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338A -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 - Google Patents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338A
KR20110125338A KR1020100044805A KR20100044805A KR20110125338A KR 20110125338 A KR20110125338 A KR 20110125338A KR 1020100044805 A KR1020100044805 A KR 1020100044805A KR 20100044805 A KR20100044805 A KR 20100044805A KR 20110125338 A KR20110125338 A KR 20110125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kgeolli
barrel
mixing device
supply
stir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7856B1 (ko
Inventor
정화숙
Original Assignee
정화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화숙 filed Critical 정화숙
Priority to KR1020100044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85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1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 C12H1/16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1Fixing of the stirrer to th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3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with stirring elements moving with respect to the stirrer shaft, e.g. floating or comprising contracting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101/16Mixing wine or other alcoholic beverages; Mixing ingredien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걸리의 고형성분이 침전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하는 혼합장치와 이를 공급해 주는 막걸리 공급통에 관한 것으로, 일반 생수통의 바닥면에 밀봉캡을 구비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구가 형성된 막걸리수납통과, 상기 개폐구에 체결되고 블레이드와 솔브러시가 연결 설치된 구동수단이 구비된 혼합장치와, 상기 막걸리수납통이 거꾸로 삽입 설치되고 막걸리를 시원하게 냉각시켜주는 냉동부와 막걸리를 배출하여 공급해 주는 배출코크가 구비된 막걸리 냉각공급부로 구성되어, 상기 막걸리수납통에 수납 저장된 막걸리의 고형 성분이 침전되지 않도록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와 솔브러시가 상기 막걸리수납통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막걸리공급부를 통해 신선하면서도 고형성분이 균일한 막걸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A Deposit Mixing Device}
본 발명은 막걸리의 고형성분이 침전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하는 혼합장치와 막걸리 공급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각장치에 구비되는 막걸리 공급통의 내부에 구동수단으로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끝단부에 회전날개와 솔브러쉬를 구비하여 상시적으로 막걸리의 침전물을 휘저어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형성분이 침전되지 않도록 하면서 냉각장치에 의해 신선하고 균일한 상태의 막걸리를 언제든지 간단하고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막걸리는 쌀이나 보리 등과 같은 곡물을 발효시켜 제조되는 것으로서, 소주나 양주 등과 같은 증류주, 또는 포도주 등과 같은 과실주와는 달리 막걸리 액을 걸쭉하게 하는 곡물(고형)성분을 포함하는 상태로 통용되고 소비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막걸리는 그 소비를 위하여 막걸리병으로 일컬어지는 소위 패트병에 담아서 판매되고 소비되는데, 이러한 막걸리병의 병마개는 단순하게 그 주둥이를 밀봉하여 새지 않는 구조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침전된 고형 성분의 막걸리를 쉽게 저어서 먹을 수 없는 구조를 하고 있었다.
따라서, 막걸리를 먹기전에 젓가락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충분하게 막걸리를 저은 후 잔에 부어 막걸리를 마시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막걸리의 침전물을 골고루 섞기위하여 패트병을 거꾸로 하여 흔드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는 패트병을 거꾸로 들어서 흔들 경우 막거리가 새어나와 손에 묻거나 옷에 묻는 불편함이 있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패트병을 흔들어준 다음 병마개를 열면 압력으로 인해 막걸리가 갑자기 쏟아져 나와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았다.
근래에 이르러서는 막걸리의 인기가 높고 또 막걸리를 전문으로 취급하는 사업장도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막걸리를 담아서 판매하는 형태도 가정용과 상업용으로 크게 분리되는 형태인바, 가정용의 경우, 소형 패트병으로 비교적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가정용 냉장고 안에 용이하게 저장하면서 언제든지 필요할 때 냉장고에서 패트병을 꺼내어 흔들어 바닥에 가라앉은 고형성분을 혼합시켜 마시게 된다.
그리고, 상업용의 경우, 중형 또는 대형 막걸리통으로 형성되어 그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상업용 냉장고 안에 저장하여 사용하게 되는바, 이 경우 고객의 요구가 있을 때마다 냉장고 안에 비치된 막걸리통의 뚜껑을 개방한 후, 바가지 등을 이용해서 바닥에 가라앉은 막걸리의 고형성분을 혼합시킨 후 판매 서비스하게 된다.
