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855A - 난연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855A
KR20110126855A KR1020100046338A KR20100046338A KR20110126855A KR 20110126855 A KR20110126855 A KR 20110126855A KR 1020100046338 A KR1020100046338 A KR 1020100046338A KR 20100046338 A KR20100046338 A KR 20100046338A KR 20110126855 A KR20110126855 A KR 20110126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foam
foam composition
diisocyanate
inorganic
si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규
Original Assignee
지지컴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지컴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지컴파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6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6855A/ko
Publication of KR20110126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85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28Polymerisation product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nd having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or groups forming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4Applications used for foa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폴리우레탄 발포폼은 단열과 흡음 특성 그리고 경량성과 조작의 용이성에 의하여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우레탄 폼은 열에 극히 약하여 주로 할로겐이나 인 계열의 난연재를 첨가하고 있다. 이러한 할로겐이나 인은 초기에는 난연의 특성이 있으나 어느 정도 열이 가해지면 이들 성분이 오히려 인체에 유해한 독성을 발휘하여 큰 문제를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20 ~ 45℃ 조건하에서, 폴리에테르 포리올 및 폴리에스테르 포리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포리올; 아민계촉매; 사슬연결제, 물:시클로펜탄 = 1:0.4 ~ 6의 중량비인 혼합물인 발포제;를 함유하는 포리올 레진 프리믹스; 및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릭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 모노머릭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릭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릭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릭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릭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토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이소시아네이트;를 교반, 혼합 및 발포시켜서 1차 반응 혼합물을 만드는 제 1 단계;
30 ~ 70℃ 조건하에서 상기 1차 반응 혼합물 그리고
무기나노소재, 게르마늄, 황토, 천연고분자화합물,세라믹,식물,실리카등 으로 구성되는 광물성분 60 내지 70 중량%, 백운암 10 내지 30중량% 그리고 천연규석 10내지 30중량%를 고온 열처리한 다음 분말 처리한 1차광물성분;
질산소다 5 내지 15중량%, 실리카 10내지 30중량%, 알루미나 10 내지 20중량%, 이산화규소 10 내지 20중량%, 붕사 20 내지 40중량%, 규산염 5 내지 10 중량% 그리고 나머지는 증류수를 충진한 것을 고온 열처리하여 수용화한 무기약품;
상기한 1차광물성분과 무기약품을 무게를 중심으로 1:1 내지 1:5의 비율로 배합한 무기질 난연재를 배합하여 주는 단계로 구성한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제조방법으로 새로운 난연 특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개발하였다.

Description

난연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fire retardant polyurethane foam composition}
본 발명은 무기질 난연재에 의한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난연성 우레탄 폼 이라고 하는 것은 그 용도에 응한 연소 시험을 실시해 난연성으로 판정된 폼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예를 들면 건축용 단열재로서는 준 불연 재료, 난연 재료 의 인정을 받은 제품 등이 있어 난연 처리를 하고 있지 않는 우레탄 폼 과 비교해서 화염의 전파나 발열량을 줄이는 처리가 되어 지고 있다. 우레탄 폼 의 난소성은 규정된 시험에 의해서 평가됩니다만, 이러한 시험은 일정한 조건하에서의 재료의 연소성의 비교를 목적으로 한 것이며 반드시 실제의 화재시의 위험성을 반영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시험에 합격한 것 혹은 준불연·난연 재료의 인정을 받고 있는 재료라도 화기에 접하면 연소하기 때문에 다른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료와 같이 취급하기 때문에 화기에 대한 주의는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은 열에 약한 우레탄 폼에 대하여 무기질 난연재를 첨가한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무기나노소재, 게르마늄, 황토, 천연고분자화합물,세라믹,식물,실리카등 으로 구성되는 1차광물성분; 고온 열처리하여 수용화한 무기약품을 난연성분으로 첨가한 새로운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발포 폼에 무기질 난연재가 첨가되면서 고온에 접촉이 발화점에 도달하기 전, 무기질 난연재에 의하여 발화를 지연하고, 설사 발화가 된다하여도 무기질 난연재의 소화특성으로 더 이상의 연소를 막게 되었다.
