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2232A -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2232A
KR20110132232A KR1020110046777A KR20110046777A KR20110132232A KR 20110132232 A KR20110132232 A KR 20110132232A KR 1020110046777 A KR1020110046777 A KR 1020110046777A KR 20110046777 A KR20110046777 A KR 20110046777A KR 20110132232 A KR20110132232 A KR 20110132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inductor
conductive
core
conductiv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6526B1 (ko
Inventor
츠토무 아마노
도시로 간베
요시노리 이즈쿠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73347A external-priority patent/JP523226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와
Publication of KR20110132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0Connecting leads to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과제
도전선을 코어로부터 취출할 때에, 코어나 슬리브의 모서리부에 의해 손상을 입는 것을 가급적 회피하면서, 도전선의 인출 내지는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권선형의 인덕터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도전선 (2) 이 감겨진 코어 (3) 와, 외형이 사각형을 이루는 슬리브 (4) 를 구비하고, 코어로부터 바깥쪽으로 각각 도출된 도전선 양단측의 2 개의 선단부를, 이러한 슬리브의 하면의 이격된 2 개의 부위에 각각 형성된, 도전선의 외경보다 광폭의 도전면에 ,각각 용착하여 전극화시켜 이루어지는 인덕터 (1) 에 있어서, 슬리브 (4) 의 내주면과 하면이 교차하는 둘레 방향의 모서리부 (24) 중, 2 개의 도전면보다 각각 내측에 위치하는 부위가, 도전선 (2) 의 외경보다 큰 폭을 가지고 모따기되어, 경사면 (20) 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을 지나 도전선이 도전면에 접속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INDU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 단부에 플랜지를 가짐과 함께, 도전선이 감겨져 이루어지는 코어와, 그것을 포위하는 외형이 사각형을 이루는 슬리브로 구성되는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권선형 코어를 사용한 인덕터가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평5-50706호에 있어서는, 면실장형 (面實裝型) 인덕터로서, 도전선이 감겨져 이루어지는 고형 (鼓刑) 의 코어와, 이 코어를 포위하는, 외형이 원형을 이루는 슬리브로 구성됨과 함께, 그것들이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수지제의 기판 상에,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구조인 것이 밝혀져 있다. 그리고, 거기에서는 기판의 상면 중앙부로부터 바깥쪽의 2 방향을 향하여 연전 (延展) 하는 도전면이, 기판의 단면 (端面) 을 거쳐 이면까지 연장됨으로써, 전극이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의 인덕터에 있어서는, 코어에 감겨진 도전선의 2 개의 선단부 (양단부) 를, 도전면에 각각 납땜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도전선의 선단부와 도전면의 접속이 용이함과 함께, 인덕터를 전자 회로 기판에 대해 실장 (實裝) 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전자 회로 기판에 대한 인덕터의 소정의 위치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특징이 발휘되게 된다.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평5-50706호
그러나, 전자 부품의 소형화나 고성능화에 따라, 최근에는 인덕터도 높이가 1.5 ㎜ 이하로 저배 (低背) 로 하고, 또한 컴팩트한 구조가 되도록 할 필요에 직면함과 함께, 전자 회로 기판에 대한 실장시에, 기판의 랜드에 대한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또 위치 결정의 작업성이나 전자 회로 기판에 대한 정치 (靜置) 안정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기에 이르렀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덕터에서는, 여전히 그 요구에 충분히 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그러한 요구에 응할 수 있는 인덕터를 실용화하는 것에 대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먼저, 도전선이 감겨지는 코어를 포위하는 슬리브의 형상과, 그곳에 수용되는 코어의 상대적 관계를 특정화함과 함께, 전극화된 도전선의 선단부를 슬리브의 특정 위치에 용착시키면 된다는 사실을 알아 내어, 먼저, 일본 특허출원 2009-57835 호로서 제안하였다.
즉, 그곳에는 상하 단부에 상하부 플랜지를 갖는, 도전선이 감겨져 이루어지는 코어와, 그 코어를 포위하는 슬리브로 이루어지는 인덕터에 있어서, 이러한 슬리브로서, 외형이 사각형을 이루는 슬리브를 사용함과 함께, 상기 코어로부터 바깥쪽으로 도출된 도전선 양단의 각각의 선단을, 상기 슬리브의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코너의 하면에 인쇄 형성한, 상기 도전선의 외경보다 광폭의 도전면에 각각 용착되고, 전극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가 명시되고, 이로 인해 저배로 하고 또한 컴팩트한 형상·구조를 갖는 인덕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앞서 제안한 인덕터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검토를 거듭한 결과, 코어에 감은 도전선 양단부를, 각각 바깥쪽으로 취출하여, 슬리브에 형성한 도전면에 용착시킬 때에, 이러한 도전선이 코어나 슬리브의 모서리부에 의해 크게 굴곡되어 인출됨으로써 손상되거나, 코어와 슬리브 사이의 간극을 통해, 도전선을 인출하고 배선할 때의 작업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의 자동화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해결 과제로 하는 바는, 상기한 선원의 이점을 충분히 누리면서, 더욱 도전선을 코어로부터 취출할 때에, 코어나 슬리브의 모서리부에 의해 도전선이 손상되는 것을 가급적 회피하면서, 이러한 도전선의 인출 내지는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권선형의 인덕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과제, 또는 명세서 전체의 기재나 도면으로부터 파악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에 열거하는 바와 같은 각종 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는 것이지만, 또, 이하에 기재된 각 양태는 임의의 조합에도 채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 내지 기술적 특징은, 이하에 기재된 것에 전혀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전체의 기재 그리고 도면에 개시된 발명 사상에 기초하여, 인식될 수 있다는 것인 점이 이해되는 것이 당연하다.
