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6151A -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6151A
KR20110116151A KR1020117018198A KR20117018198A KR20110116151A KR 20110116151 A KR20110116151 A KR 20110116151A KR 1020117018198 A KR1020117018198 A KR 1020117018198A KR 20117018198 A KR20117018198 A KR 20117018198A KR 20110116151 A KR20110116151 A KR 20110116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float
injury
support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7063B1 (ko
Inventor
히로시 코마츠
모토노부 이토
카즈히로 야마노우치
켄지 하세가와
이와오 이토
Original Assignee
니폰 코에이 가부시키가이샤
칸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꾜도 게스이도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코에이 가부시키가이샤, 칸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꾜도 게스이도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코에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6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03F9/007Devices providing a flushing sur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58By float controlled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58By float controlled valve
    • Y10T137/7404Plural fl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개폐 장치(1)는 하수(W)의 흐름을 받아 흐름의 하류 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이 가능한 게이트(10)와, 게이트(10)를 지지함으로써 게이트(1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넘어짐 방지부(20b)와, 넘어짐 방지부(20b)에 의한 게이트(10)의 지지를 해제하는 지지 해제부(22b)와, 게이트(10)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어 하수(W)보다도 비중이 작은 제 1 플로트(18)와, 제 1 플로트(18)의 부상을 방지하는 부상 방지부(44)와, 게이트(10)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고 제 1 플로트(18)보다도 위에 배치되며 유체보다도 비중이 작은 제 2 플로트(16)와, 제 2 플로트(16)의 부상에 따라, 부상 방지부(44)에 의한 제 1 플로트(18)의 부상의 방지를 해제하는 부상 방지 해제부(42)를 구비한다. 또한, 제 1 플로트(18)의 부상에 따라 지지 해제부(22b)가 작동한다.

Description

개폐 장치{OPENING-CLOSING DEVICE}
본 발명은 하수도 등의 유로에 사용되는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하수도 등의 유로에 사용되는 개폐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300895 호 공보 참조). 이러한 개폐 장치는 통상은 밸브체가 폐쇄된 상태로 유로를 막고 있다. 그러면, 유로의 하류에는 쓰레기가 쌓인다. 여기서, 강우 등에 의해 유로의 수위가 소정 수위 이상이 되면 밸브체가 개방된 상태로 되어 유로의 하류에 물이 흐르고 하류에 쌓인 쓰레기를 흘려 보낼 수 있다. 즉, 유로의 세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유로의 수위가 소정 수위 이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기 위해서는 플로트(float)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300895 호 공보의 도 1을 참조).
또한, 밸브체의 좌우에 프레임 기둥을 세우고, 좌우의 프레임 기둥에 록킹 기구에 의해 밸브체를 좌우의 프레임 기둥에 록킹하여 밸브체를 개방하지 않도록 해 두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300895 호 공보의 도 5, 도 6을 참조). 이 경우, 플로트와 록킹 기구가 연동함으로써 유로의 수위가 소정 수위 이상이 되었을 때에 록킹 기구에 의한 록킹이 해제되어 밸브체가 개방된다. 또한, 좌우의 프레임 기둥에 각각 설치된 록킹 기구에 있어서의 록킹 해제를 동시에 행하기 위하여 좌우의 록킹 기구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수위가 저하되어 가면 밸브체를 용수철(스프링)의 힘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리턴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300895 호 공보의 도 1을 참조). 이 경우, 밸브체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용수철이 발생하는 힘이 커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수위가 천천히 상승할 경우 플로트도 천천히 동작하게 된다. 그러면, 플로트와 연동하는 록킹 기구도 또한 천천히 동작하고, 쉽사리 록킹이 해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쉽사리 밸브체가 개방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밸브체를 재빠르게 개방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개폐 장치는 유체의 흐름을 받아 상기 흐름의 하류 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이 가능한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게이트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넘어짐 방지부와, 상기 넘어짐 방지부에 의한 상기 게이트의 지지를 해제하는 지지 해제부와, 상기 게이트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보다도 비중이 작은 제 1 플로트와, 상기 제 1 플로트의 부상을 방지하는 부상 방지부와, 상기 게이트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플로트보다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보다도 비중이 작은 제 2 플로트와, 상기 제 2 플로트의 부상에 따라 상기 부상 방지부에 의한 상기 제 1 플로트의 부상의 방지를 해제하는 부상 방지 해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플로트의 부상에 따라 상기 지지 해제부가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개폐 장치에 의하면, 게이트가 유체의 흐름을 받아 그 흐름의 하류 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넘어짐 방지부가 상기 게이트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게이트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 해제부가 상기 넘어짐 방지부에 의한 상기 게이트의 지지를 해제한다. 제 1 플로트가 상기 게이트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보다도 비중이 작다. 부상 방지부가 상기 제 1 플로트의 부상을 방지한다. 제 2 플로트가 상기 게이트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플로트보다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보다도 비중이 작다. 부상 방지 해제부가 상기 제 2 플로트의 부상에 따라 상기 부상 방지부에 의한 상기 제 1 플로트의 부상의 방지를 해제한다. 또한, 상기 제 1 플로트의 부상에 따라 상기 지지 해제부가 작동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개폐 장치는 상기 넘어짐 방지부는 상기 게이트의 하류측의 면을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개폐 장치는 상기 지지 해제부는 상기 넘어짐 방지부를 상기 흐름의 외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게이트의 지지를 해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개폐 장치는 상기 제 1 플로트를 서스펜딩(suspending)하고, 상기 제 1 플로트의 부상에 따라 상승하는 부분을 갖는 서스펜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부상 방지부는 상기 서스펜션 부재의 윗쪽에 위치하고 상기 서스펜션 부재의 상승하는 부분의 상승시에 상기 서스펜션 부재에 충돌하는 충돌 부분과, 상기 흐름에 대하여 정지하고 있는 부분에 상기 충돌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부분을 갖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개폐 장치는, 상기 부상 방지부가 상기 고정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 가능 부분을 갖고, 또한, 상기 회전 가능 부분이 회전한 각도만큼 상기 충돌 부분도 회전하는 것이며, 상기 부상 방지 해제부가 상기 제 2 플로트의 부상에 따라 상기 회전 가능 부분을 움직이는 구동부를 갖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개폐 장치는 상기 서스펜션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서스펜션 부재의 상승하는 부분의 상승에 따라 하강하는 하강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해제부는 상기 넘어짐 방지부를 상기 흐름의 외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게이트의 지지를 해제하고, 또한, 상기 지지 해제부는 상기 하강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하강 부분의 하강을 받아 상기 넘어짐 방지부를 상기 흐름의 외측으로 끌어당기도록 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 장치(1)를 하수도(100U, 100L)에 설치했을 때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하수도(100U)의 수위가 낮을 때의 도면[도 1(a)], 하수도(100U)의 수위가 높아지고 있을 때의 도면[도 1(b)], 하수도(100U)의 수위가 소정 높이 이상이 된 후의 도면[도 1(c)]이다.
