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3330A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3330A
KR20110123330A KR1020100042762A KR20100042762A KR20110123330A KR 20110123330 A KR20110123330 A KR 20110123330A KR 1020100042762 A KR1020100042762 A KR 1020100042762A KR 20100042762 A KR20100042762 A KR 20100042762A KR 20110123330 A KR20110123330 A KR 20110123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t
filter
water
dry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9392B1 (ko
Inventor
김동현
이상익
김정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2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39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고 청소된 린트와 물을 분리함으로써 린트 박스의 청소 주기를 연장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지나가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 상에 설치되며, 포집된 린트를 자동으로 청소하고 청소된 린트에 물을 분사해 린트를 압축시키는 필터어셈블리;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청소된 린트가 적층되는 린트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조기{drying device}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고 청소된 린트와 물을 분리함으로써 린트 박스의 청소 주기를 연장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통상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와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를 포함한다.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물 수용부를 갖는다. 상기 세탁물 수용부로 건조공기를 공급하고, 세탁물 수용부 내의 습 공기를 배기시키는 과정을 거쳐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진다.
건조기는 세탁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세탁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세탁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이러한 건조기는 또한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물 수용부의 형태에 따라 나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비닛 타입 건조기와 드럼 타입 건조기가 있다.
상기 캐비닛 타입 건조기는 세탁물이 옷걸이 등을 통해 세탁물 수용부 내부에 걸려 있거나, 선반 등을 통해 뉘여 있게 된다.
상기 드럼 타입 건조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기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건조기에서 건조 대상물의 건조에 사용된 공기중에는 린트(lint)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린트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상에 설치된 린트 필터에 의해 걸러진다.
그런데 종래에는 건조 행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매번 린트 필터를 꺼내 린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오랜 시간 린트 필터를 청소하지 않는 경우 풍량이 줄어들어 건조 효율이 저하되고 원활한 풍량이 확보되지 않으면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고 청소된 린트와 물을 분리함으로써 린트 박스의 청소 주기를 연장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지나가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 상에 설치되며, 배출되는 공기의 린트를 포집하여 포집된 린트를 청소하고 청소된 린트에 수분을 공급해 린트를 압축시키는 필터어셈블리;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청소된 린트가 적층되는 린트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일측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을 중심으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린트 포집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바디와, 상기 필터 바디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원형의 필터부와, 상기 필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를 청소하는 필터청소부와, 상기 필터청소부에 적층된 린트에 물 또는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린트 박스는 상기 필터 바디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린트 박스는 길이 방향 일측이 상기 필터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린트 박스는 린트 및 물이 수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필터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린트 박스의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부와 배수부는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부와 배수부의 사이에는 메쉬가 결합되어 린트를 제외한 물만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배수부에 연결되어 상기 린트박스 내부의 물을 펌핑하는 펌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부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는 린트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적절한 건조 풍량을 항상 유지할 수 있어 건조 성능이 향상되고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에 따른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린트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고 물을 이용해 압축한 후 린트와 물을 분리함으로써 린트 박스의 청소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건조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주요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린트 박스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배기식 건조기나 응축식 건조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 등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배기식 건조기는 외부 공기를 가열하여 드럼 내로 공급하고, 드럼 내에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된 후 습해진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건조기이다.
응축식 건조기는 드럼 내에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킨 습한 공기를 응축기 또는 히트펌프 모듈을 통해 제습한 후 가열하여 다시 드럼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건조기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응축식 건조기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하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용 건조기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며,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컨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된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20)과, 드럼(20)의 개방된 전방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런트 서포터와, 드럼(20)의 후방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저널 베어링부재(24)와, 드럼(2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60)로 구성된다.
또한, 건조기에는 프런트 서포터(30)에 연결된 배출덕트(50)와, 캐비닛(10)의 후면으로 연결되어 드럼(20)에 연통되는 공급 덕트(40)와, 배출덕트(50) 내에 설치되어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송풍팬(52)과, 공급 덕트(40) 상에 설치되어 외기를 가열하는 히터(42)가 구비된다.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고 습해진 공기는 응축기(70)를 통해 제습되며, 응축기(70)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배수펌프 어셈블리(80)에 의해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된다. 응축기(70)의 일측에는 응축기(70)의 냉각을 위한 냉각팬(72) 및 구동모터(60)가 설치된다.
