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549A -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549A
KR20110120549A KR1020100040005A KR20100040005A KR20110120549A KR 20110120549 A KR20110120549 A KR 20110120549A KR 1020100040005 A KR1020100040005 A KR 1020100040005A KR 20100040005 A KR20100040005 A KR 20100040005A KR 20110120549 A KR20110120549 A KR 20110120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ver
main body
connector
protrus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2244B1 (ko
Inventor
이철섭
김호근
정지원
마용훈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유)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to KR1020100040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244B1/ko
Priority to CN201110118261.XA priority patent/CN102280763B/zh
Publication of KR20110120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01R13/565Torsion-reliev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다수의 접속단자를 갖는 일측에 제2커넥터부가 결합되는 제1커넥터가 내설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상기 제1커넥터부와 상기 제2커넥터부의 접속단자들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슬라이딩 가이드부재 및 양측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재를 동시에 인출하거나 삽입되게 양측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재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의 어느 일측과 동일면이 되는 위치의 상측이 돌출되어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레버부재가 포함된 커넥터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케이블을 인출하도록 케이블 인출구가 형성된 케이블 커버가 포함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케이블 커버에는 상기 본체 상면에 상기 케이블 커버가 슬라이딩 되면서 동시에 결합되도록 락킹부와 결합가이드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본체의 케이블은 레버부재의 위치에 따라 사방으로 인출될 수 있고, 본체의 모서리에 각각 동일하게 형성된 결합홈의 어느 하나에 결합돌기가 결합되어 본체와 케이블 커버를 결합시킴에 따라, 본체와 케이블 커버의 결합과 분리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본체와 케이블 커버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에서 케이블 커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 { Having a cable cover Connector }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인출방향과 반대로 커넥터에 외팔보형 커넥팅 레버가 위치되어 작은 힘으로 제1,2커넥터부를 결합시키되, 하나의 결합돌기를 갖는 락킹부와 결합가이드 돌기부에 의해 커넥터의 상면을 슬라이딩 되면서 간단하게 결합되는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다수의 접속단자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시키는 것으로서 각각의 커넥터에서 케이블이 인출되고, 인출되는 케이블은 케이블 커버로 커버하여 케이블의 인출방향을 안내하도록 한다.
각각의 커넥터는 커넥터의 접속단자들을 가압하여 커넥터에 삽입된 접속 커넥터의 접속단자를 상호연결하게 되는데, 가압하는 힘이 강하면 전기적인 접촉성은 높아지지만 마찰력도 커지므로 커넥터에 접속 부품을 삽입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특히, 다수의 커넥터에 동시에 접속단자들을 접속시킬 경우에는 접속단자들을 접속하기 위하여 큰 힘을 가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속 단자들 삽입할 때는 힘을 적게 들이고, 접속 부품을 삽입한 후에 커넥터의 접속단자들을 가압하는 U자형 레버가 구비된 커넥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U자형 레버가 구비된 커넥터는 U자형 레버가 회동하면서 커넥터들을 접속함에 따라 커넥터에서 인출되는 케이블이 U자형 레버가 위치된 방향으로는 인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85205호(명칭 : 커넥터용 전선커버)에는 외팔보형 레버를 채용한 커넥터에 결합되어 커넥터의 케이블을 사방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사방으로 결합가능한 커넥터용 전선커버를 개시한 바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외팔보형 레버(5a)가 채용된 커넥터(5)에 결합된 이러한 전선커버(1)는 본체부(1a)에 개구(1b)를 형성하여 개구(1b)를 통해 케이블을 인출하도록 안내한다.
