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095A - 낚시용 가방 - Google Patents

낚시용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095A
KR20110124095A KR1020100043684A KR20100043684A KR20110124095A KR 20110124095 A KR20110124095 A KR 20110124095A KR 1020100043684 A KR1020100043684 A KR 1020100043684A KR 20100043684 A KR20100043684 A KR 20100043684A KR 20110124095 A KR20110124095 A KR 20110124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storage
storage box
cradl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7412B1 (ko
Inventor
홍문기
Original Assignee
홍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문기 filed Critical 홍문기
Priority to KR1020100043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41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4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8Containers f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F21V33/0084Hand tools; Toolbox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종류의 낚시용품을 수납할 수 있고 보관에 요구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낚시용품을 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낚시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보관함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낚시대를 수납하고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낚시대보관함과, 낚시대보관함에 구비되고 받침대가 고정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낚시용 가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낚시용 가방 {BAG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종류의 낚시용품을 수납할 수 있고 보관에 요구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낚시용품을 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낚시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낚시용품에는 낚시대, 낚시줄, 낚시바늘, 찌, 받침대 등이 있다.
낚시용품은 가방에 수납되어 보관되고, 사용자는 가방을 휴대하여 낚시용품을 이동시킨다.
낚시용품을 수납하는 가방은 섬유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낚시대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가방 내벽 및 외벽에 다수 개의 주머니가 형성되므로 낚시줄, 낚시바늘, 찌 등을 수납할 수 있다.
낚시대는 안테나 모양으로 형성되어 길이가 가변되거나 다단으로 분리되므로 가방에 낚시대를 수납할 때에는 낚시대의 길이를 최소화시켜 보통 5개 정도의 낚시대를 하나의 가방에 수납한다.
낚시줄은 카본사나 테크론사와 같이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쉽게 파손되지 않지만 장기간 사용한 낚시줄은 수초나 바위 등에 반복하여 접촉되면서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보관할 때에는 다른 낚시용품들과 접촉되거나 엉키지 않도록 별도의 부재에 권취하여 가방에 보관한다.
낚시바늘은 정교하고 날카롭게 형성되므로 가방에 수납할 때에 다른 용품들과 접촉되지 않게 작은 케이스에 수납하여 가방의 주머니에 수납한다.
찌는 수면에 뜨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강도가 약하여 별도의 케이스에 수납하여 가방에 보관하거나 가방의 내부에 형성되는 주머니에 보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낚시용품은 각각의 종류에 맞는 수납형태로 보관되어야만 이동 중에 다른 낚시용품들과 접촉되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낚시용품은 다른 낚시용품들과 접촉되어 파손되기 쉬우므로 낚시용품의 특성에 따라 별도의 수납공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가방에 다양한 종류의 낚시용품을 수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낚시줄, 낚시바늘 및 찌 등과 같이 파손이 쉬운 낚시용품과 부피가 큰 받침대를 하나의 가방에 수납하기 어려우므로 사용자는 받침대와 같이 부피가 큰 낚시용품의 수납을 위해 별도의 가방이나 수납부재를 휴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낚시용품 가방은 다수 개의 주머니에 낚시용품이 보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한 낚시용품을 쉽게 찾을 수 없고, 특히, 야간에 낚시를 행할 때에는 낚시용품을 인지하기 어려워 원하는 낚시용품을 찾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낚시용품을 수납할 수 있고 이동 중에 낚시용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낚시용품을 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낚시용 가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보관함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낚시대를 수납하고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낚시대보관함과, 상기 낚시대보관함에 구비되고 받침대가 고정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가방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관함은, 하나의 제1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1보관함과, 상기 제1수납공간과 비교하여 작고 다수 개의 제2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2보관함과, 상기 제2수납공간과 비교하여 작고 다수 개의 제3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3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보관함에는 제2수납공간을 이루는 다수 개의 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부에는 다수 개의 상기 수납부를 계단 모양으로 개폐시키는 연결부재와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수납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는 투명재질의 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보관함의 상면에는 상기 낚시대보관함이 삽입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낚시대보관함을 구속하는 고정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지지봉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대에는 상기 낚시대보관함을 지지하는 제1고정부와, 앞받침대를 거치하는 