도 2는 개폐 장치(1)의 사시도[게이트(10)가 서 있는 상태]이다.
도 3은 개폐 장치(1)의 사시도[게이트(10)가 넘어져 있는 상태]이다.
도 4는 개폐 장치(1)를 상류측으로부터 본 도면[도 4(a)], 하류측으로부터 본 도면[도 4(b)]이다.
도 5는 개폐 장치(1)의 측면도이며 상류측으로부터 바라볼 때의 좌측면도[도 5(a)], 우측면도[도 5(b)]이다.
도 6은 개폐 장치(1)의 부상 방지부(44) 근방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게이트(10)가 서 있는 상태의 넘어짐 방지부(20a, 20b) 근방을 투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하수(W)의 수위(W.L.로 표기)가 낮을 때의 상류측으로부터 바라봤을 때의 개폐 장치(1)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하수(W)의 수위(W.L.로 표기)가 높아져 제 1 플로트(18)의 상단을 초과하였지만 제 2 플로트(16)가 거의 하수(W)의 수위보다도 위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의 개폐 장치(1)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하수(W)의 수위(W.L.로 표기)가 더 높아져 제 2 플로트(16)가 부상했을 경우의 개폐 장치(1)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부상 방지부(44)가 회전했을 때의 개폐 장치(1)의 부상 방지부(44) 근방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2는 게이트(10)가 넘어진 상태의 넘어짐 방지부(20a, 20b) 근방을 투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개폐 장치(1)를 하류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공통 회전축(28)을 투시하고, 또한, 제 1 해제 작동부[회전부(29b) 및 하강 부분(24b)] 및 제 2 해제 작동부[회전부(29a) 및 하강 부분(24a)], 넘어짐 방지부(20b, 20a), 제 1 지지 해제부(22b), 제 2 지지 해제부(22a)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하수(W)가 하류측으로 흐른 후의 개폐 장치(1)의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게이트(10)가 넘어졌을 때의 개폐 장치(1)의 측면도이며, 상류측으로부터 바라볼 때의 좌측면도[도 15(a)], 우측면도[도 15(b)]이다.
도 16은 게이트(10)가 조금 올라갔을 때의 개폐 장치(1)의 측면도이며, 상류측으로부터 바라볼 때의 좌측면도[도 16(a)], 우측면도[도 16(b)]이다.
도 17은 게이트(10)가 더 올라갔을 때의 개폐 장치(1)의 측면도이며, 상류측으로부터 바라볼 때의 좌측면도[도 17(a)], 우측면도[도 17(b)]이다.
도 18은 게이트(10)가 선 상태의 개폐 장치(1)의 측면도이며, 상류측으로부터 바라볼 때의 좌측면도[도 18(a)], 우측면도[도 18(b)]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개폐 장치(1)를 하수도(100U, 100L)에 설치했을 때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하수도(100U)의 수위가 낮을 때의 도면[도 1(a)], 하수도(100U)의 수위가 높아지고 있을 때의 도면[도 1(b)], 하수도(100U)의 수위가 소정 높이 이상이 된 후의 도면[도 1(c)]이다. 또한, 개폐 장치(1)의 게이트(10)를 도시하였지만, 개폐 장치(1)의 다른 구성 요소는 도 1에 있어서는 도시 생략한다.
우선, 하수도(100U)가 상류측, 하수도(100L)측이 하류측에 있다. 개폐 장치(1)는 도시 생략한 맨홀을 통하여 하수도(100U)와 하수도(100L) 사이에 배치된다. 통상은 하수도(100U)를 흐르는 하수(W)의 수위가 낮다[도 1(a) 참조]. 이 때, 게이트(10)는 세워져 있어 하수도(100U)를 흐르는 하수(W)(유체의 일종)의 흐름을 받는다. 그러면, 게이트(10)에 의해 하수(W)가 막혀 하류측의 하수도(100L)에는 하수(W)가 흐르지 않는다. 그러면, 쓰레기(G)가 하수도(100L)에 쌓인다.
여기서, 강우 등에 의해 하수도(100U)를 흐르는 하수(W)의 수위가 상승한다[도 1(b) 참조]. 그리고, 하수도(100U)의 수위가 소정 높이 이상이 되면[도 1(b) 참조] 게이트(10)가 넘어져, 하수(W)가 하수도(100U)로부터 하수도(100L)로 흐른다. 이에 따라, 하수도(100L)에 쌓인 쓰레기(G)가 흘러나가고 하수도(100L)를 세정할 수 있다.
도 2는 개폐 장치(1)의 사시도[게이트(10)가 서 있는 상태]이다. 도 3은 개폐 장치(1)의 사시도[게이트(10)가 넘어져 있는 상태]이다. 도 4는 개폐 장치(1)를 상류측으로부터 본 도면[도 4(a)], 하류측으로부터 본 도면[도 4(b)]이다.
개폐 장치(1)는 게이트(10), 프레임 기둥(12a, 12b), 저부(12c), 플레이트(14), 제 1 플로트(18), 제 2 플로트(16), 플로트 받침(30), 하부 지점(32), 하측 플로트 삽입체(34L), 상측 플로트 삽입체(34U), 상부 지점(36), 서스펜션 부재(38), 서스펜션 지점(40), 플레이트(50)를 구비한다.
