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498A -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498A
KR20110127498A KR1020100047018A KR20100047018A KR20110127498A KR 20110127498 A KR20110127498 A KR 20110127498A KR 1020100047018 A KR1020100047018 A KR 1020100047018A KR 20100047018 A KR20100047018 A KR 20100047018A KR 20110127498 A KR20110127498 A KR 20110127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udent
data
teach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6303B1 (ko
Inventor
박배억
Original Assignee
박배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배억 filed Critical 박배억
Priority to KR20100047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303B1/ko
Priority to PCT/KR2011/003586 priority patent/WO2011145848A2/ko
Publication of KR2011012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원근감 깊이의 우선순위가 서로 다른 제 1 교수 컨테이너와 제 1 학습 자료 컨테이너를 구동하여, 상기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는 학습 자료 데이터를 위치시켜 표시하고, 상기 교수 컨테이너에는 교수의 필기 데이터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교수 단말기; 상기 교수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교수 단말기의 접속에 따라 수업 데이터 저장부 및 학습 데이터 저장부를 생성하고, 상기 교수 단말기로부터 상기 학습 자료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교수의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수업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수업 관리 서버; 및 상기 수업 관리 서버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원근감 깊이의 우선순위가 서로 다른 제 2 교수 컨테이너와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를 구동하여, 상기 수업 관리 서버의 상기 학습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 자료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 위치시켜 표시하고, 상기 수업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교수의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위치시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ONLINE EDU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THERFOR}
본 발명은,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강의, 질의 응답, 일대일 학습, 시험 보기를 제공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교육 방법은 학교, 학원과 같이 일정한 시간과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 대부분이다. 이 교육 방법도 일정한 시간과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이러한 교육 방법은 교육자와 학습자가 대면하여 학습을 하는 대면 학습으로서 학습 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지만, 시간과 공간에 의한 제약이 있어,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방송 매체인 TV, 라디오 등을 이용한 방송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방송 교육은 쌍방향 학습이 이루어질 수 없어 깊이 있는 교육이 어려우며, 불특정 다수에게 교육을 진행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여건 등을 고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은 소형의 휴대 단말을 휴대하고 다니며 이동 중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종래 휴대 단말은 음성 통화나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는 것에 한정되었으나, 최근에는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저렴한 요금으로 이동 중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소형의 휴대 단말로 고속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에 무선랜 기능을 탑재하여 3G 통신망을 통한 인터넷뿐만 아니라 주변의 무선랜망을 통한 무료 인터넷도 가능해졌다.
여기에 더하여 휴대 단말은 휴대가 간편하도록 하기 위해 단말 전체의 크기를 줄이고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입력 인터페이스인 키 버튼 역시 작게 만들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인 키 버튼은 그 크기가 너무 작으면 사용자가 조작하기에 불편하고 그 크기를 줄인다 하더라도 키 버튼과 같은 입력 인터페이스의 크기를 무한정 줄일 수도 없다.
이에 따라 키 버튼의 크기 제한 문제를 해결하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터치스크린 기술이 개발되어 휴대 단말에 채용되고 있다. 즉, 휴대 단말의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를 하나로 만든 터치스크린을 이용함으로써, 단말의 키 버튼을 없앨 수 있고 또한 터치스크린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소정의 기능이 수행됨으로써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 등의 데이터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시간과 장소에 제약이 있는 교육 방식을 이러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개선하여, 시간과 장소에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 교육이 가능한 온라인 교육 방식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키 버튼이나 키보드 등을 통한 입력 방식이 점차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으로 변함에 따라 이러한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 방식에 맞추어 온라인 교육을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학습자들을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네트워크를 통해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원근감 깊이의 우선순위가 서로 다른 제 1 교수 컨테이너와 제 1 학습 자료 컨테이너를 구동하여, 상기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는 학습 자료 데이터를 위치시켜 표시하고, 상기 교수 컨테이너에는 교수의 필기 데이터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교수 단말기; 상기 교수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교수 단말기의 접속에 따라 수업 데이터 저장부 및 학습 데이터 저장부를 생성하고, 상기 교수 단말기로부터 상기 학습 자료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교수의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수업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수업 관리 서버; 및 상기 수업 관리 서버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원근감 깊이의 우선순위가 서로 다른 제 2 교수 컨테이너와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를 구동하여, 상기 수업 관리 서버의 상기 학습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 자료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 위치시켜 표시하고, 상기 수업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교수의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위치시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교수 단말기는, 교수의 펜이 필기를 위해 다운(down)되는 시점을 초기점으로 하고 상기 펜이 업(up)되는 시점을 종료점으로 하여 상기 펜이 상기 초기점에서 상기 종료점으로 이동한 화면 좌표 값을 생성하고, 상기 펜이 업(up)되는 시점에 상기 생성된 화면 좌표 값을 필기 데이터로서 상기 수업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학생 단말기는,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표시된 필기 데이터의 픽셀 데이터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 표시된 학습 자료 데이터의 픽셀 데이터를, 투명도 값을 고려하여 겹쳐쓰기 연산하여 새로운 픽셀 데이터를 생성한 후, 그 새로운 픽셀 데이터를 상기 학습 자료 데이터의 대응하는 기존 픽셀 데이터에 대체시키고,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표시된 필기 데이터를 제거하는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생 단말기는,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 및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와 원근감의 깊이의 우선순위가 다른 제 2 질의 컨테이너를 구동하여 학생의 질의 필기 데이터를 위치시켜 표시하고 그 질의 필기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수업 관리 서버는, 질의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그 질의 데이터 저장부에 상기 학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질의 필기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교수 단말기는,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 및 상기 제 1 학습 자료 컨테이너와 원근감의 깊이의 우선순위가 다른 제 1 질의 컨테이너를 구동하여, 상기 수업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질의 컨테이너에 질의 필기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수 단말기는, 교수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일대일 학습의 대상으로 선택되면,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 및 상기 제 1 학습 자료 컨테이너와 원근감의 깊이의 우선순위가 다른 제 1 학생 컨테이너를 활성화하고 이에 따른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일대일 학습의 대상으로 선택된 학생 단말기는, 일대일 학습의 대상으로 선택됨에 따라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 및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와 원근감의 깊이의 우선순위가 다른 제 2 학생 컨테이너를 활성화하며, 상기 수업 관리 서버는, 교수 개인 폴더 및 학생별 개인 폴더를 구비한 개인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일대일 학습을 위해 상기 제 1, 2 학생 컨테이너의 링크 URL을 상기 학생별 개인 폴더 중 일대일 학생의 개인 폴더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의 링크 URL을 상기 수업 데이터 저장부에서 상기 교수 개인 폴더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수 단말기는, 화면에 가상 사각형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에 이루어지는 교수의 필기 데이터가 상기 가상 사각형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교수의 필기 데이터가 상기 가상 사각형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고, 상기 학생 단말기는, 상기 교수 단말기에서의 제 1 교수 컨테이너의 이동에 반응하여 제 2 교수 컨테이너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생 단말기들의 화면 크기가 달라도 모든 학생들의 화면에는 교수의 필기 데이터가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교수 단말기는,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 및 상기 제 1 학습 자료 컨테이너와 원근감의 깊이의 우선순위가 다른 제 1 학생 컨테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 단말기는,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 및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와 원근감의 깊이의 우선순위가 다른 제 2 학생 컨테이너를 구비하며, 상기 수업 관리 서버는,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학생별 폴더를 하위 디렉토리로 구비함)와 학생별 시험 데이터 폴더를 구비한 시험 데이터 저장부, 및 시험 자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험 자료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교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시험 관련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의 링크 URL을 상기 학습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시험 자료 저장부로 변경하고, 또한, 상기 제 2 학생 컨테이너의 링크 URL을 대응하는 학생의 학생별 시험 데이터 폴더로 설정하며,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의 링크 URL을 상기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 내의 대응하는 학생별 폴더로 변경하고, 또한,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의 링크 URL을 선택적으로 상기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 내의 학생별 폴더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며, 상기 제 1 학생 컨테이너의 링크 URL을 선택적으로 상기 학생별 시험 데이터 폴더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원금감 깊이의 우선순위가 서로 다른 제 1 교수 컨테이너 및 제 1 학습 자료 컨테이너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 측의 통신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수 측의 통신 단말기는, 원근감 깊이의 우선순위가 서로 다른 제 2 교수 컨테이너 및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를 구비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는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보다 우선순위가 높고,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는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와 동기화 되어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서의 행위는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에 반영되고,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는 상기 제 1 학습 자료 컨테이너와 동기화 되어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서의 행위는 상기 제 1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 반영되며, 상기 클라이언트는, 학습 자료 데이터를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 위치시켜 표시하고, 교수의 필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위치시켜 표시한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교수의 펜이 필기를 위해 다운(down)되는 시점을 초기점으로 하고 상기 펜이 업(up)되는 시점을 종료점으로 하여 상기 펜이 상기 초기점에서 상기 종료점으로 이동한 화면 좌표 값을 생성하고, 상기 펜이 업(up)되는 시점에 상기 생성된 화면 좌표 값을 필기 데이터로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표시된 필기 데이터의 픽셀 데이터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 표시된 학습 자료 데이터의 픽셀 데이터를, 투명도 값을 고려하여 겹쳐쓰기 연산하여 새로운 픽셀 데이터를 생성한 후, 그 새로운 픽셀 데이터를 상기 학습 자료 데이터의 대응하는 기존 픽셀 데이터에 대체시키고,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표시된 필기 데이터를 제거하는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 측의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 및 상기 제 1 학습 자료 컨테이너와 원근감의 깊이의 우선순위가 다른 제 1 질의 컨테이너를 더 구비하여 그 제 1 질의 컨테이너에 학생의 질의 필기 데이터를 위치시켜 표시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 및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와 원근감의 깊이의 우선순위가 다르고 상기 제 1 질의 컨테이너에 동기화 된 제 2 질의 컨테이너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질의 컨테이너에 표시된 질의 필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질의 컨테이너에 위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는, 화면에 가상 사각형을 생성하고,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이루어지는 교수의 필기 데이터가 상기 가상 사각형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교수의 필기 데이터가 상기 가상 사각형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를 이동시켜, 각 학생들의 화면에 교수의 필기 데이터가 항상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한 강의, 질의 응답, 일대일 학습, 시험 보기를 제공하여, 사교육 기회가 부족한 학생들에게 새로운 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면 학습에 비해 저렴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동영상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 등을 직접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필기 데이터의 좌표 값과 제어 정보만을 송수신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줄이고 서버의 부하를 경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학생들이 온라인 교육에 참여할 때, 각 학생들의 단말의 크기를 고려하여 학생들이 스크롤 바 등을 움직일 필요없이 교수의 필기 데이터를 학생들의 화면 내에 자동으로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학습 효율을 높인다.