제2고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보관함에는 다수 개가 적층되는 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는 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에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수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의 배면에는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수납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상승되도록 하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낚시대보관함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제1수납공간과 제2수납공간을 이루, 상기 제1수납공간의 외벽에는 상기 거치대가 일체로 형성되고, 낚시줄을 상기 거치대 측으로 연장시키기 위한 통과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에는 뒷받침대가 지지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대와 상기 거치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낚시줄이 감기는 권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장축낚시대보관함이 설치되는 장축안착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축낚시대에 설치되는 릴보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전방을 밝히는 발광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가방은 수납되는 다양한 종류의 낚시용품이 서로 접촉되지 않으므로 이동 중에 접촉에 의해 낚시용품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가방은 각각의 낚시용품의 특징에 맞게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어 케이스의 부피가 감소되므로 낚시용품 보관에 요구되는 공간이 축소되고 휴대가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가방은 수납된 낚시용품들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낚시용품을 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가방은 케이스 내부를 밝힐 수 있는 조명이 제공되므로 야간에도 사용자가 케이스에 수납된 낚시용품들을 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케이스 개방상태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보관함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보관함이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낚시대보관함 및 거치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낚시대보관함 및 거치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보관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보관함 받침부 사용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보관함 개방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보관함이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케이스 개방상태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보관함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보관함이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낚시대보관함 및 거치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낚시대보관함 및 거치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은 복수 개의 보관함(12, 14, 16)을 구비하는 케이스(10)와, 낚시대(82)를 수납하고 케이스(10)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낚시대보관함(50)과, 낚시대보관함(50)에 결합되고 받침대(84, 86)가 고정되는 거치대(70)를 포함한다.
낚시용품을 보관할 때에는 케이스(10)를 개방하여 낚시바늘(87), 낚시줄(89), 찌(88) 등 비교적 작은 크기의 낚시용품을 보관함(12, 14, 16)에 수납하고, 낚시대보관함(50)에 낚시대(82)를 수납하고, 낚시대(82)를 지지하는 받침대(84, 86)를 거치대(70)에 걸어 낚시대보관함(50)에 결합한 후에 낚시대보관함(50)을 케이스(10) 내부에 수납한다.
이렇게 비교적 부피가 큰 낚시대(82)와 받침대(84, 86)는 각각 낚시대보관함(50)과 거치대(70)에 의해 수납되고, 비교적 부피가 작은 낚시용품은 보관함(12, 14, 16)에 수납되므로 이동 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낚시용품들이 접촉되거나 충돌되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보관함(12, 14, 16)은 하나의 제1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1보관함(12)과, 제1수납공간과 비교하여 작고 다수 개의 제2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2보관함(14)과, 제2수납공간과 비교하여 작고 다수 개의 제3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3보관함(16)을 포함한다.
이렇게 다양한 크기의 보관함(12, 14, 16)이 구비되므로 낚시용품의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른 공간에 낚시용품을 수납할 수 있어 낚시용품의 정리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고, 크기나 재질이 다른 낚시용품들이 서로 접촉되면서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가장 큰 수납공간을 이루는 제1보관함(12)에는 떡밥이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보관함(14) 및 제3보관함(16)에는 비교적 부피가 작은 낚시바늘(87), 낚시줄(89) 및 봉돌 등의 낚시용품이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보관함(14)에는 제2수납공간을 이루는 다수 개의 수납부(24, 26, 28)가 구비되고, 수납부(24, 26, 28)에는 다수 개의 수납부(24, 26, 28)를 계단 모양으로 개폐시키는 연결부재(20a)와, 하단에 배치되는 제3수납부(28)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부(20b)와, 수납부(24, 26, 28)를 개폐하는 투명재질의 덮개(24a)가 설치된다.
수납부(24, 26, 28)는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적층되는 제1수납부(24), 제2수납부(26) 및 제3수납부(28)를 포함하고, 제1수납부(24), 제2수납부(26) 및 제3수납부(28)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20a)가 설치된다.
제1수납부(24) 및 제2수납부(26)의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긴 연결부재(20a)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수납부(24), 제2수납부(26) 및 제3수납부(28)의 양측면에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연결부재(20a)가 설치되며, 제2수납부(26) 및 제3수납부(28)의 양측면에 연결부재(20a)가 설치된다.
