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157A -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157A
KR20110128157A KR1020110047971A KR20110047971A KR20110128157A KR 20110128157 A KR20110128157 A KR 20110128157A KR 1020110047971 A KR1020110047971 A KR 1020110047971A KR 20110047971 A KR20110047971 A KR 20110047971A KR 20110128157 A KR20110128157 A KR 20110128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uardian
service center
portable dev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10128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이용해 보호 대상자가 사고를 당하거나 위험에 빠지지 않도록 예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호자 단말로부터 피보호자의 추적관찰 지역인 안심구역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안심구역 정보를 피보호자 휴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피보호자 휴대장치에서 상기 안심구역 이탈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안심구역 이탈이 감지되면, 상기 안심구역 이탈 정보를 보호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accident using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이용해 보호 대상자가 사고를 당하거나 위험에 빠지지 않도록 예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사고 및 위험 예방 방법으로는 CCTV설치를 통한 모니터링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CCTV를 모든 지역에 세부적으로 설치할 수도 없고 위험 상황 발생시 빠른 대응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단말 또는 그와 유사한 장치를 이용해 보호 대상자가 사고를 당하거나 위험에 빠지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호자 단말로부터 피보호자의 추적관찰 지역인 안심구역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안심구역 정보를 피보호자 휴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피보호자 휴대장치에서 상기 안심구역 이탈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안심구역 이탈이 감지되면, 상기 안심구역 이탈 정보를 보호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피보호자 휴대장치로 입력되는 대화 내용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피보호자 휴대장치가 대화 내용 입력 즉시 또는 내용 분석을 통해 위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대화 내용을 보호자 또는 안심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보호자 또는 안심 서비스 센터가 상기 입력 받은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범죄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범죄 가능성이 판단되면 기 설정된 도움요청 목적지로 관련 정보 전송 및 도움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피보호자 휴대장치가 피보호자 주변의 비정상적 대화 또는 소리, 비정상적 생체 신호의 변화, 비정상적 움직임 또는 예상 경로 이탈 등과 같은 피보호자의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상황 관련 정보 및 상황 인지 시점 이전 일정시간부터의 생체신호 또는 주변 소리정보를 기 설정된 안심 서비스 센터로 또는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안심 서비스 센터에서 또는 보호자가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도움 요청 목적지로 관련 정보 전송 및 도움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피보호자 휴대장치에서 택시 및 택시기사의 정보를 확인 및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정보를 기 설정된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피보호자 휴대장치에서 피보호자 주변의 비정상적 대화 또는 소리, 비정상적 생체 신호의 변화, 비정상적 움직임 또는 예상 주행경로 이탈 등과 같은 피보호자의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상황 정보 및 상황 인지 시점 이전 일정시간부터의 생체신호 또는 주변 소리정보를 상기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센터에서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피보호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피보호자의 상황을 상기 서비스 센터에서 기 설정된 도움요청 목적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피보호자 휴대장치는 주기적으로 피보호자의 위치, 이동속도 및 방향을 포함하는 정보를 교통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센터에서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교통사고 유발 가능성이 의심되면, 상기 움직임 정보를 송신한 피보호자 주변의 차량으로 해당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 상기 방송된 피보호자 정보를 차량의 네비게이터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피보호자 휴대장치에서 피보호자의 위치, 이동속도 및 방향을 포함하는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유발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교통사고 유발 가능성을 가지는 피보호자 휴대장치의 주변을 운행하는 차량으로 해당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 상기 방송된 피보호자 정보를 차량의 네비게이터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 또는 그와 유사한 장치 등을 이용해 미아, 실종, 유괴, 성폭행, 납치, 강도, 택시 관련 범죄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교통사고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다양한 사고에 대해 신속하게 확인 및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아 및 실종 방지 시스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괴방지 시스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고방지 시스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택시 관련 피해 방지 시스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대인 교통 사고 방지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대인 교통 사고 방지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시스템은 피보호자의 휴대장치(10) 상기 휴대장치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안심 서비스 센터(30) 또는 보호자 단말(40), 상기 안심 서비스 센터(30)와 연결되는 상기 피보호자의 지원 요청을 위한 보호자 단말(40), 경찰(50) 및 학교(60) 등과 같은 보호요청 신호 전송 목적지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아방지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휴대장치(10)를 소지하고 있는 피보호자가 기 설정된 안심구역을 이탈한 경우 위험상황으로 간주하여 보호자 등에게 위험상황을 전달하여 조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미아 또는 실종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취학 전 또는 초등 저학년 아동, 정신지체아, 치매노인 등의 피보호자는 위치추정 기능 및 통신기능 등을 구비한 소형의 장치를 신발, 목걸이, 팔찌, 시계, 벨트 등에 부착하거나 해당 기능이 있는 형태의 휴대장치를 휴대한다.