캐비닛(10)의 전방에는 드럼(20)의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21a)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된 부분은 도어(15)에 의해 개폐된다.
프런트 서포터(30) 및 저널 베어링부재(24)는 드럼(20)의 전방 및 후방을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드럼(20)의 전방 상부 또는 하부는 롤러(90) 등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드럼(20)이 회전하더라도 프런트 서포터(30)는 회전하지 않고 캐비닛(10) 내측에 고정된다.
또한, 저널 베어링부재(24) 역시 캐비닛(10)의 내측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으며, 저널 베어링부재(24)의 내측에 설치된 베어링을 중심으로 드럼(20)이 상대 회전하게 된다.
프런트 서포터(30)의 하측에는 배출덕트(50)가 연결되고, 배출덕트(50) 내에는 송풍팬(52)이 설치되어 건조가 완료된 후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배출덕트(50)의 일단은 프런트 서포터(30)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 덕트(40)와 연통된다. 프런트 서포터(30)와 배출덕트(50)의 연결 부위에는 건조 후 드럼(20)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1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100)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송풍팬(52)은 모터(60)에 직결되어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킨다.
캐비닛(10)의 후방에는 다수의 관통홀(10a)이 형성되고, 배출덕트(50)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를 드럼(20)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덕트(40)가 연결된다. 공급 덕트(4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다른 곳으로 유출되지 않고 드럼(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후방 내측면과 드럼(20)의 후방 외측면 사이에는 커버(22)가 장착된다.
드럼(20)의 후방에도 공기 연통을 위한 다수의 통기홀(20b)이 형성되며, 캐비닛(10)에 형성된 관통홀(10a)과 드럼(20)에 형성된 통기홀(20b)은 커버(22)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홀(10a)과 통기홀(20b)이 커버(22)의 내측에 위치해야 공급 덕트(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드럼(20) 내부로 바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급 덕트(40) 상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42)가 설치된다.
히터(42)는 건조 완료 후 송풍팬(52)에 의해 순환된 습한 공기가 후술할 응축기(70)를 통과해 제습된 후 공급 덕트(40)로 유입되면, 유입된 건조 공기를 가열한다. 건조된 공기는 히터(42)에 의해 가열되어 공급 덕트(40)를 통해 드럼(20)에 재공급된다.
즉, 드럼(20)이 회전하면서 드럼(20) 내부의 공기가 송풍팬(52)에 의해 배출덕트(50)를 통해 배기되면, 공급 덕트(40)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드럼(20)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이때 가열된 공기가 공급 덕트(40)를 통해 드럼(2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히터(42)는 공급 덕트(40)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단이나 공급 덕트(4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60)는 두 개의 회전축을 구비하며, 하나의 회전축은 송풍팬(52)과 연결되어 송풍팬(52)을 구동한다. 모터(60)의 다른 하나의 회전축은 풀리(62)에 결합되어 풀리(62)를 회전시킨다. 풀리(62)는 벨트(64)로 드럼(20)과 연결되므로, 벨트(64)의 회전에 의해 드럼(20)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70)는 배출덕트(50)와 공급 덕트(40)의 사이에 설치되어 배출덕트(50)를 통해 배기되는 습한 공기를 제습하여 공급 덕트(4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응축기(70)는 공냉식 또는 수냉식 응축기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공냉식 응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조 후 습해진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차가운 외기를 응축기로 공급함으로써 열효환을 통해 습기를 응축시키게 된다. 수냉식 응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매 또는 냉각수를 응축기로 공급함으로써 열교환을 통해 습기를 응축시키게 된다.
공냉식 또는 수냉식 응축기의 사용시 발생하는 응축수는 배수펌프 어셈블리(80)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공냉식 응축기를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공냉식 응축기(70)가 사용되는 경우, 열교환에 의해 건조 후 습해진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캐비닛(10)의 외부로부터 차가운 공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 덕트(40)가 구비되어 그 일측이 응축기(7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모터(60) 및 송풍팬(5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외기공급 덕트(40)는 캐비닛(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되고, 일단이 응축기(70)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건조 행정이 계속되면 필터 어셈블리(100)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적층된다. 오랜 시간 린트 필터를 청소하지 않는 경우 풍량이 줄어들어 건조 효율이 저하되고 원활한 풍량이 확보되지 않으면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건조기의 사용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매번 린트 필터를 꺼내 린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자동으로 린트 필터를 청소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풍량 확보 및 온도 과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필터어셈블리(100)가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지나가는 배출덕트(50) 상에는 필터어셈블리(100)가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어셈블리(100)는 필터 바디(110)와, 필터 바디(11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필터부(120)와, 필터부(120)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필터청소부(130)와, 필터청소부(130)에 적층된 린트에 물 또는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44)로 구성된다.
