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729A - 워터 커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ng 선박 - Google Patents

워터 커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ng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729A
KR20110131729A KR1020100051310A KR20100051310A KR20110131729A KR 20110131729 A KR20110131729 A KR 20110131729A KR 1020100051310 A KR1020100051310 A KR 1020100051310A KR 20100051310 A KR20100051310 A KR 20100051310A KR 20110131729 A KR20110131729 A KR 20110131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ull
water curtain
curtain device
ou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8338B1 (ko
Inventor
김명오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338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6Cleaning devices for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63J2/14Heating; Cooling of liquid-freight-carry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워터 커튼 장치가 제공된다. 워터 커튼 장치는 선체(船體)의 갑판 상에 지지되며,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는 제1 파이프, 상기 홀과 대응하여 상기 제1 파이프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선체의 외판(外板)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제1 파이프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외판과 마주하는 하나 이상의 슬릿(slit)을 포함하는 커버부 및 상기 제1 파이프 내부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파이프와 연결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워터 커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NG 선박{WATER CURTAIN APPARATUS AND LNG SHIP}
본 발명은 워터 커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NG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 설치되는 워터 커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NG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워터 커튼 장치는 유체를 커튼으로서 이용하는 장치로서, 실내 온도 조절을 위해 사용하거나, 실외 장식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세척을 위해 사용하고 있었다.
한편, 액화 천연 가스(liquid natural gas, LNG) 또는 원유 등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용 선박에서, 액화 천연 가스 또는 원유 등을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할 때, 선체(船體)의 외판(外板)에 원치 않는 액화 천연 가스 또는 원유 등이 흘러 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워터 커튼 장치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워터 커튼 장치를 작동할 때, 워터 커튼 장치로부터 선체의 외판으로 흘러야 하는 유체가 튀어서 선체의 갑판으로 흘러 들어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선체의 갑판과 선체의 외판이 직각으로 형성될 경우, 워터 커튼 장치를 선체의 갑판 상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점이 더욱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체의 갑판으로 유체가 흘러 들어오는 것이 방지된 워터 커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NG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선체(船體)의 갑판 상에 지지되며,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는 제1 파이프, 상기 홀과 대응하여 상기 제1 파이프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선체의 외판(外板)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제1 파이프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외판과 마주하는 하나 이상의 슬릿(slit)을 포함하는 커버부 및 상기 제1 파이프 내부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파이프와 연결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는 워터 커튼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선체의 외판 방향으로 연장된 커버부 일측은 상기 선체의 외판에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파이프는 상기 갑판 상에서 상기 선체의 외판 상부측에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파이프의 하나 이상의 홀은 상기 제1 파이프를 따라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파이프의 하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파이프의 상기 외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러그(lu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의 상기 갑판에 장착된 패드부, 상기 패드부로부터 상기 제1 파이프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파이프의 상기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된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패드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후 상기 선체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파이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상측으로 상기 제1 연결부와 중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상기 워터 커튼 장치를 구비한 LNG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 실시예 중 하나에 의하면, 선체의 갑판으로 유체가 흘러 들어오는 것이 방지된 워터 커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NG 선박이 제공된다.
도 1은 선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커튼 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커튼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커튼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커튼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커튼 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커튼 장치(1000)은 LNG 선박의 선체(10)의 갑판(11) 상에 지지된다. 워터 커튼 장치(1000)은 물(water) 등의 유체(L)를 선체(10)의 외판(12)으로 흘려보내는 역할을 하며, 워터 커튼 장치(1000)으로부터 유출된 유체(L)는 선체(10)의 외판(12)을 따라 아래로 흐르게 된다.