보호자 단말(40)은 210단계에서 보호자로부터 피보호자를 추적관찰하기 위한 안심구역들을 설정 받아 해당 정보를 피보호자 휴대장치(10)에 220단계에서 전송한다.
피보호자 휴대장치(10)는 자신이 230단계에서 상기 보호자 단말(40)로부터 수신한 안심구역을 이탈하는지 여부를 계속적/주기적으로 감시한다. 피보호자 휴대장치(10)는 상기 안심구역 이탈 감시 중 상기 안심구역 이탈을 감지하게 되면 보호자 단말(40)에 상기 안심구역 이탈을 알리는 알람과 이탈된 피보호자 휴대장치(1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240단계에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보호자 단말(40)은 250단계에서 상기 피보호자 휴대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와 안심구역 이탈 알람 정보를 보호자에게 알리고, 보호자는 이 정보를 이용해, 피보호자의 위험상황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괴방지 시스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괴방지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휴대장치(10)를 소지하고 있는 아동이 유괴 위험이 있을 때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고 관련 정보를 경찰서 및 주변 사람 또는 보호자 등에게 전달하여 조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피보호자는 위치추적 기능, 대화 내용 분석 기능, 대화 내용 전달 기능 및 통신기능 등을 가지는 소형의 장치를 신발, 목걸이, 팔찌, 시계, 벨트 등에 부착하여 몸에 지니거라 해당 기능이 있는 소지 가능한 형태의 휴대장치를 휴대한다.
피보호자에게 다른 사람이 말을 걸어오면 310단계에서 피보호자의 휴대장치(10)는 즉시, 또는 소리를 분석하여 대화 상대가 어른으로 판단되거나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면 판단 시점 이전 일정시간부터의 대화 내용 또는 소리를 320단계에서 안심 서비스 센터(30) 또는 보호자 단말(40)에 전송한다.
안심 서비스 센터(30) 또는 보호자는 피보호자 휴대장치(10)로부터 수신된 대화 내용 또는 소리를 330단계에서 분석한다. 안심 서비스 센터(30)는 또는 보호자는 상기 분석 결과 범죄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피보호자의 위치정보와 함께 위험 정보를 기 설정된 보호자 단말(40), 경찰(50), 학교(60)등으로 전송하여 피보호자의 위험 상황을 통보하게 된다. 피보호자의 위험 상황에 따라 휴대장치(10) 자체가 특정 오디오를 발생시켜 주위에 보호를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피보호자 휴대장치(10)로 입력되는 대화내용을 안심 서비스 센터(30) 또는 보호자 단말(40)로 전송하여 대화 내용을 분석하도록 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 하였다. 이 외에도 피보호자 휴대장치(10)로 입력되는 대화 내용을 상기 피보호자 휴대장치(10)에서 직접 분석하여, 범죄 가능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피보호자 휴대장치(10)에서 분석한 결과 범죄 가능성이 판단되면, 피보호자의 위치 정보 및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직접 보호자 단말(40), 경찰(50) 또는 학교(60) 등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고방지 시스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피보호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할 때 피보호자가 휴대한 휴대장치(10)에서 상황을 인지하고, 관련 정보를 경찰서 또는 보호자 등에게 전달하여 조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피보호자가 휴대하는 휴대장치(10)는 위치추정기능, 위험 상황 인지 기능, 주변 소리 또는 대화 내용 전달 기능, 통신 기능을 가지는 신발, 목걸이, 시계 등에 부착된 소형의 장치와 또는 해당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 또는 센서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가지며, 근거리 및 원거리 통신 기능과 정보 저장 및 처리 기능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장치의 집합 일 수 있다.
