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9875A -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9875A
KR20110119875A KR1020100039272A KR20100039272A KR20110119875A KR 20110119875 A KR20110119875 A KR 20110119875A KR 1020100039272 A KR1020100039272 A KR 1020100039272A KR 20100039272 A KR20100039272 A KR 20100039272A KR 20110119875 A KR20110119875 A KR 20110119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channel
mimo
data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2955B1 (ko
Inventor
한정수
문희찬
임준성
안성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9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955B1/ko
Priority to US13/096,299 priority patent/US8429515B2/en
Publication of KR2011011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7Scheduling of signalling, e.g. occurrenc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로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를 위한 제1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MU-MIMO 모드를 위한 제2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이 아닌 데이터채널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본 발명은 다중 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MIMO 시스템에서 단일 사용자 MIMO(SU-MIMO: Single User MIMO) 제어정보 뿐만 아니라 다중 사용자 MIMO(MU-MIMO: Multiple User MIMO) 제어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속 및 고품질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기술 중의 하나로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다중 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이 크게 주목되고 있다. 상기 MIMO 기술은 다수의 안테나들로 인한 다수의 채널들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채널 용량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송수신단이 모두 M개의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고, 각 안테나 간의 채널이 독립적이며, 대역폭과 전체 송신 전력이 고정되었을 경우, 평균 채널 용량은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M배 증가하게 된다.
상기 MIMO 기술은 단일 사용자 MIMO(SU-MIMO: Single User MIMO) 기술과 다중 사용자 MIMO(MU-MIMO: Multiple User MIMO) 기술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SU-MIMO 기술은 한 쌍의 송수신단이 다수의 안테나들에 의한 다수의 채널들을 모두 점유하여 일대 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MU-MIMO 기술은 다수의 안테나들에 의한 다수의 채널들을 분할하여 사용함으로써, 일대 다수 관계인 송수신단 간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cation)-advanced 후보 기술인 LTE(Long Term Evolution)-advanced 기반 시스템에서는, 공간 영역에서의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 이득을 최대한 활용하여, 하향링크 MIMO에서 보다 높은 최대 스펙트럼 효율과 평균 셀 처리율을 얻기 위해, 기존 LTE Rel-8의 44 하향링크 SU-MIMO를 88 하향링크 SU-MIMO로 확장하는 기술과 하향링크 MU-MIMO 기술을 LTE-advanced 핵심 기술로 고려하고 있다. LTE Rel-8 기반 시스템에서도 MU-MIMO 기술을 적용하고는 있으나, 전통적인 SDMA(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 근간한 가장 단순한 형태의 MU-MIMO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함께 스케줄링되는 다른 사용자에 의한 동일 채널 간섭과 관련된 아무런 정보도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LTE Rel-8 표준에 있어서 MU-MIMO 방식과 SU-MIMO 방식의 유일한 차이점은, 전송 전력 공유에 대한 정보가 해당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것이다.
MU-MIMO의 공간 다이버시티 (spatial diversity) 이득을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동일 채널 간섭을 적절하게 다룰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동일 채널 간섭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줄일 수 있을 있다. 이를 위해서 LTE-advanced 시스템에서는, SU-MIMO를 위한 제어정보 뿐 아니라, 동일 자원에 동시에 스케줄링된 단말의 개수(number of co-scheduled-UE), 동일 자원에 동시에 스케줄링된 모든 단말의 실제 전송 랭크 및 안테나 포트(actual transmission rank and port of all co-scheduled UEs), 동일 자원에 동시에 스케줄링된 모든 단말의 자원 할당(exact resource allocation of all co-scheduled UEs),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등 MU-MIMO를 위한 추가적인 제어정보의 전송을 고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MU-MIMO를 위한 제어정보 전송 방식과 관련된 사항은 현재 LTE-advanced MIMO의 중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고려되고 있는 MU-MIMO를 위한 제어정보 전송 방식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은 SU-MIMO와 MU-MIMO를 서로 다른 전송모드로 지원하는 방식이다. 상기 방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SU-MIMO 모드와 MU-MIMO 모드를 구분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제어정보를 전송할 경우, 기지국 입장에서는 제어 채널에 부가적으로 전송해야 하는 오버헤드(overhead)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SU-MIMO 모드와 MU-MIMO 모드를 구분하기 위해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ling)을 고려할 경우, 전송 모드가 세미 스태틱(semi-static)하게 구성(configuration)되기 때문에 스케줄링 유연성(scheduling flexibility)이 떨어지게 된다.
