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517A -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517A
KR20110118517A KR1020100038161A KR20100038161A KR20110118517A KR 20110118517 A KR20110118517 A KR 20110118517A KR 1020100038161 A KR1020100038161 A KR 1020100038161A KR 20100038161 A KR20100038161 A KR 20100038161A KR 20110118517 A KR20110118517 A KR 20110118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hlete
stadium
game
player
auxiliar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4477B1 (ko
Inventor
송지을
Original Assignee
송지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지을 filed Critical 송지을
Priority to KR1020100038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477B1/ko
Priority to PCT/KR2010/004029 priority patent/WO2010151024A2/ko
Publication of KR20110118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경기장을 촬영한 영상(이하 경기영상)을 수신하여 경기장 평면모형 및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보조영상을 생성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선수의 시작위치를 정하는 시작위치 결정부; 경기영상으로부터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이동위치를 추출하는 선수위치 추출부; 경기장 평면모형이 표시되는 보조영상을 생성하는 경기장모형 생성부; 및 경기장 평면모형 상에서 선수의 이동위치를 표시하고, 선수의 이동위치가 선수의 시작위치에서 벗어나면 시작위치를 표시하는 이동위치 표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에 의하여, 경기장 평면상에서 선수들이 이동하는 움직임 또는 이동 경로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표시하여 전체적인 경기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보조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 { A system producing an auxiliary image with players' positions on the play stadium plane for a game broadcasting and the recording medium thereof }
본 발명은 경기장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경기장 평면모형 및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보조영상을 생성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경기장 평면모형 상에서 선수의 이동위치를 표시하고, 선수의 이동위치가 선수의 시작위치에서 벗어나면 시작위치를 표시하는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포츠 경기 중계방송이라 함은 운동 경기가 열리는 현장에서 다수의 중계 요원과 중계 장비를 통해 스포츠 경기의 진행 상황을 방송국으로 전송하고, 방송국은 일반 사용자가 보유한 텔레비전, 라디오 등의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해 스포츠 경기 진행 상황을 알려주는 것이다.
텔레비전을 통해 스포츠 경기를 중계방송 하는 경우, 스포츠 경기를 중계방송 하는 과정에서 경기장의 크기와 경기 특성으로 인하여 경기장 전체를 여러 대의 카메라를 요소요소에 배치 촬영하여 필요 화면을 방영하고 있다. 따라서 방송사에서 결정한 화면을 시청자들은 선택의 여지 없이 볼 수 밖에 없다.
특히, 실제의 야구 또는 축구 경기를 중계 방송할 때에는 대부분 공이 있는 장소의 부분만을 촬영하여 그 화면만을 중계해준다. 따라서 이러한 화면만으로는 전체적인 선수들의 위치나 움직임을 파악하기 힘들다.
예를 들어, 타자가 안타를 때렸을 경우, 각 수비선수들은 그 상황에 각자 대처를 위해 위치이동을 한다. 그러나 경기중계 화면은 타자나 공을 잡는 수비수에 집중되어, 시청자들은 다른 선수들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없다.
또, 야구 경기에서 타자가 번트를 시도하려고 하거나, 타자가 홈런을 많이 치는 선수인 경우, 그에 따라 수비수들은 수비 위치를 변경한다. 이런 경우, 감독의 작전에 따라 수비수들의 수비위치가 변경되는 것이나, 경기중계 아나운서가 별도의 설명을 하지 않는 이상, 시청자들은 이러한 선수들의 위치 변화나 감독의 작전을 알기 어렵다.
