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020A - 기지국 장치, 단말기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 장치, 단말기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020A
KR20200003020A KR1020197034880A KR20197034880A KR20200003020A KR 20200003020 A KR20200003020 A KR 20200003020A KR 1020197034880 A KR1020197034880 A KR 1020197034880A KR 20197034880 A KR20197034880 A KR 20197034880A KR 20200003020 A KR20200003020 A KR 20200003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terminal device
cbg
confirm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1634B1 (ko
Inventor
홍양 첸
지안밍 우
즈요시 시모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3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1Multiple signaling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기지국 장치는 제1 송신부, 복호부, 재송 제어부 및 제2 송신부를 구비한다. 제1 송신부는,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을 단말기에 송신한다. 복호부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이 각각 단말기에 의하여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인 신호를 복호한다. 재송 제어부는, 복호부에 의하여 복호된 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비트 열 블록 중에서 단말기에 의하여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은 비트 열 블록을 검출함과 함께, 단말기의 수신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2 송신부는 제어 신호를 단말기에 송신한다. 제1 송신부는, 재송 제어부에 의하여 검출된 비트 열 블록을 단말기에 재송한다.

Description

기지국 장치, 단말기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본 발명은 기지국 장치, 단말기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네트워크는 모바일 단말기(스마트폰, 피처폰 등)의 트래픽이 네트워크의 리소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가 사용하는 트래픽은 차후에도 증가해 갈 경향이 있다.
한편,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예를 들어 교통 시스템, 스마트 미터, 장치 등의 감시 시스템)의 전개에 맞추어, 다양한 요구 조건을 갖는 서비스에 대응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차세대(예를 들어 5G(제5 세대 이동체 통신))의 통신 규격에서는 4G(제4 세대 이동체 통신)의 표준 기술(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내지 11)에 더해, 추가적인 고데이터 레이트화, 대용량화, 저지연화를 실현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차세대 통신 규격에 대해서는 3GPP의 작업 부회(예를 들어 TSG-RAN WG1, TSG-RAN WG2 등)에서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2 내지 18).
또한 다종다양한 서비스에 대응하기 위하여 5G에서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으로 분류되는 많은 유스 케이스의 서포트를 상정하고 있다.
LTE(제4 세대 통신 방식) 등에서는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기술이 채용되어 있다. HARQ에서는 수신 장치는, 예를 들어 LTE 등의 레이어1 프로토콜의 처리에 있어서 올바르게 복호하지 못한 데이터에 대한 재송을 송신측의 장치에 요구한다. 송신측의 장치는 데이터 재송이 요구되면, 수신 장치에 있어서 올바르게 복호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응하는 재송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수신 장치는 올바르게 복호하지 못한 데이터와 재송 데이터를 조합하여 데이터를 복호한다. 이것에 의하여 고효율 및 고정밀도의 재송 제어가 실현된다. 또한 수신 장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복호할 수 있었을 때는 송신측의 장치에 ACK 정보를 송신하고, 데이터를 올바르게 복호하지 못했을 때는 송신측의 장치에 NACK 정보를 송신한다.
그런데 현재의 LTE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14심벌의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 대하여 ACK/NACK를 나타내는 1비트의 피드백 정보가 통지된다. 또한 3GPP의 회합에 있어서, ACK/NACK를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부호 블록 그룹(CBG: Code Block Group)별로 통지하는 방식이 동의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3). 이 경우, 각 부호 블록 그룹에 대한 피드백 정보는 1비트이다. 또한 부호 블록 그룹을 구성하는 심벌의 수는, 예를 들어 14심벌 이하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65391호 공보 WO2016/175029호 공보
3GPP TS 36.211 V14.2.0(2017-03) 3GPP TS 36.212 V14.2.0(2017-03) 3GPP TS 36.213 V14.2.0(2017-03) 3GPP TS 36.300 V14.2.0(2017-03) 3GPP TS 36.321 V14.2.0(2017-03) 3GPP TS 36.322 V14.0.0(2017-03) 3GPP TS 36.323 V14.2.0(2017-03) 3GPP TS 36.331 V14.2.0(2017-03) 3GPP TS 36.413 V14.2.0(2017-03) 3GPP TS 36.423 V14.2.0(2017-03) 3GPP TS 36.425 V14.0.0(2017-03) 3GPP TR 38.801 V14.0.0(2017-03) 3GPP TR 38.802 V14.0.0(2017-03) 3GPP TR 38.803 V14.0.0(2017-03) 3GPP TR 38.804 V14.0.0(2017-03) 3GPP TR 38.900 V14.2.0(2016-12) 3GPP TR 38.912 V14.0.0(2017-03) 3GPP TR 38.913 V14.0.0(2017-03)
ACK/NACK를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부호 블록 그룹(CBG)별로 통지하는 방식에서는, 현재의 방식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비트 수를 사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때문에, ACK/NACK를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의 복호에 있어서 복호 오류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ACK/NACK를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의 복호에 있어서 복호 오류의 영향을 저감시킬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ACK/NACK를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의 복호 오류의 영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지국 장치, 단말기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기지국 장치는,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을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1 송신부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이 각각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인 신호를 복호하는 복호부와, 상기 복호부에 의하여 복호된 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비트 열 블록 중에서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은 비트 열 블록을 검출함과 함께, 상기 단말기의 수신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재송 제어부와,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송신부는, 상기 재송 제어부에 의하여 검출된 비트 열 블록을 상기 단말기에 재송한다.
상술한 양태에 의하면, ACK/NACK를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의 복호 오류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HARQ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부호 블록 그룹의 송신 및 재송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CBG 지표(CBG-I)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CBG 지표(CBG-I)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기지국의 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단말기 장치의 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단말기 장치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HARQ의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HARQ의 시퀀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버퍼 정보를 사용하는 HARQ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 신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의 HARQ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의 HARQ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의 HARQ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eNB: enhanced node B)(1) 및 단말기 장치(UE: user equipment)(2)를 포함한다. 단, 기지국(1)은 eNB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지국(1) 및 단말기 장치(2)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기지국(1)으로부터 단말기 장치(2)에 전송되는 데이터는 트랜스포트 블록 TB에 저장되어 있다. 트랜스포트 블록 TB는 복수의 부호 블록 그룹 CBG를 저장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트랜스포트 블록 TB는 4개의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4를 저장한다. 또한 각 부호 블록 그룹 CBG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부호 블록 CB를 저장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각 부호 블록 그룹 CBG는 4개의 부호 블록 CB를 저장한다.
또한 트랜스포트 블록 TB는 「전송 블록」의 일례이다. 각 부호 블록 그룹 CBG는 「비트 열 블록」의 일례이다. 각 부호 블록은 「데이터 유닛」의 일례이다.
각 부호 블록 CB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부가된다. CRC는 오류 검출 부호의 일례이다. 따라서 단말기 장치(2)는 각 부호 블록 CB에 대하여 오류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장치(2)는 부호 블록 그룹 CBG별로, 데이터를 올바르게 수신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말기 장치(2)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수신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인 신호를 생성한다. 확인 신호는 각 부호 블록 그룹 CBG에 대하여 ACK 또는 NACK를 나타낸다. ACK는, 부호 블록 그룹 CBG가 올바르게 수신된 것을 나타내고, NACK는, 부호 블록 그룹 CBG가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각 부호 블록 그룹 CBG의 수신 결과(ACK/NACK)는 1비트로 표시된다. 그리고 단말기 장치(2)는 이 확인 신호를 기지국(1)에 송신한다. 즉, 각 부호 블록 그룹 CBG에 대한 수신 상태가 단말기 장치(2)로부터 기지국(1)에 피드백된다. 이하의 기재에서는 이 확인 신호를 피드백 신호(또는 ACK/NACK 신호)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부호 블록 그룹 CBG#2에 있어서 오류가 검출된다. 따라서 단말기 장치(2)는 피드백 신호 「A, N, A, A」를 기지국(1)에 송신한다. 「A」는 ACK를 나타내고 「N」은 NACK를 나타낸다.