또한, 본 발명은, 겹쳐쓰기 기능을 통해 강의와 질의 응답, 그리고 일대일 학습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강의의 연속성을 높여 학습 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서 온라인 교육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서의 질의 동작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서의 일대일 학습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서의 시험을 보는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 단말기에서 컨테이너를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생 단말기에서 상기 교수 단말기와 연동하여 컨테이너를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교수 단말기(110)와 학생 단말기(130) 그리고 수업 관리 서버(170)를 포함하고, 상기 교수 단말기(110), 학생 단말기(130) 및 수업 관리 서버(170)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150)는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 하나의 학생 단말기(130)만을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학생 단말기(130)가 학습에 참여할 수 있다.
교수 단말기(110)와 학생 단말기(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각종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입출력 장치, 상기 네트워크(150)와 통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단말기로서, 이동통신단말,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이때, 교수 단말기(110)와 학생 단말기(130)는 입력 장치로서 터치 스크린, 태블릿, 펜 마우스, 전자펜 등을 구비한다.
교수 단말기(110)와 학생 단말기(130)는 온라인 교육을 위한 클라이언트(111, 131)를 구비한다. 클라이언트(111, 131)는 온라인 교육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일 수 있고, 또는 인터넷 브라우저 등 범용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111, 1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관점에서 느끼는 원근감의 깊이(Z 값)를 구별하기 위한 가상의 공간 영역인 컨테이너를 형성하는데, 교수 측의 컨테이너와 학생 측의 컨테이너는 서로 동기화된다. 컨테이너는 객체(Object)들의 집합 공간으로서 상호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그 자체는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컨테이너에 위치하는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된다. 객체지향언어를 예로 들면, 객체지향언어에서 부모 객체를 상속받은 다수의 자식 객체들이 있을 때, 상기 부모 객체는 자식 객체에 대해 컨테이너 역할을 하게 되고 화면에 자식 객체들의 위치를 전체적으로 이동시키거나 위치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컨테이너는 우선순위가 존재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교수 컨테이너(113)의 우선순위가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보다 높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111, 131)는 각각 교수 컨테이너(113, 133)와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 135)를 형성한다. 교수 컨테이너(113, 133)는 온라인 교육을 하는 교수의 필기가 이루어지면 활성화되어 해당 필기를 객체로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고,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 135)는 수업 대상인 학습 자료 데이터를 객체로 받아 디스플레이한다. 교수 컨테이너(113, 133)는 원근감의 깊이에 있어서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 135)보다 상위에 있다. 따라서 교수 컨테이너(113, 133)에 디스플레이되는 교수의 필기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 135)에 디스플레이되는 학습 자료의 상위에 표시된다.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교수가 전자펜, 또는 마우스 등으로 교수 컨테이너(113)에 필기를 시작하는 시점, 즉 펜 다운(down)을 초기점으로 하여 펜이 이동하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화면 좌표 또는 콘텐츠 좌표를 기준으로 X 값과 Y 값을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한 후 필기를 종료하는 시점, 즉 펜 업(up)을 종료점으로 하여 상기 생성한 필기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필기 데이터는 좌표 값 뿐만 아니라 각 좌표 값 사이의 시간 간격 정보도 포함한다. 이때, 클라이언트(111)는 펜 다운시 타이머를 구동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교수 컨테이너(113)에 필기를 디스플레이 하고 필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필기 데이터는 일정한 규칙에 따른 파일명을 갖는다.
또한,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필기 데이터의 전송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정보 및 교수의 행위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예컨대, 필기가 이루어진 경우, 필기가 삭제된 경우, 학습 자료의 페이지가 바뀐 경우, 또는 사용 중인 선의 색과 굵기가 변화된 경우, 화면상의 스크롤바의 좌표 값, 현재 학습 자료의 페이지 값, 필기 데이터의 파일명 등의 이벤트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상기 교수 단말기(11)로부터 전송되어 수업 관리 서버(170)에 저장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학생 측의 교수 컨테이너(133)와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를 상기 교수 단말기(110)에서 형성되는 교수 컨테이너(113) 및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와 동기화시킨다. 학생 측의 교수 컨테이너(133)에는 교수 측의 교수 컨테이너(113)에서 이루어지는 교수의 필기와 동일한 필기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에 의해 형성되는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도 역시 교수 단말기(110)에서 형성되는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와 동기화되어 동일한 학습 자료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와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음성 및/또는 화상 통화를 지원한다. 클라이언트(111, 131)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및 화상을 입력받아 이를 상대측에 전송하고, 상대측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또는/및 화상을 출력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업 관리 서버(170)는, 통신부(171), 제어부(173),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 학습 데이터 저장부(177), 음성 및 화상 데이터 저장부(179)를 포함한다.
통신부(171)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교수 단말기(110)와 학생 단말기(130)와 통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73)는 교수 단말기(110)와 학생 단말기(130) 간의 학습 프로세스를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3)는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가 접속해 오면,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로부터 학습방을 개설하기 위한 승인번호, 유형(교수 또는 학생), 학생수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71)를 통해 수신한다. 제어부(173)는 이와 같이 학습방 개설 요청이 수신되면, 필기 데이터 저장영역에 해당 수업을 위한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를 할당하고, 또한 학습 자료 저장영역에 해당 수업을 위한 학습 데이터 저장부(177)를 할당하며, 또한 해당 수업을 위한 음성 및 화상 데이터 저장부(179)를 할당하고, 클라이언트(111)의 링크 URL을 설정한다.
제어부(173)는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가 접속해 오면,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로부터 상기 교수가 개설하며 입력한 승인번호와 동일한 승인번호를 수신하고 또한 유형 정보로서 학생 정보, 그리고 이름을 수신한다. 제어부(173)는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어트(131)로부터 수신된 승인번호에 기초하여 그 클라이언트(131)의 링크 URL을 상기 할당된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 학습 데이터 저장부(177), 음성 및 화상 데이터 저장부(179)로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3)는, 교수 단말기(110)의 교수 컨테이너(113)와 학생 단말기(130)의 교수 컨테이너(133)의 링크 URL을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로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73)는 교수 단말기(110)의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와 학생 단말기(130)의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의 링크 URL을 학습 데이터 저장부(177)로 설정한다.
제어부(173)는, 통신부(171)를 통해 교수 단말기(110)의 교수 컨테이너(113)에서 행해진 필기에 대한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수신된 필기 데이터를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73)는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에서 이루어진 이벤트 등에 관한 제어 정보를 통신부(171)를 통해 수신하면 안내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73)는 통신부(171)를 통해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로부터 학습 자료 데이터를 수신하면 학습 데이터 저장부(177)에 저장한다.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상기 설정된 링크 URL에 따라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안내 파일이 생성되면, 그 안내 파일을 분석하여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필기 데이터가 저장되고 이에 대한 안내 파일이 생성되면, 상기 필기 데이터를 로딩하여 교수 컨테이너(133)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필기 삭제 또는 선 색의 변경, 스크롤 바의 이동 등에 대한 안내 파일이 생성되면, 이에 따라 교수 컨테이너(133)에 디스플레이된 필기를 삭제하거나 선 색을 변경한다.
또한,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상기 설정된 링크 URL에 따라 학습 데이터 저장부(177)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학습 데이터 저장부(177)에 학습 자료 데이터가 저장되면,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에 학습 자료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페이지 변경에 대한 안내 파일이 저장되면,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에 디스플레이되는 학습 자료 데이터의 페이지를 변경한다.
또한,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 단말기(110) 및 학생 단말기(130)로부터 송수신되는 음성 및 화상 통신 데이터를 통신부(171)를 통해 수신하여 음성 및 화상 데이터 저장부(179)에 저장한다.
도 1에 있어서, 수업 관리 서버(170)는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필기 데이터 및 제어 정보에 관한 안내 파일을 저장하고, 또한 음성 및 화상 데이터 저장부(179)에 교수와 학생의 음성 및 화상 통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 형태에 따라 필기 데이터 및 제어 정보, 그리고 음성 및 화상 통신 데이터는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교수 단말기(110)와 학생 단말기(130)로 송수신되어 처리될 수도 있다.
한편, 교수 단말기(110)와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11, 1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 135)에 학습 자료를 로딩하여 표시하고, 교수 컨테이너(113, 133)에 교수의 필기 데이터를 로딩하여 표시한다. 이때, 클라이언트(111, 131)는 학습 자료 및 필기 데이터를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게 되는데, 필기 양이 많아질수록 메모리와 시스템 리소스의 점유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학습 자료의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리소스 문제로 부자연스러운 애니메이션이 발생하게 되고, 학습 자료 위에 필기를 했다는 느낌이 부자연스럽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교수 단말기(110) 및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11, 131)는, 학습 자료에 교수의 필기 데이터를 겹쳐쓰기(overwrite)하여 메모리 및 시스템 리소스의 점유량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 자료는 보편적으로 이미지 파일이 사용된다. 교수 단말기(110)와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11, 131)는 이러한 이미지 파일의 학습 자료를 학습 자료 컨테이너(113, 135)에 위치시켜 디스플레이 할 때, 디코딩 처리를 하여 비트맵(bitmap) 객체의 데이터 상태로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비트맵 객체는 일련의 픽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고, 그 픽셀 데이터는 알파 투명도 값의 8 비트, 빨강색 값의 8 비트, 녹색 값의 8 비트, 파랑색 값의 8 비트가 합쳐진 32 비트 정수(ARGB)이다.