이러한 경우는 다른 경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축구 경기에서 한 선수가 공을 드리블을 하다가 다른 선수에게 어시스트를 하여 다른 선수가 골을 넣은 장면들이 자주 중계되고 있다. 이때 드리블을 하는 선수에게 화면이 집중되어, 시청자들은 골문으로 대시하는 선수의 움직임을 알 수 없다. 다만, 경기 리플레이를 할 때 다시 볼 수 있을 뿐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경기장 전체의 선수들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 일례가 [한국공개특허 제2007-0082391호(2007.08.21.공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데이터관리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방법"](이하 선행기술 1)에 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운동 경기에 참가한 선수들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선수 배치도를 생성하고, 생성된 선수 배치도를 표시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또 다른 일례가 [한국공개특허 제22005-0079275호, "스포츠 방송 시스템 및 스포츠 방송 방법"](이하 선행기술 2)에 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경기장에 설치된 카메라로 선수들을 촬영하고, 촬영 화면 중 특정 색깔 덩어리를 검출하여 선수의 위치 및 소속 정보를 파악하며, 상기 위치 및 소속 정보를 가상의 경기장 평면도에 표시하여 방송 화면에 서브 화면으로 나타내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단순히 선수들의 이동 위치를 경기장 평면 상에 표시하기만 한다. 따라서 시청자들은 지속적으로 보조 화면을 보고 있어야 선수들이 어떻게 이동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시청자들은 경기 실사인 주 화면을 주로 보기 때문에 보조화면을 집중하여 자세히 시청하지 않는다.
또, 상기 선행기술들에 따르면, 보조 화면상에 선수를 표시하는 작은 도형들이 무수히 많이 움직이기 때문에(야구는 최소 10명, 축구는 약 22명의 도형들이 움직여야 한다.), 시청자들이 일일이 집중하기에는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기장 평면모형 상에서 선수의 이동위치를 표시하되, 선수의 이동위치가 선수의 시작위치에서 벗어나면 시작위치를 표시하는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수의 시작위치에서 이동위치까지 이동상태를 추가하여 표시하는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경기장을 촬영한 영상(이하 경기영상)을 수신하여 경기장 평면모형 및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보조영상을 생성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선수의 시작위치를 정하는 시작위치 결정부; 상기 경기영상으로부터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이동위치를 추출하는 선수위치 추출부; 경기장 평면모형이 표시되는 보조영상을 생성하는 경기장모형 생성부; 및 상기 경기장 평면모형 상에서 선수의 이동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선수의 이동위치가 상기 선수의 시작위치에서 벗어나면 상기 시작위치를 표시하는 이동위치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기장모형 생성부는 상기 경기장 평면모형을 경기장 전체 또는 일부를 대상으로 모형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작위치 결정부는 선수의 시작위치를 미리 정해진 선수의 포지션 위치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작위치 결정부는 선수의 시작위치를 단위경기 시작 전후 최소 정지시간 동안 선수가 머무는 위치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작위치 결정부는 선수의 시작위치를 입력된 시점에 선수가 머무는 위치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위치 표시부는 수비 또는 공격 중 어느 한쪽 선수에 대해서만 시작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위치 표시부는 선수의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선택된 선수에 대해서만 시작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위치 표시부는 선수의 시작위치에서 이동위치까지 이동상태를 추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경기중계 영상화면에 상기 보조영상을 동기화 시켜 결합하는 중계영상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기는 야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기장을 촬영한 영상(이하 경기영상)을 수신하여 경기장 평면모형 및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보조영상을 생성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보조영상에 경기장 평면모형을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경기영상으로부터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이동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경기장 평면모형 상에서 선수의 이동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수의 이동위치가 상기 선수의 이전위치에서 벗어나면 상기 이전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경기중계 영상화면에 상기 보조영상을 동기화하여 오버래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선수의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선택된 선수에 대해서만 이전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선수의 이전위치에서 이동위치까지 이동상태를 추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선수의 이전위치는 미리 정해진 선수의 포지션 위치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선수의 