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3024A - 도장체 건조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장체 건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3024A
KR20110123024A KR1020100042439A KR20100042439A KR20110123024A KR 20110123024 A KR20110123024 A KR 20110123024A KR 1020100042439 A KR1020100042439 A KR 1020100042439A KR 20100042439 A KR20100042439 A KR 20100042439A KR 20110123024 A KR20110123024 A KR 20110123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rying
duct
effective area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7731B1 (ko
Inventor
김양수
윤광원
김대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2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731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체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열풍 공급 덕트와 연결된 상태에서, 열풍기 측 열풍을 도장체의 인접부위까지 유인·출력시킬 수 있는 열풍 유인 덕트, 열풍기의 가동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도장체의 주변을 커버하여, 해당 도장체의 주변에 일련의 열풍유효영역을 제한적으로 정의·제공할 수 있는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 도장체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열풍기의 가동상황에 따라, 일련의 원적외선을 출력하여, 도장체의 건조속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 출력기 등을 체계적으로 연계 배치하고, 이를 통해, 열풍기의 열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는 최적의 건조환경, 도장체의 건조효율 및 건조속도가 극대화될 수 있는 최적의 건조환경 등이 안정적으로 현실화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생산업체 측에서 열풍기 측 열 손실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 전체적인 도장체의 건조비용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 전체적인 도장체의 건조시간이 대폭 지연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제품(예컨대, 선박, 차량, 항공기 등) 생산효율이 대폭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도장공정 가동율이 대폭 저하되는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장체 건조시스템{System for drying a painting products}
본 발명은 도장공정(Painting process)을 거친 선박블록, 차량블록, 기체블록 등과 같은 각종 도장체를 건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풍 공급 덕트와 연결된 상태에서, 열풍기 측 열풍을 도장체의 인접부위까지 유인·출력시킬 수 있는 열풍 유인 덕트, 열풍기의 가동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도장체의 주변을 커버하여, 해당 도장체의 주변에 일련의 열풍유효영역을 제한적으로 정의·제공할 수 있는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 도장체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열풍기의 가동상황에 따라, 일련의 원적외선을 출력하여, 도장체의 건조속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 출력기 등을 체계적으로 연계 배치하고, 이를 통해, 생산업체(예컨대, 선박 생산업체, 차량 생산업체, 항공기 생산업체 등) 측에게 열풍기의 열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는 최적의 건조환경, 도장체의 건조효율 및 건조속도가 극대화될 수 있는 최적의 건조환경 등을 현실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도장체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선박블록, 차량블록, 기체블록 등을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도장공정(Painting process)이 마무리되면, 생산업체(예컨대, 선박 생산업체, 차량 생산업체, 항공기 생산업체 등) 측에서는 해당 도장체(2)들을 대상으로 하여 일련의 건조공정(Drying process)을 추가로 진행하게 된다.
이때, 도장실(Painting room)(1)의 외부, 도장실(1)의 벽면 등에 설치된 열풍기(10) 측에서는 열풍 공급 덕트(11)를 매개로, 일정 온도의 열풍을 도장실(1) 내부로 불어넣음으로써, 도장체(2)가 안정적인 건조절차를 겪을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열풍 공급 덕트(11)를 거친 열풍기(10) 측 열풍은 화살표(A)를 따라, 도장실(1) 내 빈 공간(S)을 폭 넓게 경유한 후, 지지 스테이지(3)에 놓인 도장체(2)와 접촉하여, 해당 도장체(2)의 건조과정에 기여하게 된다.
