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489A - 밀폐형 냉각탑 - Google Patents

밀폐형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489A
KR20110120489A KR1020100039923A KR20100039923A KR20110120489A KR 20110120489 A KR20110120489 A KR 20110120489A KR 1020100039923 A KR1020100039923 A KR 1020100039923A KR 20100039923 A KR20100039923 A KR 20100039923A KR 20110120489 A KR20110120489 A KR 20110120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oling coil
water
cooling tow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9956B1 (ko
Inventor
유성연
김주상
유해성
박형준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장한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장한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9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95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6Spray nozzles or spray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28F27/003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기에서 사용되는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해 사용되는 밀폐형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적정의 수용 공간을 갖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되어 냉동기의 냉각수 순환을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냉각코일(20)과; 상기 냉각코일(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냉각코일(20)의 표면에 분무수를 낙수시키도록 그 하부쪽에 급수공(32)이 형성된 다수의 관체(31)로 구성된 분무수 공급관(30)과;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하우징(10)의 하부쪽에서 상부쪽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40)와; 상기 분무수 공급관(30)과 냉각코일(20)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 스크린망(50) 및; 상기 냉각코일(2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스크린망(60)으로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분무수 노즐을 사용하지 않고도 냉각코일의 외부 표면에 분무수를 고르게 분사할 수 있으며, 아울러 냉각탑의 하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이 난류가 촉진되도록 함으로써 냉각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Description

밀폐형 냉각탑{CLOSED TYPE COOLING TOWER}
본 발명은 밀폐형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분무수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열교환기 튜브 외부의 분무수의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동시에 냉각탑에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난류가 되도록 함으로써 열전달 효율이 향상된 밀폐형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실내를 냉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냉동기에는 냉매의 응축 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냉식 응축기가 주로 사용되며, 이때 응축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는 냉각을 위해 냉각탑에서 냉각된 다음 냉동기의 응축기로 재공급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냉각탑은 그 구조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으로 구분되는데, 개방형 냉각탑은 냉각탑 내부에 충진된 충진물의 표면으로 냉각수가 흐르도록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분사되고, 충진물을 따라 흘러내리는 냉각수는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와 접촉하여 냉각된 후, 하부에 설치된 집수탱크에 집수된 다음, 여과기를 거쳐 냉동기로 공급되는 구조이다.
이에 반해 밀폐형 냉각탑은 냉각탑의 내부에 튜브형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어 이 열교환기의 튜브 내부로 응축기 냉각수가 흘러 순환되면서 냉각탑의 상부에 설치된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된 분무수에 의해 냉각되는데, 이때 냉각탑에는 공기를 냉각탑의 하부에서 상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어 이 송풍된 공기에 의해 냉각탑의 상부에서 흘러내리는 분무수가 증발되도록 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밀폐형 냉각탑은 냉동기의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수가 밀폐된 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냉각되기 때문에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공기 중의 미세 먼지나 오염물질 등에 의한 오염의 우려가 없어 점차적으로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그 사용예로서 공개특허 제10-2008-0092547호(밀폐형 냉각탑)가 개시된 바 있다.
위 문헌에 개시된 밀폐형 냉각탑은 통상적인 형태의 냉각탑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해 우회 설치되는 복수 라인의 냉각코일(100)과, 상기 냉각코일(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냉각코일(100)에 물을 분사하는 살수장치(110)와, 상기 냉각코일(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상부로 유도하는 송풍기(120) 및 상기 부품들을 수용 및 지지하는 하우징(13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밀폐형 냉각탑은 살수장치(110)에 구비된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분무수가 냉각코일(100)의 표면을 따라 흐르고, 송풍기(120)에 의해 하부에서 상부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분무수가 증발되면서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증발열에 의해 냉각코일(100)의 내부를 흐르는 냉각수가 냉각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밀폐형 냉각탑은 상부에 다수의 분사노즐을 배열하고, 이 분사노즐을 통해 분무수가 분사되도록 되어 있으나, 분사노즐을 통해 분무수를 분사시킬 때 분사되는 분무수의 분포가 분사노즐의 수와 설치간격 및 설치높이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분무수가 고르게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분사노즐이 위치되는 높이와 간격 및 분사노즐의 수를 세심하게 계산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다.