필터 바디(110)는 일측에 공기 유입구(111a)가 형성되고, 공기 유입구(111a)에 대향되는 타측을 중심으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린트 포집 공간이 형성된다. 즉, 전면(112)과 후면(114), 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측면(116)과 하면(118)으로 형성된다. 전면(112)에 필터부(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112)이 양측면(116)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개폐된다(편의상 공기가 빠져나가는 면을 필터 바디의 정면, 이에 대향되는 면을 후면, 공기 유입구 쪽을 상측, 반대쪽을 하측이라고 정의하기로 함).
공기 유입구(111a)가 형성된 필터 바디(110)의 상부는 결합 부위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공기 유입구(111a)를 통해 필터 바디(110)로 유입되어 필터 바디(110)의 전면(112)에 형성된 필터부(120)는 적어도 필터 바디(110)의 전면(112)에 일체로 형성되며, 추가적으로 필터 바디(110)의 후면(114)에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120)가 양면에 형성될 경우 한족으로만 공기가 빠져나가는 경우 보다 풍량 확보에 유리하여 건조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
필터부(120)는 필터 바디(110)에 고정된 형태 또는 필터부(120)가 회전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120)가 고정된 형태인 경우에는 후술할 필터청소부(130)가 필터부(120)에 달라붙은 린트를 청소하며, 필터부(120)가 회전하는 형태인 경우에는 린트 분리를 위한 린트 분리를 위한 별도의 구조가 구비되어 필터부(120)가 회전할 때 필터부(120)로부터 린트를 분리시킨다(이하에서는 편의상 필터부가 고정된 형태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필터부(120)를 통해 린트가 제거된 공기가 빠져나가면 린트는 필터부(120)에 달라붙어 있는 상태로 서서히 적층되며, 이를 자동으로 청소하기 위해 필터 바디(110)의 내측에는 필터청소부(130)가 설치된다. 필터 청소부는 포집된 린트에 수분을 공급하여 린트를 하강 및 압축시킨다(여기서 수분은 물, 스팀, 또는 미스트 등 다양한 형태를 모두 포함함). 즉, 청소된 린트는 분사노즐(144)을 통해 분사된 물 또는 스팀에 의해 압축되어 낙하할 수 있다.
필터청소부(130)는 필터부(120)에 접촉하여 린트를 청소하는 브러쉬(132)와, 브러쉬(13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34)와, 브러쉬(132)에 의해 청소된 린트가 모이는 스토퍼(136)로 구성된다.
구동모터(134)는 구동모터(134)에 연결된 원동축 기어(미도시)와, 브러쉬(132)에 결합되며 원동축 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축 기어(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브러쉬(132)의 회전시 토크 보다는 속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원동축 기어에 대한 종동축 기어의 기어비는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동축 기어가 원동축 기어에 비해 훨씬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원동축 기어의 1회전시 종동축 기어는 수회 회전할 수 있다.
구동모터(134)의 회전력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어 구조 외에도 풀리 및 벨트의 구조나 체인 구조, 또는 마찰차를 이용하는 방법 등에 의해 필터부(브러쉬)에 전달될 수 있다.
브러쉬(132)가 회전하면서 브러쉬(132)의 솔이 필터부(120)에 부착된 린트를 긁어 모은 상태에서 회동하여 스토퍼(136)로 린트를 이동시킨다.
