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768B1 -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768B1
KR101267768B1 KR1020130013565A KR20130013565A KR101267768B1 KR 101267768 B1 KR101267768 B1 KR 101267768B1 KR 1020130013565 A KR1020130013565 A KR 1020130013565A KR 20130013565 A KR20130013565 A KR 20130013565A KR 101267768 B1 KR101267768 B1 KR 101267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doll
cypress
cover
ou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종
Original Assignee
이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종 filed Critical 이현종
Priority to KR1020130013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2Dolls made of fabrics or stuff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02Cotton wool; Wadd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톤치드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인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풍을 통해 비산되는 면 섬유 솜에 편백나무 정유 추출액을 분사한 후, 5 내지 10 시간 동안 15 내지 30%의 상대습도를 유지하며 자연건조시키는 솜처리단계(S10)와, 수분함유율이 5 중량% 이하가 되도록 초음파건조를 거친 편백나무를 직경 2 내지 5 mm의 구 형상으로 세공하여 편백나무 구슬을 형성하는 편백나무성형단계(S20)와, 면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포켓 형상의 보형물 커버에 직경 0.5 내지 1mm 의 통기공을 격자배열로 형성하고, 상기 편백나무 구슬 다수 개로 이루어진 보형물을 보형물 커버에 채운 후 보형물 커버의 개구부를 재봉하는 보형물채움단계(S30)와, 상기 솜처리단계(S10)에서 조성된 면 섬유 솜을 바깥커버의 내측면 둘레에 1 내지 3 cm의 두께로 적층하는 솜채움단계(S40)와, 상기 보형물 커버 다수 개를 바깥커버 내에 삽입하고, 바깥커버의 개폐수단으로 바깥커버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바깥커버밀봉단계(S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doll using Chamaecyparis Obtusa}
본 발명은 방향 및 항균성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형의 내부를 구성하는 보형물을 편백나무원목 구슬로 구성하여 피톤치드 성분을 비롯한 항균 물질이 인형 몸체 전체에서 외부로 방사되게 하고, 인형의 쿠션을 형성하는 솜에 편백나무 정유 추출액을 흡착시키고 계피를 비롯한 방충 성분을 인형의 겉감에 증착함에 따라 인형의 내부로 침입하기 쉬운 집먼지진드기나 여름철에 주로 발생하는 모기 등의 해충을 차단함과 아울러, 백복신과 석창포 등으로 구성되는 약재 성분 특유의 상쾌하고 온화한 향취에 의해 심리적 안정상태를 고취하게 되어 어린이의 정서발달에 기여할 수 있는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의 정서 발달과 창의력 향상을 위해 갖가지 종류의 놀이기구가 다양한 형태와 아이디어를 통해 완구시장 또는 캐릭터시장에서 많이 판매되고 있다. 특히, 어린이의 신체와 가장 가까이 접촉되고 이용하는 시간이 가장 많은 품목 중의 하나인 인형은 예전부터 인기있는 놀이대상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인형의 제조 공정 또는 사용되는 소재의 성분에 발암물질 또는 환경호르몬 생성물질이 기준치 이상으로 함유 또는 처리됨에 따라 신체 면역체계가 제대로 발달하지 않은 어린이의 건강을 해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완구ㆍ캐릭터 업계에서는 인형의 제조 공정과 구성 소재를 친환경적으로 구성하고, 인형의 본래 기능 이외에 방향, 항균, 방충 등의 기능을 부가적으로 추가하는 시도를 선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가령,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3013호에서는 봉제인형에 소량의 방향제 향낭을 삽입하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하되 봉제인형의 몸체에 메밀과 함께 라벤더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가 함유된 인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62871호에서는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 