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317A -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 Google Patents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317A
KR20110126317A KR1020100045929A KR20100045929A KR20110126317A KR 20110126317 A KR20110126317 A KR 20110126317A KR 1020100045929 A KR1020100045929 A KR 1020100045929A KR 20100045929 A KR20100045929 A KR 20100045929A KR 20110126317 A KR20110126317 A KR 20110126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yoke
pair
bobbin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6659B1 (ko
Inventor
김상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to KR1020100045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659B1/ko
Publication of KR20110126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4Manufacturing aspects of the magnetic circuit of loudspeaker or microphon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Abstract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는, 베이스 프레임; 상호 이격 배치되어 베이스 프레임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자기체; 한 쌍의 자기체 사이에 개재되며, 일면에 보이스 코일이 마련되는 보빈; 및 베이스 프레임 내에서 보빈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자기체가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 유지되도록 한 쌍의 자기체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프레임에 마그네트들 또는 요크들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그네트들 또는 요크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마그네트로부터의 자기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마그네트와 요크를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자기력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종래처럼 열에 의해 접착제가 녹아 마그네트들 또는 요크들이 달라붙음에 따라 스피커가 고장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Flat Type Speaker having magnet-yoke holder}
본 발명은,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프레임에 마그네트들 또는 요크들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그네트들 또는 요크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마그네트로부터의 자기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마그네트와 요크를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자기력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종래처럼 열에 의해 접착제가 녹아 마그네트들 또는 요크들이 달라붙음에 따라 스피커가 고장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는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하는 음향기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중저음 스피커는 콘(con) 형태의 진동판을 갖는데, 중저음 스피커의 콘 형태의 진동판은 음파를 방사할 때 주파수가 높아지면 원하지 않는 분할 진동이 나타난다.
하나의 스피커로 가청 주파수 전 대역을 재생시키는 것이 스피커의 원하는 특성인 반면에, 종래의 콘형 스피커의 특성은 분할 진동으로 인해 음질의 저하와 고역의 한계를 초래한다.
이러한 음질 저하와 고역 한계에 따른 음의 원활한 방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피커 크기를 다르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저음용, 고음용으로 대역을 분할하고 각각의 각 대역용 스피커를 조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되는 스피커는 설치 공간이 증대되어 스피커를 내장할 캐비닛이 커지고, 이로 인한 스피커 시스템은 설치 공간 또한 증대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상과 같은 콘형 스피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평판형 스피커가 소개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평판형 스피커에 있어서는, 마그네트들 또는 요크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에 마그네트들 또는 요크들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데, 접착제를 사용하여 베이스 프레임에 마그네트들 또는 요크들을 고정시키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그네트들 또는 요크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마그네트들 또는 요크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지 않으면 결과적으로 자기력이 일정하게 되지 않아 스피커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평판형 스피커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이 발생하여 접착제가 녹아서 마그네트들 또는 요크들이 상호 붙어서 스피커가 고장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프레임에 마그네트들 또는 요크들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그네트들 또는 요크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마그네트로부터의 자기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마그네트와 요크를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자기력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종래처럼 열에 의해 접착제가 녹아 마그네트들 또는 요크들이 달라붙음에 따라 스피커가 고장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 상호 이격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자기체; 상기 한 쌍의 자기체 사이에 개재되며, 일면에 보이스 코일이 마련되는 보빈;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서 상기 보빈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한 쌍의 자기체가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 유지되도록 상기 한 쌍의 자기체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요크 홀더는 상기 자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자기체의 양단부 영역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마그네트-요크 홀더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메인 몸체; 및 상기 메인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양측벽이 상기 한 쌍의 자기체와 부분적으로 접촉지지되어 상기 한 쌍의 자기체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 유지시키는 이격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체는, 판 타입(type)의 마그네트(magnet); 및 상기 마그네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마그네트의 양면에 각각 면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트로부터의 