설령 상기와 같이 분사노즐을 세심하게 계산하여 설치하더라도 서로 이웃하는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분무수 영역이 서로 겹치게 되거나 또는 이격되게 되어 분무수가 일부분에는 집중되어 공급되는 반면, 다른 부분에는 공급되지 않는 등 여전히 분무수의 공급 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송풍기에 의해 냉각탑의 하부쪽에서 상부쪽으로 공기가 송풍될 때 이물질 등도 함께 송풍되어 열교환기 튜브의 표면에 이들 이물질 등이 부착되거나 누적되게 됨으로써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며, 이에 더하여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고르게 분포되지 않거나 난류를 형성하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열교환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밀폐형 냉각탑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밀폐형 냉각탑에서 분사노즐 없이도 냉각코일의 표면을 따라 분무수가 고르게 흐를 수 있도록 하며, 냉각탑 하부에서 상부로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이 난류가 되도록 하여 냉각코일 표면에 흐르는 분무수가 효과적으로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냉각효율이 향상된 밀폐형 냉각탑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형 냉각탑을 그 내부에 적정 수용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냉동기의 냉각수 순환을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냉각코일과; 상기 냉각코일의 상부에 설치되어 냉각코일의 표면에 분무수를 낙수시키도록 그 하부쪽에 급수공이 형성된 다수의 관체로 구성된 분무수 공급관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쪽에서 상부쪽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분무수 공급관과 냉각코일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 스크린망 및; 상기 냉각코일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스크린망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밀폐형 냉각탑은 상기 냉각코일의 중간부에 상하부 스크린망과 평행하게 설치된 보조 스크린망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밀폐형 냉각탑에 있어서 냉각코일의 전방에 스크린망을 설치하는 하는 것만으로도 분무수를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노즐을 사용하는 것보다 냉각코일에 분무수를 더욱 일정하고 균일하게 분포시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분사노즐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무수를 균일하게 분사시키기 위해 분사노즐의 설치위치와 높이 등을 결정하기 위한 정밀 설계과정을 피할 수 있는 동시에 분사노즐의 설치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며, 이와 더불어 냉각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형 냉각탑에 있어서 냉각코일의 하부에 스크린망을 설치함으로써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대해 난류를 형성하여 냉각코일의 표면을 흐르는 분무수의 증발을 더욱 촉진시켜 냉각탑의 냉각 성능이 대폭 향상되며, 이와 더불어 송풍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로 기능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열전달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동시에 냉각탑의 유지보수 작업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밀폐형 냉각탑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냉각탑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냉각탑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4(a, 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살수장치의 관체 및 분사공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망의 예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보조 스크린망을 적용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냉각탑의 사용상태도,
도 8은 스크린망을 사용하여 스크린망이 열전달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기 위해 설치한 시험장치에서의 원관군의 배열도면,
도 9는 도 8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스크린망의 설치에 따른 물질전달계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내를 냉방제어하기 위한 냉동기에 사용되는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밀폐형 냉각탑에 있어서 냉각효율이 대폭 향상된 밀폐형 냉각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 냉각코일(20), 분무수 공급관(30), 송풍기(40) 및 상하부 스크린망(50, 6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후술하는 냉각코일(20)과 분무수 공급관(30) 및 송풍기(40)와 스크린망(50, 60)을 수납하는 프레임 형태의 구조체로서, 하우징(10)의 상부쪽에는 분무수 공급관(30)이 설치되고, 그 아래쪽으로 순차적으로 상부 스크린망(50), 냉각코일(20), 하부 스크린망(60)이 위치되며 이러한 하우징(10)은 냉동기의 용량과 열교환 성능을 고려하여 설계되는 냉각코일(2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설계된다. 이때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40)는 필요에 따라 하우징(10)의 상부쪽 또는 하부쪽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송풍기(40)가 하우징(10)의 하부쪽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냉동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를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냉각코일(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되며, 냉각탑의 상부로부터 공급되는 분무수와 하부에서 상부로 송풍되는 공기와 충분한 열교환을 이룰 수 있도록 사행상의 유로를 형성하고, 그 일단에는 냉동기의 냉각수가 공급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반대쪽 끝단에는 냉각수 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냉각코일(20)의 상부쪽에는 냉각코일(20)의 표면에 분무수를 고르게 분사시켜 냉각코일(20) 내부를 흐르는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분무수 공급관(30)이 위치되는데, 본 발명의 분무수 공급관(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원형 관체(31)를 하우징(10)의 상부측에 병렬 배열하고, 각각의 관체(31)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급수공(32)이 형성된 것으로 실시된다.