나일론, 실리콘, 광물질, 고무 소재로 된 인형과 인조섬유나 천연섬유로 된 봉제인형의 원료에 은(Ag) 용액이나 분말을 0.01% ~ 10%의 중량비로 구성하고, 과일 향이나 아로마 향, 허브 향 및 꽃 향과 같은 식물의 향기 재 원료의 액체나 분말을 0.01% ~ 5%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제조공정 중이나 최종공정 중의 바람직한 어느 한 과정에서 인형의 몸체에 투입하여 세균과 병원균, 곰팡이 균 및 미생물의 생성과 번식이 쉬운 인형을 살균하고 제독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실버와 향이 함유된 인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실용신안과 특허는 인형의 내부 구성물에 특정 방향 또는 항균 기능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 분사 및 코팅 등의 방법을 통해 주입하여 인형으로 인한 방향 및 항균 효과가 발생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나, 방향ㆍ항균성의 내부 첨가물이 인형의 전체 구성물(인형 몸체의 기본 골조, 솜, 겉감 및 안감 등)의 중량 또는 부피에 비해 지극히 적은 비중으로 구성되어 상기 기능적인 효과들이 발생하는 범위가 극히 제한적으로 형성될 우려가 있고, 내부 첨가물이 액상 또는 미세 분말로만 조성되어 휘발 또는 유실될 소지가 다분함에 따라 상기 특허들이 지향하는 효과가 장기간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방향 및 항균성 등의 기능을 가지는 성분이 인형의 몸체 내에서 쉽게 휘발하거나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편백나무원목의 구성으로 인해 인형 본래의 쿠션 감이 상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공 수단을 포함하는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부가적인 해결 과제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기의 해결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은 보형물 커버와 바깥커버에 항균 및 방향성의 내용물이 함유되는 인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송풍을 통해 비산되는 면 섬유 솜에 편백나무 정유 추출액을 분사한 후, 5 내지 10 시간 동안 15 내지 30%의 상대습도를 유지하며 자연건조시키는 솜처리단계(S10);와, 수분함유율이 5 중량% 이하가 되도록 초음파건조를 거친 편백나무를 직경 2 내지 5 mm의 구 형상으로 세공하여 편백나무 구슬을 형성하는 편백나무성형단계(S20);와, 면 섬유로 이루어진 포켓 형상의 보형물 커버에 직경 0.5 내지 1mm 의 통기공을 격자배열로 형성하고, 상기 편백나무 구슬 다수 개로 이루어진 보형물을 보형물 커버에 채운 후 보형물 커버의 개구부를 재봉하는 보형물채움단계(S30);와, 상기 솜처리단계(S10)에서 조성된 면 섬유 솜을 바깥커버의 내측면 둘레에 1 내지 3 cm의 두께로 적층하는 솜채움단계(S40);와, 상기 보형물 커버 다수 개를 바깥커버 내에 삽입하고, 바깥커버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바깥커버밀봉단계(S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깥커버의 내측 표면에 다수 층으로 적층되는 한지사 층을 구성하되, 한지사 층 사이에는 어성초 분말 20 내지 30 중량%, 계피 분말 20 내지 30 중량%, 장뇌목 분말 40 내지 60 중량%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이 한지사와 한지사 사이에 도포되는 쌀풀의 접착력에 의해 0.5 내지 1 mm의 두께로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백나무 정유 추출액은 별도의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은 편백나뭇잎과 정제수와 꿀의 중량비를 3 : 5 : 2로 하여 조성한 혼합물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편백나뭇잎을 150 내지 200 메쉬의 입도로 분쇄한 후에, 60 내지 75 ℃의 온도에서 2 내지 3 시간 열탕하여 수득되는 상등액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형물채움단계(S30)를 거친 보형물 커버의 표면에 약재혼합액을 1 내지 3 g/㎠ 의 양으로 분사 흡착시키되, 상기 약재혼합액은 백복신과 석창포와 원지의 중량비를 2 : 7 : 1로 하여 혼합되는 약재혼합물 100 중량부에 정제수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80 내지 90 ℃의 온도에서 2 내지 5 시간 열탕한 후, 열탕된 약재혼합물을 일체 압착함으로써 발생되는 액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형 