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671A - 중계 tdd 시스템에서 비동기화로 인해 유발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중계 tdd 시스템에서 비동기화로 인해 유발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671A
KR20110125671A KR1020117023783A KR20117023783A KR20110125671A KR 20110125671 A KR20110125671 A KR 20110125671A KR 1020117023783 A KR1020117023783 A KR 1020117023783A KR 20117023783 A KR20117023783 A KR 20117023783A KR 20110125671 A KR20110125671 A KR 20110125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tation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station
sub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오보 장
밍리 유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1012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중계 TDD 시스템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데이터는 보호 기간의 시간 슬롯들을 점유함으로써 중계국과 기지국 사이에서 송신되고, 따라서,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비동기화로 인해 유발된 간섭이 제거된다.

Description

중계 TDD 시스템에서 비동기화로 인해 유발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AVOIDING INTERFERENCE CAUSING BY NON-SYNCHRONIZATION IN RELAY TDD SYSTEM}
본 발명은 무선 중계 TDD(Time Division Duplexing)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무선 중계 TDD 시스템의 중계국(RS), 기지국(BS), 그리고 이동 단말(MT)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S(Relay Station)는 네트워크 범위를 확장시키고 전송 효율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IMT-어드밴스드(IMT-Advanced) 시스템에 도입되었다. 상이한 서브캐리어들에서 RS 양방향 수신과 전송 실행의 가능성은 3GPP R1-090665와 3GPP R1-090734의 제안들에서 제안되었다. 그러나, RS가 양방향 통신을 실행한다는 제안이 채택되는 지에 상관없이, 어떻게 RS가 송신/수신 또는 수신/송신의 스위칭 지점에서 동시에 MT(Mobile Terminal)와 eNB(evolved Node B)의 동기화 요청들을 만족시키는가 하는 것은 해결되어야 할 긴급한 사안이다.
종래 기술에서, eNB와 RS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AI(Air Interface) 동기화의 두 가지 종류들의 동기화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각각 GPS의 동기화와 AI의 동기화하에서 eNB와 RS의 발생된 간섭 문제들의 개략도들을 도시한다. 간섭 문제들은 3GPP TS36.211,v8.5.0에 제안된 배치1의 프레임 구조를 예로써 사용하여 도 1과 도 2에서 설명되므로, 일반성을 잃지 않고, TDD 시스템의 다른 프레임 구조들이 또한 동일한 간섭 문제를 가진다는 것이 주의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제 3 서브프레임은 RS로부터 eNB로의 백홀(backhaul)이고, 제 8 서브프레임은 eNB로부터 RS로의 백홀이라고 가정한다. 여기서, 제 8 서브프레임은 "도용된(stolen) UL"인데, 즉, TDD 시스템에서 규정된 프레임 구조에서, 원래 제 8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어야 하지만, 지금은 그것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다운로드 서브프레임으로 동작하는 제 8 서브프레임은 단지 동일한 프레임에서 발생된 문제들일 수 있는 모든 것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임이 주의된다. 특정 적용에서, 제 8 서브프레임은 여전히 업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eNB와 RS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eNB와 RS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는 전송 레이턴시(transmission latency)가 있을 것이다. eNB와 RS 사이의 거리를 r이라고 가정하면, eNB와 RS 사이의 전송 레이턴시는 r/c이고, 여기서 c는 광속이다. MT와 RS 사이의 전송 레이턴시는 MT와 RS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무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S에 대하여, MT로부터 제 2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을 마친 후에만 제 3 서브프레임을 eNB로 보낼 수 있다. RS로부터 eNB까지 전송 레이턴시가 있기 때문에, RS로부터 제 3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을 완전히 마치기 전에 eNB는 제 4 서브프레임을 RS로 보내야 한다. 따라서, eNB는 RS로부터 제 3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의 일부를 수신할 수만 있고, 다른 데이터 수신은 포기하여야 한다. eNB가 수신하기를 포기한 데이터의 길이(즉, RS로부터 eNB까지의 레이턴시)가 CP(Cyclic Prefix)보다 크다면, 이후 eNB는 RS로부터의 제 3 서브프레임의 콘텐트를 완전히 복구할 수 없다.
유사하게, eNB로부터 RS로의 전송 레이턴시를 이유로, RS는 eNB로부터 제 8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완전히 마치기 전에 제 9 서브프레임을 MT로 보내야 한다. 그러므로, RS는 eNB로부터 제 8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의 일부를 수신만 할 수 있고 다른 데이터 수신은 포기하여야 하며, 따라서 이것이 RS가 eNB로부터 제 8 서브프레임의 콘텐트를 완전히 복구할 수 없는 이유가 된다.
eNB와 RS는 도 2의 AI의 동기화하에 있기 때문에, 제 8 서브프레임과 제 9 서브프레임 사이에는 간섭 문제가 없지만, 제 3 서브프레임과 제 4 서브프레임 사이의 간섭 문제는 GPS의 동기화하에서보다 더 심각하다는 것이 도 2로부터 보여질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앞서 언급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중계 TDD 시스템에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안하며, 특히,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만큼 중계국의 GP(Guard Period)를 감소시키고, 감소된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수신과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eNB와 RS 사이의 비동기화로 인해 유발된 간섭이 회피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라, 무선 중계 TDD 시스템에서 간섭을 제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만큼 중계국의 GP를 감소시키는 단계와 감소된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를 사용하여 데이터 수신과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라, 무선 중계 TDD 시스템의 중계국에서 간섭을 제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만큼 중계국의 GP를 감소시키는 단계와 감소된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를 사용하여 데이터 수신과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상에 따라, 무선 중계 TDD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중계국을 보조하는(assisting)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데이터 수신과 송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앞서 언급된 제 2 양상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는 중계국을 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상에 따라, 무선 중계 TDD 시스템에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간섭 제거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간섭 제거 디바이스는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만큼 중계국의 GP를 감소시키고 감소된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수신과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 5 양상에 따라, 무선 중계 TDD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중계국을 보조하기 위한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는 데이터 수신과 송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앞서 언급된 제 4 양상에 따른 간섭 제거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중계국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eNB와 RS 사이의 비동기화로 인해 유발된 간섭이 회피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GPS의 동기화하에서 eNB와 RS의 발생된 간섭 문제들의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AI의 동기화하에서 eNB와 RS의 발생된 간섭 문제들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GP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GP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시스템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GP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GP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시스템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데이터 전송을 위해 GP의 리소스를 점유하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데이터 전송을 위해 GP의 리소스를 점유하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시스템 방법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AI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GP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AI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GP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시스템 방법의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GP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시스템 구조의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GP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시스템 구조의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데이터 전송을 위해 GP의 리소스를 점유하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시스템 구조의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AI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GP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시스템 구조의 블록도.
다음 도면들을 참조하는 제한없는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읽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특성들, 목적들, 그리고 장점들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기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다음들에서, 본 발명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RS 셀은 eNB 셀보다 작기 때문에, eNB와 비교하여 더 짧은 GP를 쓰는 것이 RS에 대하여 적합하다.
