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505A -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505A
KR20110129505A KR1020100048896A KR20100048896A KR20110129505A KR 20110129505 A KR20110129505 A KR 20110129505A KR 1020100048896 A KR1020100048896 A KR 1020100048896A KR 20100048896 A KR20100048896 A KR 20100048896A KR 20110129505 A KR20110129505 A KR 20110129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resin
pores
urethane resin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석
Original Assignee
윤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석 filed Critical 윤종석
Priority to KR1020100048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9505A/ko
Publication of KR20110129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40Impregnation
    • C08J9/42Impregnation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기가 발산되는 합성수지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향료성분이 안정적으로 침착되도록 하여 보다 장기간동안 향기가 발산되는 발향성수지를 얻을 수 있도록 우레탄수지(1)를 진공상태에서 70∼74 시간동안 55∼65℃로 가열하여 우레탄수지(1)의 내부에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기공(2)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기공(2)이 형성된 우레탄수지(1)를 22∼26 시간동안 36∼44℃의 상태에서 점액상의 향정유(3)에 침수시키어 점액상의 향정유(3)가 상기 기공(2)의 내부에 침투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기공에 향정유(3)가 침투된 우레탄수지를 22∼26 시간동안 18∼30℃ 상태에서 건조시키어 향정유(3)가 기공(2)의 내부에서 점착되도록 된 제3단계로 이루어진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A Methode of the fragrant synthetic resin}
본 발명은 향기가 발산되는 합성수지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향료성분이 안정적으로 침착되도록 하여 보다 장기간동안 향기가 발산되는 발향성수지를 얻을 수 있도록 된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향은 그 특성에 따라 사람의 감정을 안정 및 흥분시키는 것으로, 최근에는 여러 가지 신경, 정신질환을 치료하는 향치료법이 개발되기도 하는 등 향에 대한 관심과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도시화, 산업화로 인해 대다수의 현대인들은 정신적인 피로와 심리적인 불안을 느끼고 있는데, 이에 대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여 정서적인 안정을 꾀하며, 담배냄새나 음식냄새 등의 생활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별도의 방향제품을 구비해 두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와 같은 방향제품 중에 대표적인 것으로는 표면에 향료를 도포하여 향기가 발하도록 된 합성수지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발향성 합성수지는 표면에만 향료가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방향효과가 오랫동안 유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사용되는 중에 표면에 도포된 향료성분이 기화되어 손실됨에 따라 향이 지속적으로 발산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다공성 고분자 합성수지의 내부에 구비된 다공홀에 향료성분을 점착시켜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향료성분이장시간 사용되더라도 활발하게 기화되지 않도록 하여 장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향을 발산하도록 된 합성수지시트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시트로는 한국실용신안등록제20-259181호(명칭: 향기나는 합성수지시트)가 있으며, 그 구조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가구용 장식마감시트 또는 비닐장판 등과 같은 합성수지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합성수지 성형재료에 발향체가 혼합된 것으로, 상기 발향체는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다공성고분자합성수지, 다공성무기재료 등으로 된 캐리어에 향료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발향성 케리어를 합성수지와 혼합하여 제품을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내부에 발향성물질(발향체)가 마련되도록 하여 향료성분이 활발하게 기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향성수지는 내부에 발향체가 구비되어 있으나, 내부에 존재하는 발향체에서 향이 발산되더라도 제품의 외부로는 용이하게 향이 발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발향체의 외부가 합성수지에 의해 감사여 있어 향이 이동되지 못하여 방향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은 향료성분이 안정적으로 내부에 침착됨은 물론 발산되는 향이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장기간동안 향기가 발산되는 발향성수지를 얻을 수 있도록 된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은 우레탄수지를 진공상태에서 70∼74 시간동안 55∼65℃로 가열하여 우레탄수지의 내부에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기공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기공이 형성된 우레탄수지를 22∼26 시간동안 36∼44℃의 상태에서 점액상의 향정유에 침수시키어 점액상의 향정유가 상기 기공의 내부에 침투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기공에 향정유가 침투된 우레탄수지를 22∼26 시간동안 18∼30℃ 상태에서 건조시키어 향정유가 기공의 내부에서 점착되도록 된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은 서로 연통된 다수의 기공의 내부에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으면서 오로지 향정유만이 점착되어 있어, 향료성분이 안정적으로 내부에 침착됨은 물론 발산되는 향이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되어 보다 장기간동안 향기가 발산되는 발향성수지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발향성수지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발향성수지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의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은 우레탄수지를 진공상태에서 70∼74 시간동안 55∼65℃로 가열하여 우레탄수지(1)의 내부에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기공(2)을 형성하는 제1단계를 가진다.
이와 같이 제1단계를 통해 우레탄수지(1)가 70∼74 시간동안 55∼65℃로 가열되면 우레탄수지의 내부에 다수의 기공(2)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한 기공(2) 및 기공들간의 통로는 진공상태에서 형성됨에 따라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기공(2)이 형성된 우레탄수지(1)를 22∼26 시간동안 36∼44℃의 상태에서 점액상의 향정유(3)에 침수시키어 점액상의 향정유(3)가 상기 기공(2)의 내부에 침투되도록 하는 제2단계를 더욱 가진다.
이와 같이 2단계를 통해 기공(2) 및 기공(2)들의 연결통로에 향정유(3)가 침투될 때에는 기공(2) 및 연결통로상에 별도의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아 용이하게 향정유(3)가 침투되어 기공(2) 및 연결통로상에 자리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기공(2)에 향정유(3)가 침투된 우레탄수지(1)를 22∼26 시간동안 18∼30℃ 상태에서 건조시키어 향정유(3)가 기공(2)의 내부에서 점착되도록 된 제3단계를 가진다.
이와 같이 제3단계를 통해 향정유(3)가 기공의 내부에서 점착되어 용이하게 안착되어 발향성수지가 제조된다.
그리고 제조된 발향성수지를 원하는 형상으로 재단 또는 성형하여 제품을 제조하여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서로 연통된 다수의 기공의 내부에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으면서 오로지 향정유만이 점착되어 있어, 향료성분이 안정적으로 내부에 침착됨은 물론 발산되는 향이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되어 보다 장기간동안 향기가 발산된다.
1 : 우레탄수지, 2 : 기공,
3 : 향정유.

