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726A -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726A
KR20190032726A KR1020170120887A KR20170120887A KR20190032726A KR 20190032726 A KR20190032726 A KR 20190032726A KR 1020170120887 A KR1020170120887 A KR 1020170120887A KR 20170120887 A KR20170120887 A KR 20170120887A KR 20190032726 A KR20190032726 A KR 20190032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alarm
protected
information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이상현
우유동
이현경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20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2726A/ko
Publication of KR20190032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있으며, 근거리통신의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경보하는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 보호자의 모바일 단말간 동기화를 통해 다수의 피보호자를 그룹 관리하는 모바일 단말과, 근거리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며, 동기화가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의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모바일 단말과의 경보 거리에 대응하여 경보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N:M 으로 보호자 개인이 다수로 연결되어 보호자가 보다 편리하게 다수를 관리할 수 있다. 유치원, 초등학교 등 유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단체활동에서 N:M 연결을 통해 어떤 아이가 현재 자리에서 없는지를 보호자들이 쉽게 알 수 있으며, 자유시간 등을 주고 알람설정을 통해 시간이 끝나면 아이들에게 알림효과를 줄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Lost child preventing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r}
본 발명은 미아 방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간 동기화를 통해 다수의 보호자가 다수의 피보호자를 관리하는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집결하는 공공시설, 마트, 백화점, 유원지 등에서는 미아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다수의 사람들과 함께 직진만 하는 아이들의 습성과, 복잡한 건물구조 등으로 인해 미아 발생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미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일례로서, 모바일 단말과 스마트 밴드 간 거리를 측정하여,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게 되면 경보음이 울리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면 여기서, 기존 미아 방지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6989호(공고일 2013.06.24.),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 태그를 이용한 경고 알람 방법"은 근거리 통신의 대표 사례로서, 아이들 팔찌와 목걸이 등 장신구에 근거리 통신칩을 내장해 부모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아이의 무선 태그로부터 일정 주기마다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 세기에 따른 거리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킨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28157호(공개일 2011.11.28.),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시스템"은 이동통신을 이용한 단말 위치추적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스마트폰 지리정보와 결합해 위치추적으로 근거리를 벗어난 미아를 찾는다. 피보호자 휴대장치에서 안심구역 이탈 여부를 확인하고, 안심구역 이탈이 감지되면 이탈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보호자 단말로 전송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 기술은 개인과 개인간 서비스에 기초하고 있다. 즉, 보호자 1명이 다수의 피보호자를 관리하려면 각각 시스템을 다르게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로 인해, 유치원, 초등학교 등의 단체에서는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6989호, 공고일 2013.06.2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28157호, 공개일 2011.11.2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간 동기화를 통해 각 모바일 단말에 등록된 피보호자를 공유하여 그룹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보호자가 다수의 피보호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은,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있으며, 근거리통신의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경보하는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 보호자의 모바일 단말간 동기화를 통해 다수의 피보호자를 그룹 관리하는 모바일 단말; 및 근거리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며, 동기화가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의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모바일 단말과의 경보 거리에 대응하여 경보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밴드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 조작을 지원하는 입력부; 상기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피보호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스마트 밴드와 통신하는 근거리통신 모듈; 상기 경보 거리에 대응하여 경보가 실행되는 경보부; 및 상기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며, 상기 미아 방지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보호자의 타 모바일 단말간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동기화에 대응하여 각 모바일 단말에 등록된 피보호자를 저장하여 그룹 관리하며, 상기 스마트 밴드와 설정 거리 이상 벗어날 경우에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밴드는, 상기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는 근거리통신 모듈;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달된 타 모바일 단말들의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모바일 단말과 설정 거리 이상 벗어날 경우에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경보신호에 대응하여 청각적, 시각적 경보를 실행하거나 전화번호를 출력하는 경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미아 방지 프로그램 실행부; 상기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각 모바일 단말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부; 및 상기 동기화를 통해 각 모바일 단말에 