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012A -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012A
KR20110125012A KR1020100044525A KR20100044525A KR20110125012A KR 20110125012 A KR20110125012 A KR 20110125012A KR 1020100044525 A KR1020100044525 A KR 1020100044525A KR 20100044525 A KR20100044525 A KR 20100044525A KR 20110125012 A KR20110125012 A KR 20110125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reference value
lifeboat
gear
cranking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7919B1 (ko
Inventor
은팔곤
김양현
박정일
Original Assignee
현대라이프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라이프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라이프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4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919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02D41/021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elements of the transmission
    • F02D41/022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elements of the transmission in relation with the gear ratio or shift leve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1Control means for engine or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59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specially adapted to the type of the starter motor or integrated into 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5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D2200/502Neutral gear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보트용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엔진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스타트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구명보트의 기어가 중립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구명보트의 기어가 중립 상태인 경우, 상기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엔진에 대한 냉각수 온도를 센싱하여 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냉각수 온도가 기준 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엔진의 스타트 모터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엔진의 크랭킹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크랭킹 속도가 제1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타트 모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엔진에 연결된 연소실의 공기를 후 예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 중립 여부와 냉각수온 측정 값에 따라 엔진 시동을 제어하고, 발전기 RPM과 ALT 단자의 전압에 따라 엔진의 시동이 제대로 걸렸는지를 재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엔진의 시동이 걸린 후에도 후 예열 과정을 거침으로써 배기 가스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구명보트를 동작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ENGINE CONTROL SYSTEM FOR LIFEBOA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명보트용 엔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명보트는 강이나 바다 또는 빙판이 깨져서 물에 빠진 구난자를 구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명보트는 위급한 상황에서 주로 사용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구명보트의 엔진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엔진에 무리를 가하면서까지 엔진 시동을 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구명보트의 엔진 시동 지연으로 오히려 더 큰 위험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구명보트의 시동 장치에 스마트 키를 꽂아 예열을 시키고, 스타트 모터를 구동시키는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스마트 키를 꽂아 돌리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위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었다. 또한 엔진 상태나 수온, 기어 상태 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구명보트에 시동을 걸기 때문에 구동보트의 엔진에 무리를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명보트용 엔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용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엔진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스타트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구명보트의 기어가 중립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구명보트의 기어가 중립 상태인 경우, 상기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엔진에 대한 냉각수 온도를 센싱하여 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냉각수 온도가 기준 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엔진의 스타트 모터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엔진의 크랭킹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크랭킹 속도가 제1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타트 모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엔진에 연결된 연소실의 공기를 후 예열 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명보트의 기어가 중립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구명보트의 기어를 중립으로 변경하고 초기화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온도가 기준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엔진에 연결된 연소실의 공기를 전 예열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랭킹 속도가 제1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엔진의 스타트 모터를 더 작동시킨 뒤 중지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크랭킹 속도가 제2 기준 값보다 크거나, 상기 엔진의 발전 전압이 제3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엔진을 후 예열 시키고, 상기 크랭킹 속도가 제2 기준 값보다 작고, 상기 엔진의 발전 전압이 제3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용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엔진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타트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구명보트의 기어가 중립 상태인지 판단하는 기어 모니터링 센서, 상기 구명보트의 기어가 중립 상태인 경우, 상기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제어부, 상기 구명보트의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센싱하는 냉각수 온도 센서, 상기 냉각수 온도가 기준 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엔진의 스타트 모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엔진의 크랭킹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크랭킹 속도가 제1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타트 모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모터 제어부, 그리고 상기 엔진에 연결된 연소실의 공기를 후 예열 시키는 예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명보트의 기어가 중립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구명보트의 기어를 중립으로 변경하고 초기화 시키는 기어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 중립 여부와 냉각수온 측정 값에 따라 엔진 시동을 제어하고, 발전기 RPM과 ALT 단자의 전압에 따라 엔진의 시동이 제대로 걸렸는지를 재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엔진의 시동이 걸린 후에도 후 예열 과정을 거침으로써 배기 가스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구명보트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키 대신에 버튼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신속하게 엔진에 시동을 걸 수 있으므로 긴급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의 설계 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의 후 예열 과정 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2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의 설계 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 제어 시스템(100)은 마이콤(MICOM), 상시전원, LED 형태의 5개의 표시등(GLOW, ENGINE RUN, ALT, OIL PRESS, WATER TEMP), GLOW 파워 트랜지스터, 스타트 파워 트랜지스터, FUEL/HOL 릴레이 및 FUEL/PUL 릴레이를 포함하며, 각종 스위치 및 릴레이를 통하여 구명보트용 엔진(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마이콤(MICOM)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자를 포함하는데, WTS 경고등 단자, 경고음(BUZZ) 단자, 경고등 및 경고음 전원 단자, 엔진 스타트 스위치 단자, 엔진 스탑 스위치 단자, "N" 기어 스위치 단자, WTS 단자, RPM 단자, FUEL/PUL 단자, FUEL/HOL 단자, 스타트 단자, GLOW 단자, 오일 프레스 스위치 단자, 접지(GROUND) 단자 및 ALT 단자를 포함한다.