시간, 장소 등의 이유 때문에 피보호자의 신변 안전이 요구되면, 피보호자 또는 보호자는 안심 서비스 센터(30)에 추적 보호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보호자가 지정한 특정 시간대 또는 안심 서비스 센터가 미리 설정한 우범지역 등 특정 지역에서는 자동으로 추적 관찰이 행해질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범죄 예방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피보호자 휴대장치(10)는 비정상적 대화 또는 소리, 피보호자의 불안, 공포 등에 따른 생체 신호의 변화(혈압, 맥박, 호흡, 체온 등의 변화, 몸 떨림, 소름 등), 몸부림 반항 시 나타나는 종류의 움직임 또는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움직임, 정상 경로 이탈, 의심/우범 지역으로의 이동 등과 같은 피보호자의 상황을 410단계에서 인지하면, 상황 정보와 인지 시점 이전 일정시간부터의 생체신호 또는 주변 소리정보(대화내용 또는 소리)를 안심 서비스 센터 또는 보호자 단말에 420단계에서 전송한다.
안심 서비스 센터(30) 또는 보호자 단말은 피보호자 휴대장치(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해 피보호자의 상황을 430단계에서 분석한다. 안심 서비스 센터(30)는 분석 결과에 따라 피보호자가 위험한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피보호자에 대한 지원 요청 및 상태 정보를 보호자 단말(40) 또는 경찰(50) 및 학교(60)등과 같은 기관으로 440단계에서 전송한다.
또한 피보호자 휴대장치(10)는 안심 서비스 센터(30) 또는 보호자 단말(40)로 주기적, 필요 시 또는 요구 시 위치정보를 보고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안심 서비스 센터(30) 또는 보호자 단말(40)은 피보호자의 정상 경로 이탈, 또는 의심/우범 지역으로 이동에 따른 위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피보호자가 정상 경로 이탈 또는 의심지역으로 이동 시 그 이전 일정시간부터의 소리정보를 안심 서비스 센터(30) 또는 보호자 단말(40)에 전송하도록 요구하여 피보호자의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리정보에 따른 피보호자의 위험 상태 판단은 보호자 등이 직접 청취하거나, 센터의 서버가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서버의 분석에 의해 위험 가능성이 일정 정도 이상 이면, 보호자 또는 서비스 센터 요원에게 알려 최종적으로 판단하게 할 수 잇다.
이외에도, 피보호자가 휴대장치(10)를 흔드는 등의 미리 정해진 동작 패턴이 발생되면, 휴대장치(10)는 해당 정보를 서비스 센터(30) 또는 보호자 단말(40)등과 같이 도움 요청 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택시 관련 피해 방지 시스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는 택시 이용 시 안전한 이용을 위하여 택시 이용 중 위험 상황을 인지하고 관련 정보를 경찰서 주변 사람 또는 보호자 등에게 전달하여 조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련 범죄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택시관련 피해 방지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피보호자 휴대장치(50)는 510단계에서 택시번호판 촬영, 번호 직접 입력 또는 택시 내 부착된 RFID를 읽는 등의 방법으로 택시 및 택시기사에 대한 정보를 획득 및 인증한다. 또는 택시와 단말 사이의 무선연결(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단말간 직접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택시에 대한 ID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ID 를 이용하여 안심 서비스 센터에 접속하여 자동으로 해당 택시 및 기사에 대한 정보를 획득 및 인증할 수 있다.
이외에도 택시에 탑재된 장치가 무선 연결 등을 통해 자동으로 택시 및 기사에 대한 정보를 피보호자 휴대장치(5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택시에 탑재된 장치는 관련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상호가 정보 업데이트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인증정보에는 택시의 도난여부, 해당 시간의 택시기사 사진 등을 포함하여 이를 이용해 보호 대상자 단말(40) 또는 기 설정된 관찰자 단말로 전송되어 해당 택시 및 기사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택시 기사에 대한 인증이 택시에 탑재된 장치에 자동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하나의 실시 예일 수 있으며, 택시 기사가 운전석 이석 후 다시 앉을 때 마다 지문 등으로 인증을 하거나 홍채 인식 등을 택시가 자동적/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방법은 탑재 장치가 직접 수행하여 그 결과를 안심 서비스 센터의 서버에 전송하거나, 지문, 영상 홍채 영상 등의 원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여 분석 및 인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피보호자 휴대장치(10)는 상기 인증된 택시 및 택시기사의 인증 정보를 520단계에서 전송한다. 안심서비스 센터(30)는 피보호자 휴대단말(10) 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피보호자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주기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피보호자 휴대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택시 및 택시 기사에 대한 인증 정보는 상기 안심 서비스 센터(30) 외에 보호자 단말(40)로 직접 전송될 수 있다.