게이트(10)는 게이트(10)의 옆에 선 프레임 기둥(12a, 12b)과, 게이트(10)의 바닥에 배치되는 저부(12c)로 둘러싸여지고, 또한, 플레이트(14)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진다. 게이트(10)는 서 있을 때에 수류(水流)를 막고 있다(도 2 참조). 그러나, 수류의 수위가 높아져 제 1 플로트(18) 및 제 2 플로트(16)가 부상하면 게이트(10)가 하류측으로 넘어져 하수(W) 등의 유체가 하류로 흐른다(도 3 참조).
또한, 도 2 및 도 3에 있어서는 좌측이 상류측, 우측이 하류측이 된다. 또한, 제 1 플로트(18) 및 제 2 플로트(16)의 비중은 게이트(10)가 선 상태로 받고 있는 유체의 비중보다도 작은 것으로 한다. 또한, 제 1 플로트(18) 및 제 2 플로트(16)는 게이트(10)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플로트(16)는 제 1 플로트(18)보다도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로트 받침(30)은 제 1 플로트(18)보다도 아래에 배치되고, 프레임 기둥(12b)에 고정되어 있다. 플로트 받침(30)의 하부 지점(32)에 하측 플로트 삽입체(34L)가 고정되어 있다. 하측 플로트 삽입체(34L)는 상하 방향으로 연신되고, 제 1 플로트(18)에 아래로부터 삽입된다. 제 1 플로트(18)는 하측 플로트 삽입체(34L)를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상측 플로트 삽입체(34U)는 제 2 플로트(16)를 관통하여, 제 1 플로트(18)에 위로부터 삽입된다. 서스펜션 부재(38)는 그 상부 지점(36)에 상측 플로트 삽입체(34U)가 고정되어 있으며, 제 1 플로트(18)를 서스펜딩하는 부재이다. 서스펜션 부재(38)는 서스펜션 지점(40)에 의해 프레임 기둥(12b)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플로트(18)가 부상하지 않을 경우는 상측 플로트 삽입체(34U)도 상승하지 않고 서스펜션 부재(38)도 수평인 채로 있다 (도 8, 도 9 참조). 제 1 플로트(18)가 부상하면 상측 플로트 삽입체(34U)도 상승하고, 상부 지점(36)이 상승하도록 서스펜션 부재(38)가 서스펜션 지점(4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예컨대, 도 10 참조).
또한, 도 4(a)에 나타낸 부상 방지부(44)에 대해서는 후에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플레이트(50)는 프레임 기둥(12b)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5는 개폐 장치(1)의 측면도이며 상류측으로부터 바라볼 때의 좌측면도[도 5(a)], 우측면도[도 5(b)]이다. 도 6은 개폐 장치(1)의 부상 방지부(44) 근방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게이트(10)가 서 있는 상태의 넘어짐 방지부(20a, 20b) 근방을 투시한 평면도이다.
개폐 장치(1)는 지금까지 설명한 것 이외에 넘어짐 방지부(20b, 20a), 제 1 지지 해제부(22b), 제 2 지지 해제부(22a), 부상 방지부(44), 제 2 플로트 지지 빔(41), 부상 방지 해제부(42), 게이트 회전축(26), 공통 회전축(28), 회전부(29b, 29a), 하강 부분(24b, 24a), 제 1 용수철(52a), 제 2 용수철(제 2 힘 발생부)(52b), 링크(54), 회전체(56a, 56b)를 구비한다.
또한, 본 출원의 청구항 1에 의한 넘어짐 방지부, 지지 해제부는 각각 넘어짐 방지부(20b), 제 1 지지 해제부(22b)이다.
게이트(10)는 중공의 게이트 회전축(26)(도 13 참조)을 회전 중심(회전축)으로 하여 넘어질 수 있다. 또한, 넘어진 상태의 게이트(10)를 도 5에 있어서는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넘어짐 방지부(20b, 20a)는 하류측의 면(10a)에 접촉하여 수류에 대항하는 힘을 게이트(10)에 주고 있다. 즉, 넘어짐 방지부(20b, 20a)는 게이트(10)의 하류측의 면(10a)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넘어짐 방지부(20b, 20a)는 게이트(10)를 지지함으로써 게이트(10)가 하류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류측으로부터 보면 넘어짐 방지부(20b)가 우측에, 넘어짐 방지부(20a)가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지지 해제부(22b) 및 제 2 지지 해제부(22a)는 상류측으로부터 볼 때(하류측으로부터 보아도) 좌우 대칭이다.
제 1 지지 해제부(22b)는 넘어짐 방지부(20b)를 수류(흐름)의 외측(도 7에서는 우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넘어짐 방지부(20b)가 게이트(10)에 접촉하는 점을 게이트(10)로부터 떼어내어, 넘어짐 방지부(20b)에 의한 게이트(10)의 지지를 해제한다(도 12 참조).
제 2 지지 해제부(22a)는 넘어짐 방지부(20a)를 수류(흐름)의 외측(도 7에서는 좌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넘어짐 방지부(20a)가 게이트(10)에 접촉하는 점을 게이트(10)로부터 떼어내어, 넘어짐 방지부(20a)에 의한 게이트(10)의 지지를 해제한다(도 12 참조).
또한, 도 5(a)에 있어서는 도시의 편의상 부상 방지 해제부(42), 부상 방지부(44), 플레이트(50)를 도시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5(a)에 있어서는 링크(58)[도 15(a)에 도시]도 도시 생략하고, 제 1 용수철(52)이 회전부(56a)에 고정되어 있도록 도시하고 있다.
부상 방지부(44)는 제 1 플로트(18)의 부상을 방지한다.
도 6를 참조하면 부상 방지부(44)는 충돌 부분(44b), 고정 부분(44a), 회전 가능 부분(44c)을 가진다.
충돌 부분(44b)은 서스펜션 부재(38)의 윗쪽에 위치하고, 서스펜션 부재(38)의 상승하는 부분[충돌 부분(44b)의 바로 아래에 있는 서스펜션 부재(38)의 부분]의 상승시에 서스펜션 부재(38)에 충돌한다. 제 1 플로트(18)가 부상하면 서스펜션 부재(38)의 상승하는 부분도 상승한다. 그러나, 서스펜션 부재(38)가 충돌 부분(44b)에 충돌하므로 제 1 플로트(18)가 부상할 수 없다.