등록된 피보호자 정보를 공유하여 피보호자를 그룹 관리하는 그룹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방법은,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모바일 단말간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단계; 및 보호자 정보와 피보호자 정보를 공유하는 피보호자를 그룹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간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단계는, 타 모바일 단말에 등록된 피보호자 정보를 동기화하는 단계; 공유된 타 모바일 단말 정보를 스마트 밴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각 모바일 단말과 피보호자의 스마트 밴드간 페어링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 관리하는 단계에는, 피보호자의 집합 알림을 알려주는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간, 상기 모바일 단말과 피보호자의 스마트 밴드는 근거리통신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근거리통신은 블루투스 통신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그 동안 개인 용도로만 사용할 수밖에 없었던 미아 방지 용품들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개개인으로만 연결해야 했던 불편함을 N:M 으로 보호자 개인이 다수로 연결되어 보호자가 보다 편리하게 다수를 관리할 수 있다. 유치원, 초등학교 등 유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단체활동에서 N:M 연결을 통해 어떤 아이가 현재 자리에서 없는지를 보호자들이 쉽게 알 수 있으며, 자유시간 등을 주고 알람설정을 통해 시간이 끝나면 아이들에게 알림효과를 줄 수 있다. 즉 단순히 미아 방지만이 아닌 단체활동에서도 보다 편리하게 단체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아두이노 블루투스 연결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아판단, 집합시간 입력, 전화번호 입력, 그룹정보 입력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아 판단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고 및 집합알림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앱 실행 화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은,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있으며, 근거리통신의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경보하는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 보호자의 모바일 단말간 동기화를 통해 다수의 피보호자를 그룹 관리하는 모바일 단말(1)과, 근거리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1)과 연결되며, 동기화가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1)의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모바일 단말(1)과의 경보 거리에 대응하여 경보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밴드(2)를 포함한다.
여기서, 근거리통신은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은, 사용자 조작을 지원하는 입력부(11)와,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피보호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메모리(12)와, 스마트 밴드(2)와 통신하는 근거리통신 모듈(13)과, 경보음을 출력하는 MP3 모듈(14)과,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며, 미아 방지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보호자의 타 모바일 단말(1)간 동기화를 수행하고, 동기화에 대응하여 각 모바일 단말(1)에 등록된 피보호자를 저장하여 그룹 관리하며, 스마트 밴드(2)와 설정 거리 이상 벗어날 경우에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5)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경보 출력 방법으로 MP3 모듈(14)만을 제시하고 있으나, 발광이 이루어지는 LED 모듈, 전화번호, 시계 등을 출력하는 OLED 모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LED 모듈, OLED 모듈 및 MP3 모듈(14) 등을 이용하여 경보부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1)은 스마트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에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인스톨 및 실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미아 방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밴드(2)는, 모바일 단말(1)과 통신하는 근거리통신 모듈(21)과,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1)로부터 전달된 타 모바일 단말(1)들의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22)와, 모바일 단말(1)과 설정 거리 이상 벗어날 경우에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23)와, 경보신호에 대응하여 청각적, 시각적 경보를 실행하거나 전화번호를 출력하는 LED 모듈(24), OLED 모듈(25), MP3 모듈(26)을 포함한다.
스마트 밴드(2) 역시, LED 모듈(24), OLED 모듈(25), MP3 모듈(26) 등을 이용하여 경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에 있어, 먼저, 각 보호자는 자신이 관리해야 하는 피보호자 정보를 자신의 모바일 단말(1)에 등록한다. 단체 활동이 있을 경우, 자신의 모바일 단말(1)과 자신의 모바일 단말(1)에 등록된 피보호자의 스마트 밴드(2)가 구동됨에 따라 페어링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각 모바일 단말(1)간 동기화를 통해 자신의 모바일 단말(1)에 등록한 피보호자 정보를 서로 공유한다. 또한, 자신의 모바일 단말(1)에 등록된 스마트 밴드(2)로 동기화된 모바일 단말(1)의 정보(전화번호)를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이에, 모든 모바일 단말(1)과 모든 스마트 밴드(2)는 N:M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5)는, 관리자 요청에 대응하여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미아 방지 프로그램 실행부(151)와,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각 모바일 단말(1)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부(152)와, 동기화를 통해 각 모바일 단말(1)에 등록된 피보호자 정보를 공유하여 피보호자를 그룹 관리하는 그룹 관리부(15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어부(15)는, 각 모바일 단말(1)에서 미아 방지 프로그램이 실행중인지 판단하여, 미아 방지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으면, 동기화를 수행한다. 각 모바일 단말(1)간 동기화가 이루어지면, 각 모바일 단말(1)에 등록된 피보호자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피보호자 정보는 스마트밴드 고유정보, 피보호자의 이름, 나이, 인상착의 등의 신상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모바일 단말(1)은 타 모바일 단말(1)에 등록된 피보호자 정보를 저장하고, 타 모바일 단말(1)에 등록된 스마트 밴드(2)와의 페어링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보호자와 다수의 피보호자의 페어링을 통해 그룹 관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각 보호자는 자신이 관리해야 하는 피보호자 정보를 자신의 모바일 단말(1)에 등록한다(S1).