두 번째 방식은 SU-MIMO와 MU-MIMO를 동일한 전송모드로 지원하되, 서로 다른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으로 지원하는 방식이다. 상기 방식의 경우, 단말 입장에서는 제어 채널에서 길이가 다른 두 가지 DCI 포맷을 동시에 모니터링(monitoring)해야 하기 때문에, 디코딩 과정에서의 복잡성(complexity)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이 현재 고려되고 있는 MIMO 제어정보 전송 방식은 MIMO를 지원함에 있어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MIMO 지원을 통해 최대의 이득을 얻기 위해서는 SU-MIMO와 MU-MIMO의 지원을 위한 보다 합리적인 제어정보 전송 방식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MIMO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MIMO 시스템에서 SU-MIMO 제어정보 뿐만 아니라 MU-MIMO 제어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MIMO 시스템에서 M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예,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 아닌, 데이터채널(예, 물리하향링크공용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MIMO 시스템에서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예, PDCCH)을 통해, 데이터채널(예, PDSCH) 내 기 결정된 영역에 M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MIMO 시스템에서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예, PDCCH)에 1비트 지시자를 삽입하여, M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의 존재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MIMO 시스템에서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예, PDCCH)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정보의 CRC에 기 결정된 마스크 코드(Mask Code)를 마스킹(Masking)하여, M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의 존재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MIMO 시스템에서, SU-MIMO 모드와 MU-MIMO 모드 간 다이나믹 스위칭(Dynamic Switching)을 지원함과 동시에, 기지국에서의 추가적인 제어정보의 전송 또는 단말에서의 추가적인 제어정보의 디코딩 수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제어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다중 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로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를 위한 제1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MU-MIMO 모드를 위한 제2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이 아닌 데이터채널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다중 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를 위한 제1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MU-MIMO 모드를 위한 제2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이 아닌 데이터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다중 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로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는,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를 위한 제1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1 제어정보 생성부와, MU-MIMO 모드를 위한 제2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2 제어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제1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이 아닌 데이터채널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다중 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를 위한 제1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MU-MIMO 모드를 위한 제2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이 아닌 데이터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신호 처리부와, 상기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를 위한 제1 제어정보를 확인하는 제1 제어정보 확인부와, 상기 MU-MIMO 모드를 위한 제2 제어정보를 확인하는 제2 제어정보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MIMO 시스템에서 M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예,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 아닌, 데이터채널(예, 물리하향링크공용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송수신함으로써, 효율적인 MIMO 송수신 지원과 단말 설계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특히, MIMO 시스템에서, SU-MIMO 모드와 MU-MIMO 모드 간 다이나믹 스위칭(Dynamic Switching)을 지원함과 동시에, 기지국에서의 추가적인 제어정보의 전송 또는 단말에서의 추가적인 제어정보의 디코딩 수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SU-MIMO 제어정보와 MU-MIMO 제어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제1 제어정보에 1비트 지시자(indicator)를 삽입하여 제2 제어정보의 존재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기 결정된 마스크 코드(Mask Code)를 제1 제어정보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에 마스킹(Masking)하여 제2 제어정보의 존재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제1 제어정보와 제2 제어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로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로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단말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MIMO 시스템에서 SU-MIMO 제어정보 뿐만 아니라 MU-MIMO 제어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SU-MIMO 제어정보와 MU-MIMO 제어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프레임은 다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각 서브프레임은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100)과 물리하향링크공용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110)로 구성된다.