이때 각각의 관체(31)에 형성되는 급수공(32)에는 별도의 분사노즐이 설치되지 않고 단순히 관체(31) 내부에 흐르는 분무수가 급수공(32)을 통해 아래로 낙수되도록 한 것으로 이 급수공(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31)의 하측에 형성되며, 관체(31)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각각 50~75°의 각도범위 즉, 100~150ㅀ의 각도범위(A) 내에서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급수공(32)을 형성함으로써 굳이 분사노즐을 장착하지 않더라도 관체(31) 내에 흐르는 분무수가 급수공(32)을 통해 적정 영역에 걸쳐 방사형으로 퍼지면서 후술하는 상부 스크린망(50) 전역에 걸쳐 고르게 공급된다.
하우징(10)의 하측 즉, 냉각코일(20)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송풍기(40)는 냉각코일(20)의 아래쪽으로부터 공기를 유입한 다음, 이 공기를 냉각코일(20) 사이로 통과시켜 냉각코일(20)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하는데, 이 과정에서 냉각코일(20)의 표면을 흐르는 분무수가 증발되고 이에 의해 냉각코일(20)의 냉각이 촉진된다.
본 발명에서는 냉각코일(20)의 상하부측에 각각 상부 스크린망(50)과 하부 스크린망(60)이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분무수 공급관(30)과 냉각코일(20) 사이에는 상부 스크린망(50)이 설치되고, 냉각코일(20)의 하부에는 하부 스크린망(60)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하부 스크린망(50, 60)은 가는 굵기의 와이어가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격자형태의 눈을 형성하는 메쉬(mesh) 형태로서, 이에 의해 분무수 공급관(30)으로부터 적절히 분포되어 낙수되는 분무수가 상부 스크린망(50)에 의해 재차 전 영역에 걸쳐 고르게 분산되는 동시에 하부 스크린망(60)에 의해 송풍기(4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난류가 되면서 균일하게 분포되어 흐른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상하부 스크린망(50, 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굵기의 와이어가 적정 크기의 사각형이나 마름모 형태의 눈을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형성되는데, 이때 와이어의 굵기(t)는 그 재질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그 굵기가 너무 굵어 자중이 지나치게 커거나 반대로 너무 가늘어 분무수에 의한 처짐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정도의 것이면 사용 가능하며, 와이어의 재질은 내부식성이 강한 재질의 스테인리스 와이어나 합성수지재의 와이어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하부 스크린망(50, 60)을 이루는 사각형 또는 마름모 형태의 눈의 크기(w)는 공급되는 분무수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데, 눈의 크기가 작아 너무 조밀하게 되면 분무수가 자유낙하되지 못하고 상하부 스크린망(50, 60) 사이에 정체되며, 또한 송풍기(40)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하부 스크린망(60)을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스크린망의 눈의 크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아울러 분무수 공급관(30)으로부터 낙수된 분무수가 상부 스크린망(50)을 곧바로 통과하지 않고 적절한 시간 동안 머무르면서 분무수가 상부 스크린망(50) 전 영역에 걸쳐 고르게 퍼져 그 하부에 위치되는 냉각코일(20)의 외면에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면 적당한데, 이에 의해 냉각코일(20)과 분무수간의 열교환 효율이 증대되며, 또한 냉각코일(20)의 하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도 하부 스크린망(50)을 통과하면서 적절한 저항을 받아 공기가 고르게 분포되면서 난류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열교환 효율이 촉진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상하부 스크린망(50, 60)의 눈의 크기를 이론적으로 결정하기는 곤란하며, 