자기력선을 모아주는 제1 및 제2 요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 몸체는, 양측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1 요크 및 상기 제2 요크의 일측이 접촉지지되는 요크 지지부; 및 상기 요크 지지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보빈을 향해 함몰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트의 일측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면서 지지되는 마그네트 지지용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의 일측이 상기 이격 몸체의 마그네트 지지용 함몰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요크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일측을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절취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함께 상기 한 쌍의 자기체, 상기 보빈 및 상기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지지하는 진동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판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두께 방향을 따라 단차진 단턱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판의 표면에는 상기 진동판이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이 가능해지도록 유연성 있는 재질로 마련되는 돔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자기체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보빈의 잔류 진동을 상쇄시키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한 쌍의 자기체의 외곽 일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바아;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의 일단부가 부분적으로 삽입 배치되는 보빈 삽입레일;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와 상기 보빈 삽입레일 사이에서 자유 곡선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보빈이 진동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패턴은 상기 보빈 삽입레일을 사이에 두고 상호간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패턴을 형성하는 단위패턴들은 상기 지지바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간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얇은 베릴륨동, 스프링강 또는 고탄성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플라스틱 박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에 마그네트들 또는 요크들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그네트들 또는 요크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마그네트로부터의 자기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마그네트와 요크를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자기력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종래처럼 열에 의해 접착제가 녹아 마그네트들 또는 요크들이 달라붙음에 따라 스피커가 고장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상호 이격 배치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자기체(120)와, 한 쌍의 자기체(120) 사이에 개재되며 일면에 보이스 코일(132)이 마련되는 보빈(130)과, 베이스 프레임(110) 내에서 보빈(130)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자기체(120)가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 유지되도록 한 쌍의 자기체(120)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마그네트-요크 홀더(14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본 실시예의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에서 외관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그 내부에는 한 쌍의 자기체(120), 보빈(130) 및 한 쌍의 마그네트-요크 홀더(140)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부품수용공간(110a)이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110)의 바닥면에는 장공의 관통공(110b)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10b)으로는 보이스 코일(132)이 마련되는 보빈(130)이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10)의 배면에는 돌출리브(115,116)와 관통공(117)이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110)의 코너 영역에는 다수의 통공(111)이 형성된다. 통공(111)은 베이스 프레임(110)을 주변의 다른 장치나 부품에 결합시키기 위한 장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단부(도면상 상부)에는 진동판(150)이 결합된다. 즉 진동판(150)은 보빈(130)에 결합된다. 이러한 진동판(15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단부에서 베이스 프레임(1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단차진 단턱(112)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진동판(150)의 표면에는 진동판(15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대략 타원형 형상으로 돔부(151)가 형성된다. 돔부(151)는 진동판(150)이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이 가능해지도록 유연성 있는 재질 예를 들어 고무(rubber) 재질로 마련된다.
자기체(120)는, 보빈(130)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벽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자기체(120)는 판 타입(type)의 마그네트(123, magnet)와, 마그네트(123)를 사이에 두고 마그네트(123)의 양면에 각각 면배치는 제1 요크(121) 및 제2 요크(122)를 구비한다. 마그네트(123)는 자력, 즉 자기력선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1 요크(121) 및 제2 요크(122)는 마그네트(123)로부터의 자기력선을 모아주는 즉 마그네트(123)로부터의 자기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그네트(123), 제1 요크(121) 및 제2 요크(122)는 상호간 접착제 없이 상호간 접면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의 해당 위치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자기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전달된다. 따라서 자기체(120) 성능의 효율을 고려하면, 본 실시예의 평판형 스피커에는 마그네트(123)와 요크(121,122) 사이에 접착제가 없기 때문에 자기체(120)의 성능, 즉 자기력의 전달 성능을 종래보다 훨씬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마그네트(123)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 타입으로 마련되고 있는 반면, 제1 요크(121) 및 제2 요크(122)에는 절취부(121a,122a)가 형성된다. 절취부(121a,122a)는 제1 요크(121) 및 제2 요크(122)로부터 마그네트(123)의 일측을 외부로 노출시켜 마그네트(123)의 노출된 부분이 마그네트-요크 홀더(14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다시 후술한다.