전선커버(1)의 하부테두리(2)는 모서리 측에 탄성결합부품(4)으로서, 일측 외부로 벤딩되게 형성된 탄성설형부품(4a)과 타측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4b)에 의해 커넥터(5)에 결합되되, 하부테두리(2)에는 한쌍의 리브(8) 및 결합돌기(6)가 더 형성되어 커넥터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선커버(1)는 벤딩되어 탄성력을 갖는 탄성설형부품(4a)을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탄성설형부품(4a)의 벤딩면이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결합홈에 삽입함과 동시에 본체부(1a)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4b)와 한쌍의 리브(8) 및 결합돌기(6)를 동시에 결합시켜야 하므로 그 결합과정이 복잡하고 결합시간이 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선커버(1)는 커넥터(5)에 결합되거나 탈거되는 과정에서 탄성설형부품(4a)의 벤딩면이 파손되기가 용이하므로 전선커버(1)의 불량률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커넥터에 케이블 커버를 슬라이딩시켜 간단하게 커넥터와 케이블의 인출방향을 안내하는 케이블 커버를 결합시키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커버에 형성된 하나의 결합돌기에 의해 본체와 케이블 커버를 결합함에 따라 본체와 케이블 커버의 결합을 간단하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와 케이블 커버가 결합될 때 본체에 슬라이딩 되면서 케이블 커버가 결합될 때, 그 결합을 안내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와 케이블 커버가 결합되었을 때 케이블 커버가 결합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결합된 케이블 커버의 내측을 지지하여 케이블 커버가 본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일측과 케이블 커버의 일측을 결합시켜 본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케이블 커버가 본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부재의 회동반경을 제한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는 내부에 다수의 접속단자를 갖는 일측에 제2커넥터부가 결합되는 제1커넥터부가 내설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상기 제1커넥터부와 상기 제2커넥터부의 접속단자들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슬라이딩 가이드부재 및 양측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재를 동시에 인출하거나 삽입되게 양측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재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의 어느 일측 상부에 안착되도록 외팔보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레버부재가 포함된 커넥터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케이블을 인출하도록 케이블 인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케이블 인출구는 상기 레버부재의 외팔보 위치와 반대 측에 형성거나, 상기 레버부재의 외팔보와 평행하게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형성된 상기 케이블 커버가 포함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케이블 커버에는 상기 본체 상면에 상기 케이블 커버가 슬라이딩 되면서 동시에 결합되도록 락킹부와 결합가이드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 양측 각 모서리에 상기 케이블 커버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커버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게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는 일측에 형성된 절개면에 의해 상기 케이블 커버부재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탄성력을 갖는 자유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케이블 커버의 전방 좌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가이드 돌기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 양측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홈과 결합홈 사이에 하측은 개방되었으나 상측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블 커버의 결합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삽입가이드 돌기와, 상기 케이블 커버에 상기 삽입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삽입가이드 돌기의 개방된 하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돌기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삽입가이드 돌기의 하측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삽입가이드 돌기와 접하도록 상측으로 연장되게 고정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돌기부와 이격되되, 상기 본체에 상기 케이블 커버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케이블 커버의 결합을 안내하고 그 내면을 지지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블 커버의 내면에 접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전방에는 상기 케이블 커버의 결합을 지지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커버에는 상기 지지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부재 삽입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재가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 상기 본체와 연장되게 형성된 회동안내홀에 삽입되는 회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에는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반경을 제한하도록 상기 본체의 회동안내홀의 일측에 걸리는 스토퍼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외팔보형 케넥팅 레버를 채용함에 따라 커넥터에 결합되는 케이블 커버는 레버부재의 위치에 대응되게 케이블을 인출되도록 하되, 커넥터와 케이블 커버가 슬라이딩되는 동시에 결합되는 락킹부와 결합가이드 돌기부가 구비됨에 따라 커넥터와 케이블 커버의 결합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모서리에 각각 동일하게 형성된 결합홈의 어느 하나에 결합돌기가 결합되어 본체와 케이블 커버를 결합시킴에 따라, 본체와 케이블 커버의 결합과 분리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본체와 케이블 커버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에서 케이블 커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커버의 결합돌기가 본체에 결합될 때, 케이블 커버가 본체의 상면을 슬라이딩하여 간단하게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삽입가이드 돌기와 삽입돌기가 