상기한 3개의 연결부재(20a)는 제1수납부(24), 제2수납부(26) 및 제3수납부(28)가 적층된 상태에서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단에 배치되는 제1수납부(24)를 상측으로 상승시키면 연결부재(20a)가 회전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수납부(24), 제2수납부(26) 및 제3수납부(28)는 서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계단 모양으로 배치된다.
이때, 제1수납부(24), 제2수납부(26) 및 제3수납부(28) 사이에는 형성되는 간격에 의해 제1수납부(24), 제2수납부(26) 및 제3수납부(28)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의 수납부(24, 26, 28)는 3개의 수납부(24, 26, 28)를 동시에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납부(24, 26, 28)에 보관된 낚시용품 전체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낚시용품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제2보관함(14)의 상면에는 낚시대보관함(50)이 삽입되는 안착부(22)가 형성되고, 케이스(10)에는 낚시대보관함(50)을 구속하는 고정대(18)가 설치된다.
따라서 낚시대(82)를 수납할 때에는 낚시대보관함(50)에 낚시대(82)를 수납하고 낚시대보관함(50)을 안착부(22)에 삽입하면 낚시대(82)와 받침대(84, 86)를 동시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착부(22)는 케이스(10)에 설치되는 지지봉(2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낚시대보관함(50)을 안착부(22)에 수납하거나 분리할 때에 안착부(22)가 전방으로 회전되면서 낚시대보관함(50)을 용이하게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받침대(84, 86)는 낚시대(82)의 하단을 지지하는 뒷받침대(84)와, 낚시대(82)의 중앙 측을 지지하는 앞받침대(86)가 있는데, 거치대(70)에는 앞받침대(86) 또는 뒷받침대(84)가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짧은 뒷받침대(8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대(18)는 케이스(10)의 내벽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낚시대보관함(50)을 지지하는 제1고정부(18a)와, 앞받침대(86)를 거치하는 제2고정부(18b)가 설치된다.
따라서 뒷받침대(84)가 고정된 거치대(70)와 낚시대(82)가 수납된 낚시대보관함(50)은 제1고정부(18a)에 삽입되어 유동되지 않게 수납되고, 앞받침대(86)는 제2고정부(18b)에 거치된다.
하나의 낚시대(82)를 물가에 설치할 때에는 각각 하나의 앞받침대(86)와 뒷받침대(84)가 설치되므로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는 안착부(22), 제1고정부(18a) 및 제2고정부(18b)는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낚시대보관함(50)에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5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낚시대(82)가 수납되는 제1수납공간(50a)과 찌(88)가 수납되는 제2수납공간(50b)이 형성되므로 낚시대(82)와 찌(88)가 서로 다른 공간에 수납된다.
제1수납공간(50a)의 외벽에는 낚시줄(89)을 거치대(70) 측으로 연장시키기 위한 통과홀부(54)가 형성되므로 낚시줄(89)이 연결된 낚시대(82)를 제1수납공간(50a)에 수납하고 통과홀부(54)를 통해 낚시줄(89)을 외부로 연장시켜 거치대(70)에 권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낚시대보관함(50)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54a)에는 거치대(70)에 걸리는 뒷받침대(84)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리에 삽입되어 뒷받침대(84)가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고정돌기(56)가 형성되므로 거치대(70)에 걸리는 뒷받침대(84)가 거치대(70) 및 낚시대수납함(5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여기서, 거치대(70)는 낚시대보관함(50)을 제작하는 사출공정이 진행될 때에 낚시대보관함(50)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낚시대보관함(50)과 거치대(70)가 분리되지 않게 된다.
거치대(70)는 수직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낚시대보관함(50)의 외벽에 일체로 형성되며 뒷받침대(84)가 지지되는 거치부(72, 74)와, 거치대(70)와 거치부(72, 74) 사이에 형성되고 낚시줄(89)이 감기는 권취부(76, 78)가 형성된다.
거치부(72, 74)는 봉 모양으로 형성되는 뒷받침대(84)를 거치할 수 있도록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거치대(7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거치부(72)와, 뾰족한 형상의 뒷받침대(86)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 모양으로 형성되고 거치대(7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거치부(74)를 포함한다.