보빈(130)은, 한 쌍의 자기체(120) 사이에 개재되는 필름 혹은 얇은 금속박판으로서 보이스 코일(132)이 마련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빈(130)에 보이스 코일(132)이 권선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빈(130)에 보이스 코일(132)이 인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이스 코일(132)이 마련되는 패턴은 다양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타원 형상 즉 나선형 트랙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복수의 직선 및 곡선 패턴으로 보이스 코일(132)을 마련하고 추후, 보이스 코일(132)에 전류를 인가하게 되면 자력 사이에 배치되는 보빈(130)에 상하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진동판(150)의 진동으로 음향이 외부로 출력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 내의 대략 중앙 영역에 보이스 코일(132)이 마련되는 보빈(130)을 배치하고, 보빈(130)의 양측으로 한 쌍의 자기체(120)를 이격되게 설치함에 있어,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자기체(120)의 마그네트(123)들 또는 요크(121,122)들을 해당 위치에 고정시켜 왔다. 하지만, 접착제를 이용한 마그네트(123)들 또는 요크(121,122)들의 고정 작업, 특히 자기체(120)들을 일정하게 이격시키면서 고정시키는 작업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스피커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으며, 더하여 접착제가 녹는 경우에는 마그네트(123)들 또는 요크(121,122)들이 상호 달라붙어 스피커의 고장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쉽고 간편하게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마그네트-요크 홀더(140)를 적용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에 적용되는, 즉 종래와 다른 새로운 구조의 마그네트-요크 홀더(140)는, 베이스 프레임(110) 내에서 보빈(130)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자기체(120)가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 유지되도록 한 쌍의 자기체(120)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자기체(120)가 한 쌍으로 마련되므로 마그네트-요크 홀더(140) 역시 자기체(120)의 양단부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해당 위치에서 한 쌍의 자기체(120)를 이격 유지시키면서 베이스 프레임(11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마그네트-요크 홀더(14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메인 몸체(141)와, 메인 몸체(14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양측벽이 한 쌍의 자기체(120)와 부분적으로 접촉지지되어 한 쌍의 자기체(120)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 유지시키는 이격 몸체(143)를 구비한다. 편의상 마그네트-요크 홀더(140)를 메인 몸체(141)와 이격 몸체(143)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들은 일체형 제품일 수 있다.
메인 몸체(141)는 직사각형의 블록(block)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메인 몸체(141)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마그네트-요크 홀더 결합부(113)에 결합된다. 마그네트-요크 홀더 결합부(113)의 단부 영역에 보면 경사면(11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마그네트-요크 홀더(140)와 자기체(120) 간의 조립 여유 공간을 위해 마련될 것이므로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격 몸체(143)는 양측에 대향 배치되고 제1 요크(121) 및 제2 요크(122)의 일측이 접촉지지되는 요크 지지부(143a)와, 요크 지지부(143a)의 표면으로부터 보빈(130)을 향해 함몰 형성되어 마그네트(123)의 일측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면서 지지되는 마그네트 지지용 함몰부(143b)를 구비하다.
이러한 이격 몸체(143)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대략 영문 대문자 'Ⅰ'자 형상을 갖는데, 실질적으로 한 쌍의 자기체(120)는 이격 몸체(143)에 의해 상호간 이격된다(도 5 참조).
요크 지지부(143a)는 이격 몸체(143)의 양측면에 해당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체(120)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요크(121,122)는 그 단부가 요크 지지부(143a)에 접촉지지된다. 이에 반해, 마그네트(123)는 그 일측이 마그네트 지지용 함몰부(143b)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마그네트 지지용 함몰부(143b)에 지지된다. 이때, 마그네트(123)의 일측이 마그네트 지지용 함몰부(143b)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요크(121,122)에는 마그네트(123)의 일측을 노출시키기 위한 절취부(121a,122a)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5에 보면, 마그네트 지지용 함몰부(143b)와 마그네트(123)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의 일정한 갭(gap)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갭은 부품의 제작 혹은 조립 공차와 관련된 것이므로 무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의 조립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부품들을 준비한 다음, 한 쌍의 마그네트-요크 홀더(140)를 이용하여 한 쌍의 자기체(120)를 위치별로 배치시킨 후에 이들을 베이스 프레임(110) 내의 해당 위치에 조립한다.