형성됨에 따라, 본체와 케이블 커버의 결합을 안내하고, 하나의 결합돌기로 결합되는 본체와 케이블 커버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돌기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돌기가 더 형성됨에 따라 고정돌기가 삽입가이드 돌기에 접하여 본체에 결합된 케이블 커버가 본체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상면에 케이블 커버가 결합될 때 슬라이딩 되는 케이블 커버의 내면을 지지하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됨에 따라, 본체와 케이블 커버의 결합을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전방에 지지부재가 형성됨에 따라 본체의 상면을 슬라이딩하여 결합되는 케이블 커버가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부재의 회동반경을 제한하는 스토퍼 돌기가 구비됨에 따라, 슬라이딩 가이드부재의 슬라이딩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제1,2커넥터부의 접속단자들이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본체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레버부재가 회동된 본체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버가 결합된 커넥터의 락킹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버가 결합된 커넥터의 결합가이드 돌기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버의 삽입돌기 및 고정돌기에 의해 삽입가이드 돌기가 고정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버가 결합된 커넥터의 락킹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케이블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케이블 커버의 케이블 인출구가 본체의 전방 측에 위치하도록 커넥터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케이블 커버의 케이블 인출구가 본체의 후방 측에 위치하도록 커넥터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케이블 커버의 케이블 인출구가 측면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케이블 커버가 레버부재의 외팔보가 본체의 우측에 형성된 커넥터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케이블 커버의 케이블 인출구가 측면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케이블 커버가 레버부재의 외팔보가 본체의 좌측에 형성된 커넥터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종래의 케이블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종래의 케이블 커버가 결합된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본체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레버부재가 회동된 본체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접속단자를 갖는 제1커넥터부(101)가 내설되어 제2커넥터부(도시 생략)와 연결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양 측면에 각각 삽입되거나 인출되면서 본체(100)의 제1커넥터부(101)와 제2커넥터부를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슬라이딩 가이드부재(110)와, 양측 슬라이딩 가이드부재(110)와 결합되어 제1,2커넥터부(101)의 접속단자들이 접속되거나 분리되도록 회동하는 레버부재(120)로 이루어진 커넥터(10)와, 커넥터(10)의 본체(100)에 결합되어 케이블을 인출하도록 케이블 인출구(22)가 형성된 케이블 커버(20)가 포함되며, 커넥터(10)와 케이블 커버(20)는 락킹부와 결합가이드 돌기부에 의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락킹부는 커넥터(10)와 케이블 커버(20)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어 커넥터(10)에 결합되는 케이블 커버(20)가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결합가이드 돌기부는 커넥터(10)와 케이블 커버(20)의 결합을 안내함과 아울러 이들을 결합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내부에 제1커넥터부(101)가 내설된 하우징으로서, 하측에 제2커넥터부가 결합되고, 그 양측면에 후술될 슬라이딩 가이드부재(110)가 삽입되도록 가이드부재 설치부(103)가 형성된다.
본체(100)의 상면에는 본체(100)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결합홈(105)이 형성되어 후술될 케이블 커버(20)가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본체(100)의 양측 결합홈(105)과 결합홈(105) 사이에는 다수의 삽입가이드 돌기(106)가 형성된다. 삽입가이드 돌기(106)는 하측은 개방되었으나 상측은 본체(10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상면에는 후술될 케이블 커버(20)가 결합되는 것을 안내함과 아울러, 케이블 커버(20)가 결합되었을 때, 케이블 커버(20)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107)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0)의 전방 즉, 후술될 레버부재(120)가 설치된 반대편에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지지부재(108)가 형성되어 케이블 커버(20)가 결합되었을 때, 후술될 케이블 커버(20)에 형성된 지지부재 삽입홀(28)에 삽입되어 케이블 커버(20)가 본체(100)에 결합되는 것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08)는 커넥터(10)의 레버부재(120) 외팔보(120a)의 위치나 케이블 커버(20)의 케이블 인출방향에 따라 본체(100)와 후술될 케이블 커버(20)와의 결합이 견고한지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하거나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는 본체(10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부재 설치부(103)에 각각 삽입되거나 인출되면서 제1커넥터(101)와 제2커넥터의 접속단자들을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접속가이드 홈(111)이 형성된다.
접속가이드 홈(111)은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접속가이드 홈(11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커넥터부(101) 또는 제2커넥터부와 결합된 접속가이드 축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가 가이드 부재 설치부(103)에 인입되거나 인출될 때 접속가이드 홈(1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커넥터부(101) 및 제2커넥터부의 접속단자들을 접속시키거나 접속해제시킨다.
이때, 접속가이드 홈(111)의 하측에는 탄성가이드 돌기(112)가 더 형성되어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가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여 접속단자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양측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에는 후술될 레버부재(120)와 결합되도록 외측을 향하도록 회동홈(113)이 형성된다.
