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196B1 - 백연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백연제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3196B1 KR101143196B1 KR1020090133377A KR20090133377A KR101143196B1 KR 101143196 B1 KR101143196 B1 KR 101143196B1 KR 1020090133377 A KR1020090133377 A KR 1020090133377A KR 20090133377 A KR20090133377 A KR 20090133377A KR 101143196 B1 KR101143196 B1 KR 1011431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water vapor
- main body
- apparatus main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2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direct contact between vapours or gases and the cooling medi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78—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characterised by auxiliary systems or arrangements
- B01D5/009—Collecting, removing and/or treatment of the condens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수증기로부터 상변환되어 포집되는 응축수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백연제저장치가 개시된다.
상기한 백연제거장치는 수증기를 함유하는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내부로 수증기를 함유한 유체가 유입되는 장치본체, 및 유입된 유체에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분사유닛을 포함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본체는, 유체의 유동경로상에서 상기 분사유닛의 후단에 배치되며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생성된 액적을 성장시키는 액적성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백연제거장치에 의하면, 복수개의 분사유닛을 통해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생성되는 액적의 크기를 증대시킴에 따라 수증기로부터 포집되는 응축수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백연, 응축수, 분사유닛, 분산부재, 액적성장부
Description
본 발명은 백연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증기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물을 회수하여 배기되는 수증기가 하얀 연기처럼 보이는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백연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연속주조공정에서는 직접냉각장치를 통해 중간소재나 설비를 냉각시킨다. 즉, 직접냉각장치에서 물을 냉각수로 이용하여 슬래브, 블룸, 빌렛 등의 중간소재나 이러한 중간소재를 생산하기 위한 설비를 냉각시킨다.
그런데, 물을 냉각수로 이용하여 냉각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수증기가 발생되고, 이러한 수증기는 조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굴뚝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수증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굴뚝으로 토출시 하얀 연기(백연)처럼 보이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백연현상은 가열된 습공기가 대기의 찬 공기와 희석되는 과정에서 이슬점 이하로 냉각될 때 형성되는 것으로 습공기선도의 100% 포화곡선 상부측의 조건으로 냉각되는 환경에서 발생된다.
특히, 백연 현상은 따뜻한 토출 공기가 찬 대기의 공기와 혼합되는 경우 발 생된다.
즉, 직접냉각장치에서 배출되는 수증기는 고온 다습한 공기로 배출되는 순간 외부공기(외기)와 혼합되면서 급격하게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때 습도는 이론적으로 100% 이상으로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온도 저하와 함께 과포화된 수증기는 물방울로 만들어지게 되고, 이렇게 생성된 물방울들이 하얀 연기처럼 보이는 백연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백연은 오염물질은 아니지만 외부에서 바라볼 때 시각적으로 부담을 주는 가시오염처럼 보이기도 하고, 또한 물방울이 과도하게 형성되면서 굴뚝 주변으로 낙하하여 불쾌감을 주거나 도로에 떨어져 동절기에 얼어붙는 빙판현상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냉각수가 상변화를 통해 수증기로 변환되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수증기로 변환된 냉각수가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즉 냉각수의 증발소모에 따라 냉각수를 보충해야 하므로, 냉각수 보충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수증기로부터 상변환되어 포집되는 응축수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백연제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연제거장치는, 일 실시예로서, 수증기를 함유하는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내부로 수증기를 함유한 유체가 유입되는 장치본체; 및, 유입된 유체에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분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치본체는, 유체의 유동경로상에서 상기 분사유닛의 후단에 배치되며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생성된 액적을 성장시키는 액적성장부를 더 구비하는 백연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연제거장치는, 다른 실시예로서, 수증기를 함유하는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내부로 수증기를 함유한 유체가 유입되는 장치본체; 및, 유입된 유체에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분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분사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외기를 공급하여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외기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백연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본체는, 유체의 유동경로상에서 상기 분사유닛의 후단에 배치되며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생성된 액적을 성장시키는 액적성장부를 더 구비하는 백연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연제거장치는, 