이전위치는 단위경기 시작 전후 최소 정지시간 동안 선수가 머무는 위치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선수의 이전위치는 입력된 시점에 선수가 머무는 위치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기장 내의 선수 좌표를 수신하여 경기장 평면모형 및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보조영상을 생성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선수의 시작위치를 정하는 시작위치 결정부; 상기 선수 좌표로부터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이동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선수위치 추출부; 경기장 평면모형이 표시되는 보조영상을 생성하는 경기장모형 생성부; 및 상기 경기장 평면모형 상에서 선수의 이동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선수의 이동위치가 상기 선수의 시작위치에서 벗어나면 상기 시작위치를 표시하는 이동위치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기장 내의 선수 좌표를 수신하여 경기장 평면모형 및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보조영상을 생성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보조영상에 경기장 평면모형을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선수 좌표로부터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이동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경기장 평면모형 상에서 선수의 이동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수의 이동위치가 상기 선수의 이전위치에서 벗어나면 상기 이전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에 의하면, 경기장 평면상에서 선수들이 이동하는 움직임 또는 이동 경로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표시하여 전체적인 경기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보조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시청자들이 이러한 상황들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면, 시청자들은 실제 경기장에 있는 것과 같이 전체 선수들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고, 각 팀의 작전도 용이하게 알아낼 수 있다. 이로 인해, 경기를 시청하는 재미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야구 경기장 평면도형의 일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3의 보조영상에 표시된 경기장 모형 상에 선수의 이동위치 또는 시작위치를 표시한 일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경기중계 영상화면에 보조영상을 동기화 시킨 일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2 : 촬영장치 20 : 네트워크
30 :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31 : 시작위치 결정부
32 : 선수위치 추출부 33 : 경기장모형 생성부
34 : 이동위치 표시부 35 : 중계영상 결합부
40 : 데이터베이스 50 : 방송서버
60 : 시청자 단말
500 : 보조영상 600 : 중계영상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다수의 촬영장치(11),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30), 방송서버(50), 시청자 단말(60)로 구성된다. 또,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30) 또는 방송서버(5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시청자 단말(60)에 경기 중계 영상을 송출한다. 추가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장치(11)는 경기장에 설치되어 카메라 등으로서, 경기장을 촬영하여 경기 영상을 생성 시스템(30)에 송출한다. 촬영장치(11)는 기존 방송용 촬영 장치(12)와 별도로 설치되거나 방송용 촬영장치(12)를 이용할 수 있다. 촬영장치(11)는 여러 대로 구성될 수 있다.
야구장의 일례로서, 하나는 경기장의 홈 플레이트(Home Plate) 뒤쪽에 설치되어 경기장 전체를 촬영하고, 다른 하나는 1루나 3루쪽의 외야 밖에 설치되어 경기장의 외야 쪽을 촬영한다. 나머지 하나는 1루나 3루쪽의 내야 밖에 설치되어 경기장의 내야 부분만을 촬영한다. 촬영장치(11)는 촬영한 영상, 즉 경기장 전체, 외야, 내야 등에 관한 경기 영상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30)에 전송한다.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30)은 촬영장치(11)로부터 경기 영상을 전송 받아 그 촬영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30)은 영상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촬영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30)은 영상 분석 시스템을 내부에 탑재할 수 있다.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30)은 분석 결과로서, 경기장에 관한 경기장 좌표, 경기장 내 수비수에 관한 수비수 좌표, 및 경기장 내 공격수에 관한 공격수 좌표를 추출한다.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30)은 추출된 좌표들을 이용하여 경기장, 수비수 및 공격수를 그래픽 처리하며, 이로써 게임 경기에 관한 중계 보조 영상을 생성한다.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30)은 생성된 중계 보조 영상을 방송서버(50)로부터 송출되는 중계방송 영상에 오버랩(Overlap)시킨 후, 방송망 등 네트워크(20)를 통해 시청자 단말(60)에 제공한다. 이때,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30)은 방송망 외에도 유/무선 통신망, 예를 들면 인터넷망이나 이동통신망 등을 통하여 중계 보조 영상이 오버랩된 중계방송 영상을 시청자 단말(60)에 제공할 수 있다.