전체 부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보형물을 편백나무원목 구슬로 구성하여 편백나무의 피톤치드 성분이 인형 몸체의 전 영역에서 외부로 균등하게 방사되게 하고, 구슬 형태로 가공되는 편백나무원목 사이의 공간을 통해 통기 작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장마철 습기로 인한 인형 내부의 눅눅한 상태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형의 쿠션 감을 형성하는 솜에 편백나무 정유 추출액을 흡착시키고 방충기능이 있는 계피와 장뇌목 성분을 인형의 겉감에 도포함에 따라 인형의 섬유 조직 사이로 침투를 시도하는 집먼지진드기 등의 해충을 차단하여 아토피 등 각종 피부질환에 걸리기 쉬운 어린이의 피부 건강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백복신과 석창포 및 원지로 구성되는 약재 성분 특유의 온화한 향취에 의해 기분 전환을 가능케 함으로써 어린이의 심리적 안정 및 정서발달의 함양에 도움이 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의 기술에 앞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구성 요소와 각 요소의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본 원에 기재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본 발명은 주로 유아계층이 애용하는 인형에 항 아토피 및 항균효과를 부여하고, 머리를 맑게 하여 심리적 안정상태를 유지시켜 주며, 방충기능이 구비되어 섬유 제품에 흔히 발생하기 쉬운 집먼지진드기 등의 해충을 제거할 수 있도록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인형 내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채워지는 보형물에 편백나무를 주입하여 인형과의 접촉에 따라 편백나무의 피톤치드 성분이 지속적으로 방사되도록 이루어지되, 인형에 쿠션 감을 제공하는 솜에 별도의 편백나무 정유 추출성분을 흡착시킴으로써 인형에서 편백나무 성분이 발산되는 범위를 극대화하고, 백복신을 비롯한 석창포와 원지로 이루어지는 약재혼합액을 추가 혼입함으로써 약재성분 특유의 온화한 향취로 인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신체의 각 부를 이완시켜 심리적 안정상태를 이끌어낼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주요 구성과 각 구성에 따른 기능 및 효과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은 개구부를 가지는 보형물 커버와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바깥커버에 충진물이 함유되는 인형을 대상으로 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을 통해 비산되는 면 섬유 솜에 편백나무 정유 추출액을 분사한 후, 5 내지 10 시간 동안 15 내지 30%의 상대습도를 유지하며 자연건조시키는 솜처리단계(S10);와, 수분함유율이 5 중량% 이하가 되도록 초음파건조를 거친 편백나무를 직경 2 내지 5 mm의 구 형상으로 세공하여 편백나무 구슬을 형성하는 편백나무성형단계(S20);와, 면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포켓 형상의 보형물 커버에 직경 0.5 내지 1mm 의 통기공을 격자배열로 형성하고, 상기 편백나무 구슬 다수 개로 이루어진 보형물을 보형물 커버에 채운 후 보형물 커버의 개구부를 재봉하는 보형물채움단계(S30);와, 상기 솜처리단계(S10)에서 조성된 면 섬유 솜을 바깥커버의 내측면 둘레에 1 내지 3 cm의 두께로 적층하는 솜채움단계(S40);와, 상기 보형물 커버 다수 개를 바깥커버 내에 삽입하고, 바깥커버의 개폐수단으로 바깥커버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바깥커버밀봉단계(S50);로 구성된다.
상기 솜처리단계(S10)는 인형의 쿠션감을 형성하는 솜에 편백나무 피톤치드 성분을 함유시키는 구성 단계로서, 인형 용도의 특성상 자주 접촉되거나 눌려지는 솜에 피톤치드 성분을 흡착시킴으로써 피톤치드 성분의 방사가 이루어지는 빈도 수가 증가할 수 있다. 솜에 함유되는 편백나무 피톤치드 성분의 구성 형태는 편백나무 정유의 추출액으로 구성하고 솜에 균일한 흡착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면 섬유로 이루어지는 솜을 송풍을 통해 비산시킨 후, 흩날리는 솜에 상기 추출액을 분사하고 5 내지 10 시간 동안 15 내지 30%의 상대습도를 유지하여 자연건조시킴에 따라 면 섬유 솜에 피톤치드 성분이 깊숙이 스며들도록 구성한다. 상기 상대습도 범위를 초과하는 건조 조건에서는 솜의 건조과정이 더디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상대습도 범위보다 너무 건조한 조건을 유지하게 되면 편백나무 추출액이 솜에 흡착되기도 전에 증발하여 흡착률이 감소하게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상대습도 범위를 준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편백나무 정유의 추출액을 조성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편백나무의 피톤치드 효능을 최대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추출 과정을 구성하고자 한다.