레버부재(120)는 양측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를 연결하도록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110)의 회동홈(113)에 결합되는 회동돌기(123)가 형성되고, 레버부재(120)의 일측 또는 타측이 연장되게 형성된 외팔보(120a)가 형성되어 레버부재(120)가 회동되어 본체(100)의 상면에 안착되거나 본체(100)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레버부재(120)에는 본체(100)에서 연장되게 형성된 회동안내홀(104)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회동축(121)이 형성되고, 회동축(121)에는 스토퍼 돌기(122)가 더 형성되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120)의 외팔보(120a)가 회동되어 본체(100)의 상면에 안착되거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120)의 외팔보(120a)가 본체(100)와 수직을 이루도록 회동하되 그 이상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팔보(120a)의 단부에는 탄성을 갖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레버결합돌기(125)가 형성되고, 외팔보(120a)의 내면에는 레버결합 안내홈(도시 생략)이 형성되고, 본체(100)의 상면에는 레버부재(120)의 외팔보(120a)가 회동되어 본체(100)의 상면에 안착되었을 때 레버결합돌기(125)가 삽입되는 레버결합홈(109a)와, 레버결합 안내홈에 삽입되는 레버결합 안내돌기(109b)가 더 형성된다.
이에, 레버부재(120)가 회동될 때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레버결합 안내돌기(109b)는 레버결합 안내홈에 삽입되도록 회동하고, 레버부재(120)의 외팔보(120a)가 본체(100)의 상면에 안착되면, 외팔보(120a)의 단부에 형성된 레버결합돌기(125)는 본체(100)의 레버결합홈(109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버가 결합된 커넥터의 락킹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버가 결합된 커넥터의 결합가이드 돌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버의 삽입돌기 및 고정돌기에 의해 삽입가이드 돌기가 고정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버가 결합된 커넥터의 락킹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커버(20)는 커버본체(23)의 일측에 케이블이 인출되도록 개구되는 케이블 인출구(22)가 형성되고, 커버본체(23)의 하면에는 하부테두리(21)가 형성된다.
하부테두리(21)에는 좌측에 절개면(24)에 의해 탄성을 갖는 자유단으로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나의 결합돌기(25)가 형성된다. 결합돌기(25)는 전술한 커넥터(10)의 본체(100)에 형성된 결합홈(105)에 삽입되어 케이블 커버(20)를 커넥터(10)에 결합시킨다. 이에, 커넥터(10)와 케이블 커버(20)를 결합시키는 락킹부는 커넥터(10) 본체(100)에 형성된 결합홈(105)과 케이블 커버(20)에 형성되어 결합홈(105)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5)가 되는 것이다.
이때, 결합돌기(25)는 레버부재(120)의 위치나 케이블 커버(20)의 결합 방향에 따라 우측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하부테두리(21)의 양측면에는 전술한 커넥터(10)의 본체(100)에 하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삽입가이드돌기(106)의 하측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돌기(26)가 더 형성되어 케이블 커버(20)가 본체(100)의 상면을 슬라이딩하면서 결합되는 것을 안내함과 아울러, 커넥터(10)와 케이블 커버(2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케이블 커버(20)가 본체(100)의 상면을 슬라이딩시키면, 케이블 커버(20)의 삽입돌기(26)는 본체(100)의 삽입가이드 돌기(106) 하측으로 인입되면서 슬라이딩을 안내하고, 케이블 커버(20)의 결합돌기(25)가 본체(100)의 결합홈(105)에 삽입되면서 락킹될 때 케이블 커버(20)는 더 이상 슬라이딩 되지 않고 락킹됨과 아울러, 케이블 커버(20)의 삽입돌기(26)의 상면이 본체(100)의 삽입가이드 돌기(106)의 하면에 접하면서 케이블 커버(20)가 본체(100)의 상면으로 빠지지 않도록 이를 지지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삽입돌기(26)에는 상측으로 연장되게 고정돌기(27)가 더 형성되되, 고정돌기(27)는 삽입돌기(26)의 하측으로 인입되는 본체(100)의 삽입가이드 돌기(106)와 접하도록 형성되어 케이블 커버(20)가 본체(100)의 상면으로 빠지지 않음은 물론 전후방으로도 빠지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본체(100)의 상면에 삽입가이드 돌기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케이블 커버(20)의 내면과 접하는 가이드 돌기(107)가 더 구비되어 케이블 커버(20)가 본체(100)의 상면으로 슬라이딩 될 때 슬라이딩 위치를 안내하고 케이블 커버(20)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에, 커넥터(10)의 삽입가이드 돌기(106)와, 삽입가이드 돌기(106)의 하측에 삽입되어 케이블 커버(20)를 커넥터(10)에 결합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이들을 결합시키는 삽입돌기(26)는 결합가이드 돌기부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도 4b를 참조하면, 케이블 커버(20)에는 본체(100)의 상부 전방에 형성된 지지부재(108)와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부재 삽입홀(28)이 형성되어 케이블 커버(20)가 본체(100)에 결합되면서 본체(100)의 지지부재(108)에 지지부재 삽입홀(28)이 삽입되도록 한다.