모바일 단말(1)과 스마트 밴드(2)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모바일 단말(1)에 등록된 스마트 밴드(2)와의 페어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모바일 단말(1)에서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S2), 근거리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존재하는 모바일 단말(1)간 동기화가 진행된다(S3). 물론, 타 모바일 단말(1)에서도 미아 방지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여야 한다.
모바일 단말(1)간 동기화를 통해 타 모바일 단말(1)에 등록된 피보호자 정보를 동기화한다(S4). 이에 모바일 단말(1)의 저장부에 타 모바일 단말(1)에 등록된 피보호자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된다.
이어서 각 모바일 단말(1)은 동기화를 통해 공유된 타 모바일 단말(1) 정보를 스마트 밴드(2)로 전송한다(S5). 이에 스마트 밴드(2)는 등록된 모바일 단말(1) 이외의 다수의 타 모바일 단말(1) 정보를 저장한다.
이에, 각 모바일 단말(1)에는 모든 모바일 단말(1)에 등록된 피보호자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되게 되며, 스마트 밴드(2)에도 모든 모바일 단말(1)의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S6).
이후, 모든 모바일 단말(1)과 모든 스마트 밴드(2)가 페어링되어(S7), 모든 모바일 단말(1)과 모든 스마트 밴드(2)는 N:M 그룹 관리가 이루어지게 된다(S8).
한편, 모바일 단말(1)과 스마트 밴드(2)가 설정 거리 이상 벗어날 경우에는 경보신호가 생성되게 된다. 또한, 해당 경보신호에 대응하여 스마트 밴드(2)에서 경보가 실행되게 된다.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아두이노 블루투스 연결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보호자가 미아 방지를 확인하고 미아 방지에 관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모바일 단말)(1.1.1), 어플리케이션(1.1.1)과 아두이노(1.2.1)를 서로 연동하는 블루투스 모듈(1.2.2), 피보호자가 착용하여 여러 알림을 제공하는 아두이노(1.2.1)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1.1.1)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아닌 앱 인벤터를 활용하여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아이스크림 샌드위치(안드로이드 4.0) 버전 이상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플리케이션(1.1.1)은 미아판단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집합시간을 입력할 수 있고, 전화번호 입력, 그룹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1.1) 내부 DB를 활용하여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블루투스 모듈(1.2.2)은 보호자의 어플리케이션(1.1.1)과 피보호자의 아두이노(1.2.1)를 연결한다. 블루투스의 통신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1.1.1)으로 미아판단 정보를 전달한다. 아두이노(1.2.1)에도 정보를 전달한다. 보호자가 어플리케이션(1.1.1)에서 집합 시간을 입력하면 블루투스 모듈(1.2.2)은 아두이노(1.2.1)에 집합시간 정보를 전달한다. 보호자가 어플리케이션(1.1.1)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블루투스 모듈(1.2.2)은 아두이노(1.2.1)에 전화번호 정보를 전달한다.
아두이노(1.2.1)는 LED 모듈(1.2.3), OLED 모듈(1.2.4), MP3 모듈(1.2.5)을 지원한다. LED 모듈(1.2.3)은 아두이노(1.2.1)가 특별한 상황에서 LED가 점멸하도록 한다. OLED 모듈(1.2.4)는 화면을 출력해 주는 것으로 미아가 발생했을 시 보호자에게 연락할 수 있는 연락처를 출력해 주며, 현재 시간을 출력한다. MP3 모듈(1.2.5)은 미아발생 시 경보 알람을 출력한다. MP3 모듈(1.2.5)은 집합시간을 설정했을 때 집합알림을 출력한다.