이렇게 선체(10)의 외판(12)을 따라 유체(L)가 흐르는 부분에 대응하여 선박에 액화 천연 가스(liquid natural gas, LNG) 등을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할 때, 워터 커튼 장치(1000)에 의해 선체(10)의 외판(12)에 유체(L)가 흐름으로써, 원치 않는 액화 천연 가스 등이 선체(10)의 외판(12)에 흐르게 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선체(10)가 액화 천연 가스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워터 커튼 장치(10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커튼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커튼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 커튼 장치(1000)은 선체(10)의 갑판(11) 상에 위치하며, 제1 파이프(100), 커버부(200), 제2 파이프(300), 러그(400), 패드부(500), 제1 연결부(600) 및 제2 연결부(700)를 포함한다.
제1 파이프(100)는 선체(10)의 갑판(11) 상에 지지되며, 선체(10)의 외판(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1 파이프(100)는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파이프(10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110)에는 물 등의 유체(L)가 흐른다. 제1 파이프(100)의 외면에는 제1 파이프(100)의 내부 공간(110)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120)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1 파이프(100)의 내부 공간(110)에 유체(L)가 흐르게 되면, 이 홀(120)을 통해 유체(L)가 커버부(200)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홀(120)이 복수개일 경우, 복수개의 홀(120)은 제1 파이프(1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즉, 제1 파이프(100)는 갑판(11) 상에서 선체(10)의 외판(12) 상부측에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파이프(100)의 하나 이상의 홀(120)은 제1 파이프(100)를 따라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며, 제1 파이프(100)의 하측부에 위치된다.
커버부(200)는 제1 파이프(10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120)과 대응하여 제1 파이프(100)의 외면으로부터 선체(10)의 외판(1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200)는 홀(120)을 통해 제1 파이프(100)의 내부 공간(110)과 연통하는 채널(210)을 형성하며, 제1 파이프(100)의 내부 공간(110)으로부터 홀(120)을 통한 유체(L)는 이 채널(210)을 통해 흐르게 된다. 커버부(200)는 제1 파이프(1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홀(120)을 감싸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파이프(100)의 홀(120)을 통과한 유체(L)는 외부로 튀지 않고 채널(210)을 통해 흐르게 된다. 특히, 커버부(200)는 제1 파이프(100)의 홀(120)과 대응하면서 선체(10)의 외판(12) 방향으로 연장되기 위해 선체(10)의 갑판(11) 상에 위치하는 제1 파이프(100)로부터 한번 이상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으며, 절곡된 커버부(200)의 최종 연장 방향은 선체(10)의 외판(12)의 판면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커버부(200)를 한번 이상 절곡 연장시킴으로써, 선체(10)의 갑판(11) 상에 위치하는 제1 파이프(100)와 이격된 커버부(200)의 단부가 선체(10)의 외판(12)과 마주하게 된다.
또한, 커버부(200)는 커버부(200)의 단부에 위치하여 선체(10)의 외판(12)과 마주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된 형태의 슬릿(220)을 포함하며, 제1 파이프(100)의 내부 공간(110)으로부터 홀(120) 및 채널(210)을 통한 유체(L)는 이 슬릿(220)을 통해 선체(10)의 외판(12)을 따라 흐르게 된다. 슬릿(220)이 복수개일 경우, 복수개의 슬릿(220)은 제1 파이프(1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슬릿(220)의 폭이 채널(21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슬릿(220)을 통과하는 유체(L)가 가압되어 선체(10)의 외판(12)으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슬릿(220)이 복수개로 형성될 경우, 가압된 유체(L)가 선체(10)의 외판(12)을 향해 분사됨으로써, 선체(10)의 외판(12)이 액화 천연 가스(LNG) 등의 극저온의 유체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즉, 선체(10)의 갑판(11) 상에 지지된 제1 파이프(100)의 홀(120)을 통과한 유체(L)는 커버부(200)에 의해 블록(block)되어 외부로 튀지 않는 동시에, 커버부(200)의 채널(210)을 통해 선체(10)의 외판(12)과 마주하는 슬릿(220)을 통과하여 선체(10)의 외판(12)으로 직접 분사됨으로써, 선체(10)의 갑판(11)으로 유체(L)가 흘러 들어오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제2 파이프(300)는 선체(10)의 갑판(11) 상에 위치하며, 제1 파이프(100)와 연결되어 제1 파이프(100)의 내부 공간(110)과 연통하고 있다. 제2 파이프(300)는 외부로부터 제1 파이프(100)의 내부 공간(110)으로 유체(L)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러그(400)는 제1 파이프(10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러그(400)는 중앙 부분에 관통구(4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구(410)에 리프트(lift) 장비를 삽입하고 리프트 장비를 이용해 워터 커튼 장치(1000)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패드부(500)는 판 형태로 선체(10)의 갑판(11)에 장착되어 있으며, 패드부(500)의 판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제1 연결부(600)가 연장되어 있다.
제1 연결부(600)는 패드부(500)로부터 제1 파이프 방향으로 한번 이상 절곡 연장되어 있으며, 볼트(B) 및 너트(N)를 이용한 나사 결합을 이용해 제2 연결부(700)와 연결되어 있다.
제2 연결부(700)는 제1 파이프(100)의 외면으로부터 제1 연결부(600)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특히 제1 연결부(600)의 상측으로 제1 연결부(600)와 중첩되어 나사 결합을 이용해 제1 연결부(600)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파이프(100)로부터 연장된 제2 연결부(700)가 제1 연결부(600)의 상측에서 제1 연결부(600)와 중첩 및 결합됨으로써, 제1 파이프(100)가 선체(10)의 갑판(11) 상에 지지된다. 특히, 제1 파이프(100)의 내부 공간(110)에 유체(L)가 흐르게 되어 제2 연결부(700)에 인가되는 하중이 증가되어 제1 연결부(600)에 인가되는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제1 연결부(600)가 한번 이상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연결부(600)에 인가되는 하중의 최대 크기가 줄어들게 되어 제1 연결부(600)의 변형이 최소화된다. 즉, 제1 파이프(100) 및 커버부(200)가 제1 연결부(600)에 견고하게 지지됨으로써, 제1 파이프(100) 및 커버부(200)가 선체(10)의 갑판(11) 상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한편, 제1 연결부(600)의 절곡에 따라 제1 연결부(600)에 인가되는 하중의 최대 크기가 줄어드는 이유를 설명하면, 제1 연결부(600)에 인가되는 하중이 증가할 경우, 제1 연결부(600)의 전체 부분 중 절곡된 부분 상측의 일 부분이 탄성 한도 내에서 휘어질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제1 연결부(600)에 하중이 가해지는 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제1 연결부(600)에 인가되는 하중의 최대 크기가 줄어든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커튼 장치(1000)은 선체(10)의 갑판(11) 상에 견고하게 지지되며, 선체(10)의 갑판(11)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선체(10)의 외판(12)에 유체(L)를 분사하더라도 선체(10)의 갑판(11)으로 유체(L)가 흘러 들어오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제1 파이프(100), 커버부(200), 제2 파이프(300)