즉 자기체(120)를 형성하는 마그네트(123)의 일측이 마그네트 지지용 함몰부(143b)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면서 제1 및 제2 요크(121,122)의 단부가 이격 몸체(143)의 요크 지지부(143a)에 접촉지지되도록 하여 마그네트-요크 홀더(140)와 자기체(120)를 선(先) 조립한 다음에 이들을 베이스 프레임(110) 내의 해당 위치에 조립한다. 이때는 마그네트-요크 홀더(140)가 사용되기 종래처럼 접착제가 필요치 않다.
다음, 마그네트-요크 홀더(140)에 의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자기체(120) 사이로 보이스 코일(132)이 마련되는 보빈(130)을 배치하고, 이어 진동판(150)을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단부에 조립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처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마그네트-요크 홀더(140)의 적용과 마그네트-요크 홀더(140) 주변의 구조 개선을 통해 부품들을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베이스 프레임(110)에 마그네트(123)들 또는 요크(121,122)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그네트(123)들 또는 요크(121,122)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마그네트(123)로부터의 자기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마그네트(123)와 요크(121,122)를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자기력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종래처럼 열에 의해 접착제가 녹아 마그네트(123)들 또는 요크(121,122)들이 달라붙음에 따라 스피커가 고장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종래에 비해 자기체(120)의 성능 혹은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에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측에서 한 쌍의 자기체(120) 영역에 배치되어 보이스 코일(132)에 전류 인가가 해제된 때 보빈(130)에 형성되는 잔류 진동을 상쇄시키는, 즉 소멸시키는 댐퍼(200)가 더 마련된다.
이러한 댐퍼(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자기체(120)의 외곽 일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바아(210)와, 한 쌍의 지지바아(2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보빈(130)의 일단부가 부분적으로 삽입 배치되는 보빈 삽입레일(220)과, 한 쌍의 지지바아(210)와 보빈 삽입레일(220) 사이에서 자유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패턴(230)을 구비한다.
한 쌍의 지지바아(210)는 한 쌍의 자기체(120)의 외곽 일면에 배치되어 예컨대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될 수 있으며, 탄성패턴(230)을 마치 외팔보 형태로 지지한다.
보빈 삽입레일(220)은 보빈(130)의 일단부가 부분적으로 삽입 배치되는 장소를 이룬다. 보빈 삽입레일(220)에 보빈(130)이 완전히 압입될 필요는 없다.