고정 부분(44a)은 흐름에 대하여 정지하고 있는 부분[예컨대, 플레이트(50)]에 충돌 부분(44b)을 고정한다. 또한, 충돌 부분(44b)은 고정 부분(44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또한, 고정 부분(44a)은 플레이트(5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은 다른 도면에서는 도시 생략하고 있다.
회전 가능 부분(44c)은 고정 부분(44a)과 같은 정도의 높이에 위치하고, 고정 부분(44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또한, 충돌 부분(44b) 및 회전 가능 부분(44c)은 일체이며, 회전 가능 부분(44c)이 고정 부분(44a) 주변에서 회전한 각도만큼 충돌 부분(44b)도 고정 부분(44a) 주변에서 회전한다.
제 2 플로트 지지 빔(41)은 프레임 기둥(12b)에 지점(41a)(도 8 참조)에 있어서 고정되고 있으며, 제 2 플로트(16)를 지지한다. 제 2 플로트 지지 빔(41)은 지점(41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부상 방지 해제부(구동부)(42)는 제 2 플로트 지지 빔(41)의 접속점(41b)[지점(41a)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됨](도 8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 2 플로트(16)가 부상하면 제 2 플로트 지지 빔(41)이 지점(41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접속점(41b)이 상승한다. 그러면, 부상 방지 해제부(구동부)(42)가 상승하고, 회전 가능 부분(44c)을 위로 눌러 움직이고, 회전 가능 부분(44c)이 고정 부분(44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서스펜션 부재(38)의 윗쪽으로부터 충돌 부분(44b)이 이동해버려(도 11 참조), 충돌 부분(44b)의 바로 아래에 있는 서스펜션 부재(38)의 부분의 상승을 방해하는 것은 없어진다. 부상 방지 해제부(구동부)(42)는 이렇게 하여 제 2 플로트(16)의 부상에 따라 부상 방지부(44)에 의한 제 1 플로트(18)의 부상의 방지를 해제한다.
공통 회전축(28)은 도 13을 참조하면 중공의 게이트 회전축(26)의 내부에 배치되어 게이트 회전축(26)과 같은 방향으로 연신한다.
회전부(29b, 29a)는 공통 회전축(28)에 고정되어 공통 회전축(28)과 함께 회전한다. 예컨대, 회전부(29b)가 회전하면 그 회전과 함께 공통 회전축(28)이 회전한다. 공통 회전축(28)이 회전하면 회전부(29a)가 회전한다.
링크(54)는 그 일단(54a)이 서스펜션 부재(38)에 접속되고, 타단의 근방(54b)이 회전부(29b)에 접속되어 있다.
하강 부분(24b)은 회전부(29b)의 단부[타단의 근방(54b)과는 반대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회전부(29b)가 도 5(b)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에 따라 하강 부분(24b)은 하강한다.
또한, 하강 부분(24b)은 서스펜션 부재(38)에 링크(54) 및 회전부(29b)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서스펜션 부재(38)의 상승하는 부분[충돌 부분(44b)의 바로 아래에 있는 서스펜션 부재(38)의 부분]의 상승에 따라 회전부(29b)가 도 5(b)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강 부분(24b)이 하강한다.
하강 부분(24a)은 회전부(29a)의 단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회전부(29a)가 도 5(a)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도 5(b)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상당]하면 그에 따라 하강 부분(24a)은 하강한다.
회전부(29b) 및 하강 부분(24b)은 제 1 해제 작동부를 구성한다. 제 1 해제 작동부는 회전부(29b)에 의해 공통 회전축(28)을 회전[도 5(b)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시키면서 하강 부분(24b)을 하강시켜서 제 1 지지 해제부(22b)를 끌어당김으로써 제 1 지지 해제부(22b)를 작동시킨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지지 해제부(22b)는 거의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수평한 부분이 하강 부분(24b)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부분이 넘어짐 방지부(20b)에 연결되고, 직각으로 절곡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하강 부분(24b)을 하강시켜서 제 1 지지 해제부(22b)를 끌어당기면 제 1 지지 해제부(22b)가 도 13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넘어짐 방지부(20b)을 끌어당기므로 제 1 지지 해제부(22b)가 작동하게 된다.
회전부(29a) 및 하강 부분(24a)은 제 2 해제 작동부를 구성한다. 제 2 해제 작동부는 공통 회전축(28)의 회전[도 5(a)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회전부(29a)가 회전하고 하강 부분(24a)를 하강시켜서 제 2 지지 해제부(22a)를 끌어당김으로써 제 2 지지 해제부(22a)를 작동시킨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지지 해제부(22a)는 거의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수평한 부분이 하강 부분(24a)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부분이 넘어짐 방지부(20a)에 연결되며, 직각으로 절곡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하강 부분(24a)을 하강시켜서 제 2 지지 해제부(22a)를 끌어당기면 제 2 지지 해제부(22a)가 도 13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넘어짐 방지부(20a)를 끌어당기므로 제 2 지지 해제부(22a)가 작동하게 된다.
또한, 제 1 해제 작동부[회전부(29b) 및 하강 부분(24b)]와 제 2 해제 작동부[회전부(29a) 및 하강 부분(24a)]는 상류측으로부터 볼 때(하류측으로부터 보아도) 좌우 대칭이다.
또한, 제 1 용수철(52a), 제 2 용수철(제 2 힘 발생부)(52b), 회전체(56a, 56b)에 대해서는 도 15 등을 이용하여 후에 설명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동작[저수위로부터 고수위로 되고, 게이트(10)가 넘어질 때까지]을 설명한다.
통상은 하수(W)의 수위가 낮다.
도 8은 하수(W)의 수위(W.L.로 표기)가 낮을 때의 상류측으로부터 바라봤을 때의 개폐 장치(1)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하수(W)의 수위(W.L.로 표기)가 낮을 때에는 도 5(a), (b)를 이용하여 설명한 대로이며, 게이트(10)는 넘어짐 방지부(20b, 20a)에 의해 지지되어 선 상태이다.
여기서, 강우 등에 의해 하수(W)의 수위가 높아져 간다.