피보호자 휴대장치(10)는 540단계에서 피보호자의 휴대장치(10)로 입력되는 대화내용 또는 비정상적인 소리를 인지 및 분석하거나 비정상적인 움직임, 충격, 갑작스런 생체신호 변화, 정상 주행경로 이탈 등의 상황을 인지하여 피보호자가 위험상황에 처함을 인지할 수 있다.
피보호자 휴대장치(10)는 상기한 다양한 상황 정보와 인지 시점 이전의 일정시간부터의 주변 소리 정보를 안심 서비스 센터(30)에 550단계에서 전송한다.
안심 서비스 센터(30)는 피보호자 휴대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상기 정보를 분석하여 보호자 단말(40) 또는 기 설정된 보호요청 기관(50)에 관련 정보 및 지원 요청을 570단계에서 전송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피보호자의 휴대장치(10)는 택시가 출발하면 위치 이동을 인지하여 택시 이용과 관련한 정보를 자동으로 안심 서비스 센터에 전송한다. 상기 전송되는 택시 이용 관련 정보는 승차시각, 승차지점, 택시 및 기사 관련 정보와 목적지, 주변 단말 ID정보 등일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은 피보호자 휴대장치(10), 교통 서비스 센터(70) 및 차량 내 스마트 네비게이터(80)로 구성된다.
피보호자 휴대장치(10)는 위치추정기능, 위험 상황 인지 기능,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소형의 장치 또는 해당 기능이 있는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소형 장치 또는 단말기는 피보호자의 신발, 팔찌, 시계, 벨트 등에 부착하여 몸에 지니거나 휴대하여 피보호자의 상황을 교통서비스 센터(70) 또는 차량 네비게이터(8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대인 교통 사고 방지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서는 도로 주변의 피보호자 또는 자전거 등 저속 이동체 등의 이동 속도, 방향 등에 대한 정보 또는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는 대상에 대한 정보를 주변 차량의 스마트 네비게이터에 제공하여 대인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보호자 휴대장치(10)는 교통 서비스 센터(70)에 위치, 이동, 속도 및 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710단계에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교통 서비스 센터(70)는 상기 피보호자 휴대장치(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처리해 교통사고 유발 가능성을 720단계에서 판단한다. 교통서비스 센터(70)는 교통사고 유발 가능성이 높은 피보호자 휴대장치(10)의 위치를 주변 차량으로 730단계에서 방송한다. 상기 피보호자 휴대장치 주변 차량 내 스마트 네비게이터들은 740단계에서 방송된 피보호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피보호자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빛, 소리 등으로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가 주의 우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차량은 자동 안전시스템을 작동시켜 차량을 서행시키거나 정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정지해 있거나 피보호자와 일정 정도 이상 떨어진 지점을 주행중인 차량의 장치는 상기 피보호자의 상태 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대인 교통 사고 방지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피보호자 휴대장치(10)는 피보호자의 위치, 이동속도, 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810단계에서 교통사고 유발 가능성을 추론하게 된다. 피보호자 휴대장치(10)는 피보호자 휴대장치(10)는 추론 결과에 따라 교통사고 유발 가능성이 있는 경우 820단계에서 관련정보(위치, 이동방향, 이동속도 등)를 교통 서비스 센터(70)를 통해 또는 직접 주변 차량에 방송 한다.
상기 방송 방법으로는 IEEE802.11P 기반의 V2V, Wifi??Direct 또는 셀룰러 기반 단말 간 직접 통신 등이 있다.
상기 피보호자 휴대장치 주변 차량 내 스마트 네비게이터들은 830단계에서 방송된 피보호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피보호자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빛, 소리 등으로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가 주의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피보호자 휴대단말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차량의 스마트 네비게이터는 상기 정보를 무시한다.
이때 차량은 자동 안전시스템을 작동시켜 차량을 서행시키거나 정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정지해 있거나 피보호자와 일정 정도 이상 떨어진 지점을 주행중인 차량의 장치는 상기 피보호자의 상태 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보호자 단말로부터 피보호자의 추적관찰 지역인 안심구역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안심구역 정보를 피보호자 휴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피보호자 휴대장치에서 상기 안심구역 이탈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안심구역 이탈이 감지되면, 상기 안심구역 이탈 정보를 보호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방법.
  2. 피보호자 휴대장치로 입력되는 대화 내용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피보호자 휴대장치가 대화 내용 입력 즉시 또는 내용 분석을 통해 위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대화 내용을 보호자 또는 안심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보호자 또는 안심 서비스 센터가 상기 입력 받은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범죄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범죄 가능성이 판단되면 기 설정된 도움요청 목적지로 관련 정보 전송 및 도움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방법.