상기 PDCCH(100)는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축 상 전단에 위치하는 채널로서, 상기 PDSCH(11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복조를 위해 필요한 제1 제어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제1 제어정보는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모드, 예를 들어, 단일 안테나(Single Antenna) 모드, SU-MIMO 모드, 전송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 모드 등을 위한 제어정보(예, 자원할당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모드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ling)에 의해 구성되는 전송모드(transmission mode)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정보는, 상기 PDSCH(110) 내 기 결정된 영역(120)에 제2 제어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제어정보에 제2 제어정보의 존재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기 위한 방법은, 이후 도 2 또는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PDSCH(110)는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축 상 후단에 위치하는 채널로서, 일반적인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PDSCH(110) 내 기 결정된 영역(120)은 데이터 대신 M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로서 제2 제어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정보는, 동일 자원에 동시에 스케줄링된 단말의 개수(number of co-scheduled-UE), 동일 자원에 동시에 스케줄링된 모든 단말의 실제 전송 랭크 및 안테나 포트(actual transmission rank and port of all co-scheduled UEs), 동일 자원에 동시에 스케줄링된 모든 단말의 자원 할당(exact resource allocation of all co-scheduled UEs),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정보에 포함된 각 단말의 제어정보는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되어 동일한 자원(resource)에 할당된다. 따라서, MU-MIMO 모드로 스케줄링된 각 단말의 제어정보가 서로 다른 자원에 할당되어 PDCCH(100)를 통해 단말로 전송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였을 경우, 본 발명은 제2 제어정보의 전송을 위한 자원의 할당을 최대 (1 / MU-MIMO 모드로 스케줄링된 단말의 개수) 만큼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인 자원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기지국은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임이 결정되는 경우, 단말이 제1 제어정보 뿐만 아니라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2 제어정보의 존재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정보를 PDCCH(100)를 통해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PDSCH(110) 내 기 결정된 영역(120)을 통해 단말로 제2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만약,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가 아닌 그 외 전송 모드임이 결정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단말이 제1 제어정보만을 수신할 수 있도록, 제2 제어정보의 부재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정보를 PDCCH(100)를 통해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PDSCH(110) 내 기 결정된 영역(120)을 통해 단말로 제2 제어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상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PDCCH(100)를 통해 제1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제어정보가 제2 제어정보의 존재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상기 수신된 제1 제어정보가 제2 제어정보의 존재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임을 판단하여, PDSCH(110) 내 기 결정된 영역(120)을 통해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제어정보와 제2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조한다. 만약, 상기 수신된 제1 제어정보가 제2 제어정보의 부재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가 아닌 그 외 전송 모드임을 판단하여, PDSCH(110) 내 기 결정된 영역(120)을 통해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1 제어정보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지국이 PDCCH(100)를 통해 전송하는 제1 제어정보를 통해 제2 제어정보의 존재 여부를 지시하고, PDSCH(110) 내 기 결정된 영역(120)을 통해 제2 제어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현재 전송 모드에 대한 별도의 지시가 없어도 바로 현재 전송 모드로 다이나믹 스위칭(dynamic switching)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제1 제어정보에 1비트 지시자(indicator)를 삽입하여 제2 제어정보의 존재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PDCCH(200)를 통해 전송하는 제1 제어정보에 1비트 지시자(230)를 삽입하여, PDSCH(210) 내 기 결정된 영역(220)에 제2 제어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단말은 제1 제어정보에 삽입된 1비트 지시자(230)를 통해 제2 제어정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지시자 비트가 '1'의 값을 가질 경우, PDSCH(210) 내 기 결정된 영역(220)에 제2 제어정보가 존재함을 판단하고, 상기 지시자 비트가 '0'의 값을 가질 경우, PDSCH(210) 내 기 결정된 영역(220)에 제2 제어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PDCCH에서 SU-MIMO 모드와 MU-MIMO 모두가 동일한 길이의 DCI 포맷을 가지기 때문에 단말 입장에서 디코딩 횟수의 증가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기 결정된 마스크 코드(Mask Code)를 제1 제어정보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에 마스킹(Masking)하여 제2 제어정보의 존재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PDCCH(300)를 통해 전송하는 제1 제어정보의 CRC에 기 결정된 마스크 코드(Mask Code)를 마스킹(Masking)하여, PDSCH(310) 내 기 결정된 영역(320)에 제2 제어정보가 존재함을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 코드는 CRC와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단말은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기 결정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하였을 경우와 마스킹 하지 않았을 경우 각각에 대한, CRC 검사를 수행하여 제2 제어정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제1 제어정보의 CRC에 기 결정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한 CRC 검사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경우, PDSCH(310) 내 기 결정된 영역(320)에 제2 제어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판단하고, 제1 제어정보의 CRC에 기 결정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하였을 경우에 대한 CRC 검사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경우, PDSCH(310) 내 기 결정된 영역(320)에 제2 제어정보가 존재함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PDCCH에서 SU-MIMO 모드와 MU-MIMO 모두가 동일한 길이의 DCI 포맷을 가지기 때문에 단말 입장에서 디코딩 횟수의 증가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PDCCH에 리던던트 비트(redundant bit)인 패딩 비트(padding bit)를 삽입함에 따라 발생되는 전송 전력 감소 또는 자원 효율 감소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제1 제어정보와 제2 제어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제2 제어정보는 PDSCH 내 기 결정된 고정된 위치 및 크기의 자원에 할당되며, 처리 시간(processing time) 및 시간 다이버시티(time diversity)에 의한 성능 열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으로 먼저 할당된다. 