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307A - 오토릴장치 - Google Patents

오토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307A
KR20110125307A KR1020100044753A KR20100044753A KR20110125307A KR 20110125307 A KR20110125307 A KR 20110125307A KR 1020100044753 A KR1020100044753 A KR 1020100044753A KR 20100044753 A KR20100044753 A KR 20100044753A KR 20110125307 A KR20110125307 A KR 20110125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rum
jump cable
unit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규만
Original Assignee
주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규만 filed Critical 주규만
Priority to KR1020100044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5307A/ko
Publication of KR20110125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4Springs, e.g. helical or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7Ratch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2End pieces terminating in a spring clip
    • H01R11/24End pieces terminating in a spring clip with gripping jaws, e.g. crocodile clip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프케이블이 권취된 오토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점프케이블의 양단부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로 감김되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회전된 드럼부를 역회전시키는 텐션부; 및 상기 드럼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회전된 드럼부를 고정시키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오토릴장치의 드럼부에 권취되어 보관된 점프케이블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점프케이블을 안전하면서 정결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오토릴장치{auto-reel device}
본 발명은 오토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방전 시 다른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에 연결되는 점프케이블의 오토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축전지라 칭하는 배터리(battery)가 장착되어 있고, 이 배터리는 차량의 시동 시 점화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여 엔진을 구동시키거나, 차량의 각종 조명 기구 및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에는 통상적으로 전해액, 양극판, 음금판과 같은 구성요소를 내포하는 본체의 상부에는 커버가 제공되고, 이 커버에는 각각의 전자장치에 플러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 단자 및 마이너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 단자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배터리는 충전식으로 엔진의 시동중에는 전력이 연속적으로 축전될 수 있어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으나, 예컨대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조명등을 점등시킨 상태로 하차하거나 오디오 기기를 작동시킨 상태로 장시간 방치하면 배터리가 방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후,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해서는 해당 배터리에 예컨대 다른 차량의 배터리와 같은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한다.
이와 같이 다른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점프케이블이 이용되는바, 이 점프케이블은 2개의 와이어, 즉, 플러스 전원 와이어 및 마이너스 전원 와이어로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와이어의 양단부에는 각각 픽업(pick up)이라 칭하는 연결부재가 제공되어 있어, 각각의 배터리의 단자에 각각 연결 고정됨으로써 다른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이 때, 다른 차량의 배터리는 정상상태의 배터리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운전자는 이와 같은 점프케이블이 차량의 방전과 같은 비상사태의 발생 시 꼭 필요한 부품임에도 불구하고 점프케이블의 보관에 많은 불편함이 있어 차량에 잘 비치하지 않고 다니게 된다.
설사, 이러한 점프케이블을 차량에 비치하여 보관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트렁크룸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2개의 점프케이블은 트렁크룸에 고정되지 못하고 다른 적재 물품과 같이 뒤섞이게 되므로 트렁크룸이 정결하게 유지되지 못할 뿐 아니라 다른 물품과의 마찰이나 충돌 등으로 인해 점프케이블이 단선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점프케이블이 권취된 상태에서 인출되고 자동으로 감기는 오토릴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점프케이블을 안전하면서 정결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오토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점프케이블의 양단부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로 감김되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회전된 드럼부를 역회전시키는 텐션부; 및 상기 드럼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회전된 드럼부를 고정시키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부는, 중공의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양 측판; 상기 측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양 측판을 연결하는 다수의 권취샤프트; 및 상기 힌지축에 각각 자유자재하게 삽입되는 한편 점프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아크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아크홀더는, 드럼부에서 인출된 일측의 점프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와 접속된 상태로 회전되는 한편 타측의 점프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를 고정자 측으로 밀어 접속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텐션부는, 드럼부의 측판에 고정되게 설치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그 일단부는 드럼부의 힌지축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하우징에 고정된 태엽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래치부는, 드럼부의 측판에 고정되어 측판과 같이 회전되는 한편 그 외주연부에는 각각 기어부와 무기어부가 형성된 래치휠; 상기 래치휠과 대향되는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래치휠의 기어부와 접하는 래치; 및 상기 래치의 힌지부에 설치되어 회전된 래치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오토릴장치에 따르면, 오토릴장치의 드럼부에서 점프케이블이 인출되어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시킨 후 드럼부에 자동으로 감김됨으로써 점프케이블의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점프케이블이 오토릴장치의 드럼부에 감김된 상태로 보관됨으로써 점프케이블을 안전하면서도 정결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프케이블용 오토릴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프케이블이 인출된 상태의 작동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오토릴장치에 구성된 텐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토릴장치에 구성된 래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 내지 (d)는 도 4의 래치부의 작동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프케이블용 오토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오토릴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드럼부(10)와, 텐션부(20), 래치부(30)로 대별되어 구성된다.