또, 시청자 단말(60)은 텔레비전 등 방송 수신기, 또는,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고정/이동 단말로서, 방송영상을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말이다.
이에 따라, 시청자 단말(60)을 통해 경기중계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중계방송 영상에 오버랩된 중계 보조 영상을 통해, 중계방송 영상의 화면에 시야를 방해 받지 않으면서 전체 선수들의 움직임을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야구장 전체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30)은 중계 보조 영상을 생성하여 방송서버(50)에 전송하고, 방송서버(50)가 경기중계 영상과 보조 영상을 동기화시켜 함께 시청자 단말(60)로 송출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30)은 시작위치 결정부(31), 선수위치 추출부(32), 경기장모형 생성부(33), 및 이동위치 표시부(34)로 구성된다. 또, 중계영상 결합부(35)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경기장모형 생성부(33)는 경기장 평면모형이 표시되는 보조영상을 생성한다. 특히, 경기장모형 생성부(33)는 경기장 평면모형을 경기장 전체 또는 일부를 대상으로 모형화 한다. 또한, 전체 또는 일부의 경기장 평면모형은 경기 진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는 야구 경기장 전체를 대상으로 평면모형으로 모형화 한 것이고, 도 3b는 경기장의 일부를 모형화한 것이다. 경기장 전체 모형을 고정시켜 표시할 수도 있고, 경기 상황에 따라 일부 모형을 표시할 수 있다. 야구장의 내야에서 주된 경기가 진행될 때, 도 3b와 같은 경기장 모형이 보조영상에 표시된다.
이때, 야구 경기장의 평면모형은 실제 경기를 치루는 경기장과 크기만 다를 뿐 형태와 동일하게 만든다. 또, 경기장 평면모형은 경기장의 특성을 묘사하는 부분만 모형화한다. 예를 들어, 도 3a의 야구장에서, 야구장의 그라운드 둘레와, 1-3루 베이스의 플레이트 및 홈플레이트를 도시한다.
경기장모형 생성부(33)는 경기장 평면모형을 바로 입력받을 수도 있고, 경기장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영상분석을 통해 추출할 수도 있다.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평면도를 추출하는 기술은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선수위치 추출부(32)는 경기영상으로부터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이동위치를 추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기장을 촬영한 영상(이하 경기영상)은 촬영장치(11)에 의해 획득된다. 경기 영상으로부터 선수의 위치를 추출하는 기술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특허출원 제10-2009-0094492호(2009.6.23.출원)에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출원에 의하면, 선수의 위치 외에도 수비수인지 공격수인지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앞서 배경기술에 기재된 선행기술들에서도 선수의 위치를 추출하는 기술들이 본 발명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선수위치 추출부(32)는 선수의 위치를 표현하는 선수 좌표를 직접 입력받거나 수신한다. 예를 들어, 방송서버(50) 등에서 촬영한 경기 영상에서 선수들의 이동위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제공될 수 있다. 즉, 선수위치 추출부(32)는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선수들의 위치정보를 이용한다.
즉, 선수위치 추출부(32)는 선수 좌표로부터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이동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출한다. 입력받는 선수 좌표는 제공자(방송서버 등)의 경기장 좌표 상에서의 선수좌표이므로, 상기 경기장 모형 상에서의 선수 위치로 변환되어야 한다.
시작위치 결정부(31)는 선수의 시작위치(또는 이전위치)를 정한다. 선수의 시작위치는 선수가 이동하기 시작하기 직전의 위치를 의미한다. 선수의 시작위치는 다음 3가지 경우로 구분된다.
제 1실시예에 따르면, 시작위치 결정부(31)는 선수의 시작위치를 미리 정해진 선수의 포지션 위치로 정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야구의 수비수 위치는 정해져 있다. 즉, 투수, 포수, 1루수, 유격수, 외야수 등은 각자의 야구장에서의 위치가 포지션으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각 수비수의 포지션 위치는 선수의 시작위치로 정해지며, 사전에 시작위치의 좌표가 입력되어 저장된다.