또한, 제2 제어정보의 MCS 레벨은 데이터의 MCS 레벨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강건(robust)한 제2 제어정보의 획득을 위해서는, 데이터의 MCS 레벨과 상관없이, BPSK(Binary Phase Shiftin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in Keying)와 같은 낮은 차수 변조(low-order modulation)와 낮은 코드율(low coding rate)의 적용이 요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로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501단계에서 서브프레임 내 PDSCH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03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503단계에서,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임이 판단될 시, 상기 기지국은 505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예, S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제어정보에 CRC를 추가한 후, 507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07단계에서 상기 CRC가 추가된 제1 제어정보에,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1비트 지시자를 삽입하고, 상기 1비트 지시자가 삽입된 제1 제어정보를 인코딩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09단계에서 PDCCH를 통해 단말로 상기 인코딩된 제1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11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M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정보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제어정보에 CRC를 추가한 후, 상기 CRC가 추가된 제2 제어정보를 인코딩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13단계에서 PDSCH 내 기 결정된 영역을 통해 단말로 상기 인코딩된 제2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15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상기 PDSCH 내 나머지 영역을 통해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503단계에서,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가 아닌 그 외 전송 모드임이 판단될 시, 상기 기지국은 517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를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제어정보에 CRC를 추가한 후, 519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19단계에서 상기 CRC가 추가된 제1 제어정보에, 제2 제어정보의 부재를 지시하기 위한 1비트 지시자를 삽입하고, 상기 1비트 지시자가 삽입된 제1 제어정보를 인코딩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21단계에서 PDCCH를 통해 단말로 상기 인코딩된 제1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23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상기 PDSCH를 통해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601단계에서 PDCCH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예, S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정보를 수신 및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제1 제어정보에 대해 CRC 검사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603단계에서 상기 제1 제어정보에 대해 수행된 CRC 검사가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603단계에서, 상기 제1 제어정보에 대해 수행된 CRC 검사가 실패하였음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상기 601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상기 603단계에서, 상기 제1 제어정보에 대해 수행된 CRC 검사가 성공하였음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6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 제어정보에서 제2 제어정보의 존재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1비트 지시자를 추출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607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1비트 지시자가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607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1비트 지시자가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함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현재 전송모드가 MU-MIMO 모드임을 인지하여, 609단계에서 PDSCH 내 기 결정된 영역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M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정보를 수신 및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제2 제어정보에 대해 CRC 검사를 수행한 후, 611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611단계에서 상기 제2 제어정보에 대해 수행된 CRC 검사가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611단계에서, 상기 제2 제어정보에 대해 수행된 CRC 검사가 성공하였음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613단계로 진행하여 PDSCH 내 나머지 영역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615단계에서 MU-MIMO 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제어정보와 제2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611단계에서, 상기 제2 제어정보에 대해 수행된 CRC 검사가 실패였음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621단계로 진행하여 PDSCH 내 나머지 영역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623단계에서 MU-MIMO 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607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1비트 지시자가 제2 제어정보의 부재를 지시함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현재 전송모드가 MU-MIMO 모드가 아님을 인지하여, 617단계에서 PDSCH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619단계에서 해당 전송 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로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701단계에서 서브프레임 내 PDSCH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703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703단계에서,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임이 판단될 시, 상기 기지국은 705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예, S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제어정보에 CRC를 추가한 후, 707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707단계에서 상기 제1 제어정보의 CRC에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하고, 상기 CRC 마스킹된 제1 제어정보를 인코딩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709단계에서 PDCCH를 통해 단말로 상기 인코딩된 제1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711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M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정보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제어정보에 CRC를 추가한 후, 상기 CRC가 추가된 제2 제어정보를 인코딩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713단계에서 PDSCH 내 기 결정된 영역을 통해 단말로 상기 인코딩된 제2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715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상기 PDSCH 내 나머지 영역을 통해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703단계에서,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가 아닌 그 외 전송 모드임이 판단될 시, 상기 기지국은 717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를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제어정보에 CRC를 추가하며, 상기 CRC가 추가된 제1 제어정보를 인코딩한 후, 719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719단계에서 PDCCH를 통해 단말로 상기 인코딩된 제1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721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상기 PDSCH를 통해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801단계에서 PDCCH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예, S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정보를 수신 및 디코딩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803단계에서 상기 디코딩된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 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한 CRC 검사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805단계에서 