우선, 별도의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은 편백나뭇잎과 정제수와 꿀의 중량비를 3 : 5 : 2로 하여 혼합물을 조성한다. 이때, 편백나뭇잎에 별도의 건조과정을 구성하지 않는 이유는 편백나무 정유의 특성상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건조과정에 따른 휘발 작용에 의해 피톤치드 함유율이 감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혼합물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상기 편백나뭇잎의 입도가 150 내지 200 메쉬가 될 때까지 분쇄과정을 거치게 된다. 균일하게 분쇄된 상기 혼합물을 60 내지 75 ℃의 온도에서 2 내지 3 시간 열탕하여 편백나뭇잎의 피톤치드 성분이 정제수와 꿀로 된 용액으로 용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열탕 시간을 넘어서 열탕을 계속 진행하게 되면 편백나무 정유 성분 중의 일부가 기화하여 유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시간 범위를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열탕 추출과정에 의해 발생하는 상등액을 추출하여 솜 처리 과정에 이용함으로써 편백나무의 피톤치드 성분이 균일하게 면 섬유 솜에 스며들어 일체화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편백나무성형단계(S20)는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 인형의 기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내부에 삽입되는 보형물을 편백나무 구슬로 제작하기 위한 구성 단계이다. 인형의 몸체를 형성하는 보형물로 편백나무를 사용함으로써 편백나무의 흡습 및 방습 기능에 의해 인형에 묻게 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항상 쾌적한 상태의 인형을 유지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편백나무의 방향, 항균, 방충 효과에 의해 아토피 등의 접촉성 피부염에 걸리기 쉬운 유아 및 어린이의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인형의 내부 구성물의 대부분을 편백나무 원목으로 구성함에 따라 피톤치드 성분의 활동 범위가 극대화되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보형물로 사용되는 편백나무의 수분함유율은 5 중량% 이하가 되도록 편백나무를 초음파건조 방식을 통해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초음파건조를 하는 이유는 단순 열 건조에 의해 편백나무의 휘발성 성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하고, 건조시간을 단축하여 편백나무의 섬유조직 성분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함이다. 상기 건조를 거친 편백나무를 지름 2 내지 5 mm의 구 형상으로 세공하여 편백나무의 기능을 발휘하되 인형 본래의 쿠션 감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작은 구슬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구의 넓은 체표면적에 의해 피톤치드 성분이 방사상으로 발산되게 하고 서로 맞닿은 구와 구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을 통해 공기층이 형성되어 피톤치드 인형의 내부로 공기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여름철 높은 습도로 인한 인형의 눅눅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보형물채움단계(S30)는 포켓 형상의 보형물 커버에 상기 편백나무 구슬로 이루어지는 보형물을 채우는 구성 단계로서, 상기 보형물 커버의 재질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면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하며 편백나무 구슬에서 피톤치드가 용이하게 발산할 수 있도록 직경 0.5 내지 1.0 mm의 통기공을 격자배열로 형성하되 통기공의 조밀도는 30 내지 50 메쉬의 범위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준비된 보형물 커버에 편백나무 구슬 다수 개를 채우고 보형물 커버의 개구부를 재봉하여 마감 처리하게 된다.