그리고, 교수 단말기(110)와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11, 131)는, 교수 컨테이너(113, 133)에 교수의 필기를 디스플레이할 때, 필기로 생성되는 드로잉 영역(선 굵기*선 길이)에 동일한 알파 투명도 값(A) 및 색상 값(RGB)의 픽셀 데이터를 구성한다. 즉, 필기로 생성되는 드로밍 영역은 모두 투명도와 색상이 동일하므로, 해당 드로밍 영역의 각 픽셀 데이터는 동일한 32 비트 정수이다.
교수 단말기(110) 및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11, 131)는, 사용자(교수 또는 학생)의 지시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정해진 시점에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 135)에 디스플레이 되는 학습 자료의 픽셀 데이터와 교수 컨테이너(113, 133)에 디스플레이 되는 필기의 픽셀 데이터를 중첩 연산하여 새로운 픽셀 데이터를 생성한 후, 그 생성한 픽셀 데이터를 비트맵 객체인 학습 자료의 대응하는 픽셀 데이터에 치환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111, 131)는 교수 컨테이너(113, 133)에 디스플레이 된 필기 객체를 제거한다. 즉, 교수 컨테이너(113, 133)에 디스플레이 되는 필기 데이터가 제거됨으로써, 해당하는 만큼의 픽셀 데이터가 점유하던 메모리 및 시스템 리소스는 환원된다.
상기 학습 자료의 픽셀 데이터와 필기의 픽셀 데이터를 중첩 연산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
환경 : ActionScript 3.0, Flash Player 9
draw ()
public function draw(source:IBitmapDrawable, matrix:Matrix = null, colorTransform:ColorTransform = null, blendMode:String = null, clipRect:Rectangle = null, smoothing:Boolean = false):void
교수 단말기(110) 및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11, 131)는, 사용자(교수 또는 학생)의 지시에 의해 상기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하거나, 자동으로 정해진 시점에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으로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하는 시점은, 클라이언트(111, 131)가 시스템의 메모리를 참조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체크함으로써,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메모리 사용량이 검출되면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한다.
또는, 클라이언트(111, 131)는 필기가 끝나는 시점에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문장 끝에 생성되는 마침표(온점(.), 물음표(?), 느낌표(!))들은 마지막에 점의 형태로 끝나고, 이러한 점은 펜이 다운 및 업만 발생할 뿐 이동(move) 과정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클라이언트(111, 131)는 펜의 이동 과정이 없이 펜 다운 및 업만 발생하면 필기가 끝나는 시점으로 인식하여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한다.
또는 클라이언트(111, 131)는 필기 데이터의 Y 좌표 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행 단위 필기에서 줄을 바꿀 경우 Y 좌표 값은 큰 변화가 발생하므로, 클라이언트(111, 131)는 기존 필 데이터의 Y 좌표 값과 현재 필기 데이터의 Y 좌표 값을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면 줄을 바꾼 것으로 인식하여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한다.
또는 클라이언트(111, 131)는 학습 자료의 페이지가 넘어가는 때에 해당 페이지에 수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측에서 겹쳐쓰기 된 학습 자료는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되어 학습 자료 저장영역에 저장되어 추후 학생들의 복습에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라이언트(111)는 페이지를 넘기는 때에 겹쳐쓰기 된 학습 자료를 저장한다.
도 2는 도 1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서 온라인 교육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교수는 교수 단말기(110)에서 클라이언트(111)를 구동하여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에 접속한다(S201). 이어서, 교수는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접속 초기 화면에서 승인번호, 이름, 유형(교수 또는 학생), 학생 수 등을 입력하여 학습방의 개설을 요청한다(S203).
이에 따라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상기 입력된 승인번호, 이름, 유형, 학생 수 등의 정보를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하고, 수업 관리 서버(170)는 상기 승인번호를 기준으로 온라인 교육을 위한 저장영역을 할당한다(S205). 구체적으로, 수업 관리 서버(170)는 상기 승인번호를 기준으로 필기 데이터 저장영역에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를 할당하고, 또한 학습 자료 저장영역에 학습 데이터 저장부(177)를 할당하며, 음성 및 화상 데이터 저장부(179)를 할당한다.
이어서, 수업 관리 서버(170)는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에서 구동하는 컨테이터(113, 115)의 링크 URL을 상기 할당된 저장영역에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수업 관리 서버(170)는 교수 단말기(110)의 교수 컨테이너(113)의 링크 URL은 필기 데이터 저장영역의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로 설정하고,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의 링크 URL은 학습 자료 저장영역의 학습 데이터 저장부(177)로 설정한다(S207).
이와 같이 온라인 교육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고 난 후, 온라인 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학생 단말기(130)에서 클라이언트(131)를 구동하여 수업 관리 서버(170)에 접속하고(S209), 접속 초기 화면에서 상기 교수가 개설한 학습방에 입실하기 위해 상기 교수가 입력한 승인번호와 동일한 승인번호를 입력하고, 또한 이름, 유형(교수 또는 학생) 등을 입력한다. 이에 따라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학생이 입력한 상기 정보를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한다(S211).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한 수업 관리 서버(170)는, 상기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에서 구동하는 컨테이터(133, 135)의 링크 URL을 상기 단계 S205에서 할당된 저장영역에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수업 관리 서버(170)는 학생 단말기(130)의 교수 컨테이너(133)의 링크 URL은 필기 데이터 저장영역의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로 설정하고,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의 링크 URL은 학습 자료 저장영역의 학습 데이터 저장부(177)로 설정한다(S213).
이후, 교수는 교수 단말기(110)의 저장매체(예컨대, 하드디스크, USB 드라이브 등)에 저장된 학습 자료 데이터를 클라이언트(111)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로 업로드한다(S215). 이에 따라 수업 관리 서버(170)의 학습 자료 저장영역의 학습 데이터 저장부(177)에 상기 업로드 된 학습 자료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와 같이 학습 자료 데이터가 수업 관리 서버(170)의 학습 데이터 저장부(177)에 저장되면, 그 학습 데이터 저장부(177)에 링크되어 있는 교수 단말기(110)의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와 학생 단말기(130)의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에 상기 학습 데이터 저장부(177)에 저장된 학습 자료 데이터가 로드되어 위치하게 된다(S219). 여기서, 상기 학습 자료 데이터는 이미지 파일 또는 문서 파일 등이다. 교수 측의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에는 교수가 교수 단말기(11)의 저장매체에서 학습 자료 데이터를 선택할 때 학습 자료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학습 자료가 교수 단말기(110)와 학생 단말기(130)에 표시된 후, 교수는 수업을 시작한다. 교수가 교수 단말기(110)의 입력장치를 통해 필기를 하게 되면, 교수 단말기(110)의 교수 컨테이너(113)는 활성화되어 교수의 필기를 디스플레이 한다(S221). 컨테이너는 사용자 관점에서 느끼는 원근감의 깊이(Z 값)를 구별하기 위한 가상의 공간 영역으로, 교수 컨테이너(113)가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보다 우선 순위가 높기 때문에 교수의 필기는 학습 자료 위에 표시된다.
한편, 교수가 교수 단말기(110)에서 필기를 하면,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교수의 필기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한다(S223). 이때,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교수가 전자펜, 또는 마우스 등으로 교수 컨테이너(113)에 필기를 시작하는 시점, 즉 펜 다운(down)을 초기점으로 하여 펜이 이동하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화면 좌표 또는 콘텐츠 좌표를 기준으로 X 값과 Y 값을 생성 저장한 후 필기를 종료하는 시점, 즉 펜 업(up)을 종료점으로 하여 상기 생성한 필기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 정보는, 선의 색, 굵기, 스크롤 바의 좌표, 필기 데이터의 파일명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필기 데이터와 제어 정보가 전송되면, 수업 관리 서버(170)는 상기 제어 정보에 따른 안내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필기 데이터와 함께 교수 컨테이너(113)에 링크되어 있는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저장한다(S225).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필기 데이터와 안내 파일이 저장됨에 따라,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상기 안내 파일을 분석하여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링크되어 있는 학생 단말기(130)의 교수 컨테이너(133)에 상기 필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S227). 따라서 학생들은 학습 자료 위에 표시되는 교수의 필기를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수업을 진행하는 도중에, 교수 단말기(110) 및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11, 131)는, 사용자(교수 또는 학생)의 지시에 의해 상술한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하거나, 자동으로 정해진 시점에 상술한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하여,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 135)에 표시 중인 비트맵 형태의 학습 자료에 교수의 필기를 중첩시키고, 교수 컨테이너(113, 133)에 위치하는 필기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도 1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 및 동작을 모두 포함한다.
도 1과 비교하여 도 3을 참조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수업 중 질문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업 관리 서버(170)의 필기 데이터 저장영역에는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를 더 포함한다. 또한 교수 단말기(110)와 학생 단말기(130)에는 질의 컨테이너(330, 350)가 더 구비된다.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에 의해 학습방이 개설될 때, 필기 데이터 저장영역 내에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를 더 생성하고, 교수 단말기(110)와 학생 단말기(130)의 질의 컨테이너(330, 350)의 링크 URL을 상기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로 설정한다.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학생이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에서 [질문하기] 메뉴를 클릭하면, 상기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로부터 질문하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에 학생의 개인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안내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또한,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가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에서 질의를 요청한 학생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에 따른 승인 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111)로부터 수신하고, 그 승인 신호에 따른 안내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저장한다. 질의 승인 전, 즉 수업 중이고,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있으므로, 승인 신호에 따른 안내 파일을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저장한다.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상기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저장된 질의 승인에 따른 안내 파일을 분석하여 [질의신청승인] 버튼을 활성화하고, 질의 컨테이너(350)를 활성화한다.
이와 같이 질의 승인이 완료되면,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와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를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질의 신청 승인이 이루어진 학생의 학생 단말기(130)의 질의 컨테이너(250)에서 학생이 질의 사항을 필기하면, 학생의 질의 필기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안내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질의 필기 데이터와 함께 상기 링크 URL에 연결된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한다.