그런데, 이 상황에서, 만약,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을 경우, 열풍기(10) 측 열풍은 도장체(2)와의 접촉 이전에 이미 도장실(1) 내부의 빈 공간(S)과 불필요한 접촉을 피할 수 없게 됨으로써, 자신의 열기를 대폭 상실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열풍에 의한 건조효과는 크게 저하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러한 불합리한 상황 하에서, 생산업체 측에서는 도장체(2)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풍기(10)의 열풍온도를 불필요하게 높이거나, 열풍기(10)의 가동시간을 불필요하게 늘릴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열풍기(10) 측 열 손실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 전체적인 도장체(2)의 건조비용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 전체적인 도장체(2)의 건조시간이 대폭 지연되는 문제점 등은 물론, 전체적인 제품(예컨대, 선박, 차량, 항공기 등) 생산효율이 대폭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도장공정 가동율이 대폭 저하되는 문제점 등까지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게다가, 종래의 체제 하에서, 건조대상 도장체(2)의 주변은 별도의 제한 없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열풍기(10) 측 열풍이 도장체(2)까지 도달하였다 하더라도, 이 열풍은 건조대상 도장체(2)와 효율적이고 집중적인 접촉을 이루지 못한 체, 도장실(1) 내 빈 공간(S)으로 불필요하게 퍼져나갈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도장체(2) 측에서는 자신의 몸체 부분은 물론, 열풍과의 접촉이 어려운 내측 부분(2a), 상측부분(2b) 등의 건조가 매우 더디게 진행되는 문제점을 고스란히 겪을 수밖에 없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불합리한 상황 하에서도, 생산업체 측에서는 도장체(2)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풍기(10)의 열풍온도를 불필요하게 높이거나, 열풍기(10)의 가동시간을 불필요하게 늘릴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이 상황에서, 생산업체 측에서는 열풍기(10) 측 열 손실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 전체적인 도장체(2)의 건조비용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 전체적인 도장체(2)의 건조시간이 대폭 지연되는 문제점 등은 물론, 전체적인 제품(예컨대, 선박, 차량, 항공기 등) 생산효율이 대폭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도장공정 가동율이 대폭 저하되는 문제점 등까지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풍 공급 덕트와 연결된 상태에서, 열풍기 측 열풍을 도장체의 인접부위까지 유인·출력시킬 수 있는 열풍 유인 덕트, 열풍기의 가동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도장체의 주변을 커버하여, 해당 도장체의 주변에 일련의 열풍유효영역을 제한적으로 정의·제공할 수 있는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 도장체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열풍기의 가동상황에 따라, 일련의 원적외선을 출력하여, 도장체의 건조속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 출력기 등을 체계적으로 연계 배치하고, 이를 통해, 열풍기의 열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는 최적의 건조환경, 도장체의 건조효율 및 건조속도가 극대화될 수 있는 최적의 건조환경 등이 안정적으로 현실화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생산업체 측에서 열풍기 측 열 손실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 전체적인 도장체의 건조비용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 전체적인 도장체의 건조시간이 대폭 지연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제품(예컨대, 선박, 차량, 항공기 등) 생산효율이 대폭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도장공정 가동율이 대폭 저하되는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건조대상 도장체(Painting products)가 배치된 도장실 내부로 열풍 공급 덕트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열품 공급 덕트를 매개로 하여, 상기 도장실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와; 상기 열풍 공급 덕트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장체의 인접부위까지 연장·설치되어, 상기 열풍기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을 상기 도장체의 인접부위까지 유인·출력시키는 열풍 유인 덕트와; 상기 열풍기의 가동상황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도장체의 주변을 커버하면서, 상기 열풍 유인 덕트에 의해 유인·출력되는 열풍의 열풍유효영역을 제한적으로 정의·제공하는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과; 상기 열풍기 및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의 동작을 제어하는 건조공정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체 건조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열풍 공급 덕트와 연결된 상태에서, 열풍기 측 열풍을 도장체의 인접부위까지 유인·출력시킬 수 있는 열풍 유인 덕트, 열풍기의 가동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도장체의 주변을 커버하여, 해당 도장체의 주변에 일련의 열풍유효영역을 제한적으로 정의·제공할 수 있는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 도장체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열풍기의 가동상황에 따라, 일련의 원적외선을 출력하여, 도장체의 건조속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 출력기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하에서, 생산업체 측에서는 열풍기의 열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는 최적의 건조환경, 도장체의 건조효율 및 건조속도가 극대화될 수 있는 최적의 건조환경 등을 안정적으로 현실화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열풍기 측 열 손실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 전체적인 도장체의 건조비용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 전체적인 도장체의 건조시간이 대폭 지연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제품(예컨대, 선박, 차량, 항공기 등) 생산효율이 대폭 저하되는 문제점, 전체적인 도장공정 가동율이 대폭 저하되는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장체 건조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체 건조시스템을 도장실의 측면에서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체 건조시스템을 도장실의 상부에서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장체 건조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선박블록, 차량블록, 기체블록 등을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도장공정(Painting process)이 마무리되면, 생산업체(예컨대, 선박 생산업체, 차량 생산업체, 항공기 생산업체 등) 측에서는 도장실(Painting room)(1) 내부에 배치된 건조대상 도장체(2)들을 대상으로 하여 일련의 건조공정(Drying process)을 추가로 진행하게 된다.
