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782A -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782A
KR20110130782A KR1020100050277A KR20100050277A KR20110130782A KR 20110130782 A KR20110130782 A KR 20110130782A KR 1020100050277 A KR1020100050277 A KR 1020100050277A KR 20100050277 A KR20100050277 A KR 20100050277A KR 20110130782 A KR20110130782 A KR 20110130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ell
terminal
context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4371B1 (ko
Inventor
민찬호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0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371B1/ko
Priority to JP2013510035A priority patent/JP5622930B2/ja
Priority to PCT/KR2011/003927 priority patent/WO2011149316A2/en
Priority to CN201180035667.XA priority patent/CN103026753B/zh
Priority to US13/117,412 priority patent/US10237907B2/en
Priority to EP11786948.7A priority patent/EP2578018B1/en
Publication of KR20110130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Abstract

본 발명은 셀들이 중첩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피코셀에서 RLF(Radio Link Failure) 발생 시 매크로셀로 재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의 동작은, 제1셀에서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셀을 담당하는 제1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기지국의 변경된 시스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셀에서 RLF가 발생하면, 상기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기지국으로의 재접속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IN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 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서, 트래픽(traffic) 측면에서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커버리지(coverage) 측면에서 데이터 서비스가 주로 특정 작은 지역(small area)에서 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 시스템의 개발자 및 사업자들은 피코셀(Picocell), 핫존(Hotzone)과 같은 작은 크기의 셀에 대하여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코셀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피코셀은 매크로(Macro) 셀보다 작은 커버리지를 가지며, 매크로셀과 중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피코셀은 매크로셀과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주파수로 동작하며, 매크로 기지국에 비하여 낮은 전송 전력을 사용한다. 경우에 따라, 피코셀은 일부 허가받은 사용자만이 접속할 수도 있고, 모든 사용자들이 접속할 수도 있다.
한편, 표준단체 3GPP RAN WG1(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adio Access Network Working Group 1)는 최근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oues Network)를 고려하고 있다. 상기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는 매크로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 낮은 송신 출력을 사용하는 기지국들이 중첩된 된 형태의 셀룰러 배치(cellular deployment)를 말한다. 즉, 서로 다른 크기의 셀들이 섞어 있거나 중첩되어 있다. 하지만, 각 중첩된 셀들을 관리하는 기지국들은 동일한 무선 기술을 사용한다. 상기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에서 적은 송신 출력을 사용하는 기지국은 소형기지국, RRH(Remote Radio Head), 피코 eNB(enhanced Node B), 홈(Home) eNB, 펨토(Femto) 기지국, 중계 노드(Relay Node) 등이 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는 도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매크로셀(100) 내에 다수의 피코셀들(110-1, 110-2), 다수의 펨토셀들(120-1 내지 120-3), 다수의 중계노드들(130-1, 130-2)이 중첩되어 있으며, 각 셀은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다수의 피코셀들(110-1, 110-2), 다수의 펨토셀들(120-1 내지 120-3), 다수의 중계노드들(130-1, 130-2)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단말은 상기 매크로셀(100)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것이기도 하나, 상기 매크로셀(100)보다는 채널 상태가 우수한 소형 셀에 접속하는 것을 우선한다. 즉, 상기 매크로셀(100)에 접속한 단말이 소형 셀의 커버리지에 진입하면, 해당 소형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단말이 매크로셀 내를 이동하는 경우, 도 2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 경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단말(230)은 매크로 기지국(200)의 셀 내에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과의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한다. 상기 단말(2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단말(230)은 피코 기지국(210)의 셀 외곽부분을 지나친다. 이에 따라, 시간 t1(251) 동안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에 접속 중이던 상기 단말(230)은 시간 t2(252) 동안 상기 피코 기지국(210)의 셀 내에 위치하며, 상기 피코 기지국(21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이후, 상기 단말(230)은 상기 피코 기지국(210)의 셀을 벗어난다.
상기 피코 기지국(210)의 셀을 벗어남에 따라, 상기 단말(230)은 끊김 없는(seamless) 서비스를 위해 다시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한다. 이때, 상기 단말(230)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 있다면, 상기 피코 기지국(210)의 셀에 머무르는 시간 t2(252)는 매우 짧은 시간이 될 것이다. 이 경우, 핸드오버를 수행할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지 못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으로 핸드오버하기 전에 RLF(Radio Link Failure)가 발생하여 데이터 손실 및 서비스 단절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 중인 경우, 사용자가 체감하는 서비스 단절은 심각한 수준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에서 상기 피코 기지국(210)으로의 핸드오버 시,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은 상기 단말(230)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폐기하므로, 상기 단말(230)이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으로 재접속을 시도하더라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매크로셀 및 소형 셀이 중첩되어 있는 환경에서, 상기 매크로셀로의 재 핸드오버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의 빠른 이동으로 인해 핸드오버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없으며, 나아가,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의 재접속도 용이하지 아니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상황에서 빠르게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재접속함으로써 서비스 단절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피코셀에서 매크로셀로의 이동 시 서비스 단절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셀로의 재 핸드오버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피코셀에서 RLF를 겪은 단말이 매크로셀로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셀에서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셀을 담당하는 제1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기지국의 변경된 시스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셀에서 RLF가 발생하면, 상기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기지국으로의 재접속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셀에서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셀에서 사용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제2셀에서 RLF가 발생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셀을 담당하는 제1기지국과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기지국으로 회복 지시자(return indicator)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단말이 제1셀로부터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면, 상위 노드로 상기 단말에 대한 경로 스위칭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제1셀을 담당하는 제1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단말이 제1셀로부터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단말이 제1셀로부터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알리는 시스템 정보 갱신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을 통해 상기 시스템 정보 갱신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6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단말이 제1셀에서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셀에서 사용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회복 지시자(return indicator)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복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7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제1셀에서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셀을 담당하는 제1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기지국의 변경된 시스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제2셀에서 RLF가 발생하면, 상기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기지국으로의 재접속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8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제1셀에서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셀에서 사용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2셀에서 RLF가 발생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셀을 담당하는 제1기지국과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기지국으로 회복 지시자(return indicator)를 송신하는 모뎀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9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는, 단말이 제1셀로부터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면, 상위 노드로 상기 단말에 대한 경로 스위칭을 요청하는 제어부와,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제1셀을 담당하는 제1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백홀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0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는, 단말이 제1셀로부터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백홀 통신부와,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갱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1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는, 단말이 제1셀로부터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알리는 시스템 정보 갱신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을 통해 상기 시스템 정보 갱신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백홀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2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는, 단말이 제1셀에서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셀에서 사용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단말로부터 회복 지시자(return indicator)를 수신하는 모뎀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복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피코셀에 핸드오버 한 후 RLF(Radio Link Failure)를 겪은 경우, 빠르게 매크로셀로 재접속함으로써, 서비스 단절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 경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피코셀에서 매크로셀로 재접속하기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피코셀에서 매크로셀로 재접속하기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피코셀에서 매크로셀로 재접속하기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피코셀에서 매크로셀로 재접속하기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정상적인 핸드오버 시 보안 키의 생성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피코셀에서 매크로셀로 재접속 시 보안 키 생성을 고려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피코셀에서 매크로셀로 재접속 시 컨텍스트 정보 변경을 고려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피코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피코셀에서 RLF(Radio Link Failure)를 겪은 단말이 매크로셀로의 재접속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2와 같은 상황에서 매크로셀로의 재접속을 위해 수행되는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피코셀에서 매크로셀로 재접속하기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고하면, 피코 기지국(320)의 셀로 진입한 단말(310)은 매크로 기지국(330)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을 수신한다(301단계). 예를 들어,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RRC(Radio Resource Control)연결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송신된다. 상기 도 3에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핸드오버 명령의 송신에 앞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330)은 상기 단말(310)에 보고한 신호 측정 정보에 기반하여 핸드오버를 결정하고, 상기 피코 기지국(320)에게 핸드오버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피코 기지국(32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330)의 요청에 따라 수락 제어(admission control)을 수행한다.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한 상기 매크로 기지국(330)은 핸드오버의 타겟 기지국인 상기 피코 기지국(320)으로 SN(Sequence Number)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303단계). 상기 SN 상태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에서 데이터에 대한 일련 번호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데이터 암호화(encryption) 및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ion) 등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 상기 단말(3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330)으로 핸드오버 확인(handover confirm)을 송신한다(305단계). 예를 들어,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RRC연결재구성완료(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통해 송신된다. 이때, 상기 도 3에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단말(3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330)과의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랜덤 억세스(RA : Random Access) 프리앰블(preamble)을 송신하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330)은 상기 단말(310)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330) 간 동기 차이를 나타내는 TA(Timing Advance)를 응답으로서 송신한다. 이때, 상기 TA와 함께 상기 핸드오버 확인을 송신하기 위해 필요한 상향링크 자원에 대한 정보도 송신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310)은 상기 TA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동기를 조절한 후,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통해 상기 핸드오버 확인을 송신한다.
이후, 상기 피코 기지국(320)은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340)로 상기 단말(310)의 서빙셀(serving cell)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경로 스위치 요청(path switch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307단계). 이에 따라, 상기 MME(340)는 S-GW(Serving Gateway)(350)로 사용자 플레인 갱신 요청(user plane update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고(309단계), 상기 사용자 플레인 갱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S-GW(350)는 상기 단말(310)에 대한 하향링크 트래픽 경로를 재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S-GW(350)은 사용자 플레인 응답(user plane update response) 메시지을 송신한다(311단계). 이어, 상기 MME(340)는 상기 피코 기지국(320)으로 경로 스위치 응답(path switch response) 메시지를 송신한다(313단계). 상기 경로의 재설정이 이루어짐을 확인한 상기 피코 기지국(32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330)으로 상기 단말(310)에 대한 사용자 컨텍스트 해지(context release)를 요청한다(315단계).
이후, 상기 단말(310)은 상기 피코 기지국(320)과의 연결을 유지하며, 상기 피코 기지국(320) 및 상기 S-GW(350)를 통해 상향링크/하향링크 트래픽을 송수신한다(317단계). 이때, 상기 단말(310)은 RLF를 인지하고(319단계), 상기 매크로 기지국(330)을 발견한다(321단계). 다시 말해, 상기 단말(310)은 상기 피코 기지국(320)과의 연결이 유지되지 못함을 인지하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330)의 신호를 인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3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330)에 대한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를 시도한다. 이때, 상기 RRC 연결 재설정을 시도하기 위해, 상기 단말(3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330)의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을 획득해야 하며, 상기 시스템 정보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330)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적어도 하나의 SIB(System information Block)를 수신함으로써 획득된다. 그러나, 상기 RRC 연결 재설정은 실패한다(323단계). 상기 매크로 기지국(330)은 상기 315단계에 따라 상기 단말(310)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폐기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단말(310)은 아이들 모드(idle mode)로 진입하고(325), 상기 아이들 모드에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330)과의 RRC 연결(RRC Connection Setup)을 새로이 설정한다(327단계).
본 발명은 1)단말이 매크로셀로의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빠르게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방안 및 2)특정 지시자를 이용하여 매크로셀로의 연결을 재설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방안 1)은 사용자 컨텍스트 갱신(user context update) 절차를 통해 매크로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유지하는 방안, 및, 시스템 정보 갱신(system information update) 절차를 통해 단말이 피코 기지국에 접속 중인 동안 매크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유지하는 방안으로 나누어진다. 단, 상기 컨텍스트 갱신 절차의 방안 및 시스템 정보 갱신 절차의 방안은 선택적으로 하나만 적용되거나, 둘 모두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방안 1) 중 사용자 컨텍스트 갱신 절차를 이용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코셀이 매크로셀 내에 중첩된 환경에서 단말이 피코셀에서 RLF를 겪은 경우, 상기 단말이 이전에 연결이 되었던 매크로셀을 발견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재접속하고자 할 것이다. 이때, 상기 단말은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통해서 상기 매크로셀과의 연결을 시도한다. 하지만,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절차는 해당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가진 기지국과 수행 가능한 절차이므로,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미 삭제한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의 RRC 연결 재설정 절차는 실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를 유지하게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피코셀에서 매크로셀로 재접속하기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a를 참고하면, 피코 기지국(420)의 셀로 진입한 단말(410)은 매크로 기지국(430)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command)을 수신하고(401단계),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은 핸드오버의 타겟 기지국인 상기 피코 기지국(420)으로 SN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403단계). 또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 상기 단말(4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으로 핸드오버 확인(confirm)을 송신한다(405단계). 이후, 상기 피코 기지국(420)은 MME(440)로 상기 단말(410)의 서빙셀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경로 스위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407단계), 이에 따라, 상기 MME(440)는 S-GW(450)로 사용자 플레인 갱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409단계), 상기 S-GW(450)는 상기 단말(410)에 대한 하향링크 트래픽 경로를 재설정하고, 사용자 플레인 응답 메시지을 송신한다(411단계). 이어, 상기 MME(440)는 상기 피코 기지국(420)으로 경로 스위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413단계). 상기 경로의 재설정이 이루어짐을 확인한 상기 피코 기지국(42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으로 상기 단말(410)에 대한 사용자 컨텍스트 해지(release)를 요청한 후(415단계), 상기 단말(410)은 상기 피코 기지국(420)과의 연결을 유지하며, 상기 피코 기지국(420) 및 상기 S-GW(450)를 통해 상향링크/하향링크 트래픽을 송수신한다(417단계).