전체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다.
보호자는 어플리케이션(1.1.1)을 본인 모바일 단말(1)(스마트폰)에 설치한다.
어플리케이션(1.1.1)에서 집합시간을 입력할 수 있고, 미아 발생시 OLED 모듈(1.2.4)에 출력될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단체를 관리하기 위한 그룹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집합시간, 전화번호, 그룹정보는 블루투스 모듈(1.2.2)로 전송된다.
블루투스 모듈(1.2.2)은 입력받은 정보를 피보호자의 아두이노(1.2.1)로 전송한다.
아두이노(1.2.1)는 현재 상태에 따라 여러 작동을 한다.
아두이노(1.2.1)는 OLED 모듈(1.2.4)을 통해 현재 시간과 보호자의 연락처를 출력해 준다.
아두이노(1.2.1)는 LED 모듈(1.2.3)을 통해 LED 모듈(1.2.3)을 점멸해 준다.
아두이노(1.2.1)는 MP3 모듈(1.2.5)을 통해 미아 발생 시 미리 저장되어 있던 경보 알람을 출력해 주고, 설정된 집합시간이 도달하면 미리 저장되어 있던 집합 알림을 출력해 준다.
블루투스 모듈(1.2.2)과 아두이노(1.2.1)는 서로 통신여부를 가지고 미아상태 판단을 내린다.
블루투스 모듈(1.2.2)과 아두이노(1.2.1)가 통신이 끊어지면 블루투스 모듈(1.2.2)은 보호자의 어플리케이션(1.1.1)에 미아발생을 알려 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아판단, 집합시간 입력, 전화번호 입력, 그룹정보 입력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입력된 전화번호와 집합시간은 입력정보 제어 시스템(1.2.1.2)으로 전송 된다. 입력정보 제어 시스템(1.2.1.2)은 집합시간은 모듈 통합 제어 시스템(1.2.1.3)으로 전송해준다. 전화번호는 내부 전화번호 DB로 전송해준다.
전화번호 DB는 전화번호를 모듈 통합 제어 시스템(1.2.1.3)으로 전송해준다.
미아판단 제어 시스템(1.2.1.1)은 모듈 통합 제어 시스템(1.2.1.3)으로 미아판단 여부를 전송해준다.
모듈 통합 제어 시스템(1.2.1.3)은 3가지 정보를 통합하여 아두이노(1.2.1)에 LED 제어, 전화번호 출력, 시계, 경보 알람, 집합알림을 제어한다.
보호자는 그룹 관리 목록에서 그룹에 관한 관리를 할 수 있다.
'그룹 생성'메뉴에서 보호자가 미아 방지를 하고 싶은 피보호자를 묶어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그룹 추가'메뉴에서 보호자는 생성되어 있던 그룹에 새로운 피보호자를 추가할 수 있다.
'그룹 삭제'메뉴에서 보호자는 생성되어 있는 그룹을 삭제할 수 있다.
'집합시간 입력' 메뉴에서 보호자는 집합시간을 입력하여 피보호자 아두이노(1.2.1)로 전송할 수 있다.
'전화번호 입력' 메뉴에서 보호자는 미아 발생 시 연락받을 수 있는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피보호자 아두이노(1.2.1)에 출력할 수 있다.
그룹화 시스템에 그룹정보를 입력하여 어플리케이션 내부DB에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아 판단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미아판단은 미아판단 종합 시스템(1.1.1.2.3)이 미아 여부를 감지하여 미아판단 상태를 어플레케이션(1.1.1.2.1)에 전달해주고 미아판단 플래그를 블루투스 모듈(1.2.2)을 통하여 아두이노에 전송한다.
집합시간은 집합시간 입력 시스템에 집합시간을 입력하면 입력된 집합시간을 블루투스 모듈(1.2.2)을 통하여 아두이노(1.2.1)에 전송한다.
전화번호는 전화번호 입력 시스템에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전화번호가 블루투스 모듈(1.2.2)을 통하여 아두이노(1.2.1)에 전송한다.