스토퍼(136)는 브러쉬(132)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하며, 브러쉬(132)가 스토퍼(136)에 린트를 끌고 와 린트는 스토퍼(136)의 표면에 남고 브러쉬(132)만 다시 회동한다. 린트의 용이한 분리를 위해 스토퍼(136)의 표면에는 톱니와 같은 기어 이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스토퍼(136)의 표면에 적층된 린트는 분사노즐(144)을 통해 분사되는 물 또는 스팀을 흡수하여 압축됨으로써 부피가 감소하고 무게가 커져 쉽게 낙하할 수 있어 스토퍼(136)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분사된 물 또는 스팀을 흡수해 무거워진 린트는 필터 바디(1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린트 박스(142)로 낙하하여 적층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린트 박스(142)는 필터 바디(110)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물이나 스팀에 젖어 무거워진 린트가 자중에 의해 떨어지면 떨어진 린트를 수납한다. 따라서 린트 박스(142)는 사용자가 린트 박스(142)를 비울 때 젖은 린트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끄럽게 코팅 처리되거나 표면이 매끄럽게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인 린트는 수분에 의해 한곳에 뭉쳐있지 않고 린트 박스(142) 바닥에 골고루 퍼지게 된다. 건조기의 작동 중 필터어셈블리(100)로 뜨거운 공기가 계속 공급되고 린트는 직수 또는 응축수에 의해 젖으므로 온도차이에 의해 린트 박스(142)에 응축에 따른 수분이 맺힐 수 있다. 따라서 젖은 린트는 분사노즐(144)을 통해 분사되는 물과 응축수에 의해 린트 박스(142) 일측에 몰려서 쌓이지 않고 물에 의해 퍼질 수 있게 된다.
린트 박스(142)는 길이 방향의 일측이 필터 바디(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필터 바디(110)의 하측에 대응되는 부분에 수납부(142a)가 형성되고, 돌출된 부분에 배수부(142b)가 형성된다. 필터 바디(110)가 결합되는 린트 박스(142)의 상부는 커버(142d)가 결합되며, 커버(142d)는 필터 바디(110)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일부가 개구된 형태를 갖는다.
수납부(142a)는 린트 박스(142) 내부 공간으로, 필터부(120)에서 분리되어 젖은 상태로 낙하하는 린트 및 물, 응축수 등이 수용된다. 수납부(142a)의 일측 단부에 메쉬 격벽(142c)에 의해 구획된 배수부(142b)가 형성된다.
배수부(142b)는 린트 박스(142)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가 필터 바디(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되며, 메쉬 격벽(142c)에 의해 수납부(142a)와 구획된 형태로 수납부(142a)와 연통된다. 즉, 메쉬 격벽(142c)에 의해 물만 연통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수납부(142a)와 배수부(142b)가 메쉬 격벽(142c)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수납부(142a) 쪽의 물은 배수부(142b) 쪽으로 이동이 가능하나(그 반대로의 이동도 가능함), 린트는 메쉬 격벽(142c)를 통과하지 못해 수납부(142a) 쪽에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부(142b)에는 물만 고여있게 된다.
린트 박스(142) 내부에 어느 정도 물이 차게 되면 누수 방지를 위해 린트 박스(142)를 비워주거나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린트 박스(142)를 비울 때 린트는 소량이고 물의 양만 많은 경우 린트 박스(142)를 비우게 되면 린트 박스(142)의 청소 주기가 짧아져 사용자의 불편함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린트 박스(142) 내부의 물을 린트 박스(142) 외부로 배수시키고 린트만을 수납하도록 함으로써 린트 박스(142)의 청소 주기를 늘려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수부(142b)에는 수위 감지를 위한 수위센서(142d)가 설치되며, 배수부(142b)로부터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핑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수위센서(142d)는 배수부(142b)의 내벽에 설치되며, 수위값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배수부(142b)의 수위가 소정 수위에 도달하면 펌핑부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펌핑 시점에 해당되는 수위값은 건조기의 출시 전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건조기의 마이컴에서 수위센서(142d)의 감지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펌핑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펌핑부는 배수부(142b)를 통해 물을 펌핑하여 린트 박스(142)의 외부로 배수하며, 배수된 물은 캐비닛()의 외부로 바로 배수될 수도 있고, 히트펌프 모듈(30)에서 응축수 재사용 사이클로 공급되어 재사용될 수도 있다.
펌핑부는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와, 배수부(142b)에 연결되는 연결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린트 박스(142)가 린트를 청소할 때 사용자에 의해 필터 바디(110)로부터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연결관은 린트 박스(142)가 결합된 상태에서 배수부(142b)의 내측에 삽입되고 린트 박스(142)가 분리되면 배수부(142b)로부터 이탈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배수부(142b)의 상측은 연결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린트를 압축시키고 린트 박스(142) 내부에서 린트가 골고루 퍼지도록 하는 물과 응축수는 적정 수위가 되면 펌핑부에 의해 배수되므로 린트 박스(142) 내부에는 린트만 남게 되고, 수분이 증발하면 압축된 상태의 린트만 남게 된다.
