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697A -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697A
KR20110125697A KR1020100045189A KR20100045189A KR20110125697A KR 20110125697 A KR20110125697 A KR 20110125697A KR 1020100045189 A KR1020100045189 A KR 1020100045189A KR 20100045189 A KR20100045189 A KR 20100045189A KR 20110125697 A KR20110125697 A KR 20110125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user content
gam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승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5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5697A/ko
Publication of KR20110125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 서버에 연결되어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거나, 다른 단말과 연결되어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단말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삽입할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 및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전달할 상대방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게임 서버를 통해 또는 직접 다른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수신된 사용자 컨텐츠를 게임에 삽입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제작하거나 가지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여 게임에 대한 몰입감 및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on online game, and online-game system thereby}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둘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게임을 수행하는 온라인 게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에 구비된 임의의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게임에 삽입 출력할 수 있는 온라인 게임 중 컨텐츠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로 진행해 나감에 따라서, 사회, 문화 및 경제 등 전 분야에서 인터넷이 중요하고도 필수적인 매체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이 발달함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온라인 게임이 제공되고 있으며, 컴퓨터, 휴대전화, 휴대용 게임기 등 다양한 기기에서 각자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게임을 지원하고 있다.
온라인 게임은 스탠드 얼론(Stand-alone) 게임과는 달리, 사용자 스스로 어떤 상황을 만들고 해결하는 등과 같이 능동적인 사고를 유발하거나, 혼자가 아닌 다수의 참가자 간에 게임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온라인 게임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상대방 단말과 접속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서버나 상대방 단말과 접속하는데 시간이 소요되거나, 함께 게임을 즐길 게이머들이 준비되기를 기다리는 등 게임진행을 위한 준비에 다소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듯 온라인 게임의 준비 시간 동안 사용자는 지루함을 느끼거나, 게임에 대한 몰입도가 저하 되는 문제가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또한, 일부 온라인 게임에서는, 게임을 실행 중에, 상대 게이머와 채팅 창을 통해 대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텍스트 형태의 메시지만을 전달하거나 메시지에 서버에서 제공하는 아이콘을 삽입하는 등 그 방법이나 전달할 수 있는 컨텐츠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게임 참가자들의 서비스 만족도 및 게임에 대한 몰입도가 저하된다.
이에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이 제작하거나 가지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게임에 삽입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게임에 대한 몰입도 및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게임 서버와, 하나 이상의 단말로 이루어진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제공한다. 게임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단말 간에 전달한다. 하나 이상의 단말은,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에,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삽입할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 및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전달할 상대방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상기 게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사용자 컨텐츠를 게임에 삽입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사용자 컨텐츠 처리부 및 저장부를 포함하는 게임 서버를 제공한다. 사용자 컨텐츠 처리부는,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 및 사용자 컨텐츠를 전달할 상대방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상대방이 접속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접속 상태가 아니면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저장시키고, 상대방이 접속하면, 상대방의 단말로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저장부는 사용자 컨텐츠 처리부의 제어에 따라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컨텐츠 처리부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게임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출력 조건, 출력 시점, 및 출력 방식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 컨텐츠가 게임에 삽입되는 조건을 나타내는 삽입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입력부와, 출력부와, 통신부와, 저장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입력부는 사용자의 명령, 선택, 데이터,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다. 출력부는 단말의 동작에 따른 결과 또는 정보를 시각, 촉각, 청각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사용자의 감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출력한다. 통신부는 다른 단말 또는 게임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여, 데이터 및 정보를 송수신한다. 저장부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를 저장한다. 제어부는 게임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과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컨텐츠 중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사용자 컨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게임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로 전송하고, 게임 서버 또는 다른 단말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사용자 컨텐츠를 게임에 삽입하여 출력부로 출력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컨텐츠를 전송할 상대방 식별 정보,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출력 조건, 출력 시점, 및 출력 방식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 컨텐츠가 게임에 삽입되는 조건을 나타내는 삽입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에 있어서, 출력부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오디오 정보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수단과, 촉각에 의해 인지되는 햅틱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출력 수단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에 있어서, 제어부는, 게임 처리 모듈과, 사용자 컨텐츠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게임 처리 모듈은, 다른 단말 또는 게임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면서 온라인 게임을 수행한다. 