또는, 전체 경기 시작 전후에 경기 영상으로부터 각 선수들의 포지션 위치를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포지션 위치에 의한 선수의 시작위치는 한번 설정되면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변하지 않는다.
제 2실시예에 따르면, 시작위치 결정부(31)는 선수의 시작위치를 단위경기 시작 전후 최소 정지시간 동안 선수가 머무는 위치로 정한다. 예를 들어, 장타를 많이 치는 타자가 타석에 들어서면, 외야수들은 본인의 포지션 위치에서 보다 뒤로 물러서서 수비 준비를 한다. 이때, 매 이닝의 시작 전후로 선수가 머무는 위치를 시작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특히, 배구 등에서 선수가 각자 돌아가면서 매 공격마다 다른 포지션을 취하나, 수비의 포지션은 일정하게 정해져 있다. 그러나 그 포지션의 위치는 약간씩 변동이 있다. 배구 외에도 테니스(복식 포함), 배드민턴, 미식축구 등도 모두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선수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이때, 단위경기란 야구의 이닝, 배구의 한번의 공격/수비 등 단위별로 진행되는 경기를 의미한다.
이런 경우, 매 공격마다 경기 시작 전후 선수가 일정시간 동안 선수가 머무는 위치로 정한다. 이때, 실시간 경기영상(또는 실시간 선수좌표)에서 추출된 선수위치를 이용하여, 일정시간동안 일정범위(오차) 내에 위치하면 그 평균값으로 선수의 시작위치로 설정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시작위치 결정부(31)는 선수의 시작위치를 입력된 시점에 선수가 머무는 위치로 정한다. 예를 들어, 축구와 같은 경기는 경기가 시작되면 45분간 또는 골이 들어가는 경우를 제외하고 계속 진행된다. 이런 경우 특정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시점에서의 선수 위치가 곧 시작위치로 설정된다.
이때, 어느 시점으로 할 것인지는 관리자 등에 의해 결정된다. 즉, 관리자는 입력장치 등을 통해 그 시점을 입력하고, 시작위치 결정부(31)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시점을 입력받아 그 시점으로 선수의 시작위치를 결정한다.
제1 실시예는 선수의 포지션이 결정되어 있는 야구와 같은 게임에 적용이 가능하고, 제2 실시예는 단위별로 경기가 시작되는 게임에 적용되며, 제3 실시예에 의한 선수의 시작위치는 모든 경기에 적용할 수 있다.
이동위치 표시부(34)는 경기장 평면모형 상에서 선수의 이동위치를 표시하되, 상기 선수의 이동위치가 상기 선수의 시작위치에서 벗어나면 상기 시작위치를 표시한다. 특히, 이동위치 표시부(34)는 수비 또는 공격 중 어느 한쪽 선수에 대해서만 시작위치를 표시한다.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3의 보조영상에 표시된 경기장 모형 상에 선수의 이동위치를 표시한다. 이동위치란 실시간의 선수 위치를 말한다.
이동위치 표시부(34)는 도 4a와 같은 보조영상에 선수를 표시할 때, 수비수(510)와 공격수(520)를 도형으로 표현한다. 특히, 상기 수비수(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와 공격수(511, 512, 513, 514)의 형태 또는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도 4a에서, 주자(512, 513, 514)가 1-3루까지 진출하고 있고, 타자(511)이 타석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한 이닝의 시작이기 때문에, 모든 수비수들은 모두 수비 포지션에 위치한다. 따라서 선수의 이동위치가 곧 시작위치로 동일하다. 이런 경우, 경기장 평면모형에는 이동위치만 표시된다.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4a의 보조영상에서 선수의 이동위치를 표시하고, 선수의 시작위치를 표시한다. 이동위치는 실선의 원으로 표시되고, 시작위치는 점선의 원으로 표시된다.