상기 드럼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설치된 양 브라켓(4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40)의 하면에 구성된 도번 "42"는 볼트가 관통 결합되는 볼트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럼부(10)는, 양 브라켓(40) 사이에 2개의 측판(11)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구비되는데, 이 측판(11)은 각각 양 브라켓(40)에 고정된 힌지축(12)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12)은 서로 독립된 2개의 중공관체로서, 각각 양 측판(11)을 관통하여 브라켓(40)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12)과 이격된 측판(11)의 일측에는 양 측판(11)을 연결하는 다수의 권취샤프트(13)가 측판(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연속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설치된 양 측판(11) 사이의 권취샤프트(13)에는 점프케이블(50)이 권취(감김)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릴장치(1)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점프케이블(50)이 권취된 상태를 그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오토릴장치(1)에는 점프케이블(50) 이외에도 얼마든지 다른 부재가 권취되어 설치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상기와 같이 양 측판(11) 사이의 권취샤프트(13)에 감김되는 (+),(-)의 양 점프케이블(50)은 각각 그 양단부가 드럼부(10)에서 인출되어, 일단부는 방전차량의 배터리에, 타단부는 충전차량의 배터리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부(10)의 양 힌지축(12)에는 점프케이블(50)의 꼬임을 방지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점프케이블(50) 본연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아크홀더(14)가 구성된다.
상기 아크홀더(14)는 각 힌지축(12)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로운 상태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일측의 아크홀더(14)에는 (+)의 점프케이블(50)이 연결되며, 타측의 아크홀더(14)에는 (-)의 점프케이블(50)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아크홀더(14)는, 힌지축(12) 상에 자유자재한 상태로 삽입 설치된 고정자(14a)와, 상기 고정자(14a)와 마찬가지로 힌지축(12) 상에 자유자재한 상태로 삽입되어 고정자(14a)에 접속(전기적인 접속)된 상태로 회전되는 회전자(14b)와, 상기와 같이 힌지축(12) 상에서 회전되는 회전자(14b)를 고정자(14a) 측으로 밀어 지속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수단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하 '스프링' 이라 한다)(14c)으로 구성되어, 이 스프링(14c)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자(14b)는 항상 고정자(14a) 측으로 밀착되어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의 점프케이블(50)은 각각 2개의 케이블로서 구비되어, 동일전극을 이루는 점프케이블(50) 중 일측의 점프케이블(50)은 중공의 힌지축(12)을 통해 삽입되어 아크홀더(14)의 고정자(14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의 점프케이블(50)은 아크홀더(14)의 회전자(14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드럼부(10)의 권취샤프트(13)에 감김된다.
따라서, 상기 점프케이블(50)을 잡고 당기면 점프케이블(50)이 드럼부(10)의 권취샤프트(13)에서 풀어져 인출되고, 인출되는 점프케이블(50)에 의해서 양 측판(11)과 아크홀더(14)의 회전자(14b)가 회전되며, 아크홀더(14)의 고정자(14a)에 연결된 타측의 점프케이블(5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점프케이블(50)의 꼬임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아크홀더(14)의 회전자(14b)에 연결된 점프케이블(50)은 방전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되고, 상기 아크홀더(14)의 고정자(14a)에 연결된 점프케이블(50)은 충전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설치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드럼부(10)에서 인출되는 점프케이블(50)은 드럼부(10) 전방에 양 브라켓(4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상하의 가이드롤러(41)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안내된다. 이때, 상기 상하의 가이드롤러(41)는 그 양단부가 각각 브라켓(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점프케이블(50)의 안내 시 브라켓(40) 상에서 상하의 가이드롤러(41)가 구름되므로 점프케이블(50)과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점프케이블(50)의 인출입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텐션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부(10)의 양 측판(11) 중 일측의 측판(11) 측에 구성되어, 회전된 드럼부(10)를 원상태로 역회전시켜 복귀시킨다.