이때, 도장실(1) 외부, 도장실(1) 벽면 등에 설치된 열풍기(10) 측에서는 도장실(1) 내부로 열풍 공급 덕트(11)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이 열풍 공급 덕트(11)를 매개로, 일정 온도의 열풍을 도장실(1) 내부로 불어넣음으로써, 지지 스테이지(3)에 얹혀진 도장체(2)가 안정적인 건조절차를 겪을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물론, 이 상황에서,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을 경우, 열풍 공급 덕트(11)를 거친 열풍은 도장체(2)와의 접촉 이전에 이미 도장실(1) 내부의 빈 공간(S)과 불필요한 접촉을 피할 수 없게 되며, 결국, 자신의 열기를 대폭 상실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도장실(1) 내부의 각 영역에 열풍 유인 덕트(101),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110), 원적외선 출력기(120), 건조공정 제어기(130)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 고유의 도장체 건조시스템(100)을 추가 배치·제공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때, 건조공정 제어기(130) 측에서는 유/무선 통신망(예컨대, RS 232 통신망, RS 422 통신망, 블루투스 무선통신망, 유/무선 인터넷망 등)을 매개로, 열풍기(10), 커튼구동 제어기(113), 원적외선 출력 제어기(121) 등과 일련의 유/무선 통신관계를 형성하면서, 생산업체 측에 의해 세팅된 일련의 건조공정 스케쥴에 따라, 열풍기(10), 커튼구동 제어기(113), 원적외선 출력 제어기(121)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열풍기(10),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110), 원적외선 출력기(120) 등과 같은 각종 구성요소들이 생산업체 측 건조공정 스케쥴에 따라 동작하여, 도장체(2)의 건조절차에 안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열풍 유인 덕트(101)는 자신의 인입부(101a)를 열풍 공급 덕트(11) 측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도장체(2)의 인접부위까지 연장·설치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도 3 참조).
물론, 이 상황에서, 열풍기(10)가 가동될 경우, 열풍기(10) 측으로부터 출력·공급되는 열풍은 열풍 공급 덕트(11)를 거친 후, 열풍 유인 덕트(101)에 의해 정의된 일련의 폐쇄 경로를 따라 화살표(B) 방향으로 흐르는 <강제 유인절차>를 자연스럽게 겪게 되며, 결국, 별다른 흐트러짐 없이, 열풍 유인 덕트(101)의 출력부(101b)를 통해, 도장체(2)의 인접부위로 유인·출력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열풍 유인 덕트(101)의 배치 상황 하에서, 열풍기(10) 측 열풍은 종래와 달리, <도장체(2)와의 접촉 이전에 이미 도장실(1) 내부의 빈 공간(S)과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문제점>을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도장체(2)와의 직접적인 접촉시점까지 자신의 열기를 거의 초기 시점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의 열풍기(10), 열풍 유인 덕트(101) 등과 함께 연계 동작하는 본 발명의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110) 측에서는 열풍기(10)의 가동상황에 따라 화살표(D)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작을 취하면서(도 2 참조), 도장체(2)의 주변영역, 예컨대, 도장체(2)의 앞뒤좌우 영역을 커버하여, 도장체(2)의 주변에 일련의 열풍유효영역(Y)이 제한적으로 정의·제공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110)의 기능수행에 의해, 도장체(2) 주변에 일련의 열풍유효영역(Y)이 제한적으로 정의·제공되는 상황 하에서, 열풍 유인 덕트(101)에 의해 유인·출력되는 열풍은 도장실(1) 내 빈 공간(S)과의 불필요한 접촉 없이, 열풍유효영역(Y) 내에 존재하는 건조대상 도장체(2)에 한해서만 매우 집중적인 접촉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열풍에 의한 도장체(2)의 건조효과는 최적의 상태로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건조효과의 극대화 상황 하에서, 도장체(2) 측에서는 자신의 일반적인 몸체 부분은 물론, 내측 부분(2a), 상측부분(2b)까지도 빠르게 건조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건조공정 제어기(130)와 통신 연결된 커튼구동 제어기(113) 측에서는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110)의 상승동작 또는 하강동작을 보조하는 커튼구동 구조물(112)(예컨대, 모터, 커튼고정 프레임, 와이어, 롤러 등)(물론, 이러한 커튼구동 구조물의 종류, 배치형태 등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과 일련의 통신 연결관계를 형성하면서, 건조공정 제어기(130) 측 제어에 따라, 커튼구동 구조물(130)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110)이 생산업체 측 건조 스케쥴에 따라, 일련의 상승동작 또는 하강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110)의 일부, 예컨대, 하단부에는 열풍 출력 연결 덕트(111)가 다수개 배치되는데, 이러한 열풍 출력 연결 덕트(111)는 커튼구동 제어기(113)의 제어에 따른 커튼구동 구조물(112)의 동작에 따라,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110)이 하강하는 동작을 취하는 경우, 열풍 유인 덕트(101)와 자연스럽게 관통·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열풍 유인 덕트(101) 및 열풍 출력 연결 덕트(111)의 연결 상황 하에서, 열풍 유인 덕트(101)에 의해 유인된 열풍은 열풍 출력 연결 덕트(111)를 통해, 열풍유효영역(Y)의 곳곳으로 안정적인 출력을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열풍에 의한 도장체(2)의 건조효과는 최적의 상태로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도장체(2)의 상부, 예를 들어, 도장체(2) 상부의 도장실(1) 천정면에는 앞의 열풍기(10), 열풍 유인 덕트(101),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110) 등과 함께 연계 동작하는 원적외선 출력기(120)가 추가 배치된다.