사용자 컨텐츠 처리 모듈은 게임 처리 모듈에서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는 중에,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다른 단말 또는 게임 서버로 전송시키고, 다른 단말 또는 게임 서버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를 온라인 게임에 삽입하여 출력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컨텐츠 처리 모듈은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를 출력하기에 앞서, 컨텐츠 수신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컨텐츠 출력 요청이 입력되면,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를 출력시킨다.본 발명에 의한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컨텐츠 처리 모듈은,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출력 여부, 출력 크기, 출력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출력 설정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더 설정하고, 설정한 출력 설정 정보에 따라서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게임 서버에 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임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단말로부터 삽입할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 및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전달할 상대방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상대 단말의 접속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이 접속하지 않았으면,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 단말이 접속하면,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 서버 또는 둘 이상의 다른 단말과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단말에 의한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삽입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를 삽입할 상대방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단말이,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출력 조건, 출력 시점, 및 출력 방식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 컨텐츠가 게임에 삽입되는 조건을 나타내는 삽입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더 입력 받고, 삽입 정보를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단말이, 다른 단말 또는 게임 서버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컨텐츠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게임에 삽입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컨텐츠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는, 사용자 컨텐츠 수신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단말의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컨텐츠 출력 요청이 입력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 여부, 출력 크기, 출력 위치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출력 설정 정보를 입력 받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출력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게임 시스템과, 그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컨텐츠는, 시각으로 인식하는 동영상 컨텐츠와, 이미지 컨텐츠, 청각으로 인식하는 오디오 컨텐츠, 촉각으로 인식하는 햅틱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게임 상대방에게나, 동일 게임을 즐기는 다른 사용자에게 자신이 직접 제작하였거나 갖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전송하여 다른 사용자의 게임에 삽입 출력하고,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 시점이나 위치 등을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통해 다른 사용자와 다양한 형태로 의사 소통을 하거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게임에 대한 몰입감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제작한 플래시 애니메이션, UCC(User Created Contents)를 포함하는 다양한 동영상 컨텐츠, 아이콘이나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 컨텐츠, 사용자 음성이나 다양한 효과음을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촉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햅틱 컨텐츠 등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전송하여, 게임에 삽입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만족스럽고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삽입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게임 실행을 위한 접속 과정이나, 게임 실행 과정과 같이,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제공 방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공되는 컨텐츠는, 게임 실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컨텐츠로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감정이나 메시지나 정보를 상대방의 오감을 통해 전달할 수 있는 컨텐츠이며, 게임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예를 들면, 시각으로 인지 가능한 동영상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촉각으로 느낄 수 있는 햅틱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후각이나 시각으로 인지 가능한 컨텐츠 등 향후 제공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동영상 컨텐츠인 경우, 사용자가 제작한 플래시 애니메이션, UCC(User Created Contents)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미지 컨텐츠의 경우, 다양한 형상이 아이콘이나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오디오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 음성을 녹음한 오디오 파일이나 다양한 효과음에 대한 오디오 파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게임 컨텐츠와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자 컨텐츠라 부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는 서버 기반의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게임을 즐기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11, 12)은 네트워크(10)를 통해 게임 서버(13)에 접속하여, 게임 서버(13)로부터 게임 컨텐츠를 제공받아 게임을 실행한다. 