도 9는 하수(W)의 수위(W.L.로 표기)가 높아져 제 1 플로트(18)의 상단을 초과하였지만 제 2 플로트(16)이 거의 하수(W)의 수위보다도 위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의 개폐 장치(1)의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9에 있어서는 하강 부분(24b)을 도시 생략하고 있다.
제 1 플로트(18)는 하수(W)에 수몰되어 있으며 제 1 플로트(18)의 비중이 하수(W)의 비중보다도 작으므로 본래는 제 1 플로트(18)가 부상하여 제 1 플로트(18)의 상단이 하수(W)의 수위를 초과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제 1 플로트(18)는 부상하지 않는다.
제 1 플로트(18)가 부상하면 상측 플로트 삽입체(34U)도 상승하고, 상부 지점(36)이 상승하도록 서스펜션 부재(38)가 서스펜션 지점(4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도 9에 있어서는, 시계 회전)한다. 그러나, 도 6를 참조하면 충돌 부분(44b)이 서스펜션 부재(38)의 윗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서스펜션 부재(38)의 서스펜션 지점(4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을 하려고 하여도 서스펜션 부재(38)가 충돌 부분(44b)에서 충돌하여 그 이상은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서스펜션 부재(38)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제 1 플로트(18)가 부상하지 않는다.
또한, 하수(W)의 수위가 높아져 간다.
도 10은 하수(W)의 수위(W.L.로 표기)가 더욱 높아져 제 2 플로트(16)가 부상했을 경우의 개폐 장치(1)의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는 게이트 회전축(26)을 도시 생략하고 있다.
제 2 플로트(16)는 제 1 플로트(18)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고, 저면의 외경도 같다. 그러나, 제 2 플로트(16)는 제 1 플로트(18)에 비해서 상하 방향의 두께가 얇다. 따라서, 제 2 플로트(16)는 제 1 플로트(18)보다도 가볍다. 이것은 제 2 플로트(16)가 하수(W)에 부분적으로 수몰되었을 때는 급격하게 부상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1은 부상 방지부(44)가 회전했을 때의 개폐 장치(1)의 부상 방지부(44) 근방의 확대 정면도이다.
제 2 플로트(16)가 하수(W)에 부분적으로 수몰되어 급격하게 부상하면 제 2 플로트 지지 빔(41)이 지점(41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접속점(41b)이 상승한다. 그러면, 부상 방지 해제부(구동부)(42)가 상승하고, 회전 가능 부분(44c)을 위로 눌러 움직이고, 회전 가능 부분(44c)이 고정 부분(44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서스펜션 부재(38)의 윗쪽으로부터 충돌 부분(44b)이 이동해버려(도 11 참조), 충돌 부분(44b)의 바로 아래에 있는 서스펜션 부재(38)의 부분의 상승을 방해하는 것은 없어진다.
여기서, 제 1 플로트(18)는 하수(W)에 완전히 수몰되어 있으며 큰 부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제 1 플로트(18)가 급격하게 부상하려고 한다. 그 결과, 서스펜션 부재(38)는 서스펜션 지점(4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도 10에 있어서 시계 방향)한다.
그러면, 링크(54)가 상승하고, 회전부(29b)가 공통 회전축(28)을 회전(도 10에 있어서 시계 방향)시키면서 하강 부분(24b)을 하강시킨다. 하강 부분(24b)을 하강시켜서 제 1 지지 해제부(22b)를 끌어당기면 제 1 지지 해제부(22b)가 도 13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넘어짐 방지부(20b)를 끌어당기므로 제 1 지지 해제부(22b)가 작동한다. 따라서, 넘어짐 방지부(20b)는 게이트(10)로부터 분리된다(도 12 참조).
도 13은 개폐 장치(1)를 하류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공통 회전축(28)을 투시하고, 또한, 제 1 해제 작동부[회전부(29b) 및 하강 부분(24b)] 및 제 2 해제 작동부[회전부(29a) 및 하강 부분(24a)], 넘어짐 방지부(20b, 20a), 제 1 지지 해제부(22b), 제 2 지지 해제부(22a)를 도시한 것이다.
공통 회전축(28)이 회전(도 10에 있어서 시계 방향)하면 도 5(a)에 있어서 공통 회전축(28)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하강 부분(24a)이 하강하여 제 2 지지 해제부(22a)를 끌어당기고, 제 2 지지 해제부(22a)가 도 13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넘어짐 방지부(20a)를 끌어당기므로 제 2 지지 해제부(22a)가 작동한다. 따라서, 넘어짐 방지부(20a)가 게이트(10)로부터 분리된다(도 12 참조).
이렇게, 제 1 플로트(18)의 부상(또한, 「부상」은 반드시 상단이 수면에 노출될 필요는 없고, 상단이 수면을 향하여 움직이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에 따라 제 1 지지 해제부(22b) 및 제 2 지지 해제부(22a)가 작동한다.
또한, 도 12는 게이트(10)가 넘어진 상태의 넘어짐 방지부(20a, 20b) 근방을 투시한 평면도이다. 넘어짐 방지부(20a, 20b)가 게이트(10)로부터 분리됐으므로 게이트(10)는 하수(W)의 수압에 의해 하류측으로 넘어진다.
도 14는 하수(W)가 하류측으로 흐른 후의 개폐 장치(1)의 우측면도이다. 하수(W)가 하류측으로 흐르거나 함으로써 제 2 플로트(16)의 하단보다도 수위가 낮아지면 제 1 플로트(18)는 하수(W)의 수면에 뜨면서 하강해 간다. 이에 따라, 서스펜션 부재(38)도 수평으로 리턴한다. 또한, 제 2 플로트(16)은 하강하고, 접속점(41b)도 내려가고, 부상 방지부(44)도 전과 같이, 서스펜션 부재(38)를 누르는 위치(도 6 참조)로 리턴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플로트(18)가 하수(W)에 수몰되어도 제 2 플로트(16)가 부상할 때까지는 부상 방지부(44)가 서스펜션 부재(38)를 누르고 있어(도 6 참조) 제 1 플로트(18)가 부상할 수 없다.