상기 디코딩된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 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해 수행된 CRC 검사가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805단계에서, 상기 디코딩된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 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해 수행된 CRC 검사가 성공하였음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현재 전송모드가 MU-MIMO 모드가 아님을 인지하여, 819단계에서 PDSCH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821단계에서 해당 전송 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805단계에서, 상기 디코딩된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 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해 수행된 CRC 검사가 실패하였음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807단계에서 상기 디코딩된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 하였을 경우에 대한 CRC 검사를 수행하고, 809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809단계에서 상기 디코딩된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 하였을 경우에 대해 수행된 CRC 검사가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809단계에서, 상기 디코딩된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 하였을 경우에 대해 수행된 CRC 검사가 실패하였음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상기 801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상기 809단계에서, 상기 디코딩된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 하였을 경우에 대해 수행된 CRC 검사가 성공하였음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현재 전송모드가 MU-MIMO 모드임을 인지하여, 811단계에서 PDSCH 내 기 결정된 영역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M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정보를 수신 및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제2 제어정보에 대해 CRC 검사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813단계에서 상기 제2 제어정보에 대해 수행된 CRC 검사가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813단계에서, 상기 제2 제어정보에 대해 수행된 CRC 검사가 성공하였음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815단계로 진행하여 PDSCH 내 나머지 영역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817단계에서 MU-MIMO 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제어정보와 제2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813단계에서, 상기 제2 제어정보에 대해 수행된 CRC 검사가 실패였음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823단계로 진행하여 PDSCH 내 나머지 영역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825단계에서 MU-MIMO 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스케줄러(900), 데이터 버퍼(902), 제1 제어정보 생성부(904), 제2 제어정보 생성부(906) 및 송신 신호 처리부(9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스케줄러(900)는 서브프레임 내 PDSCH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스케줄링 결과를 데이터 버퍼(902)와 제1 제어정보 생성부(904) 및 제2 제어정보 생성부(906)로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버퍼(902)는 단말들로 송신할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이번 서브프레임에 스케줄링된 단말들의 데이터를 서브프레임 내 PDSCH 전송 구간 동안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908)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제어정보 생성부(904)는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임이 판단되면, 상기 제1 제어정보 생성부(904)는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예, S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제어정보에 CRC를 추가한 후, 상기 CRC가 추가된 제1 제어정보에,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는 정보가 추가된 제1 제어정보를 인코딩하여 출력한다. 반면,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가 아닌 그 외 전송 모드임이 판단되면, 상기 제1 제어정보 생성부(904)는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예, S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제어정보에 CRC를 추가한 후, 상기 CRC가 추가된 제1 제어정보에, 제2 제어정보의 부재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제2 제어정보의 부재를 지시하는 정보가 추가된 제1 제어정보를 인코딩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는, 제1 제어정보에 지시자 비트가 '1'의 값을 가지는 1비트 지시자를 삽입함으로써 추가하거나,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미리 결정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함으로써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제어정보의 부재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는, 제1 제어정보에 지시자 비트가 '0'의 값을 가지는 1비트 지시자를 삽입함으로써 추가하거나,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미리 결정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하지 않음으로써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정보 생성부(906)는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임이 판단되면, 상기 제2 제어정보 생성부(906)는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M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제어정보에 CRC를 추가한 후, 상기 CRC가 추가된 제2 제어정보를 인코딩하여 출력한다. 반면,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가 아닌 그 외 전송 모드임이 판단되면, 상기 제2 제어정보 생성부(906)는 상기 제2 제어정보를 생성하지 않는다.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908)는 상기 데이터 버퍼(902)와 제1 제어정보 생성부(904) 및 제2 제어정보 생성부(906)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비트열을 해당 통신 방식의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단말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방식이 OFDM 방식인 경우,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908)는, 부호화, 변조,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등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정보 비트열을 OFDM 심벌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이때,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908)는 상기 제1 제어정보 생성부(904)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비트열을 서브프레임 내 PDCCH 전송 구간 동안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제어정보 생성부(906)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비트열을 PDSCH 내 기 결정된 전송 구간 동안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버퍼(902)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비트열을 상기 PDSCH 내 나머지 전송 구간 동안 단말로 전송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단말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수신 신호 처리부(1000), 데이터 분류부(1002), 데이터 복원부(1004), 제1 제어정보 확인부(1006) 및 제2 제어정보 확인부(10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1000)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해당 통신 방식에 따라 처리하여 정보 비트열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방식이 OFDM(Orthogonal Freu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인 경우,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1000)는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복조, 복호화 등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정보 비트열로 변환한다.