상기 401단계 내지 상기 417단계를 통해 핸드오버가 완료된 후, 상기 피코 기지국(42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으로 상기 단말(410)에 대한 전체 컨텍스트(full context) 정보를 송신한다(419단계). 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컨텍스트 해지를 요청하는 상기 415단계가 수행되지 아니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체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상기 419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단말(410)이 사용 중인 전송 자원, 베어러 설정 등에 관련된 정보로서, 핸드오버 준비 절차 등에서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단말이 소스 셀(source cell)에서 사용하는 측정(measurement) 구성, 단말이 소스 셀에서 사용하는 무선 자원 관련 정보, 구체적으로, 무선 베어러(RB : Radio Baerer) 구성 정보,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구성 정보, 물리 계층 관련 정보 등, 단말이 소스 셀에서 사용하는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보안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상기 도 2와 같은 상황의 경우, 상기 피코 기지국(420)에 접속 중이던 상기 단말(410)이 정상적인 핸드오버 절차를 거치기 전에 셀을 벗어나므로, 상기 단말(410)의 컨텍스트 정보가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으로 전달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피코 기지국(420)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핸드오버가 트리거(trigger)되기 전에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으로 미리 전달한다.
이후, 상기 단말(410)의 컨텍스트 정보가 변경되거나, 상기 단말(410)의 신호 세기가 임계치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피코 기지국(42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으로 컨텍스트 갱신 정보를 송신한다(421단계). 즉,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 중 상기 단말(410)의 컨텍스트 정보가 변경되거나, 상기 단말(410)의 신호 세기가 임계치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피코 기지국(420)은 상기 단말(410)의 컨텍스트 정보를 컨텍스트 갱신 메시지를 통해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으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텍스트의 변경은 상기 단말(410)이 상기 피코 기지국(420)에서 사용하는 측정 구성이 변경되거나, 새로운 무선 베어러 연결이 설정되거나, 사용 중이던 무선 베어러 연결이 소멸하거나, C-RNTI가 변경되는 경우 등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의 변경이 없으면, 상기 컨텍스트 갱신 정보의 송신은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컨텍스트 정보의 변경이 2회 이상 발생하면, 상기 상기 컨텍스트 갱신 정보의 송신도 2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은 상기 단말(410)의 컨텍스트 정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410)은 RLF를 인지한다(423단계). 다시 말해, 상기 단말(410)은 상기 피코 기지국(420)과의 연결이 유지되지 못함을 인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410)은 가장 최근에 접속했던 매크로셀인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을 우선적으로 검색한다. 즉, 상기 단말(410)은 현재의 서빙셀로 핸드오버 하기 전의 서빙셀에 대한 셀 검색 과정을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그 결과, 상기 단말(4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을 발견한다(425단계). 다시 말해, 상기 단말(4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의 신호를 인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4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에 대한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한다(427단계). 이때,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은 상기 단말(410)의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RRC 연결 재설정을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RRC 연결 재설정의 상세한 과정은 상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단말(4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으로 RRC 재설정 요청(RRC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451단계). 상기 RRC 재설정 요청 메시지는 단말의 식별 정보, RRC 재설정의 원인을 나타내는 정보 및 재접속하고자하는 셀의 물리적 셀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과의 연결을 재설정하고자 함을 알린다.
상기 RRC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은 상기 RRC 재설정 요청 메시지의 송신자가 상기 단말(410)임을 식별하고, 상기 단말(410)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한 후, MAC-I(Message Authentication Code-Intergrity) 인증(verification) 절차를 수행한다(453단계). 컨텍스트 갱신 절차를 통해 상기 단말(410)의 컨텍스트 정보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을 판단한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은 상기 단말(410)로 RRC 재설정(RRC reestablishment) 메시지를 송신한다(455단계). 이어,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은 상기 단말(410)이 이전 접속되었던 기지국, 즉, 상기 컨텍스트 갱신 메시지를 제공했던 상기 피코 기지국(420)으로 데이터 포워딩을 요청한다(459단계). 상기 데이터 포워딩 요청 시, 데이터 포워딩이 수행될 유선 베어러에 대한 정보가 함께 송신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포워딩을 요청받은 상기 피코 기지국(420)은 상기 단말(410)에 대한 SN 상태 정보를 송신하고(461단계),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단말(410)로의 데이터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으로 전달한다(463단계). 상기 SN 상태 정보는 PDCP 계층에서 데이터에 대한 일련 번호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데이터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 등을 위해 사용된다. 이후, 상기 단말(410)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430)은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절차를 통해 연결을 복원하고(465단계), 트래픽을 송수신한다(467단계).
상기 방안 1) 중 시스템 정보 갱신 절차를 이용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코셀이 매크로셀 내에 중첩된 환경에서, 단말이 피코셀에서 RLF를 겪은 경우, 상기 단말이 이전에 연결이 되었던 매크로셀을 발견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의 연결을 재설정하고자 할 것이다. 이때, 상기 단말은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통해서 상기 매크로셀과의 연결을 시도한다.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함에 앞서, 상기 단말은 랜덤 억세스(random access) 과정을 통해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진입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 특히, 상기 랜덤 억세스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기까지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시도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단말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유지하게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피코셀에서 매크로셀로 재접속하기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피코 기지국(520)의 셀로 진입한 단말(510)은 매크로 기지국(530)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다(501단계).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의 시스템 정보를 저장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시스템 정보 재사용(reuse)에 관한 지시자(indication)를 포함한다. 상기 재사용의 지시자가 긍정을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5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의 시스템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단말(510)은 저장되는 시스템 정보가 어느 셀에 대한 것인지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의 물리 셀 식별자(PCI : Physical Cell ID) 및 중심 주파수 정보가 셀의 식별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피코 기지국(520)으로 핸드오버하더라도,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의 시스템 정보는 폐기되지 아니한다.
이어,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은 핸드오버의 타겟 기지국인 상기 피코 기지국(520)으로 SN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503단계). 또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 상기 단말(5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으로 핸드오버 확인을 송신한다(505단계). 이후, 상기 피코 기지국(520)은 MME(540)로 상기 단말(510)의 서빙셀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경로 스위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507단계), 이에 따라, 상기 MME(540)는 S-GW(550)로 사용자 플레인 갱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509단계), 상기 S-GW(550)는 상기 단말(510)에 대한 하향링크 트래픽 경로를 재설정하고, 사용자 플레인 응답 메시지을 송신한다(511단계). 이어, 상기 MME(540)는 상기 피코 기지국(520)으로 경로 스위치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513단계). 상기 경로의 재설정이 이루어짐을 확인한 상기 피코 기지국(52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으로 상기 단말(510)에 대한 사용자 컨텍스트 해지를 요청한 후(515단계), 상기 단말(510)은 상기 피코 기지국(520)과의 연결을 유지하며, 상기 피코 기지국(520) 및 상기 S-GW(550)를 통해 상향링크/하향링크 트래픽을 송수신한다(517단계).
상기 501단계 내지 상기 517단계를 통해 핸드오버가 완료된 후, 상기 단말(510)이 피코셀에서 RLF를 겪으면, 상기 단말(5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을 우선적으로 검색한다.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이 검색되면, 가능한 빨리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으로 RRC 연결 재설정 요청을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5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으로 캠핑 온(camping on)한 후,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의 시스템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상기 단말(510)이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기까지 소모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은 자신의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상기 피코 기지국(520)을 통해 상기 단말(510)로 전달한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은 통신 환경 또는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시스템 정보를 변경하고(519단계), 이에 따라, 상기 피코 기지국(520)을 통해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갱신 메시지를 상기 단말(523)로 전달한다(521단계, 523단계). 단,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의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지 아니하면, 상기 521단계 및 상기 523단계는 생략될 수 있으며, 2회 이상의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521단계 및 상기 523단계도 2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코 기지국(520)은 상기 시스템 정보 갱신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유니캐스트(unicast)의 형식으로 상기 단말(510)로 송신한다. 상기 시스템 정보 갱신 메시지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의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MIB(Master Information Block), SIB1(System Information Block 1), SIB2 등의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 정보 갱신 메시지의 구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SystemInformationUpdate ::= SEQUENCE {
dl-Bandwidth ENUMERATED {n6, n15, n25, n50, n75, n100},
phich-Config PHICH-Config,
systemFrameNumber BIT STRING (SIZE (8)),
spare BIT STRING (SIZE (10))
cellAccessRelatedInfo SEQUENCE {
plmn-IdentityList PLMN-IdentityList,
trackingAreaCode TrackingAreaCode,
cellIdentity CellIdentity,
cellBarred ENUMERATED {barred, notBarred},
intraFreqReselection ENUMERATED {allowed, notAllowed},
csg-Indication BOOLEAN,
csg-Identity CSG-Identity-r9 OPTIONAL -- Need OR
},
cellSelectionInfo SEQUENCE {
q-RxLevMin Q-RxLevMin,
q-RxLevMinOffset INTEGER (1..8) OPTIONAL -- Need OP
},
p-Max P-Max OPTIONAL, -- Need OP
freqBandIndicator INTEGER (1..64),
schedulingInfoList SchedulingInfoList,
tdd-Config TDD-Config OPTIONAL, -- Cond TDD
si-WindowLength ENUMERATED {ms1, ms2, ms5, ms10, ms15, ms20, ms40},
systemInfoValueTag INTEGER (0..31),
nonCriticalExtension SystemInformationBlockType1-v9x0-IEs OPTIONAL-- Need OP
ac-BarringInfo SEQUENCE {
ac-BarringForEmergency BOOLEAN,
ac-BarringForMO-Signalling AC-BarringConfig OPTIONAL -- Need OP
ac-BarringForMO-Data AC-BarringConfig OPTIONAL -- Need OP
} OPTIONAL, -- Need OP
radioResourceConfigCommon RadioResourceConfigCommonSIB,
ue-TimersAndConstants UE-TimersAndConstants,
freqInfo SEQUENCE {
ul-CarrierFreq ARFCN-ValueEUTRA OPTIONAL, -- Need OP
ul-Bandwidth ENUMERATED {n6, n15, n25, n50, n75, n100}
OPTIONAL, -- Need OP
additionalSpectrumEmission AdditionalSpectrumEmission
},
mbsfn-SubframeConfigList MBSFN-SubframeConfigList OPTIONAL, -- Need OR
timeAlignmentTimerCommon TimeAlignmentTimer,
...