(1) 상하 단부에 상하부 플랜지를 갖는, 도전선이 감겨진 코어와, 그 코어를 포위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로서, 외형이 사각형을 이루는 슬리브를 사용함과 함께, 상기 코어로부터 바깥쪽으로 각각 도출된 도전선 양단측의 2 개의 도출부를, 그 슬리브의 하면의 이격된 2 개의 부위에 각각 형성된, 상기 도전선의 외경보다 광폭의 도전면에 각각 용착되고, 전극화시켜 이루어지는 인덕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과 하면이 교차하는 둘레 방향의 부위 중, 상기 2 개의 도전면보다 각각 내측에 위치하는 부위가, 상기 도전선의 외경보다 큰 폭 (W) 으로 모따기되어 2 개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들 경사면을 지나, 상기 도전선의 도출부가 상기 도전면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2) 상기 슬리브에 형성된 경사면과 하부 플랜지의 상측의 에지 (P1) 사이의 최단 거리 (Q) 가, 도전선 외경의 1.1 배 ~ 10 배의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양태 (1) 에 기재된 인덕터.
(3) 상기 경사면이 30 도 내지 85 도의 범위 내의 앙각 (θ) 을 가지고 있는 상기 양태 (2) 에 기재된 인덕터.
(4) 상기 슬리브의 외주부가 부분적으로 두께가 잘려져,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양태 (1) 내지 상기 양태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덕터.
(5) 상기 코어에 감겨진 도전선 중 적어도 일방의 바깥쪽 도출 부위를 강하시키고, 그리고 그 바깥쪽 도출 부위의 도중을 굴곡시킴과 함께, 그 바깥쪽 도출 부위의 선단부가, 상기 슬리브의 도전면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양태 (1) 내지 상기 양태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덕터.
(6) 상기 도전선의 바깥쪽 도출 부위의 도중을 굴곡시키는 수평면 상의 위치는, 상기 슬리브에 형성한 경사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을 따라 수평면 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L1, L2) 상 또는 그것에 근접하는 위치인 상기 양태 (5) 에 기재된 인덕터.
(7) 상기 코어의 상하부 플랜지의 외형이 원형이고, 상기 슬리브의 내형이 원형인 상기 양태 (1) 내지 상기 양태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덕터.
(8) 상기 코어의 상부 플랜지의 외경이, 상기 하부 플랜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크게 되어 있는 상기 양태 (7) 에 기재된 인덕터.
(9) 상기 슬리브에 대해, 상기 코어가 비접촉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양태 (1) 내지 상기 양태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덕터.
(10) 상기 코어의 상부 플랜지의 상면과 상기 슬리브의 상면이 면일 (面一) 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그들의 상면에 접착제층이 면일하도록 덧칠되어 있는 상기 양태 (1) 내지 상기 양태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덕터.
(11) 상기 접착제층의 일부분이,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슬리브 사이의 고리형 간극에 침입하여, 양 부재를 접합하고 있는 상기 양태 (10) 에 기재된 인덕터.
(12) 상기 접착제층의 일부분이,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슬리브 사이의 고리형 간극에 침입하여 수하부 (垂下剖) 를 형성하고, 양 부재를 접합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면과 상기 슬리브의 상면에 면일하도록 덧칠된 접착제층이, 상기 고리형 간극 상에서 약간 함락되어, 고리형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양태 (10) 또는 상기 양태 (l1) 에 기재된 인덕터.
(13) 상기 도전면을 구성하고 있는 도전 재료가, 상기 슬리브의 하면으로부터 외주면까지 감겨져 고착되고, 그 슬리브에 대한 도전면의 박리를 억제 내지는 저지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양태 (1) 내지 상기 양태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덕터.
(14) 상기 양태 (1) 내지 상기 양태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덕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경사면이 형성된 슬리브를 지지형의 수용 오목부 내에 넣어 유지하는 공정과, 상기 슬리브의 하면의 이격된 2 개의 부위에, 도전면을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전면이 형성된 슬리브의 내공에, 도전선이 감겨진 상기 코어를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코어에 감겨진 도전선 양단측의 2 개의 도출 부위를 상기 도전면에 각각 용착하여, 인덕터 중간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인덕터 중간체로부터, 상기 용착된 도전선 양단의 자유단측 부위를, 각각 절단하는 절단 공정과, 상기 인덕터 중간체를 구성하는 코어와 슬리브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들 코어와 슬리브를 일체화시키는 접착 공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의 제조 방법.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저배로 하고 또한 컴팩트한 형상·구조를 갖는 인덕터가 유리하게 실현될 수 있음과 함께, 그 인덕터를 전자 회로 기판에 대해 실장할 때에, 전극화된 도전선의 선단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구조의 권선형의 인덕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수한 특징을 발휘한다. 그리고, 이것에 더하여, 코어로부터 바깥쪽으로 인출되는 도전선의 배선 위치에 상당하는 슬리브의 내주면의 하부 모서리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러한 도전선이 그 경사면을 거쳐, 슬리브 하면의 도전면으로 도출되어,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점에서, 코어의 모서리부나 슬리브의 모서리부에 의해, 도전선이 큰 굴곡 각도로 굴곡되도록 한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 내지는 저지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도전선의 손상이 효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이러한 슬리브에 형성한 경사면에 의해, 슬리브와 코어 사이의 공간이 크게 확보될 수 있게 되고, 이 때문에, 코어로부터 추출되는 도전선을, 그러한 큰 공간을 배선 통로로서 이용하여 도출되도록 함으로써, 도전선의 취출 작업 내지는 배선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그로써 배선의 작업성의 향상에 의해, 인덕터 조립 작업의 자동화 실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사시 설명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인덕터의 바닥면 설명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있어서의 A-A 단면 설명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터의 제조 방법의 1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로서, 제 1 지지형에 유지된 슬리브의 서로 대향하는 코너부의 평탄한 바닥면 부위에 도전면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1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로서, 제 1 지지형에 유지된 슬리브 내에, 선이 감겨진 코어를 수용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로서, 도 5 에 나타나는 상태로부터, 도전선을 도전면에 용착시키고, 인덕터 중간체를 형성한 후, 여분의 도전선을 절단하여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로서, 제 2 지지형에 유지시킨 인덕터 중간체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시키고, 코어와 슬리브를 일체화하여, 인덕터를 완성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은, 지지형으로서의 템플릿을 이용하고, 그 다수의 수용 구멍 내에 슬리브가 떨어뜨려져, 수용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 설명도이다.