기지국(1)은 이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기 장치(2)가 부호 블록 그룹 CBG#2를 올바르게 수신하지 못한 것을 인식한다. 그렇게 되면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2를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그리고 단말기 장치(2)는, 재송된 부호 블록 그룹 CBG#2를 이용하여, 부호 블록 그룹 CBG#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한다.
트랜스포트 블록 TB 또는 부호 블록 그룹 CBG는, 이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프레임의 길이는 10밀리초이다. 또한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즉,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밀리초이다.
서브프레임은, 이 실시예에서는 14개의 OFDM 심벌로 구성된다. 또한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즉, 각 슬롯은 7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은, 주파수가 상이한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브캐리어는, 예를 들어 15㎑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3은, 부호 블록 그룹 CBG의 송신 및 재송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하나의 트랜스포트 블록 TB는 하나의 슬롯에 의하여 전송된다. 트랜스포트 블록 TB는 4개의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4를 저장한다. 각 슬롯의 선두에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채널이 배치된다.
슬롯 N에 의하여 트랜스포트 블록 TB#A가 기지국(1)으로부터 단말기 장치(2)에 전송된다. 여기서, 단말기 장치(2)는 부호 블록 그룹 CBG#2, CBG#3을 올바르게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하자. 이 경우, 단말기 장치(2)는 피드백 신호 「A, N, N, A」를 기지국(1)에 송신한다.
기지국(1)은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재송 처리를 실행한다. 단, 기지국(1)에 있어서,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피드백 신호의 2번째의 비트에 있어서 복호 오류가 발생하고 있다. 이 경우, 부호 블록 그룹 CBG#2가 단말기 장치(2)에 의하여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2가 단말기 장치(2)에 의하여 올바르게 수신되었다고 인식한다. 그렇게 되면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3만을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즉, 부호 블록 그룹 CBG#2는 재송되지 않는다. 또한 부호 블록 그룹 CBG#3은, 예를 들어 슬롯 N+k의 특정 서브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기 장치(2)에 재송된다.
이 경우, 단말기 장치(2)는, HARQ가 실장되는 MAC 레이어보다도 상위의 레이어(예를 들어 RLC 레이어)를 이용하여 기지국(1)에 대하여 부호 블록 그룹 CBG#2의 재송을 요구한다. 따라서 HARQ에 의한 재송과 비교하여, 트랜스포트 블록 TB를 수신하기 위하여 요하는 시간이 길어져 버린다. 이 문제는, 특히 트랜스포트 블록 TB의 사이즈가 클 때 중요하다.
또한 LTE에 있어서는 서브프레임별로 ACK/NACK 비트가 송신된다. 이에 비해,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부호 블록 그룹 CBG별로 ACK/NACK 비트가 송신된다. 이 때문에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부호 블록 그룹 CBG별로 ACK/NACK 비트가 송신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호 오류의 영향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 형태>
상술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기지국(1)으로부터 단말기 장치(2)에 대하여 CBG 지표(CBG-I: code block group indicator)가 송신된다. CBG 지표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중에 삽입되어 기지국(1)으로부터 단말기 장치(2)에 송신된다.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기지국(1)으로부터 단말기 장치(2)에 신호를 전송하는 다운링크를 제어한다. 따라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MCS 정보 및 리던던시 버전(RV) 정보 등을 포함한다. MCS 정보는 변조 방식 및 부호 방식 등을 지정한다. 또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는,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각 슬롯의 제어 채널 영역에 배치된다.
도 5a는, CBG 지표(CBG-I)의 일례를 나타낸다. CBG-I는, 기지국(1)에 있어서 복호된 피드백 신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CBG-I의 각 비트는, 단말기 장치(2)에 있어서 대응하는 부호 블록 그룹 CBG가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CBG-I의 제1 비트는, 단말기 장치(2)에 있어서 부호 블록 그룹 CBG#1이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CBG-I의 제2 비트는, 단말기 장치(2)에 있어서 부호 블록 그룹 CBG#2가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1)에 있어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복호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복호 오류가 발생한 비트에 있어서는, CBG-I의 값은, 단말기 장치(2)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신호의 대응하는 값과는 상이해진다.
CBG-I(즉, 기지국(1)에 있어서 복호된 피드백 신호)가 「0000」일 때는, 기지국(1)은 모든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4가 단말기 장치(2)에 있어서 올바르게 수신되었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를 재송하는 일 없이 새로운 트랜스포트 블록 TB를 단말기 장치(2)에 송신한다.
CBG-I가 「0001」 내지 「1110」일 때는, 기지국(1)은, 「1」이 설정되어 있는 비트에 대응하는 부호 블록 그룹 CBG(즉, CBG-I에 의하여 지정된 부호 블록 그룹 CBG)가 단말기 장치(2)에 있어서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기지국(1)은, CBG-I에 의하여 지정되는 부호 블록 그룹 CBG를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예를 들어 CBG-I가 「0001」일 때는,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4를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또는 CBG-I가 「1110」일 때는,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1, CBG#2, CBG#3을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CBG-I가 「1111」일 때는, 기지국(1)은 모든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4가 단말기 장치(2)에 있어서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기지국(1)은 트랜스포트 블록 TB를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단말기 장치(2)는,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하는 CBG-I에 기초하여, 기지국(1)에 있어서 피드백 신호가 올바르게 복호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단말기 장치(2)는,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하는 CBG-I에 기초하여, 기지국(1)에 있어서의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의 유무를 판정한다. 이때, 단말기 장치(2)는, 기지국(1)에 송신한 피드백 신호와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한 CBG-I를 비교한다. 그리고 모든 비트에 있어서 피드백 신호와 CBG-I가 서로 일치하고 있으면, 단말기 장치(2)는, 복호 오류는 없다고 판정한다. 한편, 피드백 신호와 CBG-I 사이에서 서로 일치하지 않는 비트가 있을 때는, 단말기 장치(2)는, 기지국(1)에 있어서 복호 오류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한다.
도 5b는, CBG 지표(CBG-I)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5b는, CBG-I를 나타내는 비트 수가 CBG의 그룹 수보다도 적은 경우에 있어서의 일례이다. 또한 도 5a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CBG-I의 각 비트는, 단말기 장치(2)에 있어서 대응하는 부호 블록 그룹 CBG가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단, CBG-I의 비트 수와 CBG의 그룹 수가 상이하다. 그래서, 예를 들어 재송이 발생하는 조합의 확률 등을 고려하여 CBG-I로 재송을 표현한다.
CBG-I가 「000」일 때는, 기지국(1)은, 모든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4가 단말기 장치(2)에 있어서 올바르게 수신되었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를 재송하는 일 없이 새로운 트랜스포트 블록 TB를 단말기 장치(2)에 송신한다.