Claims (1)

  1. 우레탄수지를 진공상태에서 70∼74 시간동안 55∼65℃로 가열하여 우레탄수지의 내부에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기공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기공이 형성된 우레탄수지를 22∼26 시간동안 36∼44℃의 상태에서 점액상의 향정유에 침수시키어 점액상의 향정유가 상기 기공의 내부에 침투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기공에 향정유가 침투된 우레탄수지를 22∼26 시간동안 18∼30℃ 상태에서 건조시키어 향정유가 기공의 내부에서 점착되도록 된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
KR1020100048896A 2010-05-26 2010-05-26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 KR20110129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896A KR20110129505A (ko) 2010-05-26 2010-05-26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896A KR20110129505A (ko) 2010-05-26 2010-05-26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505A true KR20110129505A (ko) 2011-12-02

Family

ID=45498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896A KR20110129505A (ko) 2010-05-26 2010-05-26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95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6170A1 (ko) * 2017-06-21 2018-12-27 주식회사 매스컨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WO2020004832A1 (ko) * 2018-06-27 2020-01-02 주식회사 매스컨 고체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6170A1 (ko) * 2017-06-21 2018-12-27 주식회사 매스컨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38327A (ko) * 2017-06-21 2018-12-31 주식회사 매스컨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US11370989B2 (en) 2017-06-21 2022-06-28 Masscon Co., Ltd. Fragrant material having long-lasting fragranc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WO2020004832A1 (ko) * 2018-06-27 2020-01-02 주식회사 매스컨 고체 방향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1484616B2 (en) 2018-06-27 2022-11-01 Masscon Co., Ltd. Solid fragrance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9448B2 (en) Health promoting insole
EA017657B1 (ru) Волокно, имитирующее природное растительное волокно,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изготовленная из него ткань
CN114010831A (zh) 具有调节气味释放的浆料基础材料形成的制品
JP2008136558A (ja) 消臭芳香器、それに用いる揮散体およびこの揮散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消臭芳香方法
KR20110129505A (ko) 발향성수지의 제조방법
CN107158439A (zh) 环保炭香及其制作方法
KR20170112347A (ko) 항균 지속성이 우수한 항균 슬리퍼
TWM314573U (en) Improved structure for Chinese medicine pillow
KR101331072B1 (ko) 솔잎과 편백나무 추출 피톤치드의 복합 자연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101331073B1 (ko) 쑥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101443127B1 (ko)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CN104250933A (zh) 一种芳香聚酯纤维的制备方法
CN100464652C (zh) 可散发香味的人造花
KR200259181Y1 (ko) 향기나는 합성수지시트
KR100732174B1 (ko) 바이오 소재로 코팅이 된 벽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제조된 벽지
CN217455181U (zh) 一种功能性面料、口罩、香囊及床上纺织品
CN201806032U (zh) 合成革透气鞋面
CN105564129A (zh) 一种凝胶画
KR100479117B1 (ko) 탈취 및 살균을 위한 점착형 패드
KR20070042600A (ko) 신발창의 제조방법
KR101267768B1 (ko)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
CN202847289U (zh) 一种eva装饰品
CN104665097A (zh) 香草防臭鞋垫
JPH11221809A (ja) コルク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217778171U (zh) 一种高防水性能的鞋类转印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