한편, 질의가 승인된 학생 이외 다른 학생의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질의 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에 설정된 링크 URL에 따라 상기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된 안내 파일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질의가 승인된 학생 이외 다른 학생의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에 질의를 하는 학생의 질의 필기 데이터가 저장되고 이에 따른 안내 파일이 저장되면, 그 안내 파일을 분석하여 질의 컨테이너(350)를 활성화하여 상기 질의 필기 데이터를 질의 컨테이너(350)에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복수의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고 이 중 어느 한 학생의 질의가 승인되어 질의 사항을 필기하게 되면, 다른 학생들의 질의 컨테이너(350)에는 질의를 한 학생의 질문 사항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에 질의 요청에 따른 안내 파일이 생성되어 저장되면, 그 안내 파일을 분석하여 질의를 요청한 학생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교수가 특정 학생을 선택하면 그에 따른 승인 제어 신호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한다.
또한,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에 질의 승인이 이루어진 학생의 질의 필기 데이터가 저장되고 이에 따른 안내 파일이 저장되면, 그 안내 파일을 분석하여 질의 컨테이너(330)를 활성화하여 상기 질의 필기 데이터를 질의 컨테이너(330)에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교수는 질의가 승인된 학생의 질문 사항을 화면에서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교수가 질의 컨테이너(330)에 디스플레이 된 질의 사항에 대해 답변을 필기하면, 교수 컨테이너(113)를 활성화하여 그 질의 답변 필기를 교수 컨테이너(113)에 디스플레이하며 질의 답변 필기 데이터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한다.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 측의 교수 컨테이너(113)에서 입력된 필기 데이터는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저장하므로, 상기 질의 답변 필기 데이터도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저장되고 동시에 안내 파일도 함께 저장된다. 그리고, 학생 단말기(130)들의 교수 컨테이너(133)는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항상 링크되어 있으므로,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저장된 안내 파일에 따라 학생들의 교수 컨테이너(133)에는 질의 답변 필기가 디스플레이 된다.
또는,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교수가 질의 승인을 할 특정 학생을 선택할 때 동시에 교수 컨테이너(113)에 이미 기록되어 있던 필기 데이터를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의 학습 자료 데이터에 겹쳐쓰기 할 수 있다. 이때,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하는 승인 제어 신호에 겹쳐쓰기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상기 겹쳐쓰기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 파일을 만들어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저장하고, 학생 단말기(130)들의 클라이언트(130)는, 상기 안내 파일에 포함된 겹쳐쓰기 정보에 따라 교수 컨테이너(133)에 이미 기록되어 있던 교수의 필기 데이터를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의 학습 자료 데이터에 겹쳐쓰기 한다. 이에 따라 질의 과정에서 교수의 수업 필기가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업의 연속성을 이어갈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서의 질의 동작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4에서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을 두 명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수에 의해 학습방이 개설되고 두 명의 학생이 상기 학습방에 입실하여 수업에 참여하게 되면,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필기 데이터 저장영역에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를 할당하고, 교수 단말기(110)의 질의 컨테이너(330)와 두 명의 학생 단말기(130)의 질의 컨테이너(350)의 링크 URL을 상기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로 설정한다(S401).
수업 도중 두 명의 학생 중 학생1이 교수에게 질의를 하고자 하면, 해당 학생1은 학생 단말기1(130)의 클라이언트(131)에서 [질문하기]를 클릭한다. 그러면, 학생 단말기1(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질의 요청 신호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한다(S403).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학생 단말기1(130)의 클라이언트(131)로부터 수신된 질의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안내 파일을 생성하여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한다(S405). 이에 따라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상기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된 안내 파일을 분석하여 해당 질의를 요청한 학생을 리스트에 디스플레이한다(S407). 이때, 질의를 요청한 학생이 복수 명일 경우 복수 명의 학생들의 이름이 리스트에 디스플레이 된다.
교수는 질의를 요청한 학생 중 답변을 줄 학생을 선택하여 클라이언트(111)에서 질의를 승인한다. 이에 따라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로부터 질의 승인 제어 신호가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된다(S409).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상기 질의 승인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안내 파일을 생성하여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저장한다(S411).
이때,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교수에 의해 학생이 선택될 때 교수 컨테이너(113)에 이미 기록되어 있던 필기 데이터를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의 학습 자료 데이터에 겹쳐쓰기를 하고, 교수 컨테이너(113)에 이미 기록되어 있던 필기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이 경우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질의 승인 제어 신호에 겹쳐쓰기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한다. 이에 따라 질의 컨테이너(330) 보다 상위의 컨테이너에는 어떠한 필기 데이터도 없게 된다.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질의 승인의 안내 파일이 생성됨에 따라 학생 단말기1(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상기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저장된 질의 승인의 안내 파일을 분석하여 학생1에 대해 질의 승인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고, 질의 승인을 화면에 표시한다(S413). 예컨대, 학생 단말기1(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질문하기] 메뉴를 [질의신청승인]으로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질의 신청 및 질의 승인이 완료되면, 학생 단말기1(130)에서 질의 컨테이너(350)가 활성화되고, 학생1은 학생 단말기1(130)에서 질의 사항을 필기한다. 학생1의 필기는 학생 단말기1(130)에서 질의 컨테이너(350)에 놓여져 디스플레이되고(S415), 학생 단말기1(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질의 필기의 제어 정보와 그 질의 필기 데이터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한다(S417).
이때, 교수 단말기(110)에서 질의 승인이 이루어지면서 겹쳐쓰기가 수행되었을 경우, 학생 단말기1(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질의 승인의 안내 파일에 포함된 겹쳐쓰기 정보에 따라 교수 컨테이너(133)에 이미 기록되어 있던 필기 데이터를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의 학습 자료 데이터에 겹쳐쓰기하고, 교수 컨테이너(133)에 있던 필기 데이터를 삭제한다. 따라서 학생 단말기1(130)에서 질의 컨테이너(350) 보다 상위의 컨테이너에는 어떠한 필기 데이터도 없는 상태가 되고, 이후 질의 답변 필기 데이터가 교수 컨테이너(133)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러한 겹쳐쓰기의 수행은 질의가 승인된 학생뿐만 아니라 수업에 참여하는 모든 학생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된다.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학생 단말기1(130)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에 따라 안내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하고 또한 함께 수신된 질의 필기 데이터를 상기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한다(S419).
이와 같이 질의 필기에 따른 안내 파일과 질의 필기 데이터가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되면,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는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와 학생 단말기2(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상기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된 안내 파일을 분석하여 질의 컨테이너(330, 350)를 활성화하고 상기 질의 필기 데이터를 질의 컨테이너(330, 350)에 로딩하여 디스플레이한다(S421). 따라서, 질문을 한 학생1 뿐만 아니라, 교수 및 학생2의 단말기에도 학생1이 질문한 질의 사항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와 같이 질의 사항이 교수 및 학생들에게 디스플레이 된 후, 교수는 그 질의 사항에 답변을 한다. 즉 교수는 교수 단말기(110)에 질의 답변을 필기하는데 이때 교수 단말기(111)의 클라이언트는 교수 컨테이너(113)를 활성화하고, 교수의 질의 답변 필기를 교수 컨테이너(113)에 위치시켜 디스플레이한다(S423). 이때,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교수 컨테이너(113)에 디스플레이 되는 교수의 질의 답변 필기 데이터와 이에 따른 제어 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한다(S425).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에 따라 안내 파일을 생성하여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저장하고 또한 수신된 질의 답변 필기 데이터를 상기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저장한다(S427).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는 모든 학생 단말기(130)의 교수 컨테이너(133)에 링크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교수의 질의 답변에 따른 안내 파일이 저장되고 질의 답변 필기 데이터가 저장되면, 학생1 및 학생2의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상기 수업 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된 안내 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질의 답변 필기 데이터를 교수 컨테이너(133)에 디스플레이 한다(S429). 이때, 학생 단말기(130)의 교수 컨테이너(133)의 우선순위가 가장 상위에 위치하므로 질의 답변 필기 데이터가 가상 상위에 표시된다.
결국, 학생1이 교수에게 질문한 질의 사항은 교수 및 학생1과 학생2에 모두 디스플레이 되고, 또한 교수의 질의 답변 내용은 교수 및 학생1과 학생2에 모두 디스플레이 된다. 학생2는 질의를 하지 않았지만, 학생1이 교수에게 질의한 사항 그리고 교수가 학생1의 질의 사항에 대해 답변하는 내용을 학생1과 함께 볼 수 있어, 모든 학생이 수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질의 과정이 모두 끝난 후 교수 또는 학생1이 교수 단말기(110) 또는 학생 단말기1(130)의 클라이언트(111, 131)에서 [질의 종료] 버튼을 클릭하면, 이에 따른 안내 파일이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 또는 질의 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되고, 이 저장된 안내 파일을 교수 단말기(110) 및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11, 131)가 분석하여 질의 컨테이너에 있는 필기를 모두 제거하고 질의 컨테이너를 비활성화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3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도 3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 및 동작을 모두 포함한다.
도 3과 비교하여 도 5을 참조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수업 중 일대일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업 관리 서버(170)의 필기 데이터 저장영역에는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를 더 포함한다. 또한 교수 단말기(110)와 학생 단말기(130)에는 학생 컨테이너(530, 550)가 더 구비된다. 도 5에 있어서, 각 컨테이너의 우선순위는 도시된 바와 같다.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에 의해 학습방이 개설될 때, 필기 데이터 저장영역 내에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를 더 생성한다. 이때,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에는 교수 개인 폴더와 학생별 개인 폴더가 생성된다.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가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31)에서 일대일 학습을 할 학생을 선택하면, 상기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31)로부터 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교수 단말기(110) 및 일대일 학습을 할 학생 단말기(130)의 교수 컨테이너(113, 133)와 학생 컨테이너(530, 550)의 링크 URL을 상기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로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 단말기(110) 및 일대일 학습을 할 학생 단말기(130)의 교수 컨테이너(113, 133)의 링크 URL을,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로부터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 내의 교수 개인 폴더로 변경한다. 또한 제어부(173)는, 교수 단말기(110) 및 일대일 학습을 할 학생 단말기(130)의 학생 컨테이너(530, 550)의 링크 URL을 상기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 내의 해당 학생의 학생 개인 폴더로 설정한다.