뒷받침대(86)를 거치할 때에는 뒷받침대(86)의 하단을 제2거치부(74)에 삽입한 후에 뒷받침대(86)의 상측을 제1거치부(72) 내측으로 가압하면 제1거치부(72)가 외측 방향으로 소정량 변형되면서 뒷받침대(86)가 제1거치부(72)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뒷받침대(84)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리에는 낚시대보관함(50)의 커버(54a)에 형성되는 고정돌기(56)가 삽입되므로 거치대(70)에 수납되는 뒷받침대(84)를 구속하게 된다.
또한, 거치부(72, 74)의 일측에는 거치대(70)와 거치부(72, 74)를 연결하는 권취부(76, 78)가 형성되고, 권취부(76, 78)는 제1거치부(72)와 거치대(70)를 연결하는 제1권취부(76)와, 제2거치부(74)와 거치대(70)를 연결하는 제2권취부(78)를 포함한다.
제1권취부(76)와 제2권취부(78)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므로 통과홀부(54)를 통해 낚시대보관함(50) 외부로 연장되는 낚시줄(89)을 제1권취부(76)와 제2권취부(78)에 감아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제1권취부(76)와 제2권취부(78)는 낚시대보관함(50)의 길이와 유사한 거리의 간격을 유지하므로 제1권취부(76)와 제2권취부(78)에 감기는 낚시줄(89)은 직선으로 배치되는 구간이 대부분이며 곡선으로 감겨서 보관되는 구간이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낚시대(82)에 설치된 상태로 보관되는 낚시줄(89)을 다시 사용하여도 낚시줄(89)이 곡선으로 변형된 구간이 짧으므로 낚시줄(89)의 재사용이 용이하고, 변형 및 복원이 반복되면서 낚시줄(89)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거치부(72, 74) 및 권취부(76, 78)에 접착제가 도포되면 뒷받침대(86)가 거치부(72, 7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권취부(76, 78)에 감긴 낚시줄(89)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거치부(76)와 제2거치부(78) 사이에 배치되는 거치대(70) 정면에는 합성수지재질의 패드(79)가 설치되므로 낚시줄(89)을 권취부(76, 78)에 감은 후에 낚시줄(89) 단부에 연결된 낚시바늘(87)을 패드(79)에 꽂아 보관할 수 있다.
물론, 낚시대(82)에 설치하지 않은 대체용 낚시줄(89) 및 낚시바늘(87)은 제2보관함(14) 또는 제3보관함(16)에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낚시대(82)에 설치되어 사용되었던 낚시줄(89)과 낚시바늘(87)은 상기한 바와 같이 권취부(76, 78)에 감고 패드(79)에 꽂아 보관할 수 있다.
케이스(10)에는 장축낚시대보관함(90)이 설치되는 장축안착부(9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장축낚시대에 설치되는 릴(85)이 거치되는 릴보관부(100)가 구비된다.
케이스(10)는 두 개의 부재가 잠금장치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공간을 이루고, 둘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낚시대보관함(50) 및 보관함(12, 14, 16)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부재에는 장축안착부(9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장축안착부(92)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케이스(10) 내벽에 고정부(94)가 설치되므로 장축낚시대보관함(90)의 하단은 장축안착부(92)에 삽입되고, 장축낚시대보관함(90)의 중앙부는 고정부(94)에 의해 지지된다.
장축낚시대보관함(90)은 케이스(1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길게 배치되어 낚시대보관함(50)과 비교하여 길게 형성되므로 릴(85)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장축낚시대가 수납될 수 있다.
물론, 장축낚시대보관함(90)도 낚시대보관함(50)과 그 내부 구조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장축낚시대, 찌, 낚시줄 및 낚시바늘을 보관할 수 있다.
장축낚시대보관함(90)이 삽입되는 장축안착부(92)도 케이스(10)에 설치되는 지지봉(2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장축낚시대보관함(90)을 용이하게 수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릴보관부(100)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기둥(102)과, 기둥(102)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릴(85)의 다리를 구속하는 고정링(104)을 포함한다.