여기서, 제 2 플로트(16)가 급격하게 부상하면 그것에 따라 부상 방지부(44)가 회전하여 서스펜션 부재(38)를 누르지 않게 되어(도 11 참조) 제 1 플로트(18)는 급격한 부상을 개시한다[이미, 수몰되어 있으며, 큰 부력이 제 1 플로트(18)에 작용하고 있음]. 이에 따라, 서스펜션 부재(38)의 지점(40)을 중심으로 도 10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링크(54)가 상승함으로써 회전부(29b)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하강 부분(24b)이 하강하여 제 1 지지 해제부(22b)이 끌어당겨지고(도 13 참조), 넘어짐 방지부(20b)가 끌어당겨져 게이트(10)의 지지가 해제된다.
또한, 회전부(29b)의 도 10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공통 회전축(28)이 회전하여 회전부(29a)가 회전하고[도 5(a)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 하강 부분(24a)이 하강하여 제 2 지지 해제부(22a)가 끌어당겨지고(도 13 참조), 넘어짐 방지부(20a)가 끌어당겨져 게이트(10)의 지지가 해제된다. 또한, 원칙, 끌어당기기에 의해 동작이 전달되는 것은 넘어짐 방지부(20a, 20b)에 의한 게이트(10)의 지지 해제가 동시에 행하여지도록 하기 때문에 유익하다.
여기서, 제 1 플로트(18)가 급격한 부상을 행하기 때문에 넘어짐 방지부(20b)에 의한 게이트(10)의 지지의 해제도 급격하게 행하여지므로 게이트(10)가 재빠르게 넘어져 열릴 수 있다.
또한, 넘어짐 방지부(20a, 20b)가 공통 회전축(28)에 의해 연결되게 되지만, 공통 회전축(28)은 중공의 게이트 회전축(26)에 들어가 있으며 게이트 회전축(26)의 내부에는 하수(W)가 들어가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공통 회전축(28)이 하수(W)에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폐 장치(1)는 게이트(10)가 넘어졌기 때문에 유로의 수위가 낮아졌을 경우에 게이트(10)가 선 상태로 리턴하도록 되어 있다.
도 15는 게이트(10)가 넘어졌을 때의 개폐 장치(1)의 측면도이며, 상류측으로부터 바라볼 때의 좌측면도[도 15(a)], 우측면도[도 15(b)]이다. 개폐 장치(1)는, 앞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 1 용수철(52a), 제 2 용수철(제 2 힘 발생부)(52b), 링크(54), 회전체(56a, 56b)를 가진다. 또한, 개폐 장치(1)는 링크(58)를 가진다.
회전체(56a, 56b)는 게이트 회전축(26)에 고정되어 게이트 회전축(26)과 함께 회전한다.
제 1 힘 발생부는 제 1 용수철(52a) 및 링크(58)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용수철(52a)은 제 1 힘 발생부의 일단(52a-1)에 고정되어 있다. 링크(58)는 제 1 힘 발생부의 타단(58a)에 고정되고, 제 1 용수철(52a)에 연결된다.
제 1 힘 발생부의 일단(52a-1)이 게이트 회전축(26)보다도 위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힘 발생부의 타단(58a)은 회전체(56a)에 고정되고 있으며, 게이트 회전축(26)(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회전체(56a)가 게이트 회전축(26)과 함께 회전해도 제 1 힘 발생부의 타단(58a)과 게이트 회전축(26)(의 중심)의 거리(소정 길이)는 변하지 않는다.
제 1 용수철(52a)은 게이트(10)를 선 상태로 리턴시키는 힘을 발생한다. 단, 제 1 용수철(52a)은 게이트(10)가 넘어진 상태에서는 게이트(10)를 선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충분하지 않은 힘을 발생한다. 도 15(a)를 참조하면 게이트(10)가 넘어진 상태에 있어서의 제 1 힘 발생부의 일단(52a-1)과 제 1 힘 발생부의 타단(58a)을 연결한 직선과, 게이트 회전축(26)의 중심의 거리(D1)[일단(52a-1)과 타단(58a)을 연결한 직선에 게이트 회전축(26)의 중심으로부터 내린 수선의 길이에 상당함]가 짧다. 따라서, 게이트 회전축(26)을 도 15(a)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토크가 작고, 게이트(10)를 선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힘이 충분하지 않다.
제 2 힘 발생부는 제 2 힘 발생부의 일단(52b-1) 및 제 2 힘 발생부의 타단(52b-2) 쌍방에 고정된 제 2 용수철(52b)을 가진다. 단, 제 2 용수철(52b)을 일단(52b-1)[또는 타단(52b-2)]에 고정하고, 링크를 타단(52b-2)[또는 일단(52b-1)]에 접속하고, 제 2 용수철(52b)과 링크를 접속하도록 하는 것도 고려된다.
제 2 힘 발생부의 일단(52b-1)은 게이트 회전축(26)보다도 위에 고정된다. 제 2 힘 발생부의 타단(52b-2)은 회전체(56b)에 고정되어 있으며, 게이트 회전축(26)(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회전체(56b)가 게이트 회전축(26)과 함께 회전해도 제 2 힘 발생부의 타단(52b-2)과 게이트 회전축(26)(의 중심)의 거리(소정 길이)는 변하지 않는다.
또한, 게이트(10)가 넘어진 상태에 있어서의 제 2 힘 발생부의 일단(52b-1)과 제 2 힘 발생부의 타단(52b-2)을 연결한 직선과, 게이트 회전축(26)의 회전 중심의 거리(D2)[일단(52b-1)과 타단(52b-2)을 연결한 직선에 게이트 회전축(26)의 중심에서 내린 수선의 길이에 상당함)는 거리(D1)보다도 길다. 그러나, 제 2 용수철(52b)은 제 1 용수철(52a)보다도 길고(용수철 정수는 작아짐), 도 15(b)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토크는 작다.
또한, 거리(D2)나 제 2 용수철(52b)을 수축시키는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유체[하수(W)]가 흐르는 유로의 수위가 소정 수위 이하일 때에 게이트(10)를 선 상태로 하기 시작하기 위하여 충분한 힘을 발생하도록 한다. 단, 제 2 용수철(52b)의 힘을 지나치게 크게 해서 유로의 수위가 아직 높은 동안에 게이트(10)를 선 상태로 하기 시작하기 위하여 충분한 힘을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면, 수위가 소정 수위 이하가 되었을 때에 제 2 용수철(52b)의 수축력에 의해 게이트 회전축(26)이 회전하고 게이트(10)가 조금 올라간다.