게임 서버(13)에는 둘 이상의 단말이 접속하여, 둘 이상의 사용자가 함께 게임을 수행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편의상 두 단말(11, 12)이 접속된 것으로 표시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를 전송하는 사용자의 단말(11)을 제1 단말이라 하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의 단말(12)을 제2 단말이라 칭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게임 서버(13)는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제1 단말(11)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상대방 사용자를 확인하고, 상대방 사용자의 제2 단말(12)이 접속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제2 단말(12)이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삽입 요청된 사용자 컨텐츠를 저장하여 두고, 제2 단말(12)이 접속할 때, 상기 수신하거나 저장한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삽입 요청을 제2 단말(12)로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게임 서버(13)는, 제1, 2 단말(11, 12)로 제공되는 게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사용자 컨텐츠 삽입과 관련된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메뉴를 통해 제1, 2 단말(11, 12)의 사용자는 사용자 컨텐츠 삽입을 요청하거나, 수신된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제1 단말(11)은 게임 서버(13)에 접속한 후, 게임 상대방을 찾거나 게임 준비를 위해 대기 중이거나, 게임을 실행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자신에게 저장되어 있는 특정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삽입 요청 메시지를 게임 서버(13)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에는, 사용자 컨텐츠 및 해당 사용자 컨텐츠를 제공할 다른 사용자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ID, 사용자 디바이스 ID 등)가 포함된다. 또한, 삽입 요청한 사용자 컨텐츠가 게임에 삽입되는 조건을 나타내는 삽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삽입 정보는,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출력 조건, 출력 시점, 및 출력 방식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정보를 통해서 제1 단말(11)의 사용자는, 사용자 컨텐츠를 원하는 조건, 시점 및 방식으로 제2 단말(12)에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전 게임에서 제2 단말(12)의 사용자가 게임에서 이긴 경우에 상기 삽입 요청한 사용자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거나, 롤플레잉 게임에서 제2 단말(12)의 사용자 레벨이 일정 치 이상 상승한 경우에 삽입 요청한 사용자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거나, 게임 화면을 분할하여 특정 위치에 사용자 컨텐츠를 삽입하거나, 게임 화면과 오버랩 되도록 사용자 컨텐츠를 삽입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1 단말(11)은 이러한 사용자 컨텐츠, 삽입 정보, 상대방 식별 정보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제2 단말(12)은, 게임 서버(13)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수신된 사용자 컨텐츠를 게임에 삽입 출력한다. 이때, 제2 단말(12)은, 게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컨텐츠 삽입 관련 메뉴를 통해 제2 단말(12)의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 여부, 출력 크기, 출력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출력 설정 정보를 선택 받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12)은, 이러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서, 수신된 사용자 컨텐츠를 게임에 삽입 출력한다. 더하여,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에, 제1 단말(11)의 사용자가 설정한 삽입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제2 단말(12)은, 삽입 정보에 기록된, 출력 조건, 출력 시점, 및 출력 방식 중 하나 이상의 정보에 따라서, 사용자 컨텐츠를 게임에 삽입 출력한다. 여기서, 제2 단말(12)의 사용자가 설정한 출력 설정 정보와, 제1 단말(11)의 사용자가 설정한 삽입 정보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우선 순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는데, 제2 단말(12)의 사용자가 설정한 출력 설정 정보가 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의 실시 예에서는, P2P(Peer to Peer) 기반의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 다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은, 게임 서버 없이 두 단말이 서로 직접 연결되어,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직접 송신하고 수신한다는 점 이외는 도 1에 보인 온라인 게임 시스템과 동일하다.
도 2를 참조하면, P2P 기반 온라인 게임 시스템에서, 온라인 게임을 즐기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제1, 2 단말(21, 22)이 네트워크(20)를 통해 서로 직접 연결되어, 함께 게임을 실행한다. 실제로, P2P 기반의 온라인 게임도 둘 이상의 단말이 접속하여, 둘 이상의 사용자가 함께 게임을 수행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편의상 두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표시하며, 컨텐츠를 전송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제1 단말(21)이라 하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제2 단말(22)이라 한다.
제1 단말(21)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제2 단말(22)과 통신 세션을 연결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중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특정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삽입 요청 메시지를 제2 단말(22)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컨텐츠는 제1 단말(21)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것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이다.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에는, 앞서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제2 단말(22)은, 제1 단말(21)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수신된 사용자 컨텐츠를 게임에 삽입하여 출력한다. 이때, 제2 단말(22)에서의 사용자 컨텐츠 출력 과정도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방식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제2 단말(22)은, 사전에 사용자 컨텐츠 삽입 관련 메뉴를 통해 제2 단말(22)의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출력 여부, 출력 크기,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출력 설정 정보를 입력 받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단말(22)은, 이러한 출력 설정 정보에 따라서,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한다. 더하여,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에 삽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2 단말(22)은, 수신된 삽입 정보에 기록된, 출력 조건, 출력 시점, 및 출력 방식 중 어느 한 가지에 따라서, 사용자 컨텐츠를 게임에 삽입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제2 단말(22)의 사용자가 설정한 출력 설정 정보와, 제1 단말(21)의 사용자가 설정한 삽입 정보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우선 순위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제2 단말(12)의 사용자가 설정한 출력 설정 정보가 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게임 서버(13)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통상적으로 게임 서버는, 중앙 집중식 구조 또는 분산식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서버의 구조에는 관계없이 기능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게임 서버(13)는, 인증부(31)와, 패치부(32)와, 게임 컨텐츠부(33)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텐츠 제공을 위하여 사용자 컨텐츠 처리부(34)와 저장부(35)를 더 포함한다.