바람직하게, RS를 위한 GP는 eNB를 위한 GP의 절반일 수 있다. RS가 단지 eNB를 위한 GP의 절반만을 사용하더라도, GP의 절반이 다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는 RS에 대하여 충분하다:
1) RS 셀의 반지름이 적어도 10km이다;
2) RS의 전송 파워는 eNB의 전송 파워보다 낮은 약 6dB일 뿐이다;
3) RS가 eNB와 셀 가장자리의 중간 지점에 위치될 때 RS 셀은 eNB로부터 셀 가장자리까지 커버할 수 있다;
4) RS가 셀 가장자리에 위치될 때 RS 셀은 eNB와 RS 사이의 중간점을 커버할 수 있다.
확실히, RS를 위한 GP는 eNB를 위한 GP의 절반보다 작은 값으로 감소될 수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의 핵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이후로, RS를 위한 GP를 eNB를 위한 GP의 절반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가 된다.
동시에, 이후로, eNB와 RS 사이의 전송 레이턴시의 크기가 eNB를 위한 GP의 크기의 절반과 같게 되는 것(즉, eNB와 RS 사이의 전송 레이턴시의 크기가 RS에 대한 감소된 GP의 크기, GP/2와 같다)이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가 된다.
실시예 1
실시예는 eNB(2)와 RS(1)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고, RS(1)는 MT(0)로부터 제 2 서브프레임 수신을 마친 후에 제 3 서브프레임을 eNB(2)로 보내는 시나리오에 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GP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GP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에서, 제 0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제 1 서브프레임은 특별한(special) 서브프레임이며, 제 2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제 3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며, 제 4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다. 여기서, 제 2 서브프레임의 Dw(DwPTS)는 다운링크 동기화 시간 슬롯이고, G(GP)는 보호 기간이며, Up(UpPTS)는 업링크 동기화 시간 슬롯이다.
도 2와 도 3을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서 eNB(2)의 GP의 절반으로 RS(1)의 GP를 감소시킴으로써 제 4 서브프레임을 보내는 것을 시작하기 전에 eNB(3)가 RS로부터 제 3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완전히 마칠 수 있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MT(0)가 시작한 후에, 첫째로 다운링크 동기화가 셀과 확립되어야 하고, 이후 업링크 동기화가 확립되기 시작될 수 있다. MT(0)가 어떻게 다운링크 동기화를 확립하는지는 종래 기술이며, 당업자는 이를 이해하여야 하고, 단순화를 위해 이는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RS(1)와의 업링크 동기화를 확립하는 MT(0)의 공정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며, 단지 다른 것은, MT(0)가 업링크 동기화 코드를 RS(1)로 보낸 후에, RS(1)에 의해 MT(0)로 피드백되는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uplink timing advancing signaling)에 포함된 타이밍 어드밴싱(timing advancing)의 정보가 변화할 것이라는 점이며, 즉, RS(1)는 원래의 GP/2 타이밍 어드밴싱을 원래의 타이밍 어드밴싱으로 부가할 것이다. 이는 MT(0)가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을 보내는 것을 시작하는 순간이 GP/2 만큼 원래의 타이밍 어드밴싱에 의해 지시된 순간의 앞이 될 것임을 말한다.
확실히, MT(0)는 MT(0)가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때 먼저 업링크 동기화 코드를 RS(1)로 UpPTS 시간 슬롯에서 보낸다. RS(1)가 MT(0)로부터 업링크 동기화 코드를 수신한 후에, 단계(S11)에서 MT(0)로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보낸다. 여기서,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은 타이밍 어드밴싱의 정보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서, 타이밍 어드밴싱의 정보는 원래의 타이밍 어드밴싱과 GP/2 타이밍 어드밴싱의 합과 동일하다. 이후, 단계(S12)에서, MT(0)는 RS(1)으로부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MT(0)는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에 포함된 타이밍 어드밴싱의 정보에 따라 RS(1)와 업링크 동기화가 되도록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언제 보내야하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
RS(1)가 GP/2 타이밍 어드밴싱을 원래의 타이밍 어드밴싱으로 부가하기 때문에, 단계(S13)에서, MT(0)는 GP/2 만큼 제 2 서브프레임의 원래의 송신 순간에 앞서 제 2 서브프레임(즉, MT(0)로부터 RS(1)으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RS(1)로 보낸다.
이후, 단계(S14)에서, RS(1)는 GP/2 만큼 원래의 수신 순간보다 앞서 MT(0)로부터 제 2 서브프레임을 수신하기 시작한다. MT(0)는 GP/2 만큼 앞서 RS(1)로 제 2 서브프레임을 보내기 시작하기 때문에, RS(1)는 GP/2 만큼 앞서 MT(0)로부터 제 2 서브프레임 수신을 마친다.
RS(1)가 GP/2 만큼 앞서 제 2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치므로, 따라서, 단계(S15)에서, RS(1)는 제 3 서브프레임(즉, RS(1)로부터 eNB(2)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eNB(2)로 GP/2 만큼 앞서 보내기 시작한다.
이후에, 단계(S16)에서, eNB(2)는 RS(1)로부터 제 3 서브프레임을 수신한다.
RS(1)으로부터 eNB(2)까지의 전송 레이턴시가 GP/2이고, RS(1)는 제 3 서브프레임을 GP/2 만큼 원래의 송신 순간보다 앞서 보내는 것을 고려하면, 그러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2)는 제 4 서브프레임을 RS(1)로 송신을 시작하기 전에 RS(1)으로부터 제 3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완전하게 마쳐서, eNB(2)의 제 3 서브프레임의 수신과 제 4 서브프레임의 송신이 간섭을 유발하지 않도록 할 것이다.
확실히, RS(1)가 제 3 서브프레임을 eNB(2)로 보내는 동안, RS(1)는 또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데이터를 MT(0)로 보낼 것이다.
실시예 2
실시예는 eNB(2)와 RS(1)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고, RS(1)는 eNB(2)로부터 제 8 서브프레임 수신을 마친 후에 제 9 서브프레임을 MT(0)로 보내는 시나리오에 대한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eNB(2)와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은 MT(0)와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GP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GP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순화를 위해, eNB(2)와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은 eNB(2)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불리며; MT(0)과 RS(1)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은 MT(0)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불린다.
실시예 1과 유사하게, MT(0)가 RS(1)으로부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도 6의 단계(S21)와 단계(S22)에 각각 대응함), 단계(S23)에서, MT(0)는 MT(0)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에서(도 5에서,
Figure pct00001
에 의해 표시됨) 업링크 데이터를 RS(1)로 GP/2 만큼 앞서 보낸다. MT(0)가 GP/2 만큼 앞서 RS(1)로 업링크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따라서, 단계(S24)에서, RS(1)는 GP/2 만큼 앞서 MT(0)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MT(0)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동시에, MT(0)는 GP/2 만큼 앞서 RS(1)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마치므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MT(0)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들의 부분은 휴지 상태(idle)가 된다.
