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422A -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422A
KR20110126422A KR1020100046089A KR20100046089A KR20110126422A KR 20110126422 A KR20110126422 A KR 20110126422A KR 1020100046089 A KR1020100046089 A KR 1020100046089A KR 20100046089 A KR20100046089 A KR 20100046089A KR 20110126422 A KR20110126422 A KR 20110126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bent
drain pip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150B1 (ko
Inventor
박봉덕
Original Assignee
박봉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덕 filed Critical 박봉덕
Priority to KR1020100046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150B1/ko
Publication of KR20110126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장에 설치되는 세면대에 설치되는 밸브와 세척수를 배출하는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세면대의 중앙부 배수공에 설치되는 배수관과, 이 배수관의 선단 내부에 장착된 개폐밸브, 상기 배수관의 하단 내주연부에 형성된 나사부,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하는 작동핀으로 구성된 세면대;,
상기 굴곡관의 상부와 하부에 상부배수관연결구와 상부체결링을 결합하여 고정하며, 굴곡관의 구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된 하부연결구와 하부체결링을 구비하여 결합하되, 하부연결구의 연결관본체을 길게 평면형으로 연장하여 하수관에 결합 된 배수트랩에 삽입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배수관 연결구를 제공하여, 세면대와 하수관의 위치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와, 간단한 연결구를 이용하여 기존의 세면대 배수관과 연결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관 연결구는, 종래 파이프형의 연결구를 적용할 때 길이가 다른, 적어도 10cm 15cm 20cm, 30cm의 길이를 갖는 4종류의 연결용 파이프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연결구를 준비하면 다양한 길이로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생산자나 판매자는 별도의 보관장소를 필요로 하지않게 되는 것이므로 보관의 용이성과 이에 따른 비용의 절감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Drain pipe fittings replacement}
본 발명은 세면장에 설치되는 세면대에 설치되는 밸브와 세척수를 배출하는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대의 설치높이와 하수관의 위치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굴곡관을 이용하여 세면대의 밸브와 하수관의 연결트랩에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장에 설치되는 세면대에는 밸브가 장착되어 있고, 이 밸브와 세면장의 하수관에 연결되는 연결트랩을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세면대의 높이와 위치가 하수관에 연결된 연결트랩의 위치가 일정하게 규격화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모든 세면장의 세면대와 하수관의 위치가 각각 다르게 설치되게 된다.
종래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수단은, 밸브가 내장된 배수관(100)과, 이 배수관(100)과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300)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연결관(200)은 설치되는 세면대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여러 종류의 연결관(20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세면대의 높이와 하수관의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관의 길이를 10cm, 15cm, 20cm, 25cm, 30cm 등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미리 준비하거나, 최장의 길이를 가진 30cm 연결관을 미리 준비한 후, 현장에서 세면대와 하수관을 연결할 때 절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연결하도록 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관을 절단하여 상하 길이를 조절하였다 하여도, 세면대의 배수구와 하수관의 위치가 수직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는 연결트랩의 위치를 조절하여 연결하여야 하는바, 이 연결트랩을 회전시켜 위치를 조절하는 수단 또한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굴곡이 자유로운 굴곡연결관을 이용하여 세면대의 배수구와 하수관을 연결하는 수단이 제안되어 있다.
즉,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4233호의 가변성 연결주름관을 이용하여 세면대의 배수구와 하수관을 연결하는 수단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고안은, 주름관의 중앙 일정부위에 원피치 형태의 요홈들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주름둘레부를 갖추되, 이 주름둘레부는 라운드진 연속된 요철형상으로 형성된 가변성 연결주름관을 이용하여 세면대와 하수파이프에 연결하도록 하는 고안이다.