그러므로, 교수 단말기(110)의 교수 컨테이너(113)에서 이루어지는 교수의 필기 데이터 및 이에 따른 안내 파일은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가 아닌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 내의 교수 개인 폴더에 저장된다. 그리고, 일대일 학습을 하는 학생의 학생 단말기(130)의 학생 컨테이너(550)에서 이루어지는 학생의 필기 데이터 및 이에 따른 안내 파일은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 내의 해당 학생의 학생 개인 폴더에 저장된다.
일대일 학습을 하는 학생 이외의 다른 학생의 학생 단말기(130)의 교수 컨테이너(133)는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링크되어 있으므로, 일대일 학습에 따른 교수의 필기는 일대일 학습을 하는 학생 이외의 다른 학생의 학생 단말기(130)에는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일대일 학습을 하는 학생의 필기는 오직 교수 단말기(110)의 학생 컨테이너(530)에만 디스플레이 된다.
교수 단말기(110)와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11, 131)는 학생 컨테이너(530, 550)를 활성화하면 교수 컨테이너(113, 133)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필기 데이터를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 135)의 학습 자료 데이터에 겹쳐쓰기하고, 교수 컨테이너(113, 133)에 있던 필기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교수와 학생은 하위 순위의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 135)에 위치하는 필기 데이터가 포함된 학습 자료 데이터를 참조하면서 필기를 할 수 있다.
한편, 일대일 학습이 종료되면,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 단말기(110) 및 일대일 학습을 한 학생 단말기(130)의 교수 컨테이너(113, 133)의 링크 URL을,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에서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로부터 다시 환원한다. 따라서 교수 단말기(110) 및 일대일 학습을 한 학생 단말기(130)의 교수 컨테이너(113, 133)에는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저장된 교수의 필기 데이터는 다시 로딩하여 표시함으로써, 수업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도 6은 도 5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서의 일대일 학습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수에 의해 학습방이 개설되고 두 명의 학생이 상기 학습방에 입실하여 수업에 참여하게 되면,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필기 데이터 저장영역에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를 함께 할당한다(S601). 구체적으로,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 내에 교수 개인 폴더와 학생별 개인 폴더를 생성한다.
수업 도중 교수는 특정 학생에 대해 일대일 학습을 하고자 하면,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에서 해당하는 학생을 선택하여 일대일 학습을 요청한다(S603). 따라서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교수가 선택한 학생의 정보를 포함하는 일대일 학습 요청 신호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한다(S605).
일대일 학습 요청 신호를 수신한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 측의 교수 컨테이너(113)와 일대일 학습을 할 학생 측의 교수 컨테이너(133)의 링크 URL을,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로부터 상기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 내의 교수 개인 폴더로 변경한다. 또한 교수 측의 학생 컨테이너(530)와 일대일 학습을 할 학생 측의 학생 컨테이너(550)의 링크 URL을 상기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 내의 일대일 학습을 할 학생의 학생 개인 폴더로 설정한다(S607).
이와 같이 교수 컨테이너와 학생 컨테이너의 링크 URL을 설정한 후,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가 일대일 학습을 요청한 학생의 학생 단말기(130)로 네트워크(150)를 통해 일대일 학습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S609).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일대일 학습을 알리는 팝업을 출력하거나 인디케이터(indicator) 등을 출력하여 일대일 학습이 시작되었음을 알린다.
이후, 교수는 교수 단말기(110)에서 일대일 학습을 위한 필기를 시작한다.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교수의 입력에 따라 교수 컨테이너(113)를 활성화하고 교수 컨테이너(113)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필기를 삭제하고 일대일 학습을 위한 교수의 필기를 해당 교수 컨테이너(113)에 디스플레이한다(S611). 그리고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교수의 일대일 학습 필기 데이터와 이에 따른 제어 정보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된다(S613).
네트워크(150)를 통해 교수의 일대일 학습 필기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수신한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 컨테이너(113)의 링크 URL에 따라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 내의 교수 개인 폴더에 교수의 일대일 학습 필기 데이터와 안내 파일을 저장한다(S615).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 내의 교수 개인 폴더에 일대일 학습 필기 데이터와 안내 파일이 저장됨에 따라, 해당 교수 개인 폴더에 링크되어 있는 일대일 학습을 하는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상기 안내 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일대일 학습 필기 데이터를 교수 컨테이너(133)에 디스플레이 한다(S617).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 내의 교수 개인 폴더에는 일대일 학습을 하는 학생 이외의 다른 학생들의 단말기들은 링크되어 있지 않으므로, 교수의 일대일 학습 필기는 다른 학생들에게 표시되지 않는다.
한편, 교수의 필기를 본 학생은 교수에게 질의를 하기 위해 학생 단말기(130)에 필기를 할 수 있다.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학생 컨테이너(550)를 활성화하고 그 학생 컨테이너(550)에 학생의 필기를 디스플레이한다(S619). 그리고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학생의 필기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한다(S621). 이때,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학생 컨테이너(550)를 활성화하면 교수 컨테이너(133)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필기 데이터를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의 학습 자료 데이터에 겹쳐쓰기하고, 교수 컨테이너(133)에 있던 필기 데이터를 삭제한다. 학생은 하위 순위의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에 위치하는 필기 데이터가 포함된 학습 자료 데이터를 참조하면서 필기를 할 수 있다.
학생의 필기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수신한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링크 URL에 따라 학생의 필기 데이터와 상기 제어 정보에 따른 안내 파일을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 내의 해당 학생의 학생 개인 폴더에 저장한다(S623). 이에 따라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링크 URL에 따라 학생 개인 폴더에 저장된 안내 파일을 분석하여 필기 데이터를 학생 컨테이너(530)에 디스플레이한다(S625). 이때,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학생 컨테이너(530)를 활성화하면 교수 컨테이너(113)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필기 데이터를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의 학습 자료 데이터에 겹쳐쓰기하고, 교수 컨테이너(113)에 있던 필기 데이터를 삭제한다. 교수는 하위 순위의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에 위치하는 필기 데이터가 포함된 학습 자료 데이터를 참조하면서 필기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업 도중 교수는 특정 학생을 선택하여 일대일 학습을 할 수 있다. 교수 측의 교수 컨테이너(113)와 학생 측의 교수 컨테이너(133)의 링크 URL이 모든 학생들이 공유하는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가 아닌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 내의 교수 개인 폴더로 변경됨으로써, 교수의 필기 데이터는 일대일 학습을 하는 학생에게만 표시된다. 그리고, 교수 측의 학생 컨테이너(530)와 학생 측의 학생 컨테이너(550)의 링크 URL은 해당 학생의 학생 개인 폴더로 설정됨으로써, 다른 학생들은 일대일 학습을 하는 학생의 필기를 볼 수 없고, 오직 교수만이 해당 학생의 필기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수업 도중 일대일 학습이 가능해진다.
한편, 일대일 학습이 종료되면,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 단말기(110) 및 일대일 학습을 한 학생 단말기(130)의 교수 컨테이너(113, 133)의 링크 URL을,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에서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로부터 다시 환원한다. 따라서 교수 단말기(110) 및 일대일 학습을 한 학생 단말기(130)의 교수 컨테이너(113, 133)에는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에 저장된 교수의 필기 데이터는 다시 로딩하여 표시함으로써, 수업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5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도 5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 및 동작을 모두 포함한다.
도 5와 비교하여 도 7을 참조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온라인 시험을 가능하게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업 관리 서버(170)의 필기 데이터 저장영역에는 시험 데이터 저장부(71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수업 관리 서버(170)의 학습 자료 저장영역에는 시험 자료 저장부(730)를 더 포함한다.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에 의해 학습방이 개설될 때, 필기 데이터 저장영역 내에 상기 시험 데이터 저장부(710)를 더 생성하고, 또한 학습 자료 저장영역 내에 상기 시험 자료 저장부(730)를 더 생성한다. 시험 데이터 저장부(710)는,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와 학생별 시험 데이터 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 내에는 학생별 폴더가 포함된다.
교수는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에서 시험 자료를 수업 관리 서버(170)로 업로드한다. 교수가 교수 단말기(110)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시험 자료를 선택하면, 클라이언트(111)는 그 선택된 시험 자료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한다.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수신된 수업 자료를 상기 시험 자료 저장부(730)에 저장한다.
교수는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에서 시험 항목 메뉴를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제어 신호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된다.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 단말기(110)로부터 시험과 관련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교수와 학생들의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 135)의 링크 URL을 학습 데이터 저장부(177)로부터 시험 자료 저장부(730)로 변경한다.
또한,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 단말기(110)로부터 시험과 관련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교수 및 학생의 교수 컨테이너(113, 133)의 링크 URL을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로부터 필기 데이터 저장영역 내의 시험 데이터 저장부(710)로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시험 데이터 저장부(710) 내의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로 변경한다. 특히, 학생의 교수 컨테이너(133)는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 내의 각 해당하는 학생 폴더로 변경된다.
또한,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 단말기(110)로부터 시험과 관련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교수 및 학생의 학생 컨테이너(530, 550)의 링크 URL을, 필기 데이터 저장영역의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로부터 시험 데이터 저장부(710)로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시험 데이터 저장부(710) 내의 학생별 시험 데이터 폴더로 변경한다. 특히, 학생의 학생 컨테이너(550)는 해당하는 학생의 학생 시험 데이터 폴더로 변경된다.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수업 관리 서버(170)의 학습 자료 저장영역 내의 시험 자료 저장부(730)에 저장된 시험 자료를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에 디스플레이 한다. 마찬가지로,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수업 관리 서버(170)의 학습 자료 저장영역 내의 시험 자료 저장부(730)에 저장된 시험 자료를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에 디스플레이 한다.