시간 주파수 리소스들의 이러한 부분이 휴지 상태가 되기 때문에, 단계(S25)에서, eNB(2)는 RS(1)로 MT(0)으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제 8 서브프레임의 GP/2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블록을 송신하고, eNB(2)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에서(도 5에서,
Figure pct00002
에 의해 표시됨) 제 8 서브프레임의 남아있는 제 2 데이터 블록을 RS(1)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제 8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인터셉트된(intercepted) 제 1 데이터 블록은 RS(1)이 제 1 데이터 블록의 수신 후에 MT(0)으로부터 RS(1)으로의 채널 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준 심볼(reference symbol)을 포함한다. 확실히, 제 8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인터셉트된 제 1 데이터 블록이 기준 심볼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eNB(2)는 RS(1)가 제 1 데이터 블록의 수신 후에 MT(0)로부터 RS(1)로의 채널 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 1 데이터 블록을 송신하기 전에 먼저 기준 심볼을 제 1 데이터 블록으로 추가할 수 있다.
제 8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인터셉트된 제 1 데이터 블록은 특정 시간 슬롯 내에서 송신되어, MT(0)가 GP/2 만큼 앞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마친 후에, 휴지 상태가 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RS(1)가 제 1 데이터 블록을 단지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에 주의한다.
이후, 단계(S26)에서, MT(0)가 GP/2 만큼 앞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마친 후에, 휴지 상태가 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RS(1)가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고, eNB(2)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제 2 데이터 블록을 수신한다. 이후, 데이터 블록들의 두 부분들이 eNB(2)로부터 제 8 서브프레임을 얻도록 통합된다.
제 8 서브프레임의 제 1 데이터 블록이 MT(0)으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RS(1)로 송신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S(1)은 제 9 서브프레임을 MT(0)으로 송신하는 것을 시작하기 전에 eNB(2)로부터 제 8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을 이미 마쳤으며, 따라서 RS(1)의 제 8 서브프레임의 수신과 제 9 서브프레임의 송신은 간섭을 유발하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 3
실시예는 eNB(2)와 RS(1)이 GPS의 동기화하에 있고 eNB(2)로부터 제 8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친 후에 RS(1)이 제 9 서브프레임을 MT(0)으로 송신하는 시나리오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실시예에서, eNB(2)와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은 MT(0)과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데이터 전송을 위해 GP의 리소스를 점유하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데이터 전송을 위해 GP의 리소스를 점유하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시스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에서, 제 5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제 6 서브프레임은 특별한 서브 프레임이며, 제 7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제 8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며, 제 9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다. 여기서, 제 6 서브프레임의 Dw(DwPTS)는 다운링크 동기화 시간 슬롯이고, G(GP)는 보호 기간이며, Up(UpPTS)는 업링크 동기화 시간 슬롯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제 8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기능하는 "도용된 UL"이라고 가정한다. 즉, eNB(2)는 제 8 서브프레임을 RS(1)로 보내고, RS(1)은 eNB(2)로부터 제 8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친 후에 제 9 서브프레임을 MT(0)으로 보낸다.
eNB(2)로부터 RS(1)로의 데이터 전송에 전송 레이턴시가 있기 때문에, RS(1)은 MT(0)으로 제 9 서브프레임을 송신할 준비를 하는 동안 eNB(2)로부터 제 8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치지 않는다. 이에 기초하여, eNB(2)는 특정 서브프레임(제 6 서브프레임)의 GP 내에서 제 8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의 부분을 미리 송신하며, 원래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들을 여전히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 8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RS(1)은 eNB(2)로부터 제 8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친 후에 제 9 서브프레임을 MT(0)으로 보내기 시작한다.
확실히, 단계(S31)에서, eNB(2)는 특정 서브프레임의 GP 내에서 eNB(2)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8 서브프레임의 GP/2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블록을 RS(1)로 송신한다.
따라서, eNB(2)로부터 RS(1)로의 전송 레이턴시를 고려하면, 단계(S32)에서, RS(1)은 GP의 특정 시간 슬롯 내에서 eNB(2)로부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한다.
바람직하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RS(1)은 GP의 시작 순간 후의 GP/4에서 eNB(2)로부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기 시작하며, GP의 종료 순간 전의 GP/4에서 eNB(2)로부터 제 1 데이터 블록의 수신을 종료한다.
이에 기초하여, eNB(2)로부터 RS(1)로의 GP/2의 전송 레이턴시를 고려하면, GP의 특정 시간 슬롯 내에서 RS(1)이 eNB(2)로부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eNB(2)는 DwPTS 시간 슬롯의 마지막 GP/4에서 RS(1)로 제 1 데이터 블록의 송신을 시작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DwPTS 시간 슬롯 내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동기화 신호는 eNB(2)로부터 RS(1)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매우 좁은 주파수 대역을 점유하고 있을 뿐이므로, 따라서, eNB(2)가 DwPTS 시간 슬롯의 마지막 GP/4로부터 RS(1)로 제 1 데이터 블록의 송신을 시작한다고 하여도, 이는 eNB(2)가 DwPTS 시간 슬롯 내에서 다운링크 동기화 신호를 보내는 것과 간섭을 유발하지 않을 것임에 주의한다.
확실히, RS(1)은 또한 GP의 시작 시간에서 eNB(2)로부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기 시작할 것이며, 따라서, eNB(2)는 GP의 시작 시간 전의 GP/2에서 RS(1)로 제 1 데이터 블록을 보내기 시작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 4
실시예는 eNB(2)와 RS(1)이 AI의 동기화하에 있고, RS(1)이 MT(0)로부터 제 2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친 후에 eNB(2)로 제 3 서브프레임을 보내는 시나리오에 대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서, eNB(2)와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은 MT(0)과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AI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GP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AI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GP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순화를 위해, eNB(2)와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은 eNB(2)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불리며; MT(0)과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은 MT(0)으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불린다.
eNB(2)와 RS(1)은 AI의 동기화하에 있으므로, 따라서, 도 2를 참조하면, 제 8 서브프레임과 제 9 서브프레임 사이에는 간섭이 없지만, 제 3 서브프레임과 제 4 서브프레임 사이의 간섭은 더욱 심각하다.
실시예 1과 유사하게, MT(0)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때 MT(0)은 먼저 업링크 동기화 코드를 UpPTS 시간 슬롯에서 RS(1)로 보낸다. RS(1)이 MT(0)으로부터 업링크 동기화 코드를 수신한 후에, 단계(S41)에서 MT(0)으로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여기서,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은 타이밍 어드밴싱의 정보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 타이밍 어드밴싱의 정보는 원래의 타이밍 어드밴싱과 GP/2 타이밍 어드밴싱의 합과 동일하다. 이후, 단계(S42)에서, MT(0)은 RS(1)로부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MT(0)은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에 포함된 타이밍 어드밴싱의 정보에 따라 RS(1)과 업링크 동기화가 되도록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언제 보내야하는지를 알게될 것이다.