즉, 상기 텐션부(20)는, 상기 드럼부(10) 중 일측의 측판(11)과 브라켓(4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측판(11)에 고정 설치된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 내에 설치되어 그 일단부인 내측단부는 드럼부(10)의 힌지축(12)에 고정되고 타단부인 외측단부는 하우징(21)에 고정된 태엽스프링(2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점프케이블(50)의 인출 시는 회전되는 드럼부(10)의 측판(11)에 의해서 텐션부(20)의 하우징(21)이 측판(11)과 같이 회전되는데, 이때 회전되는 하우징(21) 내부에 설치된 태엽스프링(22)의 외측단부는 하우징(21)과 같이 회전되고 내측단부는 드럼부(10)의 힌지축(1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태엽스프링(22)에 텐션(탄성력)이 발생되며, 점프케이블(50)에서 외력(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태엽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서 드럼부(10)가 역회전되어 점프케이블(50)이 드럼부(10)에 자동으로 감기게 된다.
상기 래치부(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부(20)가 설치된 반대편의 드럼부(10)에 구성되어, 점프케이블(50)의 인출 시 회전된 드럼부(10)의 역회전을 차단하여 고정시킨다.
즉, 상기 래치부(30)는, 텐션부(20) 반대편의 측판(11) 외측면에 고정되어 측판(11)과 같이 회전되는 래치휠(31)과, 상기 래치휠(31)과 대향되는 브라켓(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래치(32)와, 상기 래치(32)의 힌지부에 설치되어 회전된 래치(32)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래치휠(31)은 그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된 기어부(31b)와, 기어이가 없는 무기어부(31a)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31b) 중에서 래치휠(31)의 정회전(즉 점프케이블(50)의 인출 시 회전방향) 시 마지막에 위치한 기어이는 다른 기어이보다 좀 더 크게(넓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래치휠(31)의 역회전 시 래치(32)와 가장 먼저 접하는 마지막 기어이 즉 대기어이(이하 '대기어이' 라 한다)가 래치(32)를 역회전시킨 상태로 다음 기어이가 래치(32)에 접하는 시점까지 최대한 오랫동안 래치(32)에 접하여 래치(32)의 복원을 최대한 지연시키므로 래치휠(31)의 안정적인 역회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기어이의 형상과 각도를 조정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대기어이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휠(31)의 기어부(31b)를 이루는 기어이와 래치(32)는 서로 대응되도록 일방향으로 절곡된 새의 발톱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수단은 토션스프링(이하 '토션스프링' 이라 한다)(33)으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릴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점프케이블(50)을 잡아 당기면 드럼부(10)에 감김되어 있던 점프케이블(50)이 드럼부(10)를 회전시키면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인출되는 점프케이블(50)은 브라켓(40)의 전방부에 설치된 가이드롤러(41)에 의해 안내되면서 인출되는 한편 래치부(30)의 래치휠(31)은 측판(11)과 같이 도 5의 (a)와 같이 정회전되고, 텐션부(20)의 하우징(21) 역시도 측판(11)과 같이 회전되면서 태엽스프링(22)에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정회전되는 래치휠(31)의 기어부(31b)에 의해서 수직하게 세워져 있던 래치(32)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런 와중에서 점프케이블(50)의 인출작동을 정지하면 태엽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서 드럼부(10) 및 래치휠(31)이 역회전되는데, 이때 래치(32) 역시도 토션스프링(33)에 의해서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역회전에 의해 도 5의 (a)에서와 같이 래치(32)가 래치휠(31)의 기어부(31b)에 삽입되어 걸림됨으로써 래치휠(31)의 역회전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인출된 점프케이블(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입이 방지된 상태로서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드럼부(10)와 브라켓(40)을 관통하여 브라켓(40)의 양측으로 인출된 반대편의 점프케이블(50)은 정상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점프케이블(50)의 사용 후에는 인출된 점프케이블(50)을 더 잡아 당겨 점프케이블(50)을 더 인출시켜 낸다.
