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267A -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267A
KR20110126267A KR1020100045853A KR20100045853A KR20110126267A KR 20110126267 A KR20110126267 A KR 20110126267A KR 1020100045853 A KR1020100045853 A KR 1020100045853A KR 20100045853 A KR20100045853 A KR 20100045853A KR 20110126267 A KR20110126267 A KR 20110126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knob body
controller
illumination sour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0516B1 (ko
Inventor
전영배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5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51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6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심볼 조명에 관한 것으로서, 조명원과 심볼 간의 거리편차에 관계없이 상기 심볼을 항상 균일한 밝기로 조명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브몸체와, 노브몸체에 눌림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과, 버튼에 형성되는 심볼과, 심볼을 조명할 수 있도록 노브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원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에 있어서, 조명원의 빛을 심볼의 부분에 반사시킬 수 있도록, 조명원과 심볼 사이에 대응되는 노브몸체의 내부 벽면 중, 특정 내부 벽면이 반사율이 높은 색상 또는 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노브몸체의 특정 내부 벽면은, 심볼의 부분 중에 조명원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이며, 이 부분은 조명원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심볼의 부분에 조명원의 빛을 반사시킨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CONTROLLER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심볼 조명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원과 심볼 간의 거리편차에 관계없이 상기 심볼을 항상 균일한 밝기로 조명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공조장치를 조절하기 위한 콘트롤러(Controller)를 구비한다.
콘트롤러는 운전석 전방의 센터 페시아 패널(Center Facia Panel)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과, 하우징(1)에 설치되는 복수의 노브장치(3)를 포함한다.
노브장치(3)는, 버튼식(Button Type)으로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커버(1a)에 설치되는 노브몸체(5)와, 노브몸체(5)에 눌림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7)을 포함한다.
노브몸체(5)는, 하우징 커버(1a)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내부공간(5a)을 구비한다.
버튼(7)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도시하지 않은 택트 스위치(Tact Switch)를 온,오프시킨다. 따라서, 택트 스위치와 연결되는 해당 항목의 장치를 온,오프시키면서 제어한다.
한편, 노브장치(3)는, 심볼 표시장치(10)를 갖추고 있다. 심볼 표시장치(10)는, 노브장치(3)의 해당 항목을 표시하는 것으로, 버튼(7)에 형성되는 심볼(12)과, 심볼(12)을 조명할 수 있도록 노브몸체(5)의 내부공간(5a)에 설치되는 조명원(14)으로 구성된다.
심볼(12)은, 버튼(7)의 표면을 스프레이(Spray)로 불투명하게 도포한 다음, 레이저(Laser)가공 등을 통해 심볼(12)의 모양을 투명하게 각인함으로써 형성된다.
조명원(14)은, 인쇄회로기판(14a)에 설치되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16)로 구성되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고, 발광된 빛을 심볼(12)의 후면부에 조사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콘트롤러는, 조명원(14)의 조명이 심볼(12)의 후면에 균일하게 조사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심볼(12)의 밝기가 불균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차실내의 내부 디자인이 복잡하게 설계됨에 따라 버튼(7)의 전면부 형상도 복잡하게 디자인되는데, 이렇게, 버튼(7)의 전면부 형상이 복잡하게 디자인됨에 따라 전면부에 형성된 심볼(12)과 조명원(14) 간의 거리(ℓ, ℓ′)가 부분별로 각기 다르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심볼(12)에는 부분별로 각기 다른 조도(照度)의 조명이 비춰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심볼(12)의 밝기가 부분별로 다르다는 결점이 있다. 결국, 심볼(12)의 밝기가 부분별로 각기 다르므로, 심볼(12)은 전체적으로 볼 때 불균일한 밝기로 표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조명원(14)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조명원(14)의 개수를 증가시켜서 심볼(12)로 조사되는 조명의 밝기를 최대한 증대시키는 것으로, 조명원(14)과 심볼(12) 사이에 발생하는 부분별 거리편차를 조명원(14)의 밝기로 보상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조명원(14)의 개수가 늘어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조명원(14)이 설치되는 노브몸체(5)의 내부공간(5a)이 협소하므로, 복수의 조명원(14)을 설치하기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명원과 심볼의 거리가 부분별로 다른데도 불구하고 조명원의 조명을 심볼에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원의 조명을 심볼에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심볼이 균일한 밝기로 표시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명원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심볼에 균일한 조명이 가능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는, 노브몸체와, 상기 노브몸체에 눌림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형성되는 심볼과, 상기 심볼을 조명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원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조명원의 빛을 상기 심볼의 부분에 반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명원과 상기 심볼 사이에 대응되는 상기 노브몸체의 내부 벽면 중, 특정 내부 벽면이 반사율이 높은 색상 또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브몸체의 특정 내부 벽면은, 상기 심볼의 부분 중에 상기 조명원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이며, 이 부분은 상기 조명원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심볼의 부분에 상기 조명원의 빛을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에 의하면, 노브몸체의 일측부분을 반사율이 높은 색상 또는 재질로 구성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심볼의 조명효율을 높이는 구조이므로, 조명원과 심볼 간의 거리편차에 관계없이 상기 심볼을 항상 균일한 밝기로 조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심볼을 항상 균일한 밝기로 조명할 수 있으므로, 심볼 전체가 균일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심볼의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사율이 높은 노브몸체의 일측부분을 이용하여 심볼을 균일하게 조명하는 구조이므로, 조명원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심볼에 균일한 조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비용이 상승될 우려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의 특징부인 노브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노브장치의 노브몸체를 사출 성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러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공조장치의 노브장치(3)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공조장치의 노브장치(3)는, 버튼식(Button Type)으로 구성되며, 하우징 커버(1a)에 설치되는 노브몸체(5)와, 노브몸체(5)에 눌림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7)을 포함한다.