RS(1)이 GP/2 타이밍 어드밴싱을 원래의 타이밍 어드밴싱으로 부가하기 때문에, 단계(S43)에서, MT(0)은 GP/2 만큼 원래의 송신 순간에 앞서 RS(1)로 제 2 서브프레임(즉, MT(0)으로부터 RS(1)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보낸다.
이후, 단계(S44)에서, RS(1)은 GP/2 만큼 원래의 수신 순간에 앞서 MT(0)으로부터 제 2 서브프레임을 수신하기 시작한다. MT(0)이 GP/2 만큼 앞서 RS(1)로 제 2 서브프레임을 송신하기 시작하므로, RS(1)은 GP/2 만큼 앞서 MT(0)으로부터의 제 2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친다. RS(1)이 GP/2 만큼 앞서 제 2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치므로, 따라서, RS(1)은 GP/2 만큼 앞서 제 3 서브프레임(즉, RS(1)로부터 eNB(2)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eNB(2)로 보내기 시작한다.
MT(0)이 GP/2 만큼 앞서 RS(1)로의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마치므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MT(0)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들의 부분이 휴지 상태가 된다.
이에 기초하여, 단계(S45)에서, MT(0)이 GP/2 만큼 앞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마친 후에, 휴지 상태가 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RS(1)은 제 3 서브프레임의 GP/2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블록을 eNB(2)로 보내고, 동시에 RS(1)로부터 eNB(2)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GP/2 만큼 앞서 제 3 서브프레임의 남아있는 제 2 데이터 블록을 eNB(2)로 보낸다.
이후, 단계(S46)에서, eNB(2)는 MT(0)으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RS(1)로부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고, RS(1)로부터 eNB(2)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RS(1)로부터 제 2 데이터 블록을 수신한다.
eNB(2)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제 1 데이터 블록과 제 2 데이터 블록을 수신한 후에, 데이터 블록들의 두 부분들은 RS(1)로부터 제 3 서브프레임을 얻도록 통합된다.
변화에서, eNB(2)와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이 MT(0)과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다면, RS(1)은 MT(0)이 GP/2 만큼 앞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마친 후에 휴지 상태가 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만을 사용하여 제 1 데이터 블록을 송신할 것이다. 이에 기초하여, RS(1)에 의해 eNB(2)로 보내지는 제 3 서브프레임의 (2P-GP/2) 시간 길이의 데이터 블록이 폐기되며, 여기서 P는 RS(1)로부터 eNB(2)로의 전송의 레이턴시이다. RS(1)로부터 eNB(2)로의 전송의 레이턴시가 GP/2라면, RS(1)에 의해 eNB(2)로 보내지는 제 3 서브프레임의 GP/2 시간 길이의 데이터 블록은 폐기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이 방법의 양상으로 설명되나; 이후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이 디바이스 모듈의 양상으로 또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5
실시예는 eNB(2)와 RS(1)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고, RS(1)는 MT(0)로부터 제 2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친 후에 eNB(2)로 제 3 서브프레임을 보내는 시나리오에 대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GP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시스템 구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MT(0), eNB(2), 그리고 RS(1)의 간섭 제거 디바이스(11)가 도 11에 도시되며, 여기서 간섭 제거 디바이스(11)는 제 1 송신 수단(111), 제 1 수신 수단(112), 그리고 제 2 송신 수단(113)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도 3의 콘텐츠가 여기서 함께 참조된다.
도 3에서, 제 0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제 1 서브프레임은 특별한 서브프레임이며, 제 2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제 3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며, 제 4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다. 여기서, 제 2 서브프레임의 Dw(DwPTS)는 다운링크 동기화 시간 슬롯이고, G(GP)는 보호 기간이며, Up(UpPTS)는 업링크 동기화 시간 슬롯이다.
도 2와 도 3을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서 eNB(2)의 GP의 절반으로 RS(1)의 GP를 감소시킴으로써 제 4 서브프레임을 보내는 것을 시작하기 전에 eNB(3)가 RS로부터 제 3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완전히 마칠 수 있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MT(0)가 시작한 후에, 첫째로 다운링크 동기화가 셀과 확립되어야 하고, 이후 업링크 동기화가 확립되기 시작될 수 있다. MT(0)가 어떻게 다운링크 동기화를 확립하는지는 종래 기술이며, 당업자는 이를 이해하여야 하고, 단순화를 위해 이는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RS(1)와의 업링크 동기화를 확립하는 MT(0)의 공정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며, 단지 다른 것은, MT(0)가 업링크 동기화 코드를 RS(1)로 보낸 후에, RS(1)에 의해 MT(0)로 피드백되는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에 포함된 타이밍 어드밴싱의 정보가 변화할 것이라는 점이며, 즉, RS(1)는 원래의 GP/2 타이밍 어드밴싱을 원래의 타이밍 어드밴싱으로 부가할 것이다. 이는 MT(0)가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을 보내는 것을 시작하는 순간이 GP/2 만큼 원래의 타이밍 어드밴싱에 의해 지시된 순간의 앞이 될 것임을 말한다.
확실히, MT(0)는 MT(0)가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때 먼저 업링크 동기화 코드를 RS(1)로 UpPTS 시간 슬롯에서 보낸다. RS(1)가 MT(0)로부터 업링크 동기화 코드를 수신한 후에, RS(1)의 간섭 제거 디바이스(11)의 제 1 송신 수단(111)은 MT(0)로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보낸다. 여기서,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은 타이밍 어드밴싱의 정보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서, 타이밍 어드밴싱의 정보는 원래의 타이밍 어드밴싱과 GP/2 타이밍 어드밴싱의 합과 동일하다. 이후, MT(0)는 RS(1)으로부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MT(0)는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에 포함된 타이밍 어드밴싱의 정보에 따라 RS(1)와 업링크 동기화가 되도록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언제 보내야하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
RS(1)가 GP/2 타이밍 어드밴싱을 원래의 타이밍 어드밴싱으로 부가하기 때문에, MT(0)는 GP/2 만큼 제 2 서브프레임의 원래의 송신 순간에 앞서 제 2 서브프레임(즉, MT(0)로부터 RS(1)으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RS(1)로 보낸다.
RS(1)의 간섭 제거 디바이스(11)의 제 1 수신 수단(112)은 GP/2 만큼 원래의 수신 순간보다 앞서 MT(0)로부터 제 2 서브프레임을 수신하기 시작한다. MT(0)는 GP/2 만큼 앞서 RS(1)로 제 2 서브프레임을 보내기 시작하기 때문에, RS(1)의 제 1 수신 수단(112)은 GP/2 만큼 앞서 MT(0)로부터 제 2 서브프레임 수신을 마친다.
RS(1)의 제 1 수신 수단(112)이 GP/2 만큼 앞서 제 2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치므로, 따라서, RS(1)의 간섭 제거 디바이스(11)의 제 2 송신 수단(113)은 제 3 서브프레임(즉, RS(1)로부터 eNB(2)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eNB(2)로 GP/2 만큼 앞서 보내기 시작한다.
이후에, eNB(2)는 RS(1)로부터 제 3 서브프레임을 수신한다.