도 4b는 도 4a의 상황에서 타자(512)가 유격수(505)와 중견수(502) 사이에 텍사스 안타를 친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유격수(505)와 중견수(502)는 공을 잡기 위하여 각각 위 또는 아래로 달려가고 있고, 2루수(506)는 2루 베이스 커버를 위해 2루 베이스로 달려간다. 따라서 유격수(505), 중견수(502), 2루수(506)는 모두 자신의 시작위치(505b, 502b, 506b)에서 벗어나고 있으므로, 경기장 평면모형 상에서 시작위치(505b, 502b, 506b)를 표시한다.
이동위치 표시부(34)는 한 선수의 시작위치와 이동위치의 차이가 소정의 수치(최소기준거리)보다 크면, 시작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비수들의 시작위치만 표시하고, 공격수의 시작위치는 표시하지 않는다. 공격수는 내야의 다이아몬드 상에서만 이동하기 때문에 굳이 표시할 필요가 없다.
수비수들의 시작위치와 이동위치가 동시에 표시됨으로써 수비수들이 어떻게 이동하고 있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도 4c는 외야수(501, 502, 503)들이 모두 원래 위치보다 뒤로 물러나 수비를 준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외야수의 시작위치(501b, 502b, 503b)는 원래의 포지션 위치이고, 현재의 위치(501, 502, 503)는 외야수의 이동위치이다.
만루의 상황에서 홈런타자(511)가 타석에 들어서서, 장타에 대비하는 수비 포지션임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위치 표시부(34)는 선수의 시작위치에서 이동위치까지 이동상태를 추가하여 표시한다. 유격수(505), 중견수(502), 2루수(506)의 시작위치(505b, 502b, 506b)에서 이동위치(505, 502, 506)까지 점선으로 이동상태를 표시한다. 이동상태는 점선, 또는 이동 잔영(혜성 꼬리와 같은 형상)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동위치 표시부(34)는 선수의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선택된 선수에 대해서만 시작위치를 표시한다. 축구와 같은 경우, 선수들은 양팀을 합해 모두 22명이다. 그리고 모든 선수들이 운동장을 뛰어 다니므로, 어느 시점을 시작위치로 잡으면 대부분의 선수들이 시작위치를 벗어나서 이동위치로 이동한다.
이런 경우, 대부분의 선수들의 시작위치를 표시하면 화면이 매우 번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경우, 선택된 특정 선수들의 시작위치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선수의 선택은 관리자 등에 의해 수행된다. 즉, 관리자가 경기장 평면모형 상에 표시되는 선수들 중 일부를 입력장치를 통해 선택하면, 이동위치 표시부(34)는 이 선택을 입력받아 선택된 선수 위치에 대해서만 시작위치를 표시한다.
중계영상 결합부(35)는 경기중계 영상화면에 상기 보조영상을 동기화 시켜 결합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영상 결합부(35)는 중계 보조 영상(500)을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중계방송 영상(600)에 오버랩시킨 후, 텔레비전과 같은 시청자 단말(6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시청자 단말(60)은 상기 중계방송 영상(600)과 함께 상기 중계 보조 영상(500)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중계 보조 영상(500)은 상기 중계영상 화면 한쪽 끝부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계영상 결합부(35)는 상기 중계 보조 영상(500)을 상기 중계방송 영상(600)에 오버랩시킬 때, 상기 중계방송 영상(600)의 한쪽 끝부분에 상기 중계 보조 영상(500)을 오버랩시킬 수 있다.
또한, 중계영상 결합부(35)는 경기중계 영상화면과 보조영상의 시간이 동기화되도록 영상을 결합한다.