CBG-I가 「001」 내지 「110」일 때는,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즉, CBG-I에 의하여 지정된 부호 블록 그룹 CBG)가 단말기 장치(2)에 있어서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기지국(1)은, CBG-I에 의하여 지정되는 부호 블록 그룹 CBG를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예를 들어 CBG-I가 「001」일 때는,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1을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CBG-I가 「010」일 때는,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2를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CBG-I가 「011」일 때는,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3을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CBG-I가 「100」일 때는,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4를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CBG-I가 「101」일 때는,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1, CBG#2, CBG#3을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CBG-I가 「110」일 때는,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2, CBG#3, CBG#4를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CBG-I가 「111」일 때는, 기지국(1)은 모든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4가 단말기 장치(2)에 있어서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기지국(1)은 트랜스포트 블록 TB를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또한 상술한 케이스에 해당하지 않을 때는, 상기 조합 중에서 해당하는 조합을 포함하는 CBG-I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장치(2)는, 부호 블록 그룹 CBG#1, CBG#2에 대하여 재송을 하도록 CBG-I로 지정하는 경우, CBG-I를 「101」로서 송신한다. 이 경우,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1, CBG#2, CBG#3을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도 5b에 나타내는 비트 표현은 일례이며, CBG-I의 비트 수, 부호 블록 그룹 CBG의 그룹 수 등을 고려하여 CBG-I의 비트 표현을 변경해도 된다. 또한 CBG-I의 비트 표현에 대해서는, 재송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조합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기지국(1)의 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기지국(1)은 데이터 신호 생성부(11), 버퍼(12), 제어 신호 생성부(13), IFFT 회로(14), CP 부가부(15), RF 송신부(16), RF 수신부(17), CP 제거부(18), FFT 회로(19), 데이터 신호 복조기(20), 제어 신호 복조기(21), 스케줄러(22), HARQ 컨트롤러(23)를 구비한다.
데이터 신호 생성부(11)는, 단말기 장치(2)에 송신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데이터 신호 생성부(11)는, 스케줄러(22)에 의하여 생성되는 스케줄 정보에 따라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신호 생성부(11)에 의하여 생성되는 데이터 신호는 일시적으로 버퍼(12)에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신호 생성부(11)는 HARQ 컨트롤러(23)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버퍼(1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를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13)는, 단말기 장치(2)에 송신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 신호 생성부(13)는, 스케줄러(22)에 의하여 생성되는 스케줄 정보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는 제어 신호 생성부(13)에 의하여 생성된다.
IFFT 회로(14)는 IFFT 연산에 의하여, 데이터 신호 생성부(11)에 의하여 생성되는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 생성부(13)에 의하여 생성되는 제어 신호로부터 시간 영역 신호를 생성한다. CP 부가부(15)는, IFFT 회로(14)로부터 출력되는 시간 영역 신호에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를 부가한다. 사이클릭 프리픽스는 멀티패스 페이딩을 억제하기 위하여 OFDM 신호에 삽입된다. RF 송신부(16)는,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부가된 시간 영역 신호로부터 RF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안테나를 통하여 그 RF 변조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RF 송신부(16)는, 송신 신호를 RF대로 업컨버트하는 주파수 컨버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RF 수신부(17)는, 단말기 장치(2)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RF 수신부(17)는, RF대의 수신 신호를 다운컨버트하는 주파수 컨버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CP 제거부(18)는 수신 신호로부터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제거한다. FFT 회로(19)는 FFT 연산에 의하여,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제거된 수신 신호를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즉, 수신 신호는 서브캐리어별로 분리된다.
데이터 신호 복조기(20)는,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한다. 즉, 단말기 장치(2)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가 재생된다. 제어 신호 복조기(21)는,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한다. 즉, 단말기 장치(2)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정보가 재생된다. 단말기 장치(2)로부터 송신되는 피드백 신호(ACK/NACK 비트)는 제어 신호 복조기(21)에 의하여 재생된다.
스케줄러(22)는 단말기 장치(2)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1)과 단말기 장치(2) 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준비되어 있는 소정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결정한다. 무선 리소스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파수 리소스 및 시간 리소스를 포함한다. 즉, 스케줄러(22)는 송신 신호(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에 대하여 서브캐리어 및 심벌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스케줄러(22)는,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나타내는 스케줄 정보를 생성한다.
HARQ 컨트롤러(23)는 제어 신호 복조기(21)에 의하여 재생된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재송 제어를 행한다. 즉, 단말기 장치(2)에 있어서 올바르게 수신되고자 했던 부호 블록 그룹 CBG가 검출되었을 때는, HARQ 컨트롤러(23)는, 그 부호 블록 그룹 CBG를 재송하라는 지시를 데이터 신호 생성부(11)에 부여한다. 또한 HARQ 컨트롤러(23)는, 제어 신호 복조기(21)에 의하여 재생된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상술한 CBG-I를 생성한다. 또한 CBG-I는, 제어 신호 생성부(13)에 의하여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에 삽입되어 단말기 장치(2)에 송신된다.
데이터 신호 생성부(11), 제어 신호 생성부(13), IFFT 회로(14), FFT 회로(19), 데이터 신호 복조기(20), 제어 신호 복조기(21), 스케줄러(22), HARQ 컨트롤러(23)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엘리먼트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시스템에 의하여 실현된다. 또는 데이터 신호 생성부(11), 제어 신호 생성부(13), IFFT 회로(14), FFT 회로(19), 데이터 신호 복조기(20), 제어 신호 복조기(21), 스케줄러(22), HARQ 컨트롤러(23)의 일부 또는 전부는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로 실현해도 된다.
도 7은, 단말기 장치(2)의 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말기 장치(2)는 RF 수신부(31), CP 제거부(32), FFT 회로(33), 데이터 신호 복조기(34), 버퍼(35), 오류 검출부(36), 제어 신호 복조기(37), 스케줄러(38), 데이터 신호 생성부(39), HARQ 컨트롤러(40), CRC 부가부(41), 제어 신호 생성부(42), IFFT 회로(43), CP 부가부(44), RF 송신부(45)를 구비한다.
RF 수신부(31)는 기지국(1)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RF 수신부(31)는, RF대의 수신 신호를 다운컨버트하는 주파수 컨버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CP 제거부(32)는 수신 신호로부터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제거한다. FFT 회로(33)는 FFT 연산에 의하여,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제거된 수신 신호를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즉, 수신 신호는 서브캐리어별로 분리된다.
데이터 신호 복조기(34)는,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한다. 즉, 기지국(1)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가 재생된다. 버퍼(35)는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신호 복조기(34)는, 버퍼(35)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 및 기지국(1)으로부터 재송된 데이터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연합성(soft combining)이 실행된다. 오류 검출부(36)는 CRC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 복조기(34)에 의하여 재생된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한다. 이때, 오류 검출부(36)는, 예를 들어 부호 블록 CB별로 오류를 검출한다.
제어 신호 복조기(37)는,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한다. 즉, 기지국(1)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정보가 재생된다. 기지국(1)으로부터 송신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는 제어 신호 복조기(37)에 의하여 재생된다.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가 CBG-I를 포함할 때는 CBG-I도 제어 신호 복조기(37)에 의하여 재생된다.
스케줄러(38)는,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1)과 단말기 장치(2) 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준비되어 있는 소정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결정한다. 그리고 스케줄러(38)는,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나타내는 스케줄 정보를 생성한다.
