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055A - 도로용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용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055A
KR20110128055A KR1020100047658A KR20100047658A KR20110128055A KR 20110128055 A KR20110128055 A KR 20110128055A KR 1020100047658 A KR1020100047658 A KR 1020100047658A KR 20100047658 A KR20100047658 A KR 20100047658A KR 20110128055 A KR20110128055 A KR 20110128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bracket
shaft
main body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영
박무식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이석영
박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이석영, 박무식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100047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8055A/ko
Publication of KR20110128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03G7/081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recovering energy from moving road or rail vehicles, e.g. collecting vehicle vibrations in the vehicle tyres or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에 설치되고 일정 각도 상부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하중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브라켓과, 상기 본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브라켓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어 출력축을 증속하는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일방향 클러치의 후방에 설치된 발전기를 포함하는 도로용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용 발전장치 {Electric power generation device for road}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해 각 바퀴에 걸리는 하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도로용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참고문헌: PCT 공개특허 2009/101448
운동 에너지를 사용가능한 전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차량 주행 도로(202)에 정렬되는 프레임(204)과 다수의 플레이트(211~219, 221~229)를 포함한다. 각 플레이트는 에너지 전환 수단(232,234)을 구동시키기 위한 프레임과 연관하여 움직일 수 있다. 에너지 전환 수단(232,234)은 가변 관성을 가지는 회전 부재(도 19에 도시된 293)를 가진다.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개선할 점이 있었다.
첫째, 발전기에 입력되는 축의 회전이 충분히 크지 않아서 발전량이 부족했다.
둘째, 바퀴가 지나가면서 생성되는 급격한 동적하중으로 인해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간의 접촉과 상호 마찰에 따른 마모의 촉진을 증가시켜서 부품의 수명을 단축시켰다.
셋째, 바퀴가 지나가면서 생성되는 축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각 구성부품의 배치가 동일한 축 선상에 있지 않고 교차하거나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동력전달이 되어 기어 이의 접촉에 따른 기계마찰과 축의 굽힘모멘트 증가에 의한 기계적 손실이 증가하게 되었다.
넷째, 종래의 상기 시스템은 도로의 하면에 설치되어 방수, 시공 및 유지 보수의 측면에서 실용상 어려움이 많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상에 설치되고,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해 각 바퀴에 걸리는 하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도로용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로용 발전장치는 지상에 설치되고 일정 각도 상부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하중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브라켓과, 상기 본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브라켓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어 출력축을 증속하는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일방향 클러치의 후방에 설치된 발전기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도로용 발전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주행하는 자동차의 바퀴가 걸리는 하중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축에 유성기어를 설치함으로써 출력측이 증속되어 많은 양의 전기를 생산해 낼 수 있다.
또한, 토셔널 댐퍼를 설치하여 급가속으로 회전하는 축의 비틀림 진동을 흡수하여 기계부품의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다.
또한, 무스프링 일방향 클러치를 설치함으로써 기계적 마찰 손실을 저감시키며 회전방향을 구속하거나 구동할 수 있게 할 수 있고,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발전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발전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발전장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발전장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발전장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발전장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발전장치의 설치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발전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발전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발전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발전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발전장치의 설치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발전장치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도로용 발전장치는 지상에 설치되고 일정 각도 상부 방향으로 경사면(70)이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하중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브라켓(80)과, 상기 본체(10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부착되는 케이스(90)와, 상기 브라켓(8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스프링(66)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80)에 연결되어 출력축을 증속하는 유성기어(30)와, 상기 유성기어(30)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일방향 클러치(35)와, 상기 일방향 클러치(35)의 후방에 설치된 발전기(G)를 포함한다.
<본체에 대한 설명>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로용 발전장치는 지상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베이스(75)와, 상기 베이스(75)의 일정 각도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70)과, 상기 경사면(70)의 일측에 연결되는 수평면(71)과, 상기 수평면(71)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된 브라켓(8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75)는 평평한 판의 형상으로 되어 상기 본체(100)의 바닥을 이루며 지상에 직접 닿도록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75)의 일측에 일정 각도 상부 방향으로 제1경사면(7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경사면(70a)에 연결되어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경사면(7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면(71)은 상기 제2경사면(70b)에 연결되어 수평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경사면(70a) 및 제2경사면(70b)은 차량이 지나갈 때 자동차의 바퀴가 먼저 닿게 되는 부분으로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되어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면(71)의 일측에는 브라켓(80)이 힌지(H)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80)은 바닥면(81)과, 상기 바닥면(81)에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면(82)과, 상기 수직면(82)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8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직면(82)의 일측에는 힌지(H)가 연결되어 자동차의 하중에 의해 상기 브라켓(80)이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브라켓(80)의 측면은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80)의 바닥면(81)과 상기 베이스(75)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서 스프링(6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75)의 상부에는 제1고정부(3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연결부(43)는 힌지(42)에 의해서 상기 제1고정부(38)와 결합 된다.