}

SystemInformationBlockType1-v9x0-IEs::= SEQUENCE {
imsEmergencySupportIndicator-r9 ENUMERATED {supported} OPTIONAL, -- Need OP
nonCriticalExtension SEQUENCE {} OPTIONAL -- Need OP
}

PLMN-IdentityList ::= SEQUENCE (SIZE (1..6)) OF PLMN-IdentityInfo

PLMN-IdentityInfo ::= SEQUENCE {
plmn-Identity PLMN-Identity,
cellReservedForOperatorUse ENUMERATED {reserved, notReserved}
}

SchedulingInfoList ::= SEQUENCE (SIZE (1..maxSI-Message)) OF SchedulingInfo

SchedulingInfo ::= SEQUENCE {
si-Periodicity ENUMERATED {rf8, rf16, rf32, rf64, rf128, rf256, rf512},
sib-MappingInfo SIB-MappingInfo
}

SIB-MappingInfo ::= SEQUENCE (SIZE (0..maxSIB-1)) OF SIB-Type

SIB-Type ::= ENUMERATED {sibType3, sibType4, sibType5, sibType6, sibType7, sibType8, sibType9, sibType10, sibType11, sibType12-v9x0, sibType13-v9x0, spare5, spare4, spare3, spare2, spare1, ...}

AC-BarringConfig ::= SEQUENCE {
ac-BarringFactor ENUMERATED {p00, p05, p10, p15, p20, p25, p30, p40,
p50, p60,p70, p75, p80, p85, p90, p95},
ac-BarringTime ENUMERATED {s4, s8, s16, s32, s64, s128, s256, s512},
ac-BarringForSpecialAC BIT STRING (SIZE(5))
}

MBSFN-SubframeConfigList ::= SEQUENCE (SIZE (1..maxMBSFN-Allocations)) OF MBSFN-SubframeConfig

MBSFN-SubframeConfig ::= SEQUENCE {
radioframeAllocationPeriod ENUMERATED {n1, n2, n4, n8, n16, n32},
radioframeAllocationOffset INTEGER (0..7),
subframeAllocation CHOICE {oneFrame BIT STRING (SIZE(6)),
fourFrames BIT STRING (SIZE(24))}
}
상기 <표 1>에 나타난 각 필드들의 정의는 하기 <표 2>와 같다.
dl-Bandwidth Parameter: 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NRB in downlink, see TS 36.101 [42, table 5.6-1]. n6 corresponds to 6 resource blocks, n15 to 15 resource blocks and so on.
systemFrameNumber Defines the 8 most significant bits of the SFN, see TS 36.211 [21, 6.6.1]. The 2 least significant bits of the SFN are acquired implicitly in the P-BCH decoding, i.e. timing of 40ms P-BCH TTI indicates 2 least significant bits (within 40ms P-BCH TTI, the first radio frame: 00, the second radio frame: 01, the third radio frame: 10, the last radio frame: 11).
plmn-IdentityList List of PLMN identities. The first listed PLMN-Identity is the primary PLMN.
cellReservedForOperatorUse As defined in TS 36.304.
trackingAreaCode A trackingAreaCode that is common for all the PLMNs listed.
cellBarred ‘barred’ means the cell is barred, as defined in TS 36.304.
intraFreqReselection Used to control cell reselection to intra-frequency cells when the highest ranked cell is barred, or treated as barred by the UE, as specified in TS 36.304.
csg-Indication If set to TRUE the UE is only allowed to access the cell if the CSG identity matches an entry in the CSG whitelist that the UE has stored.
q-RxLevMinOffset Parameter Qrxlevminoffset in 36.304. Actual value Qrxlevminoffset = IE value * 2 [dB]. If absent, apply the (default) value of 0 [dB] for Qrxlevminoffset. Affects the minimum required Rx level in the cell.
p-Max Value applicable for the cell.
freqBandIndicator Operating band (Defined in TS 36.101 [42, table 5.5-1])
si-Periodicity Periodicity of the SI-message in radio frames, such that rf8 denotes 8 radio frames, rf16 denotes 16 radio frames, and so on.
sib-MappingInfo List of the SIBs mapped to this SystemInformation message.There is no mapping information of SIB2; it is always present in the first SystemInformation message listed in the schedulingInfoList list.
si-WindowLength Common SI scheduling window for all SIs. Unit in milliseconds, where ms1 denotes 1 millisecond, ms2 denotes 2 milliseconds and so on.
systemInfoValueTag Common for all SIBs other than MIB, SIB1, SIB10 and SIB11.
csg-Identity Identity of the Closed Subscriber Group within the primary PLMN the cell belongs to. The IE is present in a CSG cell.
imsEmergencySupportIndicator Indicates whether the cell supports IMS emergency bearer services for UEs in limited service mode. If absent, IMS emergency call is not supported by the network in the cell for UEs in limited service mode.
ac-BarringForEmergency Access class barring for AC 10.
ac-BarringForMO-Signalling Access class barring for mobile originating signalling.
ac-BarringForMO-Data Access class barring for mobile originating calls.
ac-BarringFactor If the random number drawn by the UE is lower than this value, access is allowed. Otherwise the access is barred. The values are interpreted in the range [0,1): p00 = 0, p05 = 0.05, p10 = 0.10,…,p95 = 0.95.
ac-BarringTime Mean access barring time value in seconds.
ac-BarringForSpecialAC Access class barring for AC 11-15. The first/ leftmost bit is for AC 11, the second bit is for AC 12, and so on.
ul-CarrierFreq For FDD: If absent, the (default) value determined from the default TX-RX frequency separation defined in TS 36.101 [42, table 5.7.3-1] applies.
For TDD: This parameter is absent and it is equal to the downlink frequency.
ul-Bandwidth Parameter: 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NRB, in uplink, see TS 36.101 [42, table 5.6-1]. Value n6 corresponds to 6 resource blocks, n15 to 15 resource blocks and so on. If for FDD this parameter is absent, the uplink bandwidth is equal to the downlink bandwidth. For TDD this parameter is absent and it is equal to the downlink bandwidth.
mbsfn-SubframeConfigList Defines the subframes that are reserved for MBSFN in downlink.
radioFrameAllocationPeriod, radioFrameAllocationOffset Radio-frames that contain MBSFN subframes occur when equation SFN mod radioFrameAllocationPeriod = radioFrameAllocationOffset is satisfied. Value n1 for radioframeAllocationPeriod denotes value 1, n2 denotes value 2, and so on. When fourFrames is used for subframeAllocation, the equation defines the first radio frame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below. Values n1 and n2 are not applicable when fourFrames is used.
subframeAllocation Defines the subframes that are allocated for MBSFN within the radio frame allocation period defined by the radioFrameAllocationPeriod and the radioFrameAllocationOffset.
oneFrame “1” denotes that the corresponding subframe is allocated for MBSFN. The following mapping applies:
FDD: The first/leftmost bit defines the MBSFN allocation for subframe #1, the second bit for #2, third bit for #3 , fourth bit for #6, fifth bit for #7, sixth bit for #8.
TDD: The first/leftmost bit defines the allocation for subframe #3, the second bit for #4, third bit for #7, fourth bit for #8, fifth bit for #9. Uplink subframes are not allocated. The last bit is not used.
fourFrames A bit-map indicating MBSFN subframe allocation in four consecutive radio frames, “1” denotes that the corresponding subframe is allocated for MBSFN. The bitmap is interpreted as follows:
FDD: Starting from the first radioframe and from the first/leftmost bit in the bitmap, the allocation applies to subframes #1, #2, #3 , #6, #7, and #8 in the sequence of the four radio-frames.
TDD: Starting from the first radioframe and from the first/leftmost bit in the bitmap, the allocation applies to subframes #3, #4, #7, #8, and #9 in the sequence of the four radio-frames. The last four bits are not used. Uplink subframes are not allocated.
이후, 상기 단말(510)은 RLF를 인지한다(523단계). 다시 말해, 상기 단말(510)은 상기 피코 기지국(520)과의 연결이 유지되지 못함을 인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510)은 가장 최근에 접속했던 매크로셀인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을 우선적으로 검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510)은 현재의 서빙셀로 핸드오버 하기 전의 서빙셀에 대한 셀 검색 과정을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그 결과, 상기 단말(5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을 발견한다(527단계). 즉, 상기 단말(5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의 신호를 인지한다.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을 발견한 상기 단말(510)은 저장된 시스템 정보가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의 시스템 정보인지 검사한다(529단계). 즉, 상기 단말(510)은 상기 시스템 정보 저장 시 표시한 식별 정보가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의 해당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 정보가 물리 셀 식별자 및 중심 주파수 정보로 인덱싱(indexing)된 경우, 상기 단말(5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의 물리 셀 식별자 및 중심 주파수가 저장된 시스템 정보와 매핑된 물리 셀 식별자 및 중심 주파수와 일치하면, 저장된 시스템 정보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도 5에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단말(510)은 RRC 연결 재설정 절차에 선행되는 랜덤 억세스 과정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랜덤 억세스 관련 파라미터들을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5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과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한다(531단계). 만일, 상기 저장된 시스템 정보가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의 시스템 정보가 아닌 경우, 상기 단말(5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530)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저장된 시스템 정보가 잘못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RRC 연결 재설정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단말(510)은 저장된 시스템 정보를 폐기한다. 다시 말해, 상기 시스템 정보를 첫 번째 RRC 연결 재설정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저장된 시스템 정보는 사용되지 아니하더라도 폐기된다.
다음으로, 상기 방안 2)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코셀이 매크로셀 내에 중첩된 환경에서 단말이 피코셀에서 RLF를 겪은 경우, 매크로셀로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대신, 상기 단말은 상기 피코셀로 핸드오버하기 전에 매크로 기지국에서 사용되던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를 재활용하여 매크로셀과의 연결을 복원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단말을 피코셀로 핸드오버시킨 후 상기 단말이 사용하던 컨텍스트 정보를 폐기하지 아니하고 저장한다. 상기 단말도 상기 피코셀로 핸드오버하더라도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서 사용하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고, 이후 정상적인 핸드오버 절차를 거치지 아니하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의 연결을 복원한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은 상기 연결 복원을 위해 미리 정의된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서 사용하던 컨텍스트 정보를 재사용하여 연결을 복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단말이 특정 제어 메시지를 통해 상기 매크로셀로 재접속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피코셀에서 매크로셀로 재접속하기 위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고하면, 피코 기지국(620)의 셀로 진입한 단말(610)은 매크로 기지국(630)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다(601단계).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630)과의 연결 복원을 위한 백업 구성(back-up configuration)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백업 구성 정보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630)과의 컨텍스트 정보를 유지해야하는 시간 길이를 나타내는 특정 타이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특정 타이머를 '타이머 X'라 칭한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630)은 상기 타이머 X의 값을 설정하고, 상기 타이머 X를 포함하는 상기 백업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한다.
상기 백업 구성 정보를 포함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 상기 단말(6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630)과 사용하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630)도 상기 단말(610)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한다(603단계).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타이머 X의 만료 전까지 상기 단말(610)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630)에 저장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610)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630)은 상기 타이머 X가 만료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삭제한다. 이후, 상기 단말(6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630)으로 핸드오버 확인을 송신한다(605단계). 이로 인해, 상기 피코 기지국(620), 상기 매크로 기지국(630), 상기 단말(610) 간 핸드오버 절차는 완료되고, 상기 단말(610)은 상기 피코 기지국(620)과 상향링크/하향링크 트래픽을 송수신한다(607단계). 상기 도 6에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핸드오버 과정은 MME 및 S-GW의 경로 스위칭 및 사용자 플레인 갱신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610)은 RLF를 인지한다(609단계). 다시 말해, 상기 단말(610)은 상기 피코 기지국(620)과의 연결이 유지되지 못함을 인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610)은 가장 최근에 접속했던 매크로셀인 상기 매크로 기지국(630)을 우선적으로 검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610)은 현재의 서빙셀로 핸드오버 하기 전의 서빙셀에 대한 셀 검색 과정을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그 결과, 상기 단말(6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630)을 발견한다(611단계). 즉, 상기 단말(6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630)의 신호를 인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610)은 상기 타이머 X가 만료되기 전인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타이머 X가 만료되기 전이므로, 상기 단말(6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603)으로 연결의 복원을 요청하기 위해 회복 지시자(return indicator)를 송신한다(613단계). 이때, 핸드오버 이후 상기 단말(610)의 컨텍스트 정보가 변경되어 상기 603단계에서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와 현재의 컨텍스트 정보가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단말(610)은 상기 회복 지시자에 변경된 부분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610)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630) 간 연결 재설정을 위한 절차가 수행된 후, 상기 단말(6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630)과 상향링크/하향링크 트래픽을 송수신한다(615단계).