미아판단 종합 시스템(1.1.1.2.3)에 그룹, 보호자 정보와 외부 미아판단 정보가 들어온다. 또 미아판단 DB는 개별 미아 정보를 받아 보호자별 미아판단 종합 정보를 미아판단 종합 시스템(1.1.1.2.3)에 전송해 준다.
미아판단 종합 시스템(1.1.1.2.3)은 정보를 종합하여 종합 DB에 전송해 준다.
종합DB는 최종 종합 정보를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1.1.1.2.4)과 종합 정보 공유 시스템(1.1.1.2.5)에 전달해 준다.
아두이노(1.2.1)의 LED 모듈(1.2.3)은 설정한 상태에 맞춰 LED 모듈(1.2.3)을 점멸 제어할 수 있다.
아두이노(1.2.1)의 OLED 모듈(1.2.4)은 입력된 전화번호가 들어오면 OLED 모듈(1.2.4)에 전화번호가 출력이 되고, 현재 시간을 받아와서 현재 시간이 출력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고 및 집합알림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D메모리 카드에는 집합알림에 따른 MP3 파일이 저장되어 있고, 미아발생 경보상황에 따른 MP3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MP3 모듈 제어(1.2.1.3.3.)에 미아발생 경보 상황과 집합 알림을 알려주는 상황이 전달된다. 미아발생 경보 상황과 집합알림 상황에 맞는 MP3 파일을 SD 메모리 카드가 MP3 모듈 제어(1.2.1.3.3.)에 전송해 준다. MP3 모듈(1.2.5)은 미아발생이 되면 미아발생 경보 MP3 파일을 재생한다. 설정된 집합시간이 되면 집합알림 MP3 파일을 재생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앱 실행 화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앱을 실행하여 출력된 메인 화면에서 "연결하기"를 누르면 연결가능한 블루투스 목록들이 나열되며, 블루투스를 누르면 선택된 블루투스가 연결된다.
"연결끊기"를 누르면 연결되어 있는 블루투스의 연결이 즉시 끊어진다.
"시간확인"을 누르면 현재 시간이 출력된다.
"번호전송"을 누르면 입력된 전화번호를 피보호자의 OLED 모듈(1.2.4)에 출력해 준다.
"그룹관리"를 누르면 단체 그룹 생성을 할 수 있다. 그룹 만들기를 누르면 그룹 담당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그룹 인원을 설정할 수 있다. 그룹 삭제를 누르면 그룹 삭제가 가능하다.
"피보호자"를 누르면 보호받을 피보호자를 등록할 수 있다. 피보호자 등록시 피보호자의 스마트밴드 정보도 등록이 된다. 피보호자 삭제를 누르면 등록된 피보호자를 삭제 한다.
"보호자"를 누르면 보호자 등록이 가능하다. 보호자 삭제를 누르면 등록된 보호자를 삭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보호자 다수와 여러 피보호자를 같이 연동시켜 보호자가 여러명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단체를 고려하여 알람시간도 지정하여 지정한 시간이 지나면 알람이 울려 피보호자가 알람시간을 상기할 수 있도록 했다. 이로 인해 단체 야외활동 등 여러 단체 활동을 진행하면서 인원체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도 여러명이라 1명이 피보호자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보호자가 여러 피보호자를 같이 관리할 수 있으므로 보다 관리가 수월해 진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여기서 제시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특수목적의 컴퓨터,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별한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당업자는 상술한 다양한 예시적인 엘리먼트, 컴포넌트, 논리블록, 모듈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잘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소자들, 블록, 모듈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가된 설계 제한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이러한 기능들을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이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물과 관련하여 기재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및 모듈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반도체(ASIC),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기재되는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되는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러한 프로세서는 기존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이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이 계산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대하여, 여기에서 개시되는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의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및 모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처리기들(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범용 목적의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범용-목적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임의의 기존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법들을 사용하는 방법, 장치, 또는 제조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개시되는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몇몇의 양상들에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은 기계-판독가능 매체,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코드들 또는 명령들의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 통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조물은 임의의 적절한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모바일 단말
15 : 제어부
151 : 미아 방지 프로그램 실행부
152 : 동기화부
153 : 그룹 관리부
2 : 스마트 밴드

Claims (9)

  1.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있으며, 근거리통신의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경보하는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 보호자의 모바일 단말간 동기화를 통해 다수의 피보호자를 그룹 관리하는 모바일 단말; 및
    근거리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며, 동기화가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의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모바일 단말과의 경보 거리에 대응하여 경보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밴드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 조작을 지원하는 입력부;
    상기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피보호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스마트 밴드와 통신하는 근거리통신 모듈;
    상기 경보 거리에 대응하여 경보가 실행되는 경보부; 및