탄성패턴(230)은 보빈(130)이 진동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이면서 보빈(130)의 잔류 진동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좌우로 편진동을 하는 기존의 사인파 형상의 댐퍼(미도시)와는 달리 본 실시예의 댐퍼(200)는 그 구조 상 보빈(130)의 진동 방향으로만 움직인다. 이러한 탄성패턴(230)은 보빈 삽입레일(220)을 사이에 두고 상호간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탄성패턴(230)을 형성하는 단위패턴(231)들은 지지바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간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탄성패턴(230)들은 다수의 굴곡부(X)를 가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의 탄성패턴(230)들은 네 부분에 대해서 상호간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패턴(230)은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얇은 금속판, 통풍이 용이한 직물 재질 또는 필름을 코팅한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또한 보빈(130)이 진동되는 방향으로만 움직임이 자유로운 물질, 예컨대, 얇은 베릴륨동, 스프링강 또는 고탄성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플라스틱 박막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패턴(230)은 보이스 코일(132)에 전류 인가가 해제된 경우, 보빈(130)이 진동되는 방향을 따라 움직이다가 특유의 물성 특성에 의해 잔류 진동을 소멸시키게 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경우, 탄성패턴(230)에 다수의 굴곡부(X)가 마련됨에 따라 탄성패턴(230)의 실질적인 유효 길이는 상대적으로 증대되고, 이에 따라, 실질적인 저항이 증대될 수 있기 때문에, 댐퍼(200)의 잔류 진동 감쇠 효과, 즉 댐핑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사인파 형상의 댐퍼(미도시)가 음악의 재생에 필요한 상하 방향의 진동 이외에 스피커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좌우 방향의 진동을 일으키는 데 비해, 본 실시예의 댐퍼(200)는 좌우 방향의 움직임을 원천적으로 막고 상하 방향으로만 움직이기 때문에 스피커의 댐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은 아래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댐퍼(200b,200c)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200b,200c)에 적용되는 탄성패턴(230b,230c)의 형태는 도 7 및 도 8처럼 다양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패턴(230b,230c)이 적용되더라도 잔류 진동의 감쇠 효과를 제공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베이스 프레임 120 : 자기체
121 : 제1 요크 122 : 제2 요크
123 : 마그네트 130 : 보빈
132 : 보이스 코일 140 : 마그네트-요크 홀더
141 : 메인 몸체 143 : 이격 몸체
150 : 진동판 151 : 돔부
200a~200c : 댐퍼

Claims (12)

  1. 베이스 프레임;
    상호 이격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자기체;
    상기 한 쌍의 자기체 사이에 개재되며, 일면에 보이스 코일이 마련되는 보빈;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서 상기 보빈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한 쌍의 자기체가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 유지되도록 상기 한 쌍의 자기체를 이격되게 지지하는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요크 홀더는 상기 자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자기체의 양단부 영역에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마그네트-요크 홀더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메인 몸체; 및
    상기 메인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양측벽이 상기 한 쌍의 자기체와 부분적으로 접촉지지되어 상기 한 쌍의 자기체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 유지시키는 이격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체는,
    판 타입(type)의 마그네트(magnet); 및
    상기 마그네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마그네트의 양면에 각각 면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트로부터의 자기력선을 모아주는 제1 및 제2 요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몸체는,
    양측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1 요크 및 상기 제2 요크의 일측이 접촉지지되는 요크 지지부; 및
    상기 요크 지지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보빈을 향해 함몰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트의 일측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면서 지지되는 마그네트 지지용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의 일측이 상기 이격 몸체의 마그네트 지지용 함몰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요크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일측을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절취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함께 상기 한 쌍의 자기체, 상기 보빈 및 상기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지지하는 진동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두께 방향을 따라 단차진 단턱 내에 삽입되며,