즉, 케이블 커버(20)가 본체(100)의 상면에 슬라이딩 되어 커넥터(10)에 결합될 때, 케이블 커버(20)가 본체(100)의 전방 측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본체(100)에 형성된 지지부재(108)가 케이블 커버(20)의 지지부재 삽입홀(28)에 삽입된다.
이때, 전술한 본체(100)의 지지부재(108)는 본체(100)에 필수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100)와 케이블 커버(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것이므로 때에 따라 지지부재(108)를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블 커버(20)는 하나의 결합돌기(25)에 의해 본체(100)에 결합되지만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삽입돌기(26)가 삽입가이드 돌기(106)에 접하면서 케이블 커버(20)와 커넥터(10)의 결합을 안내하면서 결합을 견고하게 하며, 지지부재(108)가 삽입되는 지지부재 삽입홀(28)에 의해 케이블 커버(20)가 커넥터(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케이블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케이블 커버의 케이블 인출구가 본체의 전방 측에 위치하도록 커넥터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케이블 커버의 케이블 인출구가 본체의 후방 측에 위치하도록 커넥터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블 커버(20a)는 본체(100)에서 인출되는 케이블을 인출시키도록 레버부재(120)와 평행하게 커버 본체(23a)의 전방 측이나 후방 측 중 어느 일측에 케이블 인출구(22a)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100)의 후방 측으로 케이블이 인출되도록 하였을 때, 본체(100)의 전방 측에 위치되는 부분을 커버본체(23a)의 전방(↑방향)으로 보았을 때, 커버본체(23a)는 전방 측을 기준으로 하부테두리(21a)의 좌측에 절개면(24a)에 의해 탄성을 갖는 결합돌기(25a)가 형성된다.
또한, 커버본체(23a)의 전방 측 하부테두리(21a)에 지지부재 삽입홀(28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케이블 커버(20a)는 도 5b 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120)의 외팔보(120a)의 위치와 관계없이 커넥터(10) 본체(100)의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케이블이 인출되도록 결합돌기(25a)를 본체(100)의 결합홈(105)에 삽입하여 커넥터(10)와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1케이블 커버(20a)는 본체(100)에서 인출된 케이블이 본체(100)의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인출될 될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케이블 커버의 케이블 인출구가 측면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케이블 커버가 레버부재의 외팔보가 본체의 좌측에 형성된 커넥터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케이블 커버(20c)는 커버본체(23c)의 전방(↑방향) 우측에 케이블 인출구(22c)가 형성되고, 하부테두리(21c)의 전방 좌측에 결합돌기(25c)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테두리(21c)의 전방에 지지부재 삽입홀(28c)이 형성되고, 좌우측면에 삽입돌기(26c)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케이블 커버(20c)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에 설치된 레버부재(120)의 외팔보(120a'')가 본체(100)의 전방에서 좌측에 위치될 때 케이블을 우측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2케이블 커버(20c)를 본체(100)의 후방에서 전방 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결합돌기(25c)가 본체(100)의 결합홈(105c)에 삽입되도록 하되, 삽입가이드 돌기(106c)의 하측으로 제2케이블 커버(20c)의 삽입돌기(26c)가 슬라이딩 되면서 제2케이블 커버(20c)의 슬라이딩을 안내함과 아울러 커넥터(10)와 제2케이블 커버(20c)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또한, 커버본체(23c)의 지지부재 삽입홀(28c)에는 본체(100)의 지지부재(108c)가 삽입되어 제2케이블 커버(20c)가 본체(100)의 전방 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케이블 커버의 케이블 인출구가 측면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케이블 커버가 레버부재의 외팔보가 본체의 우측에 형성된 커넥터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케이블 커버(20b)는 결합돌기(25b)가 형성된 측을 전방으로 보았을 때, 레버부재(120)의 외팔보(120a')가 커버본체(23b)의 전방(↑방향) 좌측에 케이블 인출구(22b)가 형성되고, 하부테두리(21b)의 전방 우측에 결합돌기(25b)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테두리(21b)의 전방에 지지부재 삽입홀(28b)이 형성되고, 좌우 측면에 삽입돌기(26b)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3케이블 커버(20b)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에 설치된 레버부재(120)의 외팔보(120a')가 본체(100)의 전방에서 우측에 위치될 때 케이블을 좌측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3케이블 커버(20b)를 본체(100)의 후방에서 전방 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결합돌기(25b)가 본체(100)의 결합홈(105b)에 삽입되도록 하되, 삽입가이드 돌기(106b)의 하측으로 제3케이블 커버(20b)의 삽입돌기(26b)가 슬라이딩 되면서 제2케이블 커버(20b)의 슬라이딩을 안내함과 아울러 커넥터(10)와 제3케이블 커버(20b)의 결합을 강화시킨다.