따라서 수분이 있을 때 보다 린트 박스(142)의 청소 주기가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필터어셈블리에 의해 사용자는 건조기의 작동 완료 후 매번 필터를 청소하지 않아도 되며, 주기적으로 린트 박스를 분리하여 압축된 린트를 버려주면 된다. 즉, 기존의 린트 필터 사용시 건조기 작동시마다 린트를 청소해야 했다면, 본 발명의 경우 건조기 10회 작동이나 20회 작동 후에 청소하면 되므로 린트 제거 주기가 길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린트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고 물을 이용해 압축한 후 린트와 물을 분리함으로써 린트 박스의 청소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캐비닛 20 : 드럼
50 : 배출덕트 70 : 응축기
100 : 필터어셈블리 110 : 필터 바디
120 : 필터부 130 : 필터청소부
142 : 린트 박스 142a : 수납부
142b : 배수부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지나가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 상에 설치되며, 배출되는 공기의 린트를 포집하여 포집된 린트를 청소하고 청소된 린트에 수분을 공급해 린트를 압축시키는 필터어셈블리;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청소된 린트가 적층되는 린트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일측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을 중심으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린트 포집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바디와, 상기 필터 바디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원형의 필터부와, 상기 필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를 청소하는 필터청소부와, 상기 필터청소부에 적층된 린트에 물 또는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박스는 상기 필터 바디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박스는 길이 방향 일측이 상기 필터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박스는 린트 및 물이 수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필터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린트 박스의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와 배수부는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와 배수부의 사이에는 메쉬가 결합되어 린트를 제외한 물만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배수부에 연결되어 상기 린트박스 내부의 물을 펌핑하는 펌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도면 표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100042762A 2010-05-07 2010-05-07 건조기 KR101199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762A KR101199392B1 (ko) 2010-05-07 2010-05-07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762A KR101199392B1 (ko) 2010-05-07 2010-05-07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330A true KR20110123330A (ko) 2011-11-15
KR101199392B1 KR101199392B1 (ko) 2012-11-09

Family

ID=45393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762A KR101199392B1 (ko) 2010-05-07 2010-05-07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3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9489A4 (en) * 2015-08-18 2019-01-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device
KR102177097B1 (ko) 2020-07-01 2020-11-10 주식회사 동양구조이앤알 다수의 댐퍼와 철골구조물이 결합된 내진보강 구조물
WO2021085968A1 (ko) * 2019-10-31 2021-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CN113047005A (zh) * 2019-12-26 2021-06-2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波轮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43081A0 (en) 2001-05-10 2002-04-21 Mizrahi Benny Dryer
JP2004135755A (ja) 2002-10-16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9489A4 (en) * 2015-08-18 2019-01-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device
US20200283941A1 (en) * 2015-08-18 2020-09-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0961653B2 (en) 2015-08-18 2021-03-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21085968A1 (ko) * 2019-10-31 2021-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CN113047005A (zh) * 2019-12-26 2021-06-2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波轮洗衣机
KR102177097B1 (ko) 2020-07-01 2020-11-10 주식회사 동양구조이앤알 다수의 댐퍼와 철골구조물이 결합된 내진보강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9392B1 (ko) 201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5570A (ko) 의류 건조기
KR101199392B1 (ko) 건조기
KR101241915B1 (ko) 건조기
KR20120134369A (ko) 의류처리장치
KR101094609B1 (ko) 건조기의 응축수 수위 표시 장치
KR101314625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8110789A (ja) 洗濯乾燥機
KR101191208B1 (ko) 건조기
KR101191209B1 (ko) 건조기
KR101191210B1 (ko) 건조기
KR101253193B1 (ko) 건조기
TWI660095B (zh) 洗衣乾衣機
KR101191207B1 (ko) 건조기
KR101685977B1 (ko) 건조기
KR101177479B1 (ko) 건조기
KR20110123333A (ko) 건조기
KR101191211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227515B1 (ko) 건조장치
KR20120009583A (ko) 세탁장치
KR101093886B1 (ko) 건조기의 응축수 이동구조
KR20120009086A (ko) 건조기의 제어 방법
KR20110123332A (ko) 건조기
KR10162932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92725B1 (ko) 건조기
KR20120008645A (ko)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