이러한 종래의 고안에 적용되는 연결주름관은 굴곡 작용은 자유롭게 이루어 지나, 길이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굴곡관을 적용한다 하여도 세면대와 하수관의 길이를 감안하여 별도로 준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피할 수는 없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고안은 굴곡관 자체를 절곡하여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한 "U"자형으로 절곡 설치하는 것인바, 내부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에 함유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각 나선부에 걸려 배출되지 못하게 되고, 이러한 이물질이 누적되면서 배수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연결주름관은 하나의 세면대용 배수구와 연결트랩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주름관을 다수 준비하여야 하므로, 세면대용 배수구의 제작자는 다양한 길이를 갖는 연결관을 미리 준비하여 보관한 후, 소비자의 주문에 따라 즉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생산자는 다양한 크기의 연결주름관을 불필요하게 생산하여 보관하여야 하는바, 이에 의해 상당한 보관장소를 필요로 하는 단점과, 판매자 역시 매장에서 소비자가 요구하는 길이의 연결주름관을 제공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보관장소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불필요한 생산비용과 보관을 위한 비용 등은 결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되어 전체 세면대용 배수구의 판매가격을 고가로 형성하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세면대용 배수연결관에 관한 것으로서, 그 설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배수연결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면대의 배수관과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극히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일반인 누구라도 간단하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는 배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세면대용 배수구에 하나의 연결구만으로 충분히 완성된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할 수 있도록 하여 저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수연결관을 길이 조절과 굴곡 조절이 자유로운 신축 굴곡관을 이용한 연결관을 사용하며, 이 연결관을 세면대의 배수관과 극히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배수관 연결구를 제공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한 배수관 연결구는,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굴곡 작용이 자유로운 굴곡관(corrugated pipe);
상기 골곡관의 상·하단부의 내주연부에 나사결합되는 외부나선부와 내부나선부를 구비한 상부체결링;
상기 상부체결링의 내부나선부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외주연부에 구비한 연결관본체와, 이 연결관본체의 외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외관 및 상기 연결관본체와 외관 사이에 형성된 굴곡관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관의 상측으로 확장연결관을 형성하고, 그 외주연부에 연결나사부를 형성한 상부배수관연결구;
상기 굴곡관의 하단부 내측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상부체결링과 동일한 구성의 하부체결링;
상기 상부배수관연결구와 동일한 연결관본체와 외관 및 굴곡관수용부와 확장연결관으로 구성하되, 확장연결관은 좀 더 길게 연장형성하고, 외주연부는 평면형으로 구성한 연결구를 제공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배수관 연결구는 설치된 세면대와 하수관의 위치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와, 간단한 연결구를 이용하여 기존의 세면대 배수관과 연결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관 연결구는, 종래 파이프형의 연결구를 적용할 때 길이가 다른, 적어도 10cm 15cm 20cm, 30cm의 길이를 갖는 4종류의 연결용 파이프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연결구를 준비하면 다양한 길이로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생산자나 판매자는 별도의 보관장소를 필요로 하지않게 되는 것이므로 보관의 용이성과 이에 따른 비용의 절감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3,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조립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 3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조립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 4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조립단면도이며, 도 1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배수관과 연결관의 분해 사시도이다.
세면대의 중앙부 배수공에 설치되는 배수관과, 이 배수관의 선단 내부에 장착된 개폐밸브, 상기 배수관의 하단 내주연부에 형성된 나사부,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하는 작동핀으로 구성된 세면대;,
상기 굴곡관의 상부와 하부에 상부배수관연결구와 상부체결링을 결합하여 고정하며, 굴곡관의 구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된 하부연결구와 하부체결링을 구비하여 결합하되, 하부연결구의 연결관본체을 길게 평면형으로 연장하여 하수관에 결합 된 배수트랩에 삽입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배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 배수관 연결구를 첨부 도면을 통하여 실시예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굴곡 작용이 자유로운 굴곡관(1; corrugated pipe);
상기 골곡관(1)의 상·하단부의 내주연부(1a)(1b)에 나사결합되는 외부나선부(2a)와 내부나선부(2b)를 구비한 상부체결링(2);
상기 상부체결링(2)의 내부나선부(2b)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a)를 외주연부에 구비한 연결관본체(3)와, 이 연결관본체(3)의 외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외관(4) 및 상기 연결관본체(3)와 외관(4) 사이에 형성된 굴곡관수용부(5)를 구비하며, 상기 외관(4)의 상측으로 확장연결관(6)을 형성하고, 그 외주연부에 연결나사부(6a)로 구성되는 상부배수관연결구(7);
상기 굴곡관(1)의 하단부 내측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상부체결링(2)과 동일한 구성의 하부체결링(12);
상기 상부배수관연결구(7)와 동일한 연결관본체(13)과 외관(14) 및 굴곡관수용부(15)와 확장연결관(16)으로 구성하되, 확장연결관(16)은 좀 더 길게 연장형성하고, 외주연부는 평면형으로 구성한 하부배수관연결구(17);로 구성되는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수관 연결구를 조립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굴곡관(1)의 상.하단내주연부(1a)(1b)에 상부체결링(2)과 하부체결링(12)의 외측 나선부(2a)(12a)를 이용하여 나사 결합하여 고정한다.