데이터 신호 생성부(39)는, 기지국(1)에 송신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데이터 신호 생성부(39)는, 스케줄러(38)에 의하여 생성되는 스케줄 정보에 따라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HARQ 컨트롤러(40)는, 오류 검출부(36)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한다. 피드백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부호 블록 그룹 CBG의 데이터가 각각 단말기 장치(2)에 의하여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HARQ 컨트롤러(40)는, 생성한 피드백 신호와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하는 CBG-I를 비교함으로써, 피드백 신호가 기지국(1)에 있어서 올바르게 복호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HARQ 컨트롤러(40)는 기지국(1)에 있어서의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에 있어서의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가 검출되었을 때는, 단말기 장치(2)는 기지국(1)에 올바른 피드백 신호를 송신해도 된다. CRC 부가부(41)는 필요에 따라 피드백 신호에 CRC를 부가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42)는, 기지국(1)에 송신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 신호 생성부(42)는, 스케줄러(38)에 의하여 생성되는 스케줄 정보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IFFT 회로(43)는 IFFT 연산에 의하여, 데이터 신호 생성부(39)에 의하여 생성되는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 생성부(42)에 의하여 생성되는 제어 신호로부터시간 영역 신호를 생성한다. CP 부가부(44)는, IFFT 회로(43)로부터 출력되는 시간 영역 신호에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부가한다. RF 송신부(45)는,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부가된 시간 영역 신호로부터 RF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안테나를 통하여 그 RF 변조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RF 송신부(45)는, 송신 신호를 RF대로 업컨버트하는 주파수 컨버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FFT 회로(33), 데이터 신호 복조기(34), 오류 검출부(36), 제어 신호 복조기(37), 스케줄러(38), 데이터 신호 생성부(39), HARQ 컨트롤러(40), CRC 부가부(41), 제어 신호 생성부(42), IFFT 회로(43)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엘리먼트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시스템에 의하여 실현된다. 또는 FFT 회로(33), 데이터 신호 복조기(34), 오류 검출부(36), 제어 신호 복조기(37), 스케줄러(38), 데이터 신호 생성부(39), HARQ 컨트롤러(40), CRC 부가부(41), 제어 신호 생성부(42), IFFT 회로(43)의 일부 또는 전부는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로 실현해도 된다.
도 8은, 단말기 장치(2)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이 흐름도는, 다운링크의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에 따른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S1에 있어서, 단말기 장치(2)는 기지국(1)으로부터 트랜스포트 블록 TB를 수신한다. 트랜스포트 블록 TB는 복수의 부호 블록 그룹 CBG를 저장하고 있다. S2에 있어서, 오류 검출부(36)는 각 부호 블록 그룹 CBG의 오류를 검출한다. 즉, 오류 검출부(36)는, 각 부호 블록 그룹 CBG를 올바르게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3에 있어서, HARQ 컨트롤러(40)는 오류 검출부(36)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한다. 이 예에서는, 각 부호 블록 그룹 CBG에 대하여 1비트가 할당된다. 이때, 오류가 검출된 부호 블록 그룹 CBG에 대응하는 비트는 「1(NACK)」로 설정되고, 오류가 검출되지 않은 부호 블록 그룹 CBG에 대응하는 비트는 「0(ACK)」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단말기 장치(2)는, 생성한 피드백 신호를 기지국(1)에 송신한다.
기지국(1)은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면, 대응하는 CBG-I를 생성하여 단말기 장치(2)에 송신한다. 따라서 단말기 장치(2)는 S4에 있어서, S3에서 송신한 피드백 신호에 대응하는 CBG-I를 수신한다. CBG-I는, 이 예에서는 기지국(1)에 있어서 피드백 신호를 복호함으로써 생성된다. 따라서 복호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피드백 신호 및 CBG-I는 서로 동일하다. 또한 기지국(1)은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부호 블록 그룹 CBG를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따라서 기지국(1)이 부호 블록 그룹 CBG를 재송하였을 때는, 단말기 장치(2)는 S4에 있어서, CBG-I 및 재송된 부호 블록 그룹 CBG를 수신한다.
S5 내지 S7에 있어서, HARQ 컨트롤러(40)는 피드백 신호와 CBG-I를 비교한다. 여기서, 피드백 신호의 각 비트가 모두 「0」인 상태는, S2에 있어서 오류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단말기 장치(2)는 재송 데이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피드백 신호 및 CBG-I가 서로 일치하는 상태는, 기지국(1)에 있어서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피드백 신호 및 CBG-I의 각 비트가 모두 「0」일 때는(S5: "예"), 재송 제어는 실행되지 않으며 단말기 장치(2)의 처리는 S1로 되돌아간다.
피드백 신호의 각 비트가 모두 「0」이고 또한 CBG-I가 「1」을 포함할 때는(S6: "예"), HARQ 컨트롤러(40)는, 기지국(1)에 있어서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HARQ 컨트롤러(40)는 S8에 있어서, 앞서 송신한 피드백 신호를 다시 기지국(1)에 송신한다. 단, 이 케이스에서는, 피드백 신호의 각 비트가 모두 「0」이므로 단말기 장치(2)는 재송 데이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기 장치(2)는 기지국(1)으로부터 재송 데이터를 수신하더라도 그 재송 데이터를 무시한다. 이 이후, 단말기 장치(2)의 처리는 S4로 되돌아간다.
CBG-I의 각 비트가 모두 「0」이고 또한 피드백 신호가 「1」을 포함할 때는(S7: "예"), HARQ 컨트롤러(40)는 기지국(1)에 있어서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HARQ 컨트롤러(40)는 S8에 있어서, 앞서 송신한 피드백 신호를 다시 기지국(1)에 송신한다. 단, 이 케이스에서는, 피드백 신호가 「1」을 포함하므로 단말기 장치(2)는 재송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1」을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를 다시 기지국(1)에 송신함으로써, 단말기 장치(2)는 기지국(1)에 대하여 필요한 데이터의 재송을 의뢰할 수 있다. 이 이후, 단말기 장치(2)의 처리는 S4로 되돌아간다.
피드백 신호가 「1」을 포함하고 또한 CBG-I도 「1」을 포함할 때는(S7: "아니오"), 단말기 장치(2)는 재송 데이터를 필요로 하고, 또한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을 재송한다. 따라서 단말기 장치(2)는 S9에 있어서 재송 데이터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이때, 단말기 장치(2)는, 버퍼(35)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 및 기지국(1)으로부터 재송된 데이터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해도 된다. 또는 단말기 장치(2)는, 버퍼(35)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를 사용하는 일 없이, 기지국(1)으로부터 재송된 데이터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해도 된다.
도 9 내지 도 10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의 시퀀스의 예를 나타낸다. 또한 이 예에서는, 트랜스포트 블록 TB는 4개의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4를 저장한다.
도 9에 나타내는 케이스에서는, 기지국(eNB)(1)로부터 단말기 장치(UE)(2)에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및 트랜스포트 블록 TB#A가 송신된다. 그렇게 되면 단말기 장치(2)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를 이용하여 트랜스포트 블록 TB#A를 수신한다. 여기서, 부호 블록 그룹 CBG#1, CBG#4는 올바르게 수신되었지만 부호 블록 그룹 CBG#2, CBG#3은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하자. 이 경우, 단말기 장치(2)는 피드백 신호 「0110」을 기지국(1)에 송신한다.