Claims (9)

  1. 선체(船體)의 갑판 상에 지지되며,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는 제1 파이프;
    상기 홀과 대응하여 상기 제1 파이프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선체의 외판(外板)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제1 파이프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외판과 마주하는 하나 이상의 슬릿(slit)을 포함하는 커버부; 및
    상기 제1 파이프 내부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파이프와 연결되는 제2 파이프
    를 포함하는 워터 커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외판 방향으로 연장된 커버부 일측은 상기 선체의 외판에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워터 커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는 상기 갑판 상에서 상기 선체의 외판 상부측에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워터 커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의 하나 이상의 홀은 상기 제1 파이프를 따라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파이프의 하측부에 위치되는 워터 커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의 상기 외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러그(lug)를 더 포함하는 워터 커튼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상기 갑판에 장착된 패드부;
    상기 패드부로부터 상기 제1 파이프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파이프의 상기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된 제2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워터 커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패드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후 상기 선체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파이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워터 커튼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상측으로 상기 제1 연결부와 중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나사 결합하는 워터 커튼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워터 커튼 장치를 구비한 LNG 선박.
KR1020100051310A 2010-05-31 2010-05-31 워터 커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ng 선박 KR101138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310A KR101138338B1 (ko) 2010-05-31 2010-05-31 워터 커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ng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310A KR101138338B1 (ko) 2010-05-31 2010-05-31 워터 커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ng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729A true KR20110131729A (ko) 2011-12-07
KR101138338B1 KR101138338B1 (ko) 2012-04-26

Family

ID=4550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310A KR101138338B1 (ko) 2010-05-31 2010-05-31 워터 커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ng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3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7081A (ko) 2015-09-25 2017-04-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워터 커튼 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N108945315A (zh) * 2018-06-15 2018-12-0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lng船舷旁水幕保护装置
CN110274154A (zh) * 2019-04-03 2019-09-24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船用lng加气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590B1 (ko) 2015-08-26 2017-07-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워터커튼 시스템
KR101915513B1 (ko) * 2016-11-03 2018-1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보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8712A (ja) 1983-10-19 1985-05-18 Mitsubishi Heavy Ind Ltd 液化ガスの拡散防止装置
JP4399619B2 (ja) 2000-07-24 2010-01-20 住友重機械マ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船舶への違法乗り込み防止装置
JP4399620B2 (ja) 2000-07-24 2010-01-20 住友重機械マ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船舶への違法乗り込み防止装置
KR200313983Y1 (ko) 2003-02-20 2003-05-22 박형주 수막이 형성되는 방화벽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7081A (ko) 2015-09-25 2017-04-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워터 커튼 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N108945315A (zh) * 2018-06-15 2018-12-0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lng船舷旁水幕保护装置
CN110274154A (zh) * 2019-04-03 2019-09-24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船用lng加气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8338B1 (ko)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338B1 (ko) 워터 커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ng 선박
KR20150069084A (ko) Lng 저장탱크의 펌프 타워 구조체
KR101690921B1 (ko) 펌프타워
KR20130136771A (ko) 해양구조물의 소방수 시스템
US11143348B2 (en) Gas pipe joint
KR102418121B1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KR100852539B1 (ko) 역류 방지 밸브가 구비된 엘엔지 공급보조장치
CN204062271U (zh) 加紧式海洋静态软管弯曲加强器
KR20170037081A (ko) 워터 커튼 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390332B1 (ko) 벨 마우스 유닛
US20170002935A1 (en) Safety Flow Obstruction Holder
JP2011080615A (ja) ミストノズルの装着方法
CN204828764U (zh) 一种罐底隔膜阀及带有该罐底隔膜阀的料罐
KR20140001627U (ko) 관체용 보호캡
CN211203222U (zh) 一种船用钻孔法兰
CN104089091A (zh) 便于安装的软管防弯折装置
KR20160146285A (ko) 선체 외판 결빙 방지 장치
KR200443551Y1 (ko) 선박용 항공기 급유 장치
US8511718B2 (en) Anti-torque plate for a gas manifold pipe connection
CN208041452U (zh) 一种具有良好性能的石油管道装置
KR20140003791U (ko) 저장 탱크의 측정 장치용 노즐 분배 장치
KR20110007314A (ko) 수도계량기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200310432Y1 (ko) 수도 계량기 보호통
KR101383457B1 (ko) 벨마우스 갭 조정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벨마우스 설치방법
KR101054045B1 (ko) 가스 탱크 연결용 니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