각 학생들의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에 시험 자료가 디스플레이 되면, 학생들은 디스플레이 된 시험 자료를 보고 시험 문제를 풀어 학생 단말기(130)에 필기를 하게 되는데,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학생 컨테이너(550)를 활성화하여 학생의 필기를 학생 컨테이너(550)에 위치시켜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학생 컨테이너(550)에 디스플레이 된 학생의 시험 정답에 관한 필기 데이터 및 제어 정보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되고,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그 수신된 필기 데이터 및 제어 정보에 따른 안내 파일을 시험 데이터 저장부(710) 내의 해당 학생의 학생 시험 데이터 폴더에 저장한다. 즉, 각 학생의 시험 정답에 관한 필기 데이터는 각 학생의 학생 시험 데이터 폴더에 저장된다.
교수는 시험이 종료되면 시험 정답을 채점한다. 교수는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에서 특정 학생을 선택하면, 클라이언트(111)는 선택된 학생의 정보에 따라 링크 URL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학생의 학생 시험 데이터 폴더에 접근하고 그 해당 학생의 학생 시험 데이터 폴더에 저장된 안내 파일에 따라 필기 데이터를 로딩하여 교수 단말기(110)의 학생 컨테이너(530)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와 같이 교수가 특정 학생을 선택하면, 해당하는 학생의 시험 데이터 폴더에 저장된 필기 데이터가 교수 측의 학생 컨테이너(530)에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교수 측의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에는 시험 자료가 디스플레이 되고, 학생 컨테이너(530)에는 학생의 정답 필기가 디스플레이 되는데,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보다 학생 컨테이너(530)가 우선순위가 높아, 시험 문제 위에 학생의 정답 필기가 중첩되어 표시된다.
교수는 학생의 정답 기록을 채점하기 위해, 교수 단말기(110)에 채점을 필기하는데,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교수 컨테이너(113)를 활성화하여 교수의 채점 필기를 교수 컨테이너(113)에 위치시켜 디스플레이 한다. 클라이언트(111)는 제어 정보와 교수의 채점 필기 데이터를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하고, 수업 관리 서버(170)는 제어 정보에 따른 안내 파일과 교수의 채점 필기 데이터를 시험 데이터 저장부(710) 내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 구체적으로는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 아래에 있는 해당하는 학생 폴더에 저장된다.
학생 단말기(130)의 교수 컨테이너(133)의 링크 URL은 시험 데이터 저장부(710) 내의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 구체적으로는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 아래에 있는 해당 학생 폴더로서,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에 저장된 교수의 채점 필기 데이터를 교수 컨테이너(133)에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각 학생들은 본인의 시험 채점 결과를 볼 수 있게 된다.
학생 단말기(130)에서 시험 채점 결과를 보게 되면,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에는 시험 문제 이미지 파일이 디스플레이 되고, 학생 컨테이너(550)에는 학생의 문제 풀이 필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며, 교수 컨테이너(133)에는 교수의 정답 채점 필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에 디스플레이 되는 시험 문제 이미지 파일의 픽셀 데이터와 학생 컨테이너(550)에 디스플레이 되는 학생의 문제 풀이 필기 데이터와 교수 컨테이너(133)에 디스플레이 되는 교수의 정답 채점 필기 데이터의 픽셀 데이터를 중첩 연산하여 새로운 픽셀 데이터를 생성한 후, 그 생성한 픽셀 데이터를 비트맵 객체인 시험 문제 파일의 대응하는 픽셀 데이터에 치환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131)는 학생 컨테이너(550) 및 교수 컨테이너(133)에 디스플레이 된 필기 객체를 제거한다. 즉, 학생 컨테이너(550) 및 교수 컨테이너(133)에 디스플레이 되는 필기 데이터가 제거됨으로써, 해당하는 만큼의 픽셀 데이터가 점유하던 메모리 및 시스템 리소스는 환원된다.
도 8은 도 7의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서의 시험을 보는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수에 의해 학습방이 개설되고 학생이 상기 학습방에 입실하여 수업에 참여하게 되면,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필기 데이터 저장영역에 시험 데이터 저장부(710)를 더 할당하고, 또한 학습 자료 저장영역에 시험 자료 저장부(730)를 더 할당한다(S801). 이때. 제어부(173)는, 시험 데이터 저장부(710)에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와 학생별 시험 데이터 폴더를 각각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 내에는 학생별 폴더를 생성한다.
한편, 교수는 교수 단말기(110)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시험 자료를 클라이언트(111)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로 업로드한다(S803).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시험 자료를 학습 자료 저장영역 내의 시험 자료 저장부(730)에 저장한다(S805)..
이후 교수는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교수는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에서 시험 보기 메뉴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111)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로 시험 시작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807).
시험 시작 요청 신호를 수신한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와 학생들의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 135)의 링크 URL을 학습 데이터 저장부(177)로부터 시험 자료 저장부(730)로 변경한다. 또한,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 및 학생의 교수 컨테이너(113, 133)의 링크 URL을 수업 데이터 저장부(175)로부터 필기 데이터 저장영역 내의 시험 데이터 저장부(710)로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시험 데이터 저장부(710) 내의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로 변경한다. 특히, 학생의 교수 컨테이너(133)는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 내의 각 해당하는 학생 폴더로 변경된다. 또한,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교수 및 학생의 학생 컨테이너(530, 550)의 링크 URL을 필기 데이터 저장영역의 개인 데이터 저장부(510)로부터 시험 데이터 저장부(710)로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시험 데이터 저장부(710) 내의 학생별 시험 데이터 폴더로 변경한다. 특히, 학생의 학생 컨테이너(550)는 해당하는 학생 시험 데이터 폴더로 변경된다(S809).
이와 같이 링크 URL이 변경됨에 따라 학생들의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시험 자료 저장부(730)에 저장된 시험 자료를 로딩하여 이를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에 디스플레이 한다(S811). 따라서 학생들의 학생 단말기(130)에는 기존에 디스플레이 되던 수업 자료가 사라지고 시험 자료가 대신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학생들의 학생 단말기(130)에 시험 자료가 디스플레이 된 후, 학생들은 그 표시된 시험 자료를 보며 시험 문제를 풀고 이에 대한 정답을 학생 단말기(130)에 필기한다.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학생 컨테이너(550)를 활성화하여 학생들의 정답 필기를 학생 컨테이너(550)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한다(S813). 학생 컨테이너(550)가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므로 사용자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학습 자료 위에 학생의 정답 필기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학생의 정답 필기가 이루어지면,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그 정답 필기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하고(S815),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그 수신된 제어 정보에 따른 안내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정답 필기 데이터와 함께 시험 데이터 저장부(710) 내의 학생 시험 데이터 폴더에 저장한다(S817).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학생별 시험 데이터 폴더가 있고, 각 학생의 정답 필기 데이터와 안내 파일은 해당 학생들의 학생 시험 데이터 폴더에 저장된다.
학생들의 정답 필기 데이터가 저장되고 난 후, 교수는 각 학생들의 시험 결과를 채점한다. 교수는 채점하고자 하는 학생을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에서 선택하고,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111)는 그 선택된 학생의 시험 데이터 폴더에 저장된 안내 파일에 따라 학생의 정답 필기를 학생 컨테이너(530)에 디스플레이 한다(S819). 교수 단말기(110)의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에는 시험 자료가 위치하고 있고, 학생 컨테이너(530)는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므로 학생의 정답 필기가 시험 자료 위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교수는,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에 표시된 정답 필기를 보며 채점을 위한 필기를 시작하는데, 교수 단말기(110)는 교수의 필기가 시작되면 교수 컨테이너(113)를 활성화하여 교수의 채점 필기를 해당 교수 컨테이너(113)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한다(S821).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교수의 채점 필기 데이터 및 이에 따른 제어 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하고(S823), 수업 관리 서버(170)의 제어부(173)는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따른 안내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채점 필기 데이터를 시험 데이터 저장부(710) 내의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에 저장한다(S825). 구체적으로, 제어부(173)는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의 아래에 있는 해당 학생 폴더에 안내 파일과 채점 필기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채점 필기 데이터가 저장되고 난 후, 학생은 자신의 채점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상기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 아래에 있는 해당 학생 폴더에 저장된 안내 파일을 분석하여 채점 필기 데이터를 로딩하여 교수 컨테이너(133)에 디스플레이 한다(S827). 학생 단말기(130)에서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가 가장 우선순위가 낮고 교수 컨테이너(133)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으며 학생 컨테이너(550)의 우선순위는 중간이므로, 시험 자료 위에 학생의 정답 필기가 이루어지고, 그 학생의 정답 필기에 대해 교수의 채점 필기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게 된다.
학생은 시험 채점 결과를 본 후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에는 시험 문제 이미지 파일이 디스플레이 되고, 학생 컨테이너(550)에는 학생의 문제 풀이 필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며, 교수 컨테이너(133)에는 교수의 정답 채점 필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학생의 지시에 의해, 학습 자료 컨테이너(135)에 디스플레이 되는 시험 문제 이미지 파일의 픽셀 데이터와 학생 컨테이너(550)에 디스플레이 되는 학생의 문제 풀이 필기 데이터와 교수 컨테이너(133)에 디스플레이 되는 교수의 정답 채점 필기 데이터의 픽셀 데이터를 중첩 연산하여 새로운 픽셀 데이터를 생성한 후, 그 생성한 픽셀 데이터를 비트맵 객체인 시험 문제 파일의 대응하는 픽셀 데이터에 치환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131)는 학생 컨테이너(550) 및 교수 컨테이너(133)에 디스플레이 된 필기 객체를 제거한다. 즉, 학생 컨테이너(550) 및 교수 컨테이너(133)에 디스플레이 되는 필기 데이터가 제거됨으로써, 해당하는 만큼의 픽셀 데이터가 점유하던 메모리 및 시스템 리소스는 환원된다.
