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192A -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192A
KR20110124192A KR1020110111793A KR20110111793A KR20110124192A KR 20110124192 A KR20110124192 A KR 20110124192A KR 1020110111793 A KR1020110111793 A KR 1020110111793A KR 20110111793 A KR20110111793 A KR 20110111793A KR 20110124192 A KR20110124192 A KR 20110124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communication
high speed
data
contactless card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욱
Original Assignee
(주) 듀얼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듀얼아이 filed Critical (주) 듀얼아이
Priority to KR1020110111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4192A/ko
Publication of KR20110124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1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 G06K7/103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e.g. configurations including means to resolve inter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호스트와 직렬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면서 비접촉식카드와의 통신속도 1.5Mbps 이상의 초고속통신(VHBR) 기능을 지원하는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를 구비하는 초고속통신 비접촉식카드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접촉식카드 단말장치는 106kbps, 212kbps, 424kbps, 847kbps의 4종류의 고속통신의 속도로 카드와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비접촉식카드 내에 저장하는 데이터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빨리 쓰고 읽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이는 경제적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 오게 된다. 1.5Mbps이상의 초고속통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송파에 의한 무선간섭으로 인하여 종래의 루프안테나로는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최대속도 847kbps인 고속통신 비접촉식카드와의 송수신 통신을 지원하면서 비접촉식카드가 초고속통신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별도의 반송파 억압용 초고속통신 전용의 수신안테나를 두어 송신안테나와의 간섭을 회피하고, 카드에서 오는 초고속통신 수신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초고속통신처리부를 두어 에러가 없이 초고속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초고속통신 비접촉식카드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 장치 {Contactless card reader device with very high baud rates}
본 발명은 비접촉식카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대 847kbps의 고속통신을 위한 일반 루프안테나와 1.5Mbps이상의 초고속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초고속통신 전용의 반송파 억압형 수신안테나를 구비한 초고속통신 비접촉식카드 단말장치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3.56MHz의 반송주파수를 사용하고 근접방식의 비접촉 카드 국제규격인 ISO14443, 원접방식의 비접촉식통신 국제규격인 ISO15693, 근거리무선통신 국제규격인 ISO18092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면서 비접촉식 카드와 단말장치간의 초고속통신을 지원하는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드와의 통신속도를 기존의 106kbps, 212kbps, 424kbps, 847kbps의 데이터 송수신 속도를 가능하게 하는 일반 루프형 안테나를 구비하면서 1.5Mbps이상의 초고속통신속도를 얻기 위하여 별도의 반송파 억압용 초고속 통신용 수신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초고속통신 수신안테나는 일반 루프안테나 패턴을 기준으로 안테나 내측 및 외측에 일정의 영역을 만들면서 루프안테나에서 생성되는 내측 및 외측 영역의 자기장이 서로 상쇄되어 반송파에 의한 무선간섭을 회피하는 형태의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를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속도가 847kbps이하는 고속통신이라 명칭하고 1.5Mbps이상은 초고속통신이라 한다.
도 1은 종래의 비접촉식 카드 단말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종래의 비접촉 카드 단말장치는 847kbps까지의 고속통신을 지원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통신부(10), 제어부(20), RF접속부(30), 루프안테나(40)을 포함하고 있다. 다른 목적을 위하여 이들 핵심적인 요소 외에 표시부, 키입력부, 입출력포트 등을 단말 장치 내부에 포함할 수도 있다. 