다른 실시예로서, 수증기를 함유하는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내부로 수증기를 함유한 유체가 유입되는 장치본체; 및, 유입된 유체에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분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분사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외기를 공급하여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외기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백연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개의 분사유닛은 유체로 분사되는 물이 공급되는 제1 공급관과 제1 공급관에 설치되어 물을 유체로 분사하는 다수개의 제1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제1 분사유닛, 및 유체로 분사되는 물이 공급되는 제2 공급관과 제2 공급관에 설치되어 물을 유체로 분사하는 다수개의 제2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유체의 유동경로상에서 상기 제1 분사유닛의 후단에 이격 배치되는 제2 분사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백연제거장치는 유체의 유동경로상에서 상기 복수개의 분사유닛 각각의 전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장체본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분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액적성장부는 1300 mm 내지 3700 mm 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백연제거장치는 상기 장치본체에 상단부에 구비되며, 토출되는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를 흡착하는 흡착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유닛은 유체에 함유되어 성장된 액적을 흡착하는 제1 흡착부재와,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경로상에서 상기 제1 흡착부재의 후단에 배치되어 유체에 잔존하는 액적을 흡착하는 제2 흡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외기공급유닛은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과 상기 장치본체를 연결하는 외기공급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수증기가 내부로 흐르는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에 연결되어 수증기를 상기 장치본체로 유입시키는 흡입팬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는 내부의 유지,보수시 개방되는 개폐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분사유닛을 통해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생성되는 액적의 크기를 증대시킴에 따라 수증기로부터 포집되는 응축수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분산부재를 통해 유동하는 수증기의 편향류를 완화시켜 수증기가 분산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증기의 유동 속 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수증기로부터 포집되는 응축수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적성장부를 통해 유체에 함유되는 수증기로부터 생성되는 액적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수증기로부터 포집되는 응축수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백연제거장치(100)는 일예로서, 공급부(110), 장치본체(120), 분사유닛(130), 분산부재(160), 액적성장부(170), 흡착유닛(180), 외기공급유닛(190), 및 저장부(200)를 포함한다.
공급부(110)는 수증기를 함유하는 유체를 공급한다. 즉, 일예로서 제철소의 연주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를 함유하는 유체는 공급부(110)를 통해 장치본체(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를 위해 공급부(110)는 수증기가 내부로 흐르는 유로관(112)과, 유로관(112)에 연결되어 수증기를 장치본체(120)로 유입시키는 흡입팬(114)을 구비할 수 있다.
유로관(112)은 일예로서, 수증기를 함유한 유체가 외기로 토출되도록 구비되 는 굴뚝(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굴뚝(10)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를 함유한 유체는 흡입팬(114)에 의해 유로관(112)으로 유입되어 장치본체(1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관(112)이 굴뚝(10)에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주공정에 구비되는 수증기 포집장치에 유로관(112)이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장치본체(120)는 공급부(110)에 연결되어 내부로 수증기를 함유한 유체가 유입된다. 한편, 장치본체(120)는 수증기를 함유한 유체가 흐르는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장치본체(120)는 중공의 박스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덕트 배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치본체(120)의 상부측은 수증기가 회수된 유체가 토출되도록 개구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수증기를 함유한 유체로부터 일부의 수증기가 제거된 유체가 개구부를 통해 장치본체(120)로부터 토출된다.
한편, 장치본체(120)에는 내부의 유지,보수시 개방되는 개폐부재(12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장치본체(120)의 일측면에는 작업자가 장치본체(120)의 내부로 입출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개페부재(122)가 구비되어 내부에 설치되는 분사유닛(130), 흡착유닛(190) 등의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분사유닛(130)은 유입된 유체에 물을 분사하도록 장치본체(120)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분사유닛(130)은 일예로서, 제1 분사유닛(140)과, 제2 분사유닛(150)을 구비 하며, 제1,2 분사유닛(140,150)을 통과하는 유체에는 제1,2 분사유닛(140)을 통해 물이 분사된다.
제1 분사유닛(140)은 유체로 분사되는 물이 공급되는 제1 공급관(142)과 제1 공급관(142)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다수개의 제1 분사노즐(144)을 구비한다.
제1 공급관(142)은 장치본체(120)의 내부에 다수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공급관(142)으로 공급되는 물은 다수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 공급관(142) 각각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 분사노즐(144)을 통해 분사된다.