한편, 교수 단말기(110)와 복수의 학생 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혹은 해상도는 서로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동일한 단말기 기종을 구비한 강의실 환경에서는 교수 단말기(110)와 복수의 학생 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및 해상도는 동일하겠지만, 불특정 다수로 구성된 온라인에서는 일치가 쉽지 않다. 일 예로, 교수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가 20인치인 반면에 복수의 학생 단말기(130)의 화면 크기는 17인치, 13인치, 10인치, 7인치, 그리고 3.5인치 등으로 다양한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수 단말기(110)의 화면 크기보다 학생 단말기(130)의 화면의 크기가 작을 경우,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학생 단말기(130)의 화면 크기에 맞추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구성요소(컨테이너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학습 자료 데이터, 필기 데이터 등)를 학생 단말기(130)의 화면 크기에 맞추어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작게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요소들은 학생들의 가독성을 떨어뜨리고, 눈의 피로를 가중시켜 학습 의욕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에 따라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가독성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눈의 피로를 주지않는 정도까지만 화면의 구성요소를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학생 단말기(130)의 화면 크기에 맞추어 축소하지 않고 그 화면 크기보다는 더 큰 형태로 축소하게 될 경우,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에서 생성된 교수의 필기 데이터가 학생 단말기(130)의 화면 범위를 벗어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물론, 학생이 스크롤 기능 등을 이용하여 필기 데이터를 찾아 화면을 이동하면 되지만 이러한 일련의 행동들은 학습의 집중력을 저해하고 학습 효과를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교수 단말기(110)의 화면 크기보다 학생 단말기(130)의 화면 크기가 작을 경우, 교수 단말기(110)에서 가장 최근에 생성되는 필기 데이터는 항상 학생 단말기(130)의 화면 범위 내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이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 단말기에서 컨테이너를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생 단말기에서 상기 교수 단말기와 연동하여 컨테이너를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교수 단말기(110)의 화면상에 다수의 학생 단말기(130) 중 최소의 화면 크기 또는 축소 정도를 고려한 그 이상의 화면 크기의 폭(width)과 높이(height)의 가상의 사각형을 설정하여 사각형의 중심점을 교수 단말기(110)의 화면상의 중심점과 일치시킨다. 즉, 가상의 사각형은 학생 단말기(130)에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교수 단말기(110) 화면의 중심과 학생 단말기(130) 화면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상의 사각형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이도록 해도 되고 보이지 않도록 해도 된다.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교수 컨테이너(113)에서 교수의 필기가 시작되는 시점, 즉 펜 다운(down)시의 X, Y 좌표값이 상기 화면상에 설정된 가상의 사각형 영역의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상기 펜 다운 지점이 상기 가상의 사각형의 좌상단(Left Top) 좌표점에 위치되도록 교수 컨테이너(113)를 이동시킨다. 또는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상기 펜 다운 지점이 상기 가상의 사각형의 중심점, 즉 교수 단말기(110) 화면의 중심점에 위치되도록 교수 컨테이너(113)를 이동시킨다. 이때,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학습 자료 컨테이너(115), 질의 컨테이너(330), 학생 컨테이너(530) 등 화면상에 표시된 일체의 컨테이너를 동시에 이동시킨다.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교수의 필기 시작 시점에서 위와 같은 컨테이너의 이동을 할 수도 있고, 또는 교수의 필기가 끝나는 시점, 즉 펜 업(up)시 컨테이너의 이동을 할 수도 있다.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컨테이너의 이동 정보를 제어 정보에 포함하여 수업 관리 서버(170)로 전송한다.
도 9 및 도 10을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교수 단말기(110)의 화면의 예로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수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 장치(910) 내에 교수 컨테이너(113)가 위치하고, 상기 가상의 사각형(950)이 디스플레이 장치(910) 내의 화면 중심에 위치한다. 그리고 교수는 교수 단말기(110)의 교수 컨테이너(113)에 "X+Y=3"을 필기한다. 이때 참조부호 970이 필기의 시작점이다.
"X+Y=3"을 필기한 후 필기를 종료하면, 즉 펜 업(up)시, 교수 단말기(110)의 클라이언트(111)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 시작점(970)이 가상의 사각형(950)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도록 교수 컨테이너(930)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교수의 필기 데이터 "X+Y=3"은 가상의 사각형(950)의 좌측 상단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도 10은 학생 단말기(130)의 화면의 예이다. 도 10의 (a)는 교수의 필기가 이루어지지 않고 컨테이너의 이동이 없는 상태로서, 학생 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교수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 장치(910)보다 크기가 작고, 따라서 학생 단말기(130)의 교수 컨테이너(1030)는 학생 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 장치(101)보다 더 크고, 교수 컨테이너(133)의 일부 영역만이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학생 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크기와 상기 가상의 사각형의 크기는 동일하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교수가 필기를 하고 교수 측의 교수 컨테이너(930)가 이동하게 되면, 이에 따른 안내 파일이 수업 관리 서버(170)에 저장되고, 학생 단말기(130)의 클라이언트(131)는 그 안내 파일에 따라 학생 측의 교수 컨테이너(1030)를 좌측 아래로 이동하여 그 교수 컨테이너(1030)에 교수의 필기 데이터를 위치시킨다. 따라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수의 필기 데이터 "X+Y=3"은 학생 단말기(130)의 화면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게 되고, 학생은 별도의 조작없이 교수의 최근 필기를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교수의 화면 크기와 학생의 화면 크기가 다를 때, 교수의 필기 위치에 따라 컨테이너가 이동함으로써, 학생들은 별도의 조작없이 교수의 필기를 화면에서 볼 수 있게 되어, 학습 집중력을 저해하지 않고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하는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 교수 단말기 130 : 학생 단말기
170 : 수업 관리 서버 171 : 통신부
173 : 제어부 175 : 수업 데이터 저장부
177 : 학습 데이터 저장부 179 : 음성 및 화상 데이터 저장부
113, 133 : 교수 컨테이너 115, 135 : 학습 자료 컨테이너
330, 350 : 질의 컨테이너 530, 550 : 학생 컨테이너

Claims (26)

  1.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으로서,
    원근감 깊이의 우선순위가 서로 다른 제 1 교수 컨테이너와 제 1 학습 자료 컨테이너를 구동하여, 상기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는 학습 자료 데이터를 위치시켜 표시하고, 상기 교수 컨테이너에는 교수의 필기 데이터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교수 단말기;
    상기 교수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교수 단말기의 접속에 따라 수업 데이터 저장부 및 학습 데이터 저장부를 생성하고, 상기 교수 단말기로부터 상기 학습 자료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학습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교수의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수업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수업 관리 서버; 및
    상기 수업 관리 서버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원근감 깊이의 우선순위가 서로 다른 제 2 교수 컨테이너와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를 구동하여, 상기 수업 관리 서버의 상기 학습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 자료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 위치시켜 표시하고, 상기 수업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교수의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위치시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 단말기;를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수 단말기는,
    교수의 펜이 필기를 위해 다운(down)되는 시점을 초기점으로 하고 상기 펜이 업(up)되는 시점을 종료점으로 하여 상기 펜이 상기 초기점에서 상기 종료점으로 이동한 화면 좌표 값을 생성하고, 상기 펜이 업(up)되는 시점에 상기 생성된 화면 좌표 값을 필기 데이터로서 상기 수업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수 단말기는, 교수의 행위를 정의하는 제어 정보와 필기 데이터를 상기 수업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수업 관리 서버는, 상기 제어 정보에 따른 안내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필기 데이터와 함께 상기 수업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학생 단말기는, 상기 수업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안내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수업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필기 데이터를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 단말기는,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표시된 필기 데이터의 픽셀 데이터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 표시된 학습 자료 데이터의 픽셀 데이터를, 투명도 값을 고려하여 겹쳐쓰기 연산하여 새로운 픽셀 데이터를 생성한 후, 그 새로운 픽셀 데이터를 상기 학습 자료 데이터의 대응하는 기존 픽셀 데이터에 대체시키고,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표시된 필기 데이터를 제거하는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 단말기는,
    단말기의 메모리 사용량을 체크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메모리 사용량이 검출될 때 상기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 단말기는,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필기 데이터를 표시할 때 펜의 이동 과정이 없이 펜 다운(down) 및 업(up)만 발생하는 시점에서 상기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 단말기는,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 표시된 학습 자료 데이터의 페이지가 바뀔 때 상기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 단말기는,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 및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와 원근감의 깊이의 우선순위가 다른 제 2 질의 컨테이너를 구동하여 학생의 질의 필기 데이터를 위치시켜 표시하고 그 질의 필기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수업 관리 서버는, 질의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그 질의 데이터 저장부에 상기 학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질의 필기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교수 단말기는,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 및 상기 제 1 학습 자료 컨테이너와 원근감의 깊이의 우선순위가 다른 제 1 질의 컨테이너를 구동하여, 상기 수업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질의 컨테이너에 질의 필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교수 단말기 및 상기 학생 단말기는, 특정 학생의 질의 요청에 대한 교수의 질의 승인이 이루어지는 시점에, 상기 제 1, 2 교수 컨테이너 각각에 표시된 필기 데이터를 상기 제 1, 2 학습 자료 컨테이너 각각에 표시된 학습 자료데이터에 겹쳐쓰고, 상기 제 1, 2 교수 컨테이너에 표시된 필기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수 단말기는, 교수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일대일 학습의 대상으로 선택되면,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 및 상기 제 1 학습 자료 컨테이너와 원근감의 깊이의 우선순위가 다른 제 1 학생 컨테이너를 활성화하고 이에 따른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일대일 학습의 대상으로 선택된 학생 단말기는, 일대일 학습의 대상으로 선택됨에 따라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 및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와 원근감의 깊이의 우선순위가 다른 제 2 학생 컨테이너를 활성화하며,
    상기 수업 관리 서버는, 교수 개인 폴더 및 학생별 개인 폴더를 구비한 개인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일대일 학습을 위해 상기 제 1, 2 학생 컨테이너의 링크 URL을 상기 학생별 개인 폴더 중 일대일 학생의 개인 폴더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의 링크 URL을 상기 수업 데이터 저장부에서 상기 교수 개인 폴더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일대일 학습시,
    상기 수업 관리 서버는,