상기 데이터 분류부(1002)는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10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비트열을 트래픽 데이터 및 제1 제어정보와 제2 제어정보로 분류하여 출력한다. 특히, 상기 데이터 분류부(1002)는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10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비트열 중, 서브프레임 내 PDCCH 전송 구간 동안 제공받은 정보 비트열을 제1 제어정보 확인부(1006)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제어정보 확인부(1006)로부터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할 것을 요청받으면, 상기 데이터 분류부(1002)는 PDSCH 내 기 결정된 전송 구간 동안 제공받은 정보 비트열을 제2 제어정보 확인부(1008)로 출력하고, 상기 PDSCH 내 나머지 전송 구간 동안 제공받은 정보 비트열을 데이터 복원부(1004)로 출력한다. 만약, 상기 제1 제어정보 확인부(1006)로부터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할 것을 요청받지 않거나, 혹은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하지 말 것을 요청받으면, 상기 데이터 분류부(1002)는 PDSCH 전송 구간 동안 제공받은 모든 정보 비트열을 데이터 복원부(1004)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복원부(1004)는 제1 제어정보 확인부(1006)로부터 제공받은 제1 제어정보와 필요에 따라 제2 제어정보 확인부(1008)로부터 제공받은 제2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분류부(1002)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복조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한다. 특히, 상기 데이터 복원부(1004)는, 제1 제어정보 확인부(1006)로부터 데이터 복원 시 제1 제어정보와 함께 제2 제어정보를 이용할 것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제1 제어정보 확인부(1006) 및 제2 제어정보 확인부(1008)로부터 제공받은 제1 제어정보 및 제2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MU-MIMO 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데이터 분류부(1002)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복조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복원부(1004)는, 제1 제어정보 확인부(1006)로부터 데이터 복원 시 제1 제어정보만을 이용할 것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제1 제어정보 확인부(1006)로부터 제공받은 제1 제어정보만을 기반으로 해당 전송 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데이터 분류부(1002)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복조한다. 만약, 제1 제어정보 확인부(1006)로부터 데이터 복원 시 제1 제어정보와 함께 제2 제어정보를 이용할 것을 요청받았으나, 제2 제어정보 확인부(1008)로부터 제2 제어정보가 제공되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 복원부(1004)는 상기 제1 제어정보 확인부(1006)로부터 제공받은 제1 제어정보만을 기반으로 MU-MIMO 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데이터 분류부(1002)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복조한다.
상기 제1 제어정보 확인부(1006)는 상기 데이터 분류부(1002)로부터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예, S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정보를 제공받아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제1 제어정보에 대해 CRC 검사를 수행한다. 상기 제1 제어정보에 대해 수행된 CRC 검사가 성공하였음이 판단되면, 상기 제1 제어정보 확인부(1006)는 상기 디코딩된 제1 제어정보를 상기 데이터 복원부(1004)로 제공하고, 상기 제1 제어정보에서,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검출한다. 만약, 상기 검출된 정보가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함이 판단되면, 상기 제1 제어정보 확인부(1006)는 상기 데이터 분류부(1002)로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데이터 복원부(1004)로 데이터 복원 시 제1 제어정보와 함께 제2 제어정보를 이용할 것을 요청한다. 만약, 상기 검출된 정보가 제2 제어정보의 부재를 지시함이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 분류부(1002)로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할 것을 요청하지 않거나, 혹은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하지 말 것을 요청하고, 상기 데이터 복원부(1004)로 데이터 복원 시 제1 제어정보만을 이용할 것을 요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제어정보 확인부(1006)는 제1 제어정보에서 제2 제어정보의 존재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1비트 지시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1비트 지시자가 '1'의 값을 가지면 상기 추출된 1비트 지시자가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추출된 1비트 지시자가 '0'의 값을 가지면 상기 추출된 1비트 지시자가 제2 제어정보의 부재를 지시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제어정보 확인부(1006)는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 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한 CRC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CRC 검사가 성공하면, 제2 제어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판단하며,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 하였을 경우에 대한 CRC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CRC 검사가 성공하면, 제2 제어정보가 존재함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정보 확인부(1008)는 상기 데이터 분류부(1002)로부터 MU-MIMO 모드를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정보를 제공받아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제2 제어정보에 대해 CRC 검사를 수행한다. 상기 제2 제어정보에 대해 수행된 CRC 검사가 성공하였음이 판단되면, 상기 제2 제어정보 확인부(1008)는 상기 디코딩된 제2 제어정보를 상기 데이터 복원부(1004)로 제공하고, 상기 제2 제어정보에 대해 수행된 CRC 검사가 실패하였음이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 복원부(1004)로 제2 제어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스케줄러 900, 제1 제어정보 생성부 904, 제2 제어정보 생성부 906, 제1 제어정보 확인부 1006, 제2 제어정보 확인부 1008

Claims (26)

  1. 다중 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로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를 위한 제1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MU-MIMO 모드를 위한 제2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이 아닌 데이터채널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은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고, 상기 데이터채널은 물리하향링크공용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정보에, 제2 제어정보의 존재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1비트 지시자를 삽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정보의 CRC에,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정보는, 상기 데이터채널 내 기 결정된 영역을 통해 단말로 전송되며, 상기 기 결정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통해 단말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채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가 아님이 판단될 시, MU-MIMO 모드를 위한 제2 제어정보를 단말로 전송하지 않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다중 