. 제1 전압 비교 회로(7)가 과전류를 검출했을 때에, 스위치 회로(40)는 오프한다. 따라서, 전원 전압 검출 회로(30)의 출력은, 제1 전압 비교 회로(7)가 과전류를 검출했을 때에만 유효하게 되므로, 전원 전압 검출 회로(30)는 과전류 시의 전원 전압 저하를 검출하는 회로로서 동작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는, 지연 회로를 제1 전류원(14)과 제2 전류원(15)과 콘덴서(13)로 구성했지만, 각각 상이한 지연 시간을 갖는 2개의 지연 회로로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는, 과전류 검출을 제1 전압 비교 회로(7)가 행하고, 부하 단락 상태의 검출을 전원 전압 검출 회로(30)가 행하도록 구성한 예로 설명했다. 그러나, 과전류 검출을 제1 전압 비교 회로(7)가 행하고, 부하 단락 상태의 검출을 제2 전압 비교 회로(8)가 행하며, 부하 단락 상태에서 또한 전원 전압 저하의 검출을 전원 전압 검출 회로(30)가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는, 제1 전압 비교 회로(7)에 접속되는 지연 회로와 제2 전압 비교 회로(8)에 접속되는 지연 회로를 별도로 설치해도 된다.
이상 기재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는, 2차 전지(1)의 충전이 충분하지 않을 때나 수명에 의해 열화되어 왔을 때 등은, 부하가 단락 상태가 되지 않아도, 과전류에 의한 2차 전지(1)의 전압의 급격한 저하로부터 배터리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전압 검출 회로(30)를 이용함으로써, 기준 전압 회로(6)와 전압 비교 회로(8)로 구성한 종래의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보다도,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를 간편한 회로로 소비 전류를 적게 실현할 수 있다.
1 : 2차 전지
2 : 제어 회로
3, 40 : 스위치 회로
5, 6 : 기준 전압 회로
7, 8 : 전압 비교 회로
14, 15 : 전류원
20, 22 : 배터리 장치
21, 23 :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30 : 전원 전압 검출 회로
37 : 버퍼 회로

Claims (7)

  1. 제1 기준 전압 회로와,
    상기 제1 기준 전압 회로의 기준 전압과 과전류 검출 단자의 전압을 비교하는 제1 전압 비교 회로와,
    2개의 전원 전압 단자의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 전압의 급격한 저하를 검출하는 전원 전압 검출 회로와,
    게이트가 상기 제1 전압 비교 회로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 제1 PMOS 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상기 전원 전압 검출 회로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 제2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된 제1 지연 회로와,
    상기 제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된 제2 지연 회로와,
    상기 제1 및 제2 지연 회로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 제어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 검출 회로는,
    2개의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전원 단자 VDD에 접속된 커런트 미러 회로와,
    상기 2개의 PMOS 트랜지스터와 전원 단자 VSS의 사이에 각각 접속된 전류원과,
    상기 2개의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된 콘덴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연 회로는, 직렬로 접속된 제1 전류원과 제1 용량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지연 회로는, 직렬로 접속된 제2 전류원과 제2 용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량과 상기 제2 용량은 공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는,
    제2 기준 전압 회로와,
    상기 제2 기준 전압 회로의 기준 전압과 과전류 검출 단자의 전압을 비교하는 제2 전압 비교 회로와,
    게이트가 상기 제2 전압 비교 회로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 제3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3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된 제3 지연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기준 전압 회로가 과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전압 비교 회로가 부하 단락 상태를 검출하며, 상기 전원 전압 검출 회로가 전원 전압의 저하를 검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는, 또한 상기 전원 전압 검출 회로의 출력 단자와 전원 단자 VDD의 사이에 스위치 회로를 설치하고,
    상기 스위치 회로는, 과전류를 검출했을 때에 오프하여, 상기 전원 전압 검출 회로의 출력을 유효하게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7. 2개의 외부 단자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2차 전지와 센스 저항과 충방전 제어 스위치 회로와,
    2개의 전원 단자에 상기 2차 전지의 양단을 접속하고, 과전류 검출 단자에 상기 센스 저항을 접속하며, 제어 단자에 상기 충방전 제어 스위치 회로를 접속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KR1020110046865A 2010-06-03 2011-05-18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 KR101771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28282A JP5770979B2 (ja) 2010-06-03 2010-06-03 バッテリー状態監視回路およびバッテリー装置
JPJP-P-2010-128282 2010-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974A true KR20110132974A (ko) 2011-12-09
KR101771719B1 KR101771719B1 (ko) 2017-08-25