상기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정상적인 핸드오버 절차 없이 매크로셀과의 연결을 복원하는 경우, 상기 매크로셀에서 어떤 보안 키(security key)를 사용해서 보안 절차, 즉, 데이터의 비화/역비화 및 무결성 보호를 수행할지 모호해진다. 정상적으로 핸드오버 절차가 수행된 경우, 소스 기지국이 보안 키를 생성해서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하고,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전달한 키를 사용해서 데이터 비화/역비화 및 무결성 보호를 실행한다. 상기 정상적인 핸드오버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에 보안 키를 생성하는 방식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정상적인 핸드오버 시 보안 키의 생성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고하면, 소스 기지국(720)은 상기 단말(710)의 핸드오버를 결정하고(701단계), 타겟 기지국(730)으로 제공할 보안 키(이하 'KeNB*')를 생성(deliveration)한다(703단계). 이때, 상기 KeNB*의 생성 방식은 NH(Next Hop) 및 NCC(Next Hop Chaining Counter)의 저장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NH는 MME(740)에 의해 제공되는 유사 키로서, 실제 키로는 사용되지 않지만 새로운 키를 생성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키와 동일한 크기의 비트열(bit stream), 상기 NCC는 상기 NH의 변경을 나타내는 카운터 변수이다. 상기 NH 및 상기 NCC가 상기 소스 기지국(72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소스 기지국(720)은 방식A(791)에 따라 KDF(Key Deliveration Function)에 상기 NH, 상기 NCC, 상기 타겟 기지국(730)의 물리 셀 식별자(PCI), 주파수 정보, 예를 들어, EARFCN-DL(Evolved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DownLink)를 입력 변수로 사용하여 상기 KeNB*을 생성한다. 반면, 상기 NH 및 상기 NCC가 상기 소스 기지국(720)에 저장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상기 소스 기지국(720)은 방식B(792)에 따라 상기 소스 기지국(720)이 사용하는 보안 키(이하 'KeNB'), 상기 타겟 기지국(730)의 물리 셀 식별자(PCI), 주파수 정보를 입력 변수로 사용하여 상기 KeNB*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NH 및 상기 NCC가 저장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는 예외적이며, 상기 방식2(792)는 예외적인 상황을 대비하여 마련된 방식이다.
이후, 상기 소스 기지국(720)은 상기 타겟 기지국(730)으로 상기 KeNB* 및 NCC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705단계). 이에 따라, 상기 타겟 기지국(730)은 상기 KeNB*를 자신의 KeNB로서 사용하고(707단계), 상기 단말(710)로 상기 NCC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다(709단계). 이때, 상기 단말(710)은 상기 NCC의 값을 통해 상기 소스 기지국(720)에서 KeNB*를 어떤 방식으로 생성하였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KeNB*를 생성한다(711단계). 즉,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NCC의 값이 상기 단말(710)이 저장하고 있는 값과 동일하면 상기 방식1(791)에 따라, 동일하지 아니하면 상기 방식2(792)에 따라, 상기 단말은 KeNB*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단말(710)은 상기 타겟 기지국(730)으로 핸드오버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713), 상기 타겟 기지국(730)은 MME(740)으로 경로 스위칭을 요청하고(715단계), 상기 MME(740)는 NCC 및 NH를 포함하는 상기 경로 스위칭 응답을 송신한다(717단계). 상기 경로 스위칭 응답을 통해 NCC 및 NH를 획득한 상기 타겟 기지국(730)은 상기 NCC 및 상기 NH를 저장한다(719단계).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이 제1셀에서 제2셀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상기 제2셀에서 사용할 새로운 보안 키는 상기 제1셀의 기지국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제2셀의 기지국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제2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포함된 NCC의 증가 여부에 따른 방식으로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한다. 하지만,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핸드오버 절차가 수행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제1셀, 상기 제2셀 및 상기 단말 간 보안 키에 대한 정보가 교환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상기 도 7과 같은 절차에 따라 보안 키가 생성될 수 없다. 다시 말해, 상기 도 6에서, 상기 단말(610)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630)은 상기 도 7과 같은 절차에 따라 보안 키를 생성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이 회복 지시자를 이용하여 피코셀에서 매크로셀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매크로셀에서 사용할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단말이 피코셀에서 매크로셀로 정상적인 핸드오버 정차 없이 이동하더라도, 매크로 기지국은 자신이 타겟 셀이므로 새로운 키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값들 중 타겟 기지국의 PCI 및 주파수 정보를 알고 있다. 이때, 어느 방식에 따라 보안 키를 생성하냐에 따라 NH가 필요한지 또는 피코셀에서 사용하던 보안 키가 필요한지 문제된다. 상기 NH는 MME에 의해 제공되므로, 상기 매크로 기지국이 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기지국 및 MME 간 새로운 신호 절차가 정의되어야 한다. 반면, 상기 피코셀에서 사용하던 보안 키는 단말이 피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과정에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생성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절차를 수행할 필요없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이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단말이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할 때,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피코 기지국에서의 보안 키를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이후, 상기 단말로부터 회복 지시자가 수신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저장해두었던 보안 키, 자신의 물리 셀 식별자 및 주파수 정보를 사용해서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보안 키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피코 기지국이 방식2에 따라 보안 키를 생성하여 전달한 것과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피코셀에서 매크로셀로 재접속 시 보안 키 생성을 고려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을 참고하면, 피코 기지국(820)의 셀로 진입한 단말(810)은 매크로 기지국(830)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다(801단계).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과의 연결 복원을 위한 백업 구성(back-up configuration)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백업 구성 정보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과의 컨텍스트 정보를 유지해야하는 시간 길이를 나타내는 특정 타이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특정 타이머를 '타이머 X'라 칭한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은 상기 타이머 X의 값을 설정하고, 상기 타이머 X를 포함하는 상기 백업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한다.
상기 백업 구성 정보를 포함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 상기 단말(8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과 사용하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한다(803단계). 이때, 상기 단말(810)은 상기 저장한 컨텍스트 정보가 어떤 셀에 대한 것인지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810)은 상기 저장한 사용자 컨텍스트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의 셀의 물리 계층 식별자 및 주파수 정보로 인덱싱한다. 또는, 상기 단말(810)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매크로셀의 CGI(Cell Global ID)로 인덱싱한다. 여기서, 상기 CGI는 동일 사업자의 시스템 내에서 각 셀에 부여된 유니크(unique)한 식별 정보로서, 예를 들어, 28 비트 크기이며, 셀의 시스템 정보로서 브로드캐스팅된다.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은 상기 단말(810)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피코 기지국(820)의 KeNB를 저장한다(803단계). 여기서, 상기 피코 기지국(820)의 상기 핸드오버 명령이 송신되기에 앞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에 의해 생성된다. 또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타이머 X의 만료 전까지 상기 단말(810)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에 저장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810)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은 상기 타이머 X가 만료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삭제한다.
이후, 상기 단말(8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으로 핸드오버 확인을 송신한다(807단계). 이로 인해, 상기 피코 기지국(820),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 상기 단말(810) 간 핸드오버 절차는 완료되고, 상기 단말(810)은 상기 피코 기지국(820)과 상향링크/하향링크 트래픽을 송수신한다(809단계). 상기 도 8에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핸드오버 과정은 MME 및 S-GW의 경로 스위칭 및 사용자 플레인 갱신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810)은 RLF를 인지한다(811단계). 다시 말해, 상기 단말(810)은 상기 피코 기지국(820)과의 연결이 유지되지 못함을 인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810)은 가장 최근에 접속했던 매크로셀인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을 우선적으로 검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810)은 현재의 서빙셀로 핸드오버 하기 전의 서빙셀에 대한 셀 검색 과정을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그 결과, 상기 단말(8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을 발견한다(813단계). 즉, 상기 단말(8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의 신호를 인지하고, 채널 품질이 특정 임계치 이상임을 판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810)은 발견한 셀에 대하여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815단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단말(810)은 상기 발견된 셀,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이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기지국인지 판단한다.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의 대응 여부는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인덱싱한 정보, 즉, 주파수 정보 및 물리 셀 식별자 또는 CGI의 일치 여부로 판단된다. 또한, 상기 단말(810)은 상기 타이머 X가 만료되기 전인지 판단한다. 상기 도 8에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이 대응되지 아니하거나 상기 타이머 X가 만료되었다면, 상기 단말(810)은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이 대응되고, 상기 타이머 X가 만료되기 전이므로, 상기 단말(810)은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재사용할 수 있음을 판단하고,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과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한다(817단계). 즉, 상기 단말(810)은 마치 상기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한 것과 같이 동작한다. 이어, 상기 단말(810)은 상기 피코 기지국(820)에서 사용하던 보안 키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의 물리 셀 식별자 및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에서 사용할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한다(819단계). 즉, 상기 단말(810)은 정상적인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NCC가 증가하지 아니한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한다.
상기 보안 키를 생성한 후, 상기 단말(8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803)으로 연결의 복원을 요청하기 위해 회복 지시자(return indicator)를 송신한다(821단계). 이때, 상기 단말(810)은 새로운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회복 지시자를 무결성 보호한다. 즉, 상기 단말(810)은 상기 회복 지시자에 대해서 소정의 무결성 보호 알고리즘과 새로운 보안 키 및 기타 입력 값을 적용해서 MAC-I(Message Authentication Code-Integrity)를 생성하고, 상기 MAC-I를 상기 회복 지시자와 함께 송신한다.
상기 회복 지시자 및 상기 MAC-I를 수신한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은 상기 단말(810)의 C-RNTI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810)이 정상적인 핸드오버 절차 없이 복귀한 단말이라는 것을 인지한다. 그리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은 상기 단말(810)의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단말(810)이 상기 피코 기지국(820)에서 사용한 보안 키를 식별한 후,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한다(823단계).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은 상기 단말(810)이 상기 피코 기지국(820)에서 사용한 보안 키, 자신의 물리 셀 식별자 및 주파수 정보를 사용해서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은 상기 새로운 보안 키를 사용해서 MAC-I를 인증한다(825단계). 이후, 상기 단말(810)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830)과 상향링크/하향링크 트래픽을 송수신한다(827단계).
상기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결 복원 시 무선 베어러의 상황이 변경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말은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810)이 피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후 기존의 서비스를 중지하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시작한 경우,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가 현재의 무선 베어러 상황과 일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이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전에 서비스a, 서비스b를 사용하고 무선 베어러a, 무선 베어러b를 설정였으나,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한 후 상기 서비스a를 중지하고, 서비스c를 시작하였다면, 상기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에 대한 연결을 재설정하는 시점에 상기 서비스a에 대응되는 무선 베어러a는 더 이상 불필요하고, 상기 서비스c를 위한 새로운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어야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피코셀에서 매크로셀로 재접속 시 컨텍스트 정보 변경을 고려한 신호 교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을 참고하면, 피코 기지국(920)의 셀로 진입한 단말(910)은 매크로 기지국(930)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다(901단계).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과의 연결 복원을 위한 백업 구성(back-up configuration)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백업 구성 정보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과의 컨텍스트 정보를 유지해야하는 시간 길이를 나타내는 특정 타이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특정 타이머를 '타이머 X'라 칭한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은 상기 타이머 X의 값을 설정하고, 상기 타이머 X를 포함하는 상기 백업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한다.
상기 백업 구성 정보를 포함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 상기 단말(9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과 사용하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도 상기 단말(910)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한다(903단계). 이때, 상기 단말(910)은 상기 저장한 컨텍스트 정보가 어떤 셀에 대한 것인지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910)은 상기 저장한 사용자 컨텍스트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의 셀의 물리 계층 식별자 및 주파수 정보로 인덱싱한다. 또는, 상기 단말(910)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매크로셀의 CGI(Cell Global ID)로 인덱싱한다. 여기서, 상기 CGI는 동일 사업자의 시스템 내에서 각 셀에 부여된 유니크(unique)한 식별 정보로서, 예를 들어, 28 비트 크기이며, 셀의 시스템 정보로서 브로드캐스팅된다. 또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타이머 X의 만료 전까지 상기 단말(910)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에 저장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910)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은 상기 타이머 X가 만료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삭제한다.