상기 상부체결링(2)과 하부체결링(12)을 굴곡관(1)에 조립하기 전에, 각각의 외부 나 사부 (2a)(2a)와 굴곡관(1)의 상. 하단내주연부(1a)(1b)에 소량의 접착제를 도포한 후 결합함으로써 견고한 고정 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굴곡관(1)의 상·하단부에 상부체결링(2)과 하부체결링(12)를 고정한 후, 상부체결링(2)은 상부배수관연결구(7)와 결합하고, 하부체결링(12)은 하부배수관연결구(17)와 결합한다.
상부체결링(2)을 상부배수관연결구(7)의 연결관본체(3) 외주연부 하측에 형성 된 나사부(3a)에 나사 결합하여, 상부체결링(2)이 결합된 굴곡관(1)의 상단을 상부배수관연결구(7)의 연결관본체(3)과 외관(4) 사이에 형성된 굴곡관수용부(5)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한다.
굴곡관(1)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체결링(12)은 하부배수관연결구(17)의 연결관본체(13) 외주연부에 형성된 나사부(13a)에 결합하여, 연결관본체(13)과 외관(14) 사이의 굴곡관수용부(15)에 삽입된 상태로 나사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연결구는, 첨부 도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S)의 배수밸브가 장착된 배수관(100)의 하단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세면대(S)에 장착되는 배수관(100)의 구성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세면대(S)의 중앙에 결합되는 개폐밸브를 내장한 밸브관체(101)와, 이 밸브관체(101)를 세면대(S)에 고정하기 위한 패킹(102)과 결착링(103), 상기 밸브관체(101)와 나사결합되는 제1, 제2 체결링(104)(105) 및 밸브를 개폐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봉연결관(106)을 세면대(S)에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세면대용 배수관(100)을 구성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연결구는 상기한 작동봉연결관(106)의 하단 내측에 나사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세면대(S)의 하방에는 하수관이 배관되어 있고, 악취의 역류를 방직하기 위하여 "S"자 배수트랩(200) 또는 "U"자형 배수트랩(201)을 이용하여 상기 세면대(S)의 배수관(100)과 연결하고 있는바, 이 배수관(100)의 위치와 배수트랩(200)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바, 본 발명의 연결관을 구성하는 굴곡관(1)의 길이와 자유로운 굴곡을 통하여 배수관(100)과 배스트랩(200)(201)을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4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굴곡관(1)과, 이 굴곡관(1)의 상·하단 외주면(1c)(1d)에 결합되는 상부체결관(20)과 하부체결관(20') 및 배수관(100)의 작동봉연결관(106)과 체결되는 상부배수관연결구(30)와 하부배수관연결구(30')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체결관(20)과 하부체결관(20')은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하며, 관체(21)(21')의 중앙부를 확장하여 확장부(24)(24')를 형성하고, 이 확장부(24)(24')의 상측으로 노출된 관체(21)(21') 외주연부에 연결나사부(22)(22')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굴곡관(1)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되는 굴곡관결합나사부(23)(23')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상부배수관연결구(30)와 하부배수관연결구(30')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며, 상기 연결관본체(33)(33')의 외주 중앙에 하향으로 절곡되고, 내주면에 체결관나사결합부(32)(32')를 구비한 외관(34)(34')을 형성하여, 상기 외관(34)(34')과 연결관본체(33)(33') 사이에 굴곡관수용부(35)(35')를 형성하며, 상부배구관연결구(30)의 연결관본체(33)에는 연결나사부(36)를 형성하고, 하부배수관연결구(30')의 연결관본체(30')는 하부로 길게 연장하여 확장연결관(36')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결구의 조립상태를 설명한다.
굴곡관(1)의 상단외주면(1c)과 하단외주면(1d)에 각각 상부체결관(20)과 하부체결관(20')을 결합하게 되는데, 굴곡관(1)의 상단외주면(1c)에 상부체결관(20)의 내주면에 형성된 굴곡관결합나사부(23)을 이용해 나사 결합한다.