한편, 다수 개로 제조되는 보형물 커버 각각에 별도의 가공 수단을 구비하여 보형물 커버 내의 편백나무 성분과 어우러져 머리를 맑게 함으로써 어린이의 각종 두통 및 우울증을 완화 또는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을 추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보형물채움단계(S30)를 거친 보형물 커버의 표면에 약재혼합액을 1 내지 3 g/㎠의 양으로 분사하여 약재 특유의 온화하고 상쾌한 향취에 의해 머릿속을 맑게 함으로써 아동기에 발생가능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와 같은 불안 증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약재혼합액은 백복신과 석창포와 원지의 중량비를 2 : 7 : 1로 하여 혼합되는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준비되는 약재혼합물 100 중량부에 정제수 50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80 내지 90 ℃의 온도에서 2 내지 5 시간 열탕한 후, 열탕된 약재혼합물을 일체(고형물과 액상 모두) 압착함으로써 액즙을 발생시킨 후에, 상기 액즙을 분무장치에 주입하여 편백나무 구슬로 채워진 보형물 커버의 표면에 고루 분사하게 된다. 상기 백복신과 석창포 및 원지는 총명탕을 구성하는 원재료로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원료들이 가지는 특유의 향을 이용하여 뇌에 각성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어린이의 스트레스 지수를 감소함과 동시에 정서적 안정을 고무하는 효과를 얻고자 한다. 한편, 상기 석창포는 모기 등의 곤충류에 대한 기피활성을 지니고 있어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 인형을 품에 안고 수면을 취할 시에 여름철에 성행하는 각종 모기 등의 해충으로부터 지장을 받지 않고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솜채움단계(S40)는 솜처리단계(S10)에서 수득되는 면 섬유 솜을 바깥커버에 채우는 구성 단계이다. 이때, 솜을 채우는 범위는 바깥커버의 내측면 둘레에 1 내지 3 cm 의 두께로 형성되며, 인형의 형상 또는 용도에 따라서 더 두껍게 솜 층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솜채움단계(S40)를 통해 피톤치드 인형의 쿠션 감을 형성하고 상기 솜에 처리되는 편백나무 정유 성분에 의해 인형과 직접 접촉하는 신체 피부에 피톤치드 성분이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바깥커버 내에 솜을 채우기 전에 바깥커버의 내측 표면에 기능성을 가지는 코팅층을 형성하여 항균 기능 및 방충 기능을 더욱더 극대화함과 아울러 휘발성이 강한 편백나무 정유 성분의 유실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코팅층을 다수 층으로 증착되는 한지사 층으로 구성하고, 상기 한지사 층 사이에는 어성초 분말 20 내지 30 중량%, 계피 분말 20 내지 30 중량%, 장뇌목 분말 40 내지 60 중량%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흡착시키되, 한지사와 한지사 사이의 면에 쌀풀을 얇게 도포한 후 상기 조성물을 0.5 내지 1 mm의 두께로 적층 코팅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 인형의 항균 및 방충 기능성을 배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어성초는 해독, 재생, 항균, 항 아토피 및 청정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물질이고, 계피와 장뇌목은 방충효과를 가지는 성분으로 특히 계피는 cinnamic aldehyde 성분에 의해 집먼지진드기 살충 효과가 뛰어난 첨가 물질이다.
상기 바깥커버밀봉단계(S50)는 솜으로 채워진 바깥커버 내에 보형물 커버를 삽입하고 바깥커버를 밀봉하여 인형을 완성하는 구성 단계이다. 상기 보형물 커버는 전술된 바와 같이 포켓 형상으로 이루어져 인형의 각 부마다 군데군데 다양한 갯수로 삽입되어 인형의 몸체 형상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보형물 커버가 포켓 형상의 작은 팩으로 이루어져 인형 내의 보형물 커버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시, 노후화된 기존의 보형물 커버를 빼내고 다시 새로운 보형물 커버를 해당 수량에 맞게 바깥커버에 채울 수 있게 함으로써 보형물 커버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상의 구성 단계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이 이루어졌으며, 이제 상기 제조방법의 구성 단계를 바탕으로 인형을 제작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 기술을 하고자 한다.
1. 인형 제작에 대한 과정