  3. 피보호자 휴대장치가 피보호자 주변의 비정상적 대화 또는 소리, 비정상적 생체 신호의 변화, 비정상적 움직임 도는 예상 경로 이탈 등과 같은 피보호자의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상황 관련 정보 및 상황 인지 시점 이전 일정시간부터의 생체신호 또는 주변 소리정보를 기 설정된 안심 서비스 센터 또는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안심 서비스 센터 또는 보호자가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도움 요청 목적지로 관련 정보 전송 및 도움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방법.
  4. 피보호자 휴대장치에서 택시 및 택시기사의 정보를 확인 및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정보를 기 설정된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피보호자 휴대장치에서 피보호자 주변의 비정상적 대화 또는 소리, 비정상적 생체 신호의 변화, 비정상적 움직임 또는 예상 주행경로 이탈 등과 같은 피보호자의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상황 정보및 상황 인지 시점 이전 일정시간부터의 생체신호 또는 주변 소리정보를 상기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센터에서 상기 수신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피보호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피보호자의 상황을 상기 서비스 센터에서 기 설정된 도움요청 목적지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방법.
  5. 피보호자 휴대장치는 주기적으로 피보호자의 위치, 이동속도 및 방향을 포함하는 정보를 교통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센터에서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교통사고 유발 가능성이 의심되면, 상기 정보를 송신한 피보호자 주변의 차량으로 해당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
    상기 방송된 피보호자 정보를 차량의 네비게이터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방법.
  6. 피보호자 휴대장치에서 피보호자의 위치, 이동속도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유발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교통사고 유발 가능성을 가지는 피보호자 휴대장치의 주변을 운행하는 차량으로 해당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
    상기 방송된 피보호자 정보를 차량의 네비게이터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방법.
KR1020110047971A 2010-05-20 2011-05-20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281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246 2010-05-20
KR20100047246 2010-05-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716A Division KR20170117901A (ko) 2010-05-20 2017-09-25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157A true KR20110128157A (ko) 2011-11-28

Family

ID=453965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971A KR20110128157A (ko) 2010-05-20 2011-05-20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20170123716A KR20170117901A (ko) 2010-05-20 2017-09-25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716A KR20170117901A (ko) 2010-05-20 2017-09-25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101281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726A (ko) 2017-09-20 2019-03-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995B1 (ko) 2018-08-30 2020-11-1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전자 폭력 감지 방법
KR102235265B1 (ko) * 2019-02-13 2021-04-0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카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726A (ko) 2017-09-20 2019-03-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901A (ko)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872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개인 위험인식 및 알림 시스템 및 방법
US10431076B2 (en) Smart crosswalk safety system for pedestrian
US20050037730A1 (en) Mobile wireless phone with impact sensor, detects vehicle accidents/thefts, transmits medical exigency-automatically notifies authorities
CN111052195B (zh) 路侧装置、行人装置、通信系统、异常探测方法以及异常通知方法
WO2014141618A1 (en) Vehicle tracking of personal devices with response system
US201600864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emergency situation for drivers using wearable smart device
KR101486402B1 (ko) 스마트 폰 연계 전자 태그 비상 경보 신호를 이용한 배움터 안전 지킴이 방범 시스템
US100296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otential accident situations with a car
CA3033315A1 (en) Wearable transponder(s), alert and monitoring system
KR20170117901A (ko)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1392628B1 (ko) 통합 관제를 이용한 안심 귀가 시스템
KR101670411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180075322A (ko) 통학버스용 학생안전통학방법
KR101097049B1 (ko) 성범죄자 접근 경고 시스템
KR101453248B1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시스템
KR101493399B1 (ko) 범죄자 접근 경고 시스템 및 그 서버 제어 방법
KR20160028542A (ko) 차량의 응급구조 및 범죄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98931B1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방법
KR101401524B1 (ko) 순찰 단말기, 순찰 운영서버 및 그 제어방법
JP2007193644A (ja) 異常監視システム
KR20140126156A (ko) 브로드캐스팅 블루투스 기반 택시안전 식별자 자동스캔 기능의 택시안전귀가 방법
Nivedetha et al. Smart accident prevention system using sensors
KR100978879B1 (ko) 차량 추적방법
RU2601163C2 (ru) Система оповещения о тревожных событиях
JP2019096276A (ja) 見守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