도 16은 게이트(10)가 조금 올라갔을 때의 개폐 장치(1)의 측면도이며, 상류측으로부터 바라볼 때의 좌측면도[도 16(a)], 우측면도[도 16(b)]이다.
도 16(a)을 참조하면 게이트(10)가 조금 올라갔을 때의 제 1 힘 발생부의 일단(52a-1)과 제 1 힘 발생부의 타단(58a)을 연결한 직선과, 게이트 회전축(26)의 중심의 거리는 여전히 짧다. 따라서, 제 1 용수철(52a)에 의해 발생하는 게이트 회전축(26)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게이트(10)를 올리기 위한 토크]는 여전히 작다.
도 16(b)를 참조하면 게이트(10)가 조금 올라갔을 때의 제 2 힘 발생부의 일단(52b-1)과 제 2 힘 발생부의 타단(52b-2)을 연결한 직선과, 게이트 회전축(26)의 중심의 거리는 여전히 길다. 따라서, 제 2 용수철(52b)에 의해 발생하는 게이트 회전축(26)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게이트(10)를 올리기 위한 토크]는 여전히 게이트(10)를 올리기 위하여 충분한 것이다.
또한, 게이트(10)가 올라간다.
도 17은 게이트(10)가 더욱 올라갔을 때의 개폐 장치(1)의 측면도이며, 상류측으로부터 바라볼 때의 좌측면도[도 17(a)], 우측면도[도 17(b)]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게이트(10)가 소정 각도만큼 넘어져 있을 때의 제 1 힘 발생부의 일단(52a-1)과 제 1 힘 발생부의 타단(58a)을 연결한 직선과, 게이트 회전축(26)의 중심의 거리(D3)는 길다. 즉, 게이트(10)가 넘어진 상태에 있어서의[도 15(a) 참조] 제 1 힘 발생부의 일단(52a-1)과 제 1 힘 발생부의 타단(58a)을 연결한 직선과, 게이트 회전축(26)의 중심의 거리(D1)가 거리(D3)보다도 짧다. 또한, 소정 각도 미만만큼 넘어져 있을 때[도 17(a)보다도 게이트(10)가 서 있을 때]도 같다. 따라서, 게이트(10)가 소정 각도 이하만큼 넘어져 있을 때 제 1 용수철(52a)은 게이트(10)를 선 상태로 하기 위하여 충분한 힘을 발생한다. 즉, 제 1 용수철(52a)에 의해 발생하는 게이트 회전축(26)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게이트(10)를 올리기 위한 토크]가 게이트(10)를 선 상태로 하기 위하여 충분히 크다.
도 17(b)를 참조하면 게이트(10)가 더욱 올라갔을 때의 제 2 힘 발생부의 일단(52b-1)과 제 2 힘 발생부의 타단(52b-2)을 연결한 직선과, 게이트 회전축(26)의 중심의 거리는 조금 짧아진다. 따라서, 제 2 용수철(52b)에 의해 발생하는 게이트 회전축(26)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게이트(10)를 올리기 위한 토크]는 조금 작아진다.
마지막으로, 게이트(10)가 선 상태로 리턴한다.
도 18은 게이트(10)가 선 상태의 개폐 장치(1)의 측면도이며, 상류측으로부터 바라볼 때의 좌측면도[도 18(a)], 우측면도[도 18(b)]이다.
도 18(a)를 참조하면 제 1 용수철(52a)에 의해 발생하는 게이트 회전축(26)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가 크다.
도 18(b)를 참조하면 제 2 힘 발생부의 일단(52b-1)과 제 2 힘 발생부의 타단(52b-2)을 연결한 직선 상에 게이트 회전축(26)이 있고, 제 2 용수철(52b)에 의해 발생하는 게이트 회전축(26)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는 거의 0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게이트(10)가 넘어졌을 때는[도 15(a) 참조] 용수철 정수가 큰 제 1 용수철(52a)에 의해 발생하는 게이트(10)를 선 상태로 하기 위한 토크는 작으므로 유로의 수위가 높은 동안에 게이트(10)가 폐쇄되어 버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10)가 소정 각도 이하만큼 넘어져 있을 때에는[도 17(a) 참조], 제 1 용수철(52a)은 게이트(10)를 선 상태로 하기 위하여 충분한 힘을 발생한다. 따라서, 게이트(10)를 선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10)가 넘어졌을 때는[도 15(b) 참조] 유체[하수(W)]가 흐르는 유로의 수위가 소정 수위 이하일 때에 게이트(10)를 선 상태로 하기 시작하기 위하여 충분한 힘을 발생하도록 한 제 2 용수철(52b)에 의해 게이트(10)를 선 상태로 하기 시작할 수 있다.