이때, 상기 상부체결관(20)에 결합되는 굴곡관(1)의 선단부는 상부체결관(20)의 상단과 수평을 이루도록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굴곡관(1)이 결합된 상부체결관(20)을 상부배수관연결구(30)에 결합 고정하게 되는데, 상부체결관(20)을 연결관본체(33)와 외관(34) 사이에 형성된 굴곡관수용부(35)에 진입시켜 외관(34)의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관나사결합부(32)와 상부체결관(20)의 연결나사부(22)를 나사 결합하여 굴곡관(1)과 상부체결관(20)을 상부배수관연결구(30)와 결합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배수관연결구(30)의 굴곡관수용부(35)를 구성하는 연결관본체(33)의 길이는 외관(3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배출되는 세척수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며, 동일한 조건에서 하부배수관연결구(30')의 굴곡관수용부(35')를 구성하는 연결관본체(33')의 길이에 비해 외관(34')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세척수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한다.
굴곡관(1)의 하단내주면(1d)에 하부체결관(20')을 상기한 상부체결관(20)과 동일한 수단으로 체결하여 하부배수관연결구(30')를 연결 고정하고, 이 하부배수관연결구(30')의 끝을 "S"자 연결트랩(200)이나 "U"자형 연결트랩(201)의 선단 내부로 진입시켜 장착을 완료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굴곡관(1)을 더욱 견고하게 세면대용 배수관(100)의 작동봉연결관(106)에 연결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7과 도 8을 인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굴곡관(1)과, 이 굴곡관(1)의 상·하단 외주면(1a)(1b)에 결합되는 상부체결관(60)과 하부체결관(60') 및 배수관(100)의 작동봉연결관(106)과 체결되는 상부배수관연결구(50)와 하부배수관연결구(50')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체결관(60)과 하부체결관(60')은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하며, 관체(61)(61')의 하단부를 확장하여 확장부(64)(624')를 형성하고, 이 확장부(64)(64')의 상측으로 노출된 관체(61)(61') 외주연부에 체결돌기(62)(62')를 일정한 간격이 떨어진 상태로 다수 형성하되 외주면을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이 관체(61)(61')는 균일한 간격으로 절결부(69)(69')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굴곡관(1)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되는 굴곡관결합나사부(63)(63')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상부배수관연결구(50)와 하부배수관연결구(50')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며, 상기 연결관본체(53)(53')의 외주 중앙에 하향으로 절곡되고, 내주면을 경사지게 형성하며, 하단 내주면에 체결홈(52)(52')을 요입 형성한 외관(54)(54')을 구비하며, 상기 외관(54)(54')과 연결관본체(53)(53') 사이에 굴곡관수용부(55)(55')를 형성하며, 상부배구관연결구(50)의 연결관본체(53)를 연장하여 형성하는 확장연결관(56)의 외주연부에는 연결나사부(56a)를 형성하고, 하부배수관연결구(50')의 연결관본체(53')는 하부로 길게 연장하여 확장연결관(56')을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되는 것으로,
굴곡관(1)의 상단외주면(1a)과 하단외주면(1b)에 각각 상부체결관(60)과 하부체결관(60'을 결합하고, 이 상부체결관60)과 하부체결관(60')을 상부배수관연결구(50)와 하부배수관연결구(50')에 각각 결합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굴곡관(1)의 상부외주면(1a)에 상부체결관(60)의 내부에 형성된 굴곡관결합나사부(63)를 이용하여 나사 결합한다.
이때, 상기 굴곡관(1)의 상단부는 상부체결관(60)의 관체(61) 상단과 수평을 이루도록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굴곡관(1)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상부체결관(60)을 상부배수관연결구(50)의 하측부에 형성된 굴곡관수용부(55)에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굴곡관수용부(55)를 구성하는 외관(54)의 내주면은 하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고, 하단 내주면에는 체결홈(52)이 요입 형성되어 있는바, 이 체결홈(52)에 상부체결관(60)의 관체(61) 하단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62)가 끼워지도록 삽입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체결관(60)의 관체(61)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바, 상부배수관연결구(50)의 굴곡관수용부(55)에 진입하면서 외관(54)의 내주면 경사면에 의해 내측으로 수축되는 압력을 받게 되는데, 이 수축되는 압력은 관체(61)에 형성된 절 결부(69)에 의해 내측으로 수축되게 된다.