이후, 상기 단말(9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으로 핸드오버 확인을 송신한다(905단계). 이로 인해, 상기 피코 기지국(920),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 상기 단말(910) 간 핸드오버 절차는 완료되고, 상기 단말(910)은 상기 피코 기지국(920)과 상향링크/하향링크 트래픽을 송수신한다(907단계). 상기 도 9에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핸드오버 과정은 MME 및 S-GW의 경로 스위칭 및 사용자 플레인 갱신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910)은 RLF를 인지한다(909단계). 다시 말해, 상기 단말(910)은 상기 피코 기지국(920)과의 연결이 유지되지 못함을 인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910)은 가장 최근에 접속했던 매크로셀인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을 우선적으로 검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910)은 현재의 서빙셀로 핸드오버 하기 전의 서빙셀에 대한 셀 검색 과정을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그 결과, 상기 단말(9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을 발견한다(911단계). 즉, 상기 단말(9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의 신호를 인지하고, 채널 품질이 특정 임계치 이상임을 판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910)은 발견한 셀에 대하여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913단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단말(910)은 상기 발견된 셀,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이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기지국인지 판단한다.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의 대응 여부는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인덱싱한 정보, 즉, 주파수 정보 및 물리 셀 식별자 또는 CGI의 일치 여부로 판단된다. 또한, 상기 단말(910)은 상기 타이머 X가 만료되기 전인지 판단한다. 상기 도 9에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이 대응되지 아니하거나 상기 타이머 X가 만료되었다면, 상기 단말(910)은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이 대응되고, 상기 타이머 X가 만료되기 전이므로, 상기 단말(910)은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재사용할 수 있음을 판단하고,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과의 무선 베어러 재생성한다(915단계). 즉, 상기 단말(910)은 마치 상기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한 것과 같이 동작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단말(910)은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C-RNTI를 사용하고,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한다. 상기 무선 베어러는 상기 단말(910)이 보유한 서비스별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910)이 상기 피코 기지국(920)으로 핸드오버 후 기존의 서비스를 중지하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시작한 경우,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가 현재의 무선 베어러 상황과 일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910)이 상기 피코 기지국(920)으로 핸드오버 전에 서비스a, 서비스b를 사용하고 무선 베어러a, 무선 베어러b를 설정였으나, 상기 피코 기지국(920)으로 핸드오버한 후 상기 서비스a를 중지하고, 서비스c를 시작하였다면, 상기 단말(910)이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에 대한 연결을 재설정하는 시점에 상기 서비스a에 대응되는 무선 베어러a는 더 이상 불필요하고, 상기 서비스c를 위한 새로운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새로이 시작된 서비스를 위한 무선 베어러의 정보가 상기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반영되지 아니한 경우, 즉, 상기 피코 기지국(920)으로 핸드오버 후 새로이 설정된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910)은 상기 새로이 설정된 무선 베어러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과 다시 생성하기 전까지 해당 서비스를 중단한다(917단계). 이어, 상기 단말(9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903)으로 연결의 복원을 요청하기 위해 회복 지시자(return indicator)를 송신한다(919단계). 이때, 상기 단말(910)은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반영된 무선 베어러 중 현 시점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아니하는 무선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상기 회복 지시자와 함께 송신한다.
상기 회복 지시자를 수신한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은 상기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 및 해지된 무선 베어러 정보를 참고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복원하고, 상기 단말(910)로 회복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921단계). 이어,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은 상기 피코 기지국(920)으로 상기 단말(810)에 대한 데이터의 포워딩 및 상기 단말(810)이 상기 피코 기지국(920)에서 사용하던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한다(923단계). 이에 따라, 상기 피코 기지국(920)은 상기 단말(810)의 컨텍스트 정보를 전달하고(925단계),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은 상기 피코 기지국(920)으로부터 수신한 컨텍스트 정보에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무선 베어러, 즉, 상기 복원을 통해 설정되지 아니한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설정되지 아니한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은 상기 단말(910)과 RRC 연결 재구성 절차를 통해 상기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무선 베어러를 생성한다(927단계). 이로 인해, 상기 단말(910)은 상기 917단계에서 중단된 서비스를 재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910)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930)은 상향링크/하향링크 트래픽을 송수신한다(929단계).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을 재설정하는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 및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피코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피코 기지국은 1001단계에서 매크로셀로부터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피코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를 요청받고, 수락 제어(admission control)을 통해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를 허용할 수 있음을 판단하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요청에 대한 ACK(ACKnowldege)를 송신한 후, 상기 단말이 상기 피코 기지국에 접속하는지 확인한다.
상기 단말이 상기 매크로셀로부터 핸드오버하여 상기 피코 기지국에 접속하면, 상기 피코 기지국은 10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해지할 것을 요청한다. 즉, 상기 피코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성공적으로 상기 피코 기지국에 접속하였으므로,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유지할 필요가 없음을 알린다.
이어, 상기 피코 기지국은 10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전체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정상적인 핸드오버 없이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재접속하는 상황을 대비하여,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이 정상적인 핸드오버 절차 없이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재접속해야하는 상황에서 RRC 연결 재설정 절차가 성공할 수 있도록, 상기 피코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제공한다. 상기 1005단계는 상기 1003단계에서 컨텍스트 정보의 해지를 요청함으로써 요구되는 단계로서, 상기 1003단계가 생략되면 상기 1005단계도 생략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피코 기지국은 10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가 변경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단말이 사용하는 측정(measurement) 구성, 무선 자원 관련 정보, 구체적으로, 베어러 구성 정보,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구성 정보, 물리 계층 관련 정보 등, C-RNTI, 보안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서비스의 종료 및 시작에 의해 무선 베어러가 생성 또는 소멸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컨텍스트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피코 기지국은 10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한다. 즉, 상기 피코 기지국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이 최신의 컨텍스트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한다. 이후, 상기 피코 기지국은 상기 1007단계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상기 도 10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피코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대한 신호 세기가 임계치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에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과의 연결이 핸드오버 없이 끊어진 후,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포워딩이 요청되면, 상기 피코 기지국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SN 상태 정보 및 상기 단말로 송신될 데이터들을 전달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101단계에서 피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피코 기지국의 피코셀로 핸드오버한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측정 보고에 따라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하고, 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완료한 후,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1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한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정상적인 핸드오버 절차 없이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재접속해야하는 상황에서 RRC 연결 재설정 절차가 성공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1101단계 및 상기 1103단계는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이후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폐기하였음을 전제로 수행된다. 따라서. 이전 컨텍스트 정보가 폐기되지 아니하면, 상기 1101단계 및 상기 1103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105단계로 진행하여 피코 기지국으로부터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피코셀로 핸드오버 한 후 상기 피코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피코 기지국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이 최신의 컨텍스트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1101단계에서 수신된 컨텍스트 정보 또는 폐기되지 아니한 이전 컨텍스트 정보 대비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1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갱신한다. 이후,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1105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1105단계에서,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1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이 요청되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단말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도 11에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앞서 랜덤 억세스 절차가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RRC 연결 재설정이 요청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1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송신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RRC 연결 재설정을 요청한 단말이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인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이 요청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RRC 연결 재설정을 요청한 단말이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이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1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201단계에서 피코셀로 핸드오버하는 단말로 시스템 정보를 저장할 것을 지시한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측정 보고에 따라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결정하고, 핸드오버를 위한 절차를 진행한 후, 상기 단말로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 시, 상기 핸드오버 명령과 함께 상기 시스템 정보의 저장을 지시한다.
이후,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시스템 정보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로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동작 상태 또는 설정 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2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코 기지국을 통해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송신한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 상기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갱신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피코 기지국은 상기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상기 단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 정보 갱신 메시지는 상기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지 아니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이 요청되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도 12에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앞서 랜덤 억세스 절차가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RRC 연결 재설정이 요청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209단계로 진행하여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매크로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아니하면,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절차는 실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1301단계에서 매크로셀에서 피코셀로 핸드오버 시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저장할 것이 지시되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핸드오버 명령과 함께 상기 시스템 정보의 저장이 지시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시스템 정보의 저장이 지시되면, 상기 단말은 1303단계로 진행하여 매크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시스템 정보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로서, MIB, SIB 등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 정보는 상기 <표 2>에 나타난 필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저장되는 시스템 정보가 어느 셀에 대한 것인지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물리 셀 식별자 및 중심 주파수 정보를 셀의 식별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1305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된 시스템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변경 시 상기 피코 기지국을 통해 상기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갱신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시스템 정보 갱신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 정보 갱신 메시지는 상기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변경된 시스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은 1307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된 시스템 정보를 갱신한다. 이로 인해, 상기 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한다.
반면, 상기 변경된 시스템 정보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단말은 1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코셀에서 RLF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피코 기지국과의 연결이 유지되지 못함을 인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피코 기지국과의 채널 품질이 기준 이하로 열악해지거나, 상기 피코 기지국의 동기 신호를 검출할 수 없으면, 상기 단말은 상기 RLF를 인지한다.
상기 RLF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은 1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대한 셀 검색 과정을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피코 기지국의 이전에 접속했던 기지국인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동기 신호 등의 검출을 시도한다.
이어, 상기 단말은 13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을 발견하였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는 채널 품질, 동기 신호의 검출 여부, 시스템 정보의 디코딩 가능 여부 등을 통해 판단된다.
상기 매크로 기지국을 발견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315단계로 진행하여 저장된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의 연결 재설정을 시도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단말은 상기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랜덤 억세스 관련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랜덤 억세스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RRC 연결 재설정을 요청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401단계에서 피코셀로 핸드오버하는 단말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할 것을 지시하고, 타이머 값을 전달한다. 여기서, 타이머 값은 상기 컨텍스트 정보의 저장을 유지할 시간을 지시한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측정 보고에 따라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결정하고, 핸드오버를 위한 절차를 진행한 후, 상기 단말로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 시, 상기 핸드오버 명령과 함께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접속 시 사용했던 컨텍스트 정보의 저장을 지시한다.
이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한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게 컨텍스트 정보의 저장을 지시하고, 동시에 스스로도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타이머의 만료 전까지 상기 단말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저장된다.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405단계로 진행하여 피코 기지국으로 제공하는 보안 키를 저장한다. 정상적으로 핸드오버가 수행되면, 서빙 기지국은 타겟 기지국이 사용할 보안 키를 생성하고, 상기 보안 키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피코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대해 사용할 보안 키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보안 키가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 전달되면, 상기 보안 키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게 필요 없는 정보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정상적인 핸드오버 없이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재접속하는 상황을 대비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 제공되는 보안 키를 저장한다.
상기 보안 키를 저장한 후, 상기 기지국은 1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타이머 만료 전 상기 단말로부터 복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정상적인 핸드오버나 RRC 연결 재설정 절차 없이 상기 단말이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의 연결을 재개하는 것을 요청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이다. 예를 들어, 상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연결 재개를 요청하는 회복 지시자, 보안 인증을 위한 MAC-I, 피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후 소멸된 무선 베어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만일, 상기 복구 요청 메시지의 수신 없이 상기 타이머가 만료한 경우,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본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 상기 타이머 만료 전에 상기 복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1403단계에서 저장한 컨텍스트 정보를 재사용 가능한지 판단한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이 상기 저장된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단말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복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송신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단말의 식별 정보를 비교한다.
상기 저장된 컨텍스트를 재사용 가능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4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을 위한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한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상기 피코 기지국에서 사용한 보안 키, 자신의 물리 셀 식별자 및 주파수 정보를 사용해서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한다. 이어, 상기 도 14에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새로운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복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MAC-I를 인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4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과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복구한다. 만일, 상기 1407단계에서 수신된 복구 요청 메시지에 소멸된 무선 베어러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소멸된 무선 베어러는 제외한 나머지 무선 베어러만을 복원한다. 그리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 연결의 회복 완료를 통지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복구한 후,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4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한다. 즉, 상기 1403단계에서 저장된 이후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가 변경되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최신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피코 기지국에게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4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최신의 컨텍스트 정보에 추가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최신의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 중 상기 1403단계에서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아니한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최신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코 셀로 핸드오버한 이후 생성된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는지, 이에 따라 추가적으로 생성할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추가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14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추가된 서비스를 위한 무선 베어러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단말과 트래픽을 송수신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1501단계에서 매크로셀에서 피코셀로 핸드오버시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컨텍스트 정보 저장 지시 및 타이머 값이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타이머 값은 상기 컨텍스트 정보의 저장을 유지할 시간을 지시한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핸드오버 명령과 함께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접속 시 사용했던 컨텍스트 정보의 저장이 지시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컨텍스트 정보의 저장 및 타이머 값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은 15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접속 중에 사용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저장한 컨텍스트 정보가 어떤 셀에 대한 것인지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은 상기 저장한 사용자 컨텍스트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셀의 물리 계층 식별자 및 주파수 정보로 인덱싱한다.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매크로셀의 CGI로 인덱싱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15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코셀에서 RLF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피코 기지국과의 연결이 유지되지 못함을 인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피코 기지국과의 채널 품질이 기준 이하로 열악해지거나, 상기 피코 기지국의 동기 신호를 검출할 수 없으면, 상기 단말은 상기 RLF를 인지한다.
상기 RLF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은 15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대한 셀 검색 과정을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피코 기지국의 이전에 접속했던 기지국인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동기 신호 등의 검출을 시도한다.