본 발명은 20 ~ 45℃ 조건하에서 포리올, 촉매, 사슬연결제 및 발포제를 함유하는 포리올 레진 프리믹스와 이소시아네이트와 교반, 혼합 및 발포시켜서 1차 반응 혼합물을 만드는 제 1 단계; 및 30 ~ 70℃ 조건하에서 상기 1차 반응 혼합물과 무기질 난연재 그리고 이소시아네이트를 교반, 혼합 및 발포시켜서 발포체를 만드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저밀도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난연재는 무기나노소재, 게르마늄, 황토, 천연고분자화합물,세라믹,식물,실리카등 으로 구성되는 광물성분 60 내지 70 중량%, 백운암 10 내지 30중량% 그리고 천연규석 10내지 30중량%를 고온 열처리한 다음 분말 처리한 1차광물성분;
질산소다 5 내지 15중량%, 실리카 10내지 30중량%, 알루미나 10 내지 20중량%, 이산화규소 10 내지 20중량%, 붕사 20 내지 40중량%, 규산염 5 내지 10 중량% 그리고 나머지는 증류수를 충진한 것을 고온 열처리하여 수용화한 무기약품;
상기한 1차광물성분과 무기약품을 무게를 중심으로 1:1 내지 1:5의 비율로 배합한 무기질 난연재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제조시 함유성분 중 포리올로서, 폴리에테르 포리올 또는 폴리에스테르 포리올 단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테르 포리올은 낮은 점도로 인하여 가공 용이성, 가수분해에 대한 안정성 및 가격이 싼 장점이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포리올은 열안정성이 뛰어나고 인장강도가 우수하며, 기름 등에 대한 내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는 반면에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리올은 폴리에테르 포리올 및 폴리에스테르 포리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폴리에테르 포리올은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6-헥산디올, 1,8-옥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1,2,3-헥산트리올, 1,2,4-부탄트리올, 트리메틸올메탄, 펜타에리트리톨,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솔비톨, 슈그로스, 하이드로퀴논, 레소시놀, 카테콜, 비스페놀 및 이들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 과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 을 중합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포리올은 무수프탈산 및 아디프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 과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 을 중합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중합시킨 포리올을 사용하는 이유는 최종 폴리우레탄 발포폼 제품의 연질 세그먼트(soft setment) 부분구조 조절이 가능하여 최종 제품의 진동전달 특성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리올은 수산기 400 ~ 800 mg KOH/g, 평균 분자량이 6000 ~ 7000 g/mol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제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촉매로서 일반적으로 알칼리금속수산화물 촉매, 알칼리토금속수산화물촉매, 주석계 촉매, 아민계 촉매 등을 사용하는데, 특히 아민계 촉매는 우레탄 반응 속도가 빠른 특성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아민계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촉매는 아민계 촉매로서 펜타메틸렌디에틸렌트리아민(Pentamethylenediethylenetriamine), 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Dimethylcyclohexylamine), 트리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헥사히드로트리아민{tris(3-dimethylamino)propylhexahydrotriamine}, 트리에틸렌디아민(triethylenediamine) 및 이들의 유도체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포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8 중량 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5 중량 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촉매 첨가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촉매를 첨가로 인한 반응속도 증대의 효과가 미비하여 반응이 지연되어 경화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8 중량 부를 초과하면 반응이 너무 빨리 일어나서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크랙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아민 촉매가 발포체의 셀 내에 잔존하게 되어 심한 암모니아성 냄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사슬 연장제는 폴리우레탄 사슬을 연장시키거나 가교시킴으로써 폴리우레탄의 분자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슬 연장제는 디올(diol), 트리올(triol), 테트라올(tetraol), 디아민(diamine) 및 아미노알콜(aminoalcoho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상기 디올은 에틸렌글리콜(ethylene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glycol) 및 1,4-부탄이올(1,4-butanedio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트리올은 글리세린을 상기 테트라올은 펜타에리트리톨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디아민은 헥사메틸렌디아민(hexa-methylene diamine), 트리에틸렌디아민, 테트라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및 m-페닐렌 디아민(m-phenylene diamine)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아미노알콜은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및 이들의 유도체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열거한 사슬 연장제의 종류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사슬 연장제는 포리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4 중량 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사슬 연장제를 0.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면 최종 발포 폼의 구조가 불안정하여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4 중량 부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최종 발포 폼의 과다한 가교결합으로 인한 셀 구조의 불 균일 문제가 발생한다.