또한, 커버본체(23b)의 지지부재 삽입홀(28b)에는 본체(100)의 지지부재(108b)가 삽입되어 제3케이블 커버(20b)가 본체(100)의 전방 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본체(10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용도에 따라 외팔보(120a)형 레버부재(120)를 갖는 커넥터(100)는 외팔보(120a)의 위치를 변경하고, 케이블 커버(20)의 케이블 인출구(22) 및 결합돌기(25)의 위치를 변경하여 간단하게 커넥터(100)와 케이블 커버(20)를 착탈할 수 있고, 작은 힘으로 제1,2커넥터부(101,102)를 결합시키되, 사방으로 케이블을 인출할 수 있다.
10 : 커넥터
100 : 본체
101 : 제1커넥터부 102 : 제2커넥터부 103 : 가이드부재 설치부
104 : 회동안내홀 105 : 결합홈 106 : 삽입가이드돌기
107 : 가이드 돌기 108 : 지지부재
109a : 레버결합홈 109b : 레버결합 안내돌기
110 : 슬라이딩 가이드부재
111 : 접속가이드홈 112 : 탄성가이드 돌기 113 : 회동홈
120 : 레버부재
120a : 외팔보 121 : 회동축 122 : 스토퍼 돌기
123 : 회동돌기 125 : 레버결합돌기
20 : 케이블 커버
21 : 하부테두리 22 : 케이블 인출구 23 : 커버본체
24 : 절개면 25 : 결합돌기 26 : 삽입돌기
28 : 지지부재 삽입홀

Claims (8)

  1. 내부에 다수의 접속단자를 갖는 일측에 제2커넥터부가 결합되는 제1커넥터부가 내설된 본체(100);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상기 제1커넥터부와 상기 제2커넥터부의 접속단자들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슬라이딩 가이드부재(120); 및
    양측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재(120)를 동시에 인출하거나 삽입되게 양측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재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의 어느 일측 상부에 안착되도록 연장되게 외팔보가 형성되어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레버부재(120);가 포함된 커넥터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케이블을 인출하도록 케이블 인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케이블 인출구는 상기 레버부재의 외팔보 위치와 반대 측에 형성거나, 상기 레버부재의 외팔보와 평행하게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형성된 상기 케이블 커버(20);가 포함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케이블 커버에는 상기 본체 상면에 상기 케이블 커버가 슬라이딩 되면서 동시에 결합되도록 락킹부와 결합가이드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 양측 각 모서리에 상기 케이블 커버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커버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게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는 일측에 형성된 절개면에 의해 상기 케이블 커버부재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탄성력을 갖는 자유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케이블 커버의 전방 좌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가이드 돌기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 양측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홈과 결합홈 사이에 하측은 개방되었으나 상측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블 커버의 결합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삽입가이드 돌기와, 상기 케이블 커버에 상기 삽입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삽입가이드 돌기의 개방된 하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삽입가이드 돌기의 하측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삽입가이드 돌기와 접하도록 상측으로 연장되게 고정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돌기부와 이격되되, 상기 본체에 상기 케이블 커버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케이블 커버의 결합을 안내하고 그 내면을 지지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블 커버의 내면에 접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에는 상기 케이블 커버의 결합을 지지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커버에는 상기 지지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부재 삽입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재가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 상기 본체와 연장되게 형성된 회동안내홀에 삽입되는 회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에는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반경을 제한하도록 상기 본체의 회동안내홀의 일측에 걸리는 스토퍼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
KR1020100040005A 2010-04-29 2010-04-29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 KR101682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005A KR101682244B1 (ko) 2010-04-29 2010-04-29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
CN201110118261.XA CN102280763B (zh) 2010-04-29 2011-04-29 带有电缆盖的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005A KR101682244B1 (ko) 2010-04-29 2010-04-29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549A true KR20110120549A (ko) 2011-11-04
KR101682244B1 KR101682244B1 (ko) 2016-12-02

Family