    상기 진동판의 표면에는 상기 진동판이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이 가능해지도록 유연성 있는 재질로 마련되는 돔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자기체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보빈의 잔류 진동을 상쇄시키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한 쌍의 자기체의 외곽 일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바아;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의 일단부가 부분적으로 삽입 배치되는 보빈 삽입레일;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와 상기 보빈 삽입레일 사이에서 자유 곡선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보빈이 진동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턴은 상기 보빈 삽입레일을 사이에 두고 상호간 대칭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턴을 형성하는 단위패턴들은 상기 지지바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간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얇은 베릴륨동, 스프링강 또는 고탄성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플라스틱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KR1020100045929A 2010-05-17 2010-05-17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KR101116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929A KR101116659B1 (ko) 2010-05-17 2010-05-17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929A KR101116659B1 (ko) 2010-05-17 2010-05-17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317A true KR20110126317A (ko) 2011-11-23
KR101116659B1 KR101116659B1 (ko) 2012-03-07

Family

ID=4539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929A KR101116659B1 (ko) 2010-05-17 2010-05-17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6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1861A1 (zh) * 2015-08-25 2017-03-02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振动发声装置
KR102061173B1 (ko) * 2018-08-07 2020-02-11 임성진 슬림 자기 코어를 구비한 장방형의 평판형 슬림 스피커
KR102186836B1 (ko) * 2019-10-15 2020-12-04 (주)인오디오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KR20210084991A (ko) * 2019-12-30 2021-07-08 (주)인오디오 듀얼 진동 장치
WO2023093950A1 (de) * 2021-11-26 2023-06-01 Continental Engineering Services Gmbh Soundaktuator mit robuster positionierung von magnet-polplattenpaket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753A1 (ko) * 2012-07-23 2014-01-30 Lee Joon Ho 스피커
WO2014137011A1 (ko) * 2013-03-07 2014-09-12 주식회사 엑셀웨이 수직 적층 또는 수평 배열형 평판 스피커의 블록구조
KR102205854B1 (ko) * 2019-09-17 2021-01-21 김동만 비대칭 자기체와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평판형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692A (ja) 2000-12-07 2002-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JP2002176693A (ja) * 2000-12-08 2002-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1861A1 (zh) * 2015-08-25 2017-03-02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振动发声装置
KR102061173B1 (ko) * 2018-08-07 2020-02-11 임성진 슬림 자기 코어를 구비한 장방형의 평판형 슬림 스피커
WO2020032593A3 (ko) * 2018-08-07 2020-03-26 임성진 슬림 자기 코어를 구비한 장방형의 평판형 슬림 스피커
CN112514417A (zh) * 2018-08-07 2021-03-16 林成珍 具备纤薄磁芯的长方形的平板型纤薄扬声器
CN112514417B (zh) * 2018-08-07 2022-07-05 林成珍 具备纤薄磁芯的长方形的平板型纤薄扬声器
US11405728B2 (en) 2018-08-07 2022-08-02 Sung Jin LEEM Rectangular flat-type slim speaker having slim magnetic core
KR102186836B1 (ko) * 2019-10-15 2020-12-04 (주)인오디오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WO2021075815A1 (ko) * 2019-10-15 2021-04-22 (주) 인오디오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KR20210084991A (ko) * 2019-12-30 2021-07-08 (주)인오디오 듀얼 진동 장치
KR20210100047A (ko) * 2019-12-30 2021-08-13 주식회사 엑추워드 듀얼 진동 장치
WO2023093950A1 (de) * 2021-11-26 2023-06-01 Continental Engineering Services Gmbh Soundaktuator mit robuster positionierung von magnet-polplattenpake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6659B1 (ko)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659B1 (ko) 마그네트-요크 홀더를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US6594372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1061550B1 (ko) 장방형 서스펜션 및 이를 채용한 스피커 모듈
KR102269152B1 (ko) 스피커
KR19990073617A (ko) 듀얼 음원 구조를 갖는 전기-음향 변환기
JP2013145993A (ja) 動電型スピーカ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11769A (ko) 평판형 스피커의 자석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프레임 구조
JP6188417B2 (ja) ハイブリッドスピーカ
JP5392006B2 (ja) スピーカ装置
WO2023222001A1 (zh) 一种骨传导振动发声装置、骨传导眼镜及可穿戴设备
WO2009093777A1 (en) Flate speaker
CN209964293U (zh) 一种骨传导振子扬声器
JP2013192205A (ja) スピーカ用ダンパ及び該ダンパを有するスピーカ装置
JP2013145994A (ja) 動電型スピーカ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06184B1 (ko) 슬림화 및 음량 성능이 개선되는 마이크로 스피커
US20050025331A1 (en) Loudspeaker coil suspension system
JP3841157B2 (ja) スピーカ
CN215912218U (zh) 微型扬声器和用于微型扬声器的弹波
CN215601459U (zh) 一种扬声器及音箱
CN219372586U (zh) 一种电声装置
KR101997690B1 (ko) 스피커용 동판 댐퍼
KR101394905B1 (ko) 시스템 스피커
KR101948826B1 (ko) 진동판
WO2024034250A1 (ja) 表示装置
KR102028854B1 (ko) 진동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