인증부(31)는, 게임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으로서, 일반적인 가입 절차에 의해 사용자를 등록하고, 사용자의 식별 정보(ID 및 패스워드 등)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패치부(32)는, 게임의 위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갱신을 실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확인하여, 최신 버전이 아닌 경우, 최신 버전의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설치한다.
게임 컨텐츠부(33)는, 인증부(31)에서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로 게임 컨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인증부(31)와 패치부(32)와 게임 컨텐츠부(33)는 통상적인 게임 실행을 위해 구비되는 수단으로, 이에 의한 게임 서비스 제공 과정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컨텐츠 제공 과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 컨텐츠 처리부(34)는, 인증부(31)에서 인증된 사용자(대기 상태에 있는지 게임 중 인지 관계없이)의 단말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사용자 컨텐츠를 전송할 상대방이 접속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접속 상태가 아니면, 수신된 사용자 컨텐츠 및 관련 정보(상대방 식별 정보, 삽입 정보 등)를 저장하고, 접속 상태이면, 수신되거나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상대 단말로 전송한다.
저장부(35)는, 사용자 컨텐츠 처리부(34)의 제어에 따라서,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 및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 사용자 컨텐츠를 전송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 사용자 컨텐츠를 수신할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삽입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35)에 저장된 사용자 컨텐츠 및 관련 정보들을 사용자 컨텐츠 처리부(35)에 의해 필요 시에 읽혀져 상대방의 단말로 전송된다. 그리고 게임 서버(13)에서 전송된 사용자 컨텐츠 및 관련 정보는, 전송 후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삭제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하여, 게임 서버(13)는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게임에 삽입 출력되도록 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른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에서의 단말(4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의 실시 예에 보인 단말(11, 12, 21, 22)에 이하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단말(40)은, 피투피 기반 또는 서버 기반의 온라인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단말로서, 예를 들어, 컴퓨터, 휴대 전화, 휴대용 게임기 등 임의의 온라인 게임이 실행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사용자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40)은, 입력부(41)와, 출력부(42)와, 통신부(43)와, 저장부(44)와, 제어부(45)를 포함한다.
입력부(41)는, 사용자의 명령, 선택, 데이터,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통상적인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력부(41)를 통해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삽입 정보, 상대방 식별 정보 등이 입력되거나,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출력 설정 정보가 입력된다.
출력부(42)는, 단말(40)의 동작에 따른 결과 또는 정보를 시각, 촉각, 청각, 후각, 미각 등 사용자가 여러 감각을 통해 인식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동영상, 이미지 등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오디오 정보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수단, 촉각에 의해 인지되는 햅틱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출력부(42)는, 게임 중에 제공되는 게임 컨텐츠를 시각, 청각 및 촉각으로 출력하며, 더하여, 게임 중에 삽입 요청된 사용자 컨텐츠를 상기 게임 컨텐츠와 함께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하나 이상의 감각으로 인지되도록 출력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수단과 오디오 출력 수단을 통해 게임 화면과 게임 실행음 (배경음악 또는 효과음 등)을 출력하는 중에,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이 지시되면, 동영상이나 이미지로 이루어진 사용자 컨텐츠는 게임 화면에 삽입하여 출력하고, 오디오로 이루어진 사용자 컨텐츠는 오디오 출력 수단을 통해 게임 실행음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43)는 다른 단말 또는 게임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여, 데이터 및 정보를 송수신하는 수단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다른 단말 또는 게임 서버와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수신한다.