GLOW 단자는 엔진 연소실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단자로서, GLOW 파워 트랜지스터(TR), GLOW 릴레이, GLOW 표시등과 연결되며, GLOW 릴레이는 GLOW 플러그를 통해 엔진의 연소실과 연결된다. 또한 스타트 단자는 스타트 파워 트랜지스터(TR) 및 스타트 릴레이를 통하여 엔진의 스타트 모터와 연결된다. FUEL/PUL 단자 및 FUEL/HOL 단자는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단자로서, 각각 FUEL/PUL 릴레이 및 FUEL/HOL 릴레이를 통하여 엔진과 연결된다.
또한 LED 형태의 5개의 표시등(GLOW, ENGINE RUN, ALT, OIL PRESS, WATER TEMP)은 각각 GLOW 단자의 ON/OFF 상태, 엔진 시동 상태, 교류 발전기(alternator, ALT)의 회전/정지 상태, 엔진 오일 공급 상태, 냉각수온 상태를 표시하거나 경고하기 위한 표시등이다.
여기서, GLOW 표시등은 GLOW 릴레이와 GLOW 플러그와 연결되며, 엔진 런(ENGINE RUN) 표시등과 ALT 표시등은 각각 ALT 단자 및 엔진과 연결된다. 또한 오일 프레스(OIL PRESS) 표시등은 오일 프레스 스위치 단자 및 엔진과 연결되며, 수온(WATER TEMP) 경고등은 WTS 경고등 단자와 연결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와 릴레이 사이에는 역전압을 방지하기 위한 저항이 연결되어 있으며, 경고등 및 buzz 전원 단자를 통하여 ALT 표시등, OIL PRESS 표시등 및 WATER TEMP 경고등에 전원이 공급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2a는 5개의 경고등이 모두 OFF 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b는 5개의 경고등이 모두 ON 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의 조절 장치의 좌측에는 원형 형태로 5개의 표시등이 배치되며, 우측에는 스타트 스위치와 스톱 스위치가 위치한다.
원형 형태의 표시등은 도 1에서 설명한 것처럼 각각 GLOW 표시등, ENGINE RUN 표시등, ALT 표시등, OIL PRESS 표시등, WATER TEMP 경고등을 나타낸다. 또한 스타트 스위치는 사용자가 엔진 시동을 걸기 위한 스위치이며, 스톱 스위치는 엔진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 엔진 시동을 초기화 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스타트 스위치를 누르면(S310), 경고등과 버즈(BUZZ)에 전원이 공급되고, 버즈는 1회에 걸쳐서 경고음을 발생한다.
그리고,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100)은 초기 입력 센서를 모니터링 하는데, 초기 입력 센서로서 기어 상태 및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모니터링 한다.
스타트 스위치가 "ON" 상태라도 아직 구명보트는 전진 또는 후진해서는 안되는 상태이므로, 기어 상태는 중립(N)을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기어 상태가 중립 상태인지 먼저 판단하는데(S320), "N" 기어 스위치 단자에 연결된 스위치가 OFF 상태인 경우에는 기어 상태가 중립이 아니므로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N" 기어 스위치 단자에 연결된 스위치를 "ON"으로 변경함으로써 기어 상태를 중립 상태로 변경한다(S325). 이에 따라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100)은 초기화 상태가 된다.