그러나, 상업용의 경우 막걸리를 적절히 혼합시켜 주고자 할 때, 막걸리통의 사이즈가 커 이를 직접 흔들어 주기 곤란하기 때문에 적절한 혼합을 위해 별도로 바가지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휘저어 주어야만 하기 때문에 이용상 많은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등록특허 10-0897228호의 "막걸리 혼합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의 상기 막걸리 혼합장치(50)를 간단히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고 막걸리를 수용할 수 있는 일정깊이의 수용부와 상부에 탈착가능한 커버(51)가 구비된 막걸리통(52)과, 상기 커버(51)에 관통되고 일단은 탄산가스통(53)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막걸리통(52)의 바닥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1파이프부재(54)와, 상기 커버(51)에 관통되고 일단은 막걸리냉각기(55)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막걸리통(52)의 바닥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2파이프부재(56)와, 상기 커버(51)에 구비된 구동수단(57), 및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막걸리통(52)의 수용부 중앙에 설치되어 그 끝단부에는 회전되는 블레이드부(58)와 회전축(59)으로 이루어진 교반기(6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상기 막걸리 혼합장치(50)는 상기 막걸리통(52) 안에 일정량의 탄산가스와 함께 채워져 있는 막걸리를 상기 막걸리냉각기(55)를 거쳐 이에 구비된 막걸리배출구(61)를 통해 침전물이 고르게 분포된 막걸리를 추출하여 고객들에게 서비스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막걸리 혼합장치(50)는 커버와 캡이 구비된 막걸리통 내부로 탄산가스통을 통해 탄산가스를 유입하고 또 막걸리냉각기를 통해 상기 막걸리통 내부에 수용된 막걸리를 공급 배출할 수 있는바, 이는 교반되는 막걸리를 공급하는 절차가 매우 까다롭고 또 공급장치의 설치가 복잡하며 설치비용 또한 많이 소요되는 등 여러가지 불편이 따른다.
특히 상기 막걸리 혼합장치(50)는 막걸리가 수용된 상기 막걸리통 탄산가스통 등을 차량에 싣고 이동하여 공급하거나 이를 적재하여 보관하기가 상당히 어렵고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반 생수통의 바닥면에 밀봉캡을 구비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구가 형성된 막걸리수납통과, 상기 개폐구에 체결되고 회전날개와 솔브러쉬가 연결 설치된 구동수단이 구비된 혼합장치와, 상기 막걸리수납통이 거꾸로 삽입 설치되고 막걸리를 시원하게 냉각시켜주는 냉동부와 막걸리를 배출하여 공급해 주는 배출코크가 구비된 막걸리냉각공급부로 구성되어, 상기 막걸리수납통에 수납 저장된 막걸리의 고형 성분이 침전되지 않도록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와 솔브러시가 상기 막걸리수납통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막걸리공급부를 통해 신선하면서도 고형성분이 균일한 막걸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막걸리를 수용하는 막걸리통과 막걸리의 고형성분이 침전되지 않도록 휘저어 주는 교반기가 구비된 혼합장치 및 막걸리를 따라 먹을 수 있도록 냉각수단이 구비된 냉각공급장치로 구성되어 막걸리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에 있어서,
상기 막걸리통은 막걸리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되, 그 상단부에 막걸리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된 통주입구가 형성되고, 하단 바닥 부에는 상기 교반기가 구비된 상기 혼합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개폐구가 형성되며;
상기 혼합장치는 막걸리의 고형성분을 휘저어 침전되지 않도록 상기 막걸리통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교반기와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이 내설되고 상기 막걸리통의 상기 개폐구에 체결 설치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공급장치는 막걸리를 냉각시켜 주는 냉각수단과 냉각된 막걸리를 추출할 수 있도록 된 코크밸브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생수통의 바닥에 개폐구를 구비하고 막걸리를 수용 저장한 상태에서 적재 및 이동이 일반적인 생수통의 이동 적재와 동일하게 할 수 있어 그 공급 및 이동의 편리성을 좋게 하는 동시에, 막걸리가 수용된 공급통의 하부에 구비된 개폐구를 통해 막걸리의 고형성분이 침전되지 않도록 하는 혼합장치를 설치하여 이를 구동시킴으로써 막걸리가 그 고형성분이 상시적으로 침전되지 않고 균일한 상태로 배출구를 통해 식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판매 및 이용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의 상태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의 부분 사시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의 단면도와 블레이드가 접혀지는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 공급통의 분리 상태 사시도이고,