저장부(44)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를 저장한다. 저장부(44)에 저장되는 사용자 컨텐츠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45)는, 게임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과 통신을 통해 온라인 게임의 실행을 제어하면서, 입력부(41)를 통해 이루어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저장부(44)에 저장된 사용자 컨텐츠 중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43)를 통해 게임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통신부(43)를 통해 게임 서버 또는 다른 단말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수신된 사용자 컨텐츠를 게임에 삽입하여 출력시킨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45)는, 게임 처리 모듈(451)과, 사용자 컨텐츠 처리 모듈(452)을 포함한다.
게임 처리 모듈(451)은, 통상적인 게임과 관련된 처리를 수행하는 모듈로서, 게임을 실행하면서, 사용자의 게임 조작 정보를 상대 단말이나 게임 서버로 전송하고, 상대 단말이나 게임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대의 게임 조작 정보 및 게임 컨텐츠 상태 변화 정보를 적용하여 게임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컨텐츠 처리 모듈(452)은, 상기 게임 처리 모듈(451)에 의해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는 중에, 사용자 컨텐츠 삽입과 관련된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메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삽입할 사용자 컨텐츠, 상대방 식별 정보, 삽입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입력 받아,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43)를 통해 상대 단말 또는 게임 서버로 전송시킨다. 또한, 사용자 컨텐츠 처리 모듈(452)은, 통신부(43)를 통해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사용자 컨텐츠를 수신하여 현재 실행 중인 게임에 삽입하여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 컨텐츠 처리 모듈(452)은,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 여부, 출력 크기, 출력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출력 설정 정보를 입력 받아 설정하고, 이에 따라서 수신된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한다. 더하여, 사용자 컨텐츠 처리 모듈(452)는, 상기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를 출력하기에 앞서, 컨텐츠 수신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컨텐츠 출력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를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수신 상태의 표시는 임의로 설정된 컨텐츠 수신 아이콘을 출력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는 도 1에 보인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단말(11)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게임 서버(13)에 접속하여, 게임 서버(13)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서비스를 제공받는다(S501).
상기와 같이 게임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이 입력되면(S502), 제1 단말(11)은 삽입할 사용자 컨텐츠 및 사용자 컨텐츠를 삽입할 상대방에 대한 식별 정보(게임 상대방의 사용자 ID, 디바이스 ID 등)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게임 서버(13)로 전송한다(S503). 이를 위하여, 제1 단말(11)은 저장된 사용자 컨텐츠 중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고, 상대방에 대한 식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단계(S503)에서, 제1 단말(11)은, 출력 조건, 출력 시점, 및 출력 방식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삽입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삽입 정보를 더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에 생성할 수 있다.
제1 단말(11)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게임 서버(13)는, 상대방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접속 여부를 확인하고(S504), 상대방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면, 삽입 요청된 사용자 컨텐츠를 저장한다(S505). 이때, 사용자 컨텐츠와 함께, 상대방 식별 정보와, 삽입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그리고 상대방이 게임 서버(13)에 접속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게임 서버(13)는, 단계(S504)에서, 상대방 사용자의 접속이 확인되면,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 또는 이전에 저장한 사용자 컨텐츠 및/또는 삽입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상대방 사용자의 제2 단말(12)로 전송한다(S506). 즉, 게임 서버(13)는, 제1 단말(11)의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을 상대방, 즉, 제2 단말(12)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제2 단말(12)은, 게임 서버(13)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아이콘 등을 통해 제2 사용자에게 알리고(S507),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 여부를 판단한다(S508). 여기서,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 여부의 판단은, 제2 단말(12)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출력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 여부의 판단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 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할 경우, 출력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사용자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단말(12)은 상기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를 게임에 삽입하여 출력한다(S509). 여기서, 제2 단말(12)은 사전에 설정된 출력 설정 정보에 따라서,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크기, 위치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도 2에 보인 P2P기반의 온라인 게임 시스템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단말(21)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제2 단말(22)과 연결하여, 게임을 실행한다(S601).