이에 따라, 제1 분사유닛(140)을 통과하는 유체는 물과 접촉되어 1차로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의 액적은 응축효과 및 기액 접촉에 의해서 사이즈가 성장한다.
제2 분사유닛(150)은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서 제1 분사유닛(140)의 후단에 이격 배치된다. 즉, 제2 분사유닛(150)은 제1 분사유닛(14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장치본체(120)에 설치되어 유동하는 유체에 물을 분사한다.
이를 위해 제2 분사유닛(150)도 유체로 분사되는 물이 공급되는 제2 공급관(152)과 제2 공급관(152)에 설치되어 물을 유체로 분사하는 다수개의 제2 분사노즐(154)을 구비한다.
즉, 제2 공급관(152)도 장치본체(120)의 내부에 다수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공급관(152)으로 공급되는 물은 다수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 공급관(152) 각각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2 분사노즐(154)을 통해 분사된다.
이에 따라, 제2 분사유닛(150)을 통과하는 유체는 물과 접촉되어 2차로 유체 에 함유된 수증기의 액적은 응축효과 및 기액 접촉에 의해서 사이즈가 더욱 성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의 액적은 100㎛ 이상으로 성장되고, 중력에 의한 회수 및 흡착유닛(180)에 의한 회수가 용이하게 된다.
결국, 유체로부터 수증기의 회수효율이 향상된다.
분산부재(160)는 유체의 유동경로상에서 복수개의 분사유닛(130) 각각의 전단에 배치되도록 장치본체(120)에 구비된다. 즉, 분산부재(160)는 제1,2 분사유닛(140,150) 각각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장치본체(120)의 설치되며, 유동하는 유체를 분산시킨다. 또한 분산부재(160)는 일예로서 제1 분산부재(162)와 제2 분산부재(16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분산부재(162)는 제1 분사유닛(14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장치본체(120)에 설치되며, 공급부(110)에 의해 장치본체(120)로 유입된 유체가 분산되어 상부측으로 유동하도록 한다.
또한, 제1 분산부재(162)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관통홀(162a)을 구비하여 유동하는 유체를 분산시킨다.
한편, 제2 분산부재(164)는 제1 분사유닛(140)과 제2 분사유닛(15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장치본체(120)에 설치되며, 제1 분사유닛(140)을 통과한 유체가 분산되어 제2 분사유닛(150)을 통과하도록 유체를 분산시킨다.
또한, 제2 분산부재(164)도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관통홀(164a)을 구비하여 유동하는 유체를 분산시킨다.
이와 같이, 분산부재(160)에 의해 유동하는 유체는 분산되어 유동될 수 있다. 즉, 공급부(110)를 통해 장치본체(12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제1 분산부재(162)를 통해 분산되어 상부측으로 유동되며, 이후 제2 분산부재(164)를 통해 한번 더 분산되어 상부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산부재(160)에 의해 유동하는 유체의 편향류가 감소되어 균일한 기류분포를 가질 수 있어 수증기로부터 응축되는 응축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액적성장부(170)는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서 분사유닛(130)의 후단에 배치되며,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생성된 액적을 성장시킨다. 즉, 액적성장부(170)는 제2 분사유닛(150)과 흡착유닛(18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장치본체(120)에 구비되며,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가 제1,2 분사유닛(150)으로부터 분사된 물에 반응하면서 액적이 커지는 시간이 확보될 수 있다.
즉, 액적성장부(170)를 통과하면서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의 액적이 성장된다. 더하여, 유동하는 유체는 액정성장부(170)를 통과하면서 유동분포가 보다 균일하게 되고, 따라서 흡착유닛(180)으로부터 회수되는 응축수의 양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액적성장부(170)는 1300 mm 내지 3700 mm 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a)와 도 4(b)는 액적성장부의 높이에 따른 유동하는 유체의 온도분포를 나타내는 온도분포도이다.