도 6은 종래의 막걸리 혼합장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10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정 양의 막걸리를 수용하는 막걸리통(110)과 상기 막걸리통(110)에 설치 수납되어 막걸리의 고형성분이 침전되지 않도록 휘저어 주는 교반기(120)가 구비된 혼합장치(130) 및 상기 막걸리통(110)을 상치(上置)하여 연통되고 냉각수단이 구비되어 상시적으로 신선하고 냉각된 막걸리를 따라 먹을 수 있도록 구비된 냉각공급장치(140)로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막걸리통(110)은 막걸리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그 상단부에 막걸리를 유출입할 수 있도록 된 통주입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 바닥 중앙부에는 상기 교반기(120)가 구비된 상기 혼합장치(1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개폐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구(112)에는 밀봉이 가능하면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실링수단(113)이 구비된 개폐마개(114)가 체결 구비되어 있다.
상기 혼합장치(130)는 막걸리의 고형성분을 휘저어 침전되지 않도록 하는 상기 교반기(120)와 상기 교반기(1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모터(150)와 상기 구동모터(150)가 내설되고 상기 막걸리통(110)의 상기 개폐구(112)에 체결 설치되는 몸체부(16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교반기(120)에는 상기 구동모터(150)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중공형의 회동축(121)과, 상기 회동축(121)의 단부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회전날개(122) 및 솔브러쉬(12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동축(121)의 내부에는 이와 함께 회동될 수 있도록 되면서 상기 회전날개(122)가 접철이 가능하도록 연결 장착된 회동로드(124)가 삽입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날개(122)는 2개 이상 일정한 각도를 두어 설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121)의 다른쪽 단부에는 상기 구동모터(150)의 구동축(151)에 연결된 구동기어(152)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회동축(121)과 상기 회동로드(124)를 회전시켜 주는 피동기어(125)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50)와 구동축(151) 및 구동기어(152) 등과 같이 상기 교반기(120)를 회전시켜 줄 수 있는 구성을 구동수단이라 칭하기도 한다.
상기 회동로드(124)는 상기 회동축(121)의 내부에 삽설되어 회전되며, 그 한쪽 끝단부는 상기 회동축(121)의 내부에서 상하 슬라이딩 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26)가 돌출 구비되어 있고, 다른쪽 끝단부는 상기 회전날개(122)가 접철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회동축(121)에는 상기 회전날개(122)가 삽입되어 상기 회동로드(124)에 설치가 가능하고 접철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관통부(12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로드(124)는 도4와 같이 상기 손잡이(126)를 눌러줄 경우 상기 회동축(121) 내부를 따라 하강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날개(122)가 접철된다. 그러면 상기 몸체부(160)를 풀고 이를 외부로 빼내어 상기 막걸리통(110)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막걸리통(110)의 교체 후에는 상기와 반대로 상기 손잡이(126)를 당겨 주면 상기 회전날개(122)가 다시 펼쳐지게 된다.
물론 여기서 상기 회동로드(124)가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회전날개(122)가 접어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접철 구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사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바, 그 상세한 연결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60)에는 상기 막걸리통(110)의 막걸리가 바닥날 경우 이를 보충할 수 있도록 막걸리 저장고(대형으로 구성되어 막걸리를 냉장 보관)와 연결되는 막걸리공급파이프(170) 및 개패밸브(171)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60)에는 상기 막걸리통(110)의 내부에 수용된 막걸리가 발효되면서 발생되는 발효가스의 압력이 상승되면 이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압력 릴리이스밸브(180)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공급장치(140)에는 상기 막걸리통(110)으로부터 유입되는 막걸리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미도시)와 냉각된 막걸리는 컵 등에 따라서 배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코크밸브(141)와 냉각되는 막걸리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계(142)와 막걸리의 냉각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온도조절밸브(143)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122)에는 그 하부면에 상기 막걸리통(110)의 내벽과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침전되는 막걸리의 고형성분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플랙시블하고 유연한 성질을 갖는 블레이드(128)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100)은 도 2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통해 설치 및 작동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막걸리통(110)에 구비된 상기 개폐구(112)에 상기 개폐마개(114)를 체결하여 밀봉시킨 후 상기 통주입구(111)를 통해 막걸리를 주입시킨다.