상기 제1연결부(43)의 상부에는 제2로드(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로드(44)의 상부에는 제1로드(4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로드(45)는 제2로드(44)보다 폭이 좁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로드(45)의 내부에는 상기 제1로드(45)보다 직경이 작은 실린더(46)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80)의 내부에 제2고정부(49)가 설치되며, 제2연결부(47)는 힌지(48)에 의해서 상기 제2고정부(49)와 결합 된다.
상기 제1연결부(43) 및 제2연결부(47) 사이에는 스프링(66)이 설치된다.
자동차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브라켓(80)이 하강할 때, 상기 스프링(66)의 길이는 줄어들고, 브라켓(80)이 상승할 때 스프링(66)의 길이는 원래대로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80)의 일측에는 축(50)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의 재질은 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는 자동차의 바퀴의 두 개가 밟고 지나갈 수 있도록 도로상에 넓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90)는 도로와 도로 사이, 즉 차선의 폭만큼 좁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축(50)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브라켓(80)의 높이는 높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50)은 후술할 케이스(90)의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케이스에 대한 설명>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케이스(90)는 축(50)에 의해서 상기 본체(100)의 우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90)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바닥면(91)과, 상기 바닥면(91)의 일측 및 타측에 수직 형성된 제1,제2수직면(92,93)과, 상기 제1,제2수직면(92,93)에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제2경사면(94,95)과, 상기 제1,제2경사면(94,95)의 일측에 형성되어 케이스(90)의 상부를 이루는 수평면(9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90)의 내부에 도로용 발전장치가 내장된다.
상기 케이스(90)의 상기 축(50)이 연결되는 구멍(9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케이스(90) 내부에는 도로용 발전장치의 구성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방축(50)에 토셔널 댐퍼(55)의 원판(55a)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판(55a)에는 다수개의 돌기(5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판(55a)의 외면에는 제1판(55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판(55b)의 내주에는 상기 돌기(5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57)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홈(57)에 스프링(5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판(55b)에는 다수개의 돌기(56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판(55b)의 외면에는 제2판(55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판(55c)의 내주에는 상기 돌기(56a)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57a)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홈(57a)에 스프링(58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판(55c)의 외주에도 돌기(5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판(55c)의 외면에는 제3판(55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판(55d)에는 상기 돌기(56b)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5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57b)에는 스프링(58b)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스프링(58,58a,58b)으로 인해 회전하는 전방축(50)의 비틀림 진동을 흡수하며 기계요소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방축(50)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유성기어(30)는 외각에 형성되는 링기어(31)와, 중앙에 형성되는 썬기어(33)와, 상기 링기어(31) 내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캐리어(32)와, 상기 캐리어(32)에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 피니언기어(34)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유성기어(30)는, 상기 링기어(31)는 고정되고, 캐리어(32)는 입력축에 연결되고, 썬기어(33)는 출력축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캐리어(32)의 전면 중앙에는 중앙축(51)이 연결된다.
상기 유성기어(30)는 속도비의 조절을 위해 구성되었고, 증속시키면서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30)는 썬기어(33)가 출력축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었지만, 입력축의 회전을 출력축에 증속시킬 수 있다면 어떤 구조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썬기어(33)에 연결되는 후방축(52)은 후술할 일방향 클러치(35)와 상호 연결된다.
상기 유성기어(30)와 연결되는 후방축(52)에는 일방향 클러치(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동력전달 구조의 단순화와 함께 기계요소간 거리의 감소를 통하여 기계요소 사이의 기계적 마찰 손실을 저감 시킬 수 있고, 기계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35)는 한 방향으로는 자유로이 회전되지만 그 반대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일방향 클러치(35)는 유성기어의 증속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고, 스프링이 없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40)은 원의 형태로 구성되고 래칫(41)이 형성된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35)는 판(36)의 형상이 상기 회전판(40)의 상단에 올려진 형태로 구성되었다.