고정링(104)은 릴(85)의 다리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므로 한 쌍의 고정링(104)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면서 홈부에 릴(85)의 다리를 삽입하면 릴(85)이 다른 릴(85)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방을 밝히는 발광부(30)를 더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야간에 낚시를 행할 때에 낚시를 위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고, 케이스(10) 내부도 밝힐 수 있으므로 낚시용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발광부(30)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광원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와, 전기에너지의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이는 당업자가 용하게 실시하거나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구성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케이스(10)의 저면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 개의 다리(11)가 설치되므로 경사면에 케이스(10)를 설치할 때에 다리(11)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케이스(1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낚시를 시작할 때에는 케이스(10)를 개방하여 제1고정부(18a)와 안착부(22)로부터 낚시대보관함(50)을 꺼내어 낚시대보관함(50)으로부터 낚시대(82)를 꺼낸다.
이후에, 제2보관함(14)을 당기면 받침부(20b)가 돌출되면서 제1수납부(24), 제2수납부(26) 및 제3수납부(28)가 돌출되고, 제1수납부(24)를 상측으로 상승시키면 연결부재(20a)가 회전되면서 제2수납부(26) 및 제3수납부(28)가 개방된다.
이때, 제1수납부(24)는 덮개(24a)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지만 덮개(24a)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수납부(24), 제2수납부(26) 및 제3수납부(28)에 담겨진 낚시용품 전체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2수납부(26) 및 제3수납부(28)에도 투명재질의 덮개(24a)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2수납부(26) 및 제3수납부(28)의 상단에 각각 제1수납부(24) 및 제2수납부(26)가 적층되므로 덮개(24a)를 생략하여도 수납된 낚시용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보관함(14) 및 제3보관함(16)으로부터 꺼낸 낚시줄(89), 낚시바늘(87) 및 찌(88) 등의 낚시용품을 낚시대(82)에 설치하고, 제1보관함(12)으로부터 떡밥을 꺼내 낚시바늘(87)에 꿰어 낚시를 행하게 된다.
낚시대(82)를 물가에 설치할 때에는 거치대(70)와 제2고정부(18b)로부터 분리한 받침대(84, 86)를 낚시대(82)와 연결하여 낚시대(82)가 수평을 이루도록 물가에 설치한다.
낚시를 종료하여 낚시용품을 케이스(10)에 수납할 때에는 낚시대(82)의 길이를 줄여서 낚시대보관함(50)의 제1수납공간(50a)에 수납하고 낚시줄(89)로부터 분리한 찌(88)는 제2수납공간(50b)에 수납한다.
낚시대(82)에 연결된 낚시줄(89)은 통과홀부(54)를 통해 낚시대보관함(50) 외부로 연장되게 한 후에 제1권취부(76)와 제2권취부(78)에 감고, 낚시줄(89)을 모두 감은 후에는 낚시줄(89) 단부에 연결된 낚시바늘(87)을 패드(79)에 꽂아 보관한다.
낚시대(82), 찌(88), 낚시줄(89) 및 낚시바늘(87)의 수납이 완료된 후에는 낚시대보관함(50)에 커버(54a)를 씌우고, 제1거치부(72) 및 제2거치부(74)에 뒷받침대(84)를 거치시킨다.
이후에, 낚시대보관함(50)의 하단을 안착부(22)에 삽입하고 제1고정부(18a) 방향으로 가압하면 제1고정부(18a)가 외측으로 변형되면서 낚시대보관함(50) 및 거치대(70)의 수납이 완료된다.
제1고정부(18a)는 낚시대보관함(50) 및 거치대(70)의 둘레를 감싸고 내측 방향으로 복원력이 생성되므로 케이스(10) 이동 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낚시대보관함(50) 및 거치대(70)가 안착부(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앞받침대(86)는 제2고정부(18b)에 거치시켜 보관하고, 나머지 낚시용품들은 제2보관함(14) 및 제3보관함(16)에 수납하며, 낚시대보관함(50)과 케이스(10) 사이의 공간 등 여분의 공간에 낚시의자 등과 같이 비교적 부피가 큰 낚시용품을 수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보관함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보관함 받침부 사용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보관함 개방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보관함이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은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보관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제2보관함(114)에는 다수 개가 적층되는 수납부(124, 126, 128)가 구비되고, 수납부(124, 126, 128)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부(120)와, 수납부(124, 126, 128)를 개폐하는 덮개(122)가 설치된다.