    상기 교수 단말기의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에 표시되는 교수의 일대일 필기 데이터를 상기 교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교수 개인 폴더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일대일 학습의 학생 단말기의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상기 교수의 일대일 필기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일대일 학습의 학생 단말기의 제 2 학생 컨테이너에 표시되는 학생의 일대일 필기 데이터를 해당 학생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일대일 학생의 개인 폴더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교수 단말기의 제 1 학생 컨테이너에 상기 학생의 일대일 필기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수 단말기는, 화면에 가상 사각형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에 이루어지는 교수의 필기 데이터가 상기 가상 사각형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교수의 필기 데이터가 상기 가상 사각형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고,
    상기 학생 단말기는, 상기 교수 단말기에서의 제 1 교수 컨테이너의 이동에 반응하여 제 2 교수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수 단말기는,
    교수의 필기 시작점이 상기 가상 사각형을 벗어나는 경우, 필기 종료 시점에 상기 필기 시작점이 상기 가상 사각형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수 단말기는,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 및 상기 제 1 학습 자료 컨테이너와 원근감의 깊이의 우선순위가 다른 제 1 학생 컨테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 단말기는,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 및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와 원근감의 깊이의 우선순위가 다른 제 2 학생 컨테이너를 구비하며,
    상기 수업 관리 서버는,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학생별 폴더를 하위 디렉토리로 구비함)와 학생별 시험 데이터 폴더를 구비한 시험 데이터 저장부, 및 시험 자료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험 자료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업 관리 서버는,
    상기 교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시험 관련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의 링크 URL을 상기 학습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시험 자료 저장부로 변경하고,
    또한, 상기 제 2 학생 컨테이너의 링크 URL을 대응하는 학생의 학생별 시험 데이터 폴더로 설정하며,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의 링크 URL을 상기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 내의 대응하는 학생별 폴더로 변경하고,
    또한,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의 링크 URL을 선택적으로 상기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 내의 학생별 폴더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며, 상기 제 1 학생 컨테이너의 링크 URL을 선택적으로 상기 학생별 시험 데이터 폴더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는 상기 시험 자료 저장부에 저장된 시험 자료 데이터가 표시되고,
    제 2 학생 컨테이너에 수행되는 학생의 정답 필기 데이터는 해당하는 학생의 학생별 시험 데이터 폴더에 저장되어, 교수의 학생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학생 컨테이너에 표시되고,
    또한, 교수의 학생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에 수행되는 채점 필기 데이터는 상기 교수 시험 데이터 폴더 내 해당하는 학생의 학생별 폴더에 저장되어, 해당하는 학생의 제 1 교수 컨테이너에 그 채점 필기 데이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16. 원금감 깊이의 우선순위가 서로 다른 제 1 교수 컨테이너 및 제 1 학습 자료 컨테이너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 측의 통신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수 측의 통신 단말기로서,
    원근감 깊이의 우선순위가 서로 다른 제 2 교수 컨테이너 및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를 구비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는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보다 우선순위가 높고,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는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와 동기화 되어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서의 행위는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에 반영되고,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는 상기 제 1 학습 자료 컨테이너와 동기화 되어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서의 행위는 상기 제 1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 반영되며,
    상기 클라이언트는,
    학습 자료 데이터를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 위치시켜 표시하고, 교수의 필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위치시켜 표시하는 통신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교수의 펜이 필기를 위해 다운(down)되는 시점을 초기점으로 하고 상기 펜이 업(up)되는 시점을 종료점으로 하여 상기 펜이 상기 초기점에서 상기 종료점으로 이동한 화면 좌표 값을 생성하고, 상기 펜이 업(up)되는 시점에 상기 생성된 화면 좌표 값을 필기 데이터로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표시된 필기 데이터의 픽셀 데이터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 표시된 학습 자료 데이터의 픽셀 데이터를, 투명도 값을 고려하여 겹쳐쓰기 연산하여 새로운 픽셀 데이터를 생성한 후, 그 새로운 픽셀 데이터를 상기 학습 자료 데이터의 대응하는 기존 픽셀 데이터에 대체시키고,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표시된 필기 데이터를 제거하는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단말기의 메모리 사용량을 체크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메모리 사용량이 검출될 때 상기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필기 데이터를 표시할 때 펜의 이동 과정이 없이 펜 다운(down) 및 업(up)만 발생하는 시점에서 상기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 표시된 학습 자료 데이터의 페이지가 바뀔 때 상기 겹쳐쓰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생 측의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 1 교수 컨테이너 및 상기 제 1 학습 자료 컨테이너와 원근감의 깊이의 우선순위가 다른 제 1 질의 컨테이너를 더 구비하여 그 제 1 질의 컨테이너에 학생의 질의 필기 데이터를 위치시켜 표시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 및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와 원근감의 깊이의 우선순위가 다르고 상기 제 1 질의 컨테이너에 동기화 된 제 2 질의 컨테이너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질의 컨테이너에 표시된 질의 필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질의 컨테이너에 위치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학생의 질의 요청에 대한 교수의 질의 승인이 입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표시된 필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에 표시된 학습 자료 데이터에 겹쳐쓰고,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표시된 필기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화면에 가상 사각형을 생성하고,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에 이루어지는 교수의 필기 데이터가 상기 가상 사각형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교수의 필기 데이터가 상기 가상 사각형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교수의 필기 시작점이 상기 가상 사각형을 벗어나는 경우, 필기 종료 시점에 상기 필기 시작점이 상기 가상 사각형의 좌측 상단 또는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제 2 교수 컨테이너를 이동시킬 때 대응하여 상기 제 2 학습 자료 컨테이너도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KR20100047018A 2010-05-19 2010-05-19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 KR101166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7018A KR101166303B1 (ko) 2010-05-19 2010-05-19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
PCT/KR2011/003586 WO2011145848A2 (ko) 2010-05-19 2011-05-16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7018A KR101166303B1 (ko) 2010-05-19 2010-05-19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498A true KR20110127498A (ko) 2011-11-25
KR101166303B1 KR101166303B1 (ko) 2012-07-18

Family

ID=44992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47018A KR101166303B1 (ko) 2010-05-19 2010-05-19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6303B1 (ko)
WO (1) WO2011145848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3589A1 (en) * 2012-12-14 2014-06-19 Donald Willis Electronic word wall system
CN110866850A (zh) * 2019-11-29 2020-03-06 北京仿真中心 一种企业精准在线教育系统
KR20200087853A (ko) * 2017-11-22 2020-07-21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네트워크 액세스 가능한 머신 러닝 모델 훈련 및 호스팅 시스템
KR102294362B1 (ko) * 2020-11-23 2021-08-26 주식회사 디지포레 확장현실 공간 내 실감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6590A1 (en) 2012-12-05 2014-06-05 Chegg, Inc. Producing automated terms listings in html document publishing with enhanced terms definitio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356B1 (ko) * 2000-06-14 2007-02-1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투과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KR20010070852A (ko) * 2001-06-13 2001-07-27 임동열 투명중첩표현방식 전자학습방법
KR20070081617A (ko) * 2006-02-13 2007-08-17 최진열 온라인 실시간 첨삭지도 및 동기지향형 학습 시스템 및 그방법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기록매체
KR20090120891A (ko) * 2008-05-21 2009-11-25 (주)앞선교육 휴대용 원격 실물화상 전송 및 판서 장치, 이를 포함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3589A1 (en) * 2012-12-14 2014-06-19 Donald Willis Electronic word wall system
KR20200087853A (ko) * 2017-11-22 2020-07-21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네트워크 액세스 가능한 머신 러닝 모델 훈련 및 호스팅 시스템
CN111448550A (zh) * 2017-11-22 2020-07-24 亚马逊技术有限公司 网络可访问的机器学习模型训练和托管系统
CN111448550B (zh) * 2017-11-22 2024-03-19 亚马逊技术有限公司 网络可访问的机器学习模型训练和托管系统
US11977958B2 (en) 2017-11-22 2024-05-07 Amazon Technologies, Inc. Network-accessible machine learning model training and hosting system
CN110866850A (zh) * 2019-11-29 2020-03-06 北京仿真中心 一种企业精准在线教育系统
KR102294362B1 (ko) * 2020-11-23 2021-08-26 주식회사 디지포레 확장현실 공간 내 실감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45848A3 (ko) 2012-01-12
WO2011145848A2 (ko) 2011-11-24
KR101166303B1 (ko)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45265A (ja) サーバ、学習用端末装置、および学習コンテンツ管理方法
WO2021042254A1 (zh) 一种课堂教学互动方法、终端和系统
Valstad et al. iPad as a pedagogical device
JP6911432B2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166303B1 (ko)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단말기
US20180277006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4258184A (ja) 教育支援システム
JP2004199408A (ja) 文書処理方法、情報表示処理方法、情報表示処理システム、管理サーバ、クライアント端末、プログラム
KR101380692B1 (ko) 온라인 학습장치 및 온라인 학습방법
JP2003202799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学習システム
KR20150117985A (ko) 멀티미디어 기기를 이용한 동시통역 학습 및 교육 방법
Tront et al. Classroom presentations using tablet PCs and WriteOn
KR100593837B1 (ko) 인터넷 동영상에 연동 기능을 부가한 능동적 학습 자료제공 방법
KR20200000300A (ko) 이북을 이용한 요약노트 작성 및 암기학습 시스템과 그 방법
CN112331002B (zh) 一种全程数字化教学方法、系统及装置
KR20090097484A (ko) 다중 표현 문장이미지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와 언어 학습 교재
CN113625985A (zh) 智能黑板的显示方法、装置以及智能黑板
Valstad Introducing the iPad in a Norwegian high school: How do students and teachers react to this technology
CN111787127A (zh) 一种课堂信息传输方法及课堂信息传输系统
US20190243877A1 (en) Card-based system for organizing and presenting content
KR101713982B1 (ko) 학습 프로그램용 포스트잇 운영 시스템
Ahmed et al. Design and Implement Mobile Learning Application for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Macharia et al. User interface technical usability requirements for mobile learning applications
Sinen A literature review on mobile learning
Zhai et al. The Application of Visualization of Internet of Things in Online Teaching of Mobile Interactive Interface Optim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130

Effective date: 2012060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