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를 위한 제1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MU-MIMO 모드를 위한 제2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이 아닌 데이터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은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고, 상기 데이터채널은 물리하향링크공용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정보에서, 제2 제어정보의 존재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1비트 지시자를 추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제어정보 수신 과정은, 상기 추출된 1비트 지시자가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는 경우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하였을 경우에 대한 CRC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제어정보 수신 과정은, 상기 CRC 검사가 성공하였을 경우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한 CRC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상기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한 CRC 검사가 성공하였을 경우, 해당 전송 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제어정보 수신 과정은, 상기 상기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한 CRC 검사가 성공하였을 경우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정보는, 상기 데이터채널 내 기 결정된 영역을 통해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채널 내 기 결정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제어정보에 대한 CRC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CRC 검사가 성공하였을 경우, MU-MIMO 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제어정보와 제2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CRC 검사가 실패하였을 경우, MU-MIMO 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다중 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로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를 위한 제1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1 제어정보 생성부와,
    MU-MIMO 모드를 위한 제2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2 제어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제1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이 아닌 데이터채널을 통해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은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고, 상기 데이터채널은 물리하향링크공용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1 제어정보에, 제2 제어정보의 존재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1비트 지시자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1 제어정보의 CRC에,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채널 내 기 결정된 영역을 통해 상기 제2 제어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기 결정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통해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채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스케줄러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제어정보 생성부는, 상기 스케줄링을 기반으로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현재 전송 모드가 MU-MIMO 모드가 아님이 판단될 시, MU-MIMO 모드를 위한 제2 제어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다중 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를 위한 제1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MU-MIMO 모드를 위한 제2 제어정보를,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이 아닌 데이터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신호 처리부와,
    상기 MU-MIMO 모드를 제외한 모든 전송모드를 위한 제1 제어정보를 확인하는 제1 제어정보 확인부와,
    상기 MU-MIMO 모드를 위한 제2 제어정보를 확인하는 제2 제어정보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은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고, 상기 데이터채널은 물리하향링크공용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정보 확인부는, 상기 제1 제어정보에서, 제2 제어정보의 존재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1비트 지시자를 추출하며,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는, 상기 추출된 1비트 지시자가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정보 확인부는, 상기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하였을 경우에 대한 CRC 검사를 수행하며,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는, 상기 CRC 검사가 성공하였을 경우 상기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정보 확인부는, 상기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제2 제어정보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한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한 CRC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한 CRC 검사가 성공하였을 경우, 해당 전송 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도록 데이터 복원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제어정보의 CRC에 대해 마스크 코드를 마스킹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한 CRC 검사가 성공하였을 경우 상기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채널 내 기 결정된 영역을 통해 상기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채널 내 기 결정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제어정보 확인부는, 상기 제2 제어정보에 대한 CRC 검사를 수행하며, 상기 CRC 검사가 성공하였을 경우, MU-MIMO 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제어정보와 제2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도록 데이터 복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CRC 검사가 실패하였을 경우, MU-MIMO 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도록 상기 데이터 복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00039272A 2010-04-28 2010-04-28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622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272A KR101622955B1 (ko) 2010-04-28 2010-04-28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3/096,299 US8429515B2 (en) 2010-04-28 2011-04-28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272A KR101622955B1 (ko) 2010-04-28 2010-04-28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875A true KR20110119875A (ko) 2011-11-03
KR101622955B1 KR101622955B1 (ko) 2016-05-20

Family

ID=4485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272A KR101622955B1 (ko) 2010-04-28 2010-04-28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29515B2 (ko)