수납부(124, 126, 128)는 각각 투명재질의 덮개(122)가 설치되고 받침부(12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수납부(124), 제2수납부(126) 및 제3수납부(128)를 포함한다.
제2보관함(114)의 전방 상부에는 제1수납부(124) 및 제2수납부(126)가 제3수납부(128)에 적층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1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수납부(124), 제2수납부(126) 및 제3수납부(128)가 적층된 상태에서는 제1수납부(124) 및 제2수납부(126)는 제2보관함(114)의 외부로 이동될 수 없고 제3수납부(128)만 제2보관함(114) 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보관함(114)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출몰되는 받침부(120)가 설치되므로 받침부(120)를 전방으로 돌출시킨 후에 제3수납부(128)를 당기면 제3수납부(128)가 받침부(120)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방된다.
제3수납부(128)가 전방으로 돌출되면 제3수납부(128)의 상면에 적층되었던 제2수납부(126) 및 제1수납부(124)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수납부(124) 및 제2수납부(126)는 걸림부(130)에 걸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제2보관함(114)의 내벽과 제1수납부(124) 및 제2수납부(126)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에 의해 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 유지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부재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방향을 이루면서 승강되게 하는 가이드부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술구성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수납부(128)를 받침부(120)를 따라 돌출시키면 제1수납부(124)와 제2수납부(126)가 하강하고, 제2수납부(126)를 받침부(120)를 따라 돌출시키면 제1수납부(124)가 하강하고, 제1수납부(124)를 받침부(120)를 따라 돌출시키면 제1수납부(124), 제2수납부(126) 및 제3수납부(128)가 일렬로 나란히 개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명재질의 덮개(122)를 통해서 제1수납부(124), 제2수납부(126) 및 제3수납부(128)에 담겨진 낚시용품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1수납부(24 : 도 3 참조), 제2수납부(26 : 도 3 참조) 및 제3수납부(24 : 도 3 참조)가 계단 모양으로 배치되는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보다 쉽게 낚시용품을 찾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수납부(124) 및 제2수납부(126)에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수납부(129)가 설치되므로 자주 사용하는 낚시용품을 보조수납부(129)에 보관하여 제1수납부(124), 제2수납부(126) 및 제3수납부(128)를 개방하지 않고 보조수납부(129)만을 개방하여 쉽게 낚시용품을 꺼낼 수 있다.
또한, 수납부(124, 126, 128)의 배면에는 후방에 배치되는 수납부(124, 126, 128)가 슬라이딩되면서 상승되도록 하는 곡면부(132)가 형성되므로 수납부(124, 126, 128)의 상승 및 하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다양한 종류의 낚시용품을 수납할 수 있고 이동 중에 낚시용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낚시용품을 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낚시용 가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낚시용 가방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낚시용 가방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가방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케이스 12 : 제1보관함
14 : 제2보관함 16 : 제3보관함
18 : 고정대 22 : 안착부
24 : 제1수납부 26 : 제2수납부
28 : 제3수납부 30 : 발광부
50 : 낚시대보관함 52 : 격벽
54 : 통과홀부 56 : 고정돌기
70 : 거치대 72 : 제1거치부
74 : 제2거치부 76 : 제1권취부
78 : 제2권취부 79 : 패드
82 : 낚시대 84 : 뒷받침대
86 : 앞받침대 88 : 찌
89 : 낚시줄

Claims (13)

  1. 복수 개의 보관함을 구비하는 케이스;
    낚시대를 수납하고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낚시대보관함; 및
    상기 낚시대보관함에 구비되고 받침대가 고정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은,
    하나의 제1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1보관함;
    상기 제1수납공간과 비교하여 작고 다수 개의 제2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2보관함; 및
    상기 제2수납공간과 비교하여 작고 다수 개의 제3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제3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가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관함에는 제2수납공간을 이루는 다수 개의 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부에는 다수 개의 상기 수납부를 계단 모양으로 개폐시키는 연결부재와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수납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는 투명재질의 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가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관함의 상면에는 상기 낚시대보관함이 삽입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낚시대보관함을 구속하는 고정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가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지지봉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가방.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에는 상기 낚시대보관함을 지지하는 제1고정부와, 앞받침대를 거치하는 제2고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가방.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관함에는 다수 개가 적층되는 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는 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가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수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가방.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배면에는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수납부가 슬라이딩되면서 상승되도록 하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가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보관함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제1수납공간과 제2수납공간을 이루고, 상기 제1수납공간의 외벽에는 상기 거치대가 일체로 형성되고, 낚시줄을 상기 거치대 측으로 연장시키기 위한 통과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가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는 뒷받침대가 지지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대와 상기 거치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낚시줄이 감기는 권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가방.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장축낚시대보관함이 설치되는 장축안착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축낚시대에 설치되는 릴보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가방.