그러면, 더 인출되는 점프케이블(50)에 의해서 드럼부(10)와 래치휠(31)이 좀 더 회전되면서 래치휠(31)의 무기어부(31a)에 래치(32)가 위치하게 되고, 이때의 래치(32)는 토션스프링(33)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어 최초 설치 시와 같은 도 5의 (b)에서와 같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서 래치휠(31)에는 전혀 구속되지 않은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런 상태에서 당기고 있던 점프케이블(50)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팽팽하게 긴장되어 있던 텐션부(20)의 태엽스프링(22)이 그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텐션부(20)의 하우징(21)과 드럼부(10)를 역회전시키고, 드럼부(10)의 역회전에 의해서 래치휠(31) 역시도 역회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래치휠(31)의 역회전에 의해 도 5의 (c)에서와 같이 기어부(31b)가 전술한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래치(32)에 접하여 래치(3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와 같이 회전된 래치(32)는 압축된 토션스프링(33)에 의해 원상태로 세워지기 전에 도 5의 (d)에서와 같이 기어부(31b)의 기어이가 연속하여 래치(32)에 접하므로 드럼부(10)는 텐션부(20)의 태엽스프링(22)에 의해서 자동으로 역회전되면서 권취샤프트(13) 상에 점프케이블(50)을 감아 권취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오토릴장치(1)는 점프케이블(50)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프케이블(50)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장점이 있다.
1 : 오토릴장치 10 : 드럼부
11 : 측판 12 : 힌지축
13 : 권취샤프트 14 : 아크홀더
14a : 고정자 14b : 회전자
14c : 스프링 20 : 텐션부
21 : 하우징 22 : 태엽스프링
30 : 래치부 31 : 래치휠
31a : 무기어부 31b : 기어부
32 : 래치 33 : 토션스프링
40 : 브라켓 41 : 가이드롤러
42 : 볼트공 50 : 점프케이블

Claims (5)

  1. 점프케이블의 양단부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로 감김되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회전된 드럼부를 역회전시키는 텐션부; 및
    상기 드럼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회전된 드럼부를 고정시키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는, 중공의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양 측판;
    상기 측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양 측판을 연결하는 다수의 권취샤프트; 및
    상기 힌지축에 각각 자유자재하게 삽입되는 한편 점프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아크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크홀더는, 드럼부에서 인출된 일측의 점프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와 접속된 상태로 회전되는 한편 타측의 점프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를 고정자 측으로 밀어 접속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드럼부의 측판에 고정되게 설치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그 일단부는 드럼부의 힌지축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하우징에 고정된 태엽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드럼부의 측판에 고정되어 측판과 같이 회전되는 한편 그 외 주연부에는 각각 기어부와 무기어부가 형성된 래치휠;
    상기 래치휠과 대향되는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래치휠의 기어부와 접하는 래치; 및
    상기 래치의 힌지부에 설치되어 회전된 래치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릴장치.
KR1020100044753A 2010-05-13 2010-05-13 오토릴장치 KR20110125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753A KR20110125307A (ko) 2010-05-13 2010-05-13 오토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753A KR20110125307A (ko) 2010-05-13 2010-05-13 오토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307A true KR20110125307A (ko) 2011-11-21

Family

ID=4539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753A KR20110125307A (ko) 2010-05-13 2010-05-13 오토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53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842B1 (ko) * 2013-03-15 2013-04-23 유제황 무대 설비용 케이블 릴
KR20180001649U (ko) * 2016-11-25 2018-06-04 대영채비(주)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842B1 (ko) * 2013-03-15 2013-04-23 유제황 무대 설비용 케이블 릴
KR20180001649U (ko) * 2016-11-25 2018-06-04 대영채비(주)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64689B (zh) 用于电缆的存储
US20140216779A1 (en) Charging cable accommodation device and vehicle
JP2013162550A (ja) 充電ケーブル用収容装置
US6664759B1 (en) Manually rechargeable power system
WO2012172626A1 (ja) ケーブル巻取り装置、車両および電源装置
KR20110125308A (ko) 차량용 오토릴장치
CN205076568U (zh) 一种用于电动汽车充电的交流充电盒
JP2008109803A (ja) 携帯型電子装置
TWM329280U (en) Portable power supply module with wire-coiling structure
CN111362069A (zh) 一种自动收线装置
JP2013172618A (ja) ケーブル用収容装置
KR20110125307A (ko) 오토릴장치
CN102104116A (zh) 二次电池、外壳和功率发生组件
US20040164704A1 (en) Integrated charger with multi-form input sources
CN101958569A (zh) 充供电模块及安装有充供电模块的电子装置
CN209747844U (zh) 长度可调电缆
JPH10341538A (ja) 充電器
US20050284980A1 (en) Cable winding apparatus for charger
KR20180001649U (ko)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JP2015211490A (ja) 電気自動車充放電装置
CN212769173U (zh) 一种自动收线装置
US11002240B2 (en) Capacitive car jump starter
GB2348183A (en) Cable tidy systems
CN220172875U (zh) 一种移动电源的电线收纳结构
CN215710854U (zh) 一种新型充电流程控制的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