RS(1)으로부터 eNB(2)까지의 전송 레이턴시가 GP/2이고, RS(1)의 제 2 송신 수단(113)이 제 3 서브프레임을 GP/2 만큼 원래의 송신 순간보다 앞서 보내는 것을 고려하면, 그러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2)는 제 4 서브프레임을 RS(1)로 송신을 시작하기 전에 RS(1)으로부터 제 3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완전하게 마쳐서, eNB(2)의 제 3 서브프레임의 수신과 제 4 서브프레임의 송신이 간섭을 유발하지 않도록 할 것이다.
확실히, RS(1)가 제 3 서브프레임을 eNB(2)로 보내는 동안, RS(1)는 또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데이터를 MT(0)로 보낼 것이다.
실시예 6
실시예는 eNB(2)와 RS(1)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고, RS(1)는 eNB(2)로부터 제 8 서브프레임 수신을 마친 후에 제 9 서브프레임을 MT(0)로 보내는 시나리오에 대한 것이다. 그리고, 실시예에서, eNB(2)와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은 MT(0)와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GP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시스템 구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MT(0), RS(1)의 간섭 제거 디바이스(12), 그리고 eNB(2)의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22)가 도 12에 도시되며, 여기서 간섭 제거 디바이스(12)는 제 3 송신 수단(121), 제 2 수신 수단(122), 그리고 제 3 수신 수단(123)을 포함하고,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22)는 제 6 송신 수단(221)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도 5의 콘텐츠가 여기서 함께 참조된다.
단순화를 위해, eNB(2)와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은 eNB(2)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불리며; MT(0)과 RS(1)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은 MT(0)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불린다.
실시예 5와 유사하게, MT(0)가 RS(1)의 간섭 제거 디바이스(12)의 제 3 송신 수단(121)으로부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MT(0)는 MT(0)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에서(도 5에서,
Figure pct00003
에 의해 표시됨) 업링크 데이터를 RS(1)로 GP/2 만큼 앞서 보낸다. MT(0)가 GP/2 만큼 앞서 RS(1)로 업링크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따라서, RS(1)의 간섭 제거 디바이스(12)의 제 2 수신 수단(122)은 GP/2 만큼 앞서 MT(0)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MT(0)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동시에, MT(0)는 GP/2 만큼 앞서 RS(1)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마치므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MT(0)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들의 부분은 휴지 상태가 된다.
시간 주파수 리소스들의 이러한 부분이 휴지 상태가 되기 때문에, eNB(2)의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22)의 제 6 송신 수단(221)은 RS(1)로 MT(0)으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제 8 서브프레임의 GP/2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블록을 송신하고, eNB(2)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에서(도 5에서,
Figure pct00004
에 의해 표시됨) 제 8 서브프레임의 남아있는 제 2 데이터 블록을 RS(1)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제 8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인터셉트된 제 1 데이터 블록은 기준 심볼을 포함하며, 따라서 RS(1)이 제 1 데이터 블록의 수신 후에 MT(0)으로부터 RS(1)으로의 채널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확실히, 제 8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인터셉트된 제 1 데이터 블록이 기준 심볼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eNB(2)의 제 6 송신 수단(221)은 제 1 데이터 블록을 송신하기 전에 먼저 기준 심볼을 제 1 데이터 블록으로 추가하여, RS(1)가 제 1 데이터 블록의 수신 후에 MT(0)로부터 RS(1)로의 채널 상태를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제 8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인터셉트된 제 1 데이터 블록은 특정 시간 슬롯 내에서 송신되어, MT(0)가 GP/2 만큼 앞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마친 후에, 휴지 상태가 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RS(1)가 제 1 데이터 블록을 단지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에 주의한다.
이후, MT(0)가 GP/2 만큼 앞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마친 후에, 휴지 상태가 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RS(1)의 간섭 제거 디바이스(12)의 제 3 수신 수단(123)은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고, eNB(2)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제 2 데이터 블록을 수신한다. 이후, 데이터 블록들의 두 부분들이 eNB(2)로부터 제 8 서브프레임을 얻도록 통합된다.
제 8 서브프레임의 제 1 데이터 블록이 MT(0)으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RS(1)로 송신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S(1)은 제 9 서브프레임을 MT(0)으로 전송하는 것을 시작하기 전에 eNB(2)로부터 제 8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을 미리 마쳤으며, 따라서 RS(1)의 제 8 서브프레임의 수신과 제 9 서브프레임의 송신은 간섭을 유발하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 7
실시예는 eNB(2)와 RS(1)이 GPS의 동기화하에 있고 eNB(2)로부터 제 8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친 후에 RS(1)이 제 9 서브프레임을 MT(0)으로 송신하는 시나리오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실시예에서, eNB(2)와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은 MT(0)과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데이터 전송을 위해 GP의 리소스를 점유하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시스템 구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RS(1)의 간섭 제거 디바이스(13)와 eNB(2)의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23)가 도 13에 도시되며, 여기서 간섭 제거 디바이스(13)는 제 4 수신 수단(131)을 포함하고,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23)는 제 7 송신 수단(231)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도 7의 콘텐츠가 여기서 함께 참조된다.
도 7에서, 제 5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제 6 서브프레임은 특별한 서브 프레임이며, 제 7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제 8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며, 제 9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다. 여기서, 제 6 서브프레임의 Dw(DwPTS)는 다운링크 동기화 시간 슬롯이고, G(GP)는 보호 기간이며, Up(UpPTS)는 업링크 동기화 시간 슬롯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제 8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기능하는 "도용된 UL"이라고 가정한다. 즉, eNB(2)는 제 8 서브프레임을 RS(1)로 보내고, RS(1)은 eNB(2)로부터 제 8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친 후에 제 9 서브프레임을 MT(0)으로 보낸다.
eNB(2)로부터 RS(1)로의 데이터 전송에 전송 레이턴시가 있기 때문에, RS(1)은 MT(0)으로 제 9 서브프레임을 송신할 준비를 하는 동안 eNB(2)로부터 제 8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치지 않는다. 이에 기초하여, eNB(2)는 특정 서브프레임(제 6 서브프레임)의 GP 내에서 제 8 서브프레임의 데이터의 부분을 미리 송신하며, 원래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들을 여전히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 8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RS(1)은 eNB(2)로부터 제 8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친 후에 제 9 서브프레임을 MT(0)으로 보내기 시작한다.
확실히, eNB(2)의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23)의 제 7 송신 수단(231)은 특정 서브프레임의 GP 내에서 eNB(2)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8 서브프레임의 GP/2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블록을 RS(1)로 송신한다.
따라서, eNB(2)로부터 RS(1)로의 전송 레이턴시를 고려하면, RS(1)의 간섭 제거 디바이스(13)의 제 4 수신 수단(131)은 GP의 특정 시간 슬롯 내에서 eNB(2)로부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한다.
바람직하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RS(1)의 제 4 수신 수단(131)은 GP의 시작 순간 후의 GP/4에서 eNB(2)로부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기 시작하며, GP의 종료 순간 전의 GP/4에서 eNB(2)로부터 제 1 데이터 블록의 수신을 종료한다.