상기 판(36)은 전체적으로 마름모의 형태로 되어있고 모서리는 곡선을 띄고 있다.
상기 판(36)은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원호부(c)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판(36)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있는데, 중앙에 형성된 구멍은 상기 후방축(52)이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원호부(c)에 일정간격 떨어져 형성된 구멍에는 회전가능한 폴(37)이 형성된다.
상기 폴(37)은 상기 판(36)에 설치된 힌지축에 연결되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다.
즉, 정회전시 상기 폴(37)의 힌지축이 회전되면서 상기 폴(37)이 상기 래칫(41)에 걸리도록 하고, 역회전시 상기 폴(37)이 상기 래칫(41)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35)는 유성기어의 증속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는 무스프링 클러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35) 후방에는 축(53)에 의해서 발전기(G)가 연결되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버(20)와, 피니언(23)과, 토셔널 댐퍼(55)와, 유성기어(30)와, 일방향 클러치(35)를 컬러로 도시한 것이다.
<도로용 발전장치의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자동차가 지나가는 도로상에 도로용 발전장치가 단독으로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도로용 발전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우측면에 축(50)과 연결된 케이스(90)의 내부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토셔널 댐퍼(55)와, 유성기어(30)와, 일방향 클러치(35)를 포함한다.
주행중인 자동차의 바퀴가 본체(100)를 지나갈 때, 상기 경사면(70a,70b) 및 수평면(71)을 지나가면서 브라켓(80)이 하강하는 동시에 스프링(66)이 압축되면서 전방축(50)이 회전된다. 이때, 회전력으로 전방축(50)에 연결된 토셔널 댐퍼(55)가 작동하게 된다. 이어서, 중앙축(51)에 연결된 캐리어(32)가 회전하면서 캐리어(32)에 맞물린 피니언기어(34)가 자전 및 공전을 하게 되고, 고정된 링기어(31)에 썬기어(33)가 회전하면서 증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증속중인 유성기어(30)의 회전력은 후방축(52)에 연결된 상기 일방향 클러치(35)에 전달된다.
일방향 클러치(35)의 폴(37)이 래칫(41)에 걸리도록 회전하고, 상기 일방향 클러치(35)의 회전력은 후방에 연결된 발전기(G)에 전달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도로용 발전장치의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자동차가 지나가는 도로상에 도로용 발전 장치가 다수개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도로용 발전장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좌측면에 연결된 케이스(90)의 내부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셔널 댐퍼(55)와, 유성기어(30)와, 일방향 클러치(35)와, 상기 일방향 클러치(35)의 후방에 형성된 축(53)에 하이포이드 기어(110)의 링기어(110a)가 연결된다.
상기 링기어(110a)와 맞물리는 구동피니언(110b)은 상기 링기어(110a)가 설치된 축(53)보다 낮은 위치에 축(111)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도로상에 넓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111)은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덮개(112)로 둘러쌓여 있다.
상기 축(111)의 끝단에는 발전기(G)가 설치되도록 한다.
주행중인 자동차의 바퀴가 본체(100)를 지나갈 때, 상기 경사면(70a,70b) 및 수평면(71)을 지나가면서 브라켓(80)이 하강하는 동시에 스프링(66)이 압축되면서 전방축(50)이 회전된다. 이때, 회전력으로 인해 전방축(50)에 연결된 토셔널 댐퍼(55)가 작동하게 된다.
이어서, 중앙축(51)에 연결된 캐리어(32)가 회전하면서 캐리어(32)에 맞물린 피니언기어(34)가 자전 및 공전을 하게 되고, 고정된 링기어(31)에 썬기어(33)가 회전하면서 증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증속중인 유성기어(30)의 회전력은 후방축(52)에 연결된 상기 일방향 클러치(35)에 전달된다.
일방향 클러치(35)의 폴(37)이 래칫(41)에 걸리도록 회전하고, 상기 일방향 클러치(35)의 회전력은 후방의 축(53)과 연결된 하이포이드 기어(110)에 전달된다.