이때, 원적외선 출력기(120)는 건조공정 제어기(130)의 제어에 따라, 열풍기(10),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110) 등이 동작을 수행하는 상황에서, 원적외선 출력 제어기(121)의 제어에 따라 가동되어, 자신의 하부에 놓인 건조대상 도장체(2) 쪽으로 일련의 원적외선을 생성·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원적외선 출력기(120)의 동작 수행 하에서, 도장체(2) 측에서는 열풍기(10)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과 함께, 일련의 원적외선을 건조 촉진매체로 추가 제공 받을 수 있게 되며, 결국, 자신의 건조속도가 더욱 증진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원적외선 출력기(120) 측으로부터 출력·공급되는 원적외선은 화살표(C)를 따라 아래로 흐르는 방향을 유지하기 때문에, 원적외선 출력기(120)의 동작 수행 하에서, 도장체(2) 측에서는 열풍에 의한 건조효과가 미치기 곤란한 영역, 예컨대, 자신의 상측부분(2b)까지도 빠르게 건조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건조공정 제어기(130)와 통신 연결되는 원적외선 출력 제어기(121) 측에서는 원적외선 출력기(120)와 일련의 통신 연결관계를 형성하면서, 건조공정 제어기(130) 측 제어에 따라, 원적외선 출력기(12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이 원적외선 출력기(120)가 생산업체 측 건조 스케쥴에 따라, 일련의 원적외선 출력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황에 따라, 원적외선 출력기(120) 및 도장체(2) 사이에 커버 박스(도시 안됨)를 추가 설치하는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버 박스는 건조공정 제어기(130) 또는 원적외선 출력 제어기(121)의 제어에 따라, 일련의 개방동작 또는 폐쇄동작을 선택적으로 취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커버 박스의 배치 상황 하에서, 본 발명에서는 만약, 도장체(2)를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도장공정이 본 발명의 건조공정 이전에 선 진행될 경우, 커버 박스를 폐쇄상태로 변환시켜, 원적외선 출력기(120)의 전면을 커버 박스로 커버시킴으로써, 원적외선 출력기(120)가 도장물질(예컨대, 페인트)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적절히 보호받을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열풍 공급 덕트(11)와 연결된 상태에서, 열풍기(10) 측 열풍을 도장체(2)의 인접부위까지 유인·출력시킬 수 있는 열풍 유인 덕트(101), 열풍기(10)의 가동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도장체(2)의 주변을 커버하여, 일련의 열풍유효영역(Y)을 제한적으로 정의·제공할 수 있는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110), 도장체(2)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열풍기(10)의 가동상황에 따라, 일련의 원적외선을 출력하여, 도장체(2)의 건조속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 출력기(120)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하에서, 생산업체 측에서는 열풍기(10)의 열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는 최적의 건조환경, 도장체(10)의 건조효율 및 건조속도가 극대화될 수 있는 최적의 건조환경 등을 안정적으로 현실화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열풍기(10) 측 열 손실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 전체적인 도장체(2)의 건조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 전체적인 도장체(2)의 건조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 전체적인 제품(예컨대, 선박, 차량, 항공기 등) 생산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 전체적인 도장공정 가동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 등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앞의 여러 구성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도장체 건조절차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본격적인 도장체 건조절차에 앞서, 선박블록, 차량블록, 기체블록 등을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도장공정(Painting process)이 진행되는 경우, 건조공정 제어기(130) 측에서는 열풍기(10), 커튼구동 제어기(113), 원적외선 출력 제어기(121) 등을 제어하여, 열풍기(10), 원적외선 출력기(120) 등을 오프 상태로 유지시킴과 아울러,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110)을 상승상태로 유지시키고, 커버 박스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장공정이 완료되면, 건조공정 제어기(130) 측에서는 커튼구동 제어기(113)를 제어하여, 커튼구동 구조물(112)(예컨대, 모터, 커튼고정 프레임, 와이어, 롤러 등)을 동작시키고, 이를 통해,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110)을 아래로 하강시키게 된다. 이러한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110)의 하강 유인동작은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110)에 설치된 열풍 출력 연결 덕트(111)가 열풍 유인 덕트(101)의 설치위치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지속적으로 진행된다.