다시 말해, 도 4에 도시된 (a)는 액적성장부(170)의 높이가 1300 mm 인 경우 의 유동하는 유체의 온도분포를 나타내며, (b)는 액적성장부(170)의 높이가 2300 mm 인 경우의 유동하는 유체의 온도분포를 나타내는 온도분포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적성장부(170)의 높이가 1000 mm 증가됨에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온도가 하강하고, 전체적인 유동분포가 균일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적성장부(170)를 통과하는 유체의 온도분포가 균일하게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로부터 유체의 유동분포가 균일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유닛(180)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분포가 균일해지므로, 흡착유닛(180)으로부터 회수되는 응축수의 회수량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액적성장부(170)의 높이가 3700 mm 이상인 경우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분포가 다시 분산되며, 더하여 성장된 액적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도 5는 액적성장부의 높이에 따른 응축수 회수율과 회수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적성장부(170)의 높이가 1000 mm 증가됨에 따라, 응축수의 회수율이 30 %, 31% 에서 39%, 42% 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더하여, 액적성장부(170)를 통과하는 유체의 선속도가 3.0 m/s로 감소되며, 유체가 액적성장부(170)에 체류하는 체류시간도 1.48초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액적성장부(170)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분포를 균 일하게 할 수 있으며, 더하여 액적의 성장 시간을 증대함으로써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응축되는 응축수의 회수량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흡착유닛(180)은 장치본체(12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토출되는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를 흡착한다. 이를 위해 흡착유닛(180)은 유체에 함유되어 성장된 액정을 흡착하는 제1 흡착부재(182)와,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경로상에서 제1 흡착부재(182)의 후단에 배치되어 유체에 잔존하는 액적을 흡착하는 제2 흡착부재(18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흡착부재(182)는 유동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공성의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액적성장부(17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장치본체(12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흡착부재(182)는 유동하는 유체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지그재그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공성의 필터로 이루어진 제1 흡착부재(182)를 통과하는 유체에 함유된 액적은 제1 흡착부재(182)에 흡착되어 유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2 흡착부재(184)는 제1 흡착부재(182)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장치본체(120)에 구비되며, 제1 흡착부재(182)보다 세밀한 다공성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흡착부재(182)로부터 제거되지 못한 액적은 제2 흡착부재(184)에 의해 유동하는 유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치본체(12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는 제1,2 흡착부재(182,184)를 통과하면서 함유하고 있는 수증기가 감소된 상태로 토출된다.
한편, 백연제거장치(100)는 복수개의 분사유닛(13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장 치본체(120)에 구비되며, 외기를 공급하여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외기공급유닛(190)을 포함할 수 있다.
외기공급유닛(190)은 외기를 흡입하여 장치본체(12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팬(192)과, 송풍팬(192)과 장치본체(120)를 연결하는 외기공급관(194)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외기공급유닛(190)은 제1 분사유닛(140)과 제2 분사유닛(15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장치본체(12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외기공급유닛(190)은 외기를 장치본체(12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송풍팬(192)과 외기공급관(194)으로 구성된다.
즉, 제1 분사유닛(140)을 통과한 유체에 외기공급유닛(190)에 의해 외기가 공급되어 외기와 수증기를 함유한 유체가 접촉되면서 수증기의 액적이 성장하게 된다.
즉, 수증기가 함유된 유체에 외기를 공급하므로써 유체의 온도가 하강하고 이에 따라 유체의 이슬점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결국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응축되는 물의 양이 증가되어 액적이 성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외기공급유닛(190)에 의해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의 액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수증기로부터 응축되는 응축수의 양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저장부(200)는 장치본체(12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응축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응축된 액적은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낙하되고, 더하여 흡착유닛(190)에 흡착된 응축수는 장치본체(120) 의 내부면을 따라 흘러 저장부(2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부(200)로 유입된 응축수는 이후 재사용을 위해 이송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분사유닛(130)을 통해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생성되는 액적의 크기를 증대시킴에 따라 수증기로부터 포집되는 응축수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분산부재(160)를 통해 유동하는 수증기의 편향류를 완화시켜 수증기가 분산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증기의 유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수증기로부터 포집되는 응축수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하여, 액적성장부(170)를 통해 유체에 함유되는 수증기로부터 생성되는 액적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제공함과 동시에 유체의 유동분포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유체에 함유되는 수증기로부터 포집되는 응축수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공급부(110)에 의해 수증기를 함유하는 유체가 장치본체(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유체는 제1 분산부재(162)를 통과하고, 이에 따라 유입되는 유체의 속도에 의한 편향 현상이 감소된다. 이와 같이 제1 분산부재(162)를 통과한 유체에 제1 분사유닛(140)으로부터 물이 분사된다.