만일 "N" 기어 스위치 단자에 연결된 스위치가 ON 상태인 경우에는 기어 상태가 중립 상태이므로, 연료 솔레노이드 밸브를 오픈 시킴으로써 엔진에 연료를 공급한다(S330). 즉, FUEL/HOL 단자에 연결된 FUEL/HOL 스위치를 "ON" 상태로 유지하고, FUEL/PUL 단자에 연결된 FUEL/PUL 스위치를 1초간 "ON" 상태로 유지시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엔진에 연료를 공급한다.
그리고, WTS 단자는 엔진에 연결된 수온센서(Water Temperature Sensor)로부터 엔진 냉각수의 온도 값을 입력받는데, 마이콤은 수온센서(WTS)로부터 센싱된 엔진 냉각수온이 30℃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40).
만일 냉각수온이 30℃ 이하인 경우에는 GLOW 단자에 연결된 GLOW 파워 트랜지스터 및 GLOW 릴레이를 약 8초간 "ON" 상태로 설정하여, 전 예열(前 豫熱) 과정을 진행하며, 이 때 GLOW 표시등은 켜지게 된다(S345). 즉, GLOW 단자를 "ON" 상태로 설정하면, GLOW 플러그가 엔진 연소실의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엔진의 시동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수온이 30℃ 이상인 경우에는 전 예열 과정이 필요없으므로, 별도로 GLOW 단자를 "ON" 상태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냉각수온의 온도가 적절하게 조절되면, 스타트 단자에 연결된 스타트 파워 트랜지스터와 스타트 릴레이는 릴레이 구동에 의하여 "ON"으로 설정되며, 엔진에 대한 스타트 모터를 작동시킨다(S350).
그리고, RPM 단자는 엔진에 연결된 발전기의 크랭킹 속도를 모니터링 하게 된다(S355). 일반적으로 발전기의 RPM이 800 이면 엔진의 RPM은 500에 해당하는데, 발전기의 RPM이 800 보다 높으면 엔진에 시동이 걸렸다고 판단하여 스타트 모터를 정지시킨다(S360). 그리고 GLOW 단자를 "ON" 상태로 설정하여 약 8초간 후 예열(後 豫熱)을 시킨다(S365). 즉, 초기엔 엔진 온도가 높지 않아서 불완전 연소된 배기가스가 많아지므로, 엔진 연소실의 공기를 후 예열시킴으로써 배기 가스를 완전 연소시키도록 한다.
만일 발전기 RPM이 800 보다 낮으면,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100)은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스타트 단자를 최대 15초간 "ON" 상태로 작동시킨 후에 스타트 단자를 통한 출력을 정지시킨다(S370). 그 다음 발전기 RPM이 150 이상 또는 발전기에 달려있는 단자 ALT 입력단자의 전압이 9V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75). 만일 발전기 RPM이 150 이상이거나 ALT 입력단자의 전압이 9V 이상인 경우에는 엔진의 시동이 양호하다고 간주하여 후 예열 단계(S365)로 진행한다. 반면 발전기 RPM이 150 이하이고 ALT 입력단자의 전압이 9V 이하인 경우에는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며(S380), 사용자가 스톱 스위치를 누르면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100)은 초기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100)에 의하면, 기어 중립 여부와 냉각수온 측정 값에 따라 엔진 시동을 제어하고, 발전기 RPM과 ALT 단자의 전압에 따라 엔진의 시동이 제대로 걸렸는지를 재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엔진의 시동이 걸린 후에도 후 예열 과정을 거침으로써 배기 가스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통하여 엔진 시동이 정상적으로 걸리고 후 예열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엔진이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의 후 예열 과정 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후 예열 과정(S365)이 이루어지고, 엔진이 작동 중인 상태에서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100)의 오일 프레스 단자는 3초 간격으로 엔진에 오일 공급 여부를 모니터링 한다(S405). 즉, 엔진에 오일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오일 프레스 단자는 연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데(S410), 엔진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경우, 오일 프레스 단자에 연결된 스위치를 "OFF" 시키며, 스위치가 "OFF" 되면 OIL PRESS 경고등도 "OFF" 상태가 된다(S415).
반면, 오일 프레스 단자의 모니터링 결과, 엔진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지 않은 경우, 오일 프레스 단자에 연결된 스위치는 "ON"으로 설정된다. 그러면 FUEL/HOL 단자는 즉시 "OFF" 상태가 되고, 경고음이 연속적으로 발생된다(S420). 따라서 사용자가 스톱 스위치를 누르면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100)은 초기화 상태가 된다.