도 9 는, 도 7 에 나타나는 상태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10 은, 도 7 에 있어서의 B 부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11 은, 슬리브 하면에 형성한 도전면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도 2 에 대응하는 바닥면 설명도이다.
도 12 는, 슬리브 하면에 형성한 도전면의 또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도 2 에 대응하는 바닥면 설명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에 형성된 경사면의 바람직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 부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분명히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터의 대표적인 일례가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그 도면에 있어서, 인덕터 (1) 는, 기본적으로는, 도전선 (2) 이 감겨진 코어 (3) 와, 이 코어 (3) 를 포위하는 슬리브 (4) 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코어 (3) 나 슬리브 (4) 는, 페라이트 등의 공지된 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 그 공지된 자성 재료로는, 일반적으로는, Ni 계 페라이트 등의 절연성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지만, 예시의 인덕터 (1) 에 있어서는, Ni 계 페라이트보다 인덕턴스가 높은, 도전성의 Mn 계 페라이트를, 코어 (3) 의 재질로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즉, 자세한 것은 후술하겠으나, 코어 (3) 와 슬리브 (4) 가 비접촉 상태로 되어 있는 상황하에서, 코어 (3) 로부터 인출된 도전선 (2) 의 2 개의 선단부를, 절연성의 Ni 계 페라이트를 사용한 슬리브 (4) 의 2 개의 도전면 (13a, 13b) 에 각각 접속되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 2 개의 선단부끼리가 도통하는 경우가 없고, 그러므로 코어 (3) 의 재질로서 도전성의 Mn 계 페라이트를 채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인덕터 (1) 에 있어서는, 유리하게는, 코어 (3) 의 높이, 즉 도 3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높이가 1.5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85 ㎜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게 된다. 또, 이러한 인덕터 (1) 를 구성하는 코어 (3) 의 상하 단부에 형성한 상하부 플랜지 (5, 6) 의 외형 및 슬리브 (4) 내형은 각각 원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양태에 있어서, 코어 (3) 의 상단부에 존재하는 상부의 플랜지 (5) 의 직경보다, 하단부에 존재하는 하부의 플랜지 (6) 의 직경이 작게 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어 (3) 로부터의 도전선 (2) 의 바깥쪽으로의 도출 (연장), 바꾸어 말하면 인출 내지는 취출 작업·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그러한 작업·조작에 있어서의 문제의 발생을 억제 내지는 해소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도록 배려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저배형의 인덕터로는, 다수 장의 페라이트 기판의 평면상에 굴곡된 도전선이 인쇄 형성된, 소위 적층형 인덕터가 주류가 되어 있지만, 그러한 인덕터에서는, 인덕터 특성의 추가적인 향상을 바랄 수 없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코어 (3) 의 높이가 유리하게는 1.5 ㎜ 이하가 되는, 보다 저배형으로 하여, 인턱터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권선형 인덕터이고, 또한 저배형, 특히 높이가 1.5 ㎜ 이하가 되는 인덕터를 실용화하기 위해서, 컴팩트한 인덕터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큰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 그러한 인덕터 (1) 에 있어서, 코어 (3) 을 수용, 포위하는 슬리브 (4) 는, 그 외형이 사각형을 이루고 있음과 함께, 그 내공이 원주면으로 형성되어, 원형의 내형을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내공은, 슬리브 (4) 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고 있고, 슬리브의 코어 수용공에 바닥부 (폐색부) 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종래의 구조로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인덕터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그로써 저배화에 공헌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만일, 그러한 슬리브 (4) 대신에, 비관통형 슬리브를 사용한 경우에는, 그러한 비관통형 슬리브에 코어를 삽입하면, 필연적으로 코어의 일방의 칼라가 슬리브의 코어 수용공의 바닥부와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인덕터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인 인덕턴스에 영향이 미치게 되지만, 여기서는, 관통형의 슬리브 구조의 슬리브 (4) 를 사용하고 있음으로써, 슬리브 (4) 와 코어 (3) 는 접촉하지 않게 되어, 인덕턴스의 열화를 유리하게 회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 있어서도, 내공을 관통시킨 슬리브 (4) 의 채용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비관통형 슬리브보다 관통형 슬리브가 제조 단계에 있어서의 가공이 용이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이러한 슬리브 (4) 는, 도 3 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코어 (3) 와 동일한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고, 그에 따라, 슬리브 (4) 의 상면 (9) 이 코어 (3) 의 상부 플랜지 (5) 의 상면 (7) 과 실질적으로 면일해지도록, 또한 슬리브 (4) 의 하면 (10) 이, 코어 (3) 의 하부 플랜지 (6) 의 하면 (8) 과 실질적으로 면일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면일하다는 것은, 제조시의 편차 등의 불가피한 원인에 의해, 슬리브 (4) 와 코어 (3) 의 높이가 어느 정도, 예를 들어 0.1 ㎜ 정도 어긋나는 것을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면일하다고 표현한 것이나, 이 명세서에서는 그러한 상태를 포함하여, 단순히 「면일」로 간략하게 호칭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슬리브 (4) 의 하면 (바닥면 ; 10) 에 있어서는, 도 2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서로 대향 하는 2 개의 코너부 (12a, 12b) 에, 각각 직각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도전면 (13a, 13b) 이, 공지된 도전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들 도전면 (13a, 13b) 을 부여하는 전극 형성에는, 딥, 스퍼터링, 금속 단자를 형성하는 등의 수법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인쇄에 의한 수법이 채용되고 있다. 여기서, 인쇄 형성의 수법을 채용한 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 것이다. 즉, 슬리브 (4) 의 하면 (10) 을 위쪽을 향하게 하고, 그 다수 개를 정렬시켜 인쇄함으로써, 다수의 슬리브 (4) 에 동시에 도전면 (13a, 13b) 을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이 매우 좋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실장 기판측의 전극 형상이 변경된 경우에는, 거기에 맞추어, 슬리브 (4) 의 전극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금속 단자에서는, 그 대응이 곤란해진다. 그러나, 인쇄 형성이면, 필요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인쇄 형성이라는 수법을 사용하면, 두께를 컨트롤할 수 있기 때문에, 도전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고, 따라서 인덕터의 저배화에 편리하기 때문이다.