이어, 상기 단말은 1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을 발견하였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는 채널 품질, 동기 신호의 검출 여부, 시스템 정보의 디코딩 가능 여부 등을 통해 판단된다. 만일, 상기 매크로 기지국을 발견하지 못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본 절차를 종료한다.
상기 매크로 기지국을 발견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511단계로 진행하여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재사용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이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기지국인지 판단한다.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대응 여부는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인덱싱한 정보, 즉, 주파수 정보 및 물리 셀 식별자 또는 CGI의 일치 여부로 판단된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타이머 X가 만료되기 전인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재사용할 수 없으면, 상기 단말은 본 절차를 종료한다.
상기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재사용할 수 있으면, 상기 단말은 15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을 위한 보안 키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피코 기지국에서 사용하던 보안 키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물리 셀 식별자 및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서 사용할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한다. 즉, 상기 단말은 정상적인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NCC가 증가하지 아니한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15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코셀로 핸드오버한 후 추가된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피코셀로 핸드오버한 후 서비스를 새로이 생성함으로써 추가된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추가된 무선 베어러의 존재 여부는 최신의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 중 상기 1503단계에서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아니한 정보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된다.
상기 추가된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지 아니하면, 상기 단말은 15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1517단계에서 저장한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사용했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한다. 이때, 상기 피코셀로 핸드오버한 후 소멸된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면, 상기 단말은 상기 소멸된 무선 베어러를 제외한 나머지만을 재생성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한 후, 상기 단말은 15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정상적인 핸드오버나 RRC 연결 재설정 절차 없이 상기 단말이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의 연결을 재개하는 것을 요청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이다. 예를 들어, 상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연결 재개를 요청하는 회복 지시자, 보안 인증을 위한 MAC-I, 피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후 소멸된 무선 베어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가 복원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1515단계에서, 상기 추가된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면, 상기 단말은 1521단계로 진행하여 추가된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상기 피코셀에서 추가된 무선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서 상기 추가된 무선 베어러와 동일한 무선 베어러가 새로이 생성될 때까지, 상기 단말은 상기 추가된 무선 베어러를 통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어, 상기 단말은 15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1517단계에서 저장한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사용했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한다. 이때, 상기 피코셀로 핸드오버한 후 소멸된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면, 상기 단말은 상기 소멸된 무선 베어러를 제외한 나머지만을 재생성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한 후, 상기 단말은 15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정상적인 핸드오버나 RRC 연결 재설정 절차 없이 상기 단말이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의 연결을 재개하는 것을 요청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이다. 예를 들어, 상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연결 재개를 요청하는 회복 지시자, 보안 인증을 위한 MAC-I, 피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후 소멸된 무선 베어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1521에서 중단된 서비스를 위한 무선 베어러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매크로 기지국 및 상기 단말 간 상기 피코셀에서 사용하던 모든 무선 베어러가 복구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1602), 모뎀(1604), 저장부(1606), 제어부(16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부(1602)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1602)는 상기 모뎀(1604)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상기 모뎀(1604)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모뎀(1604)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모뎀(1604)은 상기 RF처리부(1602)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상기 모뎀(1604)는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품질을 측정하고, 동기 신호 등의 물리적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저장부(1606)는 상기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설정 정보, 임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 정보는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인증키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608)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기능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608)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모뎀(1604)로 제공하고, 상기 모뎀(1604)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패킷을 분석 및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8)는 상기 모뎀(1604)을 통해 수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해석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연산, 처리 등을 수행하고, 기지국으로 송신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8)는 상기 모뎀(1604)으로부터 제공되는 채널 품질 정보, 디코딩 성공률, 물리적 신호 검출 결과 등을 통해 채널 상황을 판단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608)는 피코셀에서 RLF가 발생할 때 매크로 기지국으로 재접속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재접속하기 위한 상기 제어부(1608)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르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8)는 상기 피코셀에서 RLF가 발생할 때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재접속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상기 제어부(1608)는 매크로셀에서 피코셀로 핸드오버 시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저장할 것이 지시됨을 확인하고, 핸드오버 후에도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가 폐기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시스템 정보를 상기 저장부(1606)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8)는 저장되는 시스템 정보가 어느 셀에 대한 것인지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물리 셀 식별자 및 중심 주파수 정보가 셀의 식별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서빙 기지국인 피코 기지국으로부터 변경된 시스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608)는 상기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1606)에 저장된 시스템 정보를 갱신한다. 이후, 상기 피코셀에서 RLF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608)는 상기 모뎀(1604)를 통해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대한 셀 검색 과정을 우선적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 상기 매크로 기지국을 발견하면, 상기 제어부(1606)에 저장된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의 연결 재설정을 시도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608)는 상기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랜덤 억세스 관련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랜덤 억세스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RRC 연결 재설정을 요청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르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8)는 상기 피코셀에서 RLF가 발생할 때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재접속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상기 제어부(1608)는 매크로셀에서 피코셀로 핸드오버시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컨텍스트 정보 저장 지시 및 타이머 값이 수신됨을 확인하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접속 중에 사용한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저장부(1606)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8)는 상기 저장한 컨텍스트 정보가 어떤 셀에 대한 것인지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셀의 물리 계층 식별자 및 주파수 정보로 인덱싱되거나, 또는, 매크로셀의 CGI로 인덱싱된다. 이후, 상기 피코셀에서 RLF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608)는 상기 모뎀(1604)을 통해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대한 셀 검색 과정을 우선적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 상기 매크로 기지국을 발견하면, 상기 저장부(1606)에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의 인덱싱 정보를 이용하여 발견된 매크로 기지국이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기지국인지 판단한다. 상기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재사용할 수 있으면, 상기 제어부(1608)는 상기 피코 기지국에서 사용하던 보안 키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물리 셀 식별자 및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서 사용할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하고, 상기 저장부(1606)에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사용했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한다. 이때, 상기 피코셀로 핸드오버한 후 소멸된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608)는 상기 소멸된 무선 베어러를 제외한 나머지만을 재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8)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복원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상기 모뎀(1604) 및 상기 RF처리부(1602)를 통해 송신한다. 단, 상기 피코셀로 핸드오버 후 새로이 추가된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8)는 상기 추가된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일시 중단하고, 상기 복구 요청 메시지 송신 후 상기 매크로 기지국과 중단된 서비스를 위한 무선 베어러를 생성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7에 도시된 구성은 피코 기지국 및 매크로 기지국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1702), 모뎀(1704), 저장부(1706), 백홀통신부(1708), 제어부(17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부(1702)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1702)는 상기 모뎀(1704)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상기 모뎀(1704)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모뎀(1704)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모뎀(1704)은 상기 RF처리부(1702)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상기 모뎀(1704)는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품질을 측정하고,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등의 물리적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저장부(1706)는 상기 기지국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설정 정보, 임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 정보는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인증키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백홀통신부(1708)는 백홀(backhaul) 망을 통해 다른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710)는 상기 기지국의 전반적인 기능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710)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모뎀(1704)로 제공하고, 상기 모뎀(1704)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패킷을 분석 및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10)는 상기 모뎀(1704)을 통해 수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해석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연산, 처리 등을 수행하고, 단말로 송신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10)는 상기 모뎀(1704)으로부터 제공되는 채널 품질 정보, 디코딩 성공률, 물리적 신호 검출 결과 등을 통해 채널 상황을 판단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710)는 피코셀에서 단말이 RLF를 겪은 때 상기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으로 재접속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단말이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재접속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상기 제어부(1708)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지국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르는 피코 기지국인 경우, 상기 제어부(171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매크로셀로부터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1710)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해지할 것을 요청한 후,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전체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한다. 단, 상기 전체 컨텍스트 정보 송신은 상기 컨텍스트 정보의 해지를 요청함으로써 요구되는 단계로서, 해지 요청이 수행되지 아니하면 상기 전체 컨텍스트 정보의 송신 동작도 생략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제어부(1710)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기지국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르는 매크로 기지국인 경우, 상기 제어부(171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단말이 피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한 후,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710)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저장부(1706)에 저장한다. 상기 컨텍스트 정보의 수신 및 저장 동작은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이후 상기 단말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폐기하였음을 전제로 수행된다. 따라서. 이전 컨텍스트 정보가 폐기되지 아니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의 수신 및 저장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의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710)는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1606)에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이 요청되면, 상기 제어부(1710)는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송신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RRC 연결 재설정을 요청한 단말이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인지 판단하고, 상기 RRC 연결 재설정을 요청한 단말이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이면,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1606)에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절차는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르는 매크로 기지국인 경우, 상기 제어부(171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상기 제어부(1710)는 피코셀로 핸드오버하는 단말로 시스템 정보를 저장할 것을 지시하고, 이후,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백홀통신부(1708)를 통해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 상기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갱신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변경된 시스템 정보는 상기 피코 기지국을 거쳐 상기 단말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단말로부터 RRC 연결 재설정이 요청되면, 상기 제어부(1710)는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1706)에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아니하면,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절차는 실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르는 매크로 기지국인 경우, 상기 제어부(171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상기 제어부(1710)는 피코셀로 핸드오버하는 단말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할 것을 지시하고, 타이머 값을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10)는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 제공할 보안 키를 생성하고, 상기 보안 키를 상기 저장부(1706)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타이머 만료 전에 상기 단말로부터 복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710)는 상기 저장부(1706)에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재사용 가능한지 판단하고, 상기 저장된 컨텍스트를 재사용 가능하면, 상기 단말을 위한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한다. 즉, 상기 제어부(1710)는 상기 단말이 상기 피코 기지국에서 사용한 보안 키, 자신의 물리 셀 식별자 및 주파수 정보를 사용해서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710)는 상기 저장부(1706)에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과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복구하고, 상기 단말로 연결의 회복 완료를 통지한다. 이때, 상기 복구 요청 메시지에 소멸된 무선 베어러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부(1710)는 상기 소멸된 무선 베어러는 제외한 나머지 무선 베어러만을 복구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복구한 후, 상기 제어부(1710)는 상기 백홀통신부(1708)를 통해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한다. 이어, 상기 피코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최신의 컨텍스트 정보에 추가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710)는 상기 추가된 서비스를 위한 무선 베어러를 생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0)

  1. 제1셀에서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셀을 담당하는 제1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기지국의 변경된 시스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셀에서 RLF가 발생하면, 상기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기지국으로의 재접속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셀의 커버리지는 상기 제1셀의 커버리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으로의 재접속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랜덤 억세스 관련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기지국으로의 랜덤 억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
  3. 제1셀에서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셀에서 사용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제2셀에서 RLF가 발생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셀을 담당하는 제1기지국과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기지국으로 회복 지시자(return indicator)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셀의 커버리지는 상기 제1셀의 커버리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정보의 저장을 유지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의 값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폐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과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 중 상기 제2셀로 핸드오버 후 소멸된 무선 베어러를 제외한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복 지시자는, 상기 소멸된 무선 베어러를 알리는 정보와 함께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과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한 후, 상기 제2셀로 핸드오버 후 생성된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중단하는 과정과,
    상기 회복 지시자를 송신한 후, 중단된 서비스를 위한 무선 베어러를 생성하는 과정과,
    중단된 서비스를 재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에서 사용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컨텍스트를 상기 제1기지국의 셀의 물리 계층 식별자, 주파수 정보, 상기 제1셀의 CGI(Cell Global ID) 중 적어도 하나로 인덱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셀에서 RLF가 발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하기에 앞서, 상기 제1기지국에 대한 셀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기지국이 발견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의 인덱싱을 이용하여 상기 제1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기지국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복 지시자를 송신하기에 앞서,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을 위한 보안 키, 상기 제1기지국의 물리 셀 식별자 및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기지국을 위한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복 지시자는, 상기 새로운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생성된 메시지 인증 코드와 함께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