한편,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30)은 중계영상 결합부(35)를 통해 두 영상을 오버랩하거나 별도로 나누어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등 웹에서 경기를 중계하는 경우, 중계영상과 보조영상을 구분하여 동시에 시청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30)은 보조영상만 송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보조영상에 경기장 평면모형을 표시한다(S10). 그리고 경기영상으로부터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이동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출하고(S20), 경기장 평면모형 상에서 선수의 이동위치를 표시한다(S30). 이때, 선수 좌표를 직접 입력받아 선수좌표로부터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이동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
만약, 선수의 이동위치가 상기 선수의 이전위치에서 벗어나면 상기 이전위치를 표시한다(S40).
이때, 바람직하게는, 선수의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선택된 선수에 대해서만 이전위치를 표시한다. 또한, 선수의 이전위치에서 이동위치까지 이동상태를 추가하여 표시한다.
선수의 이전위치를 선정하는 방식은 다음 3가지이다. 즉, 선수의 이전위치는 미리 정해진 선수의 포지션 위치로 정해지거나, 단위경기 시작 전후 최소 정지시간 동안 선수가 머무는 위치로 정해지거나, 입력된 시점에 선수가 머무는 위치로 정해진다.
마지막으로, 경기중계 영상화면에 상기 보조영상을 동기화하여 오버래핑시킨다.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생략된 부분은 앞서 설명된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경기장 평면모형 상에서 선수의 이동위치를 표시하되, 선수의 이동위치가 선수의 시작위치에서 벗어나면 시작위치를 표시하는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경기장 평면모형 및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보조영상을 생성하고, 경기중계화면에 보조영상을 동기화시켜 오버래핑시키는 경기중계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유용하다.

Claims (19)

  1. 경기장을 촬영한 영상(이하 경기영상)을 수신하여 경기장 평면모형 및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보조영상을 생성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선수의 시작위치를 정하는 시작위치 결정부;
    상기 경기영상으로부터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이동위치를 추출하는 선수위치 추출부;
    경기장 평면모형이 표시되는 보조영상을 생성하는 경기장모형 생성부; 및
    상기 경기장 평면모형 상에서 선수의 이동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선수의 이동위치가 상기 선수의 시작위치에서 벗어나면 상기 시작위치를 표시하는 이동위치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장모형 생성부는 상기 경기장 평면모형을 경기장 전체 또는 일부를 대상으로 모형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영상생성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위치 결정부는 선수의 시작위치를 미리 정해진 선수의 포지션 위치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위치 결정부는 선수의 시작위치를 단위경기 시작 전후 최소 정지시간 동안 선수가 머무는 위치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위치 결정부는 선수의 시작위치를 입력된 시점에 선수가 머무는 위치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위치 표시부는 수비 또는 공격 중 어느 한쪽 선수에 대해서만 시작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위치 표시부는 선수의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선택된 선수에 대해서만 시작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위치 표시부는 선수의 시작위치에서 이동위치까지 이동상태를 추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경기중계 영상화면에 상기 보조영상을 동기화 시켜 결합하는 중계영상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는 야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11. 경기장을 촬영한 영상(이하 경기영상)을 수신하여 경기장 평면모형 및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보조영상을 생성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 상기 보조영상에 경기장 평면모형을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경기영상으로부터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이동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경기장 평면모형 상에서 선수의 이동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수의 이동위치가 상기 선수의 이전위치에서 벗어나면 상기 이전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제11항에 있어서,
    경기중계 영상화면에 상기 보조영상을 동기화하여 오버래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선수의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선택된 선수에 대해서만 이전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선수의 이전위치에서 이동위치까지 이동상태를 추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의 이전위치는 미리 정해진 선수의 포지션 위치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6.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의 이전위치는 단위경기 시작 전후 최소 정지시간 동안 선수가 머무는 위치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7.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의 이전위치는 입력된 시점에 선수가 머무는 위치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8. 경기장 내의 선수 좌표를 수신하여 경기장 평면모형 및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보조영상을 생성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선수의 시작위치를 정하는 시작위치 결정부;