또, 슬리브 (4) 에 인쇄 형성된 상기 도전면 (13a, 13b) 은, 도 3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각 그것을 구성하는 도전 재료가, 슬리브 (4) 의 하면 (10) 으로부터 외주면 (16) 까지 감겨져 고착되어 있음으로써, 이들 도전면 (13a, 13b) 의 슬리브 (4) 로부터의 박리가, 효과적으로 억제 내지는 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러한 슬리브 (4) 의 하면 (10) 에 인쇄·형성된 도전면 (13a, 13b) 에 대해, 각각 코어 (3) 의 외측에서 바깥쪽으로 또한 하방을 향하여 인출된 도전선 (2) 의 2 개의 바깥쪽 도출 부위 (14a, 14b) 가 배치되어, 가열 가압됨으로써, 이들 도전면 (13a, 13b) 과 도전선 (2) 이 용착되고 접속되어, 인덕터 (1) 의 전극 (15a, 15b) 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들 도전면 (13a, 13b) 에 대한 대응하는 도전선 (2) 의 2 개의 바깥쪽 도출 부위 (14a, 14b) 의 용착을 위하여, 이들 도전면 (13a, 13b) 의 적어도 도전선 (2 ; 바깥쪽 도출 부위 (14a, 14b)) 의 배치 부위의 폭은, 모두 도전선 (2) 의 외경보다 넓은 폭으로 되어 있고, 또, 그러한 도전선 (2) 의 2 개의 바깥쪽 도출 부위 (14a, 14b) 의 용착 (압착)에 의해, 그들 용착 부위는, 도 2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평화된 형태에서 용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덕터 (1) 에 있어서, 코어 (3) 에 감겨진 도전선 (2) 은, 코어 (3) 와 슬리브 (4) 사이에 있어서, 슬리브 (4) 의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코너부 (12a, 12b) 를 잇는 대략 가상선 (L1) 상의 위치에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강하한 후, 슬리브 (4) 의 하방의 내주면측의 모서리부에서 굴곡하고, 각각 2 개의 코너부 (12a, 12b) 를 향하여 바깥쪽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도전면 (13a, 13b) 에 각각 용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때 도전선 (2) 을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용착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지만, 슬리브 (4) 의 외주면 형상을 사각형으로 하고, 내공을 원형으로 함으로써, 슬리브 (4) 의 코너부에는, 도전선을 용착하는 데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코어 (3) 로부터 인출된 도선 (2) 의 2 개의 바깥쪽 도출 부위 (14a, 14b) 를, 각각 대응하는 도전면 (13a, 13b) 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선시에, 코어 (3) 의 하부 플랜지 (6) 의 외주면 (17) 의 에지나, 슬리브 (4) 의 내주면 (18) 과 하면 (10) 이 교차하는 둘레 방향의 에지에, 인출되는 도전선 (2) 이 슬라이딩 접촉되어, 손상 등을 받을 우려가 생기게 된다. 이 때문에, 여기서는 도 2, 도 3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 (4) 의 내주면 (18) 과 하면 (10) 이 교차하는 둘레 방향의 모서리부 (24) 중, 2 개의 도전면 (13a, 13b) 의 대향하는 간극 내에 위치하는 부위, 바꾸어 말하면 가상선 (L1) 을 중심으로 하고, 그 양측에, 소정폭으로 넓어지는 도전면 (13a, 13b) 과, 코어 (3) 의 하부 플랜지 (6)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 (내측 부위) 가, 도전선 (2) 의 외경보다 큰 폭 (W) 으로 모따기되어 경사면 (20) 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 (20) 을 지나, 도전선 (2) 의 2 개의 바깥쪽 도출 부위 (14a, 14b) 가, 각각 도전면 (13a, 13b) 으로 유도되도록 배선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경사면 (20) 은, 슬리브 (4) 의 내주면 (18) 에 있어서의 하부의 모서리부 (24) 를 소정 폭으로 절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그에 따라, 소정 깊이의 배선 오목부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리브 (4) 에 있어서의 코너부 (12a, 12b) 사이에 위치하는 하면 (10) 의 부위에 있어서의 내주면 (18) 의 하부의 모서리부 (24) 가 모따기되어, 경사면 (20) 이 형성됨으로써, 슬리브 (4) 의 내주면 (18) 과 코어 (3) 의 하부 플랜지 (6) 의 외주면 (1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커지고, 그에 따라 코어 (3) 로부터 인출되는 도전선 (2) 은, 급각도로 접어 구부러지지 않고, 완만한 각도로 경사면 (20) 을 통해서, 바꾸어 말하면 경사면 (20) 에 의해 형성되는 배선 오목부를 통해서, 그 바깥쪽 도출 부위 (14a, 14b) 가, 각각 도전면 (13a, 13b) 상으로 유도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로써, 도전선 (2) 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 내지는 회피할 수 있고, 도전선 (2) 의 인출 (취출), 그리고 배선 작업이 유리하게 실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슬리브 (4) 의 내주면 (18) 과, 하면 (10) 이 교차하는 둘레 방향의 모서리부 (24) 에 있어서의, 도전선 (2) 의 배선 부위가 모따기되어 형성되는 경사면 (20) 은, 여기서는 평탄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지만,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볼록한 경사 만곡면 (R 면) 으로 되어 있어도, 전혀 지장이 없고, 동일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 이 경사면이 형성되는 장소는, 코너부 부근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그 목적에 따라 도전선의 도출 부위의 부근이 되는 것이므로, 도전선을 도출하는 장소에 맞추어, 경사면의 형성 장소도 변화되게 된다.