Family

ID=4505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865A KR101771719B1 (ko) 2010-06-03 2011-05-18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03143B2 (ko)
JP (1) JP5770979B2 (ko)
KR (1) KR101771719B1 (ko)
CN (1) CN102270867B (ko)
TW (1) TWI5014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5175A (ja) * 2012-01-13 2013-07-25 Toyota Motor Corp 電池システムおよび短絡検出方法
JP5870763B2 (ja) 2012-03-02 2016-03-0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監視装置および電池パック
TW201427214A (zh) * 2012-12-24 2014-07-01 Infinno Technology Corp 電源供應器之保護電路
JP6370191B2 (ja) * 2013-12-11 2018-08-08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バッテリ状態監視回路及びバッテリ装置
CN103884992A (zh) * 2014-02-11 2014-06-25 南京军理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空警报蓄电池在线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JP6903456B2 (ja) * 2017-03-15 2021-07-14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バッテリ装置
CN110474289A (zh) * 2019-08-20 2019-11-19 惠州汇能精电科技有限公司 一种负载短路保护电路
CN112904212A (zh) * 2019-12-03 2021-06-04 深圳拓邦股份有限公司 短路检测方法、装置、及电器设备
CN116799766B (zh) * 2023-08-24 2023-12-12 禹创半导体(深圳)有限公司 电池保护芯片级联应用时侦测负载的保护电路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3728A (ja) * 1993-04-09 1994-10-28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の過電流保護回路
JPH0943320A (ja) * 1995-07-28 1997-02-14 Mitsumi Electric Co Ltd 充電可能な電池の過放電検出装置
JP3424707B2 (ja) * 1995-04-19 2003-07-07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
JPH0919071A (ja) * 1995-06-30 1997-01-17 Mitsumi Electric Co Ltd 充電可能な電池の過放電防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池パック
JP3270327B2 (ja) * 1996-05-24 2002-04-02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過充放電検出回路
JP3254159B2 (ja) * 1997-02-04 2002-02-04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
JP3962524B2 (ja) * 2000-02-29 2007-08-22 富士通株式会社 放電制御回路
JP4392103B2 (ja) * 2000-03-30 2009-12-2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充電式電源装置
JP4748435B2 (ja) * 2001-08-21 2011-08-1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積層ガラスセラミック材料及び積層ガラスセラミック焼結体
JP4221572B2 (ja) * 2003-01-22 2009-02-1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過電流検出回路及び電池ユニット
JP2005130664A (ja) * 2003-10-27 2005-05-19 Sony Corp 電池パック
JP2005160169A (ja) * 2003-11-21 2005-06-16 Texas Instr Japan Ltd バッテリ保護回路
JP4135676B2 (ja) * 2004-04-28 2008-08-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池保護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保護システム、並びに、電池保護方法
JPWO2006016456A1 (ja) * 2004-08-10 2008-05-01 ローム株式会社 回路の保護方法、保護回路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電源装置
JP2007006559A (ja) * 2005-06-21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保護回路
JP4375318B2 (ja) * 2005-10-12 2009-12-02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JP4965855B2 (ja) * 2005-12-19 2012-07-0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バッテリー状態監視回路及びバッテリー装置
JP4546445B2 (ja) * 2006-12-21 2010-09-1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充電式電源装置及び半導体装置
JP2008258110A (ja) * 2007-04-09 2008-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
JP2009076265A (ja) * 2007-09-19 2009-04-09 Panasonic Corp 電池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254667A (ja) 2011-12-15
TW201230578A (en) 2012-07-16
US20110299206A1 (en) 2011-12-08
US8503143B2 (en) 2013-08-06
JP5770979B2 (ja) 2015-08-26
CN102270867B (zh) 2015-04-08
TWI501495B (zh) 2015-09-21
CN102270867A (zh) 2011-12-07
KR101771719B1 (ko) 2017-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719B1 (ko)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
US8525482B2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for connecting a current detection terminal to overcurrent detection resistors having different resistances
JP5439800B2 (ja) 二次電池保護用集積回路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保護モジュール並びに電池パック
KR100975279B1 (ko) 과전류 검출 회로 및 그 지연 회로
JP5457206B2 (ja) 電池パック
KR102005703B1 (ko) 배터리 보호 ic 및 배터리 장치
KR102108780B1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US9748789B2 (en) Charging/discharging control circuit, charging/discharging control device, and battery device
KR102521404B1 (ko) 배터리 장치
CN110098597B (zh) 具备过电流保护功能的驱动电路
JP2006340450A (ja) 電池保護回路
US9203119B2 (en) Battery device
KR101751547B1 (ko) 출력 회로, 온도 스위치 ic, 및 전지 팩
US11043826B2 (en)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and batter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28062B1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JP6648895B2 (ja) 出力回路
KR102334993B1 (ko) 이차전지 보호 회로
JP2012161184A (ja) 半導体回路、半導体装置、及び電池監視システム
CN113497465A (zh) 一种锂电池保护电路
KR20070024014A (ko) 긴 활성화 시간을 갖는 정전기 방전 보호 회로
JP2017189430A (ja) 充放電保護システムおよび充電式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