이에 따라 실험을 통해 눈의 크기를 결정하여야 하는데, 설령 다수의 실험을 통해 가장 적당한 눈의 크기를 결정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물질 등의 유입으로 인해 분무수의 상하부 스크린망(50, 60)을 통과하는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이 경우 상하부 스크린망(50, 60)의 상부에 분무수가 적체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스크린망(50, 60)의 양 측면에 각각 오버플로우 취출수단(80A, 80B)을 구비함으로써 상하부 스크린망(50, 60)의 위쪽으로 일정 높이 이상의 분무수가 적체되는 경우 이 오버플로우 취출수단(80A, 80B)을 통해 적체된 분무수 중의 일부가 바이패스되도록 함으로써 너무 많은 양의 분무수가 상하부 스크린망(50, 60)의 상부에 적체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부 스크린망(50)의 양측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 취출수단(80A)에는 오버플로우된 분무수가 그 하부에 위치되는 냉각코일(20)의 표면에 낙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무수 공급관(30)과 송풍기(40)에 의해 각각 공급되는 분무수와 공기가 무수한 눈이 형성된 메쉬 형태의 상하부 스크린망(50, 60)을 각각 통과하여 흐르고 그 과정에서 분무수나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걸러지기 때문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냉각코일(20)의 표면에 잔류함으로써 냉각코일(20)의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아울러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메쉬 형태의 스크린망 대신에 다공판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다공판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분무수 및 공기의 흐름에 대한 저항이 너무 커 오히려 열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상부 스크린망(50)이 분무수를 고르게 분산시켜 냉각코일(20)의 전체로 고르게 흘러내릴 수 있게 함으로써 분사노즐을 사용하지 않고도 그 이상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하부 스크린망(60)에 의해 공기 흐름에 난류가 형성되어 분무수와 공기 사이의 접촉효율을 높여 냉각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냉각코일(20)의 중간부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스크린망(50)과 평행으로 설치되는 보조 스크린망(70)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상하부 스크린망(50, 60)의 역할이 냉각코일(20)의 중간 위치에서 재차 반복됨으로써 상하부 스크린망(50, 60)이 가지는 효과를 다시 얻을 수 있어 그 효과가 더욱 상승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밀폐형 냉각탑을 작용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먼저 하우징(10)의 하부에 위치된 수조(35) 내에 수집된 분무수를 펌프(P)로 펌핑하여 급수관(36)을 통해 하우징(10)의 상부쪽에 위치하는 분무수 공급관(30)으로 공급하는데, 이때 수조(35)에서 펌핑되는 유량을 측정하고 제어하기 위해 펌프(P)의 토출구나 급수관(36)에는 유량계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급수관(36)을 통해 분무수가 분무수 공급관(30)으로 공급되면, 하우징(10)의 상측에 배열된 관체(31)를 따라 분무수가 분산되어 흐르고, 관체(31)를 흐르는 분무수는 그 아래쪽 형성된 다수의 급수공(32)을 통해 상부 스크린망(50)을 거쳐 냉각코일(20)의 표면에 낙수된다.
이때 노즐을 사용하거나 관체(31)와 관체(31) 사이의 간격을 조밀하게 하고, 각 관체(31)에 형성되는 급수공(32)을 다수 개 형성하는 등 하면 분무수를 어느 정도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분무수 공급관(30)의 하류측에 일정한 크기의 눈이 형성된 상부 스크린망(50)을 설치함으로써 분무수 공급관(30)에서 낙수된 분무수가 곧바로 냉각코일(20)의 표면에 낙하되지 않고 상부 스크린망(50)의 표면을 따라 균일하게 퍼지면서 냉각코일(20)의 표면에 더욱 균일하고 적정량의 분무수가 공급되고, 이에 의해 열전달 효율이 향상된다.