또, 이러한 경사면 (20) 이, 예시와 같은 경사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경사 평면 (20) 과 하부 플랜지 (6) 의 상측의 에지 (P1) 사이의 최단 거리가 되는 거리 (Q) 가 도전선 (2) 의 외경의 1.1 배 ~ 10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배 ~ 5 배의 범위 내에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작용·효과가 보다 더 잘 발휘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간격이 지나치게 좁아지면, 도전선 (2) 의 인출이나 배선 작업이 곤란해지고, 또, 지나치게 넓어지면, 인덕터 (1) 의 전체 형상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야기 될 우려가 있다. 단, 상기 거리 (Q) 는 경사면이 만곡면인 경우에는, 가상 경사선 (21) 과 상기 에지 (P1) 사이의 최단 거리로 한다. 또, 여기서 말하는 가상 경사선 (21) 이란,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 (20) 과 슬리브 (4) 의 하면 (10) 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곡선상에 있어서 슬리브 내주면으로부터 가장 먼 점인 에지 (P2) 와, 경사면 (20) 이 형성되어 있는 가상의 모서리부 (24) 로부터 슬리브 내주면을 따라 수직으로 내린 선과 경사면 (20) 이 교차되어 생긴 에지 (P4) 를 잇는 가상 경사선을 나타내고 있다.
덧붙여, 그러한 경사 평면 (20) 또는 가상 경사선 (21) 이 슬리브 (4) 의 바닥면 (10) 에 대해 이루는 앙각 (θ) 으로는, 일반적으로 30 도 ~ 85 도, 바람직하게는 45 도 ~ 80 도의 범위 내의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경사 각도 (θ) 가 지나치게 작아지면, 도전선 (2) 의 접어 구부리는 각도가 커질 우려가 있고, 한편, 과도하게 큰 각도 (θ) 가 채용되게 되면, 경사 평면 (20) 을 형성한 것에 의한 효과가 충분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에지 (P2) 는, 슬리브 (4) 의 내주면 (18) 과, 코너부 (12a, 12b) 의 최외단 (P3) 사이의 길이의 반 이하의, 안쪽 방향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에지 (P2) 는, 가상선 (L1) 에 있어서의 내주면 (18) 위치와 최외단 (P3) 사이의 길이의 1/2 보다 짧은 거리에 있어서, 내주면 (18) 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사면 (20) 의 에지 (P2) 의 위치가, 코너부 (12a, 12b) 의 최외단 (P3) 에 지나치게 가까워지면, 도전면 (13a, 13b) 의 형성 면적이 적게 되어, 도전선 (2) 의 2 개의 바깥쪽 도출 부위 (14a, 14b) 의 용착에 지장을 일으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슬리브 (4) 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4 개의 코너부 (12a, 12b, 12c, 12d) 중 어느 하나에 대해, 그 외면 부위에, 부분적인 두께가 잘린 부분이 형성되고, 바깥쪽으로 개구하는 절결부 (11)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절결부 (11) 의 형성에 의해, 슬리브 (4) 의 하면에 형성된 도전면 (13a, 13b) 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 용이해짐에 더하여, 사각형인 슬리브 (4) 를 인덕터 (1)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지지형이 되는 템플릿의 다수의 수용공 내에, 각각, 슬리브 (4) 를 떨어뜨려 유지시킬 때에, 슬리브 (4) 의 배열, 위치 결정이 용이해짐으로써, 그 자동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제품 관리 과정에 있어서도, 그 작업이 용이해지는 특징을 발휘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의 절결부 (11) 의 형상은,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 (11) 가 있는 코너부 (12d) 와 그 서로 대향하는 코너부 (12c) 를 잇는 가상선 (L3) 을 중심으로 하여, 비대칭인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그러한 가상선 (L3) 을 중심으로 선대칭인 형상으로 하면, 슬리브 (4) 의 표면과 이면을 구별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고, 상기 템플릿의 수용공 내에 슬리브 (4) 를 떨어뜨릴 때에 바깥쪽을 향하는 것과 안쪽을 향하는 것이 혼재하게 된다. 또, 이 절결부 (11) 를 코너부에 설치한 것은, 인덕터 (1) 의 특성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서이지만, 그 설치 장소는 코너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절결부 (11) 는, 상기 템플릿의 수용공 내에 표리의 구별을 가지고 수용할 수 있는 장소와 형상이면 되고, 즉 절결부 (11) 를 포함한 슬리브 (4) 의 형상이 슬리브 (4) 의 대향하는 코너부를 이어서 생기는 2 개의 가상선 (L1 와 L3)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비대칭이 되는 형상이면 된다.