Claims (6)

  1. 유체의 흐름을 받아 이 흐름의 하류 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이 가능한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게이트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넘어짐 방지부와,
    상기 넘어짐 방지부에 의한 상기 게이트의 지지를 해제하는 지지 해제부와,
    상기 게이트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보다도 비중이 작은 제 1 플로트와,
    상기 제 1 플로트의 부상을 방지하는 부상 방지부와,
    상기 게이트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플로트보다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보다도 비중이 작은 제 2 플로트와,
    상기 제 2 플로트의 부상에 따라 상기 부상 방지부에 의한 상기 제 1 플로트의 부상의 방지를 해제하는 부상 방지 해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플로트의 부상에 따라 상기 지지 해제부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넘어짐 방지부는 상기 게이트의 하류측의 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해제부는 상기 넘어짐 방지부를 상기 흐름의 외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게이트의 지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로트를 서스펜딩하고 상기 제 1 플로트의 부상에 따라 상승하는 부분을 갖는 서스펜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부상 방지부는,
    상기 서스펜션 부재의 윗쪽에 위치하고 상기 서스펜션 부재의 상승하는 부분의 상승시에 상기 서스펜션 부재에 충돌하는 충돌 부분과,
    상기 흐름에 대하여 정지하고 있는 부분에 상기 충돌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 방지부는,
    상기 고정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 가능 부분을 갖고,
    또한, 상기 회전 가능 부분이 회전한 각도만큼 상기 충돌 부분도 회전하는 것이며,
    상기 부상 방지 해제부는,
    상기 제 2 플로트의 부상에 따라 상기 회전 가능 부분을 움직이는 구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서스펜션 부재의 상승하는 부분의 상승에 따라 하강하는 하강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해제부는 상기 넘어짐 방지부를 상기 흐름의 외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게이트의 지지를 해제하고,
    또한, 상기 지지 해제부는 상기 하강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하강 부분의 하강을 받아 상기 넘어짐 방지부를 상기 흐름의 외측으로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
KR1020117018198A 2009-02-04 2010-02-02 개폐 장치 KR101357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23192 2009-02-04
JP2009023192A JP5166309B2 (ja) 2009-02-04 2009-02-04 開閉装置
PCT/JP2010/051734 WO2010090296A1 (ja) 2009-02-04 2010-02-02 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151A true KR20110116151A (ko) 2011-10-25
KR101357063B1 KR101357063B1 (ko) 2014-02-03

Family

ID=4254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198A KR101357063B1 (ko) 2009-02-04 2010-02-02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590560B2 (ko)
EP (1) EP2395163B1 (ko)
JP (1) JP5166309B2 (ko)
KR (1) KR101357063B1 (ko)
AU (1) AU2010211591B2 (ko)
CA (1) CA2751408C (ko)
MY (1) MY160540A (ko)
PL (1) PL2395163T3 (ko)
SG (1) SG173531A1 (ko)
WO (1) WO20100902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0345B (zh) * 2014-02-21 2015-07-22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偏心水箱式水力自冲洗拦蓄门
WO2016150980A1 (en) * 2015-03-22 2016-09-29 Reece Innovation Centre Limited Surge flush gate
CN104746636B (zh) * 2015-04-02 2016-08-24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一种感应水位自动开启的水力闸门结构
CN104863253B (zh) * 2015-05-13 2016-07-20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感应水位自动开启的中轴水力自动闸门
CN104863254B (zh) * 2015-05-15 2016-08-17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C型水力自动闸门
JP6277156B2 (ja) * 2015-06-05 2018-02-07 日本工営株式会社 開閉装置
KR102047325B1 (ko) * 2019-01-09 2019-11-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부력을 이용한 방수문 가동구조
CN112982284B (zh) * 2021-02-25 2023-02-10 青岛理工大学 一种地下车库水动力阻水装置及方法
CN113926634B (zh) * 2021-10-20 2022-08-16 常州市舜辰水利机械有限公司 一种水景钢坝闸门喷头上的保护装置以及水景钢坝闸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072A (en) * 1911-11-03 1912-09-17 Walter S Edge Automatic flood-gate.
US3338057A (en) * 1965-01-08 1967-08-29 Jack O Eckstine Automatic irrigation gate
FR1556220A (ko) * 1967-08-03 1969-02-07
US3952522A (en) * 1971-11-19 1976-04-27 Shettel Ralph E Irrigation systems automation
US3815161A (en) * 1973-04-16 1974-06-11 Baker Hydro Inc Swimming pool surface skimming weir
GB1506079A (en) * 1975-09-18 1978-04-05 Nomura T Water gate control system
US3974654A (en) * 1975-10-28 1976-08-17 W. S. Rockwell Company Self-regulating tide gate
US4114381A (en) * 1977-03-18 1978-09-19 Poseidon Marketing And Development Co. Positive flow estuary structure
US4253202A (en) * 1979-08-10 1981-03-03 Forbes Norris Automatic adjusting wave gutter for swimming pools
EP0197372A3 (de) * 1985-04-10 1987-04-29 Erik Nylander Vorrichtung zur Regelung einer Flüssigkeit-, insbesondere Wasserstandshöhe
CA2096269C (en) * 1993-05-14 1997-09-30 Peter Langemann Irrigation control structure
JP3286267B2 (ja) * 1999-06-09 2002-05-27 株式会社ニムラ 排水溝用自洗装置
DE10064879C1 (de) * 2000-12-28 2002-03-07 Giehl Klaus Ulrich Schwallspül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Abwasserkanälen
FR2833978B1 (fr) * 2001-12-20 2005-04-15 Andre Pierre Simon Dispositif de chasse automatique a clapet
US6623209B1 (en) * 2002-04-04 2003-09-23 Floodbreak Llc Automatic flood gate
KR200316401Y1 (ko) * 2003-03-14 2003-06-18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하천 수위 상승지역의 역류방지용 복합재 수문구조
JP4083060B2 (ja) * 2003-04-01 2008-04-30 株式会社クボタ フラッシュゲート
US6779947B1 (en) * 2003-08-21 2004-08-24 Kevin Buchanan Gate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tidal flows
CA2450151A1 (en) * 2003-11-19 2005-05-19 Aqua Systems 2000 Inc. Irrigation gate system
US8246272B1 (en) * 2010-01-19 2012-08-21 Denios, Inc. Actuated spill b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80566A (ja) 2010-08-19
KR101357063B1 (ko) 2014-02-03
AU2010211591A1 (en) 2011-08-25
AU2010211591B2 (en) 2013-01-17
JP5166309B2 (ja) 2013-03-21
US8590560B2 (en) 2013-11-26
EP2395163A1 (en) 2011-12-14
US20110297250A1 (en) 2011-12-08
EP2395163A4 (en) 2016-05-18
PL2395163T3 (pl) 2019-02-28
EP2395163B1 (en) 2018-10-31
WO2010090296A1 (ja) 2010-08-12
CA2751408A1 (en) 2010-08-12
CA2751408C (en) 2013-03-05
MY160540A (en) 2017-03-15
SG173531A1 (en)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063B1 (ko) 개폐 장치
KR101357064B1 (ko) 개폐 장치
JP5905152B1 (ja) フラップゲート
JP6277156B2 (ja) 開閉装置
JP5166310B2 (ja) 開閉装置
JP4083060B2 (ja) フラッシュゲート
JP4136875B2 (ja) フラッシュゲート
JP2006022517A (ja) フラッシュゲート
JP7111316B2 (ja) 便器用洗浄水排出装置
JP2005336794A (ja) フラッシュゲ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