동시에,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100)의 WTS 단자는 3초 간격으로 수온을 모니터링 한다(S425). 즉, 냉각 수온을 WTS 단자는 연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데, 냉각 수온을 정상 온도에 해당하는 110℃와 비교한다(S430). 만일 냉각 수온이 110℃ 이하인 경우에는, 수온이 정상적인 범위이므로 WATER TEMP 경고등은 "OFF" 상태가 된다(S435).
반면, WTS 단자의 모니터링 결과, 냉각 수온이 110℃ 이상인 경우에는 위험한 상태이므로 FUEL/HOL 단자를 즉시 "OFF" 상태로 변경하고, WATER TEMP 경고등을 "ON" 시키며, 경고음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킨다(S440).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스톱 스위치를 누르면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100)은 초기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 시동이 정상적으로 걸리고 후 예열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엔진의 오일 공급 여부와 냉각수온을 반복적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구명보트용 엔진에 대하여 더욱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의 설계도를 구성요소 별로 모식화한 것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100)는 기어 모니터링 센서(110), 연료 공급 제어부(120), 냉각수 온도 센서(130), 모터 제어부(140), 예열부(150), 기어 제어부(160) 및 알람 표시부(170)를 포함한다.
먼저 기어 모니터링 센서(110)는 사용자가 스타트 스위치를 누르면 구명보트의 기어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중립 상태인지 판단한다. 연료 공급 제어부(120)는 구명보트의 기어가 중립 상태인 경우, 엔진(200)에 연료를 공급한다.
냉각수 온도 센서(130)는 엔진(200)의 냉각수 온도를 센싱한다. 모터 제어부(140)는 냉각수 온도가 30℃ 보다 높은 경우 엔진(200)의 스타트 모터를 작동시킨다. 또한 모터 제어부(140)는 엔진(200) 또는 엔진(200)에 연결된 발전기의 크랭킹 속도를 측정하는데, 발전기의 RPM이 800보다 높은 경우, 즉 엔진(200)의 RPM이 500보다 높은 경우에는 스타트 모터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발전기의 RPM이 800보다 낮은 경우 15초 동안 엔진의 스타트 모터를 더 작동시킨 뒤 중지시킨다.
예열부(150)는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30℃ 보다 낮은 경우 엔진에 연결된 연소실의 공기를 전 예열시키고, 발전기의 크랭킹 속도가 발전기 RPM이 150 이상이거나 ALT 입력단자의 전압(엔진의 발전 전압)이 9V 이상인 경우에는 엔진에 연결된 연소실의 공기를 후 예열시킨다.
기어 제어부(160)는 구명보트의 기어가 중립 상태가 아닌 경우, 구명보트의 기어를 중립으로 변경하고 초기화 시킨다.
알람 표시부(170)는 발전기의 크랭킹 속도가 발전기 RPM이 150 이하이고 ALT 입력단자의 전압(엔진의 발전 전압)이 9V 이하인 경우에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경고등 또는 버즈를 통한 경고음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기어 중립 여부와 냉각수온 측정 값에 따라 엔진 시동을 제어하고, 발전기 RPM과 ALT 단자의 전압에 따라 엔진의 시동이 제대로 걸렸는지를 재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엔진의 시동이 걸린 후에도 후 예열 과정을 거침으로써 배기 가스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어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구명보트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키 대신에 버튼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신속하게 엔진에 시동을 걸 수 있으므로 긴급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 110: 기어 모니터링 센서,
120: 연료 공급 제어부, 130: 냉각수 온도 센서,
140: 모터 제어부, 150: 예열부,
160: 기어 제어부, 170: 알람 표시부,
200: 엔진

Claims (9)

  1. 구명보트용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엔진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스타트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구명보트의 기어가 중립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구명보트의 기어가 중립 상태인 경우, 상기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엔진에 대한 냉각수 온도를 센싱하여 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냉각수 온도가 기준 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엔진의 스타트 모터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엔진의 크랭킹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크랭킹 속도가 제1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타트 모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엔진에 연결된 연소실의 공기를 후 예열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보트의 기어가 중립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구명보트의 기어를 중립으로 변경하고 초기화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온도가 기준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엔진에 연결된 연소실의 공기를 전 예열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킹 속도가 제1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엔진의 스타트 모터를 더 작동시킨 뒤 중지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크랭킹 속도가 제2 기준 값보다 크거나, 상기 엔진의 발전 전압이 제3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엔진을 후 예열 시키고, 상기 크랭킹 속도가 제2 기준 값보다 작고, 상기 엔진의 발전 전압이 제3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구명보트용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엔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스타트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구명보트의 기어가 중립 상태인지 판단하는 기어 모니터링 센서,