기지국(1)은, 단말기 장치(2)로부터 수신하는 피드백 신호를 복호한다. 이 예에서는, 피드백 신호는 올바르게 복호되는 것으로 하자. 이 경우, 기지국(1)은, 단말기 장치(2)에 있어서 부호 블록 그룹 CBG#2, CBG#3이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은 것을 인식한다. 그렇게 되면 기지국(1)은 CBG-I 「0110」을 생성하여 단말기 장치(2)에 송신한다. 또한 CBG-I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중에 설정된다. 또한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2, CBG#3을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단말기 장치(2)는, 기지국(1)에 의하여 재송된 부호 블록 그룹 CBG#2, CBG#3을 수신한다. 여기서, 부호 블록 그룹 CBG#2, CBG#3은 올바르게 수신된 것으로 하자. 이 경우, 단말기 장치(2)는 피드백 신호 「0000」을 기지국(1)에 송신한다.
기지국(1)은, 단말기 장치(2)로부터 수신하는 피드백 신호를 복호한다. 그 결과,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4가 모두 단말기 장치(2)에 의하여 올바르게 수신된 것을 인식한다. 그렇게 되면 기지국(1)은 CBG-I 「0000」을 생성하여 단말기 장치(2)에 송신한다. 이때, 기지국(1)은 다음 트랜스포트 블록 TB를 단말기 장치(2)에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단말기 장치(2)는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여 기지국(1)에 대하여 필요한 데이터의 재송을 의뢰할 수 있다. 또한 CBG-I가 「1」을 포함할 때는, 기지국(1)은 대응하는 데이터를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한편, CBG-I의 각 비트가 모두 「0」일 때는, 기지국(1)은 재송을 행하는 일 없이 단말기 장치(2)에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한다. 즉, CBG-I는,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CBG-I는, 트랜스포트 블록 TB에 대한 NDI(New Data Indicator)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에 나타내는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도 10에 나타내는 케이스에 있어서도 단말기 장치(2)로부터 기지국(1)에 피드백 신호 「0110」이 송신된다. 단, 기지국(1)에 있어서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가 발생한다. 이 예에서는, 피드백 신호의 제3 비트에 있어서 복호 오류가 발생하여, 복호된 피드백 신호가 「0100」이다. 이 경우, 기지국(1)은, 단말기 장치(2)에 있어서 부호 블록 그룹 CBG#2만이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았다고 인식한다. 그렇게 되면 기지국(1)은 CBG-I 「0100」을 생성하여 단말기 장치(2)에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2만을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단말기 장치(2)는, 앞서 기지국(1)에 송신한 피드백 신호와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한 CBG-I를 비교한다. 이 예에서는 피드백 신호와 CBG-I가 서로 상이하므로, 단말기 장치(2)는, 기지국(1)에 있어서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가 발생한 것을 인식한다. 또한 단말기 장치(2)는, 기지국(1)에 의하여 재송된 부호 블록 그룹 CBG#2를 수신한다. 여기서, 부호 블록 그룹 CBG#2는 올바르게 수신된 것으로 하자. 따라서 단말기 장치(2)는 매회 재송 시, 모든 부호 블록 그룹 CBG에 대응하는 HARQ 피드백을 송신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되면 단말기 장치(2)는 새로운 피드백 신호를 생성한다. 이 예에서는 부호 블록 그룹 CBG#2가 올바르게 수신되었으므로, 피드백 신호의 제2 비트에 「0(ACK)」이 부여된다. 한편, 부호 블록 그룹 CBG#3은 재송되지 않았으므로, 단말기 장치(2)는 기지국(1)에 부호 블록 그룹 CBG#3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피드백 신호의 제3 비트에 「1(NACK)」이 부여된다.
기지국(1)은 이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면, 부호 블록 그룹 CBG#3을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그 결과, 단말기 장치(2)는 모든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4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도 11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는 플래그 비트를 포함한다. 플래그 비트는 트랜스포트 블록 TB의 송신 또는 부호 블록 그룹 CBG의 재송을 식별한다.
트랜스포트 블록 TB가 송신될 때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는 MCS 정보, RV 정보, NDI 정보, HARQ 정보 등을 포함한다. MCS 정보는 TBS(트랜스포트 블록 TB의 사이즈) 및 변조 방식 등을 나타낸다. RV 정보는 HARQ의 리던던시 버전을 나타낸다. NDI 정보는, 슬롯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새로운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부호 블록 그룹 CBG가 재송될 때는, TBS는, 앞서 송신된 트랜스포트 블록 TB의 사이즈와 동일하다. 또한 트랜스포트 블록 TB의 초기 송신 및 부호 블록 그룹 CBG의 재송에 있어서 동일한 변조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부호 블록 그룹 CBG가 재송될 때는, 트랜스포트 블록 TB가 송신될 때와 비교하여 MCS 정보의 비트 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트 블록 TB의 초기 송신 및 부호 블록 그룹 CBG의 재송에 있어서 동일한 리던던시 버전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부호 블록 그룹 CBG가 재송될 때는 RV 정보를 삭제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CBG-I는, 슬롯 내의 데이터가 새로운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즉, CBG-I의 각 비트가 모두 「0」인 상태는 새로운 데이터의 초기 송신을 나타낸다. 따라서 부호 블록 그룹 CBG가 재송될 때는 NDI 정보를 삭제해도 된다.
이와 같이, 부호 블록 그룹 CBG가 재송될 때는, 트랜스포트 블록 TB가 송신될 때와 비교하여 몇몇 정보 영역의 비트 수를 삭감할 수 있다. 그리고 CBG-I는, 이와 같이 하여 삭감되는 비트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따라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의 비트 수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CBG-I를 송신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트랜스포트 블록 TB가 송신될 때와 부호 블록 그룹 CBG가 재송될 때 사이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의 비트 수(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의 길이)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장치(2)는, 재송된 부호 블록 그룹 CBG를 수신하였을 때,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 케이스에 따라, 버퍼(35)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트랜스포트 블록 TB가 eMBB 데이터만을 전송할 때는, 버퍼(35)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와 재송된 데이터 신호를 연합성함으로써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는 슬롯 내에 eMBB 데이터 및 URLLC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있을 때는, 버퍼(35)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를 사용하는 일 없이, 재송된 데이터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지국(1)은 CBG-I에 더해, 버퍼(35)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를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정하는 버퍼 정보를 단말기 장치(2)에 송신해도 된다.
도 12는, 버퍼 정보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1)은, 단말기 장치(2)가 버퍼(35)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BG-I가 「0001」이고 버퍼 정보가 「0」일 때는, 기지국(1)은 부호 블록 그룹 CBG#4를 재송한다. 또한 단말기 장치(2)는, 버퍼(35)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 블록 그룹 CBG#4의 데이터 신호 및 재송된 부호 블록 그룹 CBG#4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한다. 한편, CBG-I가 「0001」이고 버퍼 정보가 「1」일 때는, 단말기 장치(2)는 부호 블록 그룹 CBG#4의 데이터 신호를 버퍼(35)로부터 삭제함과 함께, 재송된 부호 블록 그룹 CBG#4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지국(1)은 단말기 장치(2)로부터 수신하는 피드백 신호를 복호함으로써 CBG-I를 생성한다. 그리고 CBG-I는,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를 단말기 장치(2)에 있어서 검출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서 사용된다. 단,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상술한 CBG-I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은,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 신호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CBG-I 대신 CBG-NDI(CBG-new data indicator)가 기지국(1)으로부터 단말기 장치(2)에 통지된다. CBG-NDI는, 기지국(1)에 있어서 복호된 피드백 신호의 각 비트의 논리를 반전시킴으로써 생성된다. 또한 CBG-NDI의 각 비트는, 대응하는 부호 블록 그룹 CBG가 새로운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즉, 「1」은, 대응하는 부호 블록 그룹 CBG에 의하여 새로운 데이터가 송신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0」는, 대응하는 부호 블록 그룹 CBG의 데이터가 재송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기지국(1)은 CBG-NDI에 따라 부호 블록 그룹 CBG의 송신/재송을 실행한다.