이어 막걸리가 수납된 상기 막걸리통(110)을 냉각수단이 구비된 상기 냉각공급장치(140)에 일반적인 생수통을 상치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장치한다.
그리고 상기 막걸리통(110)의 바닥에 밀봉 체결된 상기 개폐마개(114)를 해제한 다음 상기 혼합장치(130)를 상기 개폐구(112)에 체결 설치한다. 이때 상기 회전날개(122)는 절첩된 상태이므로 상기 개폐구(112)를 통해 삽입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솔브러쉬(123)가 설치된 상기 회동축(121)의 단부는 상기 막걸리통(110)의 통주입구(111)까지 이르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혼합장치(130)를 상기 막걸리통(110)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150)에 전원선(P)을 연결하여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구동기어(152)에 의해 상기 피동기어(125)가 회전되고 이어 상기 회동축(121)과 상기 회동로드(124)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회동축(121)과 상기 회동로드(124)에 구비된 상기 회전날개(122)와 블레이드(128) 및 상기 솔브러쉬(123)가 상기 막걸리통(110)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막걸리의 고형성분이 침전되는 것을 상시적으로 막아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막걸리통(110)에는 막걸리의 고형성분이 균일하게 섞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막걸리의 고형성분이 균일하게 섞여진 상태에서 상기 냉각공급장치(140)를 통해 막걸리가 냉각되고 이어 상기 코크밸브(141)를 통해 적당양의 막걸리를 배출하여 공급 식음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온도계(142)를 통해 공급되는 막걸리의 공급온도를 인식할 수 있고 또 상기 온도조절밸브(143)를 이용하여 막걸리의 공급온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막걸리통(110)의 막걸리를 대형저장고와 연결하여 공급받고자 할 경우 상기 개폐밸브(171)를 열어 상기 공급파이프(170)를 통해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막걸리통(110)에 수용된 막걸리가 발효되어 압력이 적정압력 이상 상승되면 상기 몸체부(160)에 구비된 상기 릴리이스밸브(180)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조절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100)은 상시적으로 막걸리의 고형성분이 침전되지 않은 신선한 막걸리를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 110:막걸리통 120:교반기
130:혼합장치 140:냉각공급장치 150:구동모터 160:몸체부
170:공급파이프 171:개폐밸브 180:릴리이스밸브
111:통주입구 112:개폐구 113:실링수단 114:개폐마개
121:회동축 122:회전날개 123:솔브러쉬 124:회동로드
125:피동기어 126:손잡이 127:관통부 128:블레이드
141:코크밸브 142:온도계 143:온도조절밸브 151:구동축
152:구동기어

Claims (6)

  1. 막걸리를 수용하는 막걸리통(110)과 막걸리의 고형성분이 침전되지 않도록 휘저어 주는 교반기(120)가 구비된 혼합장치(130) 및 막걸리를 따라 먹을 수 있도록 냉각수단이 구비된 냉각공급장치(140)로 구성되어 막걸리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100)에 있어서,
    상기 막걸리통(110)은 막걸리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되, 그 상단부에 막걸리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된 통주입구(111)가 형성되고, 하단 바닥 부에는 상기 교반기(120)가 구비된 상기 혼합장치(1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개폐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혼합장치(130)는 막걸리의 고형성분을 휘저어 침전되지 않도록 상기 막걸리통(110)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교반기(120)와 상기 교반기(1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이 내설되고 상기 막걸리통(110)의 상기 개폐구(112)에 체결 설치되는 몸체부(160)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공급장치(140)는 막걸리를 냉각시켜 주는 냉각수단과 냉각된 막걸리를 추출할 수 있도록 된 코크밸브(141)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120)는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중공형의 회동축(121)과, 상기 회동축(121)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솔브러쉬(123) 및 상기 회동축(121)에 삽설되어 회전되는 회전날개(122)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축(121)의 내부에는 이와 함께 회동될 수 있도록 되면서 상기 회전날개(122)가 접철이 가능하도록 연결 장착된 회동로드(124)가 삽입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112)에는 밀봉이 가능하면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실링수단(113)이 구비된 개폐마개(114)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로드(124)의 일단에는 상기 회동축(121)의 내부에서 이를 상하 슬라이딩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26)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60)에는 막걸리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급파이프(170)와 개폐밸브(171) 및 상기 막걸리통(110) 내부의 압력 상승을 막아주는 릴리이스밸브(18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122)에는 그 하부면에 상기 막걸리통(110)의 내벽과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침전되는 막걸리의 고형성분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플랙시블한 블레에드(128)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