종래의 고속통신용 비접촉식 카드 단말장치는 대부분 PCB 패턴을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의 모양을 가지는 루프 형태의 안테나, 루프안테나를 비접촉식 카드와의 데이터 송수신 겸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단말장치에서 카드로 데이터를 보내는 경우에는 반송파의 진폭을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맞추어 진폭변조하는 방식인 ASK-10% 또는 ASK-100%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카드는 단말장치의 루프안테나에서 전달되어 오는 전력을 활용하여 자체 전력을 확보하고 단말장치로 보내는 데이터는 반송주파수에 부하변조방식으로 데이터를 실어 단말장치로 보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기술의 발달로 비접촉식카드의 메모리 용량이 크게 확장되고 있으며,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보호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비접촉식 카드를 이용한 전자여권, 전자주민증, 전자운전면허증, 전자의료증 등과 같은 전자신분증 내에는 간단한 개인정보, 사진, 생체정보 및 의료정보 등의 개인에 대한 민감한 정보를 안전한 비접촉식 카드에 보관하여 다양한 분야에 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신분증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다 빠르게 쓰거나 읽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모든 고속통신 지원용 비접촉식카드 단말장치는 847kbps까지의 송수신 통신속도를 지원하고 있으나 1.5Mbps 이상의 초고속통신을 수행하는데 무선송수신부가 하나의 루프안테나에 연결되어 있어서 초고속통신의 데이터수신 시에 송신부에서 발생하는 반송파에 의한 무선간섭으로 인하여 카드에서 오는 아주 미약하고 빠른 데이터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를 분리하여 두 개의 루프형 안테나를 사용하는 카드 단말장치도 있으나 단순히 안테나를 분리하는 방식만으로는 무선송신 반송파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비접촉식 카드 단말장치는 통신속도가 847kbps이하인 고속통신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1.5Mbps이상인 초고속통신에서는 송신안테나의 무선간섭에 의한 데이터 수신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종래의 고속통신기술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쓰고 읽을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사용자 불편을 초래하고 경제적 비용증가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13.56MHz의 반송주파수를 사용하고 ISO14443, ISO15693, ISO18092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에서 개발된 일반 루프안테나 패턴을 기준으로 안테나 내측 및 외측에 동일한 면적의 영역을 만들도록 안테나 패턴을 만들어 루프안테나의 무선전송부에 의하여 생성되는 이들 내측 및 외측 영역의 자기장이 서로 상쇄되도록 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통신을 위한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를 사용하여 초고속통신 방식으로 카드에서 오는 미약한 데이터를 에러없이 수신하는, 일반 루프안테나와 초고속 통신용 반송파 억압용 수신 안테나로 구성되는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847kbps까지의 고속통신을 지원하면서 1.5Mbps이상의 초고속통신의 속도로 비접촉식 카드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초고속 비접촉식 카드단말 장치는, 단말장치 외부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 통신부로부터 오는 명령을 받아 일정한 작업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통신부로 전송하며 비접촉식 카드와의 고속통신을 위하여 RF접속부와 연결되어 송수신 명령을 수행하고, 필요한 경우에 초고속통신을 지원하기 위하여 초고속통신 처리부와 연결하여 송수신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 종래의 고속통신용 비접촉식 카드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RF콘트롤러 칩, 안테나 매칭회로, 고속통신 수신회로를 포함하는 RF접속부, 초고속통신을 위한 디지털 송신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고 수신된 초고속통신 신호에서 일정형식의 데이터프레임을 감지하고 데이터를 추출하여 내부 버퍼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초고속통신처리부, 초고속통신 처리부와 연결되어 반송파에 의한 무선간섭을 회피할 목적의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 고속통신 및 초고속통신 데이터의 정확한 처리를 위하여 27.12MHz와 13.56MHz의 클럭을 발생하여 제어부, RF접속부, 초고속통신처리부로 공급하여 동기를 맞추게 하는 클럭발생부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반송파 억압용 초고속통신 수신안테나는 루프안테나의 패턴을 기준으로 내측과 외측에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영역을 생성하여 루프안테나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상쇄하는 방식으로 반송파의 무선간섭을 회피하고자 하는 반송파 억압용 초고속통신 전용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의 형태로는 루프안테나의 모양에 따라 그 실시 예가 변형될 수 있다. 도4의 경우에는 사각형의 루프안테나 대하여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 형태를 그리고 있지만, 루프안테나가 원형의 경우도 동일한 내외측 자기장 상쇄효과를 가지 위하여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는 종래의 비접촉식 카드 단말장치와 같이 카드와의 847kbps이하의 고속통신을 지원하면서 초고속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별도의 초고속통신을 위한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를 구비하여 비접촉식 카드에 데이터를 보다 빠르게 쓰고 읽음으로 카드발급 시의 발급에 소용되는 시간을 줄일 수가 있다. 그리고, 비접촉식 카드를 전자신분증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공공기관, 공항 등의 장소에서 빠른 시간에 데이터를 읽어 들임으로 서비스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를 가진다. 짧은 시간 내에 읽고 쓰기가 가능하여 경제적 비용의 절감이라는 효과를 가져 온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비접촉카드 단말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초고속통신 비접촉식카드 단말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통신처리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통신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통신부, 102 : 제어부, 103 : RF접속부, 104 : 루프안테나,