상기와 같이 게임 실행 중에,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이 입력되면(S602), 제1 단말(21)은 삽입할 사용자 컨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2 단말(22)로 전송한다(S603). 이를 위하여, 제1 단말(21)은 저장된 사용자 컨텐츠 중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와 달리 다수의 단말이 연결되어 게임 중인 경우, 사용자 컨텐츠를 삽입할 상대방의 식별 정보를 더 입력 받아,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단계(S603)에서, 제1 단말(21)은, 출력 조건, 출력 시점, 및 출력 방식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삽입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입력된 삽입 정보를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21)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2 단말(22)은, 사용자 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아이콘 등을 통해 제2 단말(22)의 사용자에게 알리고(S604),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 여부를 판단한다(S605). 여기서,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 여부의 판단은, 제2 단말(22)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출력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 여부의 판단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단계(S604)에서 사용자 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컨텐츠 수신 아이콘을 화면으로 출력한 후, 단계(S605)에서 제2 단말(22)의 입력부를 통해 컨텐츠 출력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으로 판단되면, 제2 단말(22)은, 수신된 사용자 컨텐츠를 게임에 삽입하여 출력한다(S606). 여기서, 제2 단말(22)은, 기 설정된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출력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 크기, 위치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게임 중 사용자 컨텐츠를 삽입 출력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71)에 온라인 게임이 실행되어 게임 화면(72)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게임 서버 또는 다른 단말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71)은 게임 화면(71) 내에 특정 형태의 아이콘(73)을 출력하여, 사용자 컨텐츠가 수신되었음을 알린다. 단말(71)의 사용자가 게임 중에, 상기 아이콘(73)을 확인하고, 이를 마우스 등을 통해 선택하면, 단말(71)은,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사용자 컨텐츠(74)를 게임 화면(72) 내에 삽입하여 게임 화면과 함께 출력한다.
여기서는, 사용자 컨텐츠(74)는, 동영상 컨텐츠나 이미지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컨텐츠(74)가 사용자의 특정 표정을 찍은 사진이나, 동영상이라고 할 경우, 게임 중 사용자의 감정이나 기분을 사용자 컨텐츠(74)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는, 동영상 컨텐츠나 이미지 컨텐츠인 경우만을 예시한 것으로서, 이외에도, 오디오 컨텐츠를 단말(71)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햅틱 컨텐츠를 단말(71)의 햅틱 수단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컨텐츠를 게임 중에 교환함으로써, 사용자의 게임에 대한 몰입감 및 만족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서버 기반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나, 피투피 기반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에 적용되어, 게임 중에 사용자들이 자신이 만든 컨텐츠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컨텐츠를 상대방에게 전달하여 게임에 삽입하여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들이 자신의 독특한 컨텐츠로 상대방과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게임 몰입감 및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0, 20: 네트워크 11, 21: 제1 단말
12, 22: 제2 단말 13: 게임 서버
31: 인증부 32: 패치부
33: 게임 컨텐츠부 34: 사용자 컨텐츠 처리부
35: 저장부 41: 입력부
42: 출력부 43: 통신부
44: 저장부 45: 제어부

Claims (22)

  1.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단말 간에 전달하는 게임 서버; 및
    상기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에,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삽입할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 및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전달할 상대방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상기 게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게임 서버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사용자 컨텐츠를 게임에 삽입하여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2.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 및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전달할 상대방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상대방이 접속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접속 상태가 아니면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저장시키고, 상대방이 접속하면 상대방의 단말로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사용자 컨텐츠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컨텐츠 처리부의 제어에 따라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컨텐츠 처리부로 제공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는
    시각으로 인식하는 동영상 컨텐츠와, 이미지 컨텐츠, 청각으로 인식하는 오디오 컨텐츠, 촉각으로 인식하는 햅틱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출력 조건, 출력 시점, 및 출력 방식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 컨텐츠가 게임에 삽입되는 조건을 나타내는 삽입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버.