    상기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며, 상기 미아 방지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보호자의 타 모바일 단말간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동기화에 대응하여 각 모바일 단말에 등록된 피보호자를 저장하여 그룹 관리하며, 상기 스마트 밴드와 설정 거리 이상 벗어날 경우에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밴드는,
    상기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는 근거리통신 모듈;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달된 타 모바일 단말들의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모바일 단말과 설정 거리 이상 벗어날 경우에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경보신호에 대응하여 청각적, 시각적 경보를 실행하거나 전화번호를 출력하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미아 방지 프로그램 실행부;
    상기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각 모바일 단말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부; 및
    상기 동기화를 통해 각 모바일 단말에 등록된 피보호자 정보를 공유하여 피보호자를 그룹 관리하는 그룹 관리부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
  5.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미아 방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모바일 단말간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단계; 및
    보호자 정보와 피보호자 정보를 공유하는 피보호자를 그룹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간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단계는,
    타 모바일 단말에 등록된 피보호자 정보를 동기화하는 단계;
    공유된 타 모바일 단말 정보를 스마트 밴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각 모바일 단말과 피보호자의 스마트 밴드간 페어링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관리하는 단계에는, 피보호자의 집합 알림을 알려주는 서비스가 포함되는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간, 상기 모바일 단말과 피보호자의 스마트 밴드는 근거리통신을 통해 통신하는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은 블루투스 통신인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방법.
KR1020170120887A 2017-09-20 2017-09-20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2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887A KR20190032726A (ko) 2017-09-20 2017-09-20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887A KR20190032726A (ko) 2017-09-20 2017-09-20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726A true KR20190032726A (ko) 2019-03-28

Family

ID=6590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887A KR20190032726A (ko) 2017-09-20 2017-09-20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272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157A (ko) 2010-05-20 2011-11-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1276989B1 (ko) 2011-11-25 2013-06-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 태그를 이용한 경고 알람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경고 알람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157A (ko) 2010-05-20 2011-11-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을 이용한 사고 및 위험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1276989B1 (ko) 2011-11-25 2013-06-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 태그를 이용한 경고 알람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경고 알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8231B2 (en) Location aware alerting and notification escalation system and method
KR102077594B1 (ko)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IoT 지능형 독거노인 안심서비스 시스템.
KR101354625B1 (ko) 원격 보호 및 감시 시스템
US8928479B2 (en) Security system with automatic alarm
KR101267809B1 (ko) 전자발찌조회통지방법
KR101633006B1 (ko) 감시구역 이탈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891257B (zh) 用于监测至少一个传感器的中央处理器
KR102131969B1 (ko)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 및 시스템
US20140361874A1 (en) Tracking and emergency alert device
US9553992B1 (en) Automate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US20170193807A1 (en) Alarm system on a device connected to a network
KR20120044747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비상 알림시스템
KR20190032726A (ko) 다중이용자를 위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9560A (ko)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US10096232B1 (en) Portable security alarm device
JP7411336B2 (ja) 広域警報システム
CN201781579U (zh) 影音监控系统
KR20200017940A (ko) 딥러닝 기반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4216890A (ja) 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端末
US202102740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timely personalized information of vulnerable persons to authorities and/or caregivers
KR102625673B1 (ko) 영유아시설을 위한 야외활동 아동 실종방지 시스템
KR102529689B1 (ko) 스마트 소통 콜 시스템
WO2016153415A1 (en) Method of receiving and selectively distribute information
US20130135467A1 (en) System and Method to Automatically Begin a Video Chat Session
TWI537888B (zh) 基於使用者需求之行動裝置追蹤系統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