105 : 초고속통신처리부, 106 :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
107 : 클럭발생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종래 고속통신을 지원하는 비접촉식카드 단말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내며,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인 초고속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비접촉식 카드 단말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3은 초고속통신처리부의 상세 구성도이며, 도4는 초고속통신에 사용되는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의 상세도이다.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장치는 통신부(101), 제어부(102), RF접속부(103), 루프안테나(104), 초고속통신처리부(105), 초고속통신전용의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106), 클럭발생부(107)를 포함한다. 통신부(101)를 통하여 외부 명령이 들어오면 제어부(102)는 이 명령을 분석하여 RF접속부(103)를 통하여 비접촉식 카드와 통신을 수행하여야 하는지 또는 초고속통신처리부(105)를 통하여 비접촉식 카드와 통신을 수행하여야 하는지 판단한다. 847kbps이하의 고속통신의 경우는 RF접속부(103)와 루프안테나(104)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초고속통신의 경우는 RF접속부(103),초고속통신처리부(105)와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106)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초고속통신 처리부(105)는 RF접속부(103)의 MFIN단자에 1.5Mbps이상의 초고속통신 방식의 디지털 데이터 프레임을 입력하고 RF접속부(103)는 MFIN으로 입력된 초고속통신 신호를 13.56MHz의 반송파에 실어 루프안테나(104)를 통하여 비접촉식카드로 전송하게 된다. 반송파에 초고속통신 데이터 프레임을 싣기 위하여 반송파의 진폭을 데이터의 변화에 맞춰 변화시키는 디지털변조 방식의 하나인 ASK(Amplitude Shift Keying)방식을 사용한다.
통신부(101)는 본 단말장치가 컴퓨터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02)로 보내고 그 처리결과인 응답 데이터를 제어부(102)로부터 받아 외부로 전송한다. 데이터 송수신 방식으로는 일반적으로 범용직렬통신(USB)방식 또는 일반직렬통신(RS-232)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언급한 방식이외의 방식인 유선랜, 무선랜, 블루투스 등의 방식도 고려될 수 있다.
제어부(102)는 단말장치 내에서 두뇌역할을 수행하는 CPU, 실행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래쉬메모리, 데이터메모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외부와의 통신을 제어관리, 비접촉식 카드와의 통신을 제어관리, 제어부 내의 메모리 및 레지스터 제어관리를 수행한다.
RF접속부(103)는 제어부(102)와 병렬버스 방식 또는 직렬버스방식으로 연결되어 비접촉식카드와 송수신 통신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며 루프안테나(104)와 초고속통신처리부(105)와 연결되어 있다. 고속통신의 송신의 경우는 제어부(102)에서 온 데이터는 전송 프레임 규격에 맞도록 디지털처리 과정을 거치고 반송파에 실어서 루프안테나(104)를 통하여 전송하게 된다. 초고속통신의 데이터를 송신 시에는 RF접속부(103)의 MFIN단자에 송신하고자 하는 초고속통신 디지털 프레임 데이터를 초고속통신처리부(105)에서 받아 루프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한다. MFIN단자로 들어온 신호는 RF접속부(103)내에서 디지털처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무선반송파를 사용하여 변조된다. 고속통신 수신의 경우는 루프안테나(104)와 연결된 RF접속부(103)의 수신회로에서 부하변조방식으로 수신된 미약한 신호를 감지하고 디지털처리과정을 거쳐 제어부(102)로 수신데이터를 주게 된다. RF접속부(103)내에는 RC531과 같은 RF콘트롤러 칩, RF콘트롤러 송신단과 루프안테나(104)와의 임피던스를 맞추기 위한 임피던스 매칭회로 및 루프안테나(104)와 연결되어 비접촉식카드에서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회로를 포함한다.
루프안테나(104)는 RF접속부(103)와 연결되어 있으며 비접촉식카드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비접촉식카드와 데이터를 무선으로 주고 받는다. 카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반송파의 진폭크기를 데이터의 속도와 동일하게 변화시켜 전송하고 있으며, 카드에서 데이터를 받는 경우에는 부하변조방식으로 부반송파에 실려온 미약한 신호를 감지하고 이진위상검출 방식으로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고속통신의 경우에는 루프안테나(104)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지만 초고속통신의 경우에는 루프안테나(104)를 통하여 송신만 수행하고 수신은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106)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초고속통신처리부(105)는 비접촉카드와 초고속통신을 하기 위한 디지털처리과정을 담당하고 있으며, 송신 시에는 제어부(102)에서 데이터를 받아 고속통신을 위한 디지털 프레임을 생성하여 RF접속부(103)의 MFIN단자로 입력하게 된다. 수신 시에는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106)에서 온 미약한 신호를 감지하여 90도의 위상차이가 있는 I,Q신호를 분리생성하고 증폭하여 디지털화하여 프레임 분석을 한 후, 데이터를 내부 버퍼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을 하고 수신이 종료되면 제어부(102)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106)은 초고속통신 수신의 경우에 루프안테나(104)를 통하여 전송되는 반송파에 의한 무선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반송파의 크기를 억압하고 비접촉식 카드에서 오는 미약한 신호를 감지하기 위하여 루프안테나의 패턴을 기준으로 내외측에 동일한 면적의 공간을 확보하여 자기장을 상쇄시키고 있다. 반송파가 억압된 신호는 고속통신처리부(105)로 입력된다.