    상기 선수 좌표로부터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이동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선수위치 추출부;
    경기장 평면모형이 표시되는 보조영상을 생성하는 경기장모형 생성부; 및
    상기 경기장 평면모형 상에서 선수의 이동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선수의 이동위치가 상기 선수의 시작위치에서 벗어나면 상기 시작위치를 표시하는 이동위치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19. 경기장 내의 선수 좌표를 수신하여 경기장 평면모형 및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보조영상을 생성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 상기 보조영상에 경기장 평면모형을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선수 좌표로부터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이동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경기장 평면모형 상에서 선수의 이동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수의 이동위치가 상기 선수의 이전위치에서 벗어나면 상기 이전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00038161A 2009-06-23 2010-04-23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 KR101264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161A KR101264477B1 (ko) 2010-04-23 2010-04-23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
PCT/KR2010/004029 WO2010151024A2 (ko) 2009-06-23 2010-06-22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경기중계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161A KR101264477B1 (ko) 2010-04-23 2010-04-23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517A true KR20110118517A (ko) 2011-10-31
KR101264477B1 KR101264477B1 (ko) 2013-05-14

Family

ID=4503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161A KR101264477B1 (ko) 2009-06-23 2010-04-23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4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078A (ko) 2015-05-14 2016-11-2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선수 측위를 이용한 관심 선수 화면 제공 시스템
KR20190136517A (ko) 2018-05-31 2019-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혼잡도 시각화 장치 및 방법
KR20210126291A (ko) * 2020-04-10 2021-10-20 이하연 비콘을 이용한 스포츠 중계 지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5562A (ja) 1999-12-30 2001-09-28 Nokia Corp スポーツイベントのリアルタイム通信
JP2003199060A (ja) 2001-12-26 2003-07-11 Bellsystem 24 Inc スポーツ映像配信システムおよび映像処理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078A (ko) 2015-05-14 2016-11-2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선수 측위를 이용한 관심 선수 화면 제공 시스템
KR20190136517A (ko) 2018-05-31 2019-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혼잡도 시각화 장치 및 방법
KR20210126291A (ko) * 2020-04-10 2021-10-20 이하연 비콘을 이용한 스포츠 중계 지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4477B1 (ko) 201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0833A1 (en) Play Sequence Visualization and Analysis
JP2023054333A (ja) 運動トレーニング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905474B2 (ja)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16663B2 (en) Computer-implemented capture of live sporting event data
KR101612628B1 (ko) 실시간 분석 및 예측에 의한 참여형 스포츠 게임 시스템 및 스포츠 게임 방법
US20120269494A1 (en) Augmented reality for live events
US20220180570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data for monitoring event
KR100974638B1 (ko) 야구 경기 중계방송 시스템 및 방법
WO2016154663A9 (en) Sports virtual reality system
KR101976354B1 (ko)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
US20210168411A1 (en) Storage medium, video image generation method, and video image generation system
KR101264477B1 (ko)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
CN114618168A (zh) 玩游戏记录运动图像制作系统
CN113992974A (zh) 模拟参赛的方法、装置、计算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164894B1 (ko) 경기 참여자 관점의 야구공 영상생성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
KR20000064088A (ko) 스포츠 영상 분석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6624A (ko) 양방향 스포츠 경기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182671B1 (ko)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움직임을 과장하여 표시하는 경기중계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
KR20230091747A (ko) 야구 경기의 스케줄링 정보를 통한 경기 영상 자동 획득 및 메이킹 시스템
JP7032948B2 (ja) 戦術分析装置
JP7246649B2 (ja) 戦術分析装置
JP2020107991A (ja) 動画タグ付け装置および動画タグ付け方法
JP6303525B2 (ja) 抽出プログラム、方法、及び装置、並びに野球映像メタ情報作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03581B2 (ja) システム及びデバイス
KR102194397B1 (ko) 농구 경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