ID=45106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005A KR101682244B1 (ko) 2010-04-29 2010-04-29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2244B1 (ko)
CN (1) CN102280763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1906A1 (ko) * 2016-05-04 2017-11-09 주식회사 기가레인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20180001413A (ko) 2016-06-24 2018-01-04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KR20180010934A (ko) 2016-07-21 2018-01-31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EP3407432A1 (en) * 2017-05-23 2018-11-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Assembly and harness component
KR20200031827A (ko) * 2018-09-17 2020-03-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와이어 보호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4815B2 (ja) * 2017-06-26 2019-08-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236618B1 (en) 2017-12-07 2019-03-1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ssembly with dress cover
JP2023167427A (ja) * 2022-05-12 2023-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553U (ko) * 1997-12-17 1999-07-05 구자홍 노트북 컴퓨터의 모뎀 어셈블리 탈착 장치
JP2007115443A (ja) * 2005-10-18 2007-05-10 Yazaki Corp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090002260U (ko) * 2007-08-31 2009-03-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형 커넥터 조립체
JP2009512141A (ja) * 2005-10-06 2009-03-19 エフシーアイ 電気コネ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4693A1 (de) * 1998-09-29 2000-03-30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Zweiteiliger elektrischer Verbinder
US20060040535A1 (en) * 2004-08-20 2006-02-23 Vijy Koshy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with slide members
JP4558583B2 (ja) * 2005-05-31 2010-10-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553U (ko) * 1997-12-17 1999-07-05 구자홍 노트북 컴퓨터의 모뎀 어셈블리 탈착 장치
JP2009512141A (ja) * 2005-10-06 2009-03-19 エフシーアイ 電気コネタ
JP2007115443A (ja) * 2005-10-18 2007-05-10 Yazaki Corp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090002260U (ko) * 2007-08-31 2009-03-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형 커넥터 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1906A1 (ko) * 2016-05-04 2017-11-09 주식회사 기가레인 동축 케이블 커넥터
US10566710B2 (en) 2016-05-04 2020-02-18 Gigalane Co., Ltd. Coaxial cable connector
KR20180001413A (ko) 2016-06-24 2018-01-04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KR20180010934A (ko) 2016-07-21 2018-01-31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EP3407432A1 (en) * 2017-05-23 2018-11-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Assembly and harness component
KR20200031827A (ko) * 2018-09-17 2020-03-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와이어 보호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80763A (zh) 2011-12-14
CN102280763B (zh) 2015-04-22
KR101682244B1 (ko) 2016-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0549A (ko)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
JP4665674B2 (ja) コネクタ
JP5836715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1060838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n assisting member for guiding
JP4565027B2 (ja) ソケットコネクタ
JP2013513905A (ja) システムプラグコネクタ
TW201507288A (zh) 線對板連接器組合及其板端連接器
JP5809203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8403683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improved cover
CN201054396Y (zh) 电连接器
CN103633471A (zh) 扁平导体用电连接器
US8430680B2 (en) Connector with a dustproof cover
US7922507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a flange-like plane portion for guiding insertion of a card
TWI736828B (zh) 連接器及連接器組件
JP4689705B2 (ja) ソケットコネクタ
CN201069843Y (zh) 线缆连接器组件
JP4475185B2 (ja) コネクタ
US7963808B2 (en) Electronic apparatus
US7544075B2 (en) Card connector
KR200448813Y1 (ko) 레버형 커넥터
KR101110426B1 (ko) 암커넥터 조립체
KR100677181B1 (ko) 플러그 커넥터
KR100965505B1 (ko) 레버형 커넥터
KR100719326B1 (ko) 터미널하우징
JPH1126074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