일방향 클러치(35)의 후방에 연결된 링기어(110a)가 회전하면서 링기어(110a)와 맞물리는 구동 피니언(110b)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축(111)에 연결된 발전기(G)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도로용 발전장치의 제3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자동차가 지나가는 도로상에 도로용 발전장치가 단독으로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함)
도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도로용 발전장치는 베이스(75)와, 상기 베이스(75)의 일정각도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70)과, 상기 경사면(7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된 브라켓(80)으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80)의 우측에는 연결된 축(98)에 의해 케이스(9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75)는 평평한 판의 형상으로 되어 지상에 직접 닿도록 설치된다.
상기 경사면(70)은 차량이 지나갈 때 자동차의 바퀴가 먼저 닿게 되는 부분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80)은 바닥면(81)과, 상기 바닥면(81)에 수직인 제1수직면(82)과, 상기 제1수직면(82)에 일정각도 하부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83)과, 상기 제1경사면(83)에 일정 각도 하부방향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8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90)의 내부에 도로용 발전장치가 설치된다.
도 9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케이스(90)의 내부에는 래버(20)와, 피니언(23)과, 토셔널 댐퍼(55)와, 유성기어(30)와, 일방향 클러치(35)가 내장되어있다. 일방향 클러치(35)의 후방에는 발전기(G)가 설치된다.
상기 래버(20)는 케이스(90)의 내부에 배치되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버(20)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고, 내면에는 랙(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랙(10)과 후술할 피니언(23)이 맞물리는 부분은 곡선의 형태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랙(10)도 원호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랙(10)이 상기 피니언(23)과 맞물릴 때 물림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90)의 일측에는 고정부(1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1)에 힌지(21)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힌지(21)에 상기 래버(20)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90)의 바닥에는 바닥부(미도시)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미도시)에는 로드(3)가 힌지(미도시)로 결합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로드(3)의 하부에는 제2원판(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드(3)의 내부에는 상기 로드(3)보다 직경이 작은 실린더(5)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로드(3)는 상기 실린더(5)보다 길이가 길게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5)에 상기 로드(3)가 삽입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5)의 상단에는 제1원판(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원판(미도시)과 상기 제2원판(12)사이에는 스프링(22)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22)은 압축코일형의 복원스프링으로서, 외력에 의해서 상기 래버(20)가 하강할 때 줄어들고, 상승할 때 일정위치로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래버(20)는 자동차의 하중에 의해 브라켓(80)이 하강하면서 생기는 축(98)의 회전에 의해 상기 힌지(21)가 상하 방향으로 원주 운동을 하면서 회전하도록 케이스(90) 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랙(10)과 피니언(23)이 내접하여 접촉함으로써 기어의 이와 상호간 물림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주행하는 자동차의 두 개의 바퀴가 상기 경사면(70)을 지나가면서 브라켓(80)을 누르게 되면, 브라켓(80)이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며 동시에 스프링(22)이 압축되면서 래버(20)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래버(20)와 연결된 피니언(23)이 작동하게 되고, 토셔널 댐퍼(55)와, 유성기어(30)와, 일방향 클러치(35)와, 일방향 클러치(35)의 후방에 연결되는 발전기(G)가 연달아 작동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도로용 발전장치의 제4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자동차가 지나가는 도로상에 도로용 발전장치를 다수개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과 동일한 구성요소와, 제3실시예에서 언급했던 설명은 생략함)
도 1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케이스(90)의 내부에는 래버(20)와, 피니언(23)과, 토셔널 댐퍼(55)와, 유성기어(30)와, 일방향 클러치(35)와, 일방향 클러치(35)의 후방에 연결되는 베벨기어(60)가 내장되어 있다.