  12. 단말이 제1셀로부터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면, 상위 노드로 상기 단말에 대한 경로 스위칭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제1셀을 담당하는 제1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셀의 커버리지는 상기 제1셀의 커버리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스위칭을 요구한 후, 상기 제1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해지할 것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제1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전체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
  14. 단말이 제1셀로부터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셀의 커버리지는 상기 제1셀의 커버리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제1셀로부터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상기 제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의 해지를 요청받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폐기하는 과정과,
    제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전체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전체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
  16. 단말이 제1셀로부터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알리는 시스템 정보 갱신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을 통해 상기 시스템 정보 갱신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셀의 커버리지는 상기 제1셀의 커버리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
  17. 단말이 제1셀에서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셀에서 사용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회복 지시자(return indicator)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복구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셀의 커버리지는 상기 제1셀의 커버리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상기 컨텍스트 정보의 저장을 유지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의 값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폐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복 지시자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2셀로 핸드오버 후 소멸된 무선 베어러를 알리는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 중 상기 후 소멸된 무선 베어러를 제외한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복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복구한 후,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최신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제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최신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최신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2셀로 핸드오버한 후 새로이 추가된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추가된 무선 베어러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제1셀에서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을 위한 보안 키를 상기 제2기지국으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보안 키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회복 지시자가 수신되면, 상기 제2기지국을 위한 보안 키, 자신의 물리 셀 식별자 및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을 위한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회복 지시자는, 메시지 인증 코드와 함께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인증 코드를 인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
  26. 제1셀에서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셀을 담당하는 제1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기지국의 변경된 시스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제2셀에서 RLF가 발생하면, 상기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기지국으로의 재접속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셀의 커버리지는 상기 제1셀의 커버리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기지국으로 재접속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랜덤 억세스 관련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기지국으로의 랜덤 억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
  28. 제1셀에서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셀에서 사용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2셀에서 RLF가 발생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셀을 담당하는 제1기지국과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기지국으로 회복 지시자(return indicator)를 송신하는 모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셀의 커버리지는 상기 제1셀의 커버리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제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정보의 저장을 유지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의 값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기지국과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 중 상기 제2셀로 핸드오버 후 소멸된 무선 베어러를 제외한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회복 지시자는, 상기 소멸된 무선 베어러를 알리는 정보와 함께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기지국과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한 후 상기 제2셀로 핸드오버 후 생성된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중단하고, 상기 회복 지시자를 송신한 후 중단된 서비스를 위한 무선 베어러를 생성한 후, 중단된 서비스를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셀에서 사용한 컨텍스트 정보 저장 시, 상기 컨텍스트를 상기 제1기지국의 셀의 물리 계층 식별자, 주파수 정보, 상기 제1셀의 CGI(Cell Global ID) 중 적어도 하나로 인덱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셀에서 RLF가 발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하기에 앞서 상기 제1기지국에 대한 셀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제1기지국이 발견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의 인덱싱을 이용하여 상기 제1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기지국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
  3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복 지시자를 송신하기에 앞서,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을 위한 보안 키, 상기 제1기지국의 물리 셀 식별자 및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기지국을 위한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회복 지시자는, 상기 새로운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생성된 메시지 인증 코드와 함께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
  37. 단말이 제1셀로부터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면, 상위 노드로 상기 단말에 대한 경로 스위칭을 요청하는 제어부와,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제1셀을 담당하는 제1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백홀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셀의 커버리지는 상기 제1셀의 커버리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 스위칭을 요구한 후, 상기 제1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해지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제1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전체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39. 단말이 제1셀로부터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백홀 통신부와,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갱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셀의 커버리지는 상기 제1셀의 커버리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제1셀로부터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상기 제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의 해지를 요청받고,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폐기한 후, 제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전체 컨텍스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의 전체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41. 단말이 제1셀로부터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알리는 시스템 정보 갱신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을 통해 상기 시스템 정보 갱신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백홀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셀의 커버리지는 상기 제1셀의 커버리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42. 단말이 제1셀에서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셀에서 사용한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단말로부터 회복 지시자(return indicator)를 수신하는 모뎀과,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복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셀의 커버리지는 상기 제1셀의 커버리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단말로 상기 컨텍스트 정보의 저장을 유지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의 값을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회복 지시자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2셀로 핸드오버 후 소멸된 무선 베어러를 알리는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과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재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 중 상기 후 소멸된 무선 베어러를 제외한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복구한 후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최신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최신의 컨텍스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최신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2셀로 핸드오버한 후 새로이 추가된 무선 베어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추가된 무선 베어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47.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제1셀에서 제2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2셀을 담당하는 제2기지국을 위한 보안 키를 상기 제2기지국으로 제공하고, 상기 보안 키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복 지시자가 수신되면, 상기 제2기지국을 위한 보안 키, 자신의 물리 셀 식별자 및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을 위한 새로운 보안 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회복 지시자는, 메시지 인증 코드와 함께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새로운 보안 키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인증 코드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KR1020100050277A 2010-05-28 2010-05-28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24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277A KR101724371B1 (ko) 2010-05-28 2010-05-28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3510035A JP5622930B2 (ja) 2010-05-28 2011-05-27 セルが重畳され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性を支援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方法
PCT/KR2011/003927 WO2011149316A2 (en) 2010-05-28 2011-05-27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in a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180035667.XA CN103026753B (zh) 2010-05-28 2011-05-27 在异构无线通信系统中支持移动性的装置和方法
US13/117,412 US10237907B2 (en) 2010-05-28 2011-05-27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in a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1786948.7A EP2578018B1 (en) 2010-05-28 2011-05-27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in a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277A KR101724371B1 (ko) 2010-05-28 2010-05-28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782A true KR20110130782A (ko) 2011-12-06
KR101724371B1 KR101724371B1 (ko) 2017-04-10

Family

ID=4500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277A KR101724371B1 (ko) 2010-05-28 2010-05-28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37907B2 (ko)
EP (1) EP2578018B1 (ko)
JP (1) JP5622930B2 (ko)
KR (1) KR101724371B1 (ko)
CN (1) CN103026753B (ko)
WO (1) WO2011149316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6179A (ko) * 2013-08-02 2015-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망 통신 환경에서 망 선택 및 트래픽 분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5020449A1 (ko) * 2013-08-09 2015-0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듀얼 커넥티비티 지원을 위한 pdcp 분산 구조의 보안 키 생성 및 관리 방안
KR20150103063A (ko) * 2012-12-28 201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Scell 및 ue 사이의 암호화 정보 동기 방법
KR20160033072A (ko) * 2013-07-17 2016-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링크 제어 재송신 실패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893848B2 (en) 2012-06-15 2018-02-13 Kt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carrier aggregation between digital units,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in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978B1 (ko) * 2008-08-06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8526933B2 (en) * 2009-06-23 2013-09-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s to reconfigure a radio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448131B (zh) * 2010-09-30 2015-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消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2740494A (zh) * 2011-04-02 2012-10-17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进行随机接入的方法
KR101932107B1 (ko) 2011-05-02 2018-12-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access 수행 및 제어 방법과 장치
GB2490968A (en) 2011-05-20 2012-11-21 Nec Corp Sharing radio access networks fairly between multiple operators
WO2013007313A1 (en) * 2011-07-14 2013-01-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activation of dedicated bearers
CN102883441B (zh) * 2011-07-15 2015-04-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宽带通信方法和装置
US8395985B2 (en) 2011-07-25 2013-03-12 Ofinno Technologies, Llc Time alignment in multicarrier OFDM network
EP2557890B1 (en) * 2011-08-12 2019-07-17 BlackBerry Limited Simplified ue + enb messaging
JP5767530B2 (ja) * 2011-08-15 2015-08-19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8848592B2 (en) * 2011-08-15 2014-09-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SG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763445A4 (en) * 2011-09-30 2015-03-25 Fujitsu Ltd METHOD FOR IMPLEMENTING MULTIMEDIA BROADCAST / MULTICAST SERVICE, DOMESTIC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GB2496611B (en) * 2011-11-15 2014-11-26 Broadcom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device
WO2013074461A1 (en) 2011-11-15 2013-05-23 Kyocera Corporation Handover signaling using an mbsfn channel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WO2013074458A1 (en) * 2011-11-15 2013-05-23 Kyocera Corporation Node detec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US9872275B2 (en) 2011-11-15 2018-01-16 Kyocera Corporation Inter-cell messaging using MBSFN Subframe
WO2013093192A1 (en) * 2011-12-19 2013-06-27 Nokia Corporation Deterministic user equipment barring
US9820210B2 (en) * 2011-12-22 2017-11-14 Nec Corporation Bas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base station
CN105916140B (zh) * 2011-12-27 2019-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间载波聚合的安全通讯方法及设备
US8995405B2 (en) 2012-01-25 2015-03-31 Ofinno Technologies, Llc Pathloss reference configur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US8964683B2 (en) 2012-04-20 2015-02-24 Ofinno Technologies, Llc Sounding signal in a multicarrier wireless device
US8964780B2 (en) 2012-01-25 2015-02-24 Ofinno Technologies, Llc Sounding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US9237537B2 (en) 2012-01-25 2016-01-12 Ofinno Technologies, Llc Random access process in a multicarrier base station and wireless device
EP2813023A1 (en) * 2012-02-10 2014-12-1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nter-site carrier aggregation
US9008660B2 (en) * 2012-03-01 2015-04-1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to improve reestablishment success rate in LTE system-at source ENB during ping pongs
US20130259008A1 (en) 2012-04-01 2013-10-03 Esmael Hejazi Dinan Random Access Response Pro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3151651A1 (en) 2012-04-01 2013-10-10 Dinan Esmael Hejazi Cell group configur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with timing advance groups
US11943813B2 (en) 2012-04-01 2024-03-2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ell group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11825419B2 (en) 2012-04-16 2023-11-2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ell timing in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US11582704B2 (en) 2012-04-16 2023-02-1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ignal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in a wireless device
EP2839705B1 (en) 2012-04-16 2017-09-0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ell group configuration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multicarrier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with timing advance groups
US8964593B2 (en) 2012-04-16 2015-02-24 Ofinno Technologies, Llc Wireless device transmission power
US8958342B2 (en) 2012-04-17 2015-02-17 Ofinno Technologies, Llc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a multicarrier wireless device
US11252679B2 (en) 2012-04-16 2022-02-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ignal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in a wireless device
US9179425B2 (en) 2012-04-17 2015-11-03 Ofinno Technologies, Llc Transmit power control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s
US9510387B2 (en) * 2012-05-04 2016-11-29 Nokia Technologies Oy Recovering connection in LTE local area network for EPS and local services
WO2013169006A1 (en) * 2012-05-08 2013-11-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03973B2 (en) 2012-05-11 2016-11-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saving
US20150092696A1 (en) * 2012-05-21 2015-04-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adio bearer for user equipment
US8824411B2 (en) * 2012-05-24 2014-09-02 Apple Inc. Tune-away detection based adaptive link adaptation for hybrid transceivers
JP6429396B2 (ja) * 2012-06-08 2018-11-28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基地局、ユーザ機器、および通信方法
US8971298B2 (en) 2012-06-18 2015-03-03 Ofinno Technologies, Llc Wireless device connection to an application server
US9210619B2 (en) 2012-06-20 2015-12-08 Ofinno Technologies, Llc Signalling mechanisms for wireless device handover
US11882560B2 (en) 2012-06-18 2024-01-2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arrier grouping in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s
US9084228B2 (en) 2012-06-20 2015-07-14 Ofinno Technologies, Llc Auto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107206B2 (en) 2012-06-18 2015-08-11 Ofinne Technologies, LLC Carrier grouping in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s
US9113387B2 (en) * 2012-06-20 2015-08-18 Ofinno Technologies, Llc Handover signalling in wireless networks
US9179457B2 (en) 2012-06-20 2015-11-03 Ofinno Technologies, Llc Carrier configuration in wireless networks