또, 이와 같은 인덕터 (1) 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3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 (4) 의 내주면 (18) 을 부여하는 내공 내에 코어 (3) 를 수용시킨 형태에 있어서, 그 코어 (3) 및 슬리브 (4) 의 상면 (7, 9) 상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소정 두께의 접착제층 (23) 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코어 (3) 와 슬리브 (4) 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접착제의 도포에 의해, 코어 (3) 의 상부 플랜지 (5) 의 외주면 (19) 과 슬리브 (4) 의 내주면 (18) 사이의 간극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제가 흘러 들어, 그 외주면 (19) 과 내주면 (18) 에 고착됨으로써, 수하부 (23a) 가 형성되고, 코어 (3) 와 슬리브 (4) 의 보다 강고한 일체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그러한 접착제층 (23) 의 수하부 (23a) 의 형성에 의해, 이러한 수하부 (23a) 에 대응하는 접착제층 (23) 의 상면에는, 고리형의 오목부 (23b) 가 코어 (3) 의 상부 플랜지부 (5) 와 슬리브 (4) 사이의 간극에 대응하여 형성되게 된다. 다만, 상기 고리형의 오목부 (23b) 는 반드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슬리브 (4) 와 코어 (3) 의 간극의 정도에 따라서는 형성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그러한 고리형의 오목부 (23b) 의 유무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에는 실질적으로 전혀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인덕터 (1) 는, 예를 들어, 도 4 ~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정에 따라 유리하게 제조되게 된다.
즉, 코어 (3) 와 슬리브 (4) 의 조립시에는, 먼저, 슬리브 (4) 를 수용, 유지하기 위한 제 1 지지형 (30) 이 준비되고, 그 수용공 (31) 내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면 (18) 의 하부 모서리부 (24) 의 대향 위치에 소정 폭의 경사면 (20, 20) 이 형성되어 이루는 슬리브 (4) 가, 그 하면 (바닥면 ; 10) 을 위로 하여 수용, 세트된다. 여기서, 제 1 지지형 (30) 의 수용공 (31) 의 깊이는, 슬리브 (4) 의 축 방향 높이로부터 얕게 되어 있고, 이로써,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형 (30) 으로부터 슬리브 (4) 의 하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세트된 슬리브 (4) 의 상방으로 돌출된 하부의 하면 (10) 에 있어서의, 슬리브 (4) 의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코너부 (12a, 12b) 의 수평면 부분에, 공지된 도전 재료를 사용하여, 도전선 (2) 의 외경보다 광폭인 도전면 (13a, 13b) 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으로 인쇄 형성되게 된다. 또, 그러한 인쇄에 의한 도전면 (13a, 13b) 의 형성에 의해, 도전 재료가 슬리브 (4) 의 외주면 (16) 에 감겨져 고착되고, 그에 따라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 복개부 (覆蓋剖) 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 1 지지형 (30) 으로는, 하나의 슬리브 (4) 를 대상으로 하는 것 이외에,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슬리브 (4) 를 동시에 수용,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수용공 (41) 이 형성된 템플릿 (40) 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템플릿 (40) 의 사용시에는, 그 수용공 (41) 에 수용, 세트된 다수의 슬리브 (4) 에 대해, 동시에 도전면 (13a, 13b) 이 인쇄 형성되도록 하는 수법이 공업적으로는 유리하게 채용되게 된다. 또, 그 다수의 슬리브 (4) 를, 템플릿 (40) 의 수용공 (41) 내에, 각각 수용, 유지시킬 때에, 슬리브 (4) 에는 코너부 (12d) 에 절결부 (11) 가 형성되고, 한편, 템플릿 (40) 의 수용공 (41) 에는, 이러한 절결부 (11) 에 대응한 돌출부 (42)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수용공 (41) 내에 수용되는 다수의 슬리브 (4) 는, 절결부 (11) 에 돌기 (42) 가 들어감으로써, 항상 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수용, 유지되게 되어 있고, 이로써 도전면 (13a, 13b) 이 슬리브 (4) 의 바닥면 (10) 의 코너부 (12a, 12b) 에 올바르게 인쇄 형성되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도전면 (13a, 13b) 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슬리브 (4) 에 대해, 그것이 제 1 지지형 (30) 에 유지된 상태하에 있어서, 그 내공 내에, 상하단에 상하부 플랜지 (5, 6) 를 갖는 도전선 (2) 이 감겨져 이루어지는 코어 (3) 가, 도 5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 상부 플랜지 (5) 를 아래로 하여 삽입, 배치된다.
이어서, 코어 (3) 에 감겨진 도전선 (2) 의 양단의 바깥쪽 도출 부위 (14a, 14b) 가, 각각 슬리브 (4) 에 형성한 도전면 (13a, 13b) 을 향하여 바깥쪽으로 도출되어 위치된 상태에서 가열, 가압됨으로써,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도전선 (2) 의 바깥쪽 도출 부위 (14a, 14b) 와 도전면 (13a, 13b) 이 용융 압착되어 용착되고, 그로 인해 슬리브 (4) 와 코어 (3) 가 도전선 (2) 에 의해 연결된 인덕터 중간체 (32) 가 형성된다.
또, 이러한 용착된 도전선 (2) 의 바깥쪽 도출 부위 (14a, 14b) 에 있어서의 자유단측 부위가, 인덕터 중간체 (32) 로부터 잘려 제거된다. 또한, 이 도전선 (2) 의 자유단측 부위의 잘린 부위는, 인덕터 중간체 (32) 에 대해, 도전선 (2) 의 바깥쪽 도출 부위 (14a, 14b) 를 인장하고, 용착 부분으로부터 절단 (파단) 되도록 하는 것 이외에, 적당한 절단 공구를 사용하여, 도전선 (2) 의 바깥쪽 도출 부위 (14a, 14b) 의 소정 부위를 절단하여 떼어내는 등의 작업을 행함으로써, 실시되게 된다.