우선, 인형의 쿠션 형성에 사용되는 솜의 원재료는 합성섬유, 실크, 면 섬유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성 및 항균성에 적합한 면 섬유로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 섬유 솜은 통상의 방적 기술에 의해 조성되며, 조성된 면 섬유 솜을 폐쇄된 공간에 집어넣고, 미약한 송풍을 주입하여 솜이 흩날릴 정도로 솜을 비산시킨다. 이때, 상기 언급된 편백나무 정유 추출액을 흩날리는 면 섬유 솜에 골고루 분사하여 면 섬유 솜의 올 구석구석에 편백나무 정유의 피톤치드 성분이 흡착되게 하여 면 섬유 솜을 준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면 섬유 솜의 처리가 이루어진 후에 편백나무 원목을 원재료로 하여 편백나무를 구슬 형상으로 세공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편백나무 원목의 수분함유율은 5 중량% 이하가 되도록 초음파건조를 거치게 된다. 건조된 편백나무 원목을 직경 2 내지 5 mm의 구 형상으로 세공하여 편백나무 구슬을 인형의 체적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 형성하게 된다. 한편, 면 섬유로 재봉되는 포켓 형상의 보형물 커버를 다수 개 준비하게 되는데, 상기 보형물 커버의 제작은 5cm×5cm의 면적을 가지는 면 섬유 천 두 장을 앞,뒤로 덧대어 재봉한 후, 보형물 커버의 표면에 직경 0.5 내지 1mm의 통기공을 격자배열로 다수 개씩 관통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보형물 커버의 수량은 인형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는 수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준비된 보형물 커버에 상기 편백나무 구슬을 적당량으로 나누어 담아 보형물 커버의 부피감을 형성하도록 한다. 편백나무 구슬을 채운 후에는 개구부를 박음질하여 폐쇄함으로써 내부의 내용물(편백나무 구슬)이 소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편백나무 정유로 처리된 솜을 바깥커버의 내측면 둘레에 3 cm의 두께로 적층한다. 이때, 바깥커버의 내측 표면에는 한지사 층을 3 개 층으로 구성하고, 한지사 층 간의 접하는 표면에 쌀풀을 도포한 후에 한지사 층 표면에 어성초 분말 20 중량%, 계피 분말 20 중량%, 장뇌목 분말 60 중량%로 혼합된 조성물을 0.5mm 의 두께로 흡착시킨다. 이제, 솜으로 채워진 바깥커버 내에 보형물 커버 다수 개를 하나씩 순차 삽입하고, 바깥커버에 구비되는 개폐수단(지퍼, 단추 등)으로 바깥커버를 폐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 인형을 완성한다.
2. 편백나무 정유 추출에 대한 과정
일체의 건조 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진공포장지로 압축된 상태로 보관되는 편백나뭇잎과 정제수 및 꿀을 3 : 5 : 2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에, 분쇄기로 상기 편백나뭇잎의 입자크기가 150 메쉬가 되도록 분말화한다. 본 과정에 의해 편백나뭇잎의 정유 성분이 휘발되기 전에 정제수와 꿀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에 어우러져 일체의 손실없이 추출과정에 전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준비된 혼합물을 65 ℃의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열탕한 후, 바닥층에 잔존하는 미세 고형물을 제외한 상등액을 따로 여과 분리하여 솜 처리 시 사용되는 편백나무 정유 추출액으로 이용하게 된다.
3. 보형물 커버의 후처리에 대한 과정
우선, 약재 특유의 온화한 향취를 발산하는 백복신, 석창포, 원지로 선택되는 약재혼합물을 준비하게 되는데 백복식과 석창포 및 원지의 중량비를 2 : 7 : 1로 하여 약재혼합물을 구성하고, 상기 약재혼합물 100 중량부에 정제수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80 ℃의 온도에서 3 시간 열탕한 후, 열탕된 약재혼합물을 일체의 여과 과정없이 액상과 고형물을 통째로 압착하여 액즙을 발생시킨다. 상기 압착과정을 거쳐 수득되는 액즙을 재차 75 ℃로 가열하고 식기 전에 분사장치에 바로 주입하여 보형물 커버의 표면에 1 내지 3 g/㎠ 의 양으로 분사하여 보형물 커버의 방향성을 개선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제조방법의 구성을 통해 하기의 실시 예를 구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효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 인형에서 발산되는 피톤치드 성분에 의해 방충효과가 어느 정도 발휘되는지에 관해서 살펴 보고자 한다.
1. 시편의 구성
우선, 시편은 일반 면 섬유 솜으로 이루어진 인형의 부위를 5cm×5cm×5cm 의 크기로 절단한 대조군과 하기 표 1에 기재된 구성에 따라 제조된 인형의 부위를 대조군과 동일 크기로 절단한 실험군으로 구성되었다.