이 상황에서, 생산업체 측에서는 상황에 따라, 열풍 출력 연결 덕트(111) 및 열풍 유인 덕트(101)의 중간 계면에 열풍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 툴(Packing tool: 도시 안됨)을 추가 설치하는 수 작업을 추가 진행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110)에 설치된 열풍 출력 연결 덕트(111)가 열풍 유인 덕트(101)의 설치위치에 도달하고, 열풍 출력 덕트(111) 및 열풍 유인 덕트(101)의 중간 계면에 열풍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 툴(Packing tool)의 추가 설치가 마무리되면, 건조공정 제어기(130) 측에서는 열풍기(10)를 제어하여, 이를 온 상태로 가동시키고, 이를 통해, 열풍의 출력을 유도하게 된다.
물론, 이 상황에서, 열풍기(10)가 가동될 경우, 열풍기(10) 측으로부터 출력·공급되는 열풍은 열풍 공급 덕트(11)를 거친 후, 열풍 유인 덕트(101)에 의해 정의된 폐쇄 경로를 따라 흐르는 일련의 강제 유인절차를 자연스럽게 겪게 되며, 결국, 별다른 흐트러짐 없이, 열풍 유인 덕트(101)의 출력부(101b) 및 열풍 출력 연결 덕트(111)를 통해,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110)에 의해 제한적으로 정의된 열풍유효영역(Y)의 곳곳으로 안정적인 출력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열풍기(10) 측으로부터 출력된 열풍이 열풍유효영역(Y)에 놓인 도장체(2) 측에 집중적으로 공급되는 상황에서, 건조공정 제어기(130) 측에서는 원적외선 출력 제어기(121)를 제어하여, 원적외선 출력기(120)를 막고 있던 커버 박스를 개방상태로 변환시킨 다음, 원적외선 출력기(120)를 온 상태로 가동시켜, 원적외선의 출력을 유도하게 된다(물론, 상황에 따라, 이러한 원적외선 출력기(120)의 가동은 열풍기(10)의 가동시점 이전에 미리 진행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원적외선 출력기(120)의 가동 상황 하에서, 원적외선 출력기(120) 측으로부터 출력된 원적외선은 원적외선 출력기(120) 아래에 놓인 도장체(2)의 상부로 집중 공급될 수 있게 되며, 결국, 도장체(2) 측에서는 열풍기(10)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과 함께, 일련의 원적외선을 건조 촉진매체로 추가 제공받아, 보다 빠른 건조상태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건조대상 도장체(2)의 크기, 모양, 규모 등에 따라, 열풍기(10)만 단독 가동시키는 조치, 원적외선 출력기(120)만 단독 가동시키는 조치, 열풍기(10)의 열풍온도 또는 원적외선 출력기(120)의 원적외선 출력량을 독립적으로 줄이거나 늘리는 조치, 열풍기(10)의 열풍온도 또는 원적외선 출력기(120)의 원적외선 출력량을 상호 연동시켜 줄이거나 늘리는 조치 등을 탄력적으로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건조대상 도장체(2)의 상부에 상부 커버 프레임을 추가 설치하여,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110)에 의해 정의된 열풍유효영역(Y)의 강점을 좀더 증진시키는 조치를 탄력적으로 취할 수도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여러 변형된 조치 하에서도, 생산업체 측에서는 열풍기(10)의 열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는 최적의 건조환경, 도장체(2)의 건조효율 및 건조속도가 극대화될 수 있는 최적의 건조환경 등을 안정적으로 현실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장체의 건조가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도장실 2: 도장체 3: 지지 스테이지 10: 열풍기
11: 열풍 공급 덕트 100: 도장체 건조시스템 101: 열풍 유인 덕트
110: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 111: 열풍 출력 연결 덕트
112: 커튼구동 구조물 113: 커튼구동 제어기 120: 원적외선 출력기
121: 원적외선 출력 제어기 130: 건조공정 제어기

Claims (3)

  1. 건조대상 도장체(Painting products)가 배치된 도장실 내부로 열풍 공급 덕트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열품 공급 덕트를 매개로 하여, 상기 도장실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와;
    상기 열풍 공급 덕트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장체의 인접부위까지 연장·설치되어, 상기 열풍기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을 상기 도장체의 인접부위까지 유인·출력시키는 열풍 유인 덕트와;
    상기 열풍기의 가동상황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도장체의 주변을 커버하면서, 상기 열풍 유인 덕트에 의해 유인·출력되는 열풍의 열풍유효영역을 제한적으로 정의·제공하는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과;
    상기 열풍기 및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의 동작을 제어하는 건조공정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체 건조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정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도장체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열풍기의 가동상황에 따라, 원적외선을 출력하여, 상기 도장체의 건조속도를 증진시키는 원적외선 출력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체 건조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에 설치되며, 상기 열풍유효영역 제공커튼의 하강 시, 상기 열풍 유인 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열풍 유인 덕트에 의해 유인된 열풍이 상기 열풍유효영역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열풍 출력 연결 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체 건조시스템.