단말기 장치(2)는 피드백 신호 및 CBG-NDI에 기초하여, 기지국(1)에 있어서의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CBG-NDI는, 기지국(1)에 있어서 복호된 피드백 신호의 각 비트의 논리를 반전시킴으로써 생성된다. 따라서 단말기 장치(2)는, CBG-NDI의 각 비트의 논리를 반전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신호와 피드백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3에 나타내는 방법이더라도 단말기 장치(2)는 기지국(1)에 있어서의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CBG-NDI의 각 비트가 모두 「1」일 때는, 기지국(1)은 새로운 트랜스포트 블록 TB를 송신한다. 따라서CBG-NDI는, 트랜스포트 블록 TB가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기 장치(2)로부터 기지국(1)에 송신되는 피드백 신호의 각 비트에 오류 검출 부호 또는 오류 정정 부호가 부가된다. 일례로서 피드백 신호의 각 비트에 CRC가 부가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트랜스포트 블록 TB는 복수의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N을 저장한다. 각 부호 블록 그룹 CBG는 m개의 부호 블록 CB로 구성된다. 이 경우, 단말기 장치(2)는 트랜스포트 블록 TB를 수신하면,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N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 FB1 내지 FBN을 생성한다. 피드백 신호 FB1 내지 FBN은 각각, 단말기 장치(2)에 의하여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N이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단말기 장치(2)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드백 신호의 각 비트 FB1 내지 FBN에 대하여 각각 CRC를 부가한다. 또한 CRC는, 도 7에 나타내는 CRC 부가부(41)에 의하여 피드백 신호의 각 비트에 부가된다. 그리고 단말기 장치(2)는, CRC가 부가된 피드백 신호를 기지국(1)에 송신한다. 따라서 기지국(1)은, 피드백 신호를 복호할 때 CRC를 이용하여 복호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기 장치(2)로부터 기지국(1)에 송신되는 각 ACK/NACK 비트에 CRC가 부가된다. 따라서 기지국(1)은, 단말기 장치(2)가 요구하는 부호 블록 그룹 CBG를 확실히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재송 횟수를 삭감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기 장치(2)는 각 부호 블록 그룹 CBG가 각각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더해, 트랜스포트 블록 TB가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1)에 송신한다. 즉, 피드백 신호는, 각 부호 블록 그룹 CBG에 대한 ACK/NACK 비트 및 트랜스포트 블록 TB에 대한 ACK/NACK 비트를 포함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트랜스포트 블록 TB는 복수의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N을 저장한다. 이 경우, 단말기 장치(2)는 트랜스포트 블록 TB를 수신하면,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N에 대응하는 CBG 피드백 신호 FB1 내지 FBN을 생성한다. CBG 피드백 신호 FB1 내지 FBN은 각각, 단말기 장치(2)에 의하여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N이 각각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이에 더해 단말기 장치(2)는, 트랜스포트 블록 TB에 대응하는 TB 피드백 신호 FB_TB를 생성한다. TB 피드백 신호 FB_TB는, 단말기 장치(2)에 의하여 트랜스포트 블록 TB가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단말기 장치(2)는 CBG 피드백 신호 FB1 내지 FBN 및 TB 피드백 신호 FB_TB를 기지국(1)에 송신한다.
또한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N이 모두 올바르게 수신되면, CBG 피드백 신호 FB1 내지 FBN은 모두 「0(ACK)」이고 TB 피드백 신호 FB_TB도 「0(ACK)」이다. 한편,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N 중 적어도 1개가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았을 때는, TB 피드백 신호 FB_TB는 「1(NACK)」이다.
기지국(1)은, 단말기 장치(2)로부터 수신하는 CBG 피드백 신호 FB1 내지 FBN 및 TB 피드백 신호 FB_TB를 복호한다. 그리고 기지국(1)은, 그들의 복호 결과의 정합성에 기초하여 복호 오류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장치(2)에 있어서 부호 블록 그룹 CBG#2가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았을 때는, CBG 피드백 신호 「0100」 및 TB 피드백 신호 「1」이 기지국(1)에 통지된다. 즉, 단말기 장치(2)는 기지국(1)에 대하여 부호 블록 그룹 CBG#2의 재송을 요구한다. 여기서, 기지국(1)에 의한 복호 결과가 이하와 같았던 것으로 하자.
CBG 피드백 신호: 0100
TB 피드백 신호: 0
이 경우, 기지국(1)은, CBG 피드백 신호의 제2 비트 또는 TB 피드백 신호에 있어서 복호 오류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한다. 그렇게 되면 기지국(1)은 트랜스포트 블록 TB를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또한 기지국(1)에 의한 복호 결과가 이하와 같았던 것으로 하자.
CBG 피드백 신호: 0000
TB 피드백 신호: 1
이 경우, 기지국(1)은, CBG 피드백 신호의 어느 비트 또는 TB 피드백 신호에 있어서 복호 오류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한다. 그렇게 되면 기지국(1)은 트랜스포트 블록 TB를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가 기지국(1)에 있어서 검출된다. 그리고 기지국(1)은 피드백 신호의 복호 오류를 검출하면, 필요한 데이터를 단말기 장치(2)에 재송한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지국(1)과 단말기 장치(2) 사이에서, 데이터 재송에 따른 신호의 송신 횟수가 삭감되는 경우가 있다.
<제4 실시 형태>
트랜스포트 블록 TB에 저장되는 부호 블록 CB의 개수가 부호 블록 그룹의 개수에 비해 적은 경우가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 케이스에 따라서는, 트랜스포트 블록 TB에 저장되는 부호 블록 그룹 CBG의 개수가 M일 때, 트랜스포트 블록 TB에 저장되는 부호 블록 CB의 개수가 N(N<M)일 때가 있다.
이 경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부호 블록 그룹 CBG의 입도를 잘게 한다. 일례로서는, 1개의 부호 블록 그룹 CBG에 1개의 부호 블록 CB가 저장되도록 데이터 구조가 정의된다.
도 16의 (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트랜스포트 블록 TB가 4개의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4를 저장하도록 지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트랜스포트 블록 TB를 이용하여 2개의 부호 블록 CB1 내지 CB2가 단말기 장치(2)에 송신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부호 블록 CB1 내지 CB2가 한데 모여 부호 블록 그룹 CBG#1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부호 블록 CB1이 부호 블록 그룹 CBG#1에 저장됨과 함께 부호 블록 CB2가 부호 블록 그룹 CBG#2에 저장된다. 즉, 1개의 부호 블록 그룹 CBG에 1개의 부호 블록 CB가 저장되도록 재그룹화가 행해진다.
단말기 장치(2)는 트랜스포트 블록 TB를 수신하면 각 부호 블록 그룹 CBG에 대하여 ACK/NACK 비트를 생성한다. ACK/NACK 비트는, 부호 블록 그룹 CBG가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이때, 단말기 장치(2)는, 예를 들어 부호 블록 CB가 저장되어 있는 부호 블록 그룹 CBG에 대하여 ACK/NACK 비트를 생성한다. 도 16의 (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부호 블록 그룹 CBG#1 내지 CBG#2에 대하여 각각 ACK/NACK 비트가 생성되어 있다. 즉, 2비트의 피드백 신호가 생성된다.