US11622372B2 (en) 2012-06-18 2023-04-0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mmunication device
JP5871737B2 (ja) * 2012-07-05 2016-03-01 Kddi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基地局、無線通信方法、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2000567B1 (ko) * 2012-07-11 201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백홀 링크 형성 장치 및 방법
CN103581942B (zh) * 2012-07-31 2017-08-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无线链路失败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2833802B (zh) 2012-08-15 2015-09-2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转发方法及设备
GB2504978B (en) * 2012-08-16 2014-11-12 Ip Access Ltd Network element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JP6023530B2 (ja) * 2012-09-25 2016-11-09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方法
JP6140960B2 (ja) * 2012-09-25 2017-06-07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方法
CN109089332B (zh) 2012-09-25 2021-10-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链路失败处理方法、小小区及移动通信系统
CN103716885B (zh) * 2012-09-28 2017-09-2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本地承载管理方法及设备
CN103716813B (zh) * 2012-09-28 2017-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链路质量信息处理方法和基站
US9119182B2 (en) 2012-10-19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xpression use during D2D communications in a LTE based WWAN
WO2014088476A1 (en) * 2012-10-19 2014-06-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ent distribution within a sub - cell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150237668A1 (en) * 2012-10-26 2015-08-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figuring state of cell at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apparatus therefor
US20150237545A1 (en) * 2012-10-30 2015-08-20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progra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03813375B (zh) * 2012-11-14 2017-11-21 华为技术有限公司 测量处理方法及终端、小基站
US9596636B2 (en) * 2012-12-03 2017-03-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performed by a network node, network node and computer program for supporting cell selection of user equip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140074649A (ko) * 2012-12-10 2014-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성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4012137B (zh) * 2012-12-21 2019-01-15 华为技术有限公司 最小化路测测量方法、用户设备和网络设备
CN114449603A (zh) 2012-12-24 2022-05-0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基站及由其执行的方法
CN103906152B (zh) * 2012-12-24 2022-02-2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支持ue快速恢复的方法
WO2014103097A1 (ja) 2012-12-28 2014-07-03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通信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ES2703055T3 (es) 2012-12-28 2019-03-06 Nec Corp Movimiento intercélulas en escenario de mejora de células pequeñas
US9973986B2 (en) * 2013-01-17 2018-05-15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ity optimiz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WO2014113919A1 (en) * 2013-01-22 2014-07-31 Broadcom Corporation Addressing communication failure in multiple connection systems
EP2982176B1 (en) * 2013-04-04 2021-03-10 Nokia Technologies Oy Small cell offloading command
EP2982170B1 (en) * 2013-04-05 2020-06-1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Avoid key mismatch in security handling for multi frequency band
US9549350B2 (en) 2013-04-15 2017-01-1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over management
CN104105221B (zh) * 2013-04-15 2019-05-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双连接的实现方法及基站
GB2513313A (en) * 2013-04-22 2014-10-29 Sony Corp Infrastructure equipmen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EP2995164B1 (en) * 2013-05-08 2019-07-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cket data transfer re-establishment
US20140335861A1 (en) * 2013-05-08 2014-11-13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over Management
CN104284357B (zh) * 2013-07-02 2018-10-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处理数据传输异常的方法及系统、宏基站
WO2015019406A1 (ja) 2013-08-05 2015-02-12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端末、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10624005B2 (en) 2013-08-08 2020-04-1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y algorithm identity selection
US9301331B2 (en) * 2013-09-13 2016-03-29 Intel IP Corporation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s,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same
US9775048B2 (en) 2013-09-24 2017-09-26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ance of a user equipment (UE) in unlicensed spectrum
US10356623B2 (en) 2013-09-24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erforming carrier sense adaptive transmission in unlicensed spectrum
US10542435B2 (en) 2013-09-24 2020-01-21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sense adaptive transmission (CSAT) in unlicensed spectrum
KR20150041573A (ko) * 2013-10-04 2015-04-16 (주)휴맥스 홀딩스 Lte 복수 기지국 연결 시 핸드오버 메세지 송수신 방법
CN104581698B (zh) * 2013-10-14 2018-01-30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双连接用户标识确定方法及宏小区基站和小小区基站
US10419989B2 (en) * 2013-10-16 2019-09-1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Direct link mode for small cells of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P3108679B1 (en) * 2014-02-21 2017-05-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s for protection of control plane functionality
CN104936169B (zh) * 2014-03-18 2018-09-04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安全验证处理方法、装置、终端及基站
WO2016004627A1 (zh) * 2014-07-11 2016-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切换的方法、基站及系统
CN105307220A (zh) * 2014-07-15 2016-0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D2d业务的切换实现方法及装置
US10070364B2 (en) * 2014-07-21 2018-09-04 Intel IP Corporation Neighbor cell system information provisioning
US10045281B2 (en) * 2014-10-23 2018-08-0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1395157B2 (en) * 2014-11-07 2022-07-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ptimized detection of unnecessary inter-RAT handover
WO2016121670A1 (ja) * 2015-01-30 2016-08-04 京セラ株式会社 ユーザ端末及び基地局
US20160316373A1 (en) * 2015-04-27 2016-10-2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anaging security mode command (smc) integrity failures at a user equipment (ue)
JP6562427B2 (ja) * 2015-05-29 2019-08-21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セルクラスタ内でシステム情報を取得する方法、関連する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US10085248B2 (en) 2015-08-14 2018-09-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therein, for sending one or more control signals to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JP6208296B1 (ja) * 2015-11-05 2017-10-0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接続確立方法
WO2017171466A1 (en) * 2016-04-01 2017-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supportive of recovering ue context between base stations
KR102502279B1 (ko) * 2016-07-08 2023-0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EP3799477A1 (en) * 2016-07-13 2021-03-3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EP3496458A4 (en) * 2016-08-12 2019-07-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EP3524001A1 (en) * 2016-10-04 2019-08-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tection of potential system reference conflicts
BR112019013483A2 (pt) 2016-12-30 2020-01-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étodo de restabelecimento de ligação, aparelho de comunicação, meio de armazenamento legível por computador, programa, e sistema
WO2018170890A1 (zh) * 2017-03-24 2018-09-27 富士通株式会社 系统信息指示方法及其装置、通信系统
WO2018227480A1 (en) 2017-06-15 2018-12-20 Qualcomm Incorporated Refreshing security keys in 5g wireless systems
CN113301596B (zh) 2017-11-24 2023-06-06 北京禾怡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方法及装置
WO2019227446A1 (zh) * 2018-05-31 2019-12-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Ac限制方法及装置
US11032750B2 (en) * 2018-07-10 2021-06-08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make-before-break (MBB) handover failure
EP3906716B1 (en) * 2019-01-04 2023-12-13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lmn selection and cell (re) selection
CN111586769B (zh) * 2019-02-15 2021-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切换方法、装置及系统
US11425616B2 (en) 2019-10-17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security ke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135299A (zh) * 2020-09-25 2020-12-25 大连市共进科技有限公司 5g物理小区标识配置方法、装置和终端设备
GB2600088B (en) * 2020-10-07 2023-06-14 British Telecomm A method of operating user equipment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WO2024073748A1 (en) * 2022-09-29 2024-04-04 Google Llc Managing communication failures in a user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1244A (ja) * 2008-06-27 2010-01-14 Ntt Docomo Inc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局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5058B1 (en) * 1998-12-04 2003-01-07 Motorola, Inc.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o wake up a mobile station
JP2001103531A (ja) * 1999-09-30 2001-04-13 Nec Corp 無線lan基地局選択装置
US7050793B1 (en) * 2001-04-04 2006-05-23 Nortel Networks Limited Context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in support of mobility
US7206579B2 (en) * 2001-12-21 2007-04-17 Ntt Docomo, Inc. Adaptive IP handoff triggering and iterative tuning of IP handoff trigger timing
US7251227B2 (en) * 2002-10-04 2007-07-31 M-Stack Limited Access stratum manager
US8218530B2 (en) * 2006-01-05 2012-07-10 Qualcomm Incorporated Seamless handoff between access networks with saved session information
GB0602402D0 (en) * 2006-02-07 2006-03-15 Lucent Technologies Inc Interworking between communication systems
WO2008103084A1 (en) * 2007-02-20 2008-08-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over from a macro cell back to a femto cell
CN101803236A (zh) 2007-08-08 2010-08-11 三星电子株式会社 在具有私有网络小区的无线通信系统中连接无线链路的装置和方法
EP2028890B1 (en) * 2007-08-12 2019-01-02 LG Electronics Inc. Handover method with link failure recovery,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for implementing such method
JP5167769B2 (ja) * 2007-11-09 2013-03-21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
ES2647943T3 (es) * 2007-12-06 2017-1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étodo para actualizar la información de capacidad de UE en una red de telecomunicaciones móvil
WO2009096883A1 (en) * 2008-01-18 2009-08-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link failure recovery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8699450B2 (en) 2008-05-11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handoff
JP5133127B2 (ja) 2008-05-15 2013-01-30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909236B2 (en) * 2008-08-22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Provisioning femtocell deployment information
KR20100037262A (ko) 2008-10-01 2010-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펨토 셀에서의 핸드 오버 개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72885B1 (ko) * 2008-10-30 2015-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기지국 정보 전송 방법
KR20100048350A (ko) * 2008-10-31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소형 셀 운영 장치 및 방법
US20100113027A1 (en) * 2008-11-01 2010-05-06 Broadband Wireless Technology Corp Apparatus, Method, And Tangible Machine-Readable Medium Thereof For CallBack HandOver Procedure In A FemTo-Network
US20110007719A1 (en) * 2008-11-26 2011-01-13 Chi-Chen Lee Method for setting transmission tim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N101466125A (zh) 2008-12-10 2009-06-24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处理方法、家庭基站网关及网络系统
CN102804850B (zh) * 2009-06-26 2015-06-10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在切换失败时记录测量结果的方法
WO2011072727A1 (en) * 2009-12-16 2011-06-23 Nokia Siemens Networks Oy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1244A (ja) * 2008-06-27 2010-01-14 Ntt Docomo Inc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局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3848B2 (en) 2012-06-15 2018-02-13 Kt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carrier aggregation between digital units,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in the same
KR20150103063A (ko) * 2012-12-28 201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Scell 및 ue 사이의 암호화 정보 동기 방법
US10938517B2 (en) 2013-07-17 2021-03-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a radio link control re transmission failure and a device therefor
KR20160033072A (ko) * 2013-07-17 2016-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링크 제어 재송신 실패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16179A (ko) * 2013-08-02 2015-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망 통신 환경에서 망 선택 및 트래픽 분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9930016B2 (en) 2013-08-09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urity key gener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PDCP distributed structure for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KR20150018265A (ko) * 2013-08-09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커넥티비티 지원을 위한 pdcp 분산 구조의 보안 키 생성 및 관리 방안
US10142299B2 (en) 2013-08-09 2018-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urity key gener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PDCP distributed structure for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US10404666B2 (en) 2013-08-09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urity key gener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PDCP distributed structure for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US10601792B1 (en) 2013-08-09 2020-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urity key gener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PDCP distributed structure for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US10601791B2 (en) 2013-08-09 2020-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urity key gener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PDCP distributed structure for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WO2015020449A1 (ko) * 2013-08-09 2015-0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듀얼 커넥티비티 지원을 위한 pdcp 분산 구조의 보안 키 생성 및 관리 방안
US11050727B2 (en) 2013-08-09 2021-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urity key gener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PDCP distributed structure for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37907B2 (en) 2019-03-19
JP5622930B2 (ja) 2014-11-12
WO2011149316A2 (en) 2011-12-01
CN103026753B (zh) 2017-06-09
EP2578018A2 (en) 2013-04-10
US20110294508A1 (en) 2011-12-01
CN103026753A (zh) 2013-04-03
KR101724371B1 (ko) 2017-04-10
EP2578018A4 (en) 2017-01-11
EP2578018B1 (en) 2020-04-22
WO2011149316A3 (en) 2012-02-23
JP2013526239A (ja)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371B1 (ko) 셀들이 중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07171B1 (ko) 제1 무선접속기술과 제2 무선접속기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이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60177B1 (ko) NB-IoT 단말의 이동성 처리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US201802278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artial handover for continuous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80014941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소모 전력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9622286B2 (en) Reduced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vity
KR10207816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셀 서비스 영역이 작은 셀에 대한 이동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6433084B2 (ja) 複数の通信システムで基地局を探索する方法及びこのための装置
KR102208633B1 (ko) 단말에서 시스템 프레임 번호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이동 통신 시스템
US905544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integrity protection
JP6586512B2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JP2019009810A (ja) 通信制御方法
EP3641401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ell connection from wireless la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providing valid information on peripheral wireless lan access points
KR10191981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변 셀을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106506A (ko) 차세대 이동통신에서 대기 모드 동작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133194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액티브 모드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ES2944343T3 (es) Métodos y aparatos para soportar la comunicación de relé de UE a red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o
EP3384724A1 (en) Light-weight rrc connection setup in multi-rat network
CN114615719A (zh) 无线通信系统中支持ue到网络的中继通信的方法和设备
EP3408984B1 (en) Key management for ciot
WO2012155595A1 (zh) 一种无线资源控制连接恢复方法、基站及终端
WO2011134138A1 (zh) 向家庭基站过晚切换原因的确定方法及系统
JP2022002415A (ja) 方法及びuser equipment
KR2014014681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무선 접속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02203B1 (ko) Wlan 무선자원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