  5.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단말의 동작 결과 또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다른 단말 또는 게임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게임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과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컨텐츠 중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사용자 컨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게임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게임 서버 또는 다른 단말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사용자 컨텐츠를 게임에 삽입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는
    시각으로 인식하는 동영상 컨텐츠와, 이미지 컨텐츠, 청각으로 인식하는 오디오 컨텐츠, 촉각으로 인식하는 햅틱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컨텐츠를 전송할 상대방 식별 정보,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출력 조건, 출력 시점, 및 출력 방식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 컨텐츠가 게임에 삽입되는 조건을 나타내는 삽입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오디오 정보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수단과, 촉각에 의해 인지되는 햅틱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출력 수단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른 단말 또는 게임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면서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 처리 모듈; 및
    상기 게임 처리 모듈에서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는 중에,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다른 단말 또는 게임 서버로 전송시키고, 상기 다른 단말 또는 게임 서버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를 상기 온라인 게임에 삽입하여 출력시키는 사용자 컨텐츠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 처리 모듈은
    상기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를 출력하기에 앞서, 컨텐츠 수신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컨텐츠 출력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 처리 모듈은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출력 여부, 출력 크기, 출력 위치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출력 설정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더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출력 설정 정보에 따라서 상기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게임 서버에 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임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단말로부터 삽입할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 및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전달할 상대방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상대 단말의 접속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이 접속하지 않았으면,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 단말이 접속하면,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는
    시각으로 인식하는 동영상 컨텐츠와, 이미지 컨텐츠, 청각으로 인식하는 오디오 컨텐츠, 촉각으로 인식하는 햅틱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출력 조건, 출력 시점, 및 출력 방식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 컨텐츠가 게임에 삽입되는 조건을 나타내는 삽입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15.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 서버 또는 둘 이상의 다른 단말과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단말에 의한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삽입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를 삽입할 상대방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에 대한 출력 조건, 출력 시점, 및 출력 방식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 컨텐츠가 게임에 삽입되는 조건을 나타내는 삽입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더 입력 받고,
    상기 삽입 정보를 상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다른 단말 또는 게임 서버로부터 사용자 컨텐츠 삽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컨텐츠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게임에 삽입하여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는,
    사용자 컨텐츠 수신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표시함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컨텐츠 출력 요청이 입력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 여부, 출력 크기, 출력 위치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출력 설정 정보를 입력 받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출력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컨텐츠는
    시각으로 인식하는 동영상 컨텐츠와, 이미지 컨텐츠, 청각으로 인식하는 오디오 컨텐츠, 촉각으로 인식하는 햅틱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22. 제1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00045189A 2010-05-14 2010-05-14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KR20110125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189A KR20110125697A (ko) 2010-05-14 2010-05-14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189A KR20110125697A (ko) 2010-05-14 2010-05-14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697A true KR20110125697A (ko) 2011-11-22

Family

ID=4539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189A KR20110125697A (ko) 2010-05-14 2010-05-14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56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320A (ko) 2022-06-07 2023-12-14 (주)소셜인프라테크 이종 메타버스 상호 간 캐릭터 브릿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320A (ko) 2022-06-07 2023-12-14 (주)소셜인프라테크 이종 메타버스 상호 간 캐릭터 브릿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1576B2 (en) Mediating multiplayer electronic game sessions
KR101872759B1 (ko) 음성 채팅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EP280806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300417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an application state
US7806768B2 (en) Gam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me system, game server device therefor, and game device therefor
US9592446B2 (en) Electronic game provid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electronic game program
US11642596B2 (en) Game mediation infrastructure for establishment of multiplayer gaming sessions
US20170157519A1 (en) Game device, control mechanism of the game device and storing media
US11017484B2 (en) Resource sharing method and terminal
KR20110125697A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KR20120086898A (ko)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게임 부정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JP2016019829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110125936A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5112471A (ja) 電子ゲーム提供装置及び電子ゲームプログラム
CN113272031B (zh) 用于动态用户体验的集成界面
US10413835B2 (en) Game system and game device
JP5655119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
JP2013192778A (ja) ゲームサーバ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KR101189973B1 (ko) 온라인 게임에서 친구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
JP2022102120A (ja) ユーザ情報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TW200934199A (en) On-line karaoke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2307147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208279A (ja) ゲームサーバシステム
KR20110126000A (ko) P2p 기반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JP2015069636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