이러한 수축되는 관체(61)는 굴곡관(1)을 더욱 긴밀하게 밀착하여 고정하게 되며, 상부배수관연결구(50)의 굴곡관수용부(55)를 구성하는 연결관본체(53)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고정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수단과 동일한 수단으로 굴곡관(1)의 하단외주연부(1b)에 하부체결관(60')과 하부배수관연결구(50')를 연결 고정하며, 이 하부배수관연결구(50')의 확장연결관(56)은 연결트랩(200)에 삽입하여 장착을 완료하는 것이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9와 도 10을 인용하여 설명한다.
상부배수관연결구(80)의 연결관본체(83) 중앙에서 외관(84)을 하향으로 절곡 형성하여 외관(84)과 연결관본체(83) 사이에 굴곡관수용부(85)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본체(83)의 외주연부에 연결나사부(83a)를 형성하여 구성하며,
하부배수관연결구(80')는 상기 상부배수관연결구(80)와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외관(84')과 굴곡관수용부(85')를 형성하되, 연결관본체(83')를 더 길게 연장 형성하여 확장연결관(86')을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굴곡관수용부(85)(85')에 굴곡관(1)의 상단내주면(1a)과 하단내주면(1b)을 결합한 후, 접착제를 충전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실시예의 연결구는, 간단한 구성부품으로 인한 생산원가의 절감과 더불어 신속한 조립 시공이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세면대를 연결하는 연결구로서 설명하였으나, 가정의 욕실에 설치되는 욕조용 배수구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성을 가진 상태에서 용도를 변경하는 정도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 굴곡관, 1a; 상단내주면, 1b; 하단내주면, 1c; 상단외주면, 1d; 하단외주면, 2; 상부체결링, 3.13.33.33'.53.53'.83.83' ; 연결관본체, 4.34.34'.54.54'.84; 외관, 5.35.35'.55.55'.85.85'; 굴곡관수용부, 6.6'.36'.86'; 확장연결관, 7.30.50.80; 상부배수관연결구, 12; 하부체결링, 20.60; 상부체결관, 20'.60'; 하부체결관, 22.22'; 연결나사부, 24.24'.64.64'; 확장부, 23.23'.63.63'; 굴곡관나사결합부, 100; 세면대용 배수관, 200,201; 연결트랩

Claims (4)

  1.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굴곡 작용이 자유로운 굴곡관(1; corrugated pipe);
    상기 굴곡관(1)의 상·하단부의 내주연부(1a)(1b)에 나사결합되는 외부나선부(2a)와 내부나선부(2b)를 구비한 상부체결링(2);
    상기 상부체결링(2)의 내부나선부(2b)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a)를 외주연부에 구비한 연결관본체(3)과, 이 연결관본체(3)의 외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외관(4) 및 상기 연결관본체(3)과 외관(4) 사이에 형성된 굴곡관수용부(5)를 구비하며, 상기 외관(4)의 상측으로 확장연결관(6)을 형성하고, 그 외주연부에 연결나사부(6a)로 구성되는 상부배수관연결구(7);
    상기 굴곡관(1)의 하단부 내측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상부체결링(2)과 동일한 구성의 하부체결링(12);
    상기 상부배수관연결구(7)와 동일한 연결관본체(13)과 외관(14) 및 굴곡관수용부(15)와 확장연결관(16)으로 구성하되, 확장연결관(16)은 좀 더 길게 연장형성하고, 외주연부는 평면형으로 구성한 하부배수관연결구(17);로 구성되는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체결관(20)과 하부체결관(20')은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하며, 관체(21)(21')의 중앙부를 확장하여 확장부(24)(24')를 형성하고, 이 확장부(24)(24')의 상측으로 노출된 관체(21)(21') 외주연부에 연결나사부(22)(22')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굴곡관(1)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되는 굴곡관결합나사부(23)(23')를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상부배수관연결구(30)와 하부배수관연결구(30')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며, 상기 연결관본체(33)(33')의 외주 중앙에 하향으로 절곡되고, 내주면에 체결관나사결합부(32)(32')를 구비한 외관(34)(34')을 형성하여, 상기 외관(34)(34')과 연결관본체(33)(33') 사이에 굴곡관수용부(35)(35')를 형성하며, 상부배구관연결구(30)의 연결관본체(33)에는 연결나사부(36)를 형성하고, 하부배수관연결구(30')의 연결관본체(30')는 하부로 길게 연장하여 확장연결관(36')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부체결관(60)과 하부체결관(60')은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하며, 관체(61)(61')의 하단부를 확장하여 확장부(64)(624')를 형성하고, 이 확장부(64)(64')의 상측으로 노출된 관체(61)(61') 외주연부에 체결돌기(62)(62')를 일정한 간격이 떨어진 상태로 다수 형성하되 외주면을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이 관체(61)(61')는 균일한 간격으로 절결부(69)(69')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굴곡관(1)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되는 굴곡관결합나사부(63)(63')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상부배수관연결구(50)와 하부배수관연결구(50')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며, 