  13. 제1항에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전방을 밝히는 발광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가방.
KR1020100043684A 2010-05-10 2010-05-10 낚시용 가방 KR101227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684A KR101227412B1 (ko) 2010-05-10 2010-05-10 낚시용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684A KR101227412B1 (ko) 2010-05-10 2010-05-10 낚시용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095A true KR20110124095A (ko) 2011-11-16
KR101227412B1 KR101227412B1 (ko) 2013-01-29

Family

ID=4539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684A KR101227412B1 (ko) 2010-05-10 2010-05-10 낚시용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4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9865A (zh) * 2013-07-12 2013-10-02 贵阳学院 一种钓鱼用的海竿竿包
KR101481025B1 (ko) * 2014-09-11 2015-01-15 김기범 낚시용품 수납장
WO2016111462A1 (ko) * 2015-01-05 2016-07-14 김기범 회전형 낚시용품 수납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819B1 (ko) 2014-03-03 2014-08-26 오상기 휴대용 낚시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2359Y2 (ja) * 1993-12-28 1997-04-16 秀男 三土手 腰掛け兼用竿受け、釣具釣り餌収容箱
JP2005198508A (ja) * 2004-01-13 2005-07-28 Daiwa Seiko Inc 釣り竿ケ−ス
KR200391468Y1 (ko) * 2005-05-09 2005-08-02 홍성욱 낚시대 보관 케이스
KR200420101Y1 (ko) * 2006-03-24 2006-06-28 강영순 낚시용 태클박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9865A (zh) * 2013-07-12 2013-10-02 贵阳学院 一种钓鱼用的海竿竿包
KR101481025B1 (ko) * 2014-09-11 2015-01-15 김기범 낚시용품 수납장
WO2016039524A3 (ko) * 2014-09-11 2016-05-19 김기범 낚시용품 수납장
CN107072185A (zh) * 2014-09-11 2017-08-18 金起范 渔具收纳柜
WO2016111462A1 (ko) * 2015-01-05 2016-07-14 김기범 회전형 낚시용품 수납장
CN107105636A (zh) * 2015-01-05 2017-08-29 金起范 回转型钓鱼用品收纳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412B1 (ko) 201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412B1 (ko) 낚시용 가방
US20160263740A1 (en) Cablie tie organizer
CN108082052A (zh) 皮卡车储物箱
KR200454206Y1 (ko) 낚시용품 거치대
US8118168B2 (en) Portable cabinet and storage caddy for holiday, hobbies and crafts
KR100807800B1 (ko) 와이어 공급 장치
KR101481025B1 (ko) 낚시용품 수납장
KR20130119039A (ko) 낚싯대용 거치대
US20140339183A1 (en) Spool Thread Organizer
KR200474939Y1 (ko) 전선 풀림 장치
KR101237701B1 (ko) 가변적 수납공간이 구비된 욕실수납장
US3305190A (en) Spool and bobbin caddy
KR20130011439A (ko) 가방 및 그 용품
KR200487174Y1 (ko) 다용도 모니터 선반
KR101434819B1 (ko) 휴대용 낚시 케이스
KR101555806B1 (ko)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JPH034213Y2 (ko)
KR101568907B1 (ko)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70085243A (ko) 코디용 보조걸이대를 구비한 옷장
US11737442B2 (en) Tackle box having an item retention feature
KR102292588B1 (ko) 의류 세로 수납 장치
CN108497730A (zh) 一种便于安装的收纳架
CN211468476U (zh) 一种纺织专用车架
KR20120102246A (ko) 이동형 링거대용 선반
CN214892033U (zh) 制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