이에 기초하여, eNB(2)로부터 RS(1)로의 GP/2의 전송 레이턴시를 고려하면, GP의 특정 시간 슬롯 내에서 RS(1)의 제 4 수신 수단(131)이 eNB(2)로부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eNB(2)의 제 7 송신 수단(231)은 DwPTS 시간 슬롯의 마지막 GP/4에서 RS(1)로 제 1 데이터 블록의 송신을 시작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DwPTS 시간 슬롯 내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동기화 신호는 eNB(2)로부터 RS(1)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매우 좁은 주파수 대역만을 점유하고 있을 뿐이므로, 따라서, eNB(2)가 DwPTS 시간 슬롯의 마지막 GP/4로부터 RS(1)로 제 1 데이터 블록의 송신을 시작한다고 하여도, 이는 eNB(2)가 DwPTS 시간 슬롯 내에서 다운링크 동기화 신호를 보내는 것과 간섭을 유발하지 않을 것임에 주의한다.
확실히, RS(1)은 또한 GP의 시작 시간에서 eNB(2)로부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기 시작할 것이며, 따라서, eNB(2)는 GP의 시작 시간 전의 GP/2에서 RS(1)로 제 1 데이터 블록을 보내기 시작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 8
실시예는 eNB(2)와 RS(1)이 AI의 동기화하에 있고, RS(1)이 MT(0)로부터 제 2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친 후에 eNB(2)로 제 3 서브프레임을 보내는 시나리오에 대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서, eNB(2)와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은 MT(0)과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라, eNB와 RS가 AI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GP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간섭을 제거하는 시스템 구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MT(0), RS(1)의 간섭 제거 디바이스(14), 그리고 eNB(2)의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24)가 도 14에 도시되며, 여기서 간섭 제거 디바이스(14)는 제 4 송신 수단(141), 제 5 수신 수단(142), 그리고 제 5 송신 수단(143)을 포함하고,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24)는 제 6 수신 수단(241)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도 9의 콘텐츠가 여기서 함께 참조된다.
단순화를 위해, eNB(2)와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은 eNB(2)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불리며; MT(0)과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은 MT(0)으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불린다.
eNB(2)와 RS(1)은 AI의 동기화하에 있으므로, 따라서, 도 2를 참조하면, 제 8 서브프레임과 제 9 서브프레임 사이에는 간섭이 없지만, 제 3 서브프레임과 제 4 서브프레임 사이의 간섭은 더욱 심각하다.
실시예 5와 유사하게, MT(0)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때 MT(0)은 먼저 업링크 동기화 코드를 UpPTS 시간 슬롯에서 RS(1)로 보낸다. RS(1)이 MT(0)으로부터 업링크 동기화 코드를 수신한 후에, RS(1)의 간섭 제거 디바이스(14)의 제 4 송신 수단(141)은 MT(0)으로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여기서,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은 타이밍 어드밴싱의 정보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 타이밍 어드밴싱의 정보는 원래의 타이밍 어드밴싱과 GP/2 타이밍 어드밴싱의 합과 동일하다. 이후, MT(0)은 RS(1)로부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MT(0)은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에 포함된 타이밍 어드밴싱의 정보에 따라 RS(1)과 업링크 동기화가 되도록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언제 보내야하는지를 알게될 것이다.
RS(1)이 GP/2 타이밍 어드밴싱을 원래의 타이밍 어드밴싱으로 부가하기 때문에, MT(0)은 GP/2 만큼 원래의 송신 순간에 앞서 RS(1)로 제 2 서브프레임(즉, MT(0)으로부터 RS(1)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보낸다.
RS(1)의 간섭 제거 디바이스(14)의 제 5 수신 수단(142)은 GP/2 만큼 원래의 시간에 앞서 MT(0)으로부터 제 2 서브프레임을 수신하기 시작한다. MT(0)이 GP/2 만큼 수신 순간에 앞서 RS(1)로 제 2 서브프레임을 송신하기 시작하므로 RS(1)의 제 5 수신 수단(142)은 GP/2 만큼 앞서 MT(0)으로부터의 제 2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친다. RS(1)의 제 5 수신 수단(142)이 GP/2 만큼 앞서 제 2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치므로, 따라서, RS(1)의 간섭 제거 디바이스(14)의 제 5 송신 수단(143)은 GP/2 만큼 앞서 제 3 서브프레임(즉, RS(1)로부터 eNB(2)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eNB(2)로 보내기 시작한다.
MT(0)이 GP/2 만큼 앞서 RS(1)로의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마치므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MT(0)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들의 부분이 휴지 상태가 된다.
이에 기초하여, MT(0)이 GP/2 만큼 앞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마친 후에, 휴지 상태가 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RS(1)의 간섭 제거 디바이스(14)의 제 5 송신 수단(143)은 제 3 서브프레임의 GP/2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블록을 eNB(2)로 보내고, 동시에 RS(1)로부터 eNB(2)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GP/2 만큼 앞서 제 3 서브프레임의 남아있는 제 2 데이터 블록을 eNB(2)로 보낸다.
eNB(2)의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24)의 제 6 수신 수단(241)은 MT(0)으로부터 RS(1)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RS(1)로부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고, RS(1)로부터 eNB(2)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RS(1)로부터 제 2 데이터 블록을 수신한다.
eNB(2)가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제 1 데이터 블록과 제 2 데이터 블록을 수신한 후에, 데이터 블록들의 두 부분들은 RS(1)로부터 제 3 서브프레임을 얻도록 통합된다.
변화에서, eNB(2)와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이 MT(0)과 RS(1)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다면, RS(1)은 단지 MT(0)이 GP/2 만큼 앞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마친 후에 휴지 상태가 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만을 사용하여 제 1 데이터 블록을 송신할 것이다. 이에 기초하여, RS(1)에 의해 eNB(2)로 보내지는 제 3 서브프레임의 (2P-GP/2) 시간 길이의 데이터 블록이 폐기되며, 여기서 P는 RS(1)로부터 eNB(2)로의 전송의 레이턴시 시간이다. RS(1)로부터 eNB(2)로의 전송의 레이턴시 시간이 GP/2라면, RS(1)에 의해 eNB(2)로 보내지는 제 3 서브프레임의 GP/2 시간 길이의 데이터 블록은 폐기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들이 위에서 설명되었으며, 본 발명은 상술된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필요가 있고,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주 내에서 모든 종류들의 변화 또는 변경을 생성할 수 있다.