이소시아네이트는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제조시 첨가되는 필수구성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상기 포리올과 1, 2차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1, 2차반응을 일으키게 하여 본 발명인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을 제조하는 이유는 원재료 측면에서 이소시아네이트와 포리올의 1,2차 반응을 통하여 폴리우레탄 구조 내의 경질구조 부분(Hard segment)과 연질구조 부분(Soft segment)의 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폴리우레탄 폼의 경도 및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등의 충전제의 사용을 피할 수 있게 되어 원가절감효과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밀도의 고른 분포로 인하여 물성의 증대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제조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는 모노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하는 데 본 발명에서는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diisocyanate, 이하, "TDI"로 정의한다.), 모노머릭(monomeric)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모노머릭(monomeric)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릭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릭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릭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토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orilene diisocyanate) 및 이들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모노머릭 또는 폴리머릭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를 "MDI"로 정의한다.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시에 사용되는 발포제는 일반적으로 물, 클로로플루오로카본, 히드로클로로플로오로카본, 히드로플로로카본, 이산화탄소 등이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발포제는 시클로펜탄(cyclopentane) 및 물(H2O)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발포제로서 물은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유레아(urea)를 형성하면서 이산화탄소(CO2)를 방출하게 되고, 이산화탄소가 폴리우레탄을 발포시키게 되는 것인데, 물은 가격 및 환경적 측면에서 매우 좋으나, 폴리우레탄 폼 형성 반응이 지나치게 높은 발열량과 점도 상승으로 인하여 폴리우레탄 폼의 밀도 및 경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원료의 선택 및 발포제 첨가량의 폭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발포제로서의 시클로펜탄은 가격이 저렴하고 환경 친화적인 발포제로서 오존파괴 및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오염이 전혀 없는 장점이 있으며, 낮은 증발온도로 인하여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며, 낮은 점도로 인하여 폴리우레탄 폼 제조에 있어서 우수한 흐름 성을 부여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시클로펜탄 또는 물 각각 단종을 발포체로서 사용할 수 있으나, 각각의 장점을 살려 시클로펜탄을 주발포제로서, 그리고 물을 보조발포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즉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발포체로서 시클로펜탄과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시클로펜탄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발포제로서 물의 단점인 높은 발열량과 폴리우레탄 폼의 밀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과 시클로펜탄의 사용 중량 비를 통하여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의 밀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물을 기준으로 하여 시클로펜탄의 중량이 증가하면,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의 밀도가 감소하고, 시클로펜탄의 중량이 감소하면,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의 밀도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물:시클로펜탄의 중량비가 1:0.4 ~ 6 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 ~ 3.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량비가 1:0.4 미만이면 물의 사용량이 많게 되어 높은 반응열로 인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에 스코치(Scorch)가 발생 및 초기 점도가 너무 높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중량비가 1:6을 초과하면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의 밀도가 과도하게 저하되거나 셀 균일성이 저하되어 밀도 불 균일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넷 으로서는, 탄소수(NCO기중의 탄소를 제외한다. 이하의 이소시아넷도 마찬가지이므로 6~16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넷, 탄소수 6~20의 방향 족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조제물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3-및 또는1, 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 4-및/또는 2, 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 트(TDI), 조제 TDI, 2, 4'-및 또는 4, 4'-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 이트 (MDI)포리메치 렌포리페니르이소시아네이트(조제 MDI), 나프틸렌-1, 5-디이소시아네이트, 새페닐메탄-4, 4', 4''-트리이소시아네이트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탄소수 6~10의 지방족디이소시아네이트등을 들수있 으며 구체적인 예로 1, 6-헤키사메치렌지이소시아네이트, 2, 2, 4-트리메치르헤키사 메 치 렌지이소시아네이트, 리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다.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탄소수 6~16의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등을 들 수 있다.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4, 4'-디시클로 헥실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 4-시 클로 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노르보르난지이소시아네이트등을 들 수 있고 방향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느 탄소수 8~12의 방향 지방족디이소시아네이트등도 있다. 또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α,α,α',α'-테트라 메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변성 폴 리이소시아네이트의 우레탄 변성 MDI 카르보지이미드 변성 MDI 자당 변성TDI, 아주까리 기름 변성 MDI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 에서 바람직한 것은 TDI, MDI, 조제 TDI, 조제 MDI, 자당 변성 TDI, 우레탄 변 성 MDI, 카르보지이미드 변성 MDI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다.