클럭발생부(107)는 단말장치 내부의 핵심적인 데이터처리를 담당하고 있는 부분에 동기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제어부(102)와 초고속통신처리부(105)에 27.12MHz의 클럭을 공급하고 RF접속부(103)에는 27.12MHz의 클럭을 2분주한 13.56MHz의 클럭을 공급한다.
초고속통신처리부(105)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3를 참조한다. 고속통신처리부(105)의 기능은 비접촉식카드와의 초고속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송신 프레임을 생성하여 RF접속부(103)의 MFIN단자에 입력한다. 고속통신처리부는 FPGA(201), A/D변환기(202, 203), 증폭기(204,205), I/Q복조기(206)로 구성된다. I/Q복조기(206)는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106)와 ANT+, ANT-의 두 개의 단자와 연결되어 있으며, 송신 반송파로 인한 무선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반송파가 억압된 미약한 신호가 I/Q복조기(206)의 입력단자로 들어간다. I/Q복조기(206)는 비접촉식카드로부터 반송파에 실려 부하변조의 방식으로 부반송파와 함께 이진위상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오는 미약한 반송파 억압된 아나로그 신호로 부터 90도의 위상차이가 있는 I신호와 Q신호를 발생한다. 추출된 I신호와 Q신호는 디지털화할 수 있는 아나로그 레벨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하여 증폭기(204,205)의 입력신호가 된다. 증폭된 아나로그 I신호와 Q신호는 A/D변환기(202,203)에서 8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FPGA(201)로 들어간다. FPGA(201)는 디지털화된 I성분의 신호와 Q성분의 신호 중에서 좋은 신호를 선택한 후 수신된 데이터가 일정의 프레임 형식에 맞는지 분석한다. 수신된 데이터가 일정규격의 프레임을 만족하면 프레임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제어부(102)로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며 제어부(102)는 인터럽트를 인식하고 FPGA(201)내부의 버퍼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가지고 온다.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106)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4을 참조한다. 도4에는 RF접속부와 연결되는 굵은 선의 루프안테나(301)와 고속통신처리부와 연결되는 가는 선의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302)의 부분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실시 예에서는 루프안테나(301)는 PCB 패턴형태로 되어 있으며 1회의 끝이 붙지 않은 사각형으로 구성된다. 루프안테나(301)의 모양에 따라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302)의 모양도 변화된다.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302)는 루프안테나의 PCB 패턴을 기준으로 내측 자기장 영역 및 외측 자기장 영역으로 두 영역의 면적이 동일하도록 설계된다. 도3에서 내측 영역의 면적은 두개의 외측영역의 합(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과 동일하여 상호간 자기장 상쇄가 이루어진다. 루프안테나(301)에 전류가 흐르면 앙페르의 오른나사의 법칙에 의하여 안테나 패턴주위에는 자기장이 발생하며 외측영역과 내측영역의 자기장 방향은 반대가 되어 반송파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이 서로 상쇄가 되어 반송파가 억압되는 원리를 가진다. 비접촉식 카드가 없는 상태에서 루프안테나(301) 양단에는 수십 Volt가 넘는 전압이 발생하고 있으며,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302)의 양단에서 측정되는 전압은 상기와 같은 자기장 상쇄효과로 인하여 50~150mV의 아주 미약한 전압만이 감지된다. 비접촉식 카드가 안테나 위에 놓고 카드와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302)의 양단에는 루프안테나(301)에서 발생한 반송파가 억압된 미약한 부하변조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의 실시 예로서 도4와 같이 사각형의 형태을 하고 있으나, 루프안테나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초고속통신 비접촉식카드 단말장치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읽고 쓰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비접촉식카드의 내부 프로그램 메모리가 ROM마스크 방식에서 고객이 직접 쓰기가 가능한 Flash메모리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 Flash메모리에 프로그램을 쓰기위하여 종래의 고속통신 기술을 사용하면 카드 1장에 데이터를 쓰는데 많이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카드 발급시간이 곧 경제적 비용과 직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카드의 메모리 용량이 대용량화됨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안전한 카드에 저장하고 이를 빠르게 읽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주민증, 의료증, 운전면허증과 같은 기존의 프라스틱 신분증을 전자신분증으로 대체하려는 경향이 전세계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전자신분증을 빠르게 읽음으로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경제적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5)