KR1020100044805A 2010-05-13 2010-05-13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 KR101167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805A KR101167856B1 (ko) 2010-05-13 2010-05-13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805A KR101167856B1 (ko) 2010-05-13 2010-05-13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338A true KR20110125338A (ko) 2011-11-21
KR101167856B1 KR101167856B1 (ko) 2012-07-27

Family

ID=45394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805A KR101167856B1 (ko) 2010-05-13 2010-05-13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8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8151A1 (ko) * 2016-09-06 2018-03-15 이상철 탁주 냉각장치용 케그
CN116272535A (zh) * 2023-05-18 2023-06-23 山东云门酒业股份有限公司 一种酿酒原料混合装置
CZ309712B6 (cs) * 2022-06-24 2023-08-09 PatentEnter s.r.o Míchací zařízení
KR102601954B1 (ko) * 2022-08-26 2023-11-16 해강물산 주식회사 타정을 원활하게 하는 조미분말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803B1 (ko) * 2007-03-23 2008-01-17 이상철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KR100897228B1 (ko) 2007-06-04 2009-05-14 최경수 막걸리 혼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8151A1 (ko) * 2016-09-06 2018-03-15 이상철 탁주 냉각장치용 케그
CZ309712B6 (cs) * 2022-06-24 2023-08-09 PatentEnter s.r.o Míchací zařízení
KR102601954B1 (ko) * 2022-08-26 2023-11-16 해강물산 주식회사 타정을 원활하게 하는 조미분말 제조방법
CN116272535A (zh) * 2023-05-18 2023-06-23 山东云门酒业股份有限公司 一种酿酒原料混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856B1 (ko) 201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856B1 (ko)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
KR200450662Y1 (ko)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 및 공급장치
AU2008283116B2 (en) Combined brewing system
US20070039974A1 (en) Dual-usage beverage dispensing system
WO1997046446A1 (en) Preservation and dispensation by volumetric displacement
US10479968B2 (en) Single stage winemak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935462B1 (ko) 급속냉각장치를 구비한 탁주 제성장치
CN111733033A (zh) 一种酒坊酿酒用发酵设备及操作方法
KR100908488B1 (ko) 탁주 보관통 및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JP4525369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0794803B1 (ko)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KR100897228B1 (ko) 막걸리 혼합장치
KR101777316B1 (ko) 탁주 냉각장치용 케그
CN201119803Y (zh) 食物搅拌容器
US2721450A (en) Refrigerated cabinet for mixed drink dispensers
KR101885894B1 (ko) 탁주 냉각장치의 교반 시스템
JP4442448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US20150245636A1 (en) Frozen Beverage Preparation Method and Device
KR200384669Y1 (ko) 냉온음료 공급기
CN208166977U (zh) 一种自动调酒机
CN210314180U (zh) 一种实验室用调酒器
KR200448121Y1 (ko) 음식 용기용 보조 냉장장치
KR20110010286A (ko) 막걸리 공급용기 및 이를 이용한 막걸리 공급장치
JP2006206152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US20230008764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with integral stirr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