KR (1) KR101622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445A1 (ja) 2009-06-10 2010-1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02907155A (zh) * 2010-04-29 2013-01-30 富士通株式会社 反馈预编码矩阵信息的方法和移动台
US20110267948A1 (en) * 2010-05-03 2011-11-03 Koc Ali T Techniques for communicating and managing congestion in a wireless network
WO2012150823A2 (ko) * 2011-05-05 2012-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신호 수신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방법 및 기지국
US8792924B2 (en) * 2011-05-06 2014-07-2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cell access
GB2502275B (en) * 2012-05-21 2017-04-19 Sony Corp Tele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GB2502274B (en) 2012-05-21 2017-04-19 Sony Corp Tele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US10973018B2 (en) * 2015-11-23 2021-04-06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resource blocks with integrated control and data
US20180041992A1 (en) * 2016-01-13 2018-02-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 channel for a wireless network
US10027437B2 (en) 2016-06-24 2018-07-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ode-multiplexing control method, and transmission apparatus and reception apparatus for the same
US10602523B2 (en) * 2016-12-22 2020-03-2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llocation of network resources based on antenna information and/or device type information
US11438915B2 (en) * 2018-06-08 2022-09-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DMA carrier sharing
US11005564B2 (en) 2019-01-17 2021-05-11 Kookmin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hybrid modulation scheme in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384B1 (ko) 1999-11-24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통 패킷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 전송 방법
KR101382894B1 (ko) * 2007-03-12 201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방법
WO2011008013A2 (ko) * 2009-07-13 201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홀 링크 전송을 위한 전송 모드 구성 방법 및 장치
US20110194504A1 (en) * 2009-08-12 2011-08-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ingle-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u-mimo) and multi-user mimo (mu-mimo)
WO2011025278A2 (ko) * 2009-08-26 2011-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사용자 mimo 전송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41968B1 (ko) * 2009-09-14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입출력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9236992B2 (en) * 2009-09-18 2016-01-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scheduling signals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108035B2 (ja) * 2010-01-06 2012-12-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及び制御情報送信方法
CN102158971B (zh) * 2010-02-11 2014-11-05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半持续调度业务或类似半持续调度业务的方法及设备
US8270359B2 (en) * 2010-03-15 2012-09-18 Motorola Mobility Llc Antenna port information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122830A2 (ko) * 2010-03-29 201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피드백 방법 및 장치
US20110267948A1 (en) * 2010-05-03 2011-11-03 Koc Ali T Techniques for communicating and managing congestion in a wireles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955B1 (ko) 2016-05-20
US20110271168A1 (en) 2011-11-03
US8429515B2 (en) 201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955B1 (ko)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RU2441325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ления соответствия модуляционных символов ресурсам в системах мультиплексирования с ортогональным частотным разделением (ofdm)
US9048989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signaling on wireless relay link
CN107113824B (zh) 在无线局域网中使用半正交多址接入的系统和方法
KR101684867B1 (ko) 공간 다중화 이득을 이용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RU2437222C2 (ru)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е каналов управления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US110954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nd receiving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665035B2 (ja) 制御チャンネル送受信方法および装置
CN102907014B (zh) 在宽带无线通信系统中指示上行链路资源分配的装置和方法
JP5669318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5379347A (zh) 消除相邻小区数据传输的方法
EP3469751B1 (en) Control data transmission scheme
CN106713193B (zh) 一种多用户复用传输的方法和设备
KR20200003020A (ko) 기지국 장치, 단말기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JP5728110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5025630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in a multiple user-multiple-in-multiple-out network
KR100922983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채널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9923812A (zh) 一种用户设备、基站中的用于动态调度的方法和装置
US10484143B2 (en) Method and device for short-latency communications in UE and base station
KR20210094090A (ko) 준직교 다중 액세스 기반 wlan 시스템을 위한 공간 시간 블록 코드
CN103326756A (zh) 正交频分多址接入系统中的编码传输方法和系统
JP5475927B2 (ja) 制御情報が複数のサブフレームに分配される制御チャネル構造
CN108989002B (zh) 一种被用于窄带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CN109039554B (zh) 一种被用于窄带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JP201009858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移動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