구분

대조군

실험군1

실험군2

실험군3

실험군4

실험군5

실험군6

편백나무 세공크기
(mm)

.

5

5

5

10

10

10








백복신, 석창포, 원지


.




×




×





어성초,
계피,
장뇌목


.


×








×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험군 1 ~ 3은 편백나무 구슬의 세공크기가 직경 5 mm로 구성되고, 실험군 4 ~ 6은 직경 10 mm로 이루어졌다. 상기 세공크기 조건을 통해 편백나무의 피톤치드 성분이 방사되는 효율성을 방충효과의 측정을 통해 간접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한편, 백복신ㆍ석창포ㆍ원지로 구성되는 약재혼합성분과 어성초ㆍ계피ㆍ장뇌목으로 이루어진 한지사 층 코팅성분으로 구분하여 그 함유 여부에 따른 인형의 방충효과 차이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2. 실험 방법
우선, 본 실험에 사용되는 해충은 암컷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로 선정하였으며, 대조군/실험군1/실험군2/실험군3의 네 가지 시편을 수용하기 위한 실험상자A와 대조군/실험군4/실험군5/실험군6의 시편을 수용하기 위한 실험상자B로 분리 구성하였다. 두 실험상자 A,B는 각각 내부 공간이 별도로 구획화된 4 개의 공간으로 분할되고, 각 공간을 분할하는 격벽에는 모기들이 자유자재로 넘나들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메쉬 형태의 망이 상단부에 일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실험상자 A,B의 각 분할된 공간의 상면에는 모기를 투입하기 위한 작은 투입구가 마련되고, 실험상자 A,B의 각 공간에 동일 개체수(10 마리/각 공간, 40 마리/각 실험상자)의 모기를 투입하여 각 공간에 남게 되는 모기의 개체수를 시간의 경과 후에 측정하여 방충효과성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2는 상기의 실험 방법에 따라 시간별(초기, 20분, 40분, 60분) 경과 시점의 각 공간별(공간 a ~ h) 모기 개체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단위 : 마리)



구분

실험상자A

실험상자B

대조군
(공간a)

실험군1
(공간b)

실험군2
(공간c)

실험군3
(공간d)

대조군
(공간e)

실험군4
(공간f)

실험군5
(공간g)

실험군6
(공간h)

초기

10

10

10

10

10

10

10

10

20분 후

17

9

8

6

15

8

9

9

40분 후

26

7

4

3

22

6

8

8

60분 후

30

5

3

2

29

5

6

7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조군이 비치된 실험상자의 분할 공간(공간a, 공간e)에 남아 있는 모기의 수가 점점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으며, 실험군 1 ~ 3에서도 백복신ㆍ석창포ㆍ원지로 구성되는 약재혼합성분과 어성초ㆍ계피ㆍ장뇌목으로 이루어진 한지사 층 코팅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실험군 3이 위치한 분할 공간(공간d)에서의 잔존 모기 개체수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 성분을 비롯한 각종 방충 성분이 유효한 수준의 방충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한편, 편백나무 구슬의 세공크기에 따른 방충효과의 차이성을 실험상자A와 실험상자B에 따라 구분된 모기 개체수 변화로 파악한 결과, 미세하게나마 세공 크기가 작은 실험상자A의 실험 결과에서 모기의 개체수가 좀 더 빨리 감소하고 최종 잔존하는 모기 개체수도 실험군 2 및 실험군 3의 개체수값과 실험군 5 및 실험군 6의 개체수값을 비교했을 때 세공의 크기가 작게 형성된 시편을 대상으로 한 실험군 2 및 실험군 3의 잔존 모기 개체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세공의 크기가 작은 편백나무 구슬이 좀더 넓은 방사 표면적을 지니고 있어 피톤치드 성분이 발산되는 속도가 증가함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톤치드 성분을 다량함유하는 편백나무를 편백나무 원목과 정유 추출액의 두 가지 형태로 인형에 포함시켜 피톤치드에 의한 방향, 항균 및 방충 효과를 제공하되, 편백나무 원목을 작은 구슬 형태로 세공하여 사용자에 의해 다각도로 주물러져 형태 변이가 빈번히 이루어지는 인형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며, 휘발성이 강한 정유 성분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인형의 겉감에 쌀풀 및 어성초ㆍ계피ㆍ장뇌목 분말로 이루어지는 한지사 층을 증착함에 따라 장기간 피톤치드 성분이 인형 속에 체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기대되는 상기 효과(방향, 방충, 항균)의 지속성을 개선하게 되어 어린이의 피부 질환 및 정서 발달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과 본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체와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기술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상세 설명과 실시 예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에 따른 발명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S10 : 솜처리단계 S20 : 편백나무성형단계
S30 : 보형물채움단계 S40 : 솜채움단계
S50 : 바깥커버밀봉단계

Claims (4)