그 후, 이러한 인덕터 중간체 (32) 는, 상하 반전된 상태에 있어서,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덕터 중간체 (32) 의 상면, 바꾸어 말하면 코어 (3) 의 상부 플랜지 (5) 의 상면 (7) 과 슬리브 (4) 의 상면 (9) 이 면일해진 상태에서, 접착제 (23) 가 도포됨으로써, 그들 코어 (3) 와 슬리브 (4) 가, 그들 상면 부위에 있어서, 소정 두께의 접착제층 (23) 에 의해 고정되어 일체화되게 된다. 이로써, 도 7 이나 도 9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목적으로 하는 인덕터 (1) 를 완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인덕터 중간의 상면에 대한 접착제 (23) 의 도포에 의해, 코어 (3) 의 상부 플랜지 (5) 와 슬리브 (4) 의 간극에는, 도 10 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제 (23) 가 흘러 들어가고, 그에 따라, 접착제층 (23) 의 수하부 (23a) 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 수하부 (23a) 에 의해, 코어 (3) 의 상부 플랜지 (5) 와 슬리브 (4) 사이의 접합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그로 인해, 코어 (3) 와 슬리브 (4) 의 접합, 일체화가 보다 강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그러한 수하부 (23a) 의 형성에 수반하여, 그에 대응한 고리형 오목부 (23b) 가 형성되도록 된다.
이와 같이, 예시의 인덕터 (1) 을 제조하기 위한 필요 최저한의 공정에 대해 설명해 왔지만, 상기한 공정은 필요에 따라 순서를 변경하고, 또한 필요한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더욱 생산 효율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인덕터 (1) 에 있어서는, 슬리브 (4) 의 하면 (10) 에, 외부 전극의 구성 요소인 도전면 (13a, 13b) 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것과는 상이하고, 도전면을 형성하기 위한 기판이 완전히 불필요해져,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인덕터 (1) 는 코어 (3) 의 높이만큼 율속되는, 저배의 것이 되는 것이다. 또, 인덕터 (1) 에 있어서의 도전선 (2) 을, 코어 (3) 로부터 도전면 (13a, 13b) 까지, 최단 거리로 연장시키고, 그 수용 정도도 간결해진다는 점에서, 인덕터 (1) 는 매우 컴팩트한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서술했는데, 그것은 어디까지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구체적인 기술에 의해, 전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 지식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변경, 수정, 개량 등을 추가한 양태에 있어서 실시될 수 있는 것이고, 그리고, 그러한 실시양태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당연하다.
예를 들어, 2 개의 도전면 (13a, 13b) 은, 슬리브 (4) 의 하면 (10) 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2 개의 부위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상기와 같은 배치 형태 이외에,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배치 형태로 할 수도 있다. 그 도 11 에 있어서는, 슬리브 (4) 의 하면 (바닥면 ; 10) 에 인쇄 형성된 도전면 (13a, 13b) 의 형상은, 슬리브 (4) 의 하면 (10) 중 적어도 하나의 코너부를 포함하여 서로 대치되는 부위에 형성된, 띠 형상의 도전면이 서로 병행하게 배치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 그 도전면의 배치 형성에 관련된 다른 실시형태가, 도 12 에 나타나 있다. 그곳에, 슬리브 (4) 의 하면 (바닥면 ; 10) 에 있어서, 2 개의 서로 대향 하는 사각형의 1 변의 중심부 (43a, 43b) 를 가상적으로 잇는 가상선 (L2) 상 또는 그것에 근접하는 위치에, 바꾸어 말하면 도전면 (13a, 13b) 보다 내측에 (코어 (3) 측에) 위치하는 슬리브 내주면측 부위에, 도전면 (13a, 13b)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전선의 도출 부위 및 슬리브 내주면에 형성되는 경사면 (20) 은, 상기 가상선 (L2) 상 또는 그것에 근접하는 위치가 된다. 단, 상기 가상선 (L2) 상 또는 그것에 근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도전선의 용착 면적은, 코너부에 있어서의 용착 면적과 비교하여 좁아지기 때문에, 도전선을 용착하는 데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는 점에서, 소형의 인덕터에 있어서, 이 실시형태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도전선의 용착 강도에 대해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도 12 에 나타나는 실시형태는, 대형 인덕터에 대해 바람직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1 : 인덕터 2 : 도전선
3 : 코어 4 : 슬리브
5 :상부 플랜지 6: 하부 플랜지
7, 9 : 상면 8, 10 ; 하면
11 : 절결부 12a, 12b, 12c, 12d : 코너부
13a, 13b : 도전면 14a, 14b : 바깥쪽 도출 부위
15a, 15b : 전극 16 :외주면
18 : 내주면 20 : 경사면
21 : 가상 경사선 23 : 접착제층
24 : 모서리부 30 : 제 1 지지형
31, 41 : 수용공 32 : 인덕터 중간체
34 : 제 2 지지형 40 : 템플릿
42 : 돌출부 43a, 43b :사각형의 한 변의 중심부

Claims (14)

  1. 상하 단부에 상하부 플랜지 (5, 6) 를 갖는, 도전선 (2) 이 감겨진 코어 (3) 와, 그 코어를 포위하는 슬리브 (4) 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 (4) 로서, 외형이 사각형을 이루는 슬리브를 사용함과 함께, 상기 코어로부터 바깥쪽으로 각각 도출된 도전선 양단측의 2 개의 도출부를, 그 슬리브의 하면의 이격된 2 개의 부위에 각각 형성된, 상기 도전선의 외경보다 광폭의 도전면 (13a, 13b) 에 각각 용착되고, 전극화시켜 이루어지는 인덕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4) 의 내주면 (18) 과 하면 (10) 이 교차하는 둘레 방향의 부위 (24) 중, 상기 2 개의 도전면 (13a, 13b) 보다 각각 내측에 위치하는 부위가, 상기 도전선 (2) 의 외경보다 큰 폭 (W) 으로 모따기되어 2 개의 경사면 (20) 이 형성되고, 이들 경사면을 지나, 상기 도전선의 도출부가 상기 도전면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4) 에 형성된 경사면 (20) 과 하부 플랜지 (6) 의 상측의 에지 (P1) 사이의 최단 거리 (Q) 가, 도전선 (2) 외경의 1.1 배 ~ 10 배의 범위 내에 있는 인덕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이 30 도 내지 85 도의 범위 내의 앙각 (θ) 을 가지고 있는 인덕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4) 의 외주부가 부분적으로 잘려져, 절결부 (11) 가 형성되어 있는 인덕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3) 에 감겨진 도전선 (2) 중 적어도 일방의 바깥쪽 도출 부위 (14a, 14b) 를 강하시키고, 그리고 그 바깥쪽 도출 부위의 도중을 굴곡시킴과 함께, 그 바깥쪽 도출 부위의 선단부가, 상기 슬리브의 도전면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되어 있는 인덕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 (2) 의 바깥쪽 도출 부위 (14a, 14b) 의 도중을 굴곡시키는 수평면 상의 위치는, 상기 슬리브에 형성한 경사면 (20)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을 따라 수평면 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L1, L2) 상 또는 