이에 따라,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와 물이 접촉되고 1차로 액적의 크기가 응축효과 및 기액접촉에 의해 증대된다.
이와 같이, 액적의 크기가 증가한 유체에 외기공급유닛(190)에 의해 외기가 공급된다. 외기와 유체가 접촉되면 유체의 이슬점 온도가 하강하여 유체로부터 응축되는 액적이 증가하는 동시에 액적의 크기도 증가한다.
이후, 유체는 제2 분산부재(164)를 통과하고, 이에 따라 유체의 유동분포가 보다 균일하게 된다. 이와 같이 균일한 유동분포를 가지도록 유동하는 유체에 제2 분사유닛(150)을 통해 물이 분사된다. 제2 분사유닛(150)에 의해 분사되는 물과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가 접촉되면 액적의 크기는 더욱 증가하게 된다.
한편, 제2 분사유닛(150)에 의해 물과 접촉된 유체는 액적성장부(170)를 통과한다. 이에 따라 유체의 유동분포는 더욱 균일해지며, 더하여 유동하는 유체에는 액적의 성장을 위한 충분한 시간이 제공된다.
즉, 액적성장부(170)를 통과한 유체의 액적은 크기가 증가되는 동시에 균일한 유동분포를 가지도록 유동된다.
이후, 유체는 흡착유닛(180)을 통과하고 이에 따라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응축수를 회수할 수 있다. 즉 성장된 액적은 제1,2 흡착부재(182,184)를 통과하면서 유체로부터 제거된다.
이와 같이 수증기의 양을 감소된 유체는 장치본체(120)로부터 토출되고, 결 국 장치본체(12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는 수증기의 양이 감소되므로 토출시 발생되는 백연 효과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장치본체(120)로부터 응축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해 장치본체(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저장부(200)에 회수되어 저장된다. 이후 저장부(200)에 저장된 응축수는 재활용을 위해 이송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분사유닛(130)을 통해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성생되는 액적의 크기를 증대시킴에 따라 수증기로부터 포집되는 응축수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분산부재(160)를 통해 유동하는 수증기의 편향류를 완화시켜 수증기가 분산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증기의 유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수증기로부터 포집되는 응축수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하여, 액적성장부(170)를 통해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생성되는 액적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제공함과 동시에 유체의 유동분포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수증기로부터 포집되는 응축수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연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액적성장부의 높이에 따른 유동하는 유체의 온도분포를 나타내는 온도분포도이다.
도 5는 액적성장부의 높이에 따른 응축수 회수율과 회수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백연제거장치.
110 : 공급부
120 : 장치본체
130 : 분사유닛
160 : 분산부재
170 : 액적성장부
180 : 흡착유닛
190 : 외기공급유닛
200 : 저장부
Claims (11)
- 수증기를 함유하는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상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내부로 수증기를 함유한 유체가 유입되는 장치본체; 및,유입된 유체에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분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장치본체는, 유체의 유동경로상에서 상기 분사유닛의 후단에 배치되며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로부터 생성된 액적을 성장시키는 액적성장부를 더 구비하는 백연제거장치.