    상기 구명보트의 기어가 중립 상태인 경우, 상기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제어부,
    상기 구명보트의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센싱하는 냉각수 온도 센서,
    상기 냉각수 온도가 기준 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엔진의 스타트 모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엔진의 크랭킹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크랭킹 속도가 제1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타트 모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모터 제어부, 그리고
    상기 엔진에 연결된 연소실의 공기를 후 예열 시키는 예열부를 포함하는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보트의 기어가 중립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구명보트의 기어를 중립으로 변경하고 초기화 시키는 기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부는,
    상기 냉각수 온도가 기준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엔진에 연결된 연소실의 공기를 전 예열 시키는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크랭킹 속도가 제1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엔진의 스타트 모터를 더 작동시킨 뒤 중지시키며,
    상기 예열부는,
    상기 크랭킹 속도가 제2 기준 값보다 크거나, 상기 엔진의 발전 전압이 제3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엔진에 연결된 연소실의 공기를 후 예열 시키는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킹 속도가 제2 기준 값보다 작고, 상기 엔진의 발전 전압이 제3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알람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





KR1020100044525A 2010-05-12 2010-05-12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137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525A KR101137919B1 (ko) 2010-05-12 2010-05-12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525A KR101137919B1 (ko) 2010-05-12 2010-05-12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012A true KR20110125012A (ko) 2011-11-18
KR101137919B1 KR101137919B1 (ko) 2012-05-09

Family

ID=45394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525A KR101137919B1 (ko) 2010-05-12 2010-05-12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3595A (zh) * 2018-12-30 2019-05-07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启动保护控制方法、装置以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729A (ko) * 1990-12-29 1992-07-27 김연수 엔진시동시스템
KR970070530A (ko) * 1996-04-09 1997-11-07 박병재 냉시동 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시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2316690A (ja) 2001-02-14 2002-10-29 Sanshin Ind Co Ltd 水ジェット推進艇の燃料噴射制御装置
KR101251481B1 (ko) * 2006-04-20 2013-04-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차량의 배기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3595A (zh) * 2018-12-30 2019-05-07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启动保护控制方法、装置以及车辆
CN109723595B (zh) * 2018-12-30 2021-03-16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启动保护控制方法、装置以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7919B1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28137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4828887B2 (ja) 内燃機関の始動制御装置
KR100551306B1 (ko) 아이들 스톱 & 고 시스템 제어방법
JPH02256877A (ja) 船舶推進機の始動装置
US7188597B2 (en) Engine cold start aid malfunction alert
KR101137919B1 (ko) 구명보트용 엔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6799546B1 (en) Starting procedur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2840947A (zh) 车辆用液压传感器故障检测装置及方法
JP2006009589A (ja) 車両制御装置
JP4334117B2 (ja) 原動機用セルフスタータモータ制御装置
TW201328919A (zh) 車輛怠速控制方法及其系統
JP3990358B2 (ja) オートチョーク制御装置
JP6537476B2 (ja) エンジン始動補助装置
KR20080048803A (ko) 엔진 시동시 오일압력 검출 시스템
KR0148390B1 (ko) 자동차용 엔진의 교착상태시 동작전원 차단장치
KR19980083115A (ko) 주행중인 차량의 재시동장치
JP2004308486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20080026353A (ko) 강제 제어장치를 갖춘 차량용 좌석 가열기 및 제어 방법
JPS6057129A (ja) 燃焼装置
KR20150102318A (ko) 건설기계용 예열 시스템
KR101039671B1 (ko) 디젤 차량용 자동 시동 시스템
KR20020030346A (ko) 차량의 엔진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8200000A (ja) 内燃機関始動装置
KR19980032453U (ko) 시동모터 재구동 방지장치
JP2018200001A (ja) 内燃機関始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