이 피드백 신호는 단말기 장치(2)로부터 기지국(1)에 송신된다. 그렇게 되면 기지국(1)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부호 블록 그룹 CBG의 실질적인 개수를 인식할 수 있다. 즉, 기지국(1)은, 트랜스포트 블록 TB가 4개의 부호 블록 그룹 CBG를 저장하도록 지정되어 있지만, 그 중 2개의 부호 블록 그룹 CBG만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인식한다.
단, 피드백 신호의 비트 수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는, 부호 블록 그룹 CBG의 개수(즉, M)와 부호 블록 CB의 개수(즉, N)의 차분에 대응하는 패딩을 준비해도 된다. 즉, 피드백 신호에 M-N 비트의 패딩이 삽입된다. 도 16의 (c)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ACK/NACK 비트 뒤에 2비트의 패딩이 삽입되어 4비트의 피드백 신호가 생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부호 블록 그룹 CBG의 개수에 비해 부호 블록 CB의 개수가 적을 때는 부호 블록 그룹 CBG의 입도를 잘게 한다. 따라서 데이터 재송을 위한 자원(예를 들어 PDSCH/PUSCH)의 사용 효율이 개선된다. 또한 재송신된 부호 블록 그룹 CBG 또는 부호 블록 CB의 수가, 초기에 송신된 부호 블록 그룹 CBG 또는 부호 블록 CB의 수(또는 전에 재송된 부호 블록 그룹 CBG 또는 부호 블록 CB의 수)보다도 적은 재송신의 경우에도 제4 실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재송신을 의도한 원래의 부호 블록 그룹 CBG는, 부호 블록 그룹 CBG별로 잔 입도(요컨대 부호 블록 그룹 CBG 내의 부호 블록 CB의 수가 적음(예를 들어 1개의 부호 블록 그룹 CBG 내에 1개의 부호 블록 CB))를 갖는 부호 블록 그룹 CBG로 재그룹화할 수 있다.
1: 기지국(eNB)
2: 단말기 장치(UE)
11: 데이터 신호 생성부
13: 제어 신호 생성부
20: 데이터 신호 복조기
21: 제어 신호 복조기
22: 스케줄러
23: HARQ 컨트롤러
34: 데이터 신호 복조기
36: 오류 검출부
37: 제어 신호 복조기
38: 스케줄러
39: 데이터 신호 생성부
40: HARQ 컨트롤러
41: CRC 부가부
42: 제어 신호 생성부

Claims (19)

  1.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을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1 송신부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이 각각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인 신호를 복호하는 복호부와,
    상기 복호부에 의하여 복호된 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비트 열 블록 중에서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은 비트 열 블록을 검출함과 함께, 상기 단말기의 수신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재송 제어부와,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송신부는, 상기 재송 제어부에 의하여 검출된 비트 열 블록을 상기 단말기에 재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복호부에 의하여 복호된 확인 신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을 저장하는 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복호부에 의하여 복호된 확인 신호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재송되는 비트 열 블록을 수신할 때 상기 단말기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비트 열 블록을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복호부에 의하여 복호된 확인 신호의 각 비트의 논리를 반전시킴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다운링크를 제어하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 중에 삽입되어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는, 변조 방식을 나타내는 변조 방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부가 상기 전송 블록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할 때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는 제1 길이의 변조 방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부가 하나 또는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을 상기 단말기에 재송할 때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는,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길이보다도 짧은 제2 길이의 변조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는, 상기 기지국 장치와 상기 단말기 사이에서 행해지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 수순의 리던던시 버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부가 상기 전송 블록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할 때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는 상기 리던던시 버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부가 하나 또는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을 상기 단말기에 재송할 때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는 상기 리던던시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일 없이 상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확인 신호 및 상기 전송 블록이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2 확인 신호를 복호하고,
    상기 복호부에 의하여 복호된 확인 신호와 상기 복호부에 의하여 복호된 제2 확인 신호가 정합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제1 송신부는 상기 전송 블록을 상기 단말기에 재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블록에 저장되는 비트 열 블록의 개수보다도, 상기 전송 블록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유닛의 개수가 적을 때는, 1개의 비트 열 블록 중에 1개의 데이터 유닛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10.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상기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을 각각 올바르게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인 신호를 생성하는 재송 제어부와,
    상기 확인 신호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재송 제어부는, 상기 재송 제어부가 생성한 확인 신호 및 상기 기지국에 있어서 복호된 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 있어서의 확인 신호의 복호 오류를 검출하고,
    상기 확인 신호의 복호 오류가 검출되었을 때는,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재송 제어부에 의하여 생성된 확인 신호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송된 비트 열 블록을 수신하였을 때는, 상기 재송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을 각각 올바르게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인 신호를 새로이 생성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재송 제어부에 의하여 새로이 생성된 확인 신호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을 저장하는 버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송된 비트 열 블록을 수신하였을 때,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부여되는 지시에 따라, 상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비트 열 블록 및 상기 재송된 비트 열 블록으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처리, 또는 상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비트 열 블록을 사용하는 일 없이 상기 재송된 비트 열 블록으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확인 신호의 각 비트에 각각 오류 검출 부호 또는 오류 정정 부호를 부가하여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송 제어부는, 상기 확인 신호 및 상기 수신부가 상기 전송 블록을 올바르게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2 확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확인 신호 및 상기 제2 확인 신호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블록에 저장되는 비트 열 블록의 개수보다도, 상기 전송 블록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유닛의 개수가 적을 때는, 상기 재송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유닛이 할당된 각 비트 열 블록이 각각 상기 수신부에 의하여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인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블록에 저장되는 비트 열 블록의 개수보다도, 상기 전송 블록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유닛의 개수가 적을 때는, 상기 재송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유닛이 할당된 각 비트 열 블록이 각각 상기 수신부에 의하여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 및 상기 데이터 유닛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각 비트 열 블록에 대응하는 패딩 비트를 포함하는 확인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17.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을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 장치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며,
    상기 단말기 장치는, 상기 단말기 장치가 상기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을 각각 올바르게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를 복호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복호된 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비트 열 블록 중에서 상기 단말기 장치에 의하여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은 비트 열 블록을 검출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복호된 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장치의 수신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에 의하여 검출된 비트 열 블록을 상기 단말기 장치에 재송하고,
    상기 단말기 장치는, 상기 단말기 장치가 생성한 확인 신호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 있어서의 확인 신호의 복호 오류를 검출하고,
    상기 단말기 장치에 의하여 복호 오류가 검출되었을 때는, 상기 단말기 장치는, 상기 단말기 장치에 의하여 생성된 확인 신호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8.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을 단말기에 송신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사용되는 통신 방법이며,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이 각각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인 신호를 복호하고,
    복호된 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비트 열 블록 중에서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은 비트 열 블록을 검출하고,
    복호된 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수신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복호된 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된 비트 열 블록을 상기 단말기에 재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9.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말기 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통신 방법이며,
    상기 복수의 비트 열 블록을 각각 올바르게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확인 신호 및 상기 기지국에 있어서 복호된 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에 있어서의 확인 신호의 복호 오류를 검출하고,