- 수증기를 함유하는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상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내부로 수증기를 함유한 유체가 유입되는 장치본체; 및유입된 유체에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분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복수개의 분사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외기를 공급하여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외기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백연제거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복수개의 분사유닛은, 유체로 분사되는 물이 공급되는 제1 공급관과, 제1 공급관에 설치되어 물을 유체로 분사하는 다수개의 제1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제1 분사유닛; 및,유체로 분사되는 물이 공급되는 제2 공급관과, 제2 공급관에 설치되어 물을 유체로 분사하는 다수개의 제2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유체의 유동경로상에서 상기 제1 분사유닛의 후단에 이격 배치되는 제2 분사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제거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유체의 유동경로상에서 상기 복수개의 분사유닛 각각의 전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분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액적성장부는, 1300 mm 내지 3700 mm 의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제거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장치본체에 상단부에 구비되며, 토출되는 유체에 함유된 수증기를 흡착하는 흡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제거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흡착유닛은, 유체에 함유되어 성장된 액적을 흡착하는 제1 흡착부재와,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경로상에서 상기 제1 흡착부재의 후단에 배치되어 유체에 잔존하는 액적을 흡착하는 제2 흡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제거장치.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외기공급유닛은,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과 상기 장치본체를 연결하는 외기공급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제거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공급부는, 수증기가 내부로 흐르는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에 연결되어 수증기를 상기 장치본체로 유입시키는 흡입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제거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장치본체는, 내부의 유지,보수시 개방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제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3377A KR101143196B1 (ko) | 2009-12-29 | 2009-12-29 | 백연제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3377A KR101143196B1 (ko) | 2009-12-29 | 2009-12-29 | 백연제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6628A KR20110076628A (ko) | 2011-07-06 |
KR101143196B1 true KR101143196B1 (ko) | 2012-05-18 |
Family
ID=4491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3377A KR101143196B1 (ko) | 2009-12-29 | 2009-12-29 | 백연제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319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7886B1 (ko) | 2017-09-22 | 2018-06-18 | 조영호 | 백연 제거장치 |
KR101881387B1 (ko) | 2017-09-22 | 2018-07-24 | 이호승 | 백연 저감장치 |
KR20200130923A (ko) | 2019-05-13 | 2020-11-23 | 조영호 | 고효율 열교환기를 이용한 백연(유해물질포함)제거장치 |
KR20210041698A (ko) | 2019-10-08 | 2021-04-16 | 구자숭 |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939837A (zh) * | 2018-06-27 | 2018-12-07 | 东南大学 | 一种气体脱水除灰排放消白烟方法和装置和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7473B1 (ko) * | 2006-09-07 | 2008-03-27 | 주식회사 카엘 | 이중 분사식 냉각탑 |
-
2009
- 2009-12-29 KR KR1020090133377A patent/KR10114319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7473B1 (ko) * | 2006-09-07 | 2008-03-27 | 주식회사 카엘 | 이중 분사식 냉각탑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7886B1 (ko) | 2017-09-22 | 2018-06-18 | 조영호 | 백연 제거장치 |
KR101881387B1 (ko) | 2017-09-22 | 2018-07-24 | 이호승 | 백연 저감장치 |
KR20200130923A (ko) | 2019-05-13 | 2020-11-23 | 조영호 | 고효율 열교환기를 이용한 백연(유해물질포함)제거장치 |
KR20210041698A (ko) | 2019-10-08 | 2021-04-16 | 구자숭 |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6628A (ko) | 2011-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3196B1 (ko) | 백연제거장치 | |
AU2021203662B2 (en) | Submicron particle removal from gas streams | |
US9453687B2 (en) | Plume abatement and evaporated water recovery apparatus using combined heat exchanger-condenser | |
KR20110076626A (ko) | 백연제거장치 | |
US4190622A (en) | Process for prilling urea | |
EP2374521A1 (en) | Gas-liquid exchanging method and device | |
JP2009503431A (ja) | パイプ循環流体冷却用コンベクター | |
CZ227394A3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 purification or cooling of gas | |
KR20110076627A (ko) | 백연제거장치 | |
SE530684C2 (sv) | Skrubberanordning för rening av gaser | |
CN206033936U (zh) | 无纺布生产水雾冷却系统 | |
KR101076249B1 (ko) | 용액을 냉각시키는 장치 및 방법 | |
KR101290754B1 (ko) | 냉각탑 및 상기 냉각탑의 백연처리방법 | |
JP2004237258A (ja) | 湿式排煙脱硫装置 | |
SE506946C2 (sv) | Anläggning för rening av gaser | |
CA2271424A1 (en) | Improved cooling tower construction | |
JP2019158272A (ja) | 冷却装置 | |
KR101353431B1 (ko) | 가스 냉각 장치 | |
US20020060375A1 (en) | Cooling tower construction | |
KR102563143B1 (ko) | 자체 열교환 방식을 가지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 |
KR101306560B1 (ko) | 백연 제거 장치 | |
CN215209276U (zh) | 粗煤气除杂装置 | |
KR200228752Y1 (ko) | 공기청정실용 기체정화장치 | |
PL239807B1 (pl) | Sposób rekuperacji ciepła z oparów odprowadzanych z suszarni ciągu technologicznego do produkcji wytłaczanek | |
CN104349830A (zh) | 用于干法过滤工艺气体的方法与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