상기 연결관본체(53)(53')의 외주 중앙에 하향으로 절곡되고, 내주면을 경사지게 형성하며, 하단 내주면에 체결홈(52)(52')을 요입 형성한 외관(54)(54')을 구비하며, 상기 외관(54)(54')과 연결관본체(53)(53') 사이에 굴곡관수용부(55)(55')를 형성하며, 상부배구관연결구(50)의 연결관본체(53)를 연장하여 형성하는 확장연결관(56)의 외주연부에는 연결나사부(56a)를 형성하고, 하부배수관연결구(50')의 연결관본체(53')는 하부로 길게 연장하여 확장연결관(56')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배수관연결구(80)의 연결관본체(83) 중앙에서 외관(84)을 하향으로 절곡 형성하여 외관(84)과 연결관본체(83) 사이에 굴곡관수용부(85)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본체(83)의 외주연부에 연결나사부(83a)를 형성하여 구성하며,
    하부배수관연결구(80')는 상기 상부배수관연결구(80)와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외관(84')과 굴곡관수용부(85')를 형성하되, 연결관본체(83')를 더 길게 연장 형성하여 확장연결관(86')을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굴곡관수용부(85)(85')에 굴곡관(1)의 상단내주면(1a)과 하단내주면(1b)을 결합한 후, 접착제를 충전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
KR1020100046089A 2010-05-17 2010-05-17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 KR101165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089A KR101165150B1 (ko) 2010-05-17 2010-05-17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089A KR101165150B1 (ko) 2010-05-17 2010-05-17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422A true KR20110126422A (ko) 2011-11-23
KR101165150B1 KR101165150B1 (ko) 2012-07-12

Family

ID=4539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089A KR101165150B1 (ko) 2010-05-17 2010-05-17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1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78Y1 (ko) * 2012-04-26 2013-10-15 김기옥 변각 및 변위가 가능한 세면대용 배수유닛
KR101447361B1 (ko) * 2013-04-17 2014-10-06 홍성정 욕조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방지수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219B1 (ko) * 2013-05-07 2015-01-12 홍성정 욕조의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방지수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107Y1 (ko) 2005-07-08 2005-12-08 김효식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407976Y1 (ko) 2005-11-21 2006-02-06 이재우 배수관 연결구
KR200415413Y1 (ko) 2006-01-31 2006-05-03 장명수 세면대의 벽면 매설용 배수배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78Y1 (ko) * 2012-04-26 2013-10-15 김기옥 변각 및 변위가 가능한 세면대용 배수유닛
KR101447361B1 (ko) * 2013-04-17 2014-10-06 홍성정 욕조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방지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150B1 (ko)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0435B2 (en)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a discharge pipe to a discharge opening
KR200459796Y1 (ko) 세면대용 배수 세트 구조
US9546473B2 (en) Plumbing connection hub
KR200453608Y1 (ko) 너트 일체형 배수관
KR20110126422A (ko)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
KR20140023093A (ko) 세면대용 정수기 출수장치
KR20090004240U (ko) 배수용 트랩
KR100721213B1 (ko) 수전 연결장치
KR200395112Y1 (ko) 세면대용 트랩 구조
JP6060325B2 (ja) 排水装置の取付構造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JP7223562B2 (ja) 水回りの配管接続部材
CN210917606U (zh) 下水器
KR200282353Y1 (ko) 배수트랩
KR100987648B1 (ko) 싱크대 배수용 연결관
CN208604700U (zh) 水槽下水器连接管及下水器件
WO2002006717A1 (en) Elastic siphon connection for washing-stands, single and double dish-washers
KR200272328Y1 (ko) 식기세척기의 배수호스 고정구
JP2007117563A (ja) 洗面化粧台
KR200348097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413524Y1 (ko) 배관헤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
KR200358904Y1 (ko) 세면기용 트랩
KR101177490B1 (ko)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TWM623703U (zh) 水槽落水管結構
KR200270192Y1 (ko) 독립형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