이와 동시에 하우징(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송풍기(40)가 동작되면서 냉각코일(20)의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공기를 송풍시키고, 이에 의해 냉각코일(20) 표면의 분무수의 증발이 촉진되는데, 본 발명에는 냉각코일(20)의 하부에 일정한 크기의 무수히 많은 눈을 가진 하부 스크린망(60)이 설치되어 있어 이에 의해 송풍기(40)로부터 송풍된 공기에 대해 난류형성을 촉진시켜 공기와 냉각코일(20) 표면을 흐르는 분무수 간의 열전달을 촉진되어 열교환 성능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하부 스크린망(50, 60)이 열전달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의 실험예를 통해 설명한다.
<실험예 1>
실험예 1은 냉각코일의 하류측에 스크린망(본 발명의 '하부 스크린망'에 해당)을 설치한 경우에 대한 것으로서, 이 실험 이전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먼저 유동하는 공기 중에 스크린망을 설치한 경우의 열전달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단일의 원관(圓管, 본 발명의 '냉각코일을 구성하는 하나의 튜브'에 해당된다.)을 스크린망의 후방에 설치한 후, 동일한 풍량과 풍속의 공기를 송풍시키면서 실험한 결과 원관의 전방에 스크린망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보다 스크린망이 설치된 경우가 열전달에 더 효과적임을 발견하였다.
본 출원인은 위 실험결과 발견된 사실을 바탕으로 다시 도 8에서와 같이 스크린망의 후방에 단일의 원관 대신에 직교류 열교환기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정열배열 형태가 되도록 유동방향으로 6열, 유동의 수직방향으로 5열로 이루어진 다수의 원관(이하 "원관군"이라 한다.)을 배치한 후, 위 실험과 똑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9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이때 원관군의 전방에는 유동의 급격한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축부(C)를 형성하였다.
도 9의 그래프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일의 원관에서와 마찬가지로 원관군의 전방에 스크린망을 설치한 경우의 누셀트수가 스크린망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크며, 이로부터 스크린망이 설치된 경우가 열전달에 더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실험예 2는 냉각코일의 전방에 스크린망(본 발명의 '상부 스크린망'에 해당)을 설치한 경우에 대한 것으로서, 실험예 1에 사용된 원관군의 상류측에 드릴을 사용하여 1 inch 직경의 PVC관에 직경 2mm의 급수공을 등간격으로 관통 형성한 관체를 설치한 후, 이 관체에 분무수를 공급하면서 원관군의 전단에 스크린망이 설치된 경우와 설치되지 않은 경우의 물질전달계수
Figure pat00001
(Mass Transfer Coefficient)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를 도 10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도 10의 그래프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원관군의 전방에 스크린망이 설치된 경우의 물질전달계수(
Figure pat00002
)가 스크린망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의 물질전달계수(
Figure pat00003
) 보다 훨씬 큰 것을 알 수 있는데, 물질전달계수(
Figure pat00004
)가 클수록 냉각코일 표면과 분무수 간의 열전달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로부터 스크린망에 의해 냉각탑의 냉각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0: 하우징 20: 냉각코일
30: 분무수 공급관 30A: 원관
31: 관체 32: 급수공
35: 수조 36: 급수관
40: 송풍기 50: 상부 스크린망
60: 하부 스크린망 70: 보조 스크린망
80A, 80B: 오버플로우 취출수단 A: 각도범위
C: 수축부 P: 펌프

Claims (4)

  1. 냉동기에 사용되는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밀폐형 냉각탑에 있어서,
    내부에 적정의 수용 공간을 갖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되어 냉동기의 냉각수 순환을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냉각코일(20)과;
    상기 냉각코일(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냉각코일(20)의 표면에 분무수를 낙수시키도록 그 하부쪽에 급수공(32)이 형성된 다수의 관체(31)로 구성된 분무수 공급관(30)과;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쪽에서 상부쪽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40)와;
    상기 분무수 공급관(30)과 냉각코일(20)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 스크린망(50) 및;
    상기 냉각코일(2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스크린망(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냉각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스크린망(50, 60)의 양측에는 각각 오버플로우 취출수단(80A, 80B)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냉각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코일(20)의 중간부에는 상하부 스크린망(5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보조 스크린망(7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냉각탑.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공(32)은 상기 관체(31)의 하측에 100~150°의 각도범위(A) 내에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냉각탑.