  1. 외부의 호스트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단말장치 내의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를 관리하고, 외부와의 통신 제어 및 관리, 비접촉식카드와의 통신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RF콘트롤러 칩, 매칭회로, 고속통신 수신회로을 포함하고 있어 비접촉식카드와의 847kbps이하의 고속통신의 송수신을 수행하고 초고속통신처리부와 연결되어 초고속통신의 송신을 수행하는 RF접속부, RF접속부와 연결되어 무선으로 비접촉식 카드에 전력을 전송하고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루프안테나, 초고속통신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여 RF접속부의 MFIN단자로 입력하여 초고속통신 데이터를 전송하고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와 연결되어 비접촉식카드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초고속통신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초고속통신처리부, 비접촉식카드에서 오는 초고속의 데이터를 RF접속부의 반송파와의 무선간섭을 회피하면서 안전하게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초고속통신처리부에 연결되어 있는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 단말장치 내의 데이터처리를 동기화를 위해 필요한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발생부를 포함하는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장치,
  2. 상기 1항에 있어서 루프안테나 패턴주위로 내측과 외측으로 동일한 면적을 가지고 내측과 외측 상호간 자기장을 상쇄하게 하여 반송파에 의한 무선간섭을 회피한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장치,
  3. 상기 1항에 있어서 초고속통신처리부는 FPGA, A/D변환기, 증폭기, I/Q 복조기를 포함하고 반송파 억압용 수신안테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장치,
  4. 상기 1항에 있어서 클럭발생부에서 제어부, FPGA, RF접속부에 데이터 처리 시 동기를 맞추기 위하여 27.12MHz와 13.56MHz의 클럭을 발생하여 공급하는 클럭발생부를 포함하는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장치,
  5. 상기 1항에 있어서 고속통신처리부는 송신용 고속통신 디지털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RF접속부의 MFIN단자와 연결되어 고속통신 디지털데이터를 MFIN단자에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장치,
KR1020110111793A 2011-10-31 2011-10-31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 장치 KR20110124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793A KR20110124192A (ko) 2011-10-31 2011-10-31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793A KR20110124192A (ko) 2011-10-31 2011-10-31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192A true KR20110124192A (ko) 2011-11-16

Family

ID=4539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793A KR20110124192A (ko) 2011-10-31 2011-10-31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41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9988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有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4561796B2 (ja) 受電装置、および電力伝送システム
US8847738B2 (en) Mobil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5073379B2 (ja) 非接触電子装置
US9846796B2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load modul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7005267B (zh) 天线和通信装置
US9727767B2 (en) Clock synchronization in an RFID equipped device
EP2701314B1 (en) Detection of load-modulated NFC signals
US9219519B2 (en) Proximity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EP3188085B1 (en) Active 13.56mhz rfid device
JP2010287228A (ja) 複数のインターフェースを介した非接触型通信
JP5282498B2 (ja) リーダ/ライタ、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39522B1 (ko) Nfc를 통해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US9760745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method of processing signal, and recording medium
KR20110124192A (ko)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 장치
US9141781B2 (en) Card device
KR101511298B1 (ko) 반송파 억압안테나를 구비한 초고속통신 전자신분증 판독장치
CN203733149U (zh) 具有双感应天线结构的外插卡及记忆卡
KR20140064754A (ko) 초고속통신 비접촉식 카드 단말장치
CN203134005U (zh) 一种非接触式电子支付前端
CN206224498U (zh) 一种兼容一体化读卡设备
CN102467678A (zh) 一种具有双频通讯机制的射频sim卡
CN105490709B (zh) 一种小型无源射频放大装置及其实现方法
CN203340162U (zh) 一种具有视频识别功能的手机芯片
KR200176178Y1 (ko) 무선 통신용 태그를 내장한 스마트 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