Claims (5)

  1. 20 ~ 45℃ 조건하에서, 폴리에테르 포리올 및 폴리에스테르 포리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포리올; 아민계촉매; 사슬연결제, 물:시클로펜탄 = 1:0.4 ~ 6의 중량비인 혼합물인 발포제;를 함유하는 포리올 레진 프리믹스; 및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릭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 모노머릭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릭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릭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릭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릭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토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이소시아네이트;를 교반, 혼합 및 발포시켜서 1차 반응 혼합물을 만드는 제 1 단계;
    30 ~ 70℃ 조건하에서 상기 1차 반응 혼합물 그리고
    무기나노소재, 게르마늄, 황토, 천연고분자화합물,세라믹,식물,실리카등 으로 구성되는 광물성분 60 내지 70 중량%, 백운암 10 내지 30중량% 그리고 천연규석 10내지 30중량%를 고온 열처리한 다음 분말 처리한 1차광물성분;
    질산소다 5 내지 15중량%, 실리카 10내지 30중량%, 알루미나 10 내지 20중량%, 이산화규소 10 내지 20중량%, 붕사 20 내지 40중량%, 규산염 5 내지 10 중량% 그리고 나머지는 증류수를 충진한 것을 고온 열처리하여 수용화한 무기약품;
    상기한 1차광물성분과 무기약품을 무게를 중심으로 1:1 내지 1:5의 비율로 배합한 무기질 난연재를 배합하여 주는 단계로 구성한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백운암을 2,500-2,800 ℃에 3시간 가열용 융한 다음 고분자 처리한 분말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천연규석은 1,700 ℃에서 가열처리한 다음 분말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천연규석을 1,500 ℃에서 2시간 가열과 24시간 이상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질산소다 , 실리카 , 알루미나 , 이산화규소, 붕사 는 80 ℃ 증류수 50%에 교반하여 숙성한 다음,
    규산염을 900 ℃로 가열 교반하여 상기한 것과 혼합하여 1시간이내 80 ℃으로 냉각시킨 다음 23중량%의 증류수을 40℃ 이하로 조절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00046338A 2010-05-18 2010-05-18 난연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제조방법 KR20110126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338A KR20110126855A (ko) 2010-05-18 2010-05-18 난연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338A KR20110126855A (ko) 2010-05-18 2010-05-18 난연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855A true KR20110126855A (ko) 2011-11-24

Family

ID=45395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338A KR20110126855A (ko) 2010-05-18 2010-05-18 난연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68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763B1 (ko) * 2023-08-24 2024-02-14 서진케미칼 주식회사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763B1 (ko) * 2023-08-24 2024-02-14 서진케미칼 주식회사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0012B2 (en) Thermally stable flame resistant flexible polyurethane foam
CA2583487C (en) High-temperature rigid polyurethane spray foam for pipe insulation
JP7268090B2 (ja) 2液型プレミックス組成物、及び裏込め注入用硬質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
CN108570138B (zh) 一种高阻燃低密度低温敏性聚氨酯慢回弹泡沫
US20060047010A1 (en) Pseudo one part foam
WO2019038289A1 (en) RIGID POLYURETHANE FOAM SYSTEM AND CORRESPONDING APPLICATION
JP2008179831A (ja) イソシアナート組成物および改善された物理機械的特性を有する発泡ポリウレタンの製造におけるその使用
KR102247683B1 (ko)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
KR20200027691A (ko)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
CN102093531B (zh) 防火聚氨酯发泡材料及其制法
CA2987302A1 (en) Flame retardant and auto-catalytic polyesters for polyurethanes
US20210122872A1 (en) Flame-resistant polyurethane foam material
CN104619739B (zh) 阻燃和/或抗静电,非汞催化的聚氨酯弹性体
JP4762614B2 (ja) 低燃焼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ITMI20002418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schiume poliuretaniche rigide ed articoli finiti da esse ottenuti
CN102336888A (zh) 热固性聚氨酯树脂组合物及其聚氨酯弹性体成型品
JP2013103957A (ja) ポリエステルポリオール及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20220099982A (ko) 이미드 함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팽창 강성 발포체
KR20110126855A (ko) 난연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제조방법
KR102158327B1 (ko)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
KR20230117741A (ko)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KR100561806B1 (ko) 스프레이용 저밀도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WO2024071232A1 (ja) ウレタン樹脂組成物
JP6823394B2 (ja) 硬質ウレタン樹脂組成物と硬質ウレタンフォーム
BR112020020776B1 (pt) Mistura, espuma de pu ou pu-pir rígida e placa de isolamento para uma aplicação em telhado ou pare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