KR1020100039923A 2010-04-29 2010-04-29 밀폐형 냉각탑 KR101129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923A KR101129956B1 (ko) 2010-04-29 2010-04-29 밀폐형 냉각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923A KR101129956B1 (ko) 2010-04-29 2010-04-29 밀폐형 냉각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489A true KR20110120489A (ko) 2011-11-04
KR101129956B1 KR101129956B1 (ko) 2012-03-26

Family

ID=45391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923A KR101129956B1 (ko) 2010-04-29 2010-04-29 밀폐형 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9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45109A (zh) * 2012-03-31 2012-08-22 陆志厅 一种改进的蒸发冷却塔
CN103225971A (zh) * 2013-03-21 2013-07-31 无锡市恒达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气体冷却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4370A (zh) * 2013-05-31 2013-08-07 无锡禹兵冷却设备有限公司 轻便型闭式冷却塔
CN103234371A (zh) * 2013-05-31 2013-08-07 无锡禹兵冷却设备有限公司 双冷式闭式冷却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722B1 (ko) * 1985-03-22 1990-10-19 가부시기가이샤 마에가와 세이사구쇼 제트기류의 분사장치
KR0124517Y1 (ko) * 1995-02-08 1998-08-17 김학기 산업용 온수냉각기의 냉각기
JP2000304377A (ja) 1999-04-23 2000-11-02 Daikin Ind Ltd 水冷吸収式冷凍装置の吸収器
JP2001153587A (ja) * 1999-11-30 2001-06-08 Kurita Water Ind Ltd 冷却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45109A (zh) * 2012-03-31 2012-08-22 陆志厅 一种改进的蒸发冷却塔
CN103225971A (zh) * 2013-03-21 2013-07-31 无锡市恒达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气体冷却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9956B1 (ko) 201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3945C (zh) 改进的蒸汽热交换器及方法
KR101129956B1 (ko) 밀폐형 냉각탑
US20090166902A1 (en) Counter flow type of cooling tower generating low grade of noise
CN108225095B (zh) 冷却塔水分配系统
BR112012015206B1 (pt) calha de distribuição de líquido, torre para transferência de massa e/ou calor, instalação de ácido sulfúrico, e, instalação de captura de dióxido de carbono
US9682336B2 (en) Impact moisture separator
CN101251340A (zh) 冷却塔空气入口和排放盘
KR20110110428A (ko) 냉매응축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식 에어컨
KR101143196B1 (ko) 백연제거장치
US2833122A (en) Water pre-cooled heat exchanger systems
KR101076249B1 (ko) 용액을 냉각시키는 장치 및 방법
CN103920352B (zh) 自扰动填料式湿法净化装置
KR20140066682A (ko) 폐수열 회수기
KR100377507B1 (ko) 대향류형과 직교류형의 조합유동형 냉각탑
JP2007296457A (ja) 集塵装置
CN206876011U (zh) 一种冷却塔用水蒸汽回收装置
CN104677171B (zh) 一种自洁式凉水塔空气过滤装置
KR101442082B1 (ko) 에어컨 실외기용 장착식 정화냉각장치
RU2596076C2 (ru) Брызгальные решетки для зон каплепадения или разбрызгивания
KR101866397B1 (ko) 공정 폐가스 처리용 제습기
US20180231321A1 (en) Air Conditioning Tower
CN206890710U (zh) 喷淋室挡水系统
JP2007050405A (ja) 汚染物質捕集器、汚染物質捕集方法、空気管理システム並びに除去器
KR101363005B1 (ko) 냉각탑 수분배 장치
KR101509621B1 (ko) 펠렛 보일러용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