    상기 복호 오류가 검출되었을 때 상기 확인 신호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KR1020197034880A 2017-06-15 2017-06-15 기지국 장치, 단말기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102251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22196 WO2018229948A1 (ja) 2017-06-15 2017-06-15 基地局装置、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020A true KR20200003020A (ko) 2020-01-08
KR102251634B1 KR102251634B1 (ko) 2021-05-13

Family

ID=6466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880A KR102251634B1 (ko) 2017-06-15 2017-06-15 기지국 장치, 단말기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523373B2 (ko)
EP (1) EP3641180B1 (ko)
JP (1) JP6965925B2 (ko)
KR (1) KR102251634B1 (ko)
CN (2) CN114785460B (ko)
WO (1) WO2018229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6293B2 (en) * 2017-08-11 2021-11-02 Qualcomm Incorporated CBG indication with multi-TTI grant
CN109391381B (zh) * 2017-08-11 2022-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的确认信息生成和反馈、数据传输方法和装置
US11258532B2 (en) * 2018-01-11 2022-02-22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modulation and coding for new radio
WO2020031427A1 (ja) * 2018-08-07 2020-02-13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端末、基地局、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WO2020032768A1 (ko) * 2018-08-10 2020-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단말
US11239959B2 (en) * 2019-03-19 2022-02-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de block level feedback
US20220231797A1 (en) * 2019-04-29 2022-07-21 Lg Electronics Inc. Nack frame for harq operation
US11336399B2 (en) * 2019-09-09 2022-05-17 Qualcomm Incorporated Code block reordering for retransmissions
US20230114373A1 (en) * 2021-10-08 2023-04-13 Qualcomm Incorporated Demodulator type report with negative acknowledgement (nack)
US11909533B2 (en) * 2022-01-07 2024-02-20 Qualcomm Incorporated Reporting redundancy version with feedback inform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5391A (ja) 2012-02-28 2012-08-30 Fujitsu Ltd データ再送方法
WO2016175029A1 (ja) 2015-04-28 2016-11-03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ユーザ端末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89974B (zh) * 2007-07-04 2013-04-17 日本电气株式会社 多载波移动体通信系统
WO2010005712A1 (en) * 2008-06-16 2010-01-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Enhanc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or long term evolution
CN101662346B (zh) * 2008-08-29 2012-10-03 富士通株式会社 自动重传控制方法、通信系统及其发射机和接收机
US8780817B2 (en) * 2008-09-22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overhead for communications
JP5141771B2 (ja) * 2008-10-24 2013-02-13 富士通株式会社 適応ハイブリッド自動再送要求方式による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RU2474975C2 (ru) * 2008-10-28 2013-02-10 Фудзицу Лимитед Устройство беспроводной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использующее систему совместной передачи harq, устройство беспроводного терминала,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8780821B2 (en) * 2009-02-20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interleaver for transmission of multiple code block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WO2010109524A1 (ja) * 2009-03-25 2012-09-20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局装置、受信局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通信方法
EP2413627A4 (en) * 2009-03-25 2015-01-21 Fujitsu Ltd RADIO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DEVICE, BASIC ST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IN THE RADIO COMMUNICATION SYSTEM
CA2775343C (en) * 2009-09-25 2015-01-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carrier network operation
JP5073770B2 (ja) * 2010-02-19 2012-11-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端末装置、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8751892B2 (en) * 2011-08-09 2014-06-10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Communication terminals and communication devices
US9026883B2 (en) * 2013-03-13 2015-05-05 Mediatek Singapore Pte. Ltd. Decoding apparatus with adaptive control over external buffer interface and turbo decoder and related decoding method thereof
US9467269B2 (en) * 2014-01-06 2016-10-11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selection and configuration
CN103973423A (zh) * 2014-05-27 2014-08-06 中南大学 一种无线传感器网络的单数据多确认等停自动重传方法
US9992004B2 (en) * 2015-02-03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Code block cluster level HARQ
US10057019B2 (en) * 2015-05-08 2018-08-21 Qualcomm Incorporated Media access control (MAC) layer coding an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for efficient receiver pipeline processing in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US10298362B2 (en) * 2016-11-24 2019-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 retransmission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106788918B (zh) * 2016-12-30 2020-02-1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Harq配置方法、反馈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10554345B2 (en) * 2017-08-10 2020-02-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dicating retransmitted codeblock groups in 5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0420089B2 (en) * 2017-08-10 2019-09-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daptive two-stage downlink control channel structure for code block group based fifth generation (5G) or other next generation systems
KR20190060605A (ko) * 2017-11-24 2019-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매핑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5391A (ja) 2012-02-28 2012-08-30 Fujitsu Ltd データ再送方法
WO2016175029A1 (ja) 2015-04-28 2016-11-03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ユーザ端末

Non-Patent Citation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5401* *
3GPP R1-1707632* *
3GPP R1-1708872* *
3GPP TR 38.801 V14.0.0(2017-03)
3GPP TR 38.802 V14.0.0(2017-03)
3GPP TR 38.803 V14.0.0(2017-03)
3GPP TR 38.804 V14.0.0(2017-03)
3GPP TR 38.900 V14.2.0(2016-12)
3GPP TR 38.912 V14.0.0(2017-03)
3GPP TR 38.913 V14.0.0(2017-03)
3GPP TS 36.211 V14.2.0(2017-03)
3GPP TS 36.212 V14.2.0(2017-03)
3GPP TS 36.213 V14.2.0(2017-03)
3GPP TS 36.300 V14.2.0(2017-03)
3GPP TS 36.321 V14.2.0(2017-03)
3GPP TS 36.322 V14.0.0(2017-03)
3GPP TS 36.323 V14.2.0(2017-03)
3GPP TS 36.331 V14.2.0(2017-03)
3GPP TS 36.413 V14.2.0(2017-03)
3GPP TS 36.423 V14.2.0(2017-03)
3GPP TS 36.425 V14.0.0(2017-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229948A1 (ja) 2020-02-27
US10972228B2 (en) 2021-04-06
US10523373B2 (en) 2019-12-31
JP6965925B2 (ja) 2021-11-10
US20200067653A1 (en) 2020-02-27
CN114785460A (zh) 2022-07-22
EP3641180A1 (en) 2020-04-22
WO2018229948A1 (ja) 2018-12-20
EP3641180A4 (en) 2020-07-15
EP3641180B1 (en) 2022-05-11
CN114785460B (zh) 2023-08-08
CN110692211B (zh) 2022-06-07
KR102251634B1 (ko) 2021-05-13
CN110692211A (zh) 2020-01-14
US20190158230A1 (en)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634B1 (ko) 기지국 장치, 단말기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RU2725159C1 (ru) Способы и узлы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размера блока данных передачи
JP5208272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方法および装置
US8477666B2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signalling of assigned data packets in a bundling window
US11569941B2 (en) Configuring puncture bundles of data for a first service in a transmission of a second service
KR20100048496A (ko) 이동무선 통신시스템의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페이로드 크기결정장치 및 방법
CN108029130B (zh) 低成本mtc装置在m-pdcch上的简洁dci中的crc字段的减小的方法
US20120084618A1 (en) Jointly encoding a scheduling request indicator and acknowledgments/negative acknowledgments
WO2017215749A1 (en) Reallocation of control channel resources for retransmission of data in wireless networks based on communications mode
KR20200088415A (ko) 제어 송신 방법 및 장치
US2019035642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O2014075272A1 (zh) 信道传输方法、装置、基站及终端
US8559557B2 (en)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368467B1 (ko) 무선 신호의 처리시간 획득 방법
KR2019008070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