그것에 근접하는 위치인 인덕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3) 의 상하부 플랜지 (5, 6) 의 외형이 원형이고, 상기 슬리브 (4) 의 내형이 원형인 인덕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3) 의 상부 플랜지 (5) 의 외경이, 상기 하부 플랜지 (6) 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크게 되어 있는 인덕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 대해, 상기 코어가 비접촉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인덕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3) 의 상부 플랜지 (5) 의 상면 (7) 과 상기 슬리브 (4) 의 상면 (9) 이 면일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그들의 상면에 접착제층 (23) 이 면일하도록 덧칠되어 있는 인덕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 (23) 의 일부분이, 상기 상부 플랜지 (5) 와 상기 슬리브 (4) 사이의 고리형 간극에 침입하여, 양 부재를 접합하고 있는 인덕터.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 (23) 의 일부분이, 상기 상부 플랜지 (5) 와 상기 슬리브 (4) 사이의 고리형 간극에 침입하여 수하부 (23a) 를 형성하고, 양 부재를 접합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상부 플랜지 (5) 의 상면 (7) 과 상기 슬리브 (4) 의 상면 (9) 에 면일하도록 덧칠된 접착제층이, 상기 고리형 간극 상에서 약간 함락되어, 고리형 오목부 (23b) 를 형성하고 있는 인덕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면 (13a, 13b) 을 구성하고 있는 도전 재료가, 상기 슬리브 (4) 의 하면 (10) 으로부터 외주면 (16) 까지 감겨져 고착되고, 그 슬리브에 대한 도전면 (13a, 13b) 의 박리를 억제 내지는 저지하도록 되어 있는 인덕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덕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경사면 (20) 이 형성된 슬리브 (4) 를 지지형 (30) 의 수용 오목부 내에 넣어 유지하는 공정과,
    상기 슬리브의 하면의 이격된 2 개의 부위에, 도전면 (13a, 13b) 을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전면이 형성된 슬리브 (4) 의 내공에, 도전선이 감겨진 상기 코어 (3) 를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코어에 감겨진 도전선 양단측의 2 개의 도출 부위를 상기 도전면에 각각 용착하여, 인덕터 중간체 (32) 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인덕터 중간체로부터, 상기 용착된 도전선 양단의 자유단측 부위를, 각각 절단시키는 절단 공정과,
    상기 인덕터 중간체를 구성하는 코어와 슬리브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들 코어와 슬리브를 일체화하는 접착 공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의 제조 방법.
KR1020110046777A 2010-05-31 2011-05-18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246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24210 2010-05-31
JP2010124210 2010-05-31
JPJP-P-2011-073347 2011-03-29
JP2011073347A JP5232265B2 (ja) 2010-05-31 2011-03-29 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232A true KR20110132232A (ko) 2011-12-07
KR101246526B1 KR101246526B1 (ko) 2013-03-26

Family

ID=4550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777A KR101246526B1 (ko) 2010-05-31 2011-05-18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6526B1 (ko)
CN (1) CN1023607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0490B (zh) * 2013-08-14 2016-09-14 重庆金籁科技股份有限公司 电感器的制作方法
JP6766697B2 (ja) * 2017-03-07 2020-10-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JP7180559B2 (ja) * 2019-07-10 2022-11-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134B2 (ja) * 1989-06-02 1997-03-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コイルの製造方法
JP3373328B2 (ja) * 1995-04-28 2003-02-04 太陽誘電株式会社 チップ状インダクタ
JP2002329619A (ja) 2001-02-27 2002-11-15 Tokyo Parts Ind Co Ltd 面実装型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4719401B2 (ja) * 2002-02-28 2011-07-06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素子
US20030201860A1 (en) * 2002-04-24 2003-10-30 I-Wen Yang Ferrite sleeve base with drum core for SMT inductors
JP2007027461A (ja) * 2005-07-19 2007-02-01 Sumida Corporation コアおよびコアを備えたインダ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60722A (zh) 2012-02-22
CN102360722B (zh) 2014-04-09
KR101246526B1 (ko) 201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2265B2 (ja) 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015588B2 (ja) 巻線型電子部品
US11935679B2 (en) Coil device
CN101796599B (zh) 磁性零件
JP6065122B2 (ja) 巻線型電子部品及び巻線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483820B2 (ja)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2018198234A (ja) 巻線型コイル部品
EP2665070B1 (en) Surface mount inductor
JP2019135763A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KR101246526B1 (ko)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US11621118B2 (en) Coil device
JP2020126976A (ja) コイル装置
JP4490698B2 (ja) チップコイル
JP4263471B2 (ja) 面実装型コイル部品
JP2019021897A (ja) コイル装置
JP7120194B2 (ja) コイル部品およびドラム状コア
JP6456004B2 (ja) コイル部品
US11636967B2 (en) Coil device
US11848134B2 (en) Wire-wound core,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il component
CN204577210U (zh) 线圈装置
KR100578708B1 (ko) 면 실장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JP2004006606A (ja) 面実装型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198438A (ja) チップ状インダ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68955B2 (ja) 面実装型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242462B2 (ja) 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