KR1020100042439A 2010-05-06 2010-05-06 도장체 건조시스템 KR101497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439A KR101497731B1 (ko) 2010-05-06 2010-05-06 도장체 건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439A KR101497731B1 (ko) 2010-05-06 2010-05-06 도장체 건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024A true KR20110123024A (ko) 2011-11-14
KR101497731B1 KR101497731B1 (ko) 2015-03-03

Family

ID=4539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439A KR101497731B1 (ko) 2010-05-06 2010-05-06 도장체 건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7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611A (ko) * 2013-11-20 2015-05-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
KR101969131B1 (ko) 2018-01-17 2019-04-16 조소앙 히트 스프레더(Heat Spreader)와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도장 건조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4178B2 (ja) * 1991-04-04 1996-07-10 節男 楯 赤外線および熱風併用乾燥装置
KR200256548Y1 (ko) * 2001-01-04 2001-12-24 주영혁 원적외선 건조기
JP2007187415A (ja) * 2006-01-16 2007-07-26 Ryonetsu Kogyo Kk 熱遮断構造
KR100663842B1 (ko) * 2006-09-29 2007-01-04 박숙희 열풍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611A (ko) * 2013-11-20 2015-05-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블록 건조를 위한 공기순환장치
KR101969131B1 (ko) 2018-01-17 2019-04-16 조소앙 히트 스프레더(Heat Spreader)와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도장 건조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731B1 (ko) 201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3992B2 (ja) ヒートスプレッダとウェーブガイドユニット、及びそれを含むコンベア型塗装乾燥炉
CN205690854U (zh) 一种自动化控制竹帘干燥窑
KR20110123024A (ko) 도장체 건조시스템
CN103380343A (zh) 用于控制车辆车身的温度的设备
CN202981803U (zh) 一种毛巾架
CN104654769B (zh) 一种干燥烘房可调控加热送风系统的自动调节装置
JP5587650B2 (ja) ミストサウナ機能付き浴室暖房乾燥機
WO1981000448A1 (en) A method of supplying heat to a drying room and a drying roo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215638431U (zh) 生产医药中间体用的热风循环干燥设备
KR101666054B1 (ko) 감 건조기
KR101827896B1 (ko) 컨테이너형 곶감 건조기
JPH08187050A (ja) 恒温乾燥装置
JP5439758B2 (ja) 気体吹出装置とそれを用いたサウナ装置
CN205529588U (zh) 顶置烘干架
JP2011147687A (ja) 洗濯物乾燥システムおよび送風装置
KR200387297Y1 (ko) 도장부스용 연료절감형 히팅시스템
KR101338451B1 (ko) 도장용 공조 시스템
CN102467141A (zh) 烘烤与烘烤后的低温干燥环境控制整合装置
CN108855808A (zh) 干燥装置以及使用该干燥装置的干燥方法
KR200377331Y1 (ko) 제트 적외선 타입 드라이 오븐 장치
KR20160044245A (ko) 도장용 건조기
US690252A (en) Heating and ventilation of buildings.
US20110183594A1 (en) Plasma cutting machine exhaust apparatus and method
CN220371513U (zh) 一种汽车包覆件生产用烘道
CN221036597U (zh) 一种热镀锌烘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