  1. 보형물 커버와 바깥커버에 항균 및 방향성의 내용물이 함유되는 인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송풍을 통해 비산되는 면 섬유 솜에 편백나무 정유 추출액을 분사한 후, 5 내지 10 시간 동안 15 내지 30%의 상대습도를 유지하며 자연건조시키는 솜처리단계(S10);와,
    수분함유율이 5 중량% 이하가 되도록 초음파건조를 거친 편백나무를 직경 2 내지 5 mm의 구 형상으로 세공하여 편백나무 구슬을 형성하는 편백나무성형단계(S20);와,
    면 섬유로 이루어진 포켓 형상의 보형물 커버에 직경 0.5 내지 1mm 의 통기공을 격자배열로 형성하고, 상기 편백나무 구슬 다수 개로 이루어진 보형물을 보형물 커버에 채운 후 보형물 커버의 개구부를 재봉하는 보형물채움단계(S30);와,
    상기 솜처리단계(S10)에서 조성된 면 섬유 솜을 바깥커버의 내측면 둘레에 1 내지 3 cm의 두께로 적층하는 솜채움단계(S40);와,
    상기 보형물 커버 다수 개를 바깥커버 내에 삽입하고, 바깥커버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바깥커버밀봉단계(S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커버의 내측 표면에 다수 층으로 적층되는 한지사 층을 구성하되, 한지사 층 사이에는 어성초 분말 20 내지 30 중량%, 계피 분말 20 내지 30 중량%, 장뇌목 분말 40 내지 60 중량%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이 한지사와 한지사 사이에 도포되는 쌀풀의 접착력에 의해 0.5 내지 1 mm의 두께로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백나무 정유 추출액은 별도의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은 편백나뭇잎과 정제수와 꿀의 중량비를 3 : 5 : 2로 하여 조성한 혼합물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편백나뭇잎을 150 내지 200 메쉬의 입도로 분쇄한 후에, 60 내지 75 ℃의 온도에서 2 내지 3 시간 열탕하여 수득되는 상등액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채움단계(S30)를 거친 보형물 커버의 표면에 약재혼합액을 1 내지 3 g/㎠ 의 양으로 분사 흡착시키되, 상기 약재혼합액은 백복신과 석창포와 원지의 중량비를 2 : 7 : 1로 하여 혼합되는 약재혼합물 100 중량부에 정제수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80 내지 90 ℃의 온도에서 2 내지 5 시간 열탕한 후, 열탕된 약재혼합물을 일체 압착함으로써 발생되는 액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
KR1020130013565A 2013-02-06 2013-02-06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 KR101267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565A KR101267768B1 (ko) 2013-02-06 2013-02-06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565A KR101267768B1 (ko) 2013-02-06 2013-02-06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768B1 true KR101267768B1 (ko) 2013-05-27

Family

ID=48666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565A KR101267768B1 (ko) 2013-02-06 2013-02-06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1921A (zh) * 2020-10-24 2021-11-23 湖南贝尔动漫科技有限公司 一种布偶娃娃装饰用抱球下料及定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1921A (zh) * 2020-10-24 2021-11-23 湖南贝尔动漫科技有限公司 一种布偶娃娃装饰用抱球下料及定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82912A1 (zh) 一种空气清新剂、空气清新器及其制作方法
CN107158439A (zh) 环保炭香及其制作方法
KR101267768B1 (ko) 편백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피톤치드 인형의 제조방법
CN102210538A (zh) 一种沉香木粉与乳胶混合枕及其制作方法
KR19990078691A (ko) 건강증진용 혼합물 제조방법 및 그 혼합물이 부착된 침구커버
KR101331072B1 (ko) 솔잎과 편백나무 추출 피톤치드의 복합 자연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101331073B1 (ko) 쑥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CN106235817A (zh) 一种功能性被芯及其加工工艺
KR101327364B1 (ko) 편백나무칩 가습기
CN201153794Y (zh) 保健香枕
KR200474979Y1 (ko) 피톤치드 베개
KR20110001563U (ko) 침구에 사용되는 기능성 솜
KR101306090B1 (ko) 편백나무로 표면처리된 매트리스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45071A (ko)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
JP2006095103A (ja) 乾燥樹葉入り枕及び乾燥樹葉入り防虫芳香剤
KR101417510B1 (ko) 피톤치드 인형
KR20100082569A (ko) 기능성 침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1699A (ko) 찜질팩 기능을 갖는 봉제완구
JP3161954U (ja) 芳香袋
KR101328755B1 (ko) 나무 분쇄물로 표면처리된 매트리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4984A (ko) 편백나무의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성장인형의 제조방법
KR200257660Y1 (ko) 숯을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CN2724534Y (zh) 带香味的系列床上用品
KR200473719Y1 (ko) 자연향을 발산하는 친환경 나무침대
KR101128147B1 (ko) 황토석 - 편백나무제 침구속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