0 : 이동 단말 1 : 중계국
2 : 기지국 11,12,13,14 : 간섭 제거 디바이스
22,23,24 :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

Claims (33)

  1. 무선 중계 TDD 시스템에서 간섭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만큼 중계국의 보호 기간(guard period)을 감소시키고, 상기 감소된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수신과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상기 방법은:
    a. 중계국이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uplink timing advancing signaling)을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송신 시간을 상기 이동 단말에게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송신 단계와;
    b.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c.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앞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중계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d. 상기 중계국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앞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e.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친 후에, 상기 중계국이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f. 상기 기지국이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이 GPS의 동기화하에 있고,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과 이동 단말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할 때, 상기 방법은:
    A. 상기 중계국이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송신 시간을 상기 이동 단말에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송신 단계와;
    B.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C.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앞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중계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D. 상기 중계국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앞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E. 상기 기지국이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블록을 상기 중계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남아있는 제 2 데이터 블록을 상기 중계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F. 상기 이동 단말이 시간에 앞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마친 후에, 휴지상태(idle)가 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상기 중계국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은 GPS의 동기화하에 있고,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과 이동 단말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할 때, 상기 방법은:
    i.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특별한(special) 서브프레임의 상기 보호 기간 내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블록을 상기 중계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ii. 상기 중계국은 상기 특별한 서브프레임의 상기 보호 기간 내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은 무선 인터페이스(air interface)의 동기화하에 있고,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과 이동 단말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할 때, 상기 방법은:
    I. 상기 중계국이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송신 시간을 상기 이동 단말에 알려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송신 단계와;
    II.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III.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앞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중계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IV. 상기 중계국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앞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V.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친 후에, 상기 이동 단말이 시간에 앞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마친 후에 휴지상태가 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상기 중계국이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블록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동시에,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앞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지지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남아있는 제 2 데이터 블록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VI.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고,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의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제 2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은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을 위한 기준 심볼(reference symbol)을 포함하는, 방법.
  7.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보호 기간의 절반인, 방법.
  8. 무선 중계 TDD 시스템의 중계국에서 간섭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만큼 중계국의 보호 기간을 감소시키고, 상기 감소된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수신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이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상기 방법은:
    m.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송신 시간을 상기 이동 단말에게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송신 단계와;
    n.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앞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o.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이 GPS의 동기화하에 있고,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과 이동 단말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할 때, 상기 방법은:
    M.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송신 시간을 상기 이동 단말에게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송신 단계와;
    N.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앞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O. 상기 이동 단말이 시간에 앞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마친 후에 휴지상태가 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 2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은 GPS의 동기화하에 있고,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과 이동 단말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할 때, 상기 방법은:
    x. 특별한 서브프레임의 상기 보호 기간 내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은 무선 인터페이스의 동기화하에 있고,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과 이동 단말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할 때, 상기 방법은:
    X.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송신 시간을 상기 이동 단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송신 단계와;
    Y.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앞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Z.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친 후에, 상기 이동 단말이 시간에 앞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송신을 마친 후에 휴지상태가 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블록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동시에,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앞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남아있는 제 2 데이터 블록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은 채널 추정을 위한 기준 심볼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9, 10 또는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보호 기간의 절반인, 방법.
  15. 무선 중계 TDD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하여 중계국을 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수신과 송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 8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상기 중계국을 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은 GPS의 동기화하에 있고,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과 이동 단말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할 때, 상기 방법은:
    S.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다운링크 서프프레임의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블록을 상기 중계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남아있는 제 2 데이터 블록을 상기 중계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은 GPS의 동기화하에 있고,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과 이동 단말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할 때, 상기 방법은:
    s.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특별한 서브프레임의 상기 보호 기간 내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다운링크 서프프레임의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블록을 상기 중계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은 무선 인터페이스의 동기화하에 있고,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과 이동 단말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할 때, 상기 방법은:
    u.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고,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제 2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은 채널 추정을 위한 기준 심볼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보호 기간의 절반인, 방법.
  21. 무선 중계 TDD 시스템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간섭 제거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간섭 제거 디바이스는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만큼 중계국의 보호 기간을 감소시키고, 상기 감소된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수신과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간섭 제거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이 GPS의 동기화하에 있을 때, 상기 간섭 제거 디바이스는: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이동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 수단으로서, 상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송신 시간을 상기 이동 단말에게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제 1 송신 수단과;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앞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 1 수신 수단과;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친 후에,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제 2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간섭 제거 디바이스.
  23. 제 21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은 GPS의 동기화하에 있고,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과 이동 단말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할 때, 상기 간섭 제거 디바이스는: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제 3 송신 수단으로서, 상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송신 시간을 상기 이동 단말에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제 3 송신 수단과;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앞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 2 수신 수단과;
    상기 이동 단말이 시간에 앞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송신을 마친 후에 휴지상태가 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 2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기 위한 제 3 수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간섭 제거 디바이스.
  24. 제 21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은 GPS의 동기화하에 있고,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과 이동 단말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할 때, 상기 간섭 제거 디바이스는:
    a. 상기 특별한 서브프레임의 상기 보호 기간 내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기 위한 제 4 수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간섭 제거 디바이스.
  25. 제 21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은 무선 인터페이스의 동기화하에 있고,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과 이동 단말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할 때, 상기 간섭 제거 디바이스는: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을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제 4 송신 수단으로서, 상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싱 시그널링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송신 시간을 상기 이동 단말에 알려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제 4 송신 수단과;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앞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 5 수신 수단과;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마친 후에, 상기 이동 단말이 시간에 앞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송신을 마친 후에 휴지상태가 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블록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동시에,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앞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의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남아있는 제 2 데이터 블록을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제 5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간섭 제거 디바이스.
  26. 제 23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은 채널 추정을 위한 기준 심볼을 포함하는, 간섭 제거 디바이스.
  27. 제 22, 23 또는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보호 기간의 절반인, 간섭 제거 디바이스.
  28. 무선 중계 TDD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하여 중계국을 보조하기 위한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는 데이터 수신과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제 2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간섭 제거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상기 중계국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
  29. 제 28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은 GPS의 동기화하에 있고,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과 이동 단말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할 때, 상기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블록을 상기 중계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남아있는 제 2 데이터 블록을 상기 중계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제 6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
  30. 제 28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은 GPS의 동기화하에 있고,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과 이동 단말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할 때, 상기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특별한 서브프레임의 상기 보호 기간 내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블록을 상기 중계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제 7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
  31. 제 28 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은 무선 인터페이스의 동기화하에 있고,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과 이동 단말과 중계국 사이의 상기 데이터 전송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할 때, 상기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중계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제 1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고,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제 2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기 위한 제 6 수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
  32. 제 29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은 채널 추정을 위한 기준 심볼을 포함하는,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
  33.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보호 기간의 절반인, 간섭 제거 보조 디바이스.