노브몸체(5)는, 하우징 커버(1a)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내부공간(5a)을 구비한다.
버튼(7)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도시하지 않은 택트 스위치를 온, 오프시킨다. 따라서, 택트 스위치와 연결되는 해당 항목의 장치를 온, 오프시키면서 제어한다.
그리고 공조장치의 노브장치(3)는, 심볼 표시장치(10)를 갖추고 있다. 심볼 표시장치(10)는, 버튼(7)에 형성되는 심볼(12)과, 상기 심볼(12)을 조명할 수 있도록 노브몸체(5)의 내부공간(5a)에 설치되는 조명원(14)으로 구성된다.
심볼(12)은, 버튼(7)의 표면을 스프레이(Spray)로 불투명하게 도포한 다음, 레이저(Laser)가공 등을 통해 심볼의 모양을 투명하게 각인함으로써 형성된다.
조명원(14)은, 인쇄회로기판(14a)에 설치되는 발광 다이오드(16)로 구성되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고, 발광된 빛을 심볼(12)의 후면부에 조사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러의 특징부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노브몸체(5)의 내부 벽면 중, 어느 특정 벽면(5b)이 광반사율이 높은 색상 또는 재질로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 벽면(이하, "특정 벽면"이라 칭함)(5b)은, 심볼(12)의 후면부분 중에 조명원(14)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부분(12a)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특정 벽면(5b)은, 광반사율이 높으므로, 조명원(1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심볼(12)의 부분(12a)에 효율좋게 반사한다. 특히, 심볼(12)의 부분 중에 조명원(14)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부분(12a)에, 조명원(14)의 빛을 높은 효율로 반사시킨다.
따라서, 조명원(14)으로부터 먼 심볼(12)의 부분(12a)을 효율좋게 조명한다. 이로써, 조명원(14)으로부터 멀어서 상대적으로 낮은 조도(照度)의 조명이 비춰지는 단점을 보상한다.
그 결과, 심볼(12)의 후면부 전체에 균일한 조명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심볼(12)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특정 벽면(5b)은, 반사율이 높은 색상 또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되, 흰색 계통 또는 회색 계통의 색상 또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정 벽면(5b)은, 다른 벽면(5c) 보다 반사율이 높도록 구성되어 있되, 다른 벽면(5c)과 다른 색상 또는 다른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높은 반사율을 갖는다.
그리고 특정 벽면(5b)은, 미리 사출된 노브몸체(5)에 2차로 사출하는 "이중사출"공법에 의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금형(20)과 제 2금형(22)을 이용하여, 특정 벽면(5b)을 제외한 노브몸체(5)를 1차적으로 성형한다(S101).
그러면, 특정 벽면(5b)을 제외한 나머지 벽면(5c)들이 성형되면서 제조된다(S103).
그리고 나서, 제 3금형(24)과 제 4금형(26)을 이용하여, 노브몸체(5)에 특정 벽면(5b)을 2차적으로 성형한다(S105). 그러면, 특정 벽면(5b)이 형성된 노브몸체(5)가 제조된다(S107).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특정 벽면(5b)에 대응되는 노브몸체(5)의 외면부분에는 광차단수단(30)이 설치된다.
광차단수단(30)은, 노브몸체(5)의 외면에 부착되는 광차단필름 또는 노브몸체(5)의 외면에 도장되는 광차단 도료로 구성된다.
이러한 광차단수단(30)은, 조명원(14)의 빛이 특정 벽면(5b)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조명원(14)의 누광현상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노브몸체(5)의 일측부분을 반사율이 높은 색상 또는 재질로 구성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심볼(12)의 조명효율을 높이는 구조이므로, 조명원(14)과 심볼(12) 간의 거리편차에 관계없이 상기 심볼(12)을 항상 균일한 밝기로 조명할 수 있다.