즉, 주행하는 자동차의 두 개의 바퀴가 상기 경사면(70)을 지나가면서 브라켓(80)을 누르게 되면, 브라켓(80)이 하부방향으로 하강하고, 스프링(22)이 압축되면서 동시에 래버(20)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래버(20)와 연결된 피니언(23)이 작동하게 되고, 토셔널 댐퍼(55)와, 유성기어(30)와, 일방향 클러치(35)와, 일방향 클러치(35)의 후방에 연결되는 베벨기어(60) 작동되며 축(61)에 연결된 발전기(G)가 순차적으로 작동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 홈 2 : 바닥부 3 : 로드 4 : 힌지
5 : 피스톤 6 : 제1원판 7 : 판 8 : 힌지
9 : 돌출부 10 : 랙 12 : 제2원판 20 : 래버
21 : 힌지 22 : 스프링 23 : 피니언 30 : 유성기어
31 : 링기어 32 : 캐리어 33 : 썬기어 34 : 피니언기어
35 : 일방향클러치 36 : 판 c : 원호부 37 : 폴
38 : 제1고정부 40 : 회전판 41 : 래칫 42 : 힌지
43 : 제1연결부 44 : 제2로드 45 : 제1로드 46 : 실린더
47 : 제2연결부 48 : 힌지 49 : 제2고정부 50 : 전방축
51 : 중앙축 52 : 후방축 53 : 축 55 : 토셔널 댐퍼
55a : 원판 55b : 제1판 55c : 제2판 55d : 제3판
56 : 돌기 56a : 돌기 57 : 홈 57a : 홈
58 : 스프링 58a : 스프링 66 : 스프링 70 : 경사면
70a : 제1경사면 70b : 제2경사면 71 : 수평면 75 : 베이스
80 : 브라켓 81 : 바닥면 82 : 수직면 83 : 경사면
84 : 돌출부 H : 힌지 90 : 케이스 91 : 바닥면
92 : 제1수직면 93 : 제2수직면 94 : 제1경사면 95 : 제2경사면
96 : 수평면 97 : 구멍 98 : 축 100 : 본체
110 : 하이포이드기어 111 : 축 112 : 덮개 G : 발전기

Claims (1)

  1. 지상에 설치되고 일정 각도 상부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하중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브라켓;
    상기 본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부착되는 케이스;
    상기 브라켓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어 출력축을 증속하는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일방향 클러치의 후방에 설치된 발전기를 포함하는 도로용 발전장치.









KR1020100047658A 2010-05-20 2010-05-20 도로용 발전장치 KR20110128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658A KR20110128055A (ko) 2010-05-20 2010-05-20 도로용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658A KR20110128055A (ko) 2010-05-20 2010-05-20 도로용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055A true KR20110128055A (ko) 2011-11-28

Family

ID=4539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658A KR20110128055A (ko) 2010-05-20 2010-05-20 도로용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80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8777A (zh) * 2015-10-12 2016-02-03 北京理工大学 电机馈能减振系统
CN106314144A (zh) * 2016-09-28 2017-01-11 泸州职业技术学院 汽车振动能量回收装置
KR102052155B1 (ko) * 2018-12-06 2019-12-04 주식회사 환타이노베이션 도로용 발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8777A (zh) * 2015-10-12 2016-02-03 北京理工大学 电机馈能减振系统
CN106314144A (zh) * 2016-09-28 2017-01-11 泸州职业技术学院 汽车振动能量回收装置
KR102052155B1 (ko) * 2018-12-06 2019-12-04 주식회사 환타이노베이션 도로용 발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413B1 (ko) 유성기어 및 일방향 클러치를 이용한 도로용 발전장치
CN100457495C (zh) 避震式震动发电机系统
US9099899B2 (en)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US20110187125A1 (en) Electrical Generator Apparatus, Particularly For Use On a Vehicle Roadway
CN109667356B (zh) 弹簧摩擦隔震支座
KR20080081886A (ko) 발전 기능을 가지는 과속 방지턱 구조
KR20110128055A (ko) 도로용 발전장치
KR20110128070A (ko) 과속방지장치
CN209621534U (zh) 振动发电装置
CN106274849B (zh) 车辆用制动系统
KR101342152B1 (ko) 피칭에 의한 진동계를 이용하는 연근해형 파력발전장치
JP2011163340A (ja) 重力補助回転機構及びそれが対応する発電装置
US8710684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from rocking activated energy
CN104527914B (zh) 无级变速器及应用有该无级变速器的自行车
KR20110037258A (ko) 도로용 발전장치
CN101177123B (zh) 具有避震功能的车用储能式发电系统
CN108128187A (zh) 新能源电动汽车用可移动式电动汽车充电桩
KR101348113B1 (ko) 쇽업소버 발전장치
WO2016207689A1 (en) Systems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CN108661871A (zh) 振动发电系统
CN201300734Y (zh) 电动汽车利用颠簸能驱动及发电装置
CN208198152U (zh) 一种拆卸便捷的汽车充电桩
ES2920398B2 (es) Rueda motriz por transmision pendular de potencia con recuperacion mecanica de parte de la energia de frenada
CN209654176U (zh) 一种减震发电装置
JP3166663U (ja) 重力補助回転機構及びそれが対応する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