KR1020117023783A 2009-03-11 2009-12-23 중계 tdd 시스템에서 비동기화로 인해 유발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101256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10047402.6A CN101834654B (zh) 2009-03-11 2009-03-11 中继tdd系统中避免不同步而产生的干扰的方法和装置
CN200910047402.6 2009-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671A true KR20110125671A (ko) 2011-11-21

Family

ID=4271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783A KR20110125671A (ko) 2009-03-11 2009-12-23 중계 tdd 시스템에서 비동기화로 인해 유발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002576A1 (ko)
EP (1) EP2408120A1 (ko)
JP (1) JP5357984B2 (ko)
KR (1) KR20110125671A (ko)
CN (1) CN101834654B (ko)
BR (1) BRPI0924644A2 (ko)
WO (1) WO2010102500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038A (ko) * 2017-03-23 2018-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조정 방법 및 장치
KR20180136975A (ko) * 2016-05-12 2018-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링크 신호 송신 방법 및 사용자 장치
KR20190045713A (ko) * 2017-10-24 2019-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백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153780B1 (en) 2020-11-13 2021-10-19 Ultralogic 5G, Llc Selecting a modulation table to mitigate 5G message faults
US11160111B2 (en) 2019-06-13 2021-10-26 Ultralogic 5G, Llc Managed transmission of wireless DAT messages
US11202198B1 (en) 2020-12-04 2021-12-14 Ultralogic 5G, Llc Managed database of recipient addresses for fast 5G message deliv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7724B2 (en) * 2009-03-17 2013-09-17 Motorola Mobility Llc Relay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29274B2 (en) * 2009-08-12 2015-01-06 Lg Electronics Inc. Relay station and method of relay station transmitting backhaul uplink signal
CN102036364B (zh) * 2009-09-28 2014-04-0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终端的上行信息发送定时方法、设备和系统
CN103152744B (zh) * 2013-01-31 2015-09-09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基于盲已知干扰消除的无线中继网络上行传输方法
CN105323858B (zh) * 2014-07-17 2018-09-04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分时长期演进系统中的频点切换方法、基站及系统
CN108011683B (zh) * 2017-11-22 2019-05-17 西南电子技术研究所(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研究所) 大型综合传感器系统多级分发时频统一方法
US20200136965A1 (en) * 2018-10-29 2020-04-30 Ten-D Energies, Inc. Robustness enhancing router for controller area networks
WO2021022462A1 (zh) * 2019-08-05 2021-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处理方法、设备及系统
CN111431576B (zh) * 2020-05-14 2022-07-08 上海道生物联技术有限公司 一种时分双工通信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8367B1 (en) * 2000-11-09 2002-08-20 Magis Networks, Inc. Transmission secur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s
JP2003324412A (ja) * 2002-05-01 2003-11-1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及び無線機
JP4163971B2 (ja) * 2003-02-06 2008-10-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JP4417765B2 (ja) * 2004-04-14 2010-02-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伝送システム、無線中継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US8660035B2 (en) * 2005-11-10 2014-02-25 Apple, Inc. Wireless relay network media access control layer control plane system and method
KR101084147B1 (ko) * 2006-01-02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릴레이 스테이션을 이용한 핸드오버 제어 방법
US20070155315A1 (en) * 2006-01-03 2007-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arent relaying in a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KR20080007289A (ko) * 2006-07-15 2008-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기종망간 핸드오버를 위한 정보 획득 방법
WO2008021723A2 (en) * 2006-08-18 2008-02-21 Fujitsu Limited New and legacy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existing amble sequence
WO2008105074A1 (ja) * 2007-02-27 2008-09-04 Panasonic Corporation 無線中継システムおよび中継装置
CN101262691B (zh) * 2007-03-09 2012-07-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支持中继的蜂窝系统避免上下行干扰的实现方法及装置
KR101422852B1 (ko) * 2008-02-26 2014-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할당방법
US20100029295A1 (en) * 2008-07-31 2010-02-04 Assaf Touboul Gps synchronization method for wireless cellular networks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975A (ko) * 2016-05-12 2018-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링크 신호 송신 방법 및 사용자 장치
US11089583B2 (en) 2016-05-12 2021-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s
US11647521B2 (en) 2016-05-12 2023-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s
KR20180108038A (ko) * 2017-03-23 2018-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조정 방법 및 장치
KR20190045713A (ko) * 2017-10-24 2019-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백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160111B2 (en) 2019-06-13 2021-10-26 Ultralogic 5G, Llc Managed transmission of wireless DAT messages
US11206169B1 (en) 2020-11-13 2021-12-21 Ultralogic 5G, Llc Asymmetric modulation for high-reliability 5G communications
US11206092B1 (en) 2020-11-13 2021-12-21 Ultralogic 5G, Llc Artificial intelligence for predicting 5G network performance
US11153780B1 (en) 2020-11-13 2021-10-19 Ultralogic 5G, Llc Selecting a modulation table to mitigate 5G message faults
US11832128B2 (en) 2020-11-13 2023-11-28 Ultralogic 6G, Llc Fault detection and mitigation based on fault types in 5G/6G
US11202198B1 (en) 2020-12-04 2021-12-14 Ultralogic 5G, Llc Managed database of recipient addresses for fast 5G message delivery
US11212831B1 (en) 2020-12-04 2021-12-28 Ultralogic 5G, Llc Rapid uplink access by modulation of 5G scheduling requests
US11229063B1 (en) 2020-12-04 2022-01-18 Ultralogic 5G, Llc Early disclosure of destination address for fast information transfer in 5G
US11297643B1 (en) 2020-12-04 2022-04-05 Ultralogic SG, LLC Temporary QoS elevation for high-priority 5G messages
US11395135B2 (en) 2020-12-04 2022-07-19 Ultralogic 6G, Llc Rapid multi-hop message transfer in 5G and 6G
US11438761B2 (en) 2020-12-04 2022-09-06 Ultralogic 6G, Llc Synchronous transmission of scheduling request and BSR message in 5G/6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57984B2 (ja) 2013-12-04
CN101834654B (zh) 2016-03-09
WO2010102500A1 (zh) 2010-09-16
US20120002576A1 (en) 2012-01-05
CN101834654A (zh) 2010-09-15
BRPI0924644A2 (pt) 2016-03-08
JP2012520036A (ja) 2012-08-30
EP2408120A1 (en) 201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5671A (ko) 중계 tdd 시스템에서 비동기화로 인해 유발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9210673B2 (en) Recovery from uplink timing alignment failures in cellular communications
EP3065485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user terminals
US88373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existence between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EP300739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JP5027928B2 (ja) 通信方法及び装置
EP2782306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synchroniz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
CN101860929A (zh) 基站间切换方法
EP3429147B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09120382B (zh) 信号发送和接收方法、装置
US100444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between user equipments
CN116916426A (zh) 一种信道监听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302096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link drx operation
CN101931962B (zh) 一种传输数据的方法、中继和基站
EP3595216B1 (en) Method and device f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CN113597809A (zh) 一种随机接入方法及装置、用户设备、网络设备
WO2018120619A1 (zh) 数据调度传输方法、调度实体、传输装置、基站及终端
CN116235539A (zh) 无线通信方法和设备
US20220353924A1 (en) Time adjustment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2205295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ower saving for a sidelink ue
CN114173424B (zh) 一种信道传输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7105479B (zh) 一种丢失覆盖场景中的d2d终端搜索服务小区搜索方法
CN114271015A (zh) 一种信息指示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WO2022205002A1 (zh) 传输定时的调整方法、确定方法和终端设备
WO202408246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upporting coexistence of different types of mo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