또한, 심볼(12)을 항상 균일한 밝기로 조명할 수 있으므로, 심볼(12) 전체가 균일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심볼(12)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반사율이 높은 노브몸체(5)의 일측부분을 이용하여 심볼(12)을 균일하게 조명하는 구조이므로, 조명원(14)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심볼(12)에 균일한 조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비용이 상승될 우려가 없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 하우징(Housing) 1a: 하우징 커버(Housing Cover)
3: 노브장치 5: 노브몸체
5a: 내부공간 5b: 노브몸체의 특정 내부 벽면
5c: 노브몸체의 다른 내부 벽면 7: 버튼(Button)
10: 심볼 표시장치 12: 심볼(Symbol)
14: 조명원 20: 제 1금형
22: 제 2금형 24: 제 3금형
26: 제 4금형 30: 광차단수단

Claims (6)

  1. 노브몸체(5)와, 상기 노브몸체(5)에 눌림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7)과, 상기 버튼(7)에 형성되는 심볼(12)과, 상기 심볼(12)을 조명할 수 있도록 상기 노브몸체(5)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원(14)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조명원(14)의 빛을 상기 심볼(12)의 부분에 반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명원(14)과 상기 심볼(12) 사이에 대응되는 상기 노브몸체(5)의 내부 벽면 중, 특정 내부 벽면(5b)이 반사율이 높은 색상 또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몸체(5)의 특정 내부 벽면(5b)은,
    상기 심볼(12)의 부분 중에 상기 조명원(14)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부분(12a)에 대응되는 부분이며, 이 부분은 상기 조명원(14)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심볼(12)의 부분(12a)에 상기 조명원(14)의 빛을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몸체(5)의 특정 내부 벽면(5b)은,
    상기 노브몸체(5)의 다른 내부 벽면(5c)과 다른 색상 또는 다른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높은 반사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몸체(5)는,
    상기 특정 내부 벽면(5b)을 제외한 부분을 1차적으로 사출 성형한 후, 상기 특정 내부 벽면(5b)을 2차적으로 사출 성형하는 이중사출 공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내부 벽면(5b)을 통한 누광현상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특정 내부 벽면(5b)에 대응되는 상기 노브몸체(5)의 외면부분에 광차단수단(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수단(30)은,
    상기 노브몸체(5)의 외면에 부착되는 광차단필름 또는 상기 노브몸체(5)의 외면에 도장되는 광차단 도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KR1020100045853A 2010-05-17 2010-05-17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KR101710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853A KR101710516B1 (ko) 2010-05-17 2010-05-17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853A KR101710516B1 (ko) 2010-05-17 2010-05-17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267A true KR20110126267A (ko) 2011-11-23
KR101710516B1 KR101710516B1 (ko) 2017-02-27

Family

ID=45395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853A KR101710516B1 (ko) 2010-05-17 2010-05-17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5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730A (ko) * 2017-11-28 2019-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조명버튼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3423A (ja) * 1996-04-25 1997-11-11 Fujitsu Ten Ltd 釦の照明構造
KR20060130955A (ko) * 2005-06-14 2006-12-2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버튼 구조
JP2008117681A (ja) * 2006-11-07 2008-05-22 Kojima Press Co Ltd 押下式スイッチの外筐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3423A (ja) * 1996-04-25 1997-11-11 Fujitsu Ten Ltd 釦の照明構造
KR20060130955A (ko) * 2005-06-14 2006-12-2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버튼 구조
JP2008117681A (ja) * 2006-11-07 2008-05-22 Kojima Press Co Ltd 押下式スイッチの外筐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730A (ko) * 2017-11-28 2019-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조명버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516B1 (ko) 201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5866B2 (en) Vehicular ground illumination and icon projection module
US11618372B2 (en) Vehicular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illumination module
US10415792B2 (en) Light guiding device
US11231157B2 (en)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n electric vehicle
US9217550B2 (en) Lighting apparatus
EP3009301B1 (en) Automotive light
JP2009248617A (ja) スカッフプレート
CN105508958B (zh) 汽车灯
JP2009123662A (ja) スイッチ装置
CN112601678A (zh) 用于机动车的照明装置
WO2018006507A1 (zh) 一种具有不同功能的车灯照明装置
CN113682242A (zh) 包括背光区域的装饰元件
US10688925B2 (en) Lighting device for illuminating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vehicle
CZ2016745A3 (cs) Signální svítilna pro motorová vozidla
KR20110126267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JP4748051B2 (ja) 表示装置
JP2004184221A (ja) 表示装置
JP4301093B2 (ja) 照明装置
KR101235189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콘트롤러
JP2003222541A (ja) 発光装置
US7322711B2 (en) Combined instrument
KR20100070781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콘트롤러 심볼 조명장치
US11007930B2 (en) Lighting device
CN218986517U (zh) 一种车门内拉手及车